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님 며칠 전에 구입 했는데요 앞에 초릿대 블랙 인데요 제가 봤고 보니 흰색 입니다 조립 할때 너무 뻣뻣 하네요
@부왕-u7d5 күн бұрын
씨호크 청룡도 2.5대 초릿대가 부러졌는데 어디서 구매하나요??
@양진호-z1z5 күн бұрын
에어랑 차이를 알수있을까요?
@알바트로쓰15 күн бұрын
방어 개우럭 대구 전동 가능한가요 ?
@사냥엽사들에자유공간17 күн бұрын
저는 구형이 더 좋와요
@사냥엽사들에자유공간17 күн бұрын
대표님 오늘 매장에 직접 주문 했어요 선상에서 방어 삼치 써보겠습니다 선상에서 대삼치 하려고 하는데 어떤 낚시대 좋은 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보너스-k1s25 күн бұрын
성공해서 빨리 출시되면 좋겠습니다. 기다리고 있습니다.!
@FishingKOREA122 күн бұрын
약 2.8kg 강도로 블랭크 개발이 완료되었는데 국내 이소대 시장 상황이 그리 좋지 않아 보여 일단 보류중입니다. ^^;
@보너스-k1s22 күн бұрын
@FishingKOREA1 고가의 일산대 제외하고는..중저가로 사고싶어도 살만한 대가 없는 상황이다 보니...이짝퉁 저짝퉁 기웃기웃..사람들이 막 찾고 있는데..그래도 쓸만한게 없는 상황../ 좋은제품.이슈.홍보된 제품에 대한 이소시장 반등은 좀 다르지 않나요? 찌나 대.용품..순식간이던데..
@김동홍-v7j27 күн бұрын
릴시트가 일자로 된게 신형이고 투그립은 구형인가요932ms 요
@FishingKOREA122 күн бұрын
네. 제품명 앞에 P로 시작되는게 모두 신형입니다.
@강도리-i2jАй бұрын
1062mh 802h 잘쓰고있습니다
@FishingKOREA1Ай бұрын
말씀하신 스펙은 쇼어스타에 없습니다. 타사제품과 혼동하신 것은 아니신지. ^^;
@시럽-u3kАй бұрын
여기 댓글들 보면 무슨 지네가 가마대 만드는 장인이라도 되는줄 아네ㅋㅋ 나이 헛으로 먹은티가 너무 난다 낚시대 응원합니다 빨리 만나보고싶네요
@FishingKOREA1Ай бұрын
개발에 힘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orea.fishing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KOREA낚시 코낚입니다. 사장님하고 통화하고 댄디블랙 로드3대 이벤트로 제가 사비로 사서 구독자님과 나눔을 하고 사용해받는데 가성비로 로드가 최고라고 구독자님들이 많이 구매하더라구요 선상용으로 제가 지깅스타2를 사용해받는데 감도 너무 좋와요 그래서 많이 홍보하고있습니다 2025년 삼치 시즌에 파핑스타 다시한번 소개할 예정입니다. 좋은 로드 부담없이 구매할수있는 로드좀 많이 만들어주세요 여러 로드 사용해보고 이런점있스면 저런점 아이디어있스면 문의드리겠습니다
@FishingKOREA1Ай бұрын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
@배관욱-n7wАй бұрын
19:00 3번째 가이드? 돌아가있는데 170미터 ㄷㄷㄷ
@rkc705Ай бұрын
흘림로드도 만들어 주세요. 1) 4~5m 낚시대 길이 2) 7~12kg 구간별 파상강도 3) 무게, 줄꼬임 방지를 최소화하려 노력한 낚시대 한국에서 주로 대물사냥한다는 사람들이 쓰기 적합한 스펙입니다. 미터급 선상 부시리 방어, 빠가급참돔 및 일본원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낚시대 포지션입니다. 솔직히 이보다 오버한 20~30kg 파상강도의 스펙은 극한의 대부시리, 참치낚시 정도만 존재하는데 매니악하고 무게만 무거워지다보니 낚시대가 짧아져야합니다. 다이와 강철, 가마 아몽자 및 경량간 등이 해당포지션이고 이를 대체하는 한국모델은 삼다도대 입니다. 어택열기대 관심있게 보았습니다. 당사에서 위 사양을 만족한 낚시대는 썬더서프가 제일 좋아보입니다. 서프대는 흘림입장에서 바트가 많이 길어서 아쉽습니다. 바트대 길이를 흘림용으로 줄이고 가마가츠와 비슷한 파상강도를 가지며 무게는 +50g이내로 가져가면 충분히 삼다도대를 대체할 수 있는 경쟁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FishingKOREA1Ай бұрын
말씀하신 부시리도 잡은걸로 유명한 그 낚시대는 이미 분석하여 내년에 360 390 420 450 4가지가 흑산도라는 이름으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그런류의 낚시대는 강도가 약해서 드랙을 잘 조정하고 재수좋게 부시리를 잡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요즘 부시리는 흘림보다는 십여키로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장비 사용하는 지깅이나 파핑이 더 맞는 낚시방법이라 생각됩니다. 흑산도 로드는 카고나 민어원투쪽으로 어필할 계획입니다.
혹시 동일 모델 다른 길이 스펙도 출시 예정일까요?? 구매하려다가 더 짧은 길이 나오면 후회할거 같아서 망설여지네요 ㅠㅠ
@FishingKOREA1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662L보다 짧은 낚시대 판매 계획은 없습니다.
@아자프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1002mh 고민중인데 서프루어도 하고 뜬방에서도 하고 다양하게 할려고 하는데 mh 괜찮을까요? ㅠㅠ m을 사야 할지 mh를 사야 할 지 고민입니다. 마음은 mh 쪽으로 더 가긴 합니다.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루어 무게는 30~80 정도 던질 거 같습니다.)
@FishingKOREA12 ай бұрын
네. 80g까지 던지고 다양하게 사용하시려면 m보다는 mh 가 낫겠습니다. 그런데 mh는 100g까지도 가능합니다
@good2pac2 ай бұрын
중국 카피제품에 가성비 좋다고 소비자들이 사고 국내 조구사들도 원천기술없이 가격만 높고 페업하는 악순환이고 흉기애들이 벤비아믹스 재미보면서 많이 올라오듯 나중에 중국도 기술이 어느정도 올라오면 그떄 되면 이미 늦어서 중국에 끌려당길것 같음 안타깝다
@FishingKOREA12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당사는 좋은 기술을 가진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어 기술적으로는 문제 없는데 기존 유통 방식으로는 가격 경쟁이 안되어 결과가 뻔할 것 같아 고민중입니다.
@누리-d9m2 ай бұрын
로드는 언제즘 출시가될까..궁금해지는군요
@FishingKOREA12 ай бұрын
블랭크 개발은 거의 가마카츠 수준으로 완료되었습니다. 당사 출시 준비하는 제품들이 많다보니 디자인 순서에서 많이 밀려있고 경쟁력있는 유통방법과 판매가격을 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들었을때 무게감도 같은지요.? 흔히들 모멘트라 애기하는 무게중심.... 요즘 가마대들 전체자중이 엄청 늘었지만 모멘트가 좋아 앞쏠림이 적다 그래서 무게는 늘엇지만 피로도는 많지않다. 이게 기술력이다...... 개인적으로 강도 때문에 무게는 늘었지만 벨런스가 좋아서 결국 장시간 낚시해도 피곤하지 않다. 는 아니라고 봅니다 가벼우면서 강도도 뒷받침 되어야 탄성은 말할것도 없고 그게 진짜 좋은 낚시대라 생각합니다. 어떤 낚시대가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기다려 보겠습니다
@누리-d9m2 ай бұрын
@@user-hidden 저도 무거우면 모멘트 할애비가와도 무겁다가 맞다 생각하는 1인입니다 ㅎ
@룰루랄라영범2 ай бұрын
5년전 340에어매트타입 구입해서 잘쓰고 있읍니다.
@FishingKOREA12 ай бұрын
에어매트 타입은 한 여름철 사용만 주의하시면 오래 쓰실 수 있습니다. 사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