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프런에 있는 리눅스 실무 입문강의를 들으려고 하는데요.(총 4시간 43분짜리 강의) 이거 it나 컴퓨터 관련 지식이 전혀 없는 문과출신 비전공자도 이해 가능할까요?
@SeniorCoding15 күн бұрын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처음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작된거에요. 무료 강좌 한번 보시고 결정하세요. kzbin.info/www/bejne/bITVZJhrgqqIrKs
@나도고양이-m5v21 күн бұрын
취준생 입장에서 이런 공부하기가 쉽지 않은것 같습니다. 고급 정보 감사합니다 😊
@SeniorCoding20 күн бұрын
취업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지만,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 이런 공부를 해 놓으면 반드시 취업하실거에요. 화이팅!!
@dustshooter569221 күн бұрын
zod가 요즘 확실히 대세인거 같기는 합니다. 브라우저에서 굴리기는 모듈이 많이 무거워서 과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서버에서 데이터 다룰때는 괜찮은거같아요.
@SeniorCoding21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천하통일했네요. 클라이언트 성능도 많이 좋아져서 요즘엔 매끄럽게 잘 되네요. 앞으로 TypeScript + zod 로 Type Safe Programming 이 웹 쪽에 표준으로 잡을 거라 추측해봅니다.
@dustshooter569217 күн бұрын
@@SeniorCoding 표준으로 잡힌다 하시니 생각난 질문이 있는데요. 스키마에 대한 런타입 검증을 zod로 하더라도 타입스크립트는 에러 처리의 경우 자바같은 언어에 비해 부실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effect 같은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러닝 커브가 있다보니 국내에는 소개가 덜 된 거 같은데 너무 과한지 아니면 나중에 국내에도 조명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프론트에서 쓰긴 과해보이지만 타입스크립트를 화면 개발할 때만 쓰지는 않으니까요
@SeniorCoding15 күн бұрын
effect도 물론 훌륭한 type-safe library입니다. 하지만 effect는 더욱 더 넓은 의미에서 error/exception, promise까지 커버하는 더 큰 개념입니다. ts+zod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봐도 될 듯 합니다.
@gskim7222 күн бұрын
오래간만에 저의 KZbin 알고리즘에 뜨셨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eniorCoding21 күн бұрын
오랜만입니다. 들어주셔서 제가 감사드립니다~
@김지혜-m2t28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ustshooter569228 күн бұрын
사이드 할때 프리즈마 쓰는데 반갑네요 ㅎㅎ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SeniorCoding28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nyyang7806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당
@gamja-l2w2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오래 전 영상이라 코드를 따라하진 않고 참고로 시청만 하였는데요. 많이 배웠습니다. 궁금한게 header 또는 footer 에 넣는 방식은 현재도 그렇게 하나요?
@Gina-i4t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github link가 유효하지 않다고 뜨는데 다른 링크가 있을까요?
@SeniorCoding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private이었네요. public으로 다시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zero11-Brabo3 ай бұрын
개발자들 말로는 이 도마뱀 책만 마스터 하면 자바스크립트 " 졸업 " 이라는 말들을 하더라구여..! ^^ 옛날에 ' 코뿔소 ' 시리즈가 거의 원서에 가깝게 팔려나갔는데... 해외번역본이라 번역이 잘못되... 읽기힘들다는 말을 햇는데... 그거 읽었던 사람들이 중고나라에 코뿔소 책 다 팔아버리고~ 이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로 바꿨다고 많은 말들을 하더군요.. 실무에서 개발하는 실무자들도.. 이 책이 내용이 상당히 풍부하다고 얘기하더군요.. ^ ^
@SeniorCoding3 ай бұрын
책이 나온지 좀 오래되어 es버전이 너무 낮아요 최근에 좋른 챡들이 많이 나왔어요
@ungjimmybutler3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오라클을 시작해보려고 찾아보던 중 막막했는데 도움이 많이 될것 같습니다.
모르고 그냥 쓰던게 너무 많았네요. 저 원리를 이해하면 부모 컴포넌트가 바뀌면 자식 컴포넌트가 rerender되는게 너무 당연하네요
@김지혜-m2t5 ай бұрын
🎉🎉🎉🎉🎉
@하영-u5i4 ай бұрын
😀
@지나가는바퀴벌레-s4c5 ай бұрын
감사히 잘 시청하겠습니다!
@헉네오5 ай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뒤늦게 Spring을 공부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요청드리고 싶은 강의가 있어서 가능 하시다면 부탁을 드리고 싶습니다. 먼저 마스터 db를 관리하는 A부서가 있고 자재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B부서가 있다면 A부서에서 관리하는 마스터 DB중에서 고객관련 테이블 있는데 B부서는 고객관련 데이터를 오로지 마스터에서 관리하는 고객테이블의 데이터만을 받아서 자재관리 시스템의 고객 데이터를 저장하고 쓴다면 A부서에서 고객데이터를 CRUD 할때 B부서는 이것을 인지하고 그 시그널을 받아서 자재관리 시스템에 CRUD 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필요할 텐데 이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라서 강의를 부탁 드립니다. 회사의 개발 환경은 spring framwork / mybatis/ maven /orcale 입니다
@SeniorCoding5 ай бұрын
방법 1. MasterDB쪽에서 SlaveDB를 링크걸어 Mybatis에서 동시에 쿼리를 날리는 방법(트리거도 가능) 방법 2. 각 DB별로 Application단에서 만든 Queue를 두어, 부가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쿼리를 해당 DB의 Queue로 넣어두고 Thread가 돌면서 처리(Messaging Queue 방식) 방법 3. MasterDB에 들어온 쿼리에 대하여 임시테이블에 Slave에서 처리활 쿼리(또는 값)을 넣어두고 Slave쪽 WAS에서 그 임시테이블을 Thread로 읽어 처리 이 정도로 하고, 스프링 수업을 하게되면 강의 영상을 만들어 드릴게요.
@동현-f1q5 ай бұрын
미들웨어 10년차 쪼렙입니다. 개인적으로 아직도 매력있는 직업군이지만 이름 그대로 중간 티어에 속해 있어 장애상황 때 손해보는 장사가 좀 있습니다. 어느 직군도 마찬가지지만 내가 다루는 솔루션에는 문제가 없다는 걸 항상 증명할 줄 알아야 살 수 있습니다.
@SeniorCoding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힘든 직군에 계시네요 그래도 멋지세요!
@전재연-r2m6 ай бұрын
목소리 너무 좋으시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최고!!!
@aaron-kim006 ай бұрын
Thank you
@컨설턴트-g2e6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 김신일 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잘보고 있습니다 ^^ 8월 6일에 뵈요
@aaron-kim006 ай бұрын
Thank you
@김지혜-m2t6 ай бұрын
유용한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성훈-c9h6 ай бұрын
이 개념은 여러 방면에 적용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되어서 너무 유용했습니다
@상죽7 ай бұрын
선생님 현재 stomp 방식으로 채팅방 구현중인데 websocket socketjs stomp 나눠서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아직 완벽히 이해한것은 아니지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eniorCoding7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너무 오래전 영상이라 올 해 최신 버전으로 새로운 영상 제작해 올리겠습니다~
@zzgo3328 ай бұрын
di는 그냥 함수의 파라미터로 클래스를 전달한다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듯..
@스터햄-n8f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너무 유익하게 초반을 듣고있는 학생입니다. 강의 극 초반을 보고 있는데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도커 재생목록을 먼저 보고오는 것이 좋을까요?
@SeniorCoding8 ай бұрын
꼭 먼저 보고않아도 됩니다 리눅스를 공부하는게 목적이니까요
@스터햄-n8f8 ай бұрын
@@SeniorCoding 감사합니다!
@Deokwan8 ай бұрын
설명을 알기쉽게 잘하시네요. 우연찮게 보게됐는데 많이 배워갑니다. 좋은 영상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ev_pig9 ай бұрын
이 채널 너무 저평가 되있다..
@BomHaneul10 ай бұрын
흠.. 이거 아직도 구현되나요?
@SeniorCoding10 ай бұрын
네 가능하지만 오래전 버전이라 일부 안맞는 부분은 감안해서 하시면됩니다.
@BomHaneul10 ай бұрын
@@SeniorCoding 이미 디렉토리구조가 너무 많이 쌓여있는데 그거 무시하고 들어도 구현이 가능할까요....?
@SeniorCoding10 ай бұрын
디렉터리 구조 같은건 신경쓰지 마시고 참고만 해서 직접 작성해보세요~
@류한웅-n6g11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는 이야기였습니다. 로봇 비전 관련 일을 하다, 로봇내의 GUI를 일렉트론을 사용하기로 결정이 되서, javascript 부분을 보고있었는데 웹서비스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대로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vhsshdlajs1611 ай бұрын
임차인, 임대인에서 잘못 설명하셔서 그때부터 조금 신뢰가 깨지면서 집중력도 떨어지네요.
@SeniorCoding11 ай бұрын
주의하겠습니다
@jlim391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empsmedia Жыл бұрын
강사님 .. 강좌를 따라가다 보니까, 예제로 사용하고 있는 bootstrap파일이 현재 bootstrap웹 사이트에 존재하지 않는것같은데요 혹시 오리지널 압축파일 Magazine-Template를 받을 수 없을까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아.. 이 템플릿이 너무 오래전 버전이라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아래 무료 템플릿 중에 하나 사용하시는게 좋을거에요. MDB: mdbootstrap.com/freebies/ Original: startbootstrap.com/themes
@-Namul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컴공복전예정 학생인데. 코딩이나 개발전반 공부법이 일반적인 학문을 접하는것과 비슷하나요? 보통 다른학문에서는 쭉읽고 이해를 조금 한다음. 지속적으로 회독을 하며 지식을 완성하는데. 이 코딩이라는것은 실습이라는 다른점이 있어서 공부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1. 책으로 개념등 회독을한다 2. 예제등을 꾸준히 연습해본다. 3. 프로젝트 등으로 활용해본다 이러한 과정으로 학생때부터 현업때까지 공부해보면 될까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일단 개념을 이해하는게 중요합니다. 수학도 마찬가지지만 패턴만 외워서 푸는 것보다는 개념을 이해하고 코딩해봐야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요. 일단 이론을 열심히 하고, 예제와 플젝을 반복하면서 머리와 몸으로 익혀야합니다.
@-Namul Жыл бұрын
@@SeniorCoding감사합니다.😊
@크아아아앙-j4y Жыл бұрын
컴공과 학생인데 진짜 명강의네요 감사합니다 강의력 좋으시네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과찬이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비버팩토리-i8w Жыл бұрын
평균요금 알수있을까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무료 크레딧이 끝나면, 사용하는 네트웍이나 하드웨어(CPU, Memory) 그리고 연산량에 따라 과금됩니다~
@hearerrr Жыл бұрын
인프런 강의 링크가 없다고 나오는데, 강의는 따로 수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인프런 링크가 계속 변경되는군요 홍보링크 드릴게요~ inf.run/6qVm
@나열심-s8v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원리가 너무 궁금했었는데 덕분에 이해됐습니다 직접 강의 들으시는 분들이 너무 너무 부럽네요ㅜㅜㅜ
@vs2u88a Жыл бұрын
이거 개인블로그에 내용 정리좀 해도 되나요?? 물론 출처는 밝히구요. 강의 내용이 감탄 스러워서.. 블로그에 정리도 하려구요. 시코님 홍보도 되고 좋을거같기도 하구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네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tyttyty94834 ай бұрын
개인블로그에 정리해 두신거 보고싶은데 주소 공유 가능할까요?
@tempsmedia Жыл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하나의 파이썬 어플리 케이션을 웹 페이지 상에서 구동 되게 하려면 뭘 공부해야 할까요 이를테면 터틀이나,opencv등으로 구현한 파이썬 프로그램을 exe로 만드는 방법 말고, 이것을 그냥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게 하려고 하는것인데, 어떻게 학습을 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과거에 flash 애니메이션 같은경우라면 그냥 src,embed로 삽입하면 되는건데.. 그렇게는 안될거고... 파이스크립트가 있어서 잠시 봤더니 얘네들은 turtle같은게 지원이 안되고, 웹사이트 중에서 trinket이라고 있는데 이쪽에서는 코드를 받아서 자기네들이 웹상에서 구현해주고 이때의 코드를 링크로 제공하는 식으로 되어있는데요.. 그런데 이것은 한계가 있기때문에.. 제가 원하는건 이걸 직접 구현했으면 하는데요.. 어떤 프로그램을 공부해야 될까 막막하네요. flask를 봐야될까요? 그런데, 웹 서버에서 동작하는 그런것과 연관된 강좌들만 주로 보여서 제가 찾는게 아니더라구요. 두줄로 요약할게요 1. 단순한 파이썬으로 짠 터틀 코드가 있다. (별 그리기.예를들어) 2. 이걸 웹 페이지에서 열때 실행되게 하고 싶다. 어떤걸 공부를 해야 할까요?
@SeniorCoding Жыл бұрын
제가 요즘에 파이썬을 놓은지 오래되서, 최근에는 많은 방법이 있을텐데 저는 잘 모르겠어요. 검색해 보시면 잘 나올거에요~
@tempsmedia Жыл бұрын
@@SeniorCoding예 답변 고맙습니다. 그리고 저에게는 강좌가 다소 어려운듯하지만, 진정성 있게 느껴졌습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