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한가지만 드리겠습니다. 고압측과 저압측 선간전압 비교시 Vac가 될때가 있고 Vca가 될때가 있는데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soyso248716 күн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철인28호-j1u20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너무어렵네요.... 이정도는 풀어야지 기술사 수준인거지요???ㄷㄷㄷ
@still37824 күн бұрын
5:37 2파이r x l은 원기둥의 부피도 아니고 겉넓이도 아닌데 어떤 식인가요?
@일렉트로닉쇼크사Ай бұрын
Pu법 중 3번 항목이 이해가 안갑니당
@Maverick12341Ай бұрын
뉴턴[N]=중량(질량*중력가속도) 1kgf는 질량1kg의 물체가 지구중력에서 받는힘을 의미 1kgf=9.8[N]
@이대로생각Ай бұрын
정말 잘보고 갑니다.고맙습니다.
@찌리릿-g8nАй бұрын
명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
@최훈희-x6f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해요.😂
@jhlee77m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전기통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배달통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전기통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제작 수고 하셨습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배달통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미니밈-j2r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계자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야 전기자권선 a, b, c 상이 시계방향(상회전방향)으로 되는거 아닌지요?
@cemtec8875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들었던 질량에 관한 설명중에서 제일 이해가 잘됩니다. 한가지 의문스러운 건 인간의 질량은 지구에서나 화성에서나 달에서나 항상 같다고 설명이 나오는데, 동일 인물이라도 살이 빠지거나 찔 수 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질량이 달라져야 하는 게 아닌가요? 하나만 더 질문을 하자면 질량은 그 물질이 가벼운가 무거운가를 나타내는 개념인가요? 아니면 그 물질의 부피를 봐서 양이 많다 없다를 나타내는 개념인가요? 정 안되면 이 두가지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고 이해를 해도 상관없나요? 보통은 물질의 양이 질량이라고 하는데 이건 약간 어딘가 모자르고 어정쩡한 설명 같아서요
@peace36562 ай бұрын
수업에서 궁금증이 있어 남깁니다. 지상전류(고장전류)의 차단경우 아크가 소멸되는 시점(아크전압 0인경우)에 재기전압(재발호)이 나타나고 진상전류의 차단경우 선로에 충전전압으로 인해 1/2cycle후에 재기전압(재점호)가 나타나며 그 크기는 3E,5E로 나타나며 재점호의 경우는 극간절연이 파괴되어 나타나므로 같은 시점에 아크전류와 아크전압이 재점호전압(재기전압)과 별도로 생성된다고 생각하면 되는지요? 다시 말하면 진상전류의 경우 재기전압은 지상전류시(재발호, 아크전압소멸)과 달리 재점호이며 아크전압이 수반된다고 이해하면 되는지요? 제가 맞게 이해한거라면 이때 같은 시점에 나타날 아크전압은 얼마의 크기로 어떻게 나타날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jt8543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안부장-d3s2 ай бұрын
여기서 임계저항이란 동기기에서는 어떤 걸까요? 동기임피던스가 전기자 저항보다 커지는 저항일까요??
@sktt1faker-ib6uc2 ай бұрын
7:45
@yeohoonyoon-gp8sn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rco-Rain2 ай бұрын
전기장의 세기를 적분해서 전기력선의 개수를 구할 때 벡터 내적의 적분, 전기장벡터와 미소면적 벡터,이므로 면적은 항상 전기력선과 수직이 상태를 가정해야 하는건가요?
@김동환-j8b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저것이것-v6m3 ай бұрын
양질의 내용을 가공&무료로 제공해주심에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습니다..기술사공부하는데 너무많은 도움되고있습니다. 지금까지 만나왔던 전문가(박사, 기술사, 교수)의 느낌이 나십니다.
@구구-k7w3 ай бұрын
산업기사 공부하다가 평행판 사이의 전계가 왜 저렇게 나오는지 이해가 잘 안되었는데 덕분에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밥용이4 ай бұрын
설명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서 기쁘네요^^
@동그람4 ай бұрын
선생님 어려운 부분인데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아래분 처럼 저도 계자상실 계전기 설명에 대해서 궁금해져서 질문드리는데.. 계자상실 계전기에서 off set을 1/2Xd로 두는 이유를 아실까요? 최소 동기 임피던스라서 그런거 같은데 이 값이 왜 최소가 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cyl71994 ай бұрын
기술사 시험은안보시나요?
@남병기-p9w4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xwvbnme4 ай бұрын
mmHg를 뭐라고 읽어야 하나요? 예를 들어 cm를 센티미터 라고 하는거 처럼 mmHg는 밀리미터 에이치 쥐 라고 읽어야 하나요?
@renone85044 ай бұрын
선대 행렬대각화 과정이 응용된 완벽한 예제풀이였습니다. bb
@동그람4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기는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전입강하때문에) 차단기a,b에 걸리지만 b점에서 일어나는 진행파 정반사때문에 극간전압이 차이나서 절연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게 맞을까요? slf는 1-2=1, llf=1.5-3=1.5 이기때문에 llf가 더 절연파괴 가능성이 높다.. 로 이해해도 될까요? 그리고 궁금한게 진행파가 좌,우로 진행된다고 하셨는데 우로 가는 진행파는 전원측으러부터 오던 진행파고 좌로 오는 진행파는 우리 계통 특성상 반대측의 전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행파고 그 크기는 양측의 전원이 반씩 나눠서 공급한다 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Dogwalwalwal5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코로나 임계전압 구할때.. Emax 단위는 [V/m]이고 공기파열극한전압은 [kv/cm]인데... 그냥 21.1을 써도 되나요?? 이 부분에서 막힙니다.
@youngkyunful5 ай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네요. 궁금한 점이 있는데 이 영상에서 설명하신 각도들이 전기각인가요 기계각인가요? 포티어 벡터도에 보면 I와 B는 전기적 동위상으로, B와 유기전력 e는 전기적으로 e가 90도 지연으로 이해했는데 여기서는 B와 유기전력 e가 동위상, I와 기자력B가 90도 늦게 되어있어서서요
@암파땡앤유5 ай бұрын
전류 기준값 구할 때 루트3으로 나눠줘야하지 않나요?
@Dogwalwalwal5 ай бұрын
후속강의 부탁드려요~~
@jyj7110295 ай бұрын
유도식 전슈님 덕분에 이해하고 갑니다.
@jyj7110295 ай бұрын
이해가 잘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jyj711029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yj7110295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jyj7110295 ай бұрын
잘 보고있습니다.
@jyj711029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starworksco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태양-l8w5i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세해서 좋아요
@S-MKim5 ай бұрын
강의 참 좋습니다. 누가 이런 세부사항까지 알고 있을까 싶습니다.
@박성호-f3t8q5 ай бұрын
강추 합니다 저처럼 60대
@MotionMedia-bb4hc5 ай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전기슈타인님 영상자속은 상이 없기 때문에 9:33초에 우측그래프에 나오는 것처럼 정현파가 될 수 없지 않나요?
@기만민-x1y6 ай бұрын
슈타인님 질문있습니다. 1) 해당 영상을 주욱 따라가면서 이해를 잘 해봤는데 마지막에 드는 생각이 '근데 결국 노란 In이 됐든 핑크색 In이 됐든 중성점 접지를 하지 않은거니까 실제로 흐를일이 애초에 없는거 아닌가?' 였습니다. 다음 영상 도입부에 해당부분을 다시 한번 짚어주시는데 중성점이 처음에 접지되어있는 상황을 가정한 후 중성점이 0일때 전류(노란 In), 중성점에 잔류전압이 발생했을때 전류(핑크색 In)가 서로 상쇄돼서 Open인것과 같다고 설명해주시는데 이것도 이해가 잘 안되는것이 중성점이 접지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하면 중성점은 대지와 같은 0V이니 핑크색 In은 발생할 수 없는거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구요.. 2) 중성점 잔류전압이 생기면 결국 평형이던 기전력이 불평형 상태로 보내 지는거네요? 3) 중성점 잔류전압이란 개념이 직접접지 계통에선 사용하지 않는 개념인거지요?
@기만민-x1y6 ай бұрын
송길영 교수의 송배전공학에서 잔류전압의 정의를 보통의 운전 상태에서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을 경우' 중성점에 나타나게 될 전위를 잔류 전압이다 라고 하는데 왜 이렇게 정의 한걸까요..? 중성점 잔류전압은 해당 영상처럼 소호리액터 접지시에도 나타나는데 말이죠..?
@기만민-x1y6 ай бұрын
슈타인님 질문 있습니다. 송길영 교수님의 저서 송배전공학 책에 실제의 선로에 있어서는 각 선의 정전 용량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중성점은 다소의 전위를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중성점을 접지하면 보통의 운전 상태에서도 다소간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문구를 보면 정전 용량의 차이에 의해 중성점에 잔류 전압이 발생하고 그 잔류 전압에 의해 접지선을 타고 전류가 흐른다로 보이는데.. 슈타인님의 영상을 보았을땐 대지정전용량의 차이로 인해 충전전류의 합이 0이되지 않아 그 전류가 접지선을 타고 흐르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그리고 전 슈타인님의 설명이 맞는거 같은데 교재의 문구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