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정정: 본 행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며, (사)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였습니다.
@akasscholar3 ай бұрын
*내용 정정: 본 행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며, (사)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였습니다.
@akasscholar10 ай бұрын
00:00:15 전체 사회 소개 (민병곤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부이사장) 00:01:57 개회사 (권대우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 00:07:53 환영사 (김덕호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00:14:58 기조발표: 학술용어 정비 사업의 가치와 발전 방안 (김미형 국어문화원연합회 초대 회장, 상명대 한국언어문화학과 교수) [세션1] 00:55:09 (식물)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용어-이해를 돕는 용어의 정비 01:07:39 (생명)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생물학용어-생물학 분야의 통합적 용어 정비의 필요성 01:18:13 (경제) 한국농업경제학회: 눈높이 경제 용어 01:26:40 (철학) 한국철학회: 반디 또는 커서-개념의 시원지이자 종착지 01:47:30 (지구) 한국지구과학회: 지구소양(earth literacy)을 위한 지구과학 용어 정비 01:58:19 (법률) 한국가족법학회: 법률용어-맥락에서 발견해야 하는 명확한 의미 [세션2] 02:12:39 (동물) 한국실험동물학회: 동물용어 정비 사업 현황 및 향후 과제 02:21:34 (역사) 한국서양중세사학회: 서양사 학술용어 표기의 기준 02:28:18 (영상)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영상'용어 선정의 기준과 범위의 문제 02:37:48 (공예) 한국미학예술학회: 공에 분야 용어 정비 현황 02:47:14 (복식) 한국의류학회: 의류학 학술용어의 수집과 정비 02:55:30 (행정) 한국정책학회: 국민 눈높이의 맞춘 행정학 학술용어 정비와 향후 과제 03:03:51 종합토론
@akasscholar10 ай бұрын
00:02:25 전체 사회 소개 (장용근 홍익대 법학과 교수) 00:08:23 개회사 (안경봉 학술단체총연합회 연구윤리위원회 위원장) 00:13:01 환영사 (김영철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00:17:05 축사 (김철민 국회의원, 국회 교육부위원회 위원장) 00:19:36 축사 (장상윤 교육부 차관) [세션1. 학문분야별 AI 윤리문제 유형과 대처방안] 00:25:20 대학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리포트의 윤리적 문제 (한지영 대전대 상생교양대학 교양학부 교수) 00:48:11 문화예술분야 인공지능을 통한 효율성과 연구윤리 (전혜경 청강문화산업대 만화콘텐츠스쿨 교수) 01:05:13 보건의료 생성형 AI 연구윤리의 쟁점 (김한나 연세대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교수) [세션2. 연구윤리의식 고취를 위한 현재의 노력과 과제] 01:29:53 독일에서의 인공지능, 챗GPT와 연구윤리 (권대우 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교수) 01:53:11 생성형 AI의 학술적 활용의 윤리적 도전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 유네스코본부 과학기술윤리위원회 부위원장) 02:17:08 연구개발에서 생성형AI도구 사용 관련 주요 이슈 진단 (김해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지원센터장) 02:35:03 토론
@akasscholar10 ай бұрын
15:36 포럼 시작 및 사회자 소개 (한지영 안양대 아리교양대학 교수) 16:57 개회사 (박창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 20:04 환영사 (김영철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23:51 축사 (장상윤 교육부 차관) 27:42 축사 (조해진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세션1: 연구윤리 인식과 의식-현황과 문제] 30:37 발표1. 대학 구성원의 연구윤리 수준 현황 (황은성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연구윤리위원) 53:30 발표2. 실무 현장에서 본 대학 연구윤리 확보와 실천의 과제 (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의학박사, 조진호 서울대 연구처 전문위원) 01:10:43 발표3. 국내 학술지의 경험에서 보는 출판윤리 인식 실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윤철희 한국과학기술인편집위원회 출판윤리위원장) [세션2. 학술활동 건전성 제고를 위한 현재와 새로운 과제] 01:31:59 발표1. 학술활동 건전성 제고를 위한 업적평가 개선방향 (노영희 건국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01:53:45 발표2. 책임있는 연구문화 조성을 위한 새로운 과제 (양정모 한국연구재단 윤리정책팀장) 02:27:25 패널토론 시작 03:18:44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akasscholar10 ай бұрын
11:30 전체 사회 소개 (양명희 중앙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13:01 개회자 (박창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8:31 환영사 (김미형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21:15 축사 (장소원 국립국어원 원장) 24:31 세션1 사회자 소개 (조경숙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부이사장) 25:33 기조발표 (박창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57:36 세션1. 물리: 최근 물리학 분야 용어 정비 현황 (김상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01:13:47 세션1. 약학: 임상약학 학술용어 정비과정의 의의 (최경희 순천향대 약학대학 부교수) 01:32:41 세션1. 자기: 한국자기학회 용어정비사업 (신광호 경성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01:51:45 세션1. 수학: 바람직한 수학 학술용어-수정 및 제안 (강혜정 서울대 기초교육원 연구교수) 02:13:04 세션1. 의학: 의학용어 정비 사업 현황 및 향후 과제 (임채헌 울산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 02:30:04 종합토론 (물리, 약학, 자기, 수학, 의학) 03:13:21 세션2 사회자 소개 03:14:46 국립국어원 공공용어 정비 사업 소개 (이현주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연구사) 03:28:16 세션2. 교육: 교육학 학술용어 정비의 방향과 과제 (서동미 경동대 유아교육과 교수) 03:41:50 세션2. 심리: 심리학 분야 학술용어 정비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 03:53:41 세션2. 체육: 국민체육참여증대를 위한 체육학술용어 정비-생활체육을 중심으로 (강효민 강원대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조은형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선임연구위원) 04:10:34 세션2. 국어: 2021 국어학 용어 정비/개선의 방향-대중성과 학제적 연계성 제고를 위하여 (이선웅 경희대 한국어학과 교수) 04:26:58 세션2. 도자: 도자학술용어의 수집과 정비 (박정근 동덕여자대 디지털공예과 조교수) 04:40:16 종합토론 (교육, 심리, 체육, 도자)
@akasscholar10 ай бұрын
00:48:23 개회 사회 소개 (민병곤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부이사장) 00:49:38 개회자 (박창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00:52:44 환영사 (김미형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00:54:47 축사 (조해진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00:59:00 기조발표: 학술용어 정비 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의학분야의 예를 중심으로 (은희철 서울대 외과대학 명예교수) 01:56:28 주제 발표 사회 소개 (양명희 중앙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01:56:52 1부 발표1. 국과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와 의미 관리 (박진호 한성대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교수) 02:23:46 1부 발표2. 국립국어원의 용어총괄관리시스템 구축 현황과 방향 (이현주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학예연구사) 02:48:16 1부 발표3. 전문용어 표준화 동향/학술용어 수집 및 관리의 최신 동향 (송용찬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03:19:43 2부 발표1. 학술용어 정비에서의 정의문 구조와 체계 (이준환 전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03:39:09 2부 발표2. 학술용어의 번역 어떻게 할 것인가? (김정우 경남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03:56:05 2부 발표3. 학술용어 어떻게 다듬을 것인가 (박철우 국어국문학과 교수) 04:25:13 종합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