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션숙 뚜렷한 사계절이 아니면 한대식물인 소나무는 정상적인 생육활동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겨울을 못자면 여름에 수세가 약합니다
@행복한걸이3 ай бұрын
강전지는 봄에 하는건가요? 보통 겨울에 전지를 많이 하지 않나요~? 이유가 궁금하네요^^
@entksrlf873 ай бұрын
@@행복한걸이 흔히들 전지는 겨울이 좋다지만 식물은 녹색의 엽록소가 많아야 광합성량이 많아 수세유지는 물론 생명의 근원이 됩니다.긴기간 특히 추운 겨울철은 얇은 여름이불로 겨울을 나는것과 같습니다. 겨울을 나는 동아(겨울눈)에 당류를 저장하여 빙점이 낮아져 동해를 방지하고 이른봄 그당류로서 신초가 자라는 에너지 원으로 사용됨을 생각한다면 겨울 강전은 위험한 일입니다. 봄철 강전지라해도 수세가 약한 소나무는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소나무는 T/R율 (수관부와 뿌리 양의 균형) 의 수관부 양의 부족으로 인해 고사 할수 있습니다.
@고션숙3 ай бұрын
수폭, 탑, 중간지 기초수형 배웁니다
@이상배-i9x3 ай бұрын
촛대형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 뿌리가 한줄기~~ 감사합니다 ^^
@고션숙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배웁니다
@고션숙3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안전산행 하세요
@휘바람-z1u3 ай бұрын
저는 변칙형이 멋있고 자연스러워서 좋습니다
@주동일-c4l3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보고 공부하고 복기해서 현장에서 쓰곤합니다. 나무의 생리를 먼저 공부하고 소나무의 수형을 익인후에 영상을 보면 이해도 빠르고 실력도 늘것입니다. 선생님 영상 항상 감사하고 농장견학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
@entksrlf873 ай бұрын
@@주동일-c4l 감사합니다!
@동네아저씨-j2g3 ай бұрын
뜨락님 소나무는 명품 입니다.🎉
@entksrlf873 ай бұрын
@@동네아저씨-j2g 고맙습니다!
@주동일-c4l3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말씀하신 흐르는 물이 되어야한다.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가슴에 깊이 남기겠습니다
@entksrlf873 ай бұрын
@@주동일-c4l 감사합니다!
@soj45353 ай бұрын
소나무 수형 감상 잘하고 갑니다. 전문소나무뜨락님의 설명이 가장 진정성 있고 신뢰가 갑니다.
@entksrlf87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ohwonhak87823 ай бұрын
감상과 공부 잘 했습니다. 목소리와 소나무가 일치되어 선과 공간을 느끼게 합니다. 밀씀에 힘이 있으나 과하지 않고 겸손과 매너 모두 일치 하심을 보면 행의 의미를 아시는 분인듯 하네요~~ 좋은 분을 알게 되이 늘 시청 하려 애 씁니다~~.
@entksrlf873 ай бұрын
@@ohwonhak8782 고맙습니다!
@고션숙3 ай бұрын
선과 공간은 하나다 배웁니다 선생님 홍천 입니다
@entksrlf873 ай бұрын
@@고션숙 선+공간=점(작품)
@고션숙4 ай бұрын
엽량을 최대한 많이 남겨야 하는건가요? 반송 품종은?
@고션숙4 ай бұрын
대단 하십니다 혼자 하는 방법 배웁니다
@고션숙4 ай бұрын
이해 했습니다
@고션숙4 ай бұрын
조형(특수목) 소나무는 수간의 얼굴이 들어나게 하고 측지도 간결해야 하며, 수고도 낮은게 맞는데, 정원수는 사방팔방으로 가지배치를 하고, 꼬깔 형태로 다듬는게 맞는거죠?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꼬깔 형태가 되어야 되는거죠?
@entksrlf874 ай бұрын
@@고션숙 틀린말씀은 아닌데 그렇다고 정답은 아닙니다. 중요한것은 소나무 수형의 완전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제채널"소나무 다듬기와 현장 실무이론" 을 꼭 이해하세요
@고션숙4 ай бұрын
눈송이 누워있는건 봤는데 직간으로 된건 처음 봅니다 공작단풍 처럼 다듬으면 되는것 같네요 이제 곧 겨울입니다 건강유의 하세요 선생님! 강원도 홍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