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endEdudaechi 앞문장 주어는 you고 앞문장의 내용은 that이하의 사실을 깨닫는 입장에 불과해요 허나 쌤말씀대로라면 providing이하의 결과를 제공하는 동작주까지 you이면 어색하지않을까요? 다시말해 주어인 you가 깨닫게 되는 that이하는 providing까지 포함해야하며 따라서 you가 provide~한다는건 억지에 가깝다고 보여집니다~
@유재성-d5u6 сағат бұрын
이런점검에 빨라지고 스스로 그것들을 통제하는입장에서 과연 부모가 행복을 보장하는 도구를 제공한단 입장은 논리의 비약같습니다 그리고 해석을 자세히 보세요 그문장 전체내용 (that절을) 알게된다라 기술 되어있습니다~
@유재성-d5u6 сағат бұрын
아울러 선넘는 얘기일수있지만 선생님과 무슨 콜라보 작업을하면 멋진 그림을 그릴수 있을지도 관심이 생기는 1인 입니다~ 결례를 용서하세요
@HighendEdudaechi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 결례라니요. 이렇게 소통할 수 있어서 좋네요 :)
@이서현-s1h7 сағат бұрын
Do they take ~ 문장에서 그럼 if가 생략되고 도치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HighendEdudaechi7 сағат бұрын
네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간접의문문 세개가 discuss 목적어로 나온거고, 마지막이 의문사없는 간접의문문인데 if 를 생략하며 저리 쓰인 거에요.
@유재성-d5u9 сағат бұрын
ai와 연계해서 자주강조했던 핵심포인트 다양성은 뭐라 생각하세요~~
@HighendEdudaechi8 сағат бұрын
이걸 다루면 강의가 너무 길어지고 산으로 갈 것같아서 말을 자세히 못했습니다. 다양성(Diversity)은 단순히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는 걸 의미하죠. 성별: 남자, 여자, 그 외 다양한 성 정체성 인종/국적: 한국인, 미국인, 아프리카인 등 나이: 어린 사람, 나이 든 사람 경험과 생각: 공부 잘하는 사람, 예술 좋아하는 사람, 과학 좋아하는 사람 등 AI는 사람들이 만든 똑똑한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AI가 우리 사회에 도움을 주려면, 모든 사람을 공평하게 대해야 하고 차별 없이 작동해야 해요. 그런데 만약 AI를 개발하는 사람들이 한쪽 생각만 갖고 있거나,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지 않으면 분명 문제가 생길 거에요. 예를 들어 얼굴 인식 AI가 서양 사람들 얼굴 사진만 보고 배웠다면, 한국 사람 얼굴을 잘 못 알아볼 수도 있어요. 바로 불공평하고 편향된 AI가 되겠죠. 또 다른 예로, AI 면접관이 있는데 이 AI가 특정 학교나 특정 성별만 선호하도록 만들어졌다면, 많은 사람들이 공정하지 않다고 느낄 겁니다.
@Joo-g3e23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지방에 살아 이런 강의 하나하나가 너무 소중합니다❤
@HighendEdudaechi23 сағат бұрын
아이구 아이구! 더욱 좋은 강의만들게요 고마워요~~!!!! 화이팅합시다아!
@Elohist0705Күн бұрын
세세하고 상냥한 강의 감사합니다 ~
@HighendEdudaechi23 сағат бұрын
우와 정말 기쁘네요~~~ *^^* 작년에 처음 시작해서 좀 미숙한 것같아서 조마조마했어요. 감사합니다 ^^
@zzangzzang7435Күн бұрын
봉사 , 맞아요❤❤ 정말 좋은 행운이 분기마다 오실꺼예요 항상 감사해요
@HighendEdudaechiКүн бұрын
어우 ,,, 눈물날 것같아요... 감사합니다!!! 이 이야기를 할까 말까 많이 망설이다가 ㅎㅎㅎ 했답니다.
@모든게떡상-z6gКүн бұрын
Brought down은 bring down의 과거분사형인가요??
@HighendEdudaechiКүн бұрын
노노노노 negative event가 people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든다 brought down 이에요. 과거동사죠. 다만, 2어 동사의 특징이 그 두 단어 사이에 목적어를 끼울 수 있기에! 이렇게 문장이 만들어 진 겁니다. ^^
@장명원-m9i4 күн бұрын
위 글에서 discuss to 라고 썼는데 discuss는 타동사라서 목적어가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
@HighendEdudaechi4 күн бұрын
아 이거 설명했어야하는데!!!!!! 어쩌지?! 진짜 대단한 학생이다!!!!! 자 봐바요~ 이건 to what extent "어느정도까지"라는 의미라서 그래요 discuss" 자체는 전치사 없이 목적어를 바로 받지만, 그 뒤 부분이 "to what extent"가 “어느정도까지” 라는 의미의 의문사인 간접 의문문이라 'to'가 포함된 채로 목적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에요! 어쩌냥 이거 말해줬어야하는데!!!! 고정댓글로 할게요!!!!! 고마워요!!!
@유재성-d5u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하단에 providing~구문에 them은 아이들이면 provide의 동작주는 누가 되는걸까요?
@HighendEdudaechi4 күн бұрын
"You'll also find that ~"의 주어인 "you"와 같습니다! 즉, "providing them with a toolkit ~"에서 "provide"의 동작 주체는 "you" (or 일반적인 사람들)인 거죠!
@유재성-d5u7 сағат бұрын
아마 that절이 동작주가 되지않을까요?
@HighendEdudaechi6 сағат бұрын
@@유재성-d5u제 생각엔 그건 아닌 것같습니다 😅
@HighendEdudaechiСағат бұрын
@@유재성-d5u 아...선생님 말씀이 맞네요. 그렇게 보니 보입니다 -_-;;; 제가 해설서를 안보고 해요... 한번 들여다보니 알 것같습니다. 나중에 한번 따로 모아서 다시 찍을려구요. 항상 좋은 가르침 주셔서 감사합니다!
@Kate-g2p6 күн бұрын
자료 만드신다고 고생 많으셨을텐데 진짜 감사히 잘 사용하겠습니다^^
@HighendEdudaechi5 күн бұрын
오옹 알아주셔서 고맙습니다! 시간이 좀더 걸리지만, 그래도 좀더 제가 힘내면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을 것같아서!!! :) 화이팅합시다!!!! 저도 더 노력할게요 ^^
@유재성-d5u7 күн бұрын
정리한번 할게요 이문장이 난해하게 받아들여지는건 필자가 쓴 continuous의 단어에서 비롯된 착각인데 변화에 의존적이단말도 결국 변할수밖에없다 다시말해,지속되지못함을 의미하는데 그상황에서 지속적인 만족이란 표현이 동일선상에서 위치하는 바람에 short-lived와 continuous가 서로 상충하는데서 비롯되는 난해함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만족보단 좋은일이 생길때만다 일시적으로 기분은 좋아지지만 역시나 duration이 문제라 포인트를 두고 봐야할건" 반복되는 만족"이란 표현이 아닌 "disappear" 단어에 포인트를 두고 읽어야 더 일관적인 이해로 다가갈듯해요~
@HighendEdudaechi7 күн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유재성-d5u5 күн бұрын
혹시 외람된 질문입니다만 글로리아라는 선생님이신가요?
@HighendEdudaechi5 күн бұрын
아닙니다아 ^^;;;;
@유재성-d5u7 күн бұрын
사실 설명을 굉장히 꼼꼼히 하시는게 매력인데 살짝 내용의 난해함이 녹아있는 문장에선 그매력이 상쇄되는 느낌이랄까요? 선생님을 아이들이 조아하는 이유는 풀어먹여주는점일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풀어먹여주는 부분이 정말 필요한곳에서 상실된다면 일관성이 문제가 될듯해요 늘 잘보고 있습니다만 기분나빠하지마시고 의견수렴해주셔서 강의에 녹아든다면 더욱더 확고한 팬베이스 빌드업이 시작될것 같네요~~
@HighendEdudaechi7 күн бұрын
아 맞아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좀더 설명했어야했는데 싶으면 꼭 저렇더라구요 저도 느끼고 있던 점인데 뜨끔했습니다. -_-;;;;; 선생님 정말 예리하시네요! 더욱더 절차탁마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유재성-d5u7 күн бұрын
쾌락의 비대칭성은 쾌락은 변화에 의존적이며 지속적인 만족과더불어 사라진단말이 무슨 뜻일까요?
@민병준-p2t7 күн бұрын
워크시트는 어디서받을수있을까요?😢
@HighendEdudaechi7 күн бұрын
영상 바로 밑 설명 글에 링크가 있어요. 지문 다운로드 링크랑, 복습워크시트 링크 두개 있습니다!
고마워요~~ :) 귀하게 여겨주는 사람이 정말 복된 사람!!! 열공해서 우리 성공합시다!! 홧팅홧팅!!! 열심히 준비할게요!!
@sangheonmun258813 күн бұрын
이 지문은 선생님 개인 얘기해 주셔서 안 잊어 버릴거 같아요^^ 복습시트 프린트해서 열공중입니다. 감사합니당~~
@HighendEdudaechi13 күн бұрын
^^;;; 종종 개인얘길 하는데;;;;; 딴 말로 너무 샐까봐 조심중이에요! 감사합니다 *^^*
@sangheonmun258815 күн бұрын
구독완료했습니다. 목소리가 엄청 좋으시고 집중이 너무 잘돼서 EBS 안듣고 하이앤드 듣고 공부하겠습니다. 계속 연재해주시나요? 아님 회원제로 바뀌게 되나요?
@HighendEdudaechi15 күн бұрын
회원제는 이미 있어요 ^^ 회원제에서는 내신기간에 내신형문제 + 수능형문제를 제공하려합니다. 그리고 일년 내내 쭉~ 모의고사와 수특, 수완 수업을 합니다. :) 물론 수특 영독과 수완수업을 다 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인데... 수특 영어는 완강했지만 수특 영독과 수완은 작년에도 신청받아서 어려운 지문 위주로 했거든요. -_-; 부지런떨어보려고 노력중입니다. 그리고 작년도 모의고사와 수특 수완 수업들은 회원제로 돌리게 됩니다. 올해의 수특 수완 모의고사 수업들은 그냥 시청 가능합니다! 구독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할게요~
@유재성-d5u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어떤 종교도 법률시스템 관료주의도 변화와 이상한 사건들을 통제하지 못한단뜻은 어떤 의미일까요? 갑자기 쌩뚱맞게 종교 관료주의가 통제한다하니 굉장히 어색해서요 다시말해 글과 맥을 같이하려면 종교에서 갖는 교리에 어긋나는 일들(서양스님) 그리고 관료주의에서 갖는 그들만의 이익추구에 부합되는 규칙을 벗어나는 특수성을(낙하산) 존재하기마련이라 통제하기 힘들다 한것일지...
@HighendEdudaechi5 күн бұрын
이 문장은 지문 마지막에서 주제 강조로 쓰였어요. 이런 경우 마지막 문장이 좀 흐름에 어긋난다는 인상을 주는데, 요즘 트렌드인가봐요. 저도 가끔가다가 읭? 할 때가 있습니다. 이 지문의 주제가 인간이 세상을 규칙과 범주로 정의하려는 시도가 자연의 복잡성과 변칙성 때문에 항상 완벽하게 성공하지 못한다, 잖아요? 마지막에 언급된 종교, 법률 시스템, 관료주의는 이러한 인간의 체계화 노력을 대표하는 예시로 사용된 거에요. 즉, 어떤 종교도, 법률 시스템도, 관료주의도 세상의 모든 변화와 예외적인 사건들을 완벽하게 통제하거나 예측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체계들은 인간이 세상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만든 것의 대표적인 예구요, 세상의 본질적인 복잡성과 예외성 때문에 완전한 통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whitesshnc15 күн бұрын
샘 감사합니다 ~열심히 보겠습니다 ~^^
@HighendEdudaechi15 күн бұрын
아하하하하하 퇴마사님!!!!! :) 감사합니다!!!! 가열차게 시작해보겠습니다!!!
@sangheonmun258815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워크시트가 안떠요. 소유자의 휴지통에 들어있다고 하네요.
@HighendEdudaechi15 күн бұрын
엇 다시 점검할게요. 그런데 한번 그 화면 상단우측의 다운로드 눌러서 다운받아 뷰어로 열어보세요. 그럼 되긴 했어요. 미안해요 빨리 고칠게요!
@HighendEdudaechi15 күн бұрын
링크 수정되었어요
@sangheonmun258815 күн бұрын
@@HighendEdudaechi 감사합니다.
@꼬리별-y1e16 күн бұрын
1월 31일에 출시예정이라고 되어있는데 지금 서점가면 살 수 있는건가요??
@HighendEdudaechi16 күн бұрын
노농 지금은 아직 없을 거에요. 전 일찍 시작하고 싶어서 이래저래 하여 앞부분 지문들을 입수한 거랍니다! ㅎ 빨리 해서 진도 걱정 안할라궁... -_-;;;;; 꼬리별 오랜만이에용~
@익명-m1o9r17 күн бұрын
하 내가 이제 현역이라니...ㅠㅠㅠㅠ 고2때부터 내신 준비하면서 정말 도움 많이 받았어요! 항상 꼼꼼하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올해도 잘 부탁드랴요🥹🥹🥹
@HighendEdudaechi16 күн бұрын
작년에 도움이 되었다면 올해도 분명!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준비 많이 하고 맘 단디 먹고 있으니! :) 고맙습니다.. 고마운 사람...!!!!
@Kimdeewon17 күн бұрын
수특 26년pdf 받을수있나요??
@HighendEdudaechi17 күн бұрын
음 그 수능특강 pdf 는 저작권이 걸려있어서 드릴 수 없구요, 다만 각 지문의 pdf는 드릴 수 있을 거에요. 뭔가 많이 복잡해지고 있어요. ㅜㅜ
@밤-t8u1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HighendEdudaechi18 күн бұрын
잉 감사합니다! 워크시트도 꼭! 꼭 복습하며 풀어봅시당 :)
@유재성-d5u18 күн бұрын
사실 마지막 단락에 대한 설명이 질문드린대로 정확히 진술되지않으면 충분히 헛갈릴수 있어보입니다~
@HighendEdudaechi18 күн бұрын
네 자세한 질문 감사합니다!!! :)
@유재성-d5u18 күн бұрын
37번 ~and neither pays enough attention~에 pays는 왜 단수취급된걸까요? 그리고 마지막 단락 others의 정체는 어떤성격일까요? 다시말해 위에서 거론했던 유형1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론자 유형2 뉴어버니즘론자 과는 완전 다른 제3자의 입장일까요? 아님 유형1,2의 옹호자들이 서로 자신의 옹호입장이 이상적임을 깨닫게 되었단 의미일지요?
@HighendEdudaechi18 күн бұрын
Neither 는 둘 중 어느 것도 아니다를 의미하는 부정어로, 단수 주어로 취급합니다. 꼭 기억하셔야해요. 지문에서 마지막의 "Still others"는 유형 1(Landscape Urbanism)과 유형 2(New Urbanism) 양쪽 모두와는 다른 제3자의 입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글의 전체적 흐름을 보면 그렇습니다.
@유재성-d5u18 күн бұрын
37번의 사회정의의 역할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선생님~~
@HighendEdudaechi18 күн бұрын
에구 이 지문 좀 많이 어려웠죠. 제가 분석하기에, "사회정의의 역할"은 지문에서 제시된 두 가지 주요 도시 계획 접근법, Landscape Urbanism과 New Urbanism, 그리고 "just sustainabilities"나 "complete streets"와 같은 대안적 관점에서 사회적 정의(사회적 형평성)가 어떤 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무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문에 따르면, 사회정의의 역할은 도시 설계와 계획의 중심에 놓일 필요가 있지만, 기존 접근법들(Landscape Urbanism과 New Urbanism)은 이를 충분히 통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존재하구요. 지문을 거시적으로 크게 보시면 어렴풋이 이해도 되겠으나 자세히 들어가면 끝도 없는 그런 유형의 지문이었어요 ㅎ
@유재성-d5u21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동격절 that절이하는 현대원근법과는 대조적으로 초기 구상화는 개인의 관점(egocentric, perspective)과 공간적정보가 함께 어우러 졌다! 맨마지막 지문에서 보듯이 필자는 그걸 표현하고자 우리에게 상대적인 그리고 서로간의 상대적인 이란 표현들을 담아냈던거죠 다시말해 현대구상화는 공간배치에대한 단순 사실적 묘사의 특징을 갖는데 반해 초기의 구상화는 개인의 주관이 개입된 사실은 왜곡적 표현이 되겠지만 그게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구현한거라 하겠고 그점이 미술에서 나타내고자한 의도이며 이글에선 something important about seeing이라 제시된것일겁니다~ 늘 고생하시네요
@HighendEdudaechi20 күн бұрын
우와 감사합니다!!!!! 정말 이 지문은;;; ㅜㅜ 힘들었어요. 이렇게 보니 깜놀할 정도로 확 들어오네요. 학생들에게 미안할 지경이에요. 정말 감사해요!!!!! 대단하세요!!!!!
@유재성-d5u21 күн бұрын
39번에 동격절있는 the fact that perspective~이하의 내용은 초기구상화의 설명입니다~~
@김가영-x3m25 күн бұрын
Efficiency 아닌가요?😢 effieciency 라고 쓰셨어요
@HighendEdudaechi25 күн бұрын
나 가끔 이러네요 미안혀요 -_-;;;;; 왜 저러지 ㅋ 미안합니다!!! 맞아요! 고맙습니다!!!!! 올해 올라가는 수업은 절대 그런 것이 없게 조심할게요!
@cory0101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넘 좋으셔용 비법이 있나요😆😆😆
@HighendEdudaechi29 күн бұрын
아하하하핳 그저 조상님께 감사하고 있습니다 ^^;;;; 어릴 때도 아무리 운동회 응원하느라 고래고래 소릴 질러도 목이 안쉬더라구요 ㅋㅋ 감사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스펙트럼 부분에서 뭔말하는건지 했었는데 이 영상보니까 바로 이해됐어요ㅜㅜ 너무 감사해요!🫶
@HighendEdudaechiАй бұрын
*^^* 그런 순간들을 위해 꼼꼼히 설명하려 애쓰고 있답니다!!!! 알아봐줘서 고마워요!!!!
@하이잉-z6p2 ай бұрын
선생님 12:50에서 since then, 그때 이후로에서 그때는 언제인가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옹 이게 좀 내용이 중간에 많아서 바로 알기가 어렵죠! 이 then은, 두 명의 호주인 수중 사진가들이 낮에 얕은 물에서 위장술을 사용하는 문어를 처음 발견했던 순간을 가리킵니다. 이 시점이 이야기가 시작된 주요 사건이며, 그 이후로 같은 종의 문어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어요. 이해되었을까요?
@하이잉-z6p2 ай бұрын
@@HighendEdudaechi넵 감사합니다!!
@jamiseun.2 ай бұрын
넘 좋아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꺅!!!!! :)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어드릴게요!!!!
@heavenlymelody-km6iw2 ай бұрын
Hmmmm...too much talk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I think so, too. But since it's a class, I can't help it. Did you have a hard time listening? Sorry for that!
@heavenlymelody-km6iw2 ай бұрын
@ ㅋㅋ 해석,설명은 명쾌하셨습니다. 선생님의 명강의를 다 흡수할 시간이 없어서 푸념한 것입니다👍🙈😆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워쪄.... 나 지금까지 진짜 많이 미안해하고 있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쩌지 어떻게 말안하고 수업을 잘할 수 있을까 했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놔!
@heavenlymelody-km6iw2 ай бұрын
@@HighendEdudaechi 구독했고 셤끝나면 정독~역주행할 예정임돠 크크크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나 기획하고 있는 거 많아요!! ㅇㅎㅎㅎㅎㅎㅎㅎㅎ 어휘 암기랑 서술형이랑! 기대해 기대해!
@Coldbitxh172 ай бұрын
정말 많이 도움 됬습니다 ㅜㅜ 고등학교 올라와서 처음 맞아보는 100점입니다 감사해요 😢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허어어어어어어어엉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이고 진짜 잔치하고 싶은 심정이네요 정말 고마워요 본인이 정말 열심히 했겠죠!!!!!!! 고마워요 진짜!!!! 내게도 소식을 전해주고... T-T 열심히! 내년에도 열심히 할게요!!!! 그리고 고2 올라가기 전에 올해의 수능특강 정도 한번 강의 들어봐요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수능보기전에 보라고 녹화한 수완 기반 수능문제풀이기술 도 봐주시구요!!!!!! 그럼 모평도 내신도 더 탄탄하게 올릴 수 있을거에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여러분 3:21의 that은 실험의 내용을 설명한다고 생각해서 바로 동격절이라고 했으나 다시 보니 목적격 관계대명사네요. that 뒤에 보면 did 다음에 목적어가 없어요. 그래서 목적격 관계대명사절이 맞겠습니다. 실수해서 죄송합니다. T-T
@dur4b1e832 ай бұрын
3:21 that 목관대 아닌가여?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헙... 그러하다... 미안합니다 미안합니다 -_- 실험의 내용을 설명하기에 동격절이라고 지레 정해놓고 말해버렸네요 -_-;;;; 왜 이런 실수는... 죄송해요! 고정 댓글에 달아둘게요!
@dur4b1e832 ай бұрын
수능내신대비가 없어서 존나 슬펐는데 찾게 돼서 너무 조아요 ㅜㅜㅠㅜㅠ 감사합니다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아이궄ㅋㅋㅋㅋ 얼마나 격하게 슬펐는지 알 것같아요 … 사실 저도 안할까하다가 ㅋ 분명 필요한 사람이 있을 것같아서!!!!!!!!! 여러번 들으면서 학습하시고!!!! 한번 듣고, 지문구조도에 해당어휘를 쓰면서 더 머릿속에 넣어봐요. 잘 할 수 있을 거에욤!!!
@종합-g2l2 ай бұрын
한글로 읽어도 이해가 잘안되네요, ㅠㅠㅠ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음? 이 지문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 힘내자 힘내자!! 이 글에서는 우리가 물건을 고치거나 관리하는 일을 다루고 있어요. 그리고, 그 수리나 관리를 단순히 한 번 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물건을 오래 쓰기 위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보고 있구요. 사람들은 보통 물건이 처음 만들어져서 쓰이다가 결국 버려지는 과정을 하나의 직선, 즉 '생애주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물건의 실제 삶을 완벽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게 이 글의 포인트!!!! 현실에서는 물건이 고장 나기도 하고, 고쳐지거나 한동안 보관됐다가 다시 쓰이기도 하죠. 예를 들어, 오래된 자전거를 고쳐서 다시 쓰거나, 버려졌던 의자가 재활용돼 새로운 물건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죠? 그런 걸 생각하면 좀 쉽게 이해될 거에요. 이 글에서는 물건이 단순히 만들어지고 버려지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다시 사용되거나 다른 목적으로 쓰이게 되는 '복잡하고 적응적인 삶'을 산다고 말하고 있어요. 한번 더 예를 들면, 네가 버렸던 헌 책상이 나중에 중고 가게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팔리는 것처럼.... 이제 좀 이해가 될까요?!
@종합-g2l2 ай бұрын
@@HighendEdudaechi 와 훌륭한 설명입니다, 혹시 국문과도 나오셧나요? 굿굿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엇! 어찌아셨죠? ㅋㅋㅋㅋ 학부는 국문학 석사는 MBA 박사는 영문학이랍니다 :) ㅋㅋㅋ 그래서 이런 여러 분야의 지문 수업이 딱 적성에 맞아요 !!! 고마워요!!!
@종합-g2l2 ай бұрын
@@HighendEdudaechi 어쩐지 예사롭지않아보엿어요 ㅋ 글솜씨가 ㅎㅎ
@llllllllwi22o32 ай бұрын
뇌가 의식의 기관이라 하고 또 의식이 아니라는건 뭔말이에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이 지문이 철학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차근차근 봐주길! 지문에서는 "뇌는 의식의 기관"이라고 했는데, 이 말은 뇌가 의식을 만들어내는 도구 역할을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가 음악을 연주하는 도구인 것처럼, 뇌는 우리가 의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라는 거에요. 하지만 피아노가 음악 그 자체가 아닌 것처럼, 뇌도 의식 그 자체는 아닙니다. 의식은 뇌를 넘어서 더 넓고 근본적인 어떤 '상태'나 '현상'으로 생각하면 되요. 쉽게 비유하자면 뇌 = 컴퓨터 하드웨어 의식 = 소프트웨어 컴퓨터는 하드웨어 없이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없지만, 소프트웨어 그 자체는 하드웨어가 아니잖아요? 그건 이해가 되죠? 뇌와 의식의 관계도 비슷하게 볼 수 있어요. 지문에서 말하는 건 "뇌가 의식의 일부를 표현하는 기관은 맞지만, 의식이라는 건 뇌의 작용을 넘어서는 더 큰 개념이다"라는 뜻입니다. 이제 이해가 갔을까요?
@llllllllwi22o32 ай бұрын
@HighendEdudaechi 와.. 1타강사십니다 이해 됬어요 감사합니다 😭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쿠히히힣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었다니 정말 기분좋네용!
@CH-co8ng2 ай бұрын
우와아아앙아 기말 대비 하구 있는데 진짜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우와아아아아아 :) 이렇게 좋아해주다니 몹시 행복합니다!!! :) 화이팅화이팅!!!!
@jennychung1592 ай бұрын
정말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감사합니다.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해요~~~ !!! 열심히 열심히 준비할게요! 겨울방학에도 함께 해요~ 올해 나왔던 수능특강 강의 들으면 독해력이 많이 오를 겁니다! 경험해보는 게 좋아요~!
@바쿠민-l4r2 ай бұрын
그 지문에 given을 considering으로 바꿔써도 된다고 하셨는데 given은 과거분사형인데 왜 considering은 현재분사형 인가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좋은 질문입니다!!!! "given"과 "considering"이 의미적으로 비슷해요! 그러나 문법적으로 형태를 띠는 이유는 그 단어들이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 뿐. "given"은 과거분사로 사용되며, 보통 수동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건 알죠? 그래서 "~을 주어진 상태로 볼 때"라는 의미로, 상황이나 조건이 이미 주어졌다는 전제를 깔고 시작해요. 그리고 "considering"은 현재분사로 사용되며, 능동적인 의미죠. "~을 고려하면서"라는 의미로, 화자가 능동적으로 생각하거나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하지요. 그래서, 이렇게 다른 문법이나, 늬앙스는 살짝 다른, 같은 의미를 갖고 있게 되는 겁니다! 이해가 되셨을까요?!
@양현준-n5c2 ай бұрын
그거 아마 독립 분사인가? 어쨋든 considering이 해석하면 ~을 감안하면 이라는 뜻이고 given이 ~을 고려하며 이라는 뜻이라서 문법적으로 바꿔서도 상관없다는 뜻인 거 같은데요? 애초에 그냥 외워야 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독립분사구문 뭐 이렇게 하면서 외워라! 할 수도 있지만;;;; 저렇게 의미를 알아두면 훨씬 잘 암기될 수 있답니다. ㅎㅎ 문법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저런 용어나, 무작정 암기는 철저히 지양하려고 노력중이에요. 그래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니!
@deulomedaan81672 ай бұрын
대단하세요. 뭐랄까 애매한 부분들. 까지도 대명사나 이러한 것들 정확히 알려주셔서 어영부영;;한 문장이 단 하나도 없이. 진짜 대단하세요. 스토리로 나중에 정리까지 해주셔서. 많이 작아지고. 또 많이 배웁니다. 감사드려요
@HighendEdudaechi2 ай бұрын
엇… 혹시 강사님이신가요~? 에고고~ 감사합니다 ^^ 오랜 시간 해오다보니 애들이 힘든 부분을 놓치고 싶지 않았어요. 와 이렇게 알아주시니 힘이 나네요!! 편안하고 즐거운 연말 보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