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mv8ue9zj3z
@user-mv8ue9zj3z 6 күн бұрын
잘 배우고갑니다 현장에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user-sv7or8wq4p
@user-sv7or8wq4p 19 күн бұрын
굿입니다요
@Jamescjk
@Jamescjk 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p8ck8br4z
@user-jp8ck8br4z 25 күн бұрын
대박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주아주 이해하기 쉽습니다.
@user-le1mt2jl4h
@user-le1mt2jl4h Ай бұрын
선배님 정류기 배터리점검시 배터리 차단기 on상태에서 (활선상태) 측정이 되나요?
@uuytnh
@uuytnh Ай бұрын
아무것도 연결안된MC R상에 테스터기 빨간색봉,S상에 테스터기 흑색봉 찍으니 저항값이 안나오고 OF뜨던데 선과 부하연결이 안되서 그런건가요? Rst 아래 전원연결부위는 저항값 나오던데 원리를 모르겠습니다..
@hyunjoolee6468
@hyunjoolee6468 Ай бұрын
좁은 공간에서 나사를 조이고 풀고 하다가 드라이버나 손이 주변에 닿을때 감전이나 쇼트가 생기지 않을까 염려되는데 괜찮은걸까요?
@user-nv1zi8op1f
@user-nv1zi8op1f 2 ай бұрын
😊
@user-fj4uh5hl8m
@user-fj4uh5hl8m 2 ай бұрын
전력계통에 누전 처리 어케 하나요
@user-bh7mu5gp5l
@user-bh7mu5gp5l 2 ай бұрын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user-qc3lk1is9v
@user-qc3lk1is9v 3 ай бұрын
결선은 다 끝났는데...모터 방향은 맞춰지는건가요? 방향이 반대로 되는 경우도 있나요?
@vineyard2704
@vineyard2704 3 ай бұрын
good
@rainmaker6287
@rainmaker6287 3 ай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근데 aux relay 에 dc110이 아닌 dc 0.5/2.0a라고 표기되었있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다른 유튜브영상이나 포털등에 찾아봤는데 못 찾겠어서 혹 알고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tu7pn7rs6t
@user-tu7pn7rs6t 3 ай бұрын
계전기 근처에 보면 MC들이 계전기수만큼 있을거에요 계전기가 MC를 붙이고 그 MC가 vcb나 acb를 동작시키거든요 그 mc의 조자전원을 보시면 되고 보통 정류기반이 있으면 그 정류기반출력에 맞게 설비를 갖춰뒀을것이고 CTD를 이용한 설비이면 CTD출력전압에 맞춰서 설비를 구성했을것입니다
@user-tu7pn7rs6t
@user-tu7pn7rs6t 3 ай бұрын
DC 0.5/2.0A 는 접점용량이 아닐까요 0.5에서 2A 의 전류를 흘려 기동시켜도 손상되지않는 접점을 가지고 있다 즉 dc110v 설비이면 110×0.5 ~ 110×2 55w ~ 220w MC 를 접속해서 쓰라는 의미일것 같습니다
@rainmaker6287
@rainmaker6287 3 ай бұрын
@@user-tu7pn7rs6t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jaywin9312
@jaywin9312 3 ай бұрын
잔잔하게 배경음악 깔아두는거 좀 안하시는게 낫지 싶은데요.
@user-kq8cq5dr6g
@user-kq8cq5dr6g 3 ай бұрын
R형은 해당이 안되나요?
@user-bs1mz4dq9d
@user-bs1mz4dq9d 3 ай бұрын
설명 중 y를 모으는 방법 말고 다른 방법도 있습니까?
@user-cr8wb6in3y
@user-cr8wb6in3y 4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체크 방법입니다. 실제 저의 아파트 감지기 불량도 확인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q2di8zm1k
@user-qq2di8zm1k 4 ай бұрын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user-tz8pv7sd2h
@user-tz8pv7sd2h 4 ай бұрын
최근 대기업 현장에서는 활선점검측정이 불가능한 곳이 종종 생겨서 애로사항이 많네요 .. ㅎㅎ
@user-tu7pn7rs6t
@user-tu7pn7rs6t 4 ай бұрын
비가 계속되네요 안전작업하세요
@user-wp7um1ov1f
@user-wp7um1ov1f 4 ай бұрын
영상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p7um1ov1f
@user-wp7um1ov1f 4 ай бұрын
전위차에 대한 개념을 알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MC가 ON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다른 상을 측정하였을 때는 전위차에 의해서 테스터기에서 전압이 측정이 되는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하지만 같은 상을 측정하였을 때 전압이 측정 이 된다면 MC에 접점이 손상이 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알수있는 방법이지요. 다른 유튜브 영상에서는 선생님 처럼 쉅게 설명을 안하고 넘어가는데 초보자 입장에서 설명을 해주시니 좋네요. 전압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알고 있었는데 아날로그 테스터기를 이용한 저항 측정법은 선생님의 영상을 통해 저도 처음 배웠습니다. 좋은 교육영상 감사합니다.
@user-vx2mw1nv7l
@user-vx2mw1nv7l 4 ай бұрын
대전류의 개폐를 반복하게되는 MC는 필연적으로 아크로 인한 접점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단락이나 지락사고 발생시 MCCB가 아닌 MC가 차단을 하게된다면 더더욱 MC 고장의 확률은 커지죠.
@user-wu1ht9bx8t
@user-wu1ht9bx8t 4 ай бұрын
ㅇㅇ
@PremiumJun
@PremiumJun 4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PVICOSTan
@PVICOSTan 4 ай бұрын
전기기사만 취득하고 실전은 아무것도 모르는상태라 실무경험 전에 이것저것 자료조사중인데 좋은 영상 잘보고갑니다
@user-mx8hs1lg5t
@user-mx8hs1lg5t 4 ай бұрын
디딤돌공장님! 매번 잘보고있습니다 그때마다 고맙단맘 올라오는데~해서 오늘은 인사합니다.좋은 영상 계속 잘보겠습니다.
@user-gb7sx9rc8k
@user-gb7sx9rc8k 4 ай бұрын
저항성 누설전류계를 이용해서 평소에 점검해야 할듯한데요
@user-fn8pw1dc5k
@user-fn8pw1dc5k 5 ай бұрын
5:42 선생님 혹시 Y기동 설명에서 645로 들어갈때랑 456으로 들어갈때 상회전이 안바뀌나요? 차단기 2차측에서 3선중 2선 위치 바꿔서 상회전 반대 시키는거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user-hn9jg8uc7v
@user-hn9jg8uc7v 5 ай бұрын
이해가 잘 되는 영상입니다. 고맙습니다.
@hyosungha
@hyosungha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uo4vm2tr3w
@user-uo4vm2tr3w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COMPRESS STOP 모터가 멈추면 OVER Load Trip이 됩니다. EOCR의 종류는 영상과 같은 브랜드의 3DE 로 디지털 표시가 되는 모델입니다. 모터가 멈추면 EOCR TRIP이 됩니다. 파라미터 조정값이 있나요? 그것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Littlewings_P
@Littlewings_P 6 ай бұрын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자꾸 차단기가 트립되거나 열동계전기에서 오버로드가 걸려서 메거테스트를 했봤는데 모터가 붙은걸로 나옵니다. 측정은 단자대의 모터측 3선을 분리하여 했습니다. 신기한건 혹시나 해서 MC와 계전기를 갈았는데 이후 정상적으로 작동중입니다. 모터측 코일의 절연이 0인데 트립이 안되고 모터가 작동 하는것이 가능한가요?? 모터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서 그러는데 권선이 파괴되어도 작동자체는 되는것인지 궁금하고 그렇다해도 절연이 0인데 차단기가 어떻게 안떨어지는것인지 아직도 이해가 안되고 있습니다.
@Mr-xj6tg
@Mr-xj6tg 6 ай бұрын
@user-rb3nq9rl8g
@user-rb3nq9rl8g 6 ай бұрын
MC불량은 대부분 접점이 달아서 붙지 안는게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user-ru7gp6sk4z
@user-ru7gp6sk4z 6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인버터 교체후, 부하가 걸리면 회전 속도가 뚝,떨어지는 원인이 무엇입니까.
@user-lo7if2qq2b
@user-lo7if2qq2b 6 ай бұрын
귀하는 전생에 나라를 구하신 영웅이십니다. 건투를 빕니다.
@user-yt2ql5lf9k
@user-yt2ql5lf9k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유용하고 도움되는 정보였습니다!
@yoonkor3561
@yoonkor3561 7 ай бұрын
정말 좋아요
@rainmaker6287
@rainmaker6287 7 ай бұрын
내부저항측정기 어디제품건지 알수있을까요??
@user-tu7pn7rs6t
@user-tu7pn7rs6t 7 ай бұрын
숏츠가 아닌 자세히 밧데리 유지관리를 소개한 영상이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nqioeoNsfLV0psk 이 영상인데요 거기 고정댓글을 참조해 주세요 재생목록 "밧데리유지관리"로 보시면 해당 영상 2개를 보실수 있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rainmaker6287
@rainmaker6287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j2uf3op3k
@user-rj2uf3op3k 7 ай бұрын
실무에 짱입니다 ..
@user-os1lh1fj9s
@user-os1lh1fj9s 7 ай бұрын
몰랐던 정보..였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 합니다^^
@user-by1ug9cy9w
@user-by1ug9cy9w 8 ай бұрын
이해했습니다
@sdfa6248
@sdfa6248 8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banpo-express
@banpo-express 8 ай бұрын
혼자 감지기 분리해서 단자 전압 측정해도 됩니다. 17v 나오면 그 감지기는 정상이고 21v 나오면 그게 불량이죠. 뭐...두 세개 동시 불량인 경우도 있으니 응용하시면 되구요...감지기 분리해도 전압변화 없으면 천장감지기 베이스에 달려있는 선로까지 하나씩 분리하다보면 나오는 경우도 은근히 많습니다. (분리한 선 이어 주시구요) 선로 꽂는 단자가 부식되는 경우도 많거든요.
@user-pz2rz2eu9x
@user-pz2rz2eu9x 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디딤돌 공장장님 요즘 많이 바쁘신가요 언제 시간 되면서 소프트 스타터로 정역 운전 설명 부탁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번창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