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이가없네 말하는것보니 결국 최현우는 중수 자기는 고수라는거네. 어쩐지 둘이 사이 안좋더라니 얘는 거만해서 틀려먹었어. 일루셔니스트 나발불때부터 알아봤음
@suiyankfjord683 сағат бұрын
블라블라의 이름이 뭐냐를 맞추는게 무슨 의미가 있고 인정받을 만큼 대단한건가? 개념을 설명하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SATELLITECASTIEL5 сағат бұрын
웃는 거 봐 ㅋㅋㅋㅋㅋㅋㅋㅋ
@팩트자유수호5 сағат бұрын
와? 여신이다.
@믿거조-y2g5 сағат бұрын
신기할것도 많타 ~~~
@jcchoe01295 сағат бұрын
당겨서 부러트리면 되지않을까?
@카페종업원6 сағат бұрын
눈물 젖은 두 동강
@gaenso10317 сағат бұрын
돌아올라 그랬어?
@가우스-b6g7 сағат бұрын
양끝을 트위스트 해면서 부러트리면 될거 같은데용??😅
@sisiklaus56158 сағат бұрын
뭔 지구로 귀환이야 애초에 질문이 틀렸네
@chriscolfer817310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대학생들은 유튜브를 열심히 본다.
@Jujuclub-haha10 сағат бұрын
라면끓이려다 지구폭발..
@iam92yoon11 сағат бұрын
독어독문학과 면.. 그럴수도 있지
@1120jsw12 сағат бұрын
상식으로 풀어도 기체행성인데 뜨겠지...쯔쯔쯔
@DDong_pur14 сағат бұрын
어케 비문학 지문에서 본걸 기억하지?? 저게 서연고인가?
@aaaxxx515215 сағат бұрын
20학년도 리트지문
@calvinkattar-wb4sq22 сағат бұрын
여자 애들 거의 다 수시라고 보면 됨 특히 좋은 대학은
@grandhalap23 сағат бұрын
밝다
@정병관-h1d23 сағат бұрын
뭔가 김태리 느낌 나시네 ㄷㄷㄷ
@wk8496Күн бұрын
공대 누나들이 의외로 이쁜 여자사람이 많은거 같아.
@와따똥이Күн бұрын
문과 답을 담을 그릇이 없네. 트랜드가 아닌데
@플리커-k5tКүн бұрын
비문학 지문에서 한번 본걸 어떻게 정확하게 기억하지
@wittenedward3657Күн бұрын
아니 스윙바이 모르는 사람도 있나?
@신사-t6cКүн бұрын
신 을 안 믿는데 과학은 믿습니다~
@접속했어요Күн бұрын
중간중간 웃으시는게 매력이시네요
@악동냥이-h3r2 күн бұрын
이거 내가 유치원 때 배운건데....?
@메밀졸라2 күн бұрын
공대녀가 이쁠수 있다는걸 첨알았네요. ㅋㅋ
@Ch4tGPT_4o2 күн бұрын
🔵 토성을 물에 띄우는 가설과 조건 정리 🛠 가설: “토성은 밀도가 물보다 낮으므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면 물 위에 뜰 수 있다.” ✅ 설정한 조건들: 1. 무한한 물 공급: •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무제한으로 제공됨. 2. 거대한 탄소나노튜브(CNT) 구 구조: • 토성보다 수만 배 큰 CNT 구를 만들고, 그 표면을 얕은 바다로 덮음. • 내부는 비어 있어 중력 문제를 해결함. 3. 열원 시스템 유지: • CNT 구 내부에 열원 시스템을 설치해, 바다 전체를 액체 상태로 유지함. • 우주의 극저온(-270°C) 환경에서도 물이 얼지 않도록 만듦. 4. 토성의 형태 유지: • 조석력(중력 차이로 인한 변형)이나 물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최소화해야 함. • 필요하면 자기장 보호막 등을 추가해 토성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 가능. 🟢 예상 결과: • 초기에는 토성이 물 위에 뜰 수 있음. • 장기적으로는 토성이 물과 상호작용하면서 변형될 가능성이 있음. • 추가 보호 조치를 하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 🔴 결론: “토성은 이론적으로 거대한 CNT 기반 바다 위에 뜰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나야나-y6m2 күн бұрын
공대여신이네. 요즘 고대에도 미인들 많더라. 우리때는 거의다 부담(?)없이 생긴 얼굴이 대다수였는데...
@박동춘-x2f2 күн бұрын
시작하자마자 엔믹스 해원인줄
@07_jun2 күн бұрын
미미미누뭐야
@잭바우어-l4b2 күн бұрын
관상이 넘 좋으다..거기다 고대 공대생....ㄷㄷㄷ
@samchon20112 күн бұрын
이런 똑똑한 학생들 다 모여서 오우무아무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면 좋겠다. 행성도 아니고 무려 태양계를 스윙바이하고 지나간게 맞는지 오만떼만 이야기 다 하다보면 더 좋은 가설이나 연구 과제도 만들어짐
@신동일-j1f2 күн бұрын
우리애기 이뿌다
@brandlee50892 күн бұрын
제 10행성 궁금해지넹 ㅋㅋ 그거 이야기 풀어주세요😮❤
@돌아갈래-t7x2 күн бұрын
3조각 나는 것도 첨들었는데 리처드파인만에 스파게티난제에...우린 아무것도 모르는데...ㅠㅠ
@SATELLITECASTIEL2 күн бұрын
어 미공개 문제다 저는 맞췄습니다 🫡 ㅋㅋㅋㅋㅋ
@wook71583 күн бұрын
엌 방구석 박사님들 대거 등장
@우와-s9h3 күн бұрын
토성.. 라이징스타였네..
@노란색파랑3 күн бұрын
문제가 귀에 안들어와 ㅋㅋㅋㅋㅋ
@우유사딸라3 күн бұрын
지구에 천배되는 물을 구하는 것에서부터 근데 수소면 같은 수소원자 행성인 토성은 물에 녹는거 아닌가...?
@이주용-x2zКүн бұрын
혹시 친구가 없으신가요
@SQA_힐러3 күн бұрын
뜰 수는 있는데 욕조가 우주에 떠있는거면 떠있다라는 표현이 애매하지 않을까요?
@환호성-l4bКүн бұрын
전혀 애매하지 않습니다. 우주에 떠있는 욕조에 물을 가득 담아서 그 위에 토성을 놓는다면 토성은 우주에 떠있는게 아니라 물 위에 뜨니까요
@Hanifarm13 күн бұрын
심해파들은 심해보다 우주를 더 많이 보았다 그러니 심해를 보아야한다 이런 느낌인데 더 본건 맞지만 심해와 비교를하면 우리가 본 우주는 해수면에서 터무니없개 말해도 1cm 고작 1cm도 못보았다
@이재헌-j5n3 күн бұрын
잡고있는 그 텐션이 ?? 서로 달라서 3등분 되는거 같은데
@이재헌-j5n3 күн бұрын
손끝으로 잡지말고 그냥 밀면 되는거 아닌가... 잡지말고
@S꼬꼬냥3 күн бұрын
13:30 에서 당연히 뒤로 쏠릴 줄 알았는데 헬륨이 공기보다 가볍다는 점을 이용해서 맞추다니 정말 대단하시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