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멋있다 바이올린과 음악의 진가를 알게한 뮤지션입니다 뭐라 표현 못하는 감정을 느꼈어요🎉❤
@LA산다8 ай бұрын
이 작품이 토마소 비탈리(1663-1745)의 g단조 차코나(샤콘느)라고 하지만 사실 그가 작곡한 곡이라고 보기 매우 어려울 정도로 그 진위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이는 그의 작품이라는 확실한 자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본래 "비탈리" 라고 하면 당대 유명했던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가겸 작곡가였던 그의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 비탈리(1632-1692)가 대표적인 음악가로 거론됩니다. 조반니 비탈리에 관한 여러 활동 자료들과 그의 작품들도 상당수 남아있지만 반면에 이 곡의 주인공이라고 할수 있는 아들 토마소 비탈리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고 그가 작곡한 작품들 거의 대부분이 유실되어 생전 출판된 몇몇 바이올린 소나타 및 트리오 소나타만 남아있습니다. 그나마 흔히 또는 토마소 비탈리의 대표작이라고 알려진 이 g단조 샤콘느가 거의 유일하다시피 연주되는 곡이지만 이마저도 그의 작품인지 의심스러운 필사본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유일한 필사본은 드레스덴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만, 이 악보에는 작곡가의 이름이 따로 없이 단순히 "토마소 비탈리노의 작품(L'arte del Tomaso Vitalino)" 이라고만 쓰여 있는데, 이 이름이 토마소 비탈리를 가리키는 것인지는 모릅니다. 그런데 2017년 자필본으로 "추정"되는 악보가 발견됐다고 하지만 그게 확실하게 토마소 비탈리의 자필본이라고 하기에는 출처나 진위 여부가 불투명하고 그의 자필악보라고 단정하기에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이 곡은 당연히 토마소 비탈리가 살아생전 연주된 기록이 없으며 그가 사후 150년이 지난 19세기에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악장이었던 페르디난드 다비드(1810-1873)에 의해 발굴되어 처음으로 공개되었습니다. 그는 이 작품을 편곡하여 바이올린 교본인 "Die Hohe Schule des Violinspiels"에 포함시켜 1867년에 출판하였습니다. 페르디난드 다비드가 이 원곡의 작곡가가 토마소 비탈리라고 주장했지만 그것은 필사본에 근거한 것이므로 이를 뒷받침 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습니다. 이 g단조 샤콘느가 일부 학자들의 의견에 개인적으로 동조하여 비탈리의 이름으로 쓰여진 19세기의 어느 작곡가의 바로크풍 작품이거나, 바로크 시대의 토마소 비탈리가 아닌 다른 시대의 같은 이름의 또 다른 토마소 비탈리 일수도 있다는 여러가지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과거에는 다른 작곡가의 이름으로 표기하여 사보하거나 출판하는 일도 비일비재하였기 때문에 그 가능성도 배제 할수는 없습니다. 자유로운 형식과 독창적인 악상전개, 대위적이고 규칙적인 바로크 시대와는 상반된 연관성 없는 곡의 구성 및 단순한 화성 진행과 선율, 급작스러운 전조와 화성 진행, 균형적이지 않고 변칙적인 음악 양식과 리듬의 변화, 시대에 맞지 않는 작곡풍과 선율, 바로크 시대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급격하고 기복적인 선율 진행 등, 오로지 곡 내용의 전반적인 형태만 보았을때 객관적으로나 주관적으로나 바로크 시대(1600-1750)의 작품이라고 보기 매우 어려우며 무엇보다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전형을 보여주는 토마소 비탈리의 남아있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매우 이질적이고 판이하기 때문입니다. 종합하여 결론을 짓자면 페르디난드 다비드의 말을 제외하고는 토마소 비탈리의 자필 악보도, 그의 작품임을 증빙할 확실한 증거나 자료가 없어서 정말 그가 작곡한 작품인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고, 이 곡이 바로크 시대 음악답지 않게 낭만주의적인 색채와 성격을 강하게 풍기는 점 등을 들어 토마소 비탈리의 작품이라고 보기 어려우면서도 그렇다고 그의 작품이 확실히 아니다 라는 증거 또한 없으므로 이를 두고 과연 바로크 시대의 토마소 비탈리의 작품인지 그 진위 여부가 여전히 논쟁중에 있습니다. 비탈리의 작품이냐 아니냐 이것을 다 떠나서 바로크 음악을 많이 들어보시는 애호가분들은 열 이면 열 모두 이 곡을 들어보고 전혀 바로크 음악스럽지 않고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바로크 음악을 흉내내어 작곡된 바로크풍의 낭만주의 음악이라고 느끼고 마음속으로 확신할 것입니다. 저 또한 확실히 바로크 시대에 이 곡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이런 스타일의 곡이 나올리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9sungold11 ай бұрын
비탈리 샤콘느는 온리 사라장
@김기숙-r2l Жыл бұрын
🇰🇷🇰🇷🇰🇷👍🙂😊😇🙏
@holic31-t6w Жыл бұрын
와.. 미치겠다.. 넘나 좋다.. 사라장님 진심 클라스가 미쳤다..
@ZhappywithAbsinth Жыл бұрын
와 어릴때 연주랑 똑같아 거의.. 연속재생됐는데 같은 영상인줄알고 봤더니.. 아니역서…. 씨디 틀은거같애..
@miracleelisa3737 Жыл бұрын
❤❤❤
@Lee-mi4bc Жыл бұрын
사라장 장영주님 황홀합니다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황홀합니다.
@miracleelisa3737 Жыл бұрын
비탈리 샤콘느 음악 너무 좋아요.. 사라장 선생님께서 해주시는 연주 정말 좋은것 같아요.. 다른분들도 물론 좋답니다..
@hk1189 Жыл бұрын
바이올린계에선 완성도가 가장 탁월함 완벽하도고 밖에 말할수 없는 사라장 같은시대에 살고 이런 음악을 들을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fayepianist Жыл бұрын
my hero
@자유의지-p4k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 떡진 머리로 이 영상을 울면서 볼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user-sq6vq2mt7u Жыл бұрын
목욕재계하고 가부좌 후 들으십시오.
@유미순-f3u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빵터집니다
@꾸꾸-r8e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빵터져요@@user-sq6vq2mt7u
@Suzi-ui22 күн бұрын
귀여우세요 😂
@liliancalo3518 Жыл бұрын
Heartfelt interpretation by virtuose Sarah Jang, simply amazing! 👏
@hyunjung06 Жыл бұрын
전율 그 자체👍👍👍
@ijeonghyo925 Жыл бұрын
은규 삼촌말씀 장지영 아줌마 미술하는 사람아니야~~~
@김숙희-b9p Жыл бұрын
그녀의 연주를 들으니 심장이 터질거같아요
@북실요정 Жыл бұрын
다른연주자들꺼듣다가 듣는데 그냥 최고네요
@Kuneu Жыл бұрын
마치 바이올린이 우는 것 같아요
@jylee7555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아름답습니다!
@taeyulkim9287 Жыл бұрын
Touching more ×10000
@동동-r2v Жыл бұрын
사라장은 제가 바이올린에 미치게 만든 장본인입니다. 바이올린은 각 악기별로 최상으로 잘 키는 연주자가 있을 때 가장 독보적인 악기임에 틀림 없습니다. 사라장은 하늘의 천사같아요. 음악은 하늘의 소리같고요.
@설고은-t2p Жыл бұрын
저는 바이올린은 시끄러운 악기인줄 알았는데 알고봤더니 연주자에 따라서 음색이 다르더라고여 몇년전에 사라장 어렸을때 연주보고 완전 반해서 ㅋㅋ 바이올린이 이런소리도 내는구나 감탄함 ㅋㅋㅋ 다른분들은 솔직히 비교 되서 못듣겠더라고여
@_tumemanques2 жыл бұрын
오늘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 들었어요!! 🎉😂
@망고-s7v2 жыл бұрын
어제 오랜만에 한국에서 공연 한 사라장 첫 연주곡이 비탈리 샤콘느였습니다. 여운이 가시질 않아 동영상 찾아보며 또 감탄하네요! 뜨거운 열정과 절제된 감정 그리고 명석한 테크닉. 어느것 하나 부족함이 없는 그녀입니다. 그리고 이 카리스마👍
@collectorsmall3101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다...
@까페라떼-k7o2 жыл бұрын
비타리 샤콘 역시 장영주 님 최고
@서정리-n6w2 жыл бұрын
역시 사라장이네요 곡을소화하고읽어내는감정의소용돌이속에서의 정돈된열정과격렬 아주좋아요 부라바 사라장
@riaporo57152 жыл бұрын
미쳤다 진짜
@hennalee57992 жыл бұрын
연주회에서 처음 듣고 아직도 찾아 듣네요. 고맙습니다
@maryjaneahn852 жыл бұрын
사라장ᆢ 어디계신가요ㅠㅠ
@_tumemanques2 жыл бұрын
12/27 공연있어요
@tv-lz2vg2 жыл бұрын
오케스트라 협연보다 피아노와 리얼한 연주가 훨씬 박진감 넘치네요..
@barockmusik2 жыл бұрын
이 작품이 토마소 비탈리(1663-1745)의 g단조 차코나(샤콘느)라고 하지만 사실 그가 작곡한 곡이라고 보기 매우 어려울 정도로 그 진위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이는 그의 작품이라는 확실한 자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본래 "비탈리" 라고 하면 당대 유명했던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가겸 작곡가였던 그의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 비탈리(1632-1692)가 대표적인 음악가로 거론됩니다. 조반니 비탈리에 관한 여러 활동 자료들과 그의 작품들도 상당수 남아있지만 반면에 이 곡의 주인공이라고 할수 있는 아들 토마소 비탈리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고 그가 작곡한 작품들 거의 대부분이 유실되어 생전 출판된 몇몇 바이올린 소나타 및 트리오 소나타만 남아있습니다. 그나마 흔히 또는 토마소 비탈리의 대표작이라고 알려진 이 g단조 샤콘느가 거의 유일하다시피 연주되는 곡이지만 이마저도 그의 작품인지 의심스러운 필사본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유일한 필사본은 드레스덴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만, 이 악보에는 작곡가의 이름이 따로 없이 단순히 "토마소 비탈리노의 작품(L'arte del Tomaso Vitalino)" 이라고만 쓰여 있는데, 이 이름이 토마소 비탈리를 가리키는 것인지는 모릅니다. 그런데 2017년 자필본으로 "추정"되는 악보가 발견됐다고 하지만 그게 확실하게 토마소 비탈리의 자필본이라고 하기에는 출처나 진위 여부가 불투명하고 그의 자필악보라고 단정하기에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이 곡은 당연히 토마소 비탈리가 살아생전 연주된 기록이 없으며 그가 사후 150년이 지난 19세기에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악장이었던 페르디난드 다비드(1810-1873)에 의해 발굴되어 처음으로 공개되었습니다. 그는 이 작품을 편곡하여 바이올린 교본인 "Die Hohe Schule des Violinspiels"에 포함시켜 1867년에 출판하였습니다. 페르디난드 다비드가 이 원곡의 작곡가가 토마소 비탈리라고 주장했지만 그것은 필사본에 근거한 것이므로 이를 뒷받침 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습니다. 이 g단조 샤콘느가 일부 학자들의 의견에 개인적으로 동조하여 비탈리의 이름으로 쓰여진 19세기의 어느 작곡가의 바로크풍 작품이거나, 바로크 시대의 토마소 비탈리가 아닌 다른 시대의 같은 이름의 또 다른 토마소 비탈리 일수도 있다는 여러가지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과거에는 다른 작곡가의 이름으로 표기하여 사보하거나 출판하는 일도 비일비재하였기 때문에 그 가능성도 배제 할수는 없습니다. 자유로운 형식과 독창적인 악상전개, 대위적이고 규칙적인 바로크 시대와는 상반된 연관성 없는 곡의 구성 및 단순한 화성 진행과 선율, 급작스러운 전조와 화성 진행, 균형적이지 않고 변칙적인 음악 양식과 리듬의 변화, 시대에 맞지 않는 작곡풍과 선율, 바로크 시대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급격하고 기복적인 선율 진행 등, 오로지 곡 내용의 전반적인 형태만 보았을때 객관적으로나 주관적으로나 바로크 시대(1600-1750)의 작품이라고 보기 매우 어려우며 무엇보다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전형을 보여주는 토마소 비탈리의 남아있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매우 이질적이고 판이하기 때문입니다. 종합하여 결론을 짓자면 페르디난드 다비드의 말을 제외하고는 토마소 비탈리의 자필 악보도, 그의 작품임을 증빙할 확실한 증거나 자료가 없어서 정말 그가 작곡한 작품인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고, 이 곡이 바로크 시대 음악답지 않게 낭만주의적인 색채와 성격을 강하게 풍기는 점 등을 들어 토마소 비탈리의 작품이라고 보기 어려우면서도 그렇다고 그의 작품이 확실히 아니다 라는 증거 또한 없으므로 이를 두고 과연 바로크 시대의 토마소 비탈리의 작품인지 그 진위 여부가 여전히 논쟁중에 있습니다. 비탈리의 작품이냐 아니냐 이것을 다 떠나서 바로크 음악을 많이 들어보시는 애호가분들은 열 이면 열 모두 이 곡을 들어보고 전혀 바로크 음악스럽지 않고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바로크 음악을 흉내내어 작곡된 바로크풍의 낭만주의 음악이라고 느끼고 마음속으로 확신할 것입니다. 저 또한 확실히 바로크 시대에 이 곡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이런 스타일의 곡이 나올리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code_error101 Жыл бұрын
흥미롭고 새로운 정보이네요 감사합니다
@pianisteunhan8 ай бұрын
제가 토마소 비탈리에 대한 정보가 없긴 하지만, 변주곡이라는 샤콘느의 특징에 기대보면 바로크 작품이라는 점에 아주 말이 안되지도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는 주로 샤를리에의 편곡(이 연주 포함)으로 듣고있기때문에 피아노를 포함하면 이 곡은 아주 당연히 낭만시대 작품입니다. 아티큘레이션 등도 연주자들이 현재 샤를리에의 반주음형 패턴에 맞추어 그에 맞는 음색등으로 연구되었기때문에 더더욱 바로크와는 거리가 멀어지고 있습니다만, 글쎄요. 아예 아니라고 보기도 뭣하긴 한 것 같습니다^^;; 카치니 작품으로 알려진 바빌로프의 아베마리아처럼 비탈리 작품이냐의 진위를 떠나 샤를리에가 큰 일 해낸 것은 확실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