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kang5515중국 수출에 있어 제재 대상이 되는 기업이 있을 경우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 입니다. 회사의 법무 조직이 잘 검토하겠죠.
@user_antiginaz1yw12 күн бұрын
Sino 시노 = Sinica 시니카 = cola
@집냥이일상14 күн бұрын
지금 한화오션이 진행하고 있는 p79도 영향을 받을까요? 지금 탑사이드 모듈이 중국에서 늦게온다고 현장은.난리네요...
@seawater01014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제재는 특정업체에 국한한 것이며, 브라질 프로젝트는 미국과는 연관성이 떨어진다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관련된 프로젝트는 중국에서 블럭등을 수입하는 것에는 차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팩트는 알 수 없으나 중국의 경우도 생산물량이 넘쳐나니 생산일정을 준수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집냥이일상14 күн бұрын
@seawater010 삼성과 한화는 앞으로 미국의 눈치를 많이 볼 수 밖에 없겠네요... 캐나다 프로젝트및 미국델핀 프로젝트 같은 경우는 한화랑 삼성이 협력해서 수주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일 수 도 있겠네요. 지금 시더 프로젝트 관련해서는 한화오션에 탑사이드 물량을 일부 넘겨준다고 하네요... 중국을 못 믿는건지... 아님 미국의 제재가 무서워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요.
@JuKo40215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FLNG를 건조 가능한 곳이 없는데 프로젝트 가격이 더 오르겠네요. 제한적인 슬롯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이전에 Seatrium이 진행했던 Golar LNG의 FLNG처럼 개조 프로젝트도 늘어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ㅎㅎ FLNG뿐만아니라 앞으로 나올 FPSO 프로젝트들도 많은데 다른 업체들에게는 유리한 수주 환경이 되겠군요. 안그래도 최근 P-84, 85만 하더라도 각 $4b에 입찰되어 P-82, 83보다 약 30% 높은 가격이던데...
@seawater01015 күн бұрын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 된다면 한국조선소도 건조 슬롯 확대에 대한 투자를 고민하여 보아야 할 것입니다. 너무 나간 것일까요?
@changhyun53615 күн бұрын
Wison 조선소가 중국 랴오닝반도 끝의 여순조선소인가요???
@seawater01015 күн бұрын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으나, 아래 링크 기사를 참조하시면 파악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저장(浙江)성 저우산 군도의 Xiushan섬에 위치 kr.asiasis.com/detail.php?number=6891&thread=24&PHPSESSID=f5a6b92de6be014cdee7c44564c9b31d
@serbi7820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JuKo4022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페트로브라스 입장에서는 BOT방식이 유리하지만 지금 일감이 너무 많은 조선소들 입장에서는 굳이 리스크를 감내하면서 입찰에 적극 참여하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완전히 셀러스 마켓이다보니 개인적으로는 어떤식으로 나올지 예상이 잘 안되네요 ㅎㅎ 저 방식으로 입찰하면 조선소는 대금 지불시기가 뒤로 분명히 밀릴텐데...
@seawater01022 күн бұрын
2028년 이후 조선소 물량이 감소할 것이라 시장 전망에 맞추는 전략을 조선소가 세운다면 이 같은 방식을 따르겠지만 다른 전략이 있다면 입찰에 조선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은 시황에 따라 결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JuKo40222 күн бұрын
@@seawater010 답변 감사합니다!
@박준진-b6x24 күн бұрын
트럼프 취임이 우리나라에 약이될지 독이될지... 기대반 걱정반.ㅠ
@송원철-x7iАй бұрын
결국 대주주만 돈번는거네 외노자만 득실돼는 조선 적자나면 세금으로 메우고 언제까지 이지랄할건지
@태태-w5yАй бұрын
세상 돌아가는기 안 보이나? 해운하고 조선하고 헷갈리나? 기계 장치산업 방산 중요성 모르나? 조선족이가?
@박종남-r1o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박준진-b6xАй бұрын
올해도 수고많이 하셨습니다.
@seawater010Ай бұрын
한화오션의 수주실적 데이터 수정합니다. 호휘함 2척을 포함하여 총 44척을 수주하였습니다.
@나이어린너구리Ай бұрын
싱가포르 발주라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좀 흠칫하긴 하내요
@리필립-o4mАй бұрын
한화오션 성과급 : 초코파이 1상자 (농담아님)
@박종남-r1oАй бұрын
좋은 👍 👍 👍 정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seawater010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Again-ir6ndАй бұрын
선사는 어딘가요?
@한대순Ай бұрын
일본은 5500톤 12척 ,6500톤 12척 일본에대비 낮은톤수로인해서 낮방공능력 엘셈탐재불능 톤수적고 숫자적고 1시간이내에 일본에 괴멸된다
@이재훈-c6h5nАй бұрын
듣보잡들이 뭐하는 짓인가?
@Moses-yw8zqАй бұрын
미국시급과 workmanship으로 선박 건조및 수리가격이 경재력이 있을지? 그리고 반도체 산업이 왜 아시아로 갔는지? 그리고 조선, 중장비등 모든 산업이 임금이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흐름을 인위적인 법으로 막을 수 있을가요? 한국이나 일본 조선소가 미국에 투자한 전자산업보다도 사람구하기 어려운데 가겨켱쟁력이 나올가요? 신발에다가 발을 맞추는 게 아닐런지? 다행인 것은 우리 도크가 4년정도 미리 차서 공격적 수주를 안해도 되는 상황과 미국 군함을 중국에서 만들 일은 없을 것입니다 반도체나 자동차같은 대미투자가 앞서나가는 우를 범하거나 제품및 생산기술을 합작선에 넘겨주는 실수는 예견되는 일입니다
@울강쥐돼지Ай бұрын
해궁 사거리 늘려야 할듯 그동안 육군 미사일은 사거가 긴데 해군 미사일은 ,,ㅜㅜ
@대장금남편Ай бұрын
해궁은 대함방어용입니다.. 대함 미사일은 20km 전에 탐지가 힘들어요.. 사거리는 20km는 넘는걸로압니다.. 항공기 요격용 함대공 미사일 120~150km 정도 하는 모델 따로 만들고있습니다..
@뚱이아빠-d9nАй бұрын
올해는 수주 불가여 모잠비크가 정치상황이 안좋음 내년 1월도 불투명
@jamesy9279Ай бұрын
그러나 종북좌파 공산세력 민주당과 국힘 프락치들이 미국과의 방산협력을 북한,중국과 함께 필사적으로 방해하고 저지할 겁니다. 이미 대통령과 각 행정장관들, 국방, 안보, 검찰, 경찰, 감사원장, 군정보기관 등의 수장들을 탄핵 및 직무정지시켜서 국정마비와 반정부 국가전복을 꾀하는 반란, 내란, 이적행위 여적죄를 하고 있는 민주당과 국힘. 미국과의 방산협력은 국회와 방송사, 북방부에 알박기 된 북한, 중국공산당 간첩들에 의해 전혀 쉽지 않을 겁니다. 종북굴중 공산주의 반국가세력들과 그 가족들 모두 샅샅이 찾아내서 모조리 CIA와 일본 공안조사청, SIS에 신고해서 자유대한민국 국민들이 직접 바로 잡아야 합니다. " We go together " " Freedom is not free "
제발 함대공미슬좀 제대로 장착합시다.. 사거리 20키가 유일한 함대공미슬이라서 이번에 호주해군사업에 떨어진 것입니다
@dongkim2340Ай бұрын
호주산 씨파 레이더 호주에서 쓰는 ESSM등 외산 무장 다 달아주기로 한거임 다른 이유로 떨어진거죠
@한대순Ай бұрын
5000톤이상을 확대해야 엘셈탐재할수있어 방공능력 향상된다
@영철-l8i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잡파세끼-e8b2kАй бұрын
삼중 FLNG가 연내 수주가 되긴되는겁니까? 뭘 믿고 올해 안에 된다는거죠? 올해도 이제 9일밖에 안남았는데 올해 수주될거란 얘기는 무책임한거 같네요
@seawater010Ай бұрын
삼성중공업의 수주 목표입니다. 회사의 정책 내용을 전달드린점 참조하세요..
@aragonkuhn7124Ай бұрын
한국의 조선 회사들은 해외에 컨테이너선등 저가 선박 조선소를 운영하여 조선 건조 능력을 확장하여 중국의 점유 비율이 높지 않도록 해야한다. 고부가 선박은 한국 생산. 저가 선박은 해외 조선소 생산하여 중국이 일방적으로 늘리지 못하도록 해야함. 지금 한국에서의 생산능력은 한계에 달했음.
@seawater010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현실을 인정할때 길이 보이는 법입니다.
@짱지누Ай бұрын
안한다.
@jclulu3942Ай бұрын
수주 척수가 많으면 CGT도 자연히 클 수 밖에 없음. 그래서 CGT는 척당 CGT가 중요한 것이고 이걸 봐야 함. 척당 CGT가 고부가가치를 건조하냐 저부가가치를 건조하냐의 판단 기준임. 척당 CGT는 여전히 한국 >>>> 중국 > 일본. 삼국 중 일본이 제일 저가 핫바리 선박만 건조 중. 그리고 중국의 수주량은 중국 국내 발주가 많기 때문에 국내 발주 수주량과 외국 발주 수주량을 나누어 봐야 의미가 있음.
@나이어린너구리Ай бұрын
큰 그림만 보면 맞음 유럽-일본-한국-중국 으로 인건비 싸고 원자재까지 확보한 중국으로 옮겨가는 중 다만 미국이 러시아파이프 깽판+관세압박에 유럽,아시아가 미국발 석유가스 많이 받아올거고 이걸 기존 LNG선이랑 벙커선으로 할건지 생각해봐야함 미국이 한국을 위해 친환경 선박을 이용하라는 얘길 할거고 기존 비친환경 선박의 신규발주를 이끌 가능성이 있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한국이 무조건 미국의 군함 역량을 끌어올려줘야 하기 때문 대중전략과 엄청난 관계가 있음 어지러운 형국임
@이시윤-q8gАй бұрын
너구리님, 독자님 저는 해양대학교 항해과 학생인데 이제 승선해야할 선종 (LNG, 카캐리, 컨테이너) 을 선택해야하는데 전망을 생각하면 어떤 선종으로 가는게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