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안정을 찾지 못하는 신학교 생활 (히 11:8-10) 4. 김의작 음악 교수의 영향을 받다 평소 교회 생활에서 찬송을 좋아했다. 그래서 교회 성가대, 지역 연합 합창대 등에 참여하여 왔는데 총신 대학부에서 서울대 작곡과 출신 교수인 김의작 교수를 만났다. 나는 그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지금 나의 찬송 창법과 지휘는 그를 닮았다. 그리고 태국에서 찬송 지도로 활개를 펴고 있다. 태국의 교회 개척과 육성 사역에서 이 찬송 실력은 나의 큰 자산으로 작용했다. 그런데 신학교 합창단에는 들어가지 못했다.나는 음악가 수준은 못 되어도 교회 육성과 지도, 신학교 교육에 두각을 드러내는 선교사가 되었다. 5. 신학교 석사 과정 (3년) 신학교는 대학부가 2년제 였기에 이를 마치고 신학부에 들어갔습니다. 신학부는 3년입니다. 우리는 본과라고 불렀고, 일반대학 출신들은 신과라고 불렀으며, 전도사 경력에 30세 이상은 전수과라고 불렀는데 전체가 60명 정도이었습니다. 신학교 입학 당시 우리 신학교는 용산 교사에서 사당동 교사로 옮겨갔는데 대학부 2학년 때(기억이 없다)로 보입니다. 용산 도원동 기숙사에서 버스를 타고 숭실대 앞에 내려서 산길을 타고 사당동 산 밑에 건축 중인 학교를 다녔다. 이 길은 길이 아니었다. 강도가 나온다는 소문도 있었다. 비가 오면 장화가 필요했다. 후에 남산 밑의 회원동 기숙사 생활, 학교 가 건물에서의 기숙사 생활, 학교 주변의 사당동 민가에서 자취 생활 등을 하면서 학교를 다녔다. 우리 때 총신의 교수진이 가장 좋았을 것이다. 박형룡박사(조직신학), 박윤선박사(성경신학), 최의원박사(구약신학), 명신홍박사(실천신학), 차남진박사(실천신학), 이상근박사(조직신학), 간하배교수(신약신학), 김의환박사(교회사), 박아론박사(변증학) 총신대학교는 세계에서 가 큰 신학교이다. 학생이 많을 때는 신학부 1학년이 600명-700명에 이르렀다. 지금도 500명선이다. 결론 신학교 시철 초창기에는 적응이 어려웠으나 군종 장교 후보생이 된 후 안정을 찾아 신학교 생활을 잘 마쳤다. 그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어린 나이에 노회의 고등성경학교 일을 하게 되었다.
@sawadeetv30907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안정을 찾지 못하는 신학교 생활 (히 11:8-10) 하나님의 특별한 인도하심으로 곁길로 가던 정승회를 바른 길로 인도하시어 신학교로 직행하게 하였으나 신학교에 들어간 정승회는 아직도 신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생활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곳에서도 인도해 주셔서 공부도 3등을 하고 군대 문제도 군종 장교 후보생으로 선발되어 신학교를 잘 마치고 목사가 되어 군종 장교로 입대하여 지도자 훈련을 받게 하였다. 1. 한국 신학교 이야기한국의 교회는 장로교회가 장자 교단이다. 미국은 침례교회가 가장 크다. 한국 교회는 세계 수준의 신학교육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신학교는 신학석사 과정 3년을 이수해야 목사가 될 수 있다. 이런 목회자 양성으로 인하여 교회가 성장하였다.총신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신학교이다 석사과정의 한 학년이 600명정도 이다. 그래서 총신대학, 총신대학원을 나온 사람은 다른 교단에서도 존경한다.고등학교를 나온 사람이 이 신학교를 가면 이는 진짜 신학교가 아니고 일반 대학이나 다름없는 학사과정이다. 이 사람은 7년을 공부해야 신학교를 나온 사람이 되고 목사가 될 수 있다.2. 이적적으로 신학교 대학부 입학 (학사과정) 1965년 초 서울 용산에 있던 장로교 총회신학교 대학부에 입학 하였다. 우리 반은 20명정도 였다. 나는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를 하였다. 그러나 신학교 적응은 쉽지 않았다. 특히 군대 문제로 고민 중에 있었다. 그곳에서도 다른 대학으로 옮길까? 를 생각하며 방황하고 있었다. 이 대학 저 대학을 기웃거렸다. 그러나 길은 열리지 않았다. 이때 길이 열렸으면 대학 입시 때를 잊어버리고 주의 종의 길을 버렸을 것이다. 2.1 새벽마다 울며 기도하는 정승회 나는 신학교 공부도 열심히 하면서 다른 길을 찾기에 열심이었다. 아침마다 울며 기도하였다. 장로 아들이 신학교를 갔는데 도중에 돌아왔다면 이같이 부끄러운 일은 없다. 신학교를 계속하자니 무겁고, 놓자니 깨지는 상황이었다. 이를 감당하지 못하여 생 병이 생겼다. 이 병은 본 교회 담임 목사님의 방문과 기도를 받고 나았다. 생 병이니까 병원에 갈 필요가 없었다. 이 후로 조금은 안정을 찾아가고 있었으나 아직도 방황하는 태도는 여전했다. 2.2 일반 대학과 다른 공부한국의 대학은 미국과 달리 대학 들어가면 고등학교 때 보다 공부를 안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신학교 공부는 설렁설렁 하지 않고 공부 벌레처럼 공부한다. 이 훈련으로 후에 일반 대학 농학과에 편입하여 공부할 때 장학금을 받았다. 3. 군종 장교 후보생으로 선발되어 안정을 찾다 (나이타한) 그런데 방황하고 있는 나에게 하나님은 길을 열어 주셨다. 군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사병이 아닌 장교로 군 복무를 마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신 것이다. 일반 대학교의 ROCT 같은 것과 비슷한 군종 장교 조기 선발 제도가 대학부 2학년때 국방부 군종부에서 만든 것입니다. 이로써 학업 중에 군대에 입대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길이 열렸습니다. 당시 총신은 총회 분열로 장신이 대학인가를 가져 갔기에 총신은 무인가 신학교로 병무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장욱정은 군대를 갔다가 오순절로 갔고, 장정일은 군대를 갔다가 총신 후배가 되었습니다. 나도 군대 문제로 고민 중이었는데 이런 군종 장교 조기 선발제도를 통하여 신학을 마치고 목사가 된 후에 군종 장교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입니다. 신학교 생활에 방황하고 있는 나를 다시 잡아 두기 위한 하나님의 특별한 조치였다고 봅니다. 나는 이 군종 장교 선발 시험에 합격하면 다시는 딴 생각을 하지 않겠다고 하나님께 특별히 기도 하였습니다. 이 시험은 대학부 1학년부터 신학부 3학년까지 전 학년에 걸쳐서 실시하였습니다. 마침 내 나는 군종 장교 선발 시험에 함격하여 군대 문제로 고민하는 것을 해결하고 신학교 생활은 안정이 되었기에 신학교 생활은 정상화 되었습니다. 이때 나는 반에서 3등의 성적을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sawadeetv309014 күн бұрын
요나와 차나 정 (요나서 1:1-10) 3. 하나님의 종의 길을 피하여 나아가는 정승회 정승회는 나면서부터 모친의 서원 기도 때문에 하나님의 종의 길로 가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리고 이를 좋게 받아들였다 그러나 마지막 판에 기수를 다른 곳으로 돌려 다른 길로 가려 할 때 하나님은 요나에게 쓰셨던 방법을 사용하여 결국 원래의 길을 찾고 신학교로 직행하게 되었다. 3.1 모친의 뜻을 따라 성장하는 정승회 모친의 믿음은 한나와 비슷하였다. 병으로 아기를 낳을 수 없는 상황에서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의 종으로 바치겠다고 기도하여 낳은 아들을 목사가 되게 하겠다는 결심을 어린 나에게 알려 주었고 나도 좋게 생각하였디. 따라서 가정이나 교회 생활을 통하여 나는 목사가 되는 방향으로 살며 준비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고등학교도 기독교학교로 진학 하였다. 목사로 가는 길은 순탄하였다. 3.2 대학 진학의 문에서 방향을 180도 돌린 정승회 그러나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을 진학하는 문턱에서 마음의 변화가 일어났다. 신학교로 가지 않으려고 백방으로 애를 쓴 것이다. 하나님께 향하던 눈이 세상으로 향한 것이다. 부모님들은 이를 모르고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런 나의 심사를 알고 계셨다. 나는 내가 잘나서 내 마음대로 날 뛰고 있었다. 그래서 신학교로 가지 않고 목사도 되지 않기 위하여 우리 지역에서 가장 좋은 국립대학의 농학과를 지망하였다. 당시 한국은 농업국에서 공업국으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었다. 그래서 그때만해도 농학과는 인기 있는 학과였다. 실력이 되었던지 학교에서 원서를 써 주었다. 이제 이 대학교의 농학과에 입학하면 하나님과의 종의 관계는 단절될 것이다. 3.3 정승회를 잡아오기 위한 대학 입시에 손을 대신 하나님 그런데 하나님은 이런 나를 가만히 두지 않았다. 통상 대학 입시 날이 평일이다. 그런데 하나님은 갑자기 대학 입시 일을 평일에서 주일로 변경하였다. 이것은 이적이다. 태국에서는 일요일에 선거도 하지만 한국에서는 전혀 그렇치 않다. 전국 대학입시를 평일에서 주일로 변경한 것은 단순히 성수주일 신앙을 가지고 있는 정승회의 길을 막기 위함이었다. 정승회의 성수 주일 신앙을 주일에 대학 입시를 치르게 되면 분명 시험을 치지 않을 것을 하나님은 아셨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세상 길로 가던 길을 돌이켜 하나님의 길로 가게 될 것을 하나님은 미리 알고 계셨다. 나는 절망 속에서 하나님께 매달려 기도만 하였다. 새벽 기도회에 나가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기도하였다. 이때 나는 하나님 체험을 함과 동시에 나의 교만이 아주 겸손으로 변하였다. 나를 내 세우지 않고 하나님 마음대로 하시라는 상황이 되었다. (래오떼프라옹짜우) 이때 신학교를 다니고 있는 매부가 우리를 방문하고 이런 모든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정승회가 지금이라도 신학교로 간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조언해 주었으며 신학교 갈 수 있는 모든 길을 마련해 주었다. 당시 신학교에 입학하려면 먼저 노회의 시험에 통과하고 추천을 받아 신학교 원서를 쓰게 되어 있었다. 노회의 고시는 이미 지나갔으나 다시 고시를 허락하였고 우리 교회는 부흥회를 하여 오전 시간에는 성경공부를 하였는데 강사는 빌레몬서를 가르쳤다. 그런데 노회 고시에 가니 성경 시험이 빌레몬서에 대하여 쓰라는 것이다. 얼마 전에 열심히 배운바를 마음껏 기술했다. 아마 고시 위원들이 놀랐을 것이다. 이 어린 놈이 자기들처럼 답을 썼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후에 신학을 마쳤을 때 노회 성경학교 교무가 되었다. 이로써 나는 모든 세상 길을 닫고 신학교로 가는 방향으로 삶의 목표가 설정 되었다. 하나님의 계획이 정승회에게 실행 되었다. 결론 요나가 하나님의 니느웨 전도 명령을 거부하고 도망가다가 잡혀와서 니느웨 성을 구원시킨 것처럼 정승회는 목사가 되지 않기 위하여 세상 길로 가려다가 이적적으로 잡혀와서 신학교로 가게 되었다. 이렇게 신학교를 간 정승회는 신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였으나 하나님께서 다시 손을 써 주셔서 신학교를 마치고 목사가 되었고 선교사가 되었다. 다음 시간에는 신학교 생활이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말하려 한다.
@sawadeetv309014 күн бұрын
요나와 차나 정 요나서 1:1-10 요나는 니느웨 선교의 사명을 받았으나 개인적으로 싫어하여 하나님의 명령을 피해 다시스로 가기 위해 배를 탓으나 하나님이 이 길을 막으심으로 큰 풍랑을 일으켜 배가 파선 지경이 되니 요나는 이 풍랑이 자신의 죄악으로 알고 자기를 들어 바다에 던지기를 청하여 그렇게 하니 바다는 잠잠해졌고 하나님은 큰 물고기를 준비하여 요나를 받아 니느웨로 보냈고 요나의 니느웨 전도가 성공적이어서 왕으로부터 모든 사람이 회개하여 구원을 얻었다는 이야기 이다. 요나의 하나님의 명을 피하는 일 같은 상황이 정승회에게도 있었다. 정승회는 요나처럼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고 일반 대학으로 도망치는 중에 성수주일 하는 신앙을 따라 대학 입시를 주일에 실시하는 일로 길이 막혀 원래의 길인 신학교로 직행하여 목사가 되어 55년간 목사로 사역해 오고 있다. 1. 하나님의 명을 받은 요나의 거부 하나님은 니느웨를 구원하시기 위하여 요나를 통하여 니느웨의 멸망 소식을 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요나는 이를 싫어하였다. 따라서 하나님의 명령 수행을 거부하고 하나님을 피하여 니느웨가 아닌 다시스를 도피하려 했다. 사실 하나님의 뜻을 어길 수 있는 인간은 이 세상에 없다. 그러나 요나는 이를 잊고 하나님을 피하는 계획을 했다. 그래서 니느웨로 가는 배를 타지 않고 다시스로 가는 배에 올랐다. 2. 하나님을 피해가는 요나가 탄 배의 파선 위기 2.1 하나님을 피하는 요나 하나님을 피해 요나가 오른 다시스 행 배는 한 동안 평화롭게 운항하였다. 요나는 이 길이 형통 할 줄 알았다. 배 밑창에 가서 푹 쉬고 있었다. 그러나 배를 오래가지 않아서 큰 풍랑을 만나 파선 위기를 맞았다. 모든 짐을 다 버렸다. 살기 위하여 각자 신을 불러 기도하라고 했다. 그때까지도 요나는 배 밑창에서 편안히 잠을 자고 있었다. 사실 요나 때문에 있게된 풍랑이요 배의 파선 위기이지만 요나는 이를 모르고 평안한 중에 있었다. 선장이 이곳에 왔을 때에야 요나는 이 위급한 상황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 악한 상황이 자기 때문에 일어난 일 임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 요나는 불신자가 아니다 하나님을 충실히 섬기는 하나님의 사람이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에게 니느웨 전도를 맡겼다. 그러나 그는 이를 거부하였다. 하나님은 필요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일을 맡긴다. 그러나 요나는 자기는 아니라고 생각한 것이다. 현대 기독교인들 중에는 요나와 같이 하나님을 오해하는 소위 믿음 좋은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하나님을 만나보면 자기가 잘 났다는 사실이 허무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하나님 앞에서는 무조건 겸손한 사람이 진정한 믿음을 가지 자이다. 이런 사람들은 하나님의 매를 맞은 후에야 하나님을 바로 알게 된다. 매를 맞기 전에 하나님을 바로 알고 순종하는 믿음의 사람들이 되어야 한다. 2.2 풍랑과 배의 파선 앞에서 만난 하나님 자기 스스로 잘 났다고 생각하고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고 도망치던 요나는 파선해가는 배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게 되었다. 이 상황을 만난 선원들의 판단은 분명 이 풍랑으로 이 배는 파선 당할 것으로 믿었다. 그래도 살기 위하여 모든 짐들을 바다에 다 던졌다. 그래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제 자기가 믿은 하나님께 부탁하는 최후의 수단을 생각했다. 사람들은 평상 시에는 하나님을 생각하지 못하다가 위기가 닥치면 하나님을 찾는 악습이 있다. 하나님은 평상 시에 찾아야 하고 모든 생활에서 동거 동행해야 한다. 선장은 인간적인 방법으로 하나님이 내신 풍랑에서 살아나 보려고 했다. 그러나 하나님이 내신 상황을 어떤 인간도 해결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여기서 본다. 하나님이 내신 상황의 해결은 오직 하나님만이 해결하실 수 있다. 인간적인 방법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자 선장은 각자의 하나님을 찾으라고 했다. 사람들이 인간의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러나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은 하나님께 부탁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간은 종교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진정한 종교가 문제를 해결해 준다. 이 배의 파선을 가져오는 풍랑은 하나님을 피하여 이 배에 숨어 있는 요나가 내 잘못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면서 문제의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했다. 요나는 이 배의 파선의 원인이 자신이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이곳으로 피신하였기에 이 문제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자기를 바다에 던지라고 했다. 요나의 회개를 통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선장은 방법이 없기에 요나를 바다에 던졌다. 그리고 배는 안전해 졌다. 하나님은 바다에 던져진 요나를 큰 물고기를 준비하여 니느웨로 데려 갔다.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였다면 요나는 편안하게 배를 타고 니느웨로 가서 복음을 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순종하지 않아서 니느웨를 가는 항로도 배를 타지 못하고 물고기 배를 타고 가게 되었다. 처음부터 하나님께 순종하여 평안한 여행으로 복음을 전 할 수 있었으나 이를 거부하였기에 어려운 항해 길로 니느웨에 가서 복음을 전한 것이다. 하나님께 순종하여 평안한 여정과 사역을 하겠는가? 아니면 불 순종하여 어려운 항해와 사역을 하겠는가? 를 생각해 보라
교회 회의 3-집사와 제직회 (깐쁘라춤 카나 탐마낏) 행 6:1-6 2024년 10월부터 산족교회의 자림과 자치를 위하여 이에 관계되는 말씀을 전하고 있다. 교회의 일을 협의하는 교회의 회의는 공동회의(깐쁘라춤 쌉쁘릇), 당회(깐쁘라춤 카나 푸뽁크렁), 제직회(깐쁘라춤 카나 막카나욕, 카나 탐마낏)등 이 있다. 공동의회는 교회의 최고 의결기관으로 모든 세례교인들의 모임으로 교회의 중요한 안건만 다룬다.예를 들면 교회 목회자 청빙, 장로,집사 선택, 교회 예산 결산 등의 안건을 다루며 년 1회 이상 모임이 있다. 당회는 교회의 행정과 정치에 관한 안건과 정책을 심의하는 기관으로 모든 예배와 예식을 주관하고, 교회의 각 기관을 관장하며, 교인의 입회와 퇴회를 심의하고 재판 건을 다루고 노회, 총회와의 관계를 책임 진다. 제직회는 교회의 모든 일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당회의 지도를 받아 공동의회나 당회의 결의를 수행하는데 목회자의 지도를 받아 사역한다. 주로 교회당 관리, 재산관리, 재정관리, 목회자 생활 담당, 교회 손님 접대 등 교회의 모든 일을 감당한다. 따라서 교회 회계가 이 기관에서 나온다. 교회의 모든 회의는 회의록을 자세하게 기록하여 보관한다. 1. 제직회의 회원 제직회의 회원은 교회의 집사이며, 목회자, 장로가 참여한다. 의장은 목사인 담임 목회자가 담당하고 서기, 회계를 비롯하여 교회의 모든 기관과 사업의 조직을 하여 사역을 진행한다. 2. 제직회의 회집과 정족수 제직회는 당회장이 공동의회 의장, 제직회 의장의 일을 한다. 따라서 제직회 회장인 목사인 당회장이 회의를 소집하고 월 1회 정기 모임을 소집한다. 목사가 없는 교회는 노회에서 파송되어 있는 당회장의 위임을 받아 임시 제직회의를 소집하고 의장의 임무를 수행하여 교회를 운영한다. 회의 소집은 적어도 1주일 전에 공고한다. 회의 정족수는 참석자로 정족한 것으로 간주한다. 3. 제직회의 안건 제직회의는 매달 교회의 재정 수입과 지출에 대한 회계보고를 심의한다. 그리고 교회 1개월간의 모든 일의 상황을 보고한다. 또한 공동의회나 당회에서 수의한 안건을 일을 진행하기 위하여 의논한다. 제직회의 회계는 회계장부를 잘 정리하여 보관한다. 교회 헌금은 통상 영수증을 발급하지 않기에 회계장부에 헌금자들의 이름과 헌금 액수를 기록해 두어야 한다. 이것이 영수증이 된다. 회계 장수는 전체 헌금을 기록하는 회계 장부와, 십일조 헌금 장부, 감사헌금, 특별헌금 별 장부 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교회 헌금은 은행에 맡겨서 관리하고 일부는 현찰로 관리하여 급히 사용해야 하는 재정으로 활용한다.. 교회 재정 관리는 3-4인이 나누어서 해야 하는데 (1) 은행을 통한 교회 전체 헌금 관리 1인 (2) 각종 헌금 관리 장부 관리 3인 -전체, 십일조, 감사, 특별 4. 제직회의의 운영 (1부 예배, 2부 회의) 교회의 모든 모임에는 예배가 있고 회의에 들어가 안건을 상정하여 심의 의결한다. 1부 예배는 찬송 기도 성경봉독 설교 기도 2부 회의 먼저 전 회의록을 낭독한다. 다음에 회계 보고를 하고 인준을 받는다. 그리고 오늘 회의의 주요 의제들을 제안 설명하고 한 안건식 상정하여 심의하고 의결한다. 일반적으로 의결은 반절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5. 반씨랑교회는 안수 집사를 세워야 한다. 서리 집사는 안수집사를 세우기 위한 인턴(훈련) 기간으로 반 씨랑교회는 이제 안수집사를 세울 때가 되었다. 안수 집사를 선택 할 때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무조건 나이 먹은 사람이나 권력을 휘두르는 사람은 목회자에게 도움이 되지 안는다. 모든 집사들이 모든 면에서 갖추어져 있다고 보고 특히 다음 사항을 중시해야 한다. (1) 그가 목회자와 협력하여 일하는데 적합한 사람인가? (2) 그가 교회의 화평을 위해 적합한 사람인가> (3) 그가 헌금 생활은 잘하는가> (4) 그가 교회 일에 충성스러운가? (5) 교인들이 그를 따르는가? 결론 안건 심의를 다 마치면 찬송을 부르던지 그냥 마침 기도로 마친다. 모든 회의는 제직회의 서기가 자세하게 기록하고 당회장의 인준을 받아 보관한다. 그리고 다음 회의에서 전 회의록을 낭독하여 회의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한다.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한 아기와 크리스마스"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교회의 일군 3-집사 (행 6:1-6, 딤전 3:8-13) 교회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려면 교회의 일군들이 있어야 한다. 교회 일군은 통상 목사, 장로, 집사로 3종류이다. 이들의 일은 각각 다르고 하나님의 동일한 종이기에 높고 낮음은 없으나 하는 일 때문에 높고 낮음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오늘은 3번째로 집사직에 대하여 이야기하려 한다. 집사와 장로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장로는 행정요원으로 교회의 정치 행정을 목사와 함께 수행한다. 집사는 교회의 모든 재정과 목회자 가정을 돌보는 일과 교회의 일반적인 모든 일을 맡아서 일하는 일군 요원이다. 장로와 집사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장로는 행정 요원으로 교회의 정치와 행정의 일을 목사와 함께 수행한다. 집사는 교회의 일반적인 일군으로 교회의 모든 일을 도맡아서 감당하는 일군 요원이다. 1. 집사직의 기원 (행 6:1-6) 초대교회는 성장에 따라 사도들이 다 감당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교회의 일을 사도들의 일과 집사의 일을 나누어야 했다. 그래서 사도들이 감당해야 하는 신령한 일을 위하여 7인의 집사를 선택하여 사도가 아닌 다른 일군이 감당해야 할 일을 맡기게 되었다. 사도들이 신령한 일을 제쳐놓고 인간적인 일을 감당하는 것이 옳치 않다고 보고 일을 구분하여 다른 일군을 선택한 것이다. 2. 집사의 자격 (딤전 3:8-13) 집사의 자격은 사도행전에도 이미 나타나 있으나 더 구체적으로 딤전 3:8-13에 잘 나타나 있다. 사도행전에서는 성령 충만, 지혜 충만, 믿음 충만, 타인에게 칭찬듣는 사람이라고 했으나 딤전 3장에느 삶과 관련하여, 신앙과 관련하여, 사역과 관련하여, 가정생활과 관련하여 언급하고 있다. 2.1 삶과 관련하여 (1) 단정 (2)말의 신빙성 (3)정당한 이득 추구 2.2 신앙과 관련하여 (1) 바른 양심 소유 (2)믿음의 비밀 소유 2.3 사역에 대하여 (1) 수련 기간의 필요 (2)책망할 것이 없는 일군 2.4 건전한 가정 생활과 관련하여 (1) 한 아내의 남편으로 (2)자녀 통제 능력 보유 3.집사의 선택과 훈련 교회 내의 일군들의 삶과 사역을 잘 살펴서 적당한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 3.1 집사의 선택 교회 내에는 일군의 모습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있게 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집사가 나와야 한다. 집사의 숫자는 교회 일만큼 세우면 된다. 3.2 집사의 훈련 교회의 일군으로 선택된 사람들은 어떤 일군이든지 일을 맡기기 전에 그 일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이런 훈련이 없이 일군에 임명되어 일을 하면 일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 할 수도 있고 일을 버려놓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집사든 장로이든 일을 맡기 전에 집사 훈련, 장로 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교회는 이런 일군들을 잘 훈련 시켜서 교회에 유익을 끼치는 일군을 세워야 하낟. 집사로 선출되면 일정기간 당회의 지도하에 집사 훈련(1년,6개월)을 거친 후 고시를 거겨서 집사로 임직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집사의 임직과 제직회 구성 집사 교육과 훈련을 마치면 집사 임직식을 통하여 집사로 임직하고 교회의 집사 일을 감당해야 한다. 교회에 집사가 있게 되면 자연 집사들의 모임인 제직회(카나 탐마낏)를 조직하고 교회 일을 의논하여 일을 추진 진행하여야 한다. 누구나 교회의 일군들 독단적으로 교회 일을 결정하고 처리해서는 않된다. 목사 혼자서 교회 일을 추진하거나 장로나 집사가 독단적으로 교회 일을 추진하는 것은 주님의 교회에서는 문제이다. 왜? 교회는 주님 마음대로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4.1 집사의 임직 집사로 선택된 사람이 모든 교육과 훈련을 마치면 교회는 집사 임직식을 거행하여 집사가 되고 집사의 일을 감당하게 한다. 4.2 제직회 구성 교회에 집사가 있게 되면 자연 제직회가 구성되어 집사 혼자서 일을 하지 않고 단체적으로 주님의 일을 의논하고 동역하여 집사 일을 수행한다. 제직회는 당회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협의하여 당회가 원하는 방향으로 교회 일을 감당해야 하고 담임 목사의 지도를 항상 받아서 일을 수행 한다. 5. 집사의 역할-제직회의 일 5.1 교회의 모든 재정 관리 5.2목회자의 생활 전반의 책임 5.3교회당 건물 관리, 보수하여 예배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5.4교회의 모든 일(육체로 감당하는 일)이 집사의 일이다. 5.5교회의 모든 손님 영접, 접대 6. 장로와 집사의 차이 장로는 세상 회사로 치면 “카나깜마깐 암누웨이깐”같으며 집사는 “카나깜마깐 탐응안”과 비슷하다 하겠다. 장로는 목사와 동역하여 목사의 일을 돕지만 집사는 목사와 장로의 지도를 받아 모든 교회의 일을 처리하는 교회의 일군이다. 결론 집사는 교회 내의 모든 재정, 건물 관리, 교회 용품 관리 등 교회 내의 모든 굿은 일을 다 하는 일군이다. 따라서 사무실에서 일하기 보다는 바깥에서 “깜마꼰” 처럼 교회 일을 감당하는 때가 많다. 그래서 목사와 장로의 지도를 받아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열심히 감당하고 보고하여 목사, 장로들이 교회의 제반 상황을 잘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교회 회의 1-공동의회 (깐쁘라춤 쌉쁘릇)-출 6:6-8 교회의 회의는 공동의회, 당회, 제직회로 운영한다. 공동의회(깐쁘라춤 쌉쁘릇)는 교회의 최고 의결기관으로 교회의 총회이다. 따라서 교회의 중요한 안건은 모두 이 회의에서 다루고 2/3의 찬성 또는 반절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이 회의의 회원은모든 세례교인이 회원이다. 당회(카나 푸뽁크렁)는 교회의 행정과 정치 기관으로 예배와 성례 주관, 회원의 입회 및 퇴회 심의,등의 기관으로 담임목사와 장로들로 구성한다. 제직회(카나 탐마낏)는 교회의 집사로 구성하며 태국교회는 카나 탐마낏이라고 부른다. 교회의 중요한 안건은 공동의회에 회부하여 결정하고 교회의 진정한 일군인 집사가 세워지면 제직회를 조직하여 교회의 일반적인 모든 일을 책임 진다. 제직회의는 당회에 상정할 안건도 의결하여 당회에 건의한다.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20명의 세례교인으로 1인의 장로를 세우고 당회를 조직하여 담임목사와 함께 공동의회에 상정할 필요가 없는 교회의 중요한 안건의 심의 결정하고 공동의회나, 제직회의에 상정한다. 1.공동의회의 회원 공동의회는 모든 세례교인으로 구성한다. 목사, 장로, 집사도 세례교인의 자격으로 이 회의에 참석하여 한 표를 행사한다. 2. 공동의회의 의장과 서기 공동의회 회장은 당회장인 목회자가 되고, 서기는 당회 서기가 공동의회의 서기가 된다. 공동의회에는 이 두 직책만 필요하다. 당회 서기가 업을 경우 공동의회 현장에서 서기를 선출한다. 목회자가 목사가 아니면 공동의회 의장의 일을 감당하지 못하기에 노회에서 임시 당회장을 파송하여 회의를 주관한다. 3. 공동의회의 소집 공동의회의 소집은 당회에서 결의하고 당회장이 1개월 전에 소집 공고를 하고 소집한다. 당회가 없을 경우 제직회의에서 의결하고 노회에 건의하여 노회가 파송하는 임시 당회장에 의하여 소집한다. 4. 공동의회의 정족수 공동의회는 참석한 세례교인으로 개회하고, 주요한 안건(목사 청빙, 장로,집사 선택 등)은 2/3의 찬성으로 결정하고, 일반적으로 반절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5. 공동의회의 안건 5.1 예산 결산 심의(제직회의의 제안) 5.2교회 일군의 선택(담임목사 청빙, 장로, 집사 선택)-당회의 제안 5.3교회당 건축 심의 5.4노회와 관계되는 안건 (당회의 제안) 5.5타 교단과의 교류 (지 교회가 타 교단과의 교류를 결정하지 못한다.) 6. 공동의회의 개회와 예배 공동의회는 1부 예배와 2부 회의로 진행한다. 1부 예배-찬송, 기도, 성경봉독, 설교, 기도로 마친다.(교회의 모든 회의는 이런 예배를 드린 후 회의를 한다.) 2부 회의-안건을 상정하고 심의를 거친 후 표결에 부친다. 결론 담임목사가 없는 교회는 공동의회를 위해 노회에서 임시 당회장을 파송해 주어야 공동회의를 소집하고 회의를 진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교회는 목사, 장로, 집사가 있어야 한다. 노회, 총회는 목사를 배출해 주어야 하고 교회는 장로, 집사를 육성하여 적당한 때에 장로, 집사를 세워야 한다.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사무엘의 탄생과 차나 정(사무엘 상 1:9, 19-20, 24-28) b 3. 한나를 따라 기도하여 얻은 아들을 하나님의 종으로 바친 정승회의 모친 한나와 비슷한 사건이 우리 모친에게서 발생했다. 그리고 정승회가 하나님의 종이 되어 78년을 살아 왔다. 한나와 나의 모친, 사무엘과 정승회는 비슷한 상황을 만났다. 3.1 불신 가정에서 어렵게 예수를 믿은 모친의 결혼 정승회의 모친은 불신 가정에서 외할머니와 어렵게 예수를 믿었다. 외할아버지 몰래 예수를 믿어야 하기에 교회에서 입을 옷을 싸들고 개구멍을 통해 집을 몰래 나와 교회에 와서 옷을 갈아 입고 예배를 드렸다. 20세 전에 결혼하는 때였기에 교회의 장로의 주선으로 장로 집안인 우리 집안과 혼인하여 자유스럽게 예수를 믿게 되었다. 3.2 모친의 병과 자녀 생산 중단 모친은 큰 딸을 낳았고 큰 아들을 낳았다. 그런데 큰 아들이 어려서 죽었다. 모친에게 첫째 아들이었기에 큰 상처가 되었다. 그리고는 아이가 생기지 않았고 병으로 죽을 상황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아이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 때 모친은 한나의 신앙을 생각했다. 한나처럼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의 종으로 바치겠다는 서원기도를 하기 시작했다. 하나님은 이 기도를 들어 주시기 시작했다. 병을 먼저 고쳐 주신 하나님 어느 날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데 두꺼비를 잡아먹는 구렁이를 집 뒷 편에서 발견하였다. 이를 잡아 푹 끓여 먹었다. 한국에서 구렁이, 두꺼비를 먹은 구렁이는 좋은 약으로 친다. 그 후 모친의 죽을 병이 나았다. 그리고 몇 년 후 딸을 낳았다. 3.3 모친의 서원 기도와 정승회의 탄생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께 바치겠다는 기도는 계속되었다. 딸을 낳은 후 4년만에 아들인 나를 낳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이 칭찬하는 예쁜 아들이었다. 한나처럼 모친의 서원기도가 응답된 것이다. 모친은 서원한대로 이 아들을 하나님의 종으로 바치려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종으로 양육하기 시작 했다. 3.4 아들을 목사로 양육한 모친 모친은 공부를 잘했다. 학교에서 1 등을 하였다. 나를 주의 종으로 양육하려는 모친은 나를 자기 같이 공부를 잘하는 아이가 되기를 바랐다. 그래서 초등학교 때부터 직접 교육을 시켰다. 모친 어려서부터 나를 목사로 대했다. 나의 모친은 처음부터 형제들보다 특별 대우를 했다. 그래서 어려운 시절에도 별로 어려움을 당해보지 않았다. 나는 철이 들면서 이런 모친의 결의를 이해하고 좋게 받아들였다. 따라서 교회 생활에 충실하였다. 중학교 때도 학교에 갈 때 성경, 찬송가를 가지고 다녔다. 교회에서 중, 고등부 학생 회장, 교회 성가대, 어린이 주일학교 교사, 교회 성경 퀴즈 대회 팀, 고등부 성가대 지휘자 등 교회를 통하여 많은 훈련을 받았다. 이 경험이 오늘의 나를 낳았다. 그리고 선교 활동에 아주 유익한 자산이 되었다. 결론 한나의 결심이 성공적이었던 것처럼 정승회의 모친의 결심이 성공적이어서 현재 나는 목사로 평생을 살아왔다. 신학교를 마치고 55년째 주의 종으로 살며 일해 왔고, 선교사로 46년을 살아 왔다. 나의 모친의 신앙은 성공적이었다. 나뿐 아니고 모든 형제들이 교회의 목사 사모, 장로, 권사로 사역하고 있다. 심지어 외부에서 들어온 사위, 며느리들도 이런 교회의 직책을 맡아 사역하고 있다. 아들 하나를 바쳤더니 모든 자녀들이 교회의 중요한 직책을 받아 사역하고 있다.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사무엘의 탄생과 차나 정 (사무엘 상 1:9, 19-20, 24-28) 사무엘의 모친 한나와 정승회의 모친 최공순권사는 비슷한 상황에서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의 종으로 바치겠다는 서원 기도를 하여 아들을 낳게 되자 한나는 사무엘이 젖을 띨 때에 즉시 성전으로 데려가 엘리 제사장에게 바쳐서 하나님의 종이 되게 하였고, 정승회의 모친은 딸을 낳고 아들을 낳았으나 어려서 아들이 죽은 후에 오랫동안 자녀를 생산하지 못하고 몸이 약한 중에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의 종으로 바치겠다는 약속을 하여 아들을 얻은 후 목사가 되게 하기 위해 힘쓰다가 마침내 목사가 되었다. 1. 한나의 고통과 아들을 달라는 서원 기도 여인이 아이를 생산하지 못하는 것은 비극이다. 오늘날은 멀쩡한 사람들이 결혼을 하여도 애들을 낳지 않으려는 젊은 이들이 많아서 하나님의 생산의 복을 주시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나는 애를 가져보지 않은 여인이다. 이 일로 한나는 눈물로 세월을 보냈고 마침내 하나님께 서원기도를 하였다. 그의 서원 기도는 보통 기도가 아니었다. 엘리 제사장이 오해 할 만큼 열정적으로 기도했다. 1.1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하는 사람으로써 기도를 설렁설렁해서는 않된다는 사실을 본다. 그가 얼마나 열심히 기도했던지 제사장 엘리가 오해 할 만큼 기도를 하였다. 주의 종 보다 더 열심으로 기도하는 것은 죄가 아니다. 예수님도 기도를 땀이 피가 되도록 기도했으며, 가난한 과부의 기도를 소개하며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가르쳐 주신 바가 있다. 1.2 한나와 같은 기도는 하나님께서 꼭 응답해 주신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한나의 기도는 성취되었지 않은가? 원하는 대로 성취되었다. 기도하는 우리들도 이렇게 기도하여 하나님의 응답을 받도록하자 2. 사무엘을 낳아 하나님께 바친 한나 2.1 아이를 낳지 못하던 한나는 기도 응답으로 아이를 낳게 되었다. 아이를 못 낳는 사람이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도 이적이지만 이제 더 큰 이적적인 한나의 결단을 보게 되었다. 진짜 한나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그러나 하나님께 아이를 달라고 했고 주시면 주님의 종으로 바치겠다고 했다. 이런 생각, 이런 믿음이 흔치 않다. 하나님은 이런 믿음이 있는 믿을 만한 사람의 기도를 들어 주셨다. 우리들도 기도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매번 나의 기도를 들어 주시는 것은 아니었다. 우리가 드린 기도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하나님의 응답을 받은 기도를 한나를 통하여 배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도 하나님이 들어 주실만한 기도를 드리는 기도의 사람이 되자. 2.2 한나는 서원대로 사무엘을 하나님께 바쳤다. 한나는 서원한대로 아들을 낳게 되었다. 그는 인간적인 욕심을 버리고 원래 하나님과 약속한대로 그 아들을 자기 아들로 삼지 않고 하나님의 아들로, 하나님의 종으로 하나님께 바쳤다. 한나가 서원했으나 아들을 보고 인간적인 욕심이 발동하여 하나님께 바치지 않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한나는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켜 사무엘이 젖을 띨 때에 성전으로 데리고 가서 엘리 제사장에게 바쳤다. 사람과 약속한 것을 지켜야 하지만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복이 아닌 큰 벌을 받게 된다. 예) 한 어린 아이가 자기의 먹을 식사를 주님께 바쳐 5천명을 먹였는데 한나는 하나 뿐인 아들을 하나님께 바쳤다. 이로써 아이를 낳지 못하던 한나는 아들을 하나님께 바친 후 많은 아들을 낳았다고 기록한다. 이렇게 하나님께 바쳐지기만 하면 하나님의 놀라운 축복이 우리에게 임하는 것을 본다. 우리가 복을 받지 못하는 것은 내가 하나님께 바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들도 한나를 본받아 하나님께 바치는 삶을 통하여 하나님의 복을 받는 사람들이 되자
@sawadeetv309025 күн бұрын
교회 회의 2-장로와 당회 (깐쁘라춤 카나 푸뽁크렁) -행 6:6-7 교회의 회의는 교회의 일꾼을 따라 공동의회(세례교인), 당회(장로), 제직회(집사)가 구성된다. 교회 공동의회는 세례교인이 있으면 자동 조직되고 교회의 최고 의결기관이다. 당회는 장로가 있어야 조직 할 수 있고, 제직회는 집사가 있어야 조직 한다. 목사는 모든 회의의 장으로써 회의를 주관한다. 당회는 교회의 행정과 정치를 비롯하여 예배와 성례 및 예식을 주관하고, 교회 회원의 입회와 퇴회, 체벌, 대 내외관계 등에 관여한다. 당회는 담임목사와 장로로 구성한다. 1. 당회의 조직 당회는 장로 2인과 목사 1인으로 조직하고 운영할 수 있다. 담임 목회자가 목사가 아니면 당회장의 임무를 수행 할 수 없어서 노회에서 임시 당회장을 파송하여 일을 처리하는데 장로 1인이나 2인이 있으면 이들과 의논하여 처리하고 장로가 없으면 임시 당회장이 독단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기록해 둔다. 장로는 교인의 대표로, 목사는 하나님편의 대표로 참여하며 당회장은 담임 목사가 되고, 장로 중에서 당회 서기를 선출하여 모든 회의 내용을 기록하고 보관한다. 2. 당회의 소집 당회의 소집은 당회장이나 장로들의 청원으로 소집한다. 정상적인 교회는 월1회 당회로 모여 교회 일을 처리하나 3개월 또는 6개월 단위로 당회를 모이기도 한다. 따라서 당회 소집은 안건이 있으면 언제든지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회의 소집은 1개월 전이나 적어도 1주 전에는 소집통보를 한다. 3. 당회의 안건 당회의 안건은 교회 내 중요한 안건과 노회(총회)가 내려 보낸 안건을 처리한다. 3.1 교회 내 안건 처리 (1) 예배 주관 (2)성례와 예식 주관 (3)교인의 입회와 퇴회 주관, 상벌 주관 (4)교회 내 각 기관 관리 (5)교회의 모든 집회 계획 관리 (6)장로, 집사 선택, 교육과 훈련 및 임직 (7)교회 내 각 기관장 인준 3.2 노회의 안건 처리 (1) 담임목사 청빙 허락 청원 (2)교회 장로 피택 허락 청원 (3)노회에 장로 총대 파송 (4)노회의 청원 응답 (5)노회 행사 참여 (6)상회비 지불(예산의 1/10) 결론 당회는 공동의회 이후 교회의 제반 중요한 제반사를 논의하는 기관으로 교회 뿐 아니라 교회의 외부(노회,총회)와의 제반 관계를 처리한다. 당회는 교회의 행정과 정치 문제를 다루는 기관이다.
ประวัติย่อของ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ฯ KPM in Thailand 27,12, 1979 ศจ. ชนะ ชองเข้ามาประเทศไทย 1980 การตั้ง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 The Korea Presbyterian Mission in Thailand 1981 การตั้งคณะที่ปรึกษา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ฯ. 16 ท่าน การเริ่มตั้งคริสตจักรในกรุงเทพฯ (คริสตจักรฮาเลลูยาในปี 1989) 1984 การตั้งคริสตจักรบนดอยชาวลาหู่ อ. แม่สรวย จ. เชียงราย 1985 การตั้งสถาบันบัณฑิตศิษยาภิบาลศาสตร์กรุงเทพฯ(BGP) / การจัดสัมมนาการเพิ่มพูนคริสตจักรครั้งที่ 1 1987 KPM รับรองมิชชันนารี GP ทั้งหมด 1988 การทำงานค่ายอพยพชาวลาว (ช่วยผู้รับใช้พระเจ้าในค่ายอพยพ 20 คน). 1989 การช่วยงานสภาคริสตจักรประเทศลาว (เปิดคริสตจักร 30 แห่ง) การตั้งคริสตจักรฮาเลลูยา กรุงเทพฯ 1990 จัดงานฉลองครบ 10ปี ของ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ฯ The Korea Presbyterian Mission in Thailand 1992 ได้รับปริญญาเอกของ ศจ. ชนะ ชอง (D.Min. California Graduate School of Theology CA) 1993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คณะมิชชั่นของสภาคริสตจักรเพรสไบทีเรียน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GMS) 1994 จัดพิธีสถปณาศาสนาจารย์ ครั้งที่ 1 ของ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ailand และ ฝึกงาน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ศจ. ดร. มนะ คิมรับผิดชอบงานบนดอย (เดือนมิถุนายน) 1995 จัดงานฉลองครบ 15ปีของ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ฯ The Korea Presbyterian Mission in Thailand พิมพ์หนังสือ “Dangerous of Thai” (คำพยานในการทำงานมิชชั่น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 1996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สมาคมมิชชันนารีโลกของสภาคริสตจักร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GMS) 1997 การฝึกงานศิษยาภิบาล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1 เดือน (7 คน) / การจัดพิมพ์หนังสือ”เพลงนมัสการพระเจ้า” 1998 การฝึกงานศิษยาภิบาลใน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1 เดือน (5 คน) / การสนับสนุ่นงานมิชชั่นฯของ ดร. วันทนีย์ / การจัดฉลองวันเกิด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โดย ดร. วันทนีย์ 1999 การพักผ่อน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 1ปี (เกาะความ) 2000 การออกจากศิษยาภิบาลคริสตจักรฮาเลลูนา 2003 การสร้างอาคารเรียน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 การพิมพ์หนังสือ A Guide to Thai Missions 2004 การเปิดสอน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วันที่ 6 สิงหาคม, 50 คน) 2005 การจัดพิธีสถปณาศาสนาจารย์ ครั้งที่ 2 (3 คน) 2006 การก่อสร้างหอพัก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คริสตจักรภาคไทยของสภาคริสตจักรฯ / การจัดพิธีสถปณาผู้ปกครองคริสตจักรฮาเลลูยา 2007 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ร่วมมือกับWycilf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CA.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 ได้รับปริญญาเอก Doctor of Theology จาก Wycilf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ได้รับแต่งตั้งคณาบดี Wycilf University สาขาประเทศไทย เปิดสอนปริญญาเอก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เพื่อศิษยาภิบาลคริสตจักรไทยWycilf University 2008 การจัดพิธีมอบปริญญาของ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ครั้งที่ 1 /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สภาแฮแวฮับดงในสหรัฐฯ / พักผ่อนครั้งที่ 2 ที่สหรัฐฯ 2010 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เปิดสอนหลักสุดภาษาเกาหลี / ได้รับเกียรติแบบอย่างศิษย์เก่า Chongshin University 2012 เปิดหอพักของ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 การจัดพิธีมอบปริญญาของ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 ครั้งที่ 2 (26 คน) 2013 การจัดพิธีมอบปริญญาของพระคิ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ครั้งที่ 3 (9 คน) 2015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สภามีจูฮาบดง USA / พักผ่อนครั้งที่ 3 ของ ศจ.ดร. ชนะ ชองที่สหรัญฯ 2016 การตั้งองค์การมิชชั่นฯ Sawadee Christian Mission, CA. USA / ได้รับสัญชาติสหรัฐฯ(Sept. 20) 2017 เป็นมิชชันนารีอาวุโสของสภาฯ GMS (วันที่ 15 มีนาคม, อายุ 70ปี) 2018 การจัดพิมพ์หนังสือรายงานมิชชั่นฯ 45ปี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7 เล่ม) / ปิดคริสตจักรฮาเลลูยา(วันที่ 1 เมษายน) 2019 การจัดพิธีมอบปริญญา ครั้งที่ 4 ของพระคริสตธรรมเชียงราย (3 คน) / การลงโทษ ศจ.สุรพรรณ(เมษายน) เป็นประธานสาขาประเทศไทยของ Korea National Payer Breakfast (Sept. 26) การจัดพิมพ์หนังสือ Mission Field Settlements of Missionary (20 Oct.) 2020 การเตรียมศาสนาจารย์ชาวอาข่า (5 คน) 2021 เปิดคริสตจักรอินเทอร์เน็ต Sawadee i-Church (May) / การจัดพิมพ์หนังสือ ”ผู้ร่วมงานมิชชั่น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 (สิงหาคม) 2022 การจัดพิมพ์หนังสือ “ชีวิต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 The Life of Dr. Seung H Chung” (พฤษภาคม) 2023 การจัดประชุมประจำปีของ KPM / การจัดพิธีสถปณาศาสนาจารย์ ครั้งที่ 3 (วันที่ 21 พฤศจิกายน) 2024 ศจ. ซองชุน คัง ลาออกจากมิชชันนารีย์ KPM และ มีปัญหาในการสนับสนุ่นคริสตจักรอาข่า ลาหู่ (กันยายน) การตั้งคริสตจักรภาค The Akha Lahu Presbytery in Thailand(Oct. 14) 2025-2026 ทำงานมิชชั่นฯอีกสองปี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ของ ศจ. ดร. ชนะ ชอง 2027 การกลับ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อายุ 81ปี)
@sawadeetv3090Ай бұрын
정승회선교사의 주태 한국장로교선교부(KPM) 약사 2 2003년 치앙라이 장로교신학교(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건축 시작(11월11일) "태국선교 길잡이" 발간 (총회출판국) 2004년 치앙라이 장로교신학교 개강 (8월6일)-50명 학생 치앙라이 장로교신학교 헌당식 거행(9월8일)-건축비 4억5천만원 소요 2005년 제2회 태국장로교회 목사 안수식 거행 (분깬,뜨라이롱,우돔강도사) 2006년 PTS 신학교 기숙사 건축 준비(1월/김대중집사 지원) 대한예수교장로회 해외합동총회 태국노회 정기회의(5월/은혜교회당/노회장 피선) 할렐루야교회 제1회 장로 장립식 거행 (파수집사,1월23일) 2007년 Wyclif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CA. USA 와 PTS 학위 협정(1월) 정승회선교사 Wyclif University 신학박사 학위 취득(6월8일) Wyclif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CA. USA 태국 분교장 태국교회지도자들을 위한 목회학 박사과정 개설 (9월/15인) 2008년 PTS 제1회 학위수여식 거행 (학사 5명, 석사 9명/11월11일) PTS 신학교 기숙사 건축 시작(12x12m.2층/3월31일)-예산 6천만원 김대중집사 헌금) 제30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해외합동총회 총회장 (방콕은혜교회당/5월14-16일) 정승회선교사 제2차 안식년 시작 (12월/미국 LA) 2009년 미국 풀러턴에서 2차 안식년 (12월15일 태국 귀환) 2010년 PTS 한인학부 방콕에 개설 (3월) 및 개강(5월) / 정승회선교사 "자랑스런 총신인 선교사상 수상"(5월) 2012년 PTS 기숙사 건축 학사관 개관(5월) / Wyclif 부총장 취임(7월) / PTS 신학교 제2회 학위수여식 (11월6일/26명)/2013년 찬송가 개편 출판(할렐루야 찬송가, 11월) / PTS 제3회 학위수여식 거행(10월7일-9명) 201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미주합동총회 총회장 (4월29일) / 제3차 안식년 출발 12월5일-2016년11월 2016년 미국 엘에이 타이밋천 태국교회(몬뜨리목사)에서 안식년 "Sawadee Christian Mission" 종교 법인 설립(CA, March 28) / 미국 시민권 취득 (9월20일) 2017년 GMS 원로선교사 추대 및 축하 (3월15일 18시/KPM Thailand) 2018년 방콕할렐루야교회 폐쇄 (4월1일 / 태국선교 40년 보고서 6권 발간 2019년 PTS 제4회 학위수여식 (3월6일,Thongtip, Sommit, Pannee-M.Div.) / 수라판목사 목사직 정직 및 면직 (4월)/대한민국 국가조찬기도회 태국 지회장 (4월29일) "선교사의 성공적인 선교지 적응과 정착"발간 (10월20일) 2020년 아카족교회 목사후보생 교육과 훈련 시작(7-12월,5인) 2021년 Sawadee i-Church 개설 (5월)-인터넷교회(예배, 성경공부) /"정승회의 태국선교 동역자들" 출판(324면, 8월) /찬송 번역(424장 아버지여 나의 맘을, 73장 내 눈을 들어 두루 살피니 2022년 태국선교 보고서 제7권 발간 (2020-2021년,22-24년) (1월)/정승회 이야기(자서전, 265면)발간(5월) 2023년 정승회선교사 한국국적회복 완료(1월-10월)/KPM선교부 정기 모임(6월12-14일, 타운인타운 호텔) 제3회 태국장로교총회 목사 안수식 (11월21일, 반파브교회당)-아파목사, 폰싹,아컹,수라차이,아쩌, 아파,낌촌 강도사- 2024 .인천 주동행교회 동역(사회,기도,설교,축도.특송)/김영숙선교사 한국국적회복, (복수국적자, 4월) 강성춘선교사의 산족교회 사역 중단 (10월부터) 치앙라이 산족교회 독립 노회 설립(태국아카,라후장로교회, 10월14일)-12월까지 김영숙선교사의 후원 노회장-아파목사, 부노회장-짜터전도사, 서기-아쩌강도사, 회계-수라차이강도사 수라차이강도사, 아컹강도사 목사 안수 준비 시작 (10월) 2025-2026 80세까지 선교선교 계속 (치앙라이 중심) 2027년 태국선교 종결 예정
@sawadeetv3090Ай бұрын
정승회선교사의 주태 한국장로교선교부(KPM) 약사 1979년 12월27일 정승회선교사 가족 태국 도착. 1980년 주태 한국장로교선교부(The Korea Presbyterian Mission in Thailand) 설립(선교사 비자 20개) 1981년 KPM 선교부 고문단 구성 (16인) 1984년 산족교회(라후족/수찻전도사)개척 착수 (매쑤웨이 반야남교회 접수 육성 (캄씽전도사) 1985년 방콕목회대학원 설립 (4기생 수료/2004년 PTS로 이관) 제1회 한,태교회성장세미나 태국 개최 (웜선교회-오광수목사) 1987년 태국복음주의연맹(EFT)내의 방콕교회협의회 위원 (2년) / EFT 전도 및 부흥협의회 위원 (2년) 한국지구촌선교회 선교사 전원 (김정웅,윤수길,양병화,박선진,김중식선교사)의 비자를 KPM 비자로 지원 1988년 태국 내 라오스 난민촌 선교를 위하여 2인의 사역자를 파송하고, 20인의 난민촌 내 교회사역자 지원, 태국교회 목회자 7인 (아피씻,수라판,싸롯,캄행,쌈란,낏,나린) 한국교회 목회훈련(1개월) 1989년 라오스복음교회 교단 (회장 비타우목사)을 지원하여 30여 교회 재건 방콕 할렐루야교회 개척 설립(2000년까지 담임목사로 시무) 1990년 주태 한국장로교선교부 10주년 기념대회 개최 / 방콕목회대학원 1회 학위 수여식 거행(4인) 1992년 캘리포니아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박사 학위 취득 / 라오스에 김재양선교사 파송 1993년 GMS 태국 지부장 (1993-1995년) 1994년 태국장로교회 총회 제1회 목사 안수식 거행 (아피씻/수라판)/ 태국교회 목회자 9인 한국교회 목회 실습(1개월) 김학영선교사 KPM 선교부의 산족 선교 전담 시작 (6월) 1995년 KPM 선교부 15주년 기념 대회 개최 (1월10-11일,BCC 강당/예배, 음악회, 선교세미나 등) "태국인의 위험과" 선교 간증 및 논설집 발간 1996년 총회세계선교사협의회 회장 (4년) 1997년 태국교회 목회자 한국교회 실습 1개월(7인) / 태국장로교회의 찬송가 발간 (12월) 1998년 태국교회 목회자 5인 한국교회 목회 훈련(1개월) 완타니권사(싸막키탐 끄룽텦교회)의 선교비 지원(월5,000밧)/ 완타니권사 정승회선교사 생일파티 배설 시작 1999년 (20년만에 최초 안식년, 괌 태평양장로교회)/안식년 중에 3인 선교사의 반란(이춘우,김정숙,김건용) 2000년 방콕 할렐루야교회(태국인) 담임목사 사임
I. Additional Tip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cture Note Creation 1. Engage with the Material Personally Purpose: Deep understanding and passion enhance teaching effectiveness. Actions: Reflect on how the subject impacts your own faith and ministry. Share personal insights or experiences related to the topic to make lectures more relatable. 2.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Purpose: Active involvement reinforces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Actions: Ask open-ended questions to prompt discussion. Cre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d parts of the lecture or present findings. 3. Use Real-World Applications- 26 Purpose: Bridge theory and practice, making learning relevant. Actions: Incorporate current events or local church issues into discussions. Assign projects that require applying theological concepts to ministry contexts. 4. Continually Update and Revise Lecture Notes Purpose: Maintain relevance and accuracy in teaching materials. Actions: Stay informed about the latest theological research and debates. Revise lecture notes based on feedback and new insights. 5. Utilize Visual Aids Effectively Purpose: Enhance understanding and retention through visual learning. Actions: Incorporate charts, graphs, and images to illustrate complex ideas. Use presentation software (e.g., PowerPoint, Keynote) to organize and display information clearly. 6. Provide Clear Instructions and Expectations Purpose: Ensure that students understand what is expected of them. Actions: Clearly outline assignment guidelines, deadlines, and assessment criteria. Explain how each lecture fits into the overall course objectives. 7. Foster a Respectful and Inclusive Classroom Environment Purpose: Create a safe space for learning and open dialogue. Actions: Respect diverse viewpoints while maintaining doctrinal integrity. Encourage mutual respect and active listening among students. By following this structured approach to teaching and creating lecture notes, you can ensure that your classes are engaging, informative, and transformative for your students. This methodology not only imparts theological knowledge but also equips students to apply their learning effectively in their ministry and cultural contexts.- 27 Summary on How to Create Lecture Notes Lecture notes help you structure your teaching and ensure that you cover all the necessary content. Here’s a step-by-step guide to creating comprehensive lecture notes: 1. Identify the Main Topic Clearly define the subject of the lecture. Example: Doctrine of Grace in the Reformed Tradition. 2. Set Learning Objectives List what students should know, understand, or be able to do by the end of the lecture. Example: Understand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grace. Explain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TULIP). Apply the doctrine of grace in pastoral care. 3. Outline the Structure Break the lecture into logical sections or points. Each section should represent one key idea. Example Outline: Introduction to Grace in Reformed Theology Scriptural Basis of Grace (Scripture references: Ephesians 2:8-9, Romans 3:23-24) The Doctrine of Total Depravity Unconditional Election and Its Implications Practical Applications of Grace in Ministry 4. Detailed Content for Each Section Introduction: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to grace and its importance in the Reformed tradition. Reference key historical figures (e.g., John Calvin, Augustine). Main Points: Explain each doctrinal point with Scripture references, theological definitions, and examples. Include cross-references to historical documents like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or Heidelberg Catechism. Practical Examples: For each theological concept, give examples of how this doctrine might apply to real-life ministry challenges (e.g., how a pastor would counsel someone who feels unworthy of salvation). Illustrations: Include an illustration or story that helps make the theological point relatable. For - 28 instance, using an analogy about God’s grace working in a person’s life. 5. Questions for Discussion Add reflection or discussion questions at the end of each section to stimulate class interaction. Example: How does the doctrine of grace shape our understanding of salvation? In what ways can pastors demonstrate grace in their counseling ministries? 6. Application Section Offer students ways to apply the material. This could be through personal reflection, discussion with church members, or specific ministry practices. Example: How can understanding grace impact your preaching and evangelism? 7. Conclusion Summarize the main points you covered. Restate the key theological insight you want students to remember. Example: "Grace is central to the Christian faith, and it is by grace alone that we are saved. As future leaders, your task is to preach and live this grace in all aspects of ministry." 8. Follow-Up Resources Suggest additional readings, Scripture passages, or theological works that students can explore after the lecture. Example: Read John Calvin’s Institutes, Book 2, Chapters 12-15 for further study on grace. Example of Lecture Note Format Title: The Doctrine of Grace in the Reformed Tradition Introduction: Definition of grace in Reformed theology. Importance of grace: "Salvation is by grace alone" (Ephesians 2:8-9). Main Points: Total Depravity: Human sinfulness and the need for grace (Romans 3:23). Unconditional Election: God’s grace in choosing His people (Romans 9:16). Limited Atonement: Christ's work on behalf of the elect. Irresistible Grace: God’s grace cannot be resisted (John 6:44). Perseverance of the Saints: Grace that sustains believers (Philippians 1:6). Discussion Questions: What is the most challenging aspect of grace for people to accept? How does understanding God's grace change the way we counsel others?- 29 Practical Application: How can pastors demonstrate God's grace in difficult church situations? Write a sermon outline on grace that you can use in your church. Conclusion: Recap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grace. Encourage students to rely on God’s grace in their personal lives and ministries. Further Reading: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The Bondage of the Will by Martin Luther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H. Example: Teaching a Specific Theological Subject Subject: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 1. Define Learning Objectives Understand the biblical foundations of predestination.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octrine within Reformed theology. Analyze contemporary perspectives and debates on predestination. Apply the doctrine to pastoral counseling and ministry. 2. Structured Curriculum Module Week 1: Introduction to Predestination Definition and significance in Reformed theology Key scripture passages (e.g., Ephesians 1:4-5, Romans 8:29-30) Week 2: Historical Development Augustine’s views John Calvin and the formulation of Reformed predestination Week 3: Theological Implications Sovereignty of God Free will vs. divine determinism Week 4: Contemporary Perspectives Open Theism Molinism Compatibilism Week 5: Practical Applications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Evangelism and assurance of salvation 3. Teaching Methods for This Subject Lecture: Present the definition, biblical basis, and historical context of predestination. Socratic Dialogue: Engage students in discussions about free will and divine sovereignty. Group Discussion: Analyze different theological perspectives on predestination. Case Study: Apply the doctrine to a pastoral counseling scenario involving doubts about salvation. Multimedia: Show a documentary segment on John Calvin’s influence on Reformed theology. 4. Creating Lecture Notes for "Historical Development of Predestination"- 24 Title: Historical Development of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 Date: Learning Objectives: Trace the origins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early Christianity. Understand John Calvin’s contributions to Reformed predestination. Examine key historical debates and confessions related to predestination. I. Introduction to Historical Development Brief overview of predestination’s significance in Reformed theology. II. Augustine’s Influence Background: Augustine of Hippo (354-430 AD) Key Points: Augustine’s views on grace and election. The conflict with Pelagianism. Impact on later Western Christian thought. Scripture Reference: Romans 9 III. John Calvin and Reformed Predestination Background: John Calvin (1509-1564) Key Points: Systematic articulation 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Double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The role of God’s sovereignty in salvation. Historical Context: The Reformation and challenges to Catholic doctrines. IV. Key Historical Debates and Confessions Synod of Dort (1618-1619): Response to Arminianism. Formation of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TULIP). Canons of Dort: Definition of doctrines related to predestination. Later Developments: Influence on Puritanism and Reformed churches. Ongoing debates within Reformed theology. V. Contemporary Perspectives Modern Reformed Theologians: Contributions and interpretations. Ecumenical Dialogues: Interactions with other theological traditions.- 25 VI. Conclusion Summary of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predestination. Its enduring impact on Reformed theology and practice. VII. Discussion Questions: How did Augustine’s views on predestination influence John Calvin? What were the main outcomes of the Synod of Dort concerning predestination? How do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redestination help in contemporary ministry? VIII. Further Reading: Book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Augustine and the Predestination of the Saints" by [Author] Article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Reformed Theology" -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Online Resources: [Link to a lecture series on Reformation theology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G. Creating Effective Lecture Notes 1. Start with a Clear Outline Purpose: Organize your thoughts and ensure a logical flow of information. Actions: Main Topics and Subtopics: Identify the primary points you want to cover and break them down into smaller, manageable sections. Sequence: Arrange topics in a sequence that builds upon previous knowledge, facilitating comprehension and retention. Example Outline: Introduction to Reformed Hermeneutics Definition and importance Historical background Principles of Reformed Exegesis The authority of Scripture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interpretation Application of Reformed Hermeneutics Case studies Practical ministry implications 2. Incorporate Key Elements into Lecture Notes Purpose: Ensure that lecture notes are comprehensive, clear, and useful for both teaching and student study. Elements to Include: Title and Date: Clearly label each lecture with the topic and date. Learning Objectives: State what students should achieve by the end of the lecture. Main Content: Detailed explanations of concepts, supported by scripture references and theological arguments. Examples and Illustrations: Use real-life examples, historical cases, or hypothetical scenarios to clarify complex ideas. Scripture Passages: Include relevant Bible verses and provide brief exegesis or commentary. Diagrams and Charts: Visual aids to represent theological frameworks, timelines, or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Discussion Questions: Pose questions to stimulate critical thinking and class discussion. Summary and Key Takeaways: Recap the main points at the end of the lecture to reinforce learning. Further Reading: Suggest additional resources for students who wish to delve deeper into the topic.- 21 3. Use Clear and Concise Language Purpose: Enhance understanding and ensure that students can easily follow and comprehend the material. Actions: Avoid jargon unless it is clearly defined and necessary. Use bullet points, numbered lists, and headings to break up text and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Be precise in your explanations, ensuring that each point logically follows the previous one. 4. Integrate Theolog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s Purpose: Bridge the gap between academic learning and practical ministry. Actions: After explaining a theological concept, include a section on its application in ministry settings. Provide scenarios or questions that prompt students to think about how they would apply the concept in their own context. Example: Theological Concept: The Sovereignty of God Application: How does understanding God's sovereignty impact pastoral counseling during times of crisis? 5. Encourage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Purpose: Develop students' ability to engage thoughtfully and critically with theological issues. Actions: Include reflective questions that encourage students to evaluate and apply what they’ve learned. Incorporate prompts for personal reflection or journaling on how the lecture’s content relates to their faith journey and ministry. 6. Provide Opportunities for Review and Reinforcement Purpose: Aid in retention and comprehension of the material. Actions: Recaps: Begin each lecture with a brief review of the previous session’s key points. Quizzes and Assessments: Include short quizzes or polls to assess understanding during or after the lecture. Summary Sections: End lectures with a summary of the main points covered,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22 7. Make Lecture Notes Accessible and Organized Purpose: Ensure that students can easily navigate and utilize the lecture notes for study and reference. Actions: Consistent Formatting: Use a consistent style for headings, subheadings, fonts, and spacing. Table of Contents: If lecture notes are extensive, include a table of contents for easy navigation. Digital Availability: Provide lecture notes in digital formats (e.g., PDF, Word) through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easy access and searchability. Visual Clarity: Use high-contrast colors, legible fonts, and clear diagrams to enhance readability. 8. Incorporate Feedback and Continuous Improvement Purpose: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your teaching materials based on student needs and feedback. Actions: Solicit Feedback: Regularly ask students for feedback on the clarity and usefulness of lecture notes. Adjust Accordingly: Modify and improve lecture notes based on constructive feedback to better meet learning objectives. Stay Updated: Keep lecture notes current with the latest theological research and discussions to ensure relevance and accuracy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F. Method for Teaching a Theological Subject 1. Define Clear Learning Objectives Purpose: Establish what you want your students to know, understand, and be able to do by the end of the course or specific class. Actions: Identify key theological concepts and skills relevant to the subject. Ensure objectives align with the seminary’s mission and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s. Example Objectives: Understan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Apply Reformed hermeneutics to biblical exegesis. Develop skills for effective pastoral counseling within a Reformed framework. 2. Design a Structured Curriculum Purpose: Organize the course content in a logical and progressive manner. Actions: Break down the subject into manageable modules or units. Sequence topics from foundational to more advanced. Incorporate both doctrinal teachings and practical applications. Example Structure: Introduction to Reformed Theology Biblical Foundations of Reformed Doctrine Historical Development of Reformed Thought Contemporary Issues in Reformed Theology Practical Ministry Applications 3. Select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Purpose: Utilize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to cater to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enhance engagement. Actions: Lectures: Deliver structured presentations on key topics, ensuring clarity and depth. Socratic Method: Engage students in critical thinking through guided questions and dialogue. Group Discussions: Facilitate small or large group conversations to explore theological issues collaboratively. Case Studies: Analyze real-life ministry scenarios to apply theological principles. Role-Playing: Simulate pastoral counseling or church leadership situations to develop practical skills.- 18 Multimedia Resources: Incorporate videos, podcasts, and digital tools to enrich learning. 4. Incorporate Active Learning Strategies Purpose: Promote student engagement and deeper understand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ctions: Interactive Lectures: Pause periodically to ask questions, encourage reflections, and invite brief discussions. Peer Teaching: Have students present on specific topics to their classmates, fostering ownership of learning. Workshops: Conduct hands-on sessions for skills like preaching, counseling, or leadership. Service Projects: Link theological education with community service, demonstrating faith in action. 5. Utilize Relevant and Contextual Materials Purpose: Ensure that teaching materials resonate with the students’ cultural and ministry contexts. Actions: Select textbooks and resources that reflect Reformed theology and are applicable to the mission field. Incorporate local theological writings and perspectives. Use scripture passages that are relevant to the topics being taught. Example Resource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y John Calvin Local church documents and confessions Contemporary Reformed theological journals 6. Assess and Provide Feedback Purpose: Evaluate student understanding and provide constructive feedback to guide their growth. Actions: Formative Assessments: Use quizzes, reflective journals, and in-class activities to gauge ongoing comprehension. Summative Assessments: Implement exams, research papers, and presentations to assess overall mastery of the subject. Feedback Mechanisms: Offer timely and specific feedback on assignments and assessments to help students improve. Self-Assessment: Encourag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own learning and identify - 19 areas for growth. 7. Foster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Purpose: Create a classroom atmosphere that encourages open dialogue, mutual respect, and spiritual growth. Actions: Respectful Dialogue: Encourage respectful debates and discussions, valuing diverse viewpoints within the Reformed framework. Mentorship: Provide opportunities for one-on-one mentoring and spiritual guidance. Community Building: Organize group activities, prayer sessions, and fellowship events to strengthen community ties. 8. Integrate Technology and Online Resources Purpose: Enhance learning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digital tools and resources. Actions: Utiliz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e.g., Canvas, Blackboard) to distribute materials and facilitate discussions. Incorporate online libraries, databases, and theological resources for research and study. Use virtual meeting tools for guest lectures or collaborative projects, especially important in mission fields with limited access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E. Goals of the Theological Seminary Setting goals for a theological seminary according to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s requires a focus on core principles of Reformed theology, such as the sovereignty of God, the authority of Scripture, the centrality of grace, and the importance of equipping leaders for the church. These goals should align with the seminary’s mission of developing faithful, biblically-grounded, and Christ-centered leaders for the church and the world. Here are several strategic goals that a theological seminary following the Reformed tradition might set: 1. Biblical Fidelity and Theological Depth Goal: Ensure that all teaching and academic programs are deeply rooted in the authority of Scripture, interpreting the Bible through a Reformed theological lens. Strategies: Develop rigorous exegetical and hermeneutical training to equip students in faithful biblical interpretation. Emphasize the doctrines of grace, covenant theology, and the sovereignty of God in all courses. Regularly review and update the curriculum to reflect both historic Reformed confessions (e.g.,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Belgic Confession) and contemporary theological discussions. 2. Spiritual Formation and Christ-Centered Discipleship Goal: Promote holistic spiritual formation, ensuring that students grow not only intellectually but also in their personal faith and relationship with Christ. Strategies: Integrate spiritual disciplines (prayer, meditation on Scripture, worship) into the daily life of the seminary. Provide mentoring and discipleship opportunities where faculty and experienced pastors guide students in their spiritual and ministerial journeys. Encourage participation in regular chapel services, emphasizing Reformed worship principles, including the centrality of preaching, sacraments, and covenant community. 3. Training for the Gospel of Christ-Centered Ministry and Mission Goal: Equip students to serve the church and engage the world with the gospel, emphasizing Reformed missiological theology and pastoral care. Strategies: Develop courses that combine theological depth with practical ministry skills, such as preaching, counseling, church leadership, and pastoral care, all rooted in the Reformed understanding of ministry.- 14 Establish partnerships with local and global churches to provide hands-on ministry internships that allow students to apply their theological education in real-world settings. Offer specialized training in Reformed pastoral theology, focusing on how to shepherd congregations, administer the sacraments, and lead in a way that reflects Reformed principles. 4. Doctrinal Unity with a Spirit of Humility Goal: Preserve doctrinal purity and unity around core Reformed confessions while fostering a spirit of humility and openness to ongoing learning and dialogue. Strategies: Require students to study and affirm key Reformed confessions, creeds, and catechisms (e.g., Heidelberg Catechism,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ost theological seminars and dialogues that address contemporary issues (e.g., social justice, ethics, gender roles) from a Reformed perspective, engaging critically yet charitably with other traditions. Encourage faculty and students to demonstrate intellectual humility, recognizing that ongoing dialogue within the broader Christian community can enrich Reformed theology. 5. Reformed Worship and Ecclesial Practice Goal: Teach and model a biblical and Reformed understanding of worship and ecclesiology, preparing students to lead worship services that are God-centered and Scripture-saturated. Strategies: Offer specialized courses on the theology and practice of worship, emphasizing the 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 the proper use of the sacraments,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order. Train students in preaching that is grounded in Scriptu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ository preaching in Reformed churches. Promote a strong understanding of Reformed church polity, encourag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local church, presbyterian governance, and the role of elders and deacons in the life of the church. 6. Engagement with Society through a Reformed Worldview Goal: Equip students to engage with culture, society, and contemporary issues from a distinctly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grounded in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nd the cultural mandate. Strategies: Develop courses that address ethical,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the lens - 15 of Reformed theology (e.g., justice, human dignity, environmental stewardship, family, vocation). Foster a Reformed understanding of cultural engagement, teaching students how to apply biblical principles to every sphere of life, including work, politics, education, and the arts. Encourage students to be salt and light in society, recognizing their role in advancing God’s kingdom not just in the church but in the broader world through a Reformed worldview. 7. Global Reformation and Missionary Outreach Goal: Contribute to the global church through Reformed theological education and missional outreach, partnering with like-minded ministries around the world. Strategies: Develop cross-cultural mission training programs that equip students to bring Reformed theology and practice to diverse cultural contexts, understanding the missional heart of Reformed theology. Create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Reformed seminaries, churches, and mission agencies to support the global growth of the Reformed tradition. Encourage students and faculty to engage in mission trips, church planting efforts, and theological conferences that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Reformed faith globally. 8. Sustainability and Stewardship Goal: Maintain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wise stewardship of resources, ensuring that the seminary can continue its mission for future generations. Strategies: Develop a robust financial model that includes diversified revenue streams (e.g., tuition, donations, endowments) to ensure long-term viability. Foster a culture of stewardship that reflects biblical principles of generosity and responsibility, encouraging both students and staff to be faithful stewards of God’s resources. Pursue institutional partnerships and grants to support scholarships, research, and faculty development in order to attract and retain talented students and scholars. 9. Scholarship in Service to the Church Goal: Encourage a robust academic research environment that serves the broader church, producing scholarship that strengthens Reformed theology and equips pastors and leaders. Strategies: Support faculty research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Reformed - 16 theology, biblical studies, and church history, emphasizing the goal of strengthening the global church. Publish theological journals, articles, and books that engage both academic and lay audiences, bridging the gap between scholarship and church practice. Host academic conferences and lectures that bring together Reformed theologians, pastors, and scholars to discuss contemporary challenges in theology and ministry. 10. Community Life Reflecting Reformed Principles Goal: Build a seminary community that models the values of grace, humility, and service, reflecting the communal and covenantal aspects of Reformed theology. Strategies: Promote a strong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faculty, and staff through shared meals, prayer times, and collaborative projects that emphasize unity in Christ. Encourage mutual accountability and discipleship within the seminary community, reflecting the Reformed emphasis on covenant relationships and church discipline. Organize community service projects that encourage students to serv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eminary, modeling Christ’s love and servant leadership. By pursuing these goals, a theological seminary grounded in Reformed traditions can fulfill its mission to equip students to serve Christ and His church with theological depth, spiritual maturity, and a missional mindset. These goals help ensure that the seminary remains faithful to its Reformed heritage while engaging with the contemporary world. Creating a theological school in a mission field is a powerful way to support local churches, develop indigenous leadership, and strengthen the global church.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D. Managing a theological seminary It involves overseeing its academic, administrative, and spiritual functions. While there isn't a single universal directory that specifically manages all seminaries, several directories and resources are useful for the administration and leadership of a seminary. These directories provide information, networks, and tools to support theological education. Here are some important resources that can be used to manage or support the administration of a theological seminary: 1. Association of Theological Schools (ATS) Directory What it offers: The ATS accredits seminaries and provides a directory of its member institutions. It offers resources, guidelines, and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for seminary administrators, helping to ensure high academic and spiritual standards in theological education. Key Resources: Member school directory. Standards of accreditation. Faculty and leadership development resources. Data on enrollment, financial health, and academic programs. Website: www.ats.edu 2.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ETS) What it offers: ETS provides a directory of evangelical scholars and institutions, including seminaries. It offers resources for theological research, networking opportunities, and scholarly publications. Leaders of seminaries can use ETS to connect with faculty, stay current on theological trends, and engage in scholarly discussions. Key Resources: Annual meetings for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Publications and journals on evangelical scholarship. Access to a network of scholars and theologians. Website: www.etsjets.org 3. Association for Biblical Higher Education (ABHE) What it offers: ABHE is another accrediting body that oversees many evangelical Bible colleges and seminaries. It provides resources on accreditation, leadership development, and governance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Key Resources: Accreditation directory.- 11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for academic deans and presidents. Webinars, conferences, and resources on institutional management. Website: www.abhe.org 4. Global Forum for Theological Education (GFTE) What it offers: GFTE is a network that connects theological educators and institutions globally. It fosters collaboration across denominations and traditions, helping seminaries connect with international partners. Key Resources: Global directory of theological schools and educators. Resources on global theological trends. Forums and conferences for collaboration across regions. Website: www.gfte.org 5. In-Trust Center for Theological Schools What it offers: In-Trust Center provides governance and leadership resources for theological institutions. They focus on providing board governance training, leadership transition guidan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seminaries and theological schools. Key Resources: Educational programs on governance and leadership. Online resources and publications related to seminar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for seminary boards and administrators. Website: www.intrust.org 6. Seminary Governance and Leadership Resources What it offers: Various organizations and consultancy firms provide specialized leadership and management support for seminaries, including strategic planning, governance, financial management, and faculty development. Key Resources: Theological Education Between the Times: Offers resources on the changing landscape of theological education. Leadership Network: Provides resources for Christian institutions, including seminaries, to help with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on. 7. Christian Higher Education Associations Council for Christian Colleges & Universities (CCCU): While focused on Christian universities, CCCU offers resources for theological seminaries related to governance, faculty development, student formation, and mission integration. Website: www.cccu.org- 12 8. Denominational Directories Many denominations provide their own directories and resources for managing affiliated seminaries. These typically offer guidance on doctrinal alignment, faculty hiring, and financial support. Examples: Southern Baptist Convention: Oversees seminaries affiliated with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and other institutions. Edinburgh Theological Seminary: She is a typical Theological Training school for the presbyterian churches both in Scotland and in the World. 9. Library and Research Networks The American Theological Library Association (ATLA): Offers a directory of theological libraries and digital resources, allowing seminaries to connect with research databases, library systems, and academic networks. Website: www.atla.com 10. Online Platforms for Academic and Administration Management Populi: A comprehensive online platform used by many seminaries to manage academic administration, admissions, student records, and finances. Website: www.populi.co www.thirdmil.com Blackboard or Canvas: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that seminaries use to manage online or hybrid courses, organize course materials, and engage students in theological education. Additional Resources Consulting Firms: Some consulting firms specialize in theological education and offer help with institutional development, strategic planning, and financial management. These directories and resources are essential for seminary leaders to navigate the complexities of managing a theological institution, ensuring that they maintain high academic standards while fostering spiritual growth and preparing students for ministry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C. Marks on examinations Grading exams in a theological seminary, or any academic setting, requires a clear and fair approach to assess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mastery of the material. Here's a structured guide on how professors typically assign marks for examinations: 1. Define Clear Grading Criteria Rubrics: Create a detailed grading rubric before grading begins, which outlines how different parts of the exam will be evaluated. Rubrics help ensure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in grading. The rubric might include: Content accuracy: Are the theological concepts or biblical interpretations correct? Depth of analysis: How well does the student engage with the material beyond surface-level understanding? Use of sources: Are students correctly citing scripture, theological works, or other academic sources? Clarity of thought: Is the argument well-structured, logical, and easy to follow? Application to ministry: Does the student apply the theological concepts in a practical or pastoral context (if applicable)? Weighting of Questions: Assign different weights to various sections or questions based on their difficulty or importance. For example, multiple-choice questions might carry less weight than essay responses that require deeper reflection and analysis. 2. Evaluate Different Question Types Objective Questions (e.g., Multiple Choice, True/False): These types of questions are typically straightforward to grade. Assign one mark per correct answer, and avoid partial credit unless the question is designed that way. Short-Answer Questions: Evaluate these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answer and how well the student demonstrates understanding in a concise format. Partial credit can be given if the student provides some correct information but misses key details. Essay Questions: Essays often form a significant part of theology exams. When grading essays, consider: Thesis clarity: Is the main argument or thesis clear and focused? Argumentation: Are the points well-developed and supported by theological reasoning, scriptural references, or academic sources? Engagement with theological ideas: Does the student demonstrate a strong grasp of - 8 the theological topic or issue at hand? Application to practice: If relevant, does the student show how theology applies to ministry or life situations? Assign marks based on how well the student meets the essay’s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ubric. 3. Use a Consistent Grading Process Mark Question-by-Question: For consistency, grade all students' responses to a specific question before moving on to the next question. This minimizes bias and ensures that you're applying the same criteria to everyone. Provide Partial Credit: If a student demonstrates partial understanding, award partial credit where applicable, especially in essays or problem-solving questions. For example, if a student interprets a scripture passage but only addresses half of the key themes, they may receive partial credit. Be Objective with Theology: Ensure that marks are based on the quality of theological reasoning rather than personal agreement with the student’s theological position (unless a specific doctrinal stance is required by the institution). 4. Provide Feedback Comments on Papers: For essay or short-answer questions, include brief comments that explain why certain marks were deducted or where the student excelled. Constructive feedback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ir mistakes and improve future work. Address Major Mistakes: If a student misinterprets a key theological concept, provide feedback that explains the correct understanding, guiding the student toward further study. 5. Be Fair and Consistent Avoid Bias: Strive for fairness by grading all students according to the same standards. Avoid favoring students based on their personal theological perspectives or classroom participation. Second Review: If unsure about a grade, consider reviewing the answer after a short break or ask a colleague for a second opinion, especially if the answer involves a controversial or complex theological argument. Curve the Grades (if necessary): If the overall class performance is lower than expected, some professors might apply a grading curve to adjust for difficulties in the exam or unclear questions. 6. Calculate Final Marks Add Up Marks: Once all sections of the exam are graded, total the points for each - 9 student. Ensure that the final score reflects the correct weightings assigned to different sections of the exam. Convert to Letter Grades (if required): Depending on the grading system used by the institution, convert the numerical score into a letter grade (A, B, C, etc.) according to the grading scale. 7. Review and Adjust (if needed) Address Outliers: If a student performs unusually poorly but has been strong in other areas, consider whether there might be external factors (such as illness or misunderstanding) and adjust marks accordingly if the institution’s policies allow. Review Problematic Questions: If many students struggle with a specific question, review it to see if it was unclear or poorly worded. In some cases, professors may drop or adjust problematic questions when calculating final grades. By following these steps, professors in theological seminaries can ensure a fair and thoughtful approach to marking exams, while also providing valuable feedback to help students grow in their academic and spiritual journeys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B. How to Prepare lecture note Preparing lecture notes as a professor in a theological seminary involves thoughtful planning, research, and a focus on aligning content with both academic and spiritual goals. Here’s how they typically prepare lecture notes: 1. Understand the Course Objectives Curriculum Review: Professors first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course syllabus and objectives. This ensures that the lecture content aligns with the broader course goals, such as deepening theological knowledge or enhancing ministry skills. Denominational or Institutional Guidelines: In some cases, theological seminaries may have specific doctrinal positions or perspectives, which professors must consider while preparing their lectures. You need standards manual for this purpose. Every Seminary must let Professors know the manual in advance to prepare their lectures. My advice is The Bible as the sole rule of Faith and Life, and traditional orthodox Reformed Theology. 2. Research and Content Gathering Consult Primary Texts: For theological courses, professors often start with key primary sources such as the Bible, early church writings, or major theological works. For courses on biblical studies, this may involve close reading and exegesis of scripture in its original languages (Greek, Hebrew, Aramaic). Use Scholarly Resources: Professors gather insights from secondary sources such as theological commentaries, peer-reviewed journals, and books by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They may consult works by theologians, biblical scholars, historians, and ethical scholars to ensure they are presenting up-to-date, scholarly content. Incorporate Current Issues: For practical or pastoral theology courses, professors may integrate contemporary issues (e.g., ethics, social justice, leadership, methods for evangelism) to make the lecture relevant to students preparing for ministry. 3. Organize and Structure the Lecture Outline Key Concepts: Professors typically create an outline to organize major points, arguments, and themes they want to cover. This can include theological doctrines, biblical passages, or case studies. Integrate Scripture or Doctrinal Teachings: Biblical or doctrinal texts are often woven into the lecture to support the main themes. These references serve as the backbone of theological education. Link to Previous and Upcoming Lectures: Professors ensure continuity by - 6 referencing past lectures and previewing what will come next, creating a cohesive learning experience. 4. Develop Teaching Aids Visual Aids: Professors may prepare PowerPoint slides, handouts, or diagrams to clarify complex theological concepts. For example, a diagram might be used to explain the Trinity or church history timelines. Class Readings and Assignments: Professors select or create readings, questions, or assignments to complement the lecture. This could include articles, books, or case studies for deeper engagement. Discussion Questions: Many professors prepare open-ended questions to encourage critical thinking and class discussion on theological topics. 5. Contextualize for Audience Tailor for Seminary Students: Since seminary students are preparing for ministry, professors often blend academic rigor with practical application. They may include examples from pastoral care, preaching, or church leadership. Consider Spiritual Formation: In addition to academic learning, theological seminary professors aim to foster students’ spiritual growth. They might include reflective components or devotional insights as part of the lecture. 6. Incorporate Pedagogical Methods Lecture and Dialogue Balance: Seminary professors often balance lecture-style teaching with Socratic dialogue, group discussions, or case studies. This interactive approach helps students engage deeply with theological issues. Application to Ministry: Professors ensure that the content connects with real-world ministry by including examples from pastoral counseling, preaching, or leadership in the church. 7. Review and Revisions Test and Refine Content: Professors often test their notes by delivering the lecture and assessing student engagement. They may adjust based on student feedback or classroom dynamics. Continuous Updating: Since our studies in theology is a digging deeper discipline, professors continually update their notes with new scholarship, insights, and contemporary applications. By combining theological scholarship, practical ministry insights, and pedagogical best practices, seminary professors aim to equip students with both the knowledge and spiritual depth needed for their future roles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4. Patience and Understanding Patience in Teaching and Mentoring: Theological concepts can be complex, and students may take time to grasp deep ideas or mature spiritually. A patient professor understands that learning and spiritual growth are processes and provides guidance without frustration. Encouraging Growth: Rather than expecting immediate understanding, patient professors encourage students to wrestle with theological questions and grow in their faith, being willing to walk alongside them in their journey. 5. Intellectual Curiosity and Passion for Learning Love for true Theology and diligent Learning: A theological professor should exhibit a genuine passion for the subject matter, inspiring students through their - 3 enthusiasm. Intellectual curiosity fuels their desire to keep up with ongoing theological research and scholarly discussions.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The ability to critically engage with theological ideas, question assumptions, and reflect deeply on biblical and doctrinal issues is crucial. Professors should model these skills for their students, encouraging them to think deeply. 6. Communication and Clarity Effective Communication: Professors must be able to communicate complex theological ideas in a clear and understandable way. This requires not only academic knowledge but also the ability to convey ideas in a relatable and practical manner, especially for students preparing for ministry. Inspiring Engagement: A theological professor who communicates well can inspire students to engage more deeply with the material, make connection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apply theological insights to their lives and future ministries. 7. Leadership and Mentorship Strong Leadership: Professors in a seminary setting often take on leadership roles, not only in the classroom but also in academic and church communities. Seminary Professors are teachers of all pastors. They should exhibit servant leadership, putting the needs of others first and modeling Christ-like leadership for their students. Otherwise no respect from Church Communities. A leader is one who stand front, not behind the flock. And leader can say to his people “follow me as I follow the Lord!” Mentorship and Discipleship: Many students in seminaries seek mentors who can help guide them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Professors who are willing to invest time in mentoring students-spiritually, intellectually, and professionally-make a lasting impact on the future leaders of the church. 8. Integrity in Scholarship Commitment to the Truth: A theological professor should be committed to academic honesty and rigor. This includes careful handling of Scripture, cherish the Reformed Theology, though respect for different theological traditions, and a commitment to the pursuit of Scriptural truth, even in areas that are challenging or controversial. Balance of Tradition and development: While holding firmly to the core tenets of the Christian faith, professors should also be open to exploring new ideas and approaches within the bounds of orthodoxy, encouraging development in theology and ministry. But the guidance to carry on in our theological studies academically - 4 and in pastoral ministry should be based on the Bible. 9. Resilience and Adaptability Emotional and Spiritual Resilience: Working in a theological setting involves dealing with complex spiritual and intellectual issues. Professors must have the emotional and spiritual resilience to handle theological debates, students’ personal struggles, and the pressures of academia. Adaptability: Theological education and ministry are constantly exploring the truth. Professors must be willing to adapt to changes in the church, culture, and academic environment, while remaining grounded in biblical and theological truth. “Ecclesia reformata est semper reformanda”(Reformed Church always need to be reformed). 10. Encourager of Diversity Respect for Diversity: In many seminaries, students come from various cultural,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A good theological professor respects this diversity and fosters an inclusive environment where all students feel valued and heard. Though Professors should be aware of the global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ology and ministry, along with respectfulness them, Professors should guide them to follow the way of the Lord in the Written Word of God, not in the fashions of their tradition, and foster them i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faith. 11. Vision for Discipleship and Ministry Missional Focus: Professors should have a vision for how theology equips students for ministry and mission in the world. This requires a missional mindset, seeing theological education as preparation for active service in the church and society. Commitment to Discipleship: Beyond academic instruction, professors are often seen as disciple-makers. They should be committed to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 leaders, helping students grow both academically and spiritually. In summary, the personality of a theological professor is shaped by a combination of intellectual depth, spiritual maturity, pastoral care, humility, and leadership. These traits not only enhance their effectiveness as educators but also allow them to nurture and inspire students in their journey toward ministry and service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Professorship and Main Duties(신학교 교수와 업무) Prof Changwon Shu(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To become a professor at a theological seminary, candidates typically need a combination of academic qualifications, relevant experien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uited to the field of theology. A. The common qualifications: 1. Educational Qualifications Advanced Degrees: A Ph.D. or Th.D. (Doctor of Theology) is generally required, often in theology, biblical studies, church history, ethics, or a related field. Some seminaries may accept candidates with other terminal degrees like a Doctor of Ministry (D.Min.) for more practical areas like ministry or pastoral counseling. Master’s Degree: A Master of Divinity (M.Div.) or equivalent theological degree is usually required before pursuing doctoral work. This degree provides foundational theological training. Specialization: Professors usually specialize in specific areas, such as Old Testament, New Testament, Systematic Theology(Christology, Soteriology, Anthropology, Ecclesiology, Eschatology, Pneumatology), Historical Theology(Church History-Early, Medieval, Reformation, Modern), Christian Ethics, Christian Counseling, Homiletics (preaching) or Evangelism etc. 2. Experience Teaching Experience: Previous teaching experience at the undergraduate or graduate level, either in theology or related disciplines, is highly desirable. Some positions may require sever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astoral Experience: Many seminaries prefer professors who have practical ministry experience, such as serving as pastors, missionaries, sunday school teachers, or in other church-related roles. This ensures that professors can blend academic knowledge with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and Publication: A strong record of academic research and publications in peer-reviewed theological journals or books is often necessary. This demonstrates expertise and contributes to the academic community. 3. Personal Characteristics Confessional Commitment: Since theological seminaries are often affiliated with specific Christian denominations or traditions, a strong personal confessional 1 -- commitment is typically expected. Some seminaries require professors to adhere to particular doctrinal statements or creeds(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Shorter and Larger Catechisms, and Three Forms of Unity-Belgic Confession, Heidelberg Catechism and Dort Creed) Leadership and Mentorship: Professors are often expected to serve as mentors to students preparing for ministry, requiring good interpersonal skills and a capacity for spiritual guidance. Commitment to the Mission of the Seminary: Alignment with the seminary's mission, vision, and values is essential, particularly in faith-based institutions. 4. Professional Development Ongoing Learning: Professors at seminaries are expected to stay current with theological research, biblical scholarship, and developments in ministry practice. This can include attending conferences, continuing education, and staying engaged in church life. Specific requirements can vary based on the seminary and denomination, so it’s important to check the expectations of the particular institution in related Church works. The personality traits of a theological professor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educational and spiritual experience of seminary students. Since these professors are often mentors and spiritual guides in addition to being academic instructors, certain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Here are key personality traits that are valuable for a theological professor: 1. Spiritual Maturity and Integrity Deep Faith Commitment: A theological professor should exhibit a strong,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reflected in their daily life and work. This spiritual maturity is important because seminary students look to professors not only for academic instruction but also for spiritual example and guidanc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rofessors must demonstrate consistency between their beliefs and actions. They should embody the ethical and moral standards they teach, being trustworthy role models for students preparing for ministry or church leadership. “Be an example in speech, in conduct, in love, in faith, in purity”(1 Tim 4:12). 2. Humility and Teachability Willingness to Learn: Despite being experts in their field, theological professors need a humble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growing. This humility is essential in - 2 theological discussions, where questions about faith, doctrine, and practice are always evolving. 1 Tim 3:1~7, “The saying is trustworthy: If anyone aspires to the office of overseer, he desires a noble task. Therefore an overseer must be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one wife, sober-minded, self-controlled, respectable, hospitable, able to teach, not a drunkard, not violent but gentle, not quarrelsome, not a lover of money. He must manage his own household well, with all dignity keeping his children submissive, for if someone does not know how to manage his own household, how will he care for God's church? He must not be a recent convert, or he may become puffed up with conceit and fall into the condemnation of the devil. Moreover, he must be well thought of by outsiders, so that he may not fall into disgrace, into a snare of the devil.” 2 Tim 2:15 “Do your best to present yourself to God as one approved, a worker who has no need to be ashamed, rightly handling the word of truth.” Openness to Dialogue: Being willing to engage with differing viewpoints, whether theological, cultural, or philosophical, is key. A humble professor encourages respectful dialogue and is open to considering new perspectives, even if they challenge their own. 3. Pastoral Care and Empathy Compassionate and Approachable: Theological professors often serve as spiritual mentors. Students may come to them with personal struggles, doubts, or questions about their faith journey. Having empathy and compassion helps professors be approachable and supportive in such situations. Pastoral Sensitivity: A good theological professor is aware of the spiritual and emotional dynamics at play in students' lives. They often nurture students' spiritual formation and provide guidance that goes beyond the classroom
@PedroVaca-r7t2 ай бұрын
나도 한국에서 똑같은 상황을 겪고 있습니다 선교사가 왔다면 경계대상으로 생각하는 목사들입니다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교회 일군 1- 목사 (엡 4:11-12, 딤전 3:1-7; 딛 1:7-9) 4. 담임 목회자의 소속 및 관리 4.1 신학교 학생 시절부터 교회와 노회 소속 소속교회에서 신학생으로 신분이 변화 될 때부터 소속교회 회원임과 동시에 노회의 지도를 받는 목사 후보생 신분이 된다. 그리고 그가 신학을 마치고 강도사 목사가 되면서 교회 소속에서 노회 소속으로 신분이 변한다. 목사는 노회가 자신의 주소지가 된다. 그리고 노회의 지도를 받는다. 4.2 노회의 명령에 따라 교회 임직 및 퇴직 목사가 될 때 자기를 담임 목사나 부목사로 청빙하는 교회가 있어야 목사 고시를 신청할 수 있고 목사로 안수 받으면서 또는 목사 안수 받은 후 담임목사가 되는 사람은 노회의 권위(하나님의 권위)로 해 교회에 위임 목사가 되는 위임식을 거행해 주면 노회의 권위로 해 교회의 당회장이 되어 그 교회를 목회하면서 교회 행정과 정치를 담당한다. 목회가 정상적이면 문제가 없이 목회를 계속하나 교회가 이 담임목사를 거부하게 되면 당회는 이를 노회에 보고하고 노회는 이를 사실해 보고 적당한 조치를 취하여 목사를 사임하게 하던지 목사의 잘못이 없으면 노회는 교인들을 설득하여 목사와 교인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 따라서 목사의 문제는 교회가 처리하지 못한다. 목사의 개 교회 위임과 사임은 노회의 권한이기 때문이다. 4.3 목회자의 범죄는 노회에서 처리 위임목사가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범죄(교도소)나, 이단적인 요소가 발견되면 노회가 개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여 교회에 상처가 되지 않도록 한다.목사가 큰 죄를 범하게 되면 노회는 그로 하여금 교회를 사임하게 하던지, 목사 안수를 취소 할 수 있다.노회는 지 교회를 위해 일하기에 교회에 해가 되는 조치는 취할 수 없다. 노회와 지 교회의 관계는 지 교회의 당회가 노회를 상대하여 모든 일을 의논한다. 결론 교회의 3 일군 중 목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목사는 행정적으로 교회를 대표하고, 예수를 대신하여 예수의 양떼들을 목양하는 성직자로 전적으로 교회 일만하는 사람이다. 불교의 중과 같은 사람이다. 따라서 교회 일과 세상 일을 병행하여 감당할 수 없다. 산족교회는 대부분 교회 일 보다는 세상 일을 더 많이 하는 목회 사역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앞으로 전적으로 교회 일만하는 목사가 되어야 한다.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교회 일군 1- 목사 (엡 4:11-12, 딤전 3:1-7; 딛 1:7-9) 교회에는 3 종류의 일군이 있다. 목사, 장로, 집사이다. 이들의 일은 각각 다르나 하나님의 동일한 종으로 높고 낮음은 없으나 하는 일 때문에 높고 낮음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오늘은 목사직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다. 1. 목사직의 기원 목사직의 기원은 예수의 12 사도에게서 온다. 그러나 사도적인 일을 하나 사도는 아니다. 사도직은 예수님 당시에 있었던 직분이기 때문이다.사도직은 예수의 대리 사역자로 남게 되었다. 초대교회가 성장하였을 때 집사직이 필요하여 집사를 세울 때 이 사도직(목사직)이 무슨 직분인지에 대하여 분명해 졌다. 교회가 계속 성장하여 교회의 행정 체제를 잡아가면서 3 직분(목사,장로,집사)이 분명하게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2. 교회의 담임 목회자 2.1 담임 목회자는 목사여야 한다.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소속교회에서 소속 노회에 천거하여 목사 후보생 고시를 거친 후 추천서를 가지고 신학교에 입학하여 3년(학사), 또는 7년(고교 졸)동안 공부한 후 신학교를 졸업하고 교회의 부교역자로 사역하면서 총회(노회) 강도사 고시를 거쳐(소속교회의 추천 필요) 강도사 인허를 받고 부교역자로 1년간 일한 후 그 교회의 추천으로 노회의 목사 고시를 보고 합격하면 노회가 목사 안수를 하고, 부교역자로 계속 사역하던지 그를 담임목사로 청하는 교회가 있으면 그 교회의 담임목사로 위임식을 거행해 주면 그 교회의 담임 목사로 정해진 기간 또는 평생 그 교회에서 목회사역을 감당하게 된다. 2.2 전도사, 강도사는 담임 목회자가 될 수 없다. 신학교를 졸업하였으나 아직 목사 안수를 받지 않는 목회자는 담임목사가 될 수 없다. 완전한 주의 종이 되지 않았고, 전문인 목회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계속 공부하고 훈련 받고 고시를 거쳐 목사가 되어야 인정받은 하나님의 종의 사역을 감당 할 수 있다. 그러나 담임 목회자처럼 사역하는 사람은 자격이 않되기에 담임목회자 서리라고 한다. 신학교를 졸업하지 않았어도 교회의 부교역자로 사역하는 사람을 전도 인이라고 부른다. 평신도로 교회 일을 전문적으로 감당하는 사람이다. 2.3 교회의 전문 일군은 교회의 능력에 따라 일정한 생활비를 정하고 지급하여야 한다. 교회의 유급 일군은 교회의 능력을 따라, 세상 봉급 제도를 참조하여 생활비를 책정하면 된다. 교회의 재정을 따라 교회 재정의 대부분을 목회자 생활비로 사용하기도 하고(약한 교회), 재정이 풍부한 교회는 충분한 생활비를 책정 할 수 있다. 교회의 성장과 재정은 목회자의 활동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목사, 강도사, 전도사 등에게도 생활비를 제공한다. 3. 담임 목회자의 지도력-학력, 인격 및 의복 3.1 학력 세계적으로 목사의 학력은 학사 학위(4년)에 목회학 석사(3년)를 획득하여야 한다. 신학교만 졸업하면 되지 않고 스스로 공부하여 성경을 이해하는 능력이 높아야 한다. 이로서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를 준비하고, 하나님의 뜻을 바로 이해하여 주님의 교회를 성경적으로 운영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신학교 졸업 만으로 만족 할 수 없다. 한국 장로교회는 일찍이 이런 제도를 채택하였기에 목회자의 자질이 우수하여 교회 성장에 이바지 하였다. 그리고 교회에서 지도력을 발휘해 왔다. 그러나 태국은 학사학위 수준의 목사이기에 지도력이 서지 않아 장로 밑에 있어서 교회 성장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방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 치앙라이 신학교는 이런 목회자를 도와 목회학 석사 학위과정을 위해 설립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국 목회자들을 박사가 되게 하는 일도 감당해 왔다. 3.2 인격 목회자는 고귀한 인격의 소유자 이어야 한다. 목회자의 사람됨은 목회 사역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런 인격, 인격적인 훈련이 부족한 사람은 하나님을 대신하는 목사 됨이나 목회 사역을 제대로 감당 할 수 없게 된다. 목회자에게 인격은 학력보다 더 귀한 부분이다. 3,3 의복 목회자의 의복은 중류층 이상 또는 상류층의 의복을 착용해야 한다. 사람은 속이 제대로 되어 있어야 하지만 통상 겉을 보고 판단하기에 옷 입는 것에 많이 신경을 써야 한다. 비싼 옷은 아니지만 단정한 옷을 입어야 한다. 은행에서 근무하는 남자 직원들의 복장이나, 국회의원들의 복장을 주시하면 나의 복장이 어떠해야 하겠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타 종교에서는 성직자의 복장이 따로 있다.한국에서는 목사 카라라고 하는 복장을 사용하지 않으나 태국 사회가 필요로 하기에 성직을 행할 때는 이런 복장이 좋을 것 같다.
@Jay-pm5jm2 ай бұрын
선교사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한국 미국 복수국적자인 경우 태국 여행갈경우 어떤 여권을 쓰는게 좋을까요?
@sawadeetv309024 күн бұрын
미국 여권은 한달 한국 여권은 3개월 체류헙니다
@Jay-pm5jm24 күн бұрын
@ 그럼 한국여권을 사용하는게 더 좋은걸까요? 해외에서 무슨 문제가 생겼을때 미국대사관 보호가 더 나은편이라 해서 어떤패스포트를 사용해야할지 고민이되네요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언약의 돌판 수령 (24:12-18 ) 2 2. 산에 올라 40일간 하나님과 영교한 모세 (15-18) 모세가 산에 오를 때 구름이 산을 가리우고 있었고 6일간 계속 되었다. 여호와의 임재 시 구름(하나님의 영광의 상징, 19:16, 왕상 8:10), 불, 음성이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 2.1 모세가 산에 오른지 7일만에 모세를 부르시는 하나님 (17) 6일간 구름이 덮은 기간은 하나님을 만나기 전의 준비 기간(기도)으로 보인다. 모세와 아론은 6일간 기도로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모세는 여호수아를 그곳에 남겨두고 홀로 하나님께 나아갔다. 하나님을 만나는 일은 오직 1대1이다. 사람들은 여럿이 만나는 것이 통례이나 하나님을 만나는 일은 혼자서 하나님을 만나게 되어 있다. 우리들도 이렇게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님을 만나서 구원 얻은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과 나만의 시간을 갖는 습관이 있어야 한다. 2.2 구름가운데 나타나신 하나님 (17) 드디어 모세는 하나님이 임재하신 산에 올랐다. 하나님을 만나는 귀한 순간이다. 죄인, 더러운 인간이 거룩한 하나님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귀한 일이며 영광스러운 일이다. 태국인들도 왕을 알현하는 것을 쉽게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세가 하나님을 만난 것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우리들도 모세처럼 하나님을 만나는 귀한 순간이 있는 신앙인으로, 종으로 살며 일하자 2.3 40 주야를 산에 있었다. (18) 모세가 산에 오른 때부터 산에서 내려온 기간이 40일인 것을 보인다. 이 40일 기간에 모세는 금식하였을 것이다. 의사들은 사람들이 먹지 않고 살수 있는 기간을 10여일로 본다. 그러나 하나님과 만남의 영교가 있는 시간은 인간 육체가 견딜 수 있는 기간을 훨씬 넘기고 있음을 본다. 40일(40년)은 성경에 여러 곳에서 발견한다. 엘리야의 호렙산 여행(왕상 19:8), 예수의 광야 시험,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생활 40년(신 8:2)
@sawadeetv30902 ай бұрын
언약의 돌판 수령 (24:12-18) 12 พระยาห์เวห์ตรัสกับโมเสสว่า “เจ้าจงขึ้นมาหาเราบนภูเขา แล้วคอยอยู่ที่นั่น เราจะให้แผ่นศิลาที่มีธรรมบัญญัติและคำบัญชาซึ่งเราจารึกไว้เพื่อสอนพวกเขา” 13 โมเสสจึงลุกขึ้นพร้อมกับโยชูวาผู้รับใช้ของท่าน โมเสสขึ้นไปบนภูเขาของพระเจ้า 14 และกล่าวกับพวกผู้ใหญ่เหล่านั้นว่า “คอยอยู่ที่นี่จนกว่าพวกเราจะกลับมาหาพวกท่านอีก และนี่แน่ะ อาโรนและเฮอร์อยู่กับพวกท่าน ใครมีเรื่องราวอะไรก็จงไปหาเขาทั้งสองเถิด” 15 แล้วโมเสสขึ้นไปบนภูเขา เมฆก็ปกคลุมภูเขาไว้ 16 พระรัศมีของพระยาห์เวห์มาอยู่บนภูเขาซีนาย เมฆนั้นปกคลุมภูเขาอยู่หกวัน พอถึงวันที่เจ็ด พระองค์ทรงเรียกโมเสสจากหมู่เมฆ 17 พระรัศมีของ พระยาห์เวห์ปรากฏแก่ตาของชนชาติอิสราเอลเหมือนเปลวไฟที่ไหม้อยู่บนยอดภูเขา 18 โมเสสเข้าไป ในหมู่เมฆนั้นและขึ้นไปบนภูเขา โมเสสอยู่บนภูเขานั้นสี่สิบวันสี่สิบคืน 본문은 모세가 하나님으로부터 십계명의 돌 판을 받는 광경이다. 모세는 홀로 산상에 올라가 40 주야를 하나님과 영교를 나눈 후 언약의 돌 판을 받아온다. 1. 모세에게 십계명을 주기 위해 산에 오르라는 하나님 (12-14) 이미 모세, 아론의 3부자, 70인 장로들과 언약 공포 후의 축연에 참석하였다. 그들은 축연이 끝난 후 하산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모세 홀로 다시 산에 오르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다. 이는 하나님께서 친히 쓰신 십계명 돌 판을 모세에게 주겠다는 것이다. 이 돌 판만이 하나님께서 친히 쓰신 것을 알 수 있다. 십계명 돌 판은 언약의 돌판(신9:9), 십계명(신 10:4), 증거판(31:18, 32:15, 34:29)등으로 나타나는데 계명, 율법, 언약, 증거 등의 명칭은 모두 십계명을 가리키고 있다. 모세는 산에 오르면서 산에서 오래 거하게 될 것을 예산한듯하다 그래서 여호수아를 데리고 가면서, 장로들과 아론과 홀에게 지도력을 위탁하고 산에 올랐다. 1.1 여호수아와 동행(13) -지도자 수업 모세는 여호수아를 데리고 가다가 산정 가까운 어느 지점에 그를 두고 홀로 정상에 올랐다. 그는 모세의 후계자로 알고 있는데 아말렉 전쟁에도 참여 시켰으나(17:19) 훈련 차원에서 그와 동행한 것으로 본다. 모세의 후계자 양성의 모습을 보는 것이다. 우리들도 나의 사역을 이를 후계자가 필요하기에 모세의 후계자 양성 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1.2 장로들에게는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라고 부탁한다(14) -통치권 위임 이들은 백성의 지도자들로 백성을 통제하는데 인내 할 것을 지시한 것이다. 모세의 이번 등정이 얼마나 오래 걸린 것인지는 하나님의 일이기에 자신은 알지 못하기에 긴 시간을 소요 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40일이 걸렸다. 그러나 이들은 모세가 돌아오는 것을 참지 못하고 백성 통제에 실패한 것을 앞으로 본다. 지도자들이 자기가 맡은 사람들을 통제하지 못하면 지도자일 수 없다. 1.3 아론과 홀에게 재판권을 위임하다 (14)-사법권 위임 모세의 재판권을 아론과 홀에게 위임하고 있다. 이들은 아말렉 전쟁에서도 모세를 도와 피곤한 모세의 손을 붙들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17:10-12) 홀은 미리암(모세의 누이)의 남편으로 추측한다.
@sawadeetv30903 ай бұрын
언약의 공포 (출 24:1-11 ) การประกาศคำสัญญาของพระเจ้า 4. 모세의 백성들에게 뿌린 피 (8) 하나님께 드린 피의 반을 백성들에게 뿌리는 것은 언약의 공포의 마지막 과정이었다. 200만이 넘는 군중들에게 뿌리지 않고 백성의 대표인 70인 장로들과 지도자들에게 뿌린 것으로 보인다.(히 9:19) 이로써 언약식은 완료되었고 언약은 발효되었다.(히 9:20, 12:24) 언약의 공포식은 모세가 하나님을 대신하여 언약서를 낭독하고, 백성들은 이를 준행하겠다고 서약함과 동시에 이 언약을 확정하는 피를 하나님께 드리고 백성에게 뿌림으로 언약이 성립되고 효능을 발효하게 되었다. 이로써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준수하면 복을 받고 버리면 저주를 받는다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실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언약의 준수에 실패하여 바빌론 포로 생활을 하였다 (대하 36:12-21) 이때 예레미야 선지자는 새 언약을 예언하였고 (렘 31:31-34) 이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실현 되었다.(막 14:24, 히 9:11-22)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장에서 잔을 돌리면서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눅22:20)하신 것은 모세가 선언한 말이 여기서 완성된 것이다. 그래서 신약이 우리들에게 주어졌다. 5. 이스라엘 지도자들의 하나님 알현 (9-11)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에 언약이 체결되고 언약서가 공포된 후 하나님 앞에서 향연이 따라왔다. 이를 위해 모세와 아론, 나답, 아비후와 70인 장로들이 산에 올라 하나님을 알현한다. 통상 구약에서 죄인인 사람이 하나님을 보게 되면 죽었다.(33:20, 삿 13:22) 그러나 이들은 이때 하나님을 보고도 죽지 않았다. 하나님과 언약을 체결하고 이들이 하나님을 만났으나 죽지 않은 것은 이 언약의 중요한과 이들에게 특별하게 대한다는 의미가 있다. 새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하나님의 본체를 본 것으로 보지 않는다.(요 1:18) 하나님의 현현의 한 가지를 본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사람의 형상으로 보였고(창 18:2) 모세는 하나님의 등을 보았다고 한다(33:23, 민 12:8) 이사야는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을 보았고(사 6:1) 에스겔은 사람의 모양 같은 하나님을 보았다. (겔 1:26)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본체가 아닌 현상들을 보았다. “그 발 아래는 청옥을 편듯하고” 하나님의 신비함을 인간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본다 (겔 1:26, 계 4:6) “손을 대지 아니하시고” 하나님을 보면 죽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33:20, 창 32:30, 삿 6:22-23, 13:22) 이들은 하나님을 보고도 죽지 않았다. 이는 언약의 공포에 참여한 존귀한 사람들로 특별한 대우를 받고 있음을 본다. 하나님을 알현한 것 만이 아니라 하나님과 회식을 했다는 기록이다. 이 회식은 이스라엘의 대표자들이 하나님을 뵈옵고 그 앞에서 먹고 마시고 하나님은 그 가운데 임재하신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회식은 영원한 세계에서 받을 하나님의 어전에서의 축복을 미리 맛본 것이다. 결론 하나님은 아무에게나 하나님의 언약을 공포하지 않고 그의 백성에게만 하나님의 언약을 공포하시기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언약의 공포에 참여했다는 것은 무한한 축복이 아닐 수 없다. 오늘날도 예수를 믿고 하나님의 자녀요, 하나님의 백성이 되면 자연 하나님이 주신 말씀인 성경이 우리에게 주어져 이를 통하여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복을 누리는 것이다.
@sawadeetv30903 ай бұрын
언약의 공포 (출 24:1-11) การประกาศคำสัญญาของพระเจ้า 1 พระยาห์เวห์ตรัสกับโมเสสว่า “เจ้ากับอาโรน นาดับกับอาบีฮู และพวกผู้ใหญ่ของอิสราเอล 70 คน จงขึ้นมาเข้าเฝ้าพระยาห์เวห์ แล้วนมัสการอยู่แต่ไกล 2 ให้เฉพาะโมเสสผู้เดียวเข้ามาใกล้พระยาห์เวห์ ส่วนคนอื่นๆ อย่าให้เข้ามาใกล้และอย่าให้ประชาชนขึ้นมากับโมเสสเลย” 3 โมเสสงนำพระวจนะทั้งสิ้นของพระยาห์เวห์และกฎหมายทั้งสิ้นมาชี้แจงให้ประชาชนทราบ ประชาชนทั้งหมดก็ตอบเป็นเสียงเดียวกันว่า “พระวจนะทั้งสิ้นซึ่งพระยาห์เวห์ตรัสไว้นั้น เราจะทำตาม” 4 โมเสสเจ้ารึกพระวจนะของพระยาห์เวห์ไว้ทุกคำ แล้วลุกขึ้นแต่เช้า สร้างแท่นบูชาขึ้นที่เชิงเขา และตั้งเสาหินขึ้นสิบสองต้นามจำนวนสิบสองเผ่าของอิสราเอล 5 ท่านใช้ให้พวกคนหนุ่มๆ ของอิสราเอลถวายเครื่องบูชาเผาทั้งตัวและถวายคเป็นเครื่องศานติบูชาแด่พระยาห์เวห์ 6 แล้วโมเสสเอาเลือดโคครึ่งหนึ่งใส่ไว้ในอ่าง อีกครึ่งหนึ่งก็ประพรมที่แท่นบูชานั้น 7 ท่านเอาหนังสือพันธสัญญามาอ่านให้ประชาชนฟัง พวกเขากล่าวว่า “ทุกคำที่พระยาห์เวห์ตรัสนั้น เราจะทำตาม และเราจะเชื่อฟัง” 8 โมเสสเอาเลือดประพรมประชาชนและกล่าวว่า “นี่เป็นโลหิตแห่งพันธสัญญา ซึ่งพระยาห์เวห์ทรงทำกับพวกท่านตามพระวจนะทั้งสิ้นเหล่านี้” 9 แล้วโมเสสกับอาโรน นาดับกับอาบีฮู และพวกผู้ใหญ่ของอิสราเอล 70 คนก็ขึ้นไป 10 พวกเขาได้เห็นพระเจ้าแห่งอิสราเอล และพื้นที่รองพระบาทเป็นเหมือนนิลสีคราม สุกใสเหมือน ท้องฟ้าทีเดียว 11 พระองค์ไม่ได้ทรงลงโทษบรรดาผู้นำชนชาติอิสราเอล พวกเขาได้เห็น พระเจ้า และได้กินและดื่ม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의 언약은 하나님의 나타나심으로(19장) 시작되었고, 언약을 주시고 (20-23장), 이를 공포함으로(24장) 끝난다. 이 언약은 히브리인의 종교의 핵심이고 이스라엘 민족의 존재와 능력의 원천이 되었다. 24장은 언약의 공포(1-11)와 돌판 부여(12-18)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은 하나님의 언약의 공포로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언약 체결식이다. 이때 모세는 하나님을 대신하고 아론 3 부자와 70인 장로들은 백성을 대신하여 언약 체결식을 거행하였다. 언약 체결식 내용은? (1) 모세의 언약서 기록(4절) (2) 단을 쌓고, 12 기둥을 세움 (4) (3) 번제와 화목제를 드림 (5) (4) 언약의 피를 뿌림 (6) (5) 모세의 언약서 낭독 (7) (7) 백성들의 언약 준수 서약 (7) (8) 언약 체결의 연회 (9-11) 1. 모세의 하나님 알현 (1-2) 사람이 하나님을 만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별한 경우에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 모세는 하나님의 명을 받아 아론, 나답, 아비후(아론의 아들들, 6:23, 28:1, 대제사장이었으나 다른 불을 드리다가 죽었다, 10:1-2), 언약 공포식에 참여하였다. 이스라엘 장로 70인을 데리고 산에 올라 멀리서 하나님께 경배(=예배)하고, 모세 혼자서 하나님을 만나러 더 높은 산에 올랐다. 거기서 모세는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을 받아 기록하였고, 이를 백성들에게 공포하게 되었다. 이 공포는 아론과 2 아들들과 70인 백성의 장로들은 좀 떨어진 곳에서, 그리고 일반 백성들은 산 아래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여기서 모세는 하나님을 대신하고, 다른 참석자들은 백성을 대신하여 하나님을 알현하고 있는 것이다. 2. 모세의 언약서 공포 (3) 모세는 산정 암흑에 올라가 십계명을 받았고(20:21) 산에서 내려와 아론과 2 아들, 그리고 70인 장로들을 이끌고 다시 산에 올랐고(24:1-2) 이제 산 아래로 내려와서 백성에게로 온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언약서(20:22-23:33)를 백성들에게 공포하였고, 백성들은 이대로 순종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이로서 언약서의 공포를 마쳤다. 그러니까? 십계명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수령하였으나 백성들이 두려워하기에 모세가 받아와서 대신 백성들에게 율례(언약서)를 공포한 것이다. 3. 모세의 제사 준비 (4-7) 하나님의 언약을 공포한 후 다음 날 이른 아침에 산 아래로 내려온 모세는 하나님께 제사(번제와 화목제)를 드리기 위하여 제단을 쌓고, 12 기둥(12지파)세웠다. (17:15, 20:24) 그리고 청년들로 하여금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게 하였는데 이 제사는 하나님과의 언약을 확증(창 8:20, 9:9, 13:14-17, 46:1-4)해 주는 것이다. 제단은 여호와께서 강림하시고 백성들을 축복해 주시는 곳이기에 성전과 같이 하나님이 계시는 장소로 통한다. 제단 둘레에 세운 12 기둥(사 19:19, 호 3:4)은 이스라엘 12지파를 상징하기에(수 4:3, 9, 20) 이스라엘 백성과 하나님이 이곳에서 만나 언약을 체결하는 상징으로 본다. 청년들을 보내 제사를 드리게 하였다는 것은 아직 제사장 제도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세에게만 주어진 제사장 임무를 수행하는 자기 곁에서 수종 들고 있는 청년들을 시켜서 번제(완전히 태워 드리는 제사, 레 1장)와 화목제(감사의 제사, 레 3장)를 드린 것으로 보여진다. 소 같은 큰 동물을 다루어야 하기에 힘이 있는 젊은이들에게 적합한 일로 보인다. 3.1 피를 취하여 피는 언약에서 중심적인 요소이다. 언약의 피를 반은 하나님께 드리고(단) 반은 백성에게 뿌려(8절) 양자간에 언약이 성립되었음을 증표로 남겨 이스라엘 백성들이 언약의 백성이 되는 것이다. 3.2 언약서를 백성에게 낭독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이 된 이스라엘에게 모세가 하나님으로부터 받아 기록한(4절) 언약서(20:22-22:23)의 말씀을 낭독하였고 백성들은 “우리가 준행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이로써 언약이 공포된 것이다.
@annsmoots4618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annsmoots46183 ай бұрын
감사 🙏🏼 합니다~~~
@annakang3846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서식 끝나고 즉시 출입국사무소 에서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서를 서류접수 하여 당일날 확인서를 받을수 있나요? 답변주시면 많은도움됩니다.
@sawadeetv30903 ай бұрын
"니뻰프라까이컹라오, 니뻰 프라로힛컹라오"(이것이 내 몸이니라, 이것은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죄인들 스스로가 자기 죄를 청산 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하나님은 독생자 예수를 이 세상에 보내 주셔서 죄인들이 처리 할 수 없는 죄악의 문제를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게 하여 죄인들을 구원해 주신 사건이 오늘의 성찬식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천주교의 신앙과 달리 우리는 예수의 살과 피를 먹는 예식을 거행하지 않는다. 예수의 몸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즙으로 이 예식을 거행한다. 주님과 함께 이 거룩한 식탁에 앉으려면 우리가 깨끗해야 하기에 이 예식에 참여하기 위하여 잠시 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그리고 이 식탁을 즐기면서 구원의 확신을 갖고, 믿음이 굳건해 지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죽기까지 주님을 바짝 따르며 주님의 참 제자의 삶을 살기를 원한다.
@sawadeetv30903 ай бұрын
순종의 축복-언약서의 결론 (출 23:20-33) 3. 가나안의 족속들을 점차적으로 멸해 주시겠다는 복 (29-30)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나안 땅을 단번에 주시기 보다는 점차적으로, 이스라엘 백서들의 강함을 보면서 가나안 땅을 정복하도록 유도하고 계신다. 만약에 단번에 이 땅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시면 이들이 이 땅을 간수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질 수 있으며 다른 족속들에게 빼앗길 가능성도 있음을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가나안 땅을 점차적으로 정복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는 무엇일까? (1) 이스라엘 백성들이 힘이 부족하여 땅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땅이 황무해지고, 들 짐승들이 번성하여 사람과 가축을 해하는 상황이 될 수 있음을 본 것이고 (2) 신앙적인 연단을 위해 우상숭배를 하는 가나안 인들을 남겨두어서 그들의 신앙을 시험하기 위함으로 여겨진다. (삿 2:11-23) 4. 이스라엘의 영토를 홍해로부터 유프라데 강까지 주신다는 복 (31-33)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실 영토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홍해에서 불레셋 바다까지”-홍해는 동편 경계이며, 불레셋 바다(지중해)는 서편 경계로 하였다. 이는 동서의 경계를 가리킨다. “광야에서부터 하수까지”-광야는 유다 남부의 아라비아 광야로 성지의 남편 경계를 가리킨다. 하수(유프라뎃 강)는 북쪽 경계이다. 광야와 유프라텟 강은 남북의 계계선이다. 이 경계는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으로(창 15:18), 여호수아 시대에 일단 성취되었으나(수 21:44) 완전히 성취된 것은 다윗, 솔로몬 시대에 성취되었다. (왕상 4:21,24, 대하 9:26)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우상숭배에 대하여 염려하고 있다. 주변에서 우상 숭배를 하면 자신도 모르게 그런 신앙에 물들어 우상 숭배에 빠기기 일수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선민 이스라엘 백성들을 통하여 여호와의 이름을 보존하기 위하여 우상 숭배를 절대 금하셨다. 그러나 가나안 족속들은 수많은 우상을 섬기고 있었기에 이들에게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별한 주의를 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우상 숭배에 빠질 때 바빌론 포로가 되게 하셨다. (대하 36:11-21) 결론 가나안 땅을 정복하러 가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잘 순종하면 이들을 가나안 땅으로 잘 인도하여 그 곳에 정착하게 하고 각종 복을 주실 것을 약속하셨다. 오늘날 우리들도 하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순종하는 신앙의 삶을 살면 성경에 나오는 각종 복을 우리에게 주신다는 약속이 되는 것이다. 우리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불순종의 족속들이 되지 말고 순전한 하나님의 백성들로 살다가 천국으로 돌아가자
@sawadeetv30903 ай бұрын
순종의 축복-언약서의 결론 (출 23:20-33) 이 부분은 언약서(20:22-23:33)의 결론으로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의 4가지 축복을 언급하고 있다. 본문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 할 때 1. 여호와의 사자를 보내서 인도하실 것 (20-21) 2. 원수의 원수가 되어 모든 적들을 멸하실 것 (22-28) 3. 원수를 멸하는 일은 차차 하실 것 (29-30) 4. 이스라엘의 영토를 홍해로부터 유프라데 강까지 주실 것 (31-33) 1. 여호와의 사자를 보내서 인도해 주시는 복 (20-21) 이스라엘 백성들의 출애굽과 광야 40년을 하나님의 사자를 보내서 안전하게 가나안 땅에 정착하도록 하겠다는 약속이다. 여기 “사자”는 누구를 가리키는가? 유대인들은 모세로 이해를 하고 있고, 일반 주석가들은 하나님의 사자로 말한다. 여호와의 사자는 통상 예수 그리스도의 구약적 현현으로 본다. 여호와의 사자는 이스라엘의 행군 길을 인도하고 보호하신다는 말이다. 실제로 이들을 인도한 것은 불 기둥(13:21, 저녁-추위)과 구름 기둥(민 10:20, 낮의 더위), 언약궤(민 10:33)였다. 사자의 인도하심이 이런 것임을 보여 주었다. 이어서 이스라엘을 인도하실 하나님의 사자에게 순종하여 노엽게 하지 말 것을 경계하셨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 불 순종하여 노엽게 하였다. (민 14:11, 시 78:17, 40) 지도자들에게 순종하는 것이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임을 주지시키면서 “내 이름이 그 에게 있다”(제3계명, 마 6:9, 빌 2:9, 히 1:4)고 말하여 하나님의 이름이 그들 지도자들에게 있음은 하나님과 지도자들이 하나이기에 그들이 곧 하나님 자신이라고 가르쳐주고 있다. 우리들의 천국 행진에도 우리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행한다면 하나님의 이런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이 있게 될 것을 믿는다. 2. 원수의 원수가 되어 모든 적들을 멸해 주시는 복 (22-28) 여기 지도자의 목소리(그의 말 대로)와 하나님의 목소리(나의 말 대로)를 하나로 말하고 있으며 이에 순종하면 하나님이 너의 원수의 원수가 되어 대적하겠다고 언급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네 원수를 내 원수로 삼아 대신 싸워주겠다는 내편이 되고, 친구가 되어 주겠다는 약속이다. 역사가 요세프스는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동맹군이라고 했다. 이곳에서는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그들이 섬기는 우상숭배를 경계할 것을 지시하신다. (23-25)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가나안 땅에는 이미 가나안 7 족속이 살고 있었다. 가나안족 외에도 여러 종족들이 살고 있었으나 가나안 족속이 대표였던 것 같다 그래서 이 땅을 말할 때 가나안 땅이라고 간단하게 말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 땅을 차지하려면 이들을 몰아내야 했다. 하나님은 이 땅을 주셨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냥 얻는게 아니라 쟁취하여야 했다. 이들이 섬기는 신들도 무수했다. 바알(농사의 신, 삿 2:13), 아스다롯(바알의 아내, 삿 2:13), 아세라(70여 우상의 모신, 시 7:5), 그모스(모압의 신, 삿 11:24), 몰렉(암몬의 신-놋 제단에 불을 피우고 그 팔에 아이를 앉겨 타 죽게 함, 레18:21), 림몬(바람과 비의 신, 왕상 5:18)등의 신을 섬겼다. 하나님은 하나님을 배반하는 우상 숭배를 극히 싫어하시기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을 점령하였을 때 이 문제가 염려되어 이런 신을 섬기는 가나안 족속들을 우상과 함께 멸망시키라고 명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