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마정아
@마정아 5 ай бұрын
순금뺏지 뒷면에 침을 땜질 한것같은데 받을때부터 뺏지 뒷면 색상이 어둡게 변해있어요.보증서도 있는데요.팔고 싶은데 가치가 떨어진것일까요?
@peterlee1225
@peterlee1225 5 ай бұрын
잘 보고 많은 참고가 됩니다, 음질이 너무 않 좋은데요, 혼자 하시면 정말 많은 챙겨야할게 많은걸로 이해합니다, 감사합니다.
@Jeong-h4q
@Jeong-h4q 8 ай бұрын
솔 다듬을때는 어떻게 하나요?
@킴냥똥
@킴냥똥 9 ай бұрын
뻥작업 몇년동안하셨나요 ? 기관지 ,몸 안좋아지거나 한곳없으신가요 환풍기는 없이 창문만 열어놓고 해도 괜찮나요 ?
@ig1699
@ig1699 Жыл бұрын
영상잘보았습니다. 고무구입처 알수있을까요? 참고로 ...납을 부어도 괜잖을까요?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종로3가 도매상가들 사이에 있는 영진재료가 구매하기 좋습니다. 고무틀에 납을 부으신다는 건가요?
@ig1699
@ig1699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네. 고무가 녹지않을까?...걱정됩니다....흠,;;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아주 급하게 작업해야될때 간혹 사용하는 방법이긴 한데, 제가 은까진 작업해봤는데 납은 녹는점이 은보다 높으면 조금 위험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만약 어쩔 수 없이 하시게 된다면 좀 더 튼튼한 실리콘 가다를 사용하시는게 좋을거 같구요. 벽돌 같은걸로 가다틈 벌어지지 않게 완전고정한 상태로 개방된곳에서 작업하시면 될거 같아요~
@ig1699
@ig1699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넹. 감사합니다. 안전하게 해보겠습니다 ^^
@de-ty5lu
@de-ty5lu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레이저땜후에 까맣게 그을리는 부분은 어떻게 없애나요?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요즘 알림이 안와서 몰랐네요 ㅜ 보통 유산물에 1분정도 삶으면 그을음이 싹 빠집니다.
@red3337
@red3337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오븐에 넣어주면 왁스는 석고에 스며드는 원리인가요?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석고 밑부분에 구멍으로(주물 넣는 부분) 녹아서 빠지는 원리입니다 ^^
@red3337
@red3337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궁금했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최고세요
@queenant_1113
@queenant_111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주물을 배우는 중입니다 궁금한 점은 2가지 입니다 질문 1)주물 쏠 왁스량 대비 준비해야할 물과 석고 비율과 양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2) 초알물림의 경우 적절한 매몰법이나 석고종류도 궁금합니다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1. 저같은 경우엔 저울에 중량을 달아서 물의 양을 맞추는게 아니라 플라스크 크기별로 기억해놓고 사용해서 정확히 수치상으로 설명드리기가 어렵네요 ㅠ 매몰이 잘되는 석고비율은 미온수 물에 석고 넣으면서 저을때 젓는게 약간 힘이 들어간다 싶을때가 가장 좋은 농도더라구요. 이것도 매번 감각으로 하는거라 정확한 설명을 못드리겠네요. 죄송합니다~! 2. 초알물림하신다면 매몰의 영향보다도 초알로 쓰는 큐빅의 종류나 주물의 영향이 제일 클거에요. 혹시나 매몰의 영향이 있다면 석고벽이 무너져서 주물 부을시 조각발에 타고들어가 다 막혀서 나오는거 정도가 있을거같은데, 그부분이 걱정이시라면 조금 비싸지만 확실히 단 단한 석고를 추천드려요~! ex. 옴니, 랜섬란돌프(울트라 베스트), 랜섬란돌프(플라스틱)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게 옴니 석고입니다. 랜섬란돌프 석고들은 가격대가 엄청나 게 비싸서 캐드전용 석고로 많이들 사용합니다~! 단단하기는 옴니보다 훨씬 성능이 좋습니다.
@맥그로드
@맥그로드 Жыл бұрын
너무 궁금했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제제-q7w
@제제-q7w Жыл бұрын
우와우와 이런 채널이 있었다니!!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올해부터 다시 천천히 시작예정이니 자주 들려주세여 ^^
@포비-f5o
@포비-f5o Жыл бұрын
혹시 금땜할때 냄새나 인체에안좋은성분이 나오나요...:;?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불땜할때 나오는 그을음은 심한독성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맡게되면 몸에 안좋을거 같긴해요. 땜을 잠깐잠깐 하시는거라면 큰 문제는 없을거같아요 ㅎ
@포비-f5o
@포비-f5o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찾아보다가 혹시나하고 물어본건데.,답변너무감사드려요 ㅠㅜ땜업무 하게될수도있어서 넘궁금해서요 하핫: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포비-f5o그렇군요. ㅎㅎ 땜업무를 연속적으로 하게 되신다면 1시간정도 집중해서 하고 바람이라도 쐬면서 휴식시간을 적절히 가져주시길 바래요. 저희업계분들이 오래 일하신분들보면 대부분 기관지가 안좋거든요. 꼭 불을 다루는 업무후엔 환기도 시키고 해주셔야 합니다~
@toto-g8n
@toto-g8n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스테인레스 스틸끼리는 땜이 불가한가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레이저땜 하시려는 건가요? 같은 재질끼리는 땜 가능해여~
@toto-g8n
@toto-g8n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엇..토치로는 어려운거져? ㅜ_ㅜ...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toto-g8n 땜작업 온도까지 올라가게 할수 있다면 토치로도 가능할거 같은데, 전용 불대로 작업할때보다 힘들거 같아요 ^^;;
@toto-g8n
@toto-g8n 2 жыл бұрын
늦은 시간에 답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어디선가 써지컬 소재는 땜이 안된다고 본것 같아서 아예 불가능한건지 찾아보는데 정보가 잘 없더라구요...🫠 토치를 사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이됩니다..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toto-g8n 안된다고 하는 이유가 도금이 된 후라 그럴거에요~! 도금이 올라간 후에 땜작업이 안되거든요. 악세사리 전용땜으로 하면 된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써지컬작업은 안해서 정확히는 설명을 못드리겠어요 ^^;;
@유투쓰리포파이브
@유투쓰리포파이브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아연이나 써지컬에 신주를 땜할수도 있나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자국은 그대로 남지만 서로 다른 재료에 땜 가능합니다 ^^
@유투쓰리포파이브
@유투쓰리포파이브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재료 모두 무도금 상태에서 땜을 하고 후에 도금을 하면 괜찮겠네요! :) 아연 재료가 전착코팅이 되어있어서 땜이 아예 안먹히더라구요ㅜㅡㅜ
@찬선윤-r4m
@찬선윤-r4m 2 жыл бұрын
인두기로 간단한 은땜 가능한가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은땜은 인두기 온도로는 녹지 않을거에요. 간단한 핸드형 토치정도는 되야 땜이 녹아서 스며들 수 있을거에요~
@찬선윤-r4m
@찬선윤-r4m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감사합니다~
@nonamer007
@nonamer007 2 жыл бұрын
기초 내용은 여기저기 너무 많은데 심화 부분이 많아서 다 챙겨보게 돼요! 더 많이 올려주세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일이랑 영상작업을 같이 하기 너무 힘들어서 못하고있었는데 올해부터 다시 시작해볼게요 ㅎ
@loveya-b3z
@loveya-b3z 2 жыл бұрын
다음편은 또 언제 나올까 살며시 기대해봅니다….😁😁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촬영과 일을 병행하기 힘들어서 요즘 업로드를 못하고있어요 ㅜ 내년부터는 다시 업로드 해보려구요. 좀만 더 기다려주세여 ㅎㅎ
@saeromkong8648
@saeromkong8648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익한 동영상 감사드립니다. 혹시 금이나 은 말고 신주로 주물할시에 몇도에 몇시간 소성로에 넣어야하는지 알수있을까요? 제가 아시는 부은 600도에서 4시간도 충분하다고 하시는데...맞는지 모르겠네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여. 굳이 여러세팅을 안하고 온도 하나에 맞춰서 해도 주물은 나오거든요. 600도가 금, 은 , 신주 등 작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온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여기서 세부온도 셋팅을 하는 이유는 기포를 잡기 위해섭니다. 작업물이 광을 안내도 되는 물건들이면 어떤 온도에 작업해도 크게 상관없습니다. 근데 광을 잘 내야 하는 물건들은 적정온도에 주물을 쏴야 광도 잘나고 작업도 간편하게 되거든요 ㅎ 저같은 경우엔, 금은 600~620도, 은 500~520, 신주 550~600도 에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주물은 쏠때 불의세기도 중요하니 여러번 작업해보면서 감을 익히셔야 할거에여~ 또 궁금한거 있으시면 댓 남겨주세여 ^^
@saeromkong8648
@saeromkong8648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또 궁금한점 있으면 답변 부탁드릴께요~~
@ssoonj4217
@ssoonj4217 2 жыл бұрын
랩장비는 원반 돌아가는 식으로 돌아가면서 각이 필요한것만 사용하는거고..빠우는 각을 내지 않아도 되는것들을 양모?로 광내는거죠?..그리고 솔 이라는거는 재질이 뭐에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넵 알고계신게 맞습니다~ 솔도 재질이 몇가지 되는데, 돼지털 재질의 솔이 제일 많이 사용됩니다 ^^
@강민정-s3m2o
@강민정-s3m2o 2 жыл бұрын
랩장 소재는 무엇인지 알려주실수있을까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두가지 사용하고 있어요. 나무 랩장이랑, 미제 파라마운트 하드 랩장(양털재질)이요. ㅎ
@myname35237
@myname35237 2 жыл бұрын
뻥작업을 할때 청산가리를 사용한다는 말이 있던데 영상에 올려주신것과 같은 작업인가요? 혹시 둘이 차이가 있다면 어떤 차이가 있나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청산가리는 써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근데 시안화칼륨 자체도 냄새 엄청 역하고 안좋은데, 청산가리는 더 안좋을거 같아여 주물 후 금속에 낀 떼들 벗겨내는 역할 하는데 시안화칼륨으로도 충분한데 너무 독한약품은 피하는게 좋을거같아여.
@Amaaaazin
@Amaaaazin 2 жыл бұрын
체인팔찌 땜하다가 너무 열받았었거든요 지들끼리 붙어버려서 아우디 로고 되어버려가지고... 근데 뭐 중간에 아주 그냥 붙어버려서 잘라내고 나서 마지막에 꼬는데 링하나 터질때 충격이란.. 분명 이상없었는데..레이저는 다음학년부터 사용가능해서.. 너무 힘들었어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영고리들은 불땜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편이에요. 때울부분 이점 정확히 맞추고 그부분에 붕사 살짝 발라야 그자리만 땜이 사악 스며들거든요. 붕사가 다른부분에 묻게 되면 땜이 타고 넘어가서 다른부분이랑 같이 붙어버리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리고 붕사칠이 잘 안된다면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다른부분이 녹아버리는 경우도 생겨요. 불땜의 키포인트는 정확한 이점 맞추기, 적당한 붕사칠, 적당한 열 가하기가 될거같아요. 현재 작업현장에선 불땜 쓰는경우는 원본에 뽕대 붙이는 작업할때나 쓰지 왠만한건 레이저땜 사용하니 너무 난이도 높은 작업에 스트레스 받지 마세여 ^^;;
@Amaaaazin
@Amaaaazin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레이저 땜이 있다는걸 선배(2학년)들이랑 친한 애들때문에 2학년이 어슬렁거리면서 해줄까? 이래가지고 그런게 있는줄 알았어요 ㅋㅋㅋ... 다 불땜하는줄알았습니다
@Amaaaazin
@Amaaaazin 2 жыл бұрын
전 광실이 더 맞는거같아요.. 아닌가 잘 할거라고 다짐했은데 1학년 1학기 늦게 갑자기들어가선 흠... 방학하니 그래도 선생님영상들보고 많이 도움되었습니다 저희교수님이 안 가르쳐주신 부분들도.알게되었네요 주물과정 궁금해서왔다가 꿀계정 발견해서 기쁘네요 예전에 회사에서 일할때 실리콘 몰드 짜서 탈포기 해가지고 막 하던기억나서 역시 현장직이 맞나 ㅋㅋㅋ 암튼 그러네요 영상잘보고 앞으로도 잘보겠습니다 아는 용어가 아직 별로없네요 어케어케 눈칫껏 이해중이에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앞으로 시작하실분들을 위해 만든영상들인데 도움이 되셔서 기쁘네요 ㅎ 모르는거 있으면 댓달아주시면 아는범위내에서 답변드릴게여 ^^
@jwh4952
@jwh4952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광작업중 세줄로 연결되있는 사이부분을 아무리해도 광이 잘 안나서요 ㅠㅠ 말씀하신 솔바로 작업후 광치면 매끈하게 나올까요? 거칠게 마감이되서 티가나네요 ㅠㅠ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작업하시는 제품 사진이랑 광작업 하신 결과물, 광 잘 안나는 부분 사진좀 보내주시면 좀 더 정확히 말씀 드릴 수 있을거 같아여~~ [email protected] 여기로 보내주세영.
@jwh4952
@jwh4952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ㅜㅜ이메일 보냈습니다!
@loveya-b3z
@loveya-b3z 2 жыл бұрын
오우 ㅠㅠ 너무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아직 랩 작업 초보인데요ㅠㅠ..랩작업을 하다보면 랩치는대로 계단모양처럼 결? 모양이 생기는데 이건 혹시 왜그런지 아실까요..?ㅠㅠ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지금 사용하는 랩장이 미제(파라멘트) 하드랩장인가요. 기본적으로 랩을 치면 결은 생기긴 한데 약간 층이 지는거면 랩장이 덜 다듬어져서 그럴거에여~! 기본적으로 300방 사포로 한번 다듬어주고 숫돌로 마무리 해준 후 광약으로 코팅해준후 작업하면 부드럽게 작업될거에여~! 랩장 다듬을때는 나무판에 사포 둘러서 평을 유지하면서 다듬어줘야 평평하게 잘 다듬어집니다~!
@loveya-b3z
@loveya-b3z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열심히 연습 해보고 있는데 너무 어렵네요 ㅠㅠ 혹시 감이라도 익힐 수 있게 하루정도라도 수강은 따로 하시지 않으시겠죠? ㅠㅠ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랩기술이 광기술의 꽃인만큼 난이도가 있긴하죠 ㅜ 제가 직접 코칭은 해드리진 못하지만 어떤제품 작업하시는지 샘플을 보내주시면 제가 한번 손봐드릴게여~
@흔한생선구이
@흔한생선구이 2 жыл бұрын
혹시 백금 함량별로 녹는점 알고계신가요? 950pt, 900pt 녹는점이 궁금합니다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 백금작업은 안해서 저도 잘 모르겠어여 ^^;; 요즘 종로에서 백금 하는업체가 많이 없다보니 정보얻기도 조금 힘든거 같아여~
@흔한생선구이
@흔한생선구이 2 жыл бұрын
혹시 금 주물 온도가 14, 18, 24 차이가 있나요? 차이가 난다면 얼마나 나는지 각각 어느 정도 온도에서 녹는지 석고 담고 주물 뽑는 캔? 에 크기에 따라 주물 온도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1. 14K, 18K, 24K 각각 주물 온도 차이가 있습니다. (주물이 온도, 습도, 작업자의 컨디션 등등 여러가지 영향에 좌지우지 되다 보니 정답은 없습니다.) 각각 작업온도는 14K 골드(550도~600도 사이에서 작업하는게 기포도 최소화되고 좋습니다.) 18K와 24K도 저 범위 안에서 작업하면 됩니다. 14K 작업할때보다 18K와 24K는 불의 세기를 좀 더 약하게 해도됩니다. 함량이 낮아질수록 온도와 불의세기를 높게 작업해줘야 됩니다. 그리고 금의 색상에 따라서도 불의 세기가 조금씩 틀려집니다. ( 골드 << 핑크 << 화이트 순으로 온도와 불의 세기가 강해져야 작업물이 완벽히 나옵니다.) 그리고 두꺼운 제품과 얇은 제품이 작업온도와 불의세기가 다릅니다. 두꺼울수록 온도와 불의세기를 낮게, 얇을수록 강하게 작업하면 됩니다. 제가 작업하는 온도를 말씀드리면 *14골드(580~600), 14핑크(600~620), 14화이트(620) *18골드(550~580), 18핑크(600), 18화이트(600) *순금(550) 저같은 경우엔 이렇게 작업하고 있습니다~! 겨울철엔 저 온도에서 조금씩 올려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2. 플라스크 크기와 주물 온도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금작업 온도는 550도~600도 안에서 14K, 18K, 24K 모두 작업할 수 있습니다. 핑크와 화이트 같은 경우엔 제품에 따라서 620도 까지 올려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균 범위는 저 온도이니 작업하려는 제품과 함량에 따라 최적의 온도를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
@흔한생선구이
@흔한생선구이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넵!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흔한생선구이
@흔한생선구이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네이버에는 금 용융점이 1064도 로 나와있었는데 녹인다음 살짝 식혀서 주물하는 건가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처음은 좀 강하게 녹이고 불 세기 좀 조절해서 주물작업해야 기포 최소화됩니다~ 소성노 온도랑 비슷하게 주물해야 좋고, 1000도 그대로 주물 작업하면 기포심하거나 작업물 끓어서 못쓰게 될거에요.
@흔한생선구이
@흔한생선구이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넵!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asonshin3205
@jasonshin3205 2 жыл бұрын
플래티늄 반지같은 주물은 석고가 강해서인지 플래티늄 반지에 붙은 석고가 물로 제거가 안되서 너무 힘든데 그건 어떻게하면 쉽고 깔끔히 제거가 되나요? 약품이나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Ultimetia
@Ultimetia 2 жыл бұрын
석고터는건 석고분쇄기장비로 하는게 제일이지만 없으시면 초음파 세척기에 유산가루 한스푼정도 넣고 온도는 80~90도 정도로 놓으시고 반복해서 터시면 깨끗하게 털려나갈거에영. ㅎㅎ
@jasonshin3205
@jasonshin3205 2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감사합니다. 다음에 해보고 후기 남길께요. 리플 달아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해요.
@강형님-j4k
@강형님-j4k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귀금속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잘봤습니다.
@seonhojeon415
@seonhojeon415 3 жыл бұрын
천사팬던트같은 경우 광내기전 사포작업을 다 하신건가요? 핸드피스로 하기 어려울것 같은데,, 어떻게 하신건가요? 수업하신다면 배우고 싶네요... 실무적인걸 배울곳이 마땅치가 않아요ㅠ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천사펜던트 같은 경우는 제품라인이 많아서 사포를 쓸수가 없어 전부 솔작업 후 광냈어요. ㅎㅎ 제가 여건만 된다면 실무수업이라도 하면 좋을텐데 아직은 좀 힘드네요 ㅜ 제가 댓글로라도 도움을 드릴테니 모르는부분이 있으시면 댓남겨주세요 ^^
@seonhojeon415
@seonhojeon415 3 жыл бұрын
자꾸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솔작업이라는게 광약 묻혀서 솔빠우로 다듬는 것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seonhojeon415맞아요~! 광약중 제일 거친 초벌용 광약으로 다듬어 주고 마무리 광약으로 광을 내주면 영상처럼 광이 납니다 ㅎ
@hkk1465
@hkk1465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궁금한게 14k 불땜에서 산소아세틸렌 토치로 작업했을때와.. 석유토치로 작업했을때 땜부위의 강도 차이가 있나요?
@Ultimetia
@Ultimetia Жыл бұрын
땜부위의 강도는 토치의 영향 보다는 작업하는 땜종류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ex. 땜 구매할때 함량 60%, 40%에 따라 강도 차이가 납니다.)
@hkk1465
@hkk1465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궁금한게 14k 불땜에서 산소아세틸렌 토치로 작업했을때와.. 석유토치로 작업했을때 땜부위의 강도 차이가 있나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어떤 토치로 작업해도 땜부위 강도에 차이는 없습니다~! 아마 석유 토치보단 산소토치가 그을음이나 냄새가 덜나기에 대부분 산소를 사용하는거 같습니다~! ㅎ
@hkk1465
@hkk1465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답변감사합니다..^^
@鬼流星
@鬼流星 3 жыл бұрын
금으로 백식 만들면 괜춘할 듯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언젠간 꼭 해보겠습니다~! 다만 엄청난 예산이 ^^;;
@타이슨-h1u
@타이슨-h1u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문의드릴게 있는데 연락을 어떻게 드려야할지 몰라서요. 댓글을 보실까 모르겠네요. 010-3101-2932 가능하실때 문자주시면 연락드릴께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연락드릴게요 ^^
@oha9335
@oha9335 3 жыл бұрын
금제품 땜할때도 불땜시 붕사를 사용하나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모든 재료의 불땜을 할때는 붙이려는 부위에 붕사를 칠해줘야 땜이 붕사를 칠한부분으로 스며들거든요~^^
@oha9335
@oha9335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그럼 14k금선으로 점프링을 만들어도 되나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크기가 너무 큰것만 아니면 가능할거 같습니다~ 대신 땜용재료로 사용하게 되면 불에 녹는점 때문에 땜할때 좀 더 주의해면 될거 같습니다~^^
@oha9335
@oha9335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땜선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oha9335 점프링 두께가 얼마나 되는걸 작업하는지 모르지만 얆은 오링정도는 급할때 금선으로도 작업할때도 있어요. 그래도 연결고리는 원재료로 하는게 제일 좋죠~
@bmi88bmi
@bmi88bmi 3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너무넘넘 x 99999 유용해요!!!! 영상 감사합니다. 흥하실거에요 ㅎㅎㅎ :)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분이 좋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
@sebamjun7359
@sebamjun7359 3 жыл бұрын
레이저 땜 기계는 어디서 구입 하셨나용??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는 재료상에서 구매했습니다. 레이저장비는 전문점도 있어서 거기 문의하면 작업에 필요한 출력으로 견적내줄거에요 ^^
@user-rn9nq5xq8d
@user-rn9nq5xq8d 3 жыл бұрын
같고싶다
@shmu8938
@shmu8938 3 жыл бұрын
문의가능하실까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어떤 문의신가요? ^^
@shmu8938
@shmu8938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반지문의입니다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shmu8938 넵 가능하세요~ 제작문의시면 디자인이나 그림을 [email protected] 여기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
@비명횡사-j2c
@비명횡사-j2c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고무틀에서 초를 뽑았을때 반지호수가 7호라고 한다면 반지호수 14호의 제품을 만들고 싶다고 할때 그런경우는 고무가다를 다시 만들어야 되는 건가요? 아니면 디자인은 맘에 드는데 고무가다가 7호제품으로 나온다고 한다면 몇호까지 어떤식으로 늘려서 제작되는지 궁금해요 반지호수만큼 왁스를 대충 붙이는걸까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원본이 없고 고무가다만 있다면, 왁스에서 14호 사이즈 작업해서 완성하면 됩니다 ^^ 사이즈 작업은 우대부분을 왁스로 발라서 작업하는거라 반지모양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비명횡사-j2c
@비명횡사-j2c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아 왁스도 우대부분에 초를 덧대어서 반지호수를 키울수 있나보군요 우대부분이 키우면서 변형될까봐 물어봤어요
@우주를날다
@우주를날다 3 жыл бұрын
은 함량이 925 맞나여? 알로이가 많이 들어가는거 같아서여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알로이가 이런거구나 하는걸 보여주려고 부은거에요 ㅎ 실제론 순은에서 아주 소량의 알로이가 들어가는게 맞습니다 ^^
@우주를날다
@우주를날다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은 함량을 조절한 은 제품도 인기가 있을거 같아요. 구리1:1은 섞으면 맑은 금빚이 나거든요
@우주를날다
@우주를날다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정해진 틀에 따른 성분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분은 다양한 색과 호기심을 유발할거 같아요. ㅎㅎ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저도 좀 더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
@우주를날다
@우주를날다 3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제가 은 합금 성분별 특성(강도, 경도, 색 등)에 관심이 있어서 직접 비율 짜서 합금해보는 취미가 있다보니 조금은 알게된게 있는거 같습니다. 제 경험이 필요하시면 메일이나 대댓글 주셔여 메일주소 : [email protected]
@희망이79
@희망이79 3 жыл бұрын
주물작업시 궁금한게 있는데 어찌 여쭤보면 좋을까요? 요즘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거든요. 흡입기에 깡 넣고 금 부으려하면 깡 아랫부분이 약 1cm정도 롤케익 자른것처럼 뚝 떨어지거나 금은 들어갔는데 석고털어보면 중간 뽕대는 없고 마디들만 우수수 떨어져있어요. 이거 왜 이럴까요? 뭐가 문제인지..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지금 가장 문제가 되는게 매몰 과정에서 석고 농도가 문제인 거 같습니다. 깡 아랫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이유는 아랫부분 석고 면적이 너무 얇기 때문입니다. 석고가 꽉 잡아 주지 못하니 주물을 부었을 때, 금을 잡아주지 못해서 우수수 떨어져 나가게 된 것입니다. 현재 작업하실 때 석고 농도 보다 조금 더 진하게 하시고 플라스크에 넣으실 때 작업뽕때보다 적어도 2cm 이상 차오르게 넣어 주시는게 좋습니다. ^^
@ViewForYou
@ViewForYou 3 жыл бұрын
은 100돈을 자가구매해서 똑같은 디자인의 5돈짜리 악세사리 20개를 작업 요청한다면 통상 어느정도 작업 비용이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디자인이 어떤 모양인지에 따라 다르구요. 대략적인 도안이라도 알 수 있다면 어느정도 가격 산출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반지 , 팔찌, 목걸이 어떤 종류인지도 알아야 하구요.) 그리고 5돈짜리 20개를 제작하려면 작업 은은 100돈 보다 더 필요하구요. (주물작업에 필요한 중량으로 계산해야됩니다.) ^^
@박혜림-p7r
@박혜림-p7r 3 жыл бұрын
핸드피스로 광을내고있는데 좀더 전문적인걸 배우고싶은데 1-3회 단발성으로 라도 수강은 안받으시나요? ㅠㅠ
@Ultimetia
@Ultimetia 3 жыл бұрын
아직 수강은 안하는데요. ㅜ 지금 어떤 제품을 작업하시나요? 제가 영상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은 도와드릴게요 ㅎ
@민정이아닙니다.정민
@민정이아닙니다.정민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늘 잘 챙겨보고있오요~ 궁금한게있어 질문드려요. 왁스로 체인을 만들면 완전체로 주물을 맡겨야하나요 체인조각 하나만 떼어서 맡겨야하나요? 완전체로 주물하면 다 달라붙어 체인이 움직이지않을까 궁금하네요ㅠ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왁스로 체인을 만드려면 말씀하신대로 조각조각에 다 물대를 달아서 주물 후 조립해야지 되요 ^^ 조립한 상태로 주물할 순 있는데 생각보다 완성도가 떨어져서 주물 후 조립하는게 좋아요. 완전체로 주물을 하려면 방법은 마디마디 물대를 붙여서 서로 붙지 않도록 뽕대에 붙이면 되는데 결국 몇마디 정도는 조립해야하고 이렇게 하는게 작업성이 더 안좋아요 ㅜ
@민정이아닙니다.정민
@민정이아닙니다.정민 4 жыл бұрын
@@Ultimetia 말씀듣고보니 체인은 사입으로 사는게 빠를거같네요...ㅎㅎ 답장감사합니다!
@may_may511
@may_may511 4 жыл бұрын
고무로 되어 있는것도 봤는데 그것도 광낼때 쓰는 건가요? 만약 치아?같은 세밀한 딱딱한 종류를 라운드로 부드럽게 만들 때 어떤걸 쓰나요? 어디서 봤는데 코팅된것처럼 반짝 거리고 괭장히 미끄러웠어요.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광약은 대체로 고체로 되있는 제품이구요. 치약같이 짜서 쓰는 광약도 있어요. 작업하는 재료에 따라서 광약의 종류도 매우 많구요 ㅎ 치아 같이 딱딱한 재질을 다듬을때는 다이아바나 롤페이퍼(가장 낮은 호수)로 다듬어 주고 광작업 하면 될듯하네요. 정확히 어떤 물건인지 몰라서 자세하게 설명은 못드리겠어요 ^^;;
@may_may511
@may_may511 4 жыл бұрын
@@Ultimetia 아 감사합니다.. ^^;; 저도 이름을 몰라서... 캡쳐해서 보여 드릴수만 있다면 ~~ ㅎㅎ
@jiahwang3693
@jiahwang3693 4 жыл бұрын
반지만드는 훈남이닷
@호호-f8p
@호호-f8p 4 жыл бұрын
저 석고가 깨지는데 원인이 뭘까요 ㅜㅜ 250도 3시간, 780도 1시간, 600도 1시간 정도로 가마를 소성하는데...깨져있을 때가 있어요. (주로 캐스터블 레진으로 합니다. 레진용 석고가 아니라 그런 것 같기도?? 해요.) 가마를 따로 예열도 해줘야 하는건가요...?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소성노 온도는 잘 셋팅 되있으신데, 석고가 깨지는건 보통 매몰할때 석고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때 생기는 현상인데요. 혹시 석고 굳히는 시간을 충분히 굳히셨을까요? 매몰하고 석고 굳히는 시간이 한시간이 권장시간이거든요. 석고는 어떤 석고를 사용하시나요?
@호호-f8p
@호호-f8p 4 жыл бұрын
가마 예열이나 이런거랑은 상관이 없었군요~ 석고는 보통 2~3시간 정도 응고시켜요. (옴니 석고? 인 것 같습니다. 전 rp주물을 주로 하는데...구매 시에 석고도 종류가 따로 있다는걸 몰라서 제일 기본적인 걸로 삿어요. 다 쓰면 바꾸긴 해야할 것 같아요 ㅎㅎ) 말씀을 듣고보니...아마 비율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제가 비율도...감이 안잡히고 교반기가 따로 없어 손으로 섞는데 가끔...응어리 진 애들이 부어질 때도 있더라구요. 이번에 핸드믹서 비슷한 녀석을 구매했으니 잘 개서 또 도전해봐야겠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농도는 이게 말로 설명하기 좀 애매한데 ^^; 약간 되다 싶은농도가 제일 좋은 농도에요. ㅎ 레진주물이시라면 거기서 농도를 좀 더 올려서 좀 더 딱딱하게 굳히는것도 좋구요. 해보시고 또 문의 주세요 ^^
@YOUNG-sweet
@YOUNG-sweet 4 жыл бұрын
귀금속 주물은 재밎을것같애 내가 금을 좋아하거든요~~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더욱 재미있는 영상으로 보답할게요 ㅎ ^^
@johnlee379
@johnlee379 4 жыл бұрын
물가 석고의 비율을 10:7이라 하셨는데 부피인지 중량인지 궁금합니다. 재료상에 나와 있는것은 중량비로 물/석고=40/100 으로 되어있습니다. 중량비 40/100 으로 하니 매몰된 석고가 거의 끓지를 않습니다. 한 수 부탁드립니다.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영상의 10:7 비율은 아마도 부피비인거 같아요. 예전에 외국석고회사에서 국내로 교육온적이 있었는데 그때 들은 자료에요. 재료상 비율로 하면 반죽이 엄청 될거 같아요~! 그 비율에서 물의 비율 60~70정도로 높이면 될듯한데요. 저도 요즘은 매몰농도를 감으로 해서 중량비로 어떻게 하는지 기억이 잘 안나네요 ^^;; 예전에 제가 꼬마였을때 연습삼아 작은 바가지에 물 조금 넣고, 석고를 조금씩 섞으면서 농도맞추는 연습을 했었거든요. 매몰할때 기본농도는 석고농도가 약간 되다 싶은게 가장 좋구요. 그 농도를 기준으로 주물재료에 따라서 석고비를 높이거나 낮추면 됩니다. ^^
@johnlee379
@johnlee379 4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부탁드립니다
@thgo4252
@thgo4252 4 жыл бұрын
땜기계는 어디서 얼마정도에 구매하셨나요? ㅠㅠ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제가 사용하는 장비는 구매가격이 1200만원정도였는데 지금은 가후가 많이 되서 900만원정도면 구매할 수 있구요. 탁상용은 좀 더 저렴하게 3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작업 위주로 하신다면 탁상용이 용도에 맞으실거구요. 땜작업을 많이 하시고 오랫동안 사용하신다면 풀사이즈를 구매하시는게 좋으실거에요~! 종로장비상에 한 번 문의 해보시면 더 정확하게 알아보실수 있을거에요 ^^
@thgo4252
@thgo4252 4 жыл бұрын
@@Ultimetia 감사합니다 ^^ 종로 장비상 연락처는 혹시 알려주실수 없을까요? ㅠ
@Ultimetia
@Ultimetia 4 жыл бұрын
메일 알려주시면 연락처 보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