좋은 영상이네요 프레임 안나와서 이래저래 만지니까 할만하긴한데 집가서 영상보고 좀 더 고쳐야겠네요
@gfghh-47746 минут бұрын
게임이 최적화가 덜된 상태라서 올하옵 dlss 로우 설정 해도 특정맵에서는 144 방어 못하고 120 으로 떨어져서 이 영상은 겜이 최적화를 패치 했을때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sow2132 сағат бұрын
QHD에 3080인데 프레임이 충분히 나오는데도 한타만 들어가면 잔렉이 생기는게 해결이 안되네요. 스트레스 받아서 옵션을 죄다 최하로 낮췄는데도 좀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합니다.
@스톰튜브2 сағат бұрын
잔렉은 여러가지 다 체크해봐야됩니다. 미세한 네트워크 렉이라던가. 저장장치 문제. Cpu나 램오버 체크. 저도 3080 이지만 한타때 잔렉은 전혀 안나옵니다. 컴퓨터 모든 드라이버 점검. 지싱크 쓰시면 수직동기까지 켜고 테스트 등등. 게임 사운드 채널 줄이기 등 잔렉은 원인이 좀 많습니다.
@sow213Сағат бұрын
@@스톰튜브 말씀하신것들 나름 거의 다 테스트 해봤었고 다른게임은 안그러는데 유독 마블 라이벌즈만 그러네요ㅎㅎ 조언 감사합니다.
@스톰튜브Сағат бұрын
@@sow213 그럼 윈도우 고성능과 엔비디아 제어판 전원관리 최고성능선호도 해보셨겠죠? 그렇게 해도 잔렉 마블에서만 터진다면 네트워크 문제뿐이지 않을까도 싶습니다. 또는 마지막으로 그래픽 드라이버를 과거 버전 정도로 변경?
@sow213Сағат бұрын
@@스톰튜브 기가인터넷이고 핑 낮은 도교섭에서만 하는데도 그러네요 인게임 네트워크 테스트도 좋다고 나오구요. 드라이버도 버전도 몇가지 테스트 해봤습니다. 그냥 GG 치려구요ㅎㅎ
@스톰튜브Сағат бұрын
@@sow213 음 그정도면 연구대상이긴하네요 허허
@ji-supark68873 сағат бұрын
혹시 NVIDIA DLSS가 안뜨면 몬가요 ?
@nextne6227Сағат бұрын
Rtx 20이하거나 amd 그래픽카드이시거나 입니다
@ji-supark6887Сағат бұрын
@@nextne6227 감사합니다
@dksfjieoslmakljsd7 сағат бұрын
프레임생성 강추 지연 반응속도 떄문에 안쓴다 하셨는데 이 게임 애초에 핑이 컴이좋고 나쁘고 인터넷이 빠르고 느리고 떠나서 핑40이 넘어감 핑부터 지연인데 걍 쓰세요 저 사용중인데 좋음 오히려 화면부드러워져서 실력더올라감 점령지에서 난투할때 프레임 하락되어서 갑자기 렉걸린거마냥 뚝뚝 끊기는거 이게 더 많이 죽음.,..이게임 핑자체가 누구나 40이상이기때문에 무조건 프레임 늘리는 유저가 더 유리ㅏ함 그리고 물체디테일 차이 없다 하셨는데 캐릭터 스킨에서 차이많이남 특히 망토있는 캐릭터 낮음으로하면 스킨 퀄리티가 확 내려감... 자글자글해짐
@다러-j3p5 сағат бұрын
프레임생성에 따른 지연은 핑속도와 다른 인풋렉입니다. 핑속도는 게임서버와의 통신 속도이고 프레임생성에 따른 지연은 키보드나 마우스 반응속도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대충 검색해 보시면 잘 나와 있을테니 검색해서 공부해 보세요. 빡겜 유저가 아니라서 인풋렉이나 핑에 민감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냥 쓰셔도 됩니다. 그리고 프레임 생성기술을 사용하거나 DLSS 성능을 사용하게 되면 자글자글 거리는 현상 생깁니다. FPS 게임에서는 DLSS 안켜고 네이티브로해서 낮음으로 사용하는게 정석입니다. DLSS 사용해서 안정적인 프레임을 원한다면 품질정도 까지가 타협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프레임 확보가 어려운 와중에 FG 키고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으나 애초에 60프레임이 120프레임으로 뻥튀기 된다고 해서 인풋이 120에 맞춰 들어가는게 아니라 60에 맞게 들어가는 것이므로 해골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히려 이미지 중간처리 과정이 있어서 인풋렉이 더 발생합니다.
@스톰튜브2 сағат бұрын
다러님 박수. 아주 고지식 하십니다. 거의 완벽하게 답을 해주셔서 제가 굳이 추가할말은 없는거 같고 궁금한게 캐쉬 스킨이 모델디테일에서 차이가 난다는게 궁금하긴하네요. 리얼인가?
@handp8 сағат бұрын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itsFusil13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마라 재밌게 하고 있는데 최적화가 별로라 스톰튜브님 영상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잘보겠습니다!
@구린-c8u19 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같은 그래픽 카드 쓰고있는데 균열+환영 맵핑시 프레임이 30도 유지가 안되는데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김형민-h3m20 сағат бұрын
스파이더맨2 최적화가 덜된거 같아서 이 영상 참고했는데 훨씬 나아졌어요!
@라마-f7eКүн бұрын
스파이더맨2 도 올려주세요!!
@min_0e0__Күн бұрын
스톰님 서든도 엔비디아 여러 돌아다니는 설정 많은데 혹시 분석 및 최적화 설정 가능할까요?
@스톰튜브Сағат бұрын
서든은 제가 한 4년전?에 올릴까말까 하면서 실시간방송으로 테스트까지 한게 있긴 했으나. 서든같이 오래된 게임은 해골물 중독자분들이 많아서 제가 뭐라고 올리면 거품물고 달려들 확률도 높고. 최적화 업자들도 몰려올꺼 같아서 자제중입니다
@min_0e0__Сағат бұрын
@스톰튜브 아~ 그렇군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changwonan2390Күн бұрын
문제없이 하다가 넓은 평지맵에서 갑자기 뚝뚝끊겨서 왔습니다 6800XT
@tg3153Күн бұрын
스파이더맨1에 비교해 그래픽이 고사양 요구하나요? 1은 잘돌아갔는데 2가 시커멓게 나와서요
@je11y_jju2 күн бұрын
가지고있는 모니터가 240hz 찐싱크인데 평균프레임이 120정도 나옵니다. 그러면 120프레임 으로 인게임제한걸면 되나요? 그리고 다른분유튜브보니까 수직동기화를 엔비디아 제어판보다 인게임 수직동기화 키는것이 인풋렉 줄일수있다는데 맞는말인가요?
@스톰튜브Күн бұрын
240hz에 120 프레임이 나오는 상황에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95%이상을 넘어가고 있다면 더 밑으로 제한하시면 됩니다. 다른 유튜브가 누군지는 모르겠으나 정보좀 제대로 전달하라고 하시는게 좋겠네요. 뭐 엄청나게 틀린말은 아니지만 인게임 제어판 수직동기화랑 제어판 수직동기화는 같은 기능이지만 안전성이 조금 다를뿐이고 인풋렉은 크게 상관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인게임 수직동기화가 간혹 더 좋은 경우는 게임 개발자가 인게임 안에 수직동기화 기능을 켜면 다른 기능도 같이 돌아가게끔 숨겨놓은 코드나 기능이 있을 경우에 그런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아주 드뭅니다. 게임 300개중 한개 정도요? 오히려 인게임 수직동기화가 더 불안정해서 제어판에껄 켜는게 더 안정적이 될수도 있습니다
@je11y_jju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여윽시 스톰튜브~~ 감사합니다
@BitcoinMining-v5e2l2 күн бұрын
당신의 노력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조언이 필요합니다: SafePal 지갑에 USDT가 있으며, 복구 문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mistake turkey blossom warfare blade until bachelor fall squeeze today flee guitar). 이들을 Binance로 옮기는 방법을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공헬덕후2 күн бұрын
지싱크 모니터 180 헤르쯔는 165정도로 쓰면 괜찮을까요?
@스톰튜브Күн бұрын
넵 170 도 괜찮을듯 합니다. 근데 180hz 모니터의 경우는 오버된 모델일수도 있어서 모니터 지싱크 공식 범위부터 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165에서 180으로 오버한 모델일수도 있어서. 오리지널 180이면 범위도 180이라면 165나 170쯤 쓰셔도 될껍니다
@나님-c1y2 күн бұрын
스파이더맨 2 pc판 최적화 옵션도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holiclove2 күн бұрын
👍👍
@bino42712 күн бұрын
반가워요 스톰튜브님!!
@jingain2 күн бұрын
확실히 프레임 향상이 눈에 띄게 좋아졌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잘 보고 갑니다.
@venikukor2 күн бұрын
마라탕후루 최적화 감사합니다! 안해보신 분들은 스킨이 진짜 기깔나게 나오는 편이니 옵치 같은 하이퍼FPS 좋아하시면 찍먹해보시길~
@bu60512 күн бұрын
와 드디어 떴네 이거 최적화가 씹똥망이라ㅋㅋㅋ
@jake-TF1412 күн бұрын
중국 게임이군요..ㄷㄷ
@스톰튜브2 күн бұрын
요즘 뭐 중국꺼라고 한들.. 그냥 받아들여야죠. 롤도 중국껀데요 뭘..
@jake-TF1412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에고..ㅜㅜ
@허황-c3i42 минут бұрын
@@jake-TF141 요즘은 중국게임이 퀄이나 이런게 더 좋아요 인정하기 싫지만 현실입니다
@xk8uq4fz4o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맵핑 중에 계속 팬이 풀로 돌아가는 소리에 힘들었는데 이제 가끔 희귀몹 잡을 때 빼고는 소음이 거의 다 사라졌습니다.
@나나-g3m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님 제가 게임밍 노트북 오멘 15 사용 하고 있어요 주사율144 인데 이걸 높이고 싶은데 변경을 못하겠어요 방법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하는 게임은 아바 입니다
롤은 수동조절도 안되고 로드율도 99%찍는건 저사양들이나 그래서 240 쯤 그대로 쓰셔도 됩니다 완전 점멸현상없으면 그냥 쓰셔도 되구요
@한나비-c7s3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하나만 더 여쭤봅니다!! 집컴퓨터가 4060 쓰고있고 롤게임 우물에서 스타트시 800프레임정도 나오다가 라인전 한타같은걸 하면 그정도에 맞게 프레임이 평벙하게 떨어지는 상황인데 이런경우에는 240제한을 걸고 지싱크온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끄기로 설정을 해놓고 게임을 해도 최적화로 잘 될까요?? 원래는 지싱크를 아예 안쓰고 게임내 프레임도 제한없음으로 해서 거의 프레임이 엄청 높았거든요 지금 이 더 나은 상황에서 게임을 하는건지 바꾸는게 좋은건지 잘 모르겠네요..!
@스톰튜브3 күн бұрын
@@한나비-c7s 반응속도가 중요하시다면 프레임이 무조건 높은게 좋은게 맞구요. 원래 라인전 들어가면 프레임 떨어지는게 정상입니다. 지싱크는 취향이기도 합니다. 부드러운 화면 좋아하시면 쓰셔도 되구요. 지싱크 쓰실꺼면 수직동기화 꺼도 됩니다. 프레임 높고 점멸 현상만 없으면 지싱크 없이 그대로 쓰시는게 반응속도에 가장 좋긴 합니다
@한나비-c7s3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넵 감사합니당
@ohku94974 күн бұрын
결국 핵심은 언제 써멀이 돌덩어리가 되냐인데 사용환경 가정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 같은 경우 i5 2500 5년 넘은 거 뜯으니 다 굳어있었음 대충 유저들 댓글보면 4-5년되면 굳는거 같음
@전민정-j2g4 күн бұрын
아 윈도우 문제 였구나 ㅠㅠ 로딩중에 갑자기 멈추는 경우가 있어서 왜그러나 싶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니요-p6o4 күн бұрын
4년전 영상이지만 물어볼게 있습니다 144hz 모니터 인데 프레임이 100 에서 250 사이에서 변동이 있는데 어떻게 고정하면 좋을까요?
@스톰튜브4 күн бұрын
변동폭이 너무 크네요. 무슨 게임인지 모르겠으나 반응속도가 중요하시다면 200프레임 넘어가도 그대로 쓰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그래픽카드 사용율이 95 안넘도록 제한해주시면 되구요
@아니요-p6o3 күн бұрын
@ 배그 입니더
@mrbinggrae59545 күн бұрын
와.. .대박이다.
@whitemellonn5 күн бұрын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크기 자동 관리'가 '시스템이 관리하는 크기'와 사용하는 드라이브를 정해줄 뿐 같은건가요?
@스톰튜브5 күн бұрын
넵
@건일-n3c5 күн бұрын
빠르게 들어도 쏙쏙 박히는 딕션 최고~
@Elite_Ahijo5 күн бұрын
Lg 27gp 850 모니터 사용중입니다 원래는 165hz 모니터이나 공식 지원인 오버클럭 모드를 키면 180까지 나오는데 이경우는 어디에 기준을 맞춰서 프레임 제한을 거는것이 맞을까요?
@Elite_Ahijo5 күн бұрын
엔비디아 공식홈에 보니 180hz까지 지원을 하는군요... 그러면 175hz에 두고 사용해야겠네요
@user-br6my6kj6s5 күн бұрын
amd5600 Windows 11 Pro 24h2 로딩(톱니바퀴) 에서 갑자기 컴터가 멈춰버림 ㅠㅠ 아직 고쳐지지 않았네요? ㅠㅠ
@헤링본-j6p5 күн бұрын
와.. 이겜 현시점에서도 rt는 진짜 극악이네
@gjcool777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투컴으로 연결하려고 옛날 동영상 다시 보고 있습니다 ㅋㅋ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새해 인데 오랜만에 라방 예정은 없습니까??
@Mint-bo6ji6 күн бұрын
옛날에 산 노트북이 i7 7700hq에 1070인데 cpu가 힘들어하는 경우에도 끄는게 좋을까요?
@스톰튜브6 күн бұрын
그정도면 꺼져있는게 디폴트 일껍니다
@user-br6my6kj6s6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그래픽설정 항상 도움받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으르렁꿍6 күн бұрын
엘든링 프레임제한 해제하면 회피판정이나 가끔 패턴이 이상해져서 불리할수도 있다고 본거 같은데 맞나요?
@스톰튜브6 күн бұрын
누가 그런소리하던가요? 어차피 특정상황에 프레임드랍이나 고의적인 입력키씹힘으로 뚜드러 맞는 엔진 게임입니다 ㅎㅎ
@으르렁꿍6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세키로도 가끔 입력이 안들어가서 패링이 안먹히던데 이거도 입력키씹힘으로 봐야할까요.사양은 4090이라 충분한데 가끔 씹힘이 느껴지긴 하더라고요.전 그게 프레임제한 해제를 해서 그런가했는데 게임이 원래 그런거였군요!
@스톰튜브6 күн бұрын
@@으르렁꿍 일본 다크소울 게임들의 고질병 같은 증상이기도 합니다. 프레임이 아무리 잘나와도 특정 상황에서 개적화로 인해 프레임 드랍이 생기거나 할때 키 반응까지 느려지는 현상이 좀 있습니다. 갑자기 무거워지죠. 평소에 일반몹 잡을때는 전혀 느낄수도 없던 현상이 대장이나 특정 장소에 가서 싸울때 눌러보면 이상하게도 지연되서 나가거나 씹히거나 하는 현상이 느껴지실껍니다. 프롬소프트 게임들이 그런게 좀 많습니다. 입력할땐 안나가더니 미리 입력해놓은게 뒤에 갑자기 나가거나. 눌러놓은게 앞에 눌러놓은거에 씹히거나
@으르렁꿍6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오오 그렇군요.그럼 마음편히 프레임 제한을 최대로 풀어야 겠네요.정말 감사합니다~ 요즘 다시 엘든링을 시작했는데 이번에는 각잡고 하는중인데 몇년전 처음할때는 렙업노가다같은 방법으로 날림으로 해서 ㅎ 지금은 모든걸 FM으로 하는데 이게 더 재밌네요.
@R8thd7 күн бұрын
저 이 영상 보고 따라 하고 나서 nvidia control penel을 설치하려는데 자꾸 오류가 떠요ㅠㅠ
@@김민성-s7m3w dlaa는 모든게임에서 화질이 좋은게 좀 드뭅니다. 그래서 60프레임이 안나오신다면 dlss 정도만 쓰시면 됩니다. 아니면 싱글게임이니까 프레임생성 이라는 기능있으면 그거 써서 프레임 뻥튀기 하셔도 될껍니다
@김민성-s7m3w7 күн бұрын
스파이더맨2도 곧나오는데 혹시 그것도 해주실수있나요 컴퓨터 4060ti도 설정가능하나여
@강동동-q3b7 күн бұрын
최근에 입문했는데 감사합니다
@user-ek4vp2kh6b8 күн бұрын
제가 하는게임이 배그 검은사막등도 하는데 리얼지싱크 모니터입니다. 근데 모니터가 540hz를 쓰는데 절대 방어안되는걸 알고계실겁니다 그래도 540 -3 정도로 설정해두면 되나요?? 배그는 일단 300프레임 제한을 뒀고 방어까진아니지만 200후반대에서 놀게됩니다 9800x3D 4090조합 그런데 검은사막은 너무 들쭉날쭉해서 사람많은 거점전은 80프레임 까지도 내려가는데 80프레임제한을 해두는건 너무 손해같고..
@스톰튜브7 күн бұрын
540hz의 경우에는 프레임제한을 헤르츠에 신경쓰지마시고 오로지 그래픽카드 로드율만 보고 하셔야됩니다. 95% 이상만 올라가지않는 한도내에서 제한하시는게 좋습니다. 게임에 따라 다 다르겠죠
@@user-ek4vp2kh6b 온라인 게임에 유저수가 한화면에 우르르 넘치는 게임들은 프레임 유지가 안되는게 정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oasis26588 күн бұрын
와 대박!!!! 정말 감사합니다!!!!!
@치킨-j4s8 күн бұрын
텍스쳐필터링-음성 LOD 아이어스는 제 컴퓨터엔 클램프로 설정되있는데 무슨 옵션으로 쓰는게 좋나요?
@스톰튜브7 күн бұрын
그거 그대로 쓰셔도 어차피 달라지는게 없어서 냅두셔도 됩니다. 정말 특수한 상황에서만 건드려보는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치킨-j4s7 күн бұрын
@@스톰튜브 감사함다
@endlessdolphin8 күн бұрын
QoS 패킷 스케줄러 예약 대역폭 제한에서 0으로 설정하면 휴대폰이나 다른 기기 사용시에 느려지나요? 기존에는 스팀 게임같은거 다운로드시에 휴대폰이나 다른 기기들 인터넷이 확실히 느려졌는데 0으로 하면 더 느려지거나 다른 이상이 발생할까 해서요 혹은 0으로 설정했을 때 다른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스톰튜브7 күн бұрын
인터넷속도를 한쪽에서 최대로 끌어쓸때만 문제가 생깁니다. 500메가 인터넷인데 컴쪽에서 500을 다써서 다운로드중이면 다른 연결된 기기들 속도가 느리거나 버벅되는거죠. 게임 다운로드할때 제한을 좀 걸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