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점을 짚어주셨네요 ㅎㅎ - 요구사항 문서화 - 입니다. 뒷말 앞말 니말 내말 안나오게 하는 최후의 보루입니다. 반드시 요구사항 문서화해서 체크리스트 작성하세요. 안그러면 속된말로 ㅈ됩니다 ㅎㅎ
@김병수-p2g28 күн бұрын
적성에 맞는 사람은 프로그램 짜는 것을 아주 재미있어 합니다. 재미없고 힘들기만 하다면 버티기 힘든 직업이 아닐까 합니다. 너무 빨리 새로운 기술들이 나옵니다. 평생을 공부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공부하는 것을 즐기지 못하면 어려운 직업입니다.
@seungeun-f3fАй бұрын
포장, 순종, 이력서
@손예진-g9wАй бұрын
오 포기할게여
@on_marsАй бұрын
세상에,엄버지를 상전하다니..🎉🎉🎉
@unlimited-parkАй бұрын
어차피 똑같은 직장인 아님?ㅋㅋ
@finance-coderАй бұрын
도움 정말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on_marsАй бұрын
인강으로 코딩 부트캠프하면서 컴싸 전공서적들 보다가 개멘붕온 인간인데요.저는 반반입니다.개인적으로 코딩짜고,수학문제푸는거 해내는 것에 쾌감도 있지만 한편으론 천재가 아니다보니 안 풀리면 돌빡이라 자책해서 힘들기도 했어요.깊이있게 들어가려면 펀더멘털인 운영체제,아키텍처,자료구조 및 수학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요.결국 편입합니다.10년 묻었다 생각하고 컴싸 들이파본후 되면 쭉 가고 아니면 과감하게 때려치우려구요.앞으로 테크생태계는 더 중요해질텐데 그걸 알고 살아가는 것과 모르고 지내는건 아주 큰 차이가 있을거라 생각해서 추후 포기하더라도 시간낭비는 아니지 싶습니다.
@ililiililililiiilАй бұрын
몽몽이는몽몽님 유튜브 계정삭제하셨나여ㅜ
@디스커버리-e4qАй бұрын
그니까요... 검색해도 안나와요ㅜㅜ
@SanaghatnavaАй бұрын
무ㅜ야.. 진짜 없어
@dew-m6oАй бұрын
그런가봐요...갑자기 없어졌어요ㅠ
@lijlijlil1898Ай бұрын
대학생인데 2주택인거보니 전세가율 높은 저가 소형 주택에 갭투자 하신건가요? 혹시 순자산은 어떻게 되시나요?
@hoon-f1o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어디 어플 탈퇴 좀 하고 싶은데 어플에선 눌러도 반응 없어서 고객센터 연결했는데도 탈퇴를 안해주시네요. 개인정보 수집 하시는건가요? 아님 직원분들 일을 안 하시는건지 확인 좀 해주시겠습니까?
@khk86362 ай бұрын
현업에서 DBA, 튜너 다 하는 입장에서 지금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보시는건 상당히 비추합니다. 일단 새로쓴은 그렇다 쳐도 캡쳐본에서 나온 2권은 나온지 20년은 더 된 책이고 RBO 기반으로 쓴 책입니다. 차라리 오라클 성능고도화나 친절한 SQL 보세요. 현업에서 20년도 넘은 이론 가지고 튜닝한다고 하는 분들 보면 상당히 답답합니다. 그리고 이건 이해에 대한 문제이긴 한데, 대용량은 키워드를 통한 말이 너무 많아요. 좌변을 가공하지마라, 인덱스 손익분기점이 전체의 몇% 이면 풀스캔이 낫다, 등등. 다 상황에 따라 다른 말 입니다.(사실 이건 책 제대로 보면 이런 식으로 말하는건 아니긴 함) 실무에서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보라는 사람들 중에 튜닝 잘하는 사람 한명도 못 봤습니다. 솔직히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보라는 분들 저는 튜너 취급 안 합니다.
@user-kl7sh7nw4m2 ай бұрын
서버를 외주를 맏겨? 너무 신뢰도가 떨어지지 않나? 유지보수도 계속 해야 할텐데
@isc8732 ай бұрын
얉고넓게풀스택
@minecraftfreedownIoad2 ай бұрын
누워서 깃허브를 봐..?
@Fci67z2 ай бұрын
이미 붙었는데 이거 봄
@yun06032 ай бұрын
통제욕구가 강하다면 해보시는걸 추천
@blue-pu3ro2 ай бұрын
책 구매하고 싶어요!
@GGGG00002 ай бұрын
코틀린은 버전이 올라갈수록 자바처럼 되어가고, 자바는 코틀린처럼 되어가서 이젠 그다지 큰 장점이 없는 거 같음.
@황동먹태2 ай бұрын
이거보기전에 컴공왔는데 좆된거같아요
@kakaotalk8742 ай бұрын
윈터루드좌
@까르륵-r8f3 ай бұрын
옵티마이저 강의 어디서 들을슈있는지 알고싶어요 ㅠㅠ 책은 어려울것같아서
@ssr95833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스카이님이랑 제리님이 한 컷에 나와 너무 반갑네요! 중3때부터 봤는데 벌써 대학교 2학년입니다 제 꿈을 키워주셔서 감사드려요 항상 설렘과 불안으로 가득한 컴공생활이지만 컴공선배를 만나 길과 마음을 다잡습니닷! 취준이나 대학생이 어떻게 시간관리하면 좋은지(코테나 학업의 비율 등등)에 관한게 궁금하긴 해요 앞으로도 올라오는 컨텐츠 꾸준히 좋아요 누르겠습니다 ㅎㅎ
@최인선-u1l3 ай бұрын
설명이 완전 깔끔하고 좋아요... ❤
@johnh17863 ай бұрын
이분 혀 누가 압수했나요 돌려주세요
@cubaW3 ай бұрын
이렇게 절대 하면 안됩니다.... 일단 원하는 데이터 뽑는거부터 하고, 복잡한 쿼리나 통계형 쿼리 작성하다보면 분명 쿼리가 느린경우가 생김. 이때 자연스럽게 쿼리튜닝하면서 공부해야하는거지 절대 저렇게 하면 안됩니다
@ehdhxhhxkfff2 ай бұрын
지금 당장 개발자라잖아요.. 개발자중에 쿼리문 못쓰는 사람이 어딨나요
@TheSuccessfulLife11153 ай бұрын
진짜 깔끔한 발표입니다....
@JeongWooPark-iz3pb3 ай бұрын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책 사서 공부했는데 그 다음에는 어떻게 공부해야할까용? 그리고 캐글 공부는 어떻게 하나요
@Sookja_the_king3 ай бұрын
엄
@jonathanparker58803 ай бұрын
우아형???? 배민??? 욕나오네
@푸하하-j4l3 ай бұрын
수학적 지식이 필요한 부분만 공부해도 괜찮을까요....?
@JinKeeHong-ev2lh3 ай бұрын
솔직히 위에 다른것들은 웬만하면 기술적인 부분이라서 나중에 결국엔 공부하신다면 알게되는 것이지만 진짜 요구사항 분석 << 이것만큼은 황금입니다. 이거 꼭 제대로 제발 하셔야해요...
@llkang544 ай бұрын
컴공 1학년 2학기 시작하면 안보이는 애들 많음 반수 하러.감// 손 놓은애들 눈에 보임. 재수 삼수생많음. . 물리 미적응용까지..그날그날 과제 엄청남. 대학은 정신빠짝 차리지않음 무슨 과든 도태됨. 취업이 안됨
@Star-sc7en4 ай бұрын
고정댓이 업서용..
@지니-p4p5c4 ай бұрын
하뉴님 남편 반갑습니다
@마이너스-h1q2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jskim65694 ай бұрын
초반엔 인내와 끈기.. 중반엔 아키텍쳐의 이해... 마지막엔 수학과 물리학의 이해... 인도인들이 개발에 강한 이유가 기초과학이 탄탄하다
@jlee13825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인정받는거랑 회사에서 인정받는 것은 전혀 다르다. 첫 입사때 고졸 선배가 업무 교육하는데 class를 전혀 모르는데 그걸 사용하는걸 보고 놀랐다. 심지어 그 선배는 팀내에서 에이스였다. 알고 보니까 그 선배는 이론은 몰라도 실무적으론 코딩을 본능적으로 하는 능력을 가졌다. 그때 느낀건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은 회사에서 거의 안쓴다. 중견급 이상 회사에선 이미 회사내엔 모든 일에 대한 매뉴얼이 쌓여있고 단순히 그걸 잘 활용만 하면된다. 물론 순수 it 기업을 가면 다르겠지만 우리나라 산업구조상 이글을 읽고 있는 대다수의 분들은 비it 직군의 개발자로 일하고 나와 비슷한 현실을 느끼게 될것이다. 그리고 반도체 회사에서 다양한 전공의 사람들과 협업하면서 느낀점은 공학 학문중에 컴공이 제일 쉬운 학문인건 팩트이다. 진짜 기구,전장 도면 설계하는 기계, 전자, 전기 공학과 애들 보면 코딩이 참 쉬워 보인다. 쉬우니까 다른 전공하는 분들이 쉽게 넘어오는 거다! 그러므로 그만큼 merit는 없다고 본다
@user-cv8vr8vw4z5 ай бұрын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기존 비트단위의 컴퓨터는 보안이 다 취약해진다는데 보안전문가는 이 부분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qnwkehlwk0005 ай бұрын
1. 외워야 된다는거 100% 맞는 이야기 2. 외워야된다는거에서 이미 코테가 실무능력과 괴리가많고 시간낭비라는 슬픈진실을 드러내는 사실 3. 실제 실무에서 코테에서 익힌 기술 90% 이상 쓰는일없음. 그런데 코테 숙련되는데 투자하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됨 4.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많은 이력서를 검토해야할 경우 걸러내기용으로는 용이함 결론,, 필요악 계륵임..
@김태우-m3x12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코테 공부 안할수도 없음 ㅋㅋ
@미남-e2qКүн бұрын
원래 코테 용도가 잘하는 사람을 뽑으려는게 아니라 걸러내는 작업이라 그럼
@유기농꿀치즈5 ай бұрын
ㄹㅇ 공감
@songjohn40995 ай бұрын
개발자는 결국 연차가 누적될수록 여러 기술들이 대한 지식과 이를기반으로한 어플리케이션 설계로 수렴됨
@KSN21485 ай бұрын
하뉴님 님편이 이분이시군요 ㅋㅋㅋㅋㅋ
@doirep45 ай бұрын
........ 개발자 그냥 별거 없어요, 몸이 녹을때까지 버티면서 그 언어와 환경에서 서핑하듯이 타고 다니면 어느새 전문가가 되어 있습니다. 그럴수밖에 없는게, 매일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게 나와있고, 언어나 플랫폼이 국내에서만 만들어지고 마치 삼류 판타지 소설 무공 처럼 유지되는 직업이 아니라서 서핑 타듯이 빨리 타고 다음 서핑때 까지 힘차게 내 달려야 하는 직업이라서요. 그럼 나중에 또 파도가 오고 그 파도 타게 되다보면 이전에 있던 파도 타던 습관이 좀 더해져서 또다른 서핑이 되긴 하죠. 그리고 사람들이 떠드는것에 대해서 그렇게 휩쓸리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아무리 좋은 수영복 입고 좋은 서핑보드를 탄다고 하더라도 본인이 못타면 말짱꽝인게 이쪽 세계인데, 어떻게 보면 은퇴하거나 꿀리기 싫어서 목도리 도마뱀처럼 부풀려 보이고 싶어서 그런걸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