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만봐선 몰랏는데 직접해보니 전반부 날아가기전 시너지안에 모든 분신술을 박고 자원도 다 터는게 생각보다 잘 안 되네요..😢 어떻게 그렇게 다 넣을 수 있을까요?? 😂
@HanYuChe14 күн бұрын
전반부는 정말 빠듯하게 굴러갑니다. 닌기부터 해서 분신술 쿨도 지연없이 바로 진행되어야 하기때문에 계속해서 빌드를 다듬고 수정해야 합니다. 너무 무리하실 필요 없이, 분신술 스택을 1~2개 날려도 클리어에 지장 없으니 천천히 해보시면 될것 같아요
@춤추는콧수염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잘 깼습니다! 한유채님 아니였으면 JP오프너도 모르고 활용도 못했을텐데 늘 팁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HanYuChe14 күн бұрын
@ 1주클 축하드립니다!!
@euniq20015 күн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왜 닌자로만 가면 기둥을 4부터 주는걸까요 정말 알 수 없는 망겜입니다
@HanYuChe14 күн бұрын
@@euniq200 정말 망겜입니다
@춤추는콧수염1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말루옹15 күн бұрын
사랑해요
@N1Si_16 күн бұрын
학자가 왜 제가 아니죠?
@해인-h9i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오프닝 천지인쓰다가 당황했는데 따라해볼게요
@춤추는콧수염20 күн бұрын
너무 감사해요~~~~~
@SanHaKimNZАй бұрын
이번 닌자가 15.77 에서 16.25로 늘어남에 따라 최대한 백뢰총을 늦게 써야하는 점때문에 미치겠더군요. 그 점은 알렉산더로 해결을 하긴했습니다만... 익숙하지 않은건지... 닌자가 꽤 어려워진것같습니다.
@HanYuCheАй бұрын
황금 들어와서 JP오프너가 좀 더 고점을 높일 수 있다는 메리트가 생겨서 강탈과 백뢰총을 넣어야 하는 타이밍을 좀 더 빡빡하게 잡아야 하는데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백뢰총 지속시간이 약간 늘어난 덕분에 효월때와는 다르게 그래도 수월하게 오프너를 진행할 수 있다는건 희소식이네요
@jhc7982Ай бұрын
유채님 안녕하세요~ 황금때도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 질문이 있어서 여기에 조심스럽게 남겨봅니다! 혹시 황금 와서 던전 몰이 광딜때도 변경점이 있을까요? 딜싸는 외웠는데 던전갔을 때 몰이구간에서는 광딜 꿀팁이 있는지 궁금해서요 ㅠ_ㅠ!!!
@HanYuChe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92부터 속임수공격이 백뢰총으로 변경되면서 인술 2개를 풍둔과 토둔에 사용합니다. 탱 몰이 전까지는 피의비+팔괘무인살로 따라가면서 사용하시고 주차가 완료되면 풍둔, 이후 토둔을 깔며 백뢰총과 겁화멸각술, 잔영바람칼, 천지인 수화수 + 두꺼비 이렇게 사용합니다. (화둔은 인술 쿨이 돌아올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풍둔은 3타겟 이상 적용 되어야 수둔보다 이득이니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jhc7982Ай бұрын
@@HanYuChe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강탈은 네임드 전까지 아껴놓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강탈까지 써서 인술+딜에 투자하는게 좋을지 모르겠어요 ㅠ_ㅠ
@HanYuCheАй бұрын
@@jhc7982 첫 몰이때 강탈까지 써서 두꺼비 선인으로 강화 시켜서 광딜 치는걸 권장 드립니다. 7.1 패치에서는 강탈도 광역기로 변경되니까 미리 연습하신다는 셈으로 해보시죠
@jhc7982Ай бұрын
@@HanYuChe 헐 7.1때 변경점이 많군요!!! ㅠㅠㅠㅠㅠ 질문이 많았는데 모두 답해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다 해소되었어요 ^_^ 열심히 연습해볼게요!!
@N1Si_Ай бұрын
학자가 누군진몰라도 참 잘하는것같아요^^
@syj809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생명의 물 관련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물+_비기룰 함께 쓰려면 인법이 너무 오버되어버리는데 묶어쓰시는 편인가요 아니면 비기 따로 쓰고 물+육도윤회로 쓰시는 편인가요?
@HanYuChe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비기 먼저 사용하고 물+육도윤회를 쓰셔도 계수차이는 없으니 닌기 오버되지 않게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촴나-e7kАй бұрын
1분때의 버스트도 궁금했는데 이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번 조언에 따라 오프너 연습을 하고 있는데요 그러다가 궁금한점이 3글쿨은 강탈디벞 시간안에 월아 3번이 다들어가는데 4글쿨은 1틱차이로 안들어가더라구요 스킬 숫자는 같을텐데 왜 그런 차이가 생겼나 궁금해서요
@@촴나-e7k 오프너 소개 영상이나 지금 보셨을 영상은 전부 기시가 없는 2.12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텍스트상으로 말씀하시는 바로는 저도 어디가 문제일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네요... 혹시 영상을 찍어두신게 있다면 공유 주시면 한번 보고 피드백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촴나-e7kАй бұрын
@@HanYuChe 헉 직접 피드백이라니 감사합니다! 근데 좀 부끄러워서 /// 일단 연습 더해보겠습니다!
@흉폭한인절미Ай бұрын
@감감감감감감Ай бұрын
2분버스트에 잔영을 약탈구간에털고 3을 속공구간으로 넣는이유가 있나요?
@HanYuChe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잔영바람칼 스킬은 직접 타격이 아닌 소환수 타격으로 분류되는 이유로 실제 표기된 계수보다 데미지가 덜 들어갑니다. 실제 데미지 기댓값은 바람칼 스택이 적용된 칼날 선풍보다 낮으므로 잔영바람칼을 백뢰총 진입 전에 사용하였습니다.
@감감감감감감Ай бұрын
@@HanYuChe 잔영바람칼은(x0.92)552 칼날 선풍은 540으로 알고있는데 추가로 변경된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양질의 영상 감사드려요
@HanYuCheАй бұрын
@@감감감감감감 계수적인 부분에서 의문점을 가지는 부분 또한 이해하고 있습니다. 황금에 와서도 계산식이 변경되었다는 이야기는 들은적이 없어 따로 변경된 점은 없는것 같습니다. 더밸런스 닌자 JP오프너의 사이클 가이드에서도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간단한 내용만 명시하고 넘어가고 있습니다. Prioritize not putting Phantom Kamaitachi as the last GCD under Kunai, due to it preparing on the boss later due to being executed by the pet. 내용이 좀 알기 어려우나, 어느정도 유추해보면 칼날선풍대신 잔영바람칼을 사용하게 될 경우 소환수 타격 판정으로 인해 강탈과 백뢰총이 적용이 되지 않나... 라는 근거없는 뇌피셜로 추측만 해보고 있습니다. 저 또한 자세한 계산방법은 알지 못하는지라 일단은 사이클 가이드에 따르며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춤추는콧수염Ай бұрын
헉 이렇게 바로 올려주시다니ㅠㅠㅠ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춤추는콧수염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한섭도 7.0이되어 영식 연습할 겸 다시 찾아뵙게되었습니다! 늘 이런 알찬 영상 감사드립니다!
@HanYuChe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조만간 업데이트될 라이트헤비급 영웅편 힘내시길 바랍니다!
@춤추는콧수염Ай бұрын
@@HanYuChe 감사합니다! 선생님 혹시 질문해도 괜찮을까요?? 1. jp 오프너는 인술을 2개씩 꽉 채워둬야하나요?? (영상에서 거의 2개찰쯤 인술을 써서 여쭤봅니다!) 2. 돌아오는 2분대는 바람잔영칼을 써서 글쿨도는동안 뇌둔박고 속공박고 jp오프너대로 하면 될 것 같은데 바람잔영칼을 속공안에 넣을 시간이 안되는 구간은 바람잔영칼을 아무대나 넣는게 맞을까요? 마지막으로 혹시 jp오프너 영상을 한 6분? 정도 길게 친 영상같은게 있을까요..??😂
@HanYuCheАй бұрын
@@춤추는콧수염 1. 강탈과 백뢰총의 시간 안에 월영뇌수아를 3개를 넣어야 하는 것이 중요한 오프너입니다. 인술 관리를 잘 하시면 인술 총 3개를 사용 하실 수 있을겁니다. 2. 잔영바람칼은 매 백뢰총에 넣으시면 됩니다. 분신술을 쿨마다 돌렸다면 넣으실 수 있을겁니다. 3. 6분짜리 영상은 저도 찍어둔게 없어서 찍을 시간이 된다면 찍어보겠습니다.
@춤추는콧수염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euniq200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jp 오프너를 연습 중인 닌자입니다... 한섭에서 하는데도 마지막 월영뇌수아가 정말 아슬하게 들어가거나 둘 중에 하나만 묻거나 하는데 이런 경우 4GCD백뢰총으로 바꾸는 편이 좋을까요?ㅠㅠ
@HanYuChe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래도 JP오프너 자체가 강탈과 백뢰총 시간이 정말 아슬하게 되도록 돌아가는 오프너인지라 엄청 까다로운 편입니다. 강탈과 백뢰총이 들어가는 타이밍을 2위빙 타이밍에 한번 시도해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만약 그래도 힘드시다면 4GCD백뢰총으로 하셔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자신의 손에 맞는것이 더 중요하니까요.
@euniq200Ай бұрын
@@HanYuChe ㅠㅠ 답변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대로 해보고 정 안되면 오프너를 바꿔야겠네요...감사합니다!
@SS-yd5kr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한국서버에서 닌자를 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이번에 닌자 오프너, 4GCD오프너, 3GCD오프너, JP오프너 이렇게 3개 있는걸로 아는데 각각의 오프너가 채택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찾아봐도 자료가 영 안나오네요ㅠ
@HanYuChe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번에 게임톡 기사에서 나왔던 3가지 오프너를 보시고 궁금증이 생기신걸로 이해하고 답변 드리겠습니다. * 4GCD 백뢰총 오프너 - 제일 익숙한 오프너입니다. 황금 전과 다른점이라면 속임수공격에 해당하는 백뢰총을 1글쿨 늦게 쓰는것이며, 황금 이후에서 달라진점이라면 이후 2분 버스트에서 강탈 1글쿨을 늦춰서 사용해야하는 유의점만 있으면 제일 운영하기 편하실 오프너입니다. JP오프너에 비해 고점은 낮지만 현재 비교중인 3가지 오프너중에서는 무난한 오프너에 속합니다. * 3GCD 강탈 오프너 - 4GCD 백뢰총 오프너에 가깝지만 다른 시너지와 맞추기 편한 오프너입니다. 3가지 오프너중에서는 고점이 제일 낮지만, 이후 2분 버스트에서 강탈 정렬을 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해도 되는만큼 분신 쿨만 잘 관리하면 이후 전투에서 생각할 필요가 없는 편한 오프너입니다. * JP오프너 - 예전부터 이어저온 통상 오프너가 아닌 변형 오프너에 해당됩니다. 현재 나온 오프너중 제일 고점이 높은 오프너입니다. 이후 2분 버스트에서 강탈을 1글쿨을 늦추는건 4GCD백뢰총 오프너와 동일합니다. 고점이 높은 오프너인만큼 운영 난이도도 높은 편입니다. 본인과 공대 시너지 성향에 맞는 오프너를 골라 사용하셔도 됩니다. 보통은 4GCD 백뢰총 오프너나 JP오프너를 사용합니다.
@HanYuCheАй бұрын
+ 추가로 왜 이런 오프너 형식이 생겼냐고 여쭤보시는것 같아 첨언 드립니다. 현재 닌자 스킬 구조상 분신, 인술, 천지인을 파티 시너지 안에 효율적으로 넣을 수 있게 된 오프너가 상기 언급드린 3가지 오프너인점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 조건 안에 최대한 바리에이션을 만들어서 취사선택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해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SS-yd5krАй бұрын
@@HanYuChe 와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해가 됐어요 글섭 상위원 프프로그 뜯어보니 대부분 JP오프너를 사용하고 있네요ㅠㅠ 이전 오프너가 손에 익기도 했고 정렬이 잘 되어서 좋았는데... 덕분에 많이 배워갑니다!
@HanYuCheАй бұрын
@ 즐거운 황금 되시길 바랍니다!
@eueCat2 ай бұрын
오프너 시작이 다 수둔으로 시작하는 이유가 있나요? 인술스택 관리+대미지 때문일까요?
@HanYuChe2 ай бұрын
@@eueCat 안녕하세요. 오프너에 수둔으로 시작하는 이유는 백뢰총의 조건인 은신상태에서 전투에 진입하기 위해서 입니다. 현재 패치버전인 황금의유산 기준으로 전투상태에서 은신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인술은 풍둔과 수둔이며, 설계상 풍둔은 3명이상 타겟을 목표로 할때 이득인 인술인지라 오프너에서 전부 수둔으로 시작하는것 입니다.
@촴나-e7k2 ай бұрын
풍전 갱신은 스택 몇개남았을때하나요? 5개채우고 모두 다 쓴다음에하나요?아니면 2개정도 남았을때 갱신하나요?
@HanYuChe2 ай бұрын
@@촴나-e7k 풍전 갱신은 유동성있게 합니다. 버스트 혹은 다음 기믹에 따라 미리 갱신해두는게 좋을때도 있으며 혹은 이후 기믹 처리하면서도 여유가 있게 된다면 천천히 갱신해도 됩니다. 이미 아시고 계실것 같습니다만, 풍전 스택을 오버 하지 않는 선에서만 잘 관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촴나-e7k2 ай бұрын
@HanYuChe 헉 이렇게 빨리 답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또 궁금한게 있는데 이건 잘못알고 있을 수 있는데 첫 버스트때는 풍전이 충전이 안되어 있으니 다음 버스트때 스택 쌓은걸 써서 들어갈텐데 그러면 그때 딜이 더 들어갈 것 같다 생각했는데요! 그렇다면 탕약은 다음때 까는게 더 이득이 아닌가 의문이 듭니다!
@HanYuChe2 ай бұрын
@@촴나-e7k 물론 나쁜 생각은 아니나, 보통 클 타임안에 탕약을 몇번 사용을 할 수 있을지 계산을 해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러닝 타임동안 총 사용한 탕약 횟수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2분 타이밍때 하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촴나-e7k2 ай бұрын
@@HanYuChe 오 네네 그렇게 해볼게요! 아 마지막으로 딜싸가 이번에 기사나서 알려진게 유채님이 영상올리신 2개랑 +1개가 딜싸가 추가되서 3개가되었는데 이 세개를 다 굴려야하는건지 헷갈려서요 한가지를 고정적으로해도될까요? 아니면 파티원 딜싸랑 맞춰서 그때그때 바꾸는게 좋은가요??
@HanYuChe2 ай бұрын
@@촴나-e7k 3개까지는 외우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아직 익숙치 않으시다면 4글쿨 백뢰총 오프너도 나쁘지 않으며 JP오프너는 좀 더 익숙해지신 다음에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춤추는콧수염3 ай бұрын
덕분에 절바하에 이어서 절메가도 깨고 절렉도 도전할려합니다! 아직 공략만 공부 중인 단계인데 2페 동선을 어떻게 해야될지 정말 막막했는데 영상보면서 힘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anYuChe3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앞으로 황금까지 약 2달 남았는데 좀만 더 하시면 모든 절클을 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화이팅입니다!
@춤추는콧수염5 ай бұрын
딜싸라던가 동선을 참고할때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HanYuChe5 ай бұрын
@@춤추는콧수염 항상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춤추는콧수염5 ай бұрын
초사슬이론1에서 2분대(천지인 😂) 완벽하게 넣는 게 정말 멋져요! 얼레벌레 후반까진 갔지만 좀 더 잘하고 싶어서 전반 영상 계속해서 보고 있어요. 시점 영상 감사합니다!!
@HanYuChe5 ай бұрын
학자의 질풍노도계가 있다면 천지인 사용 후 더 원활하게 이동 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정 안되면 전력질주라도 켜는것을 추천드려요!
@춤추는콧수염5 ай бұрын
@@HanYuChe 앗 그런..!! 생각도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춤추는콧수염5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 찾고 있었어요~~ 넘 감사합니다!!
@ru_nel6 ай бұрын
팬이에요
@춤추는콧수염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질문드려도 괜찮을까요? 중간중간 토둔깔때 뇌둔단일딜이 토둔도트가 다 들어간것보다 쎈데 그럼 토둔인을 미리 맺고 토둔을 깔아두기보다 뇌둔인맺어놓고 몹이 돌아오자마자 뇌둔을 때리고 시작하는게 낫지않나요?? 토둔 까는게 뭐가 더 이득인지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ㅠ
@HanYuChe6 ай бұрын
@@춤추는콧수염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칠흑 절 컨텐츠까지는 뇌둔과 토둔의 계수는 동일합니다. 그렇지만 토둔은 실제로 처음 발동할때부터 틱이 발생하여 총 9틱이 전부 적용이 되기만 한다면 뇌둔보다는 살짝 이득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에 따라 이득을 볼 수 있는 여지가 몇가지 있습니다. 1. 토둔 9틱 전부 적용 2. 인술 발동시간 0.5초 가량 이득 (토둔은 미리 깔아두는게 가능하지만 뇌둔은 보스 팝업이 되어야 타격 가능) 절의 경우 딜타임과 운동회를 번갈아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0.5초의 경우에도 글쿨 1회를 타격할 수 있냐 없냐의 문제입니다. (기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솔직히 말씀드려서 효월 세기말에 들어선 지금은 그저 자기 만족인 방식인지라, 저는 뇌둔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춤추는콧수염6 ай бұрын
옛날 영상임에도 질문에 정말 상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정말 죄송합니다만 질문 조금만 더 드려도 될까요?? 1. 도트는 3초당한번으로 알고 있어서 토둔이 18초라 3초당 1번으로 6틱이라고 생각했는데 2초당 한번일까요?? 2. 넬+트윈타니아 동시에 잡아야될때 일부로 비슷하게 깍으실려고 단일딜이 더 쎄지만 뇌둔대신 화둔을 쓰신다거나 두꺼비를 쓰시는게 맞을까요?! 마지막으로 이런 시점+설명(자막) 영상을 처음 접했는데 정말 도움 많이됩니다! (견제 어디넣는게 좋다, 탕약지금먹어라, 이 기믹은 이런동선으로 가면 업타임식으로 할수있다 이런거 등등!,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 ❤
@HanYuChe6 ай бұрын
@@춤추는콧수염 질문은 언제나 환영이며 제가 아는 한 내에서 답변 드립니다. 1. 알고 계신대로 3초에 1번이 맞으며 일반적인 계산으로 6틱이 맞으나, 이게 실제로는 다릅니다. (방금 제가 쓴 댓글을 다시 보니 9틱이라고 써놨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6틱이 맞아요) 스쿠에니가 의도한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까지 깔리는 순간 (18초일때) 1틱이 한번 더 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미터기 같은것을 켜시고 나무인형에 토둔을 깔아보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고로 최종적으로 토둔은 풀 히트 기준으로 7틱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2. 2타겟의 이득인 부분의 경우 매 확장팩마다 인술 및 인법의 계수가 달라져 혼동이 오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효월 70절에서 2타겟이 이득인 경우는 화둔과 토둔입니다. (겁화멸각술x, 토둔의 경우 풀 히트 필수, 90절에선 안씀) 따라서 지금 트리니티에서는 화둔 및 토둔을 제외하고 단일딜을 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뒤늦게라도 절을 입문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만든 영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제가 더할나위 없이 행복할 따름입니다.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트라이 하셔서 클리어를 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 다음엔 공팟에서 만나요.
@춤추는콧수염6 ай бұрын
@@HanYuChe 핫..!! 상세한 답변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혹시 절바하가 아니라..닌자에 대한 질문을 해도될까요..!? 다른 레이드들을 진행할때 운동회가 너무 길어서 보스가 타격 가능할때까지 풍둔을 유지할 수 없다면 1. 직전에 최대한 강갑파점 찌르기로 풍둔 풀로 유지해놓기 2. 보스 나타나자마자 바람서슬하기 3. 보스 나타나기직전 풍둔술로 갱신하기(인술 1개 버리기) 이 중에 혹시 어떤게 제일 나을까요?!! 특히 1번을 할 수 없는 상황일때 바람서슬이 나은지 인술버리기가 나은지 궁금합니다...!!
@HanYuChe6 ай бұрын
@@춤추는콧수염 대체적인 경우엔 네임드 다운타임을 계산합니다. 제시하신 의견중 3번에 가까우나 풍둔술을 사용하는 타이밍을 네임드 팝업 20초전에 해두는 거지요. 만약 1분이 안되는 시간동안 사라졌다가 나타나면 1번으로 바꿉니다. 풍둔을 꽉 채우고 (갑강파점이나 바람서슬이나 그건 개인이 판단해서 사용) 가급적 바람서슬은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저도 바람 서슬을 사용하는 경우는 정말 몇 안되는 타이밍에만 사용합니다. (절렉 4페 진입, 절메가 6페 진입, 혹은 사망했다가 부활하는경우) 효율이 나쁠뿐더러 바람서슬로 풍둔을 채워도 정작 당시의 글쿨은 풍둔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
@춤추는콧수염6 ай бұрын
ㅠㅜㅠ 영상들 앞으로도 지우지 말아주세요 정말 다. 소중한 보물들입니다. 감사합니다
@HanYuChe6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은 남겨둘게요 ^^*
@tradollarh7 ай бұрын
썸네일 멋잇어요
@ffotagu28457 ай бұрын
글로벌은 이젠 안하지만 만렙닌자 변경좀 있나싶어 검색해서 봤네요. 다들 바이퍼로 갔을텐데 몇 없는 닌자유저신듯..
@HanYuChe7 ай бұрын
저도 바이퍼를 해봤지만 그래도 익숙한 맛이라고 닌자가 더 좋은것 같아요 ㅠㅠㅠ 격변할정도로 바뀐건 아니라서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ru_nel7 ай бұрын
팬이에여
@jhc7982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공명때부터 올려주시는 영상 보면서 닌자 입문해서 7.0도 닌자 하고있습니다! 7.0에 어떻게 바뀐건지 궁금했는데 가이드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