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건 접지가 노후화 된겁니다 원래 중성선도 땅에 접지되어 있고 판넬도 땅에 접지도에 있어 둘다 0V상에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면 안됩니다. 이론상으론... 근데 왜 떨어지나.. 그건 중성선 인덕터 영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하고 그전압이 판넬접지로 빠져나가 전류가 소모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장에 따라 저렇게 떨어지지 않을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누설전류 용량도 중요합니다
@나그네-k9d4 жыл бұрын
와우 저렇게 하면 누전차단기가 안 떨어지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영상보고 한참 생각했습니다. 여기서 답이 있었습니다
@kim_dongryeong Жыл бұрын
2:13 그림에서 콘센트에 전구가 연결되어 불이 켜져 있는 상황에서 그림처럼 중성선을 강제로 판넬과 접촉하면 [+220V 전위] - {활선} - [전구 저항] - {중성선} - {강제 누전용 전선} - {접지 전선} - [대지 저항] 이렇게 회로가 생성되서 이론상 전류가 흐르지 않나요? 만약 현재 어느 콘센트에도 부하가 하나도 안 달려있어서 그 어디에도 전기가 흐르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그림처럼 중성선을 장제로 판넬과 접촉해도 전기가 흐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림상에서의 콘센트에는 아무 부하도 없지만 만약 전압선 말고 다른 전압선에 부하가 달려 있는 경우 (즉 이 경우 이 부하는 그림상의 누전차단기 바깥쪽에 있음), 전기가 중성선을 통해서 역으로 그림상의 누전차단기 안쪽으로 들어와서 판넬로 빠져갈 수도 있나요?
@new-ku3vp3 жыл бұрын
중성선 + 누전으로 차단기 짜는법 쩌네요 배워갑니다
@달파란미디어2 күн бұрын
콘센트 교체 하는데 무슨 전기를 내리노
@uuiko105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히 잘보고 있습니다.
@chosj18165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전용 콘센트인 경우에는 좋은방법이네요 그런데 전용이 아닌 경우에는 또다른 콘센트에도 부하가 걸려있으니 확인하고 해야겠어요
@승5-v2n Жыл бұрын
공부완료 감사합니다
@중국없는세상5 жыл бұрын
플러그 타입의 휴대용 누전차단기 동작시험기기가 있습니다. 동작여부도 확인하고 선로 분리없이 바로 찾을 수 있어요. 하트선으로 잘못 지락시킬 위험도 없고요. 그리고 해외주문하면 mccb라인에도 쓸수 있는 선로탐색기란 기기도 있습니다.
@남승우-p5i5 жыл бұрын
뭐라고 검색해야 나오나요 안나오네요
@중국없는세상5 жыл бұрын
누전차단기 시험기하면 나와요
@lightforyoukorea5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방울도마도-l7s5 ай бұрын
상이랑 접지랑 닿으면 왜 뻥하나용?
@necrorash3 жыл бұрын
저도 시설일 하면서 간과하는게 도면입니다. 물론 도면이 갱신이 안됐을 수도 있지만 보통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전원라인은 크게 변경되는 경우가 드물더군요. 도면이 실제와 다르다거나 증설 라인이라서 알방법이 없을땐 아주 좋은 방법이겠군요
@그리더-n1m6 ай бұрын
접지가 없는 가정은 어떻게 해요
@티비마이5 ай бұрын
@@그리더-n1m 접지 없어도 그냥 콘크리트나 근처 철판 같은데 대면 되요.
@박독호5 жыл бұрын
중선선으로 찿네요..감사합니다
@Gszyhktx-g1t3 жыл бұрын
영상고맙숩니다
@passion21795 жыл бұрын
너무상세하게 영상까지첨부해주신설명이네요~~
@취침자기전에4 жыл бұрын
그냥 부하걸고 후쿠메타 걸면되지않을가요?
@j-chan26435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추천구독5 жыл бұрын
이런 방법이 있군요 대단하십니다
@mpeon25 жыл бұрын
오 이런 방법도 ?? 감사합니다
@lee-og3dp2 жыл бұрын
마이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마이님 혹시 이 방법 제가 아직 전기초보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 접지선이 만약 없다면 중성선을 근처 철재?에 갖다대면 누전이 될까요?? 아니면 손으로 직접 잡아도 차단기가 떨어질지요..?
@티비마이2 жыл бұрын
예 철재에 대도 되요. 손으로 잡는 것으로는 안 떨어져요. 그리고 차단기가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는 중성선이라도 만지지 마세요.
@lee-og3dp2 жыл бұрын
@@티비마이 항상 자세하고 꼼꼼하게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asomine5 жыл бұрын
3상3선식 배선에서 단상 인출선이 모두 상접지 잡히지 않은 선일때는 아크 때문에 못하겠네요. 상접지 잡힌 놈은 아크가 발생되지는 않을 듯 싶은데...그래도 겁나네요. 단상3선식 배선에서도 110v는 저게 가능해도 220v 단상은 불가능 할듯 싶고요. 제가 있는 곳은 저 결선방식을 모두 사용해서...
@잡떡-z1s3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누전차단기는 입출 전류차로 작동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경우는 사용부하 없는데도 누전차단기가 작동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Eat_and_play. Жыл бұрын
리드선(빨강)을 핫에 연결시킨후 그대로 외함으로 전류가 흘러들어갑니다 그로 인해 중성선측은 흐르지않아 누전차단기가 작동된거에요
@JOSUNCBN5 жыл бұрын
좋은팁이네요ㅎ
@한원진-i4c5 жыл бұрын
오옷!! 잘보고 있습니다^^
@꾸물꾸물-o5y5 жыл бұрын
꿀팁 배워갑니다~
@김지현-v7q8r4 жыл бұрын
가정집 단상2선식도 가능한가요?
@티비마이4 жыл бұрын
가능은 한데 가정집에는 누전차단기가 한 개예요. 의미 없죠.
@김지현-v7q8r4 жыл бұрын
티비마이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hdgudwls5 жыл бұрын
좋은팁 감사합니다
@후야하하5 жыл бұрын
중성선 안쓰는곳은 어떻게해야할까요 R S 상으로 콘센트 쓰는경우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무정전으로 회로를 찾는 방법으로 조만간 올리겠습니다.
@jovibon86065 жыл бұрын
저는 일부로 간이용 히터를 만들어 해당 콘센트에 부하를 걸어 껐다 켰다 합니다. 후크메타로 차단기들을 걸다보면 해당 누전차단기 전류가 일시적으로 올라가는걸 확인하겠죠?
@janian50285 жыл бұрын
N상과접지 단락 하면 차단기 내려갑니다 (비접촉식 검전기사용)
@손형-d2n5 жыл бұрын
우와 꿀팁이네요 3상4선식도 중성선에다 해도되겠죠?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지금 영상에서 한 게 3상4선식 중성선 강제 누전이예요.
@여운_그리고_여유3 ай бұрын
위험합니다.누설전류가 많다면 전체 다 떨어집니다.하지 마십시오
@namhokim39325 жыл бұрын
좋은 꿀팁이네요...
@Ryan_Uphma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wofolderGod5 жыл бұрын
N상이랑 철판에 대었는데 강제누전이란 의미가 누전동영상을 봐도 이해가 잘 안가는데 쉽게 설명 좀 부탁드려도될까여..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전류는 R상에서 나와서 부하를 지나 중성선을 지나서 다시 R상으로 들어가야 하는데요, 전선이 땅에 닿는 바람에 중성선을 지나야 하는 전류가 땅으로 흘러 누전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동현위-m7o3 жыл бұрын
자동문에서 시각경보등전원을 자동문신호선으로도 씁니까?? 저는중계기에서 소방신호선을 주는 줄 알았는데요
@김태한-k6f4 жыл бұрын
부하기 걸려있을때 에는 위험하지 않나요
@산마루-w6q5 жыл бұрын
3상220v를 사용하는 곳은 어떻게 확인 할까요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조만간 무정전으로 찾는 방법에 대한 영상을 올리겠습니다.
@letmeinnnnnnnn5 жыл бұрын
만약에 부하가 여러개 걸려있는 상태인데 [콘센트 점프해서 2~3콘센트연결] 중성선이랑 접지선 연결하면 뻥 안하는가요? 단독이고 부하가 없으면 안터지는건 확실한데 단상 중성선에도 전류가 흐르는걸로 아는데 전류가 순환? 하면서 전기가 공급되니 이럴때도 쇼트안나고 누전차단기만 내려가는지요? 그리고 만약 mccb 차단기에서 중성선이랑 접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누구 말로는 전선이 홀라당 탄다는 소리가 있던데...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부하가 여러개 걸려 있어도 중성선 누전은 뻥 안 해요. 중성선을 빼서 땅에 대면 뻥 할 것 같기도 한데요, 병렬로 강제누전은 뻥 안 해요. MCCB의 중성선을 접지하면 그것까지는 생각 안 해 봤는데 전선이 탈 것 같지는 않아요. 그냥 전등 잘 들어 올것 같아요. 다만 MCCB의 중성선에 흐르는 전체의 전류가 누전되는 전류로 인식되어 ACB에 OCGR이 있다면 ACB가 트립될 수도 있을듯 합니다.
@땡드라5 жыл бұрын
그 차단기 라인에 다른 부하가 가동중이라면 중성선이라도 아크가 발생하지 않나요?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아뇨, 부하가 있던 없던 아크는 안 생겨요.
@땡드라5 жыл бұрын
@@티비마이 감사합니다~
@딩댕동-r7s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절연저항 측정할 때 차단기 안내리고 핫상을 측정해도 절연저항이 0이 되잖아요 이 때 측정 기기가 손상 될 수 있나요? 아니면 다른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나여 실수로 차단기 안내린 상태에서 핫상을 찌른적이 많아서여..
@티비마이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게 좀 궁금했었는데 옛날에 바늘타입의 저항계 갖고 다닐 때 실수로 살아있는 상태에서 측정하면 계측기 내부 휴즈가 나갔었거든요. 요즘엔 디지털 쓰고 있는데 살아 있는 상태에서 찍어도 계측기가 망가지지는 않더라구요. 아마 보호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듯 합니다.
@이재일-k5i3 жыл бұрын
설명하면서 배선도 그리는 프로그램은 어떤건가요?
@김천주-z6b5 жыл бұрын
MCCB인경우에는 한번씩 꺼보는방법뿐이없겠네요??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MCCB인 경우는 거의 단독선이라 분전반 명판에 써 있을 꺼예요.
@나그네-k9d4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하면 누전차단기가 안 떨어지는게 정상 아닌가요 이상하네
@티비마이4 жыл бұрын
중성선이 땅에 완전히 닿았는데 누전차단기가 안 떨어지나요?
@나그네-k9d4 жыл бұрын
@@티비마이 답글 감사합니다. 갑자기 혼동이 와서 그러는데요. 지금 핫상에 부하가 안 걸려 있는상태이고 이 때 중성선이 땅에 닿았을 경우. 누전차단기를 통과하는 핫상으로 전류가 안흐르고 있기 때문에 누전차단기가 안 떨어질 거 같아서 입니다.
@daong93365 жыл бұрын
혹시 중선선과 접지선을 단락시켜도 아크발생 없이 가능할까요?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지금 영상이 중성선을 접지에다 단락시킨 거예요. 아크 없어요.
@daong93365 жыл бұрын
티비마이 아 그렇군요. 깜빡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손형-d2n4 жыл бұрын
왜 중성선은 누전시켰을때 강한 쇼트가 안일어나나용?(하트상 누전에 비해서)
@티비마이4 жыл бұрын
중성선은 대지와의 전압이 0V라서 그래요.
@beombeoms5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네요 원리좀 설명부탁드립니다
@티비마이5 жыл бұрын
누전에 대해서 먼저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누전에 관한 이 영상을 봐 주세요. kzbin.info/www/bejne/fXawp2d3Z9Z3mZY kzbin.info/www/bejne/jYitZHeDqr1ma9E 제 채널의 영상은 내용이 이어지기 때문에 앞의 영상부터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리젬스-w8r5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voyagetoyou5 жыл бұрын
그 천정 공사에서 콘센트 전원 딸때 복서안에 선이 엄청 많을때 두선 따야될때 테스트 어떻게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