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초에 90만km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최후

  Рет қаралды 366,748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우주먼지님과 함께 은하의 비밀과 우주의 최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35 팽창 중인 우주, 언제까지 팽창할까?
01:59 몇 천년만에 밝혀진 은하의 비밀
09:29 피클 모양을 하는 은하
0:16:35 우주먼지님의 박사 논문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Пікірлер: 472
@boda100
@boda100 Ай бұрын
마침내 헤일메리x우주먼지 콜라보레이션 제품 출시! 보다몰 (사전 구매 10% 할인 중!) : bit.ly/3UzyHiM
@user-cr2pb6fe9s
@user-cr2pb6fe9s Ай бұрын
옷의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oioxix6816
@oioxix6816 16 күн бұрын
빛이 1초에 30만키로 속도니... 90만이면 공간 자체가 타키온이네...ㅇㅇ;;
@user-qz5fp2ml4o
@user-qz5fp2ml4o Ай бұрын
아이고 박사님 영상 보느라 시간가는줄 몰랐네요 ㅎㅎ 영상 잘봤습니다😊
@user-eq2sc2yn8y
@user-eq2sc2yn8y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진짜 너무 귀한존재다... 나같이 우주 좋아하는 사람들한테 꼭 필요한 존재... 죽기 직전까지 찍어주세요
@dongugkim6969
@dongugkim6969 24 күн бұрын
형 어디 같혀서 영상만 만들고 있으면 다음영상에저 당근을 흔들어줘 아 형아니지
@user-lx3by6il1y
@user-lx3by6il1y Ай бұрын
와..은하이야기 너무 신비합니다. 과학인데, 아닌 듯,, 여름밤에 별자리 이야기 하 듯.. 😊
@user-ho6oy2su1i
@user-ho6oy2su1i Ай бұрын
날마다 우주 한조각 책 사서 잘 보고 있습니다. 날씨가 망이라 망원경으로 잘 못보는데 책으로나마 재밌게 보고 있어요!
@allbyrok98
@allbyrok98 Ай бұрын
천체촬영은 하고 있지만 우주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너무나도 많은데, 항상 재밌고 유익한 정보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l9tu4rv2d
@user-hl9tu4rv2d Ай бұрын
최신 과학 뉴스를 빠르게 전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urisong7163
@surisong7163 Ай бұрын
기다렸어요❤🎉🎉🎉
@hwangsense
@hwangsense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헤어스타일이 오블레이트같네요. 역시 은하 그 자체.
@hash_tti
@hash_tti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의 머리를 보니 지구와 충돌한 이후 튀어나간 것이 달이 되었다는 이론이 와닿습니다.
@user-xn8wj5ig8o
@user-xn8wj5ig8o Ай бұрын
팽창속도가 1초에 90만Km.. 빛의 속도보다 3배나 빠르네요...
@user-er8qw4nf9o
@user-er8qw4nf9o Ай бұрын
가속 팽창 >> 대우주만한 블랙홀에 가까워지는거라는 가능성이 있을까여. 빛도 아예 나오지못하는...?
@kichancat
@kichancat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강의 들으면서 내가 지금 지구에 살고 있다는걸 잠시 잊었습니다ㆍ😊 설명해주시는 내용을 따라 은하 이곳저곳을 편하게 여행하고 왔네요ㆍ 와~ 시간 훅 갔습니다 👍 👍 우주팽창이 계속되면 원자단위로 다 부서진다는 거는 처음 알았어요ㆍ쑈킹 !! 먼먼먼 미래일이지만 왠지 무섭다 ~
@user-nu6sq4vy1g
@user-nu6sq4vy1g Ай бұрын
원래 우주라는 공간이라는게 있었고 빅뱅이란 알수없는 작용으로 우주의 모습이 바꼈을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아님 팽창이 한계에 도달해 그때 이상작용으로 용수철처럼 모였다 다시 팅겨져 나가는건 가능성이 없는건가요?궁금하네요ㅎ
@hash_tti
@hash_tti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헤어스타일 중력컷 멋있네요
@maby9942
@maby9942 Ай бұрын
굿!
@waffen3978
@waffen3978 Ай бұрын
진짜 빛보다 빠르네
@sanghoonpark7482
@sanghoonpark7482 Ай бұрын
진짜 최고다
@user-sw3cq4ul5g
@user-sw3cq4ul5g Ай бұрын
라니아케아 티셔츠 멋지네용. 저는 점을 찍을 수 있을듯
@TheSarigomtang
@TheSarigomtang Ай бұрын
타원 / 원반 / 나선 은하 형태를 설명하는 용어들이 혼동돼요. 정확한 표현을 쓰신 것이겠지만... 타원도 납작한 모양이 상상되는데, 그보다는 구모양이나 럭비공 같은 모양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나선 은하는 모두 원반은하인가요? 반대로 원반은하 중엔 나선은하 외에 다른 모양의 은하도 있나요?
@user-jc9ul4bt8l
@user-jc9ul4bt8l Ай бұрын
원반은하와 나선은하는 같은 은하를 말합니다. 타원은하는 럭비공처럼 두터운 공 모양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herbeljang5968
@herbeljang5968 15 күн бұрын
우주의 팽창 속도가 빛의 속도 보다 3배나 빠르다는게 정말 믿기지 않네요!
@user-xe3zx4wu2m
@user-xe3zx4wu2m Ай бұрын
괭장히 박식하시네요🤔👍
@user-jp4nz2rj9f
@user-jp4nz2rj9f Ай бұрын
그나저나 요즘 퍼서비어런스는 되게 조용하네 새로운 소식은 안나나 보다
@user-sb2fv2yo3f
@user-sb2fv2yo3f Ай бұрын
퍼서비어런스의 주 목적인 화성의 지질탐사 및 채취는 끝났고, 길잡이 드론인 인저뉴어티는 로터가 손상되어 원활한 탐사가 더 이상 불가능해 지금 퍼서비어런스는 화성의 지질샘플을 지구까지 운반해줄 우주선을 기다리고 있다는거 같네요
@user-jl5rc1tk2x
@user-jl5rc1tk2x Ай бұрын
우리가 속한 관측 가능한 우주는.. 블랙홀 안이 맞을지도요 그럼 빅뱅설도 설명가능하죠. 반대쪽에 화이트 홀. 우주가 찢어진다는 표현이 맞겠지요.
@sung-pilkim7038
@sung-pilkim7038 Ай бұрын
자전이 없는 행성 또는 은하의 중심도 있을까요?? 자전이 없다면 중력도 없나요?? 애청하는 문과사람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자전이 없다면 회전이없어서 은하형태가 원반이 아닌 구형태로 만들어질슈 있지않을까하는 문과다운 생각으로 접근해봣습니다
@ztzeros
@ztzeros Ай бұрын
이론상은 가능 현실에서 발견될 확률은 아주 매우 엄청나게 낮음
@gongmille
@gongmille Ай бұрын
중력은 자전이 없어도 존재하죠. 이론상으로 극히극히 드문 확률이지만 회전성분이 없이 완벽하게 정지해있다면 가능은 하겠죠.
@user-qd2zo3rw5s
@user-qd2zo3rw5s Ай бұрын
유튜브 프리미엄 기능인 팝업보기 가 되다니......정말 감사합니다!!!!!!
@Sunkist-fc3pi
@Sunkist-fc3pi Ай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은하가 적지않은 속도로 만나고있는건 사실이죠. 그럼 그사이 공간 존재하는 암흑물질, 암흑에너지를 탐색하는대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user-dr9go6rc9p
@user-dr9go6rc9p Ай бұрын
1초에 90킬로도 아니고 ...90만.... 우주 먼지보다 작은 존재인가 ㅜㅜ 어마어마하네요
@ItJ-bd2hi
@ItJ-bd2hi Ай бұрын
우주먼지인거보고 빛의 속도로 클릭했어옷
@user-ix9wp4xe4p
@user-ix9wp4xe4p Ай бұрын
오프닝에 나오는 연주곡 이 궁금합니다!!
@user-cs7qu4nr1c
@user-cs7qu4nr1c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이모든 이야기가 추측일뿐이란거.... 미래는 그어느 누구도 모르는것...
@Everything-jx7fs
@Everything-jx7fs Ай бұрын
16:28 더 먼 미래 우주를 상상하면 오히려 대부분의 원반 은하만 남게 될까요? 오늘 말한 것만 보면 타원은하는 결국 납작한 원반은하가 되기 전의 구형 도우같은 느낌이라서요
@user-jc9ul4bt8l
@user-jc9ul4bt8l Ай бұрын
타원은하속 별들의 운동방향이 제 각각이라,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을 고려해볼 때 원반은하로의 진화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sking3858
@sking3858 Ай бұрын
천문학자들은 참으로 대단한것 같아요 부디 빅뱅이전의 통일장 이론까지 밝히는 성과를 내시길 응원합니다!!
@user-pz7qv6ro5l
@user-pz7qv6ro5l Ай бұрын
광속보다 빨리 팽창 할수 있나요? 그러면 시간이 늘어나니 종말이 안올 수도 있지 않을까요?
@00_YH
@00_YH Ай бұрын
머리 한쪽에서 바람불고 있는줄
@titan11439637
@titan1143963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user-sr1kf3is5e
@user-sr1kf3is5e Ай бұрын
멋진 최후네요
@sibalenglish
@sibalenglish Ай бұрын
당장 오늘이 고민인데 ㅜ ㅜ
@myungsoonlee2582
@myungsoonlee2582 29 күн бұрын
팽창을 채우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user-il1bg6bn2j
@user-il1bg6bn2j Ай бұрын
안녕히주무세요~
@user-so2of4nw3o
@user-so2of4nw3o Ай бұрын
탄생과 소멸이라는 자연계법칙에서 우주도 예외일수는 없을것같긴하네요.. 시간과 공간은 인간기준점이니 예외로하더라도..
@io3639
@io3639 Ай бұрын
가속팽창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가속팽창이후 가속수축으로 인해 한점으로 짜부러 지거나
@S0sin
@S0sin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영상에서의 말씀처럼 우주가 팽창하는데 그게 무한한 공간에서 공간보다는 작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는건가요 아님 우주자체가 공간이라 우주가 팽창하면 공간도 같이 팽창하는 건가요….?!
@Ninini0
@Ninini0 Ай бұрын
후자는 맞는데 전자는 절대 알 수 없을 거 같은데
@user-gr2ox8ui6c
@user-gr2ox8ui6c Ай бұрын
공간의 팽창속도는 왜 물리학의 기본상수인 광속c를 넘을수 있는지 궁금해요… ‘공간’은 아무런 물리적 실체도 없는 건가요?
@hfjy-jdfhlLl1lIIill1Ili0ejdjjc
@hfjy-jdfhlLl1lIIill1Ili0ejdjjc Ай бұрын
착시사진 중에 요즘 보이는 회색돌 분홍돌 어느 게 튀어나온 거로 보이는 사진 그 이유가 궁금해요.
@Acts29-
@Acts29- Ай бұрын
양자중첩으로 보면 언젠가 우주가 다시 수축 가속수축을 하게되지 않을까요?
@JK-mm1og
@JK-mm1og 11 күн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하는 부분이 있으면 사라지는 부분도 있나요? 그걸 종말이라 한다면 그 종말은 서서히 우주가 축소되듯이 끝부터 없어지는걸 뜻하는지
@nicemoone
@nicemoone Ай бұрын
웅배형....우리 은하의 비대칭보다 형의 머리스타일의 비대칭 비밀을 푸는게 먼저인 것 같아...왼쪽 뇌가 마치 나로호 마냥 발사될 것 같거든...
@nicemoone
@nicemoone Ай бұрын
웅배형 거주 지역 아시는 분들은 미용실 추천 부탁드립니다.
@user-oe6tr1jz9o
@user-oe6tr1jz9o Ай бұрын
웅배형 머리도 한쪽으로 자전해서 그런거임 ㅋㅋㅋ
@user-nt5gd6jj2l
@user-nt5gd6jj2l Ай бұрын
"삼체" 리뷰 좀 해주세요
@goonis0909
@goonis0909 Ай бұрын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은하의 팽창을 역으로해서 우주의 나이를 계산하잔아요~ 그럼 그 우주의 나이와 현재까지의 팽창가속도를 계산하면 관측가능 우주의 크기가 아니라 어느정도 정확한 우주의 현재크기를 계산할 수 있지않나요?
@user-ny7ff4tq1q
@user-ny7ff4tq1q Ай бұрын
근데 그렇게 하려면 우주 처음 시작의 크기를 알아야 할건데…..
@user-sy4ru3bx6g
@user-sy4ru3bx6g Ай бұрын
말씀주신 방법, 즉 우주배경복사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대략 137.98억년 지름 약 930억광년이라는 관측가능한 우주의 사이즈와 나이가 나옵니다. 우리는 빅뱅이 시작 한 후 10의 마이너스 30초대 부터 지금까지의 상황을 거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설명이 가능합니다. 빅뱅이론의 가장큰 약점은 빅뱅 그자체를 설명하지 못하고 그 나머지 것은 설명이 가능합니다. 그 자체를 알아내려면 빅뱅이전에 무엇이 있었냐? 와 동일한 질문이고 그것은 인류가 절대 알수없는 혹은 증명할 수 없는 질문입니다. 우주의 곡률과 바리온 음향진동 등 여러가지 연구결과는 우주가 무한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우주가 지금 무한하다면 처음부터 무한해야 하며 빅뱅은 곧 전체우주가 한점으로 모이는 것이 아닌 관측가능한 우주가 한점으로 모이는 것입니다.
@user-sy4ru3bx6g
@user-sy4ru3bx6g Ай бұрын
@@jisupark4533 정확히 말씀드리면 특이점이겠죠. 무한대의 질량과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이라 해도 크게 무방하다 봅니다. 다만 부피는 가지고있지 않으니 점이라고 하기도 애매하긴 하네요. 대부분의 천문학자는 점이라 표현하기는 합니다
@user-di4ii2cb9m
@user-di4ii2cb9m Ай бұрын
말투가 박응빈교수님 같으네요 😂
@user-td3sd8hq6z
@user-td3sd8hq6z Ай бұрын
'Find Where We Are.'
@user-tv2bj7kt9j
@user-tv2bj7kt9j Ай бұрын
사진의 은하들을 보게되면 행성이나 별들은 보이지 않고 가스처럼만 보입니다. 실제로 은하 근처에 가면 행성과 별들이 보이나요? 또 은하 가운데에 있는 동그랗게 빛나는 것은 무엇인가요?
@user-ti7iw8ms4u
@user-ti7iw8ms4u Ай бұрын
가스처럼 보이는게 사실 대부분 별들이지요 구글에 안드로메다 고화질 사진 검색해보시면 이해가 쉬우실겁니다
@jihajang9466
@jihajang9466 Ай бұрын
수 조곱하기 조곱하 조곱한 미래에 원자 분해 될때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g8wz7zq8s
@user-og8wz7zq8s 21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예전에본글에서 우리은하가 나선은하가아니라 막대나선은하라고하는글을봤는데 정확히 무슨은하죠?
@user-ok1qm3rl2q
@user-ok1qm3rl2q Ай бұрын
내용을 오분 정도로 압축할 수 있나요?
@user-vu1mx7pv8f
@user-vu1mx7pv8f Ай бұрын
안경 이쁘시네요
@coolrockstar72
@coolrockstar72 Ай бұрын
안경이너무쿨하네요!
@user-nx8vy8cu3b
@user-nx8vy8cu3b Ай бұрын
먼지형 정면은 처음뵈요..옆모습만 보다가...
@stayawayfromUTB
@stayawayfromUTB 15 күн бұрын
90만km? 세상에나 .. 빛의속도보다 더빠른 게 우주팽창이군요. 아인쉬타인 이론이 틀린건가요?
@user-dd2db1tf4f
@user-dd2db1tf4f Ай бұрын
질문이요! 우주는 빛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고, 예전의 고무줄 예시처럼 은하와 은하의 사이는 넓어지는 줄 알았는데, 왜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점점 더 가까워져서 충돌 하는거죠??
@JayPChoi
@JayPChoi Ай бұрын
가까운 거리에선 우주 팽창보다 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주 팽창속도는 거리가 멀 수록 더 커지는 개념이라 가까운 거리는 상대적으로 팽창이 느립니다.
@user-fp2xb7ng5b
@user-fp2xb7ng5b Ай бұрын
무중력의 공간에서 (공기존재) 횃불을 필수 있을까요? 불을 피우면 뜨거운 공기(중력)가 올라가고 그만큼 차가운 공기(산소포함) 가 들어가 불이피워지는데 무중력 상태면 뜨거운 공기가 정체되어있으면 산소 공급이 안되어 불이 안피워지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hucho8739
@hucho8739 Ай бұрын
우주정거장 촛불로 검색해보세요 동그란 불꽃이 된다고 합니다 대류는 없지만 공기분자의 움직임으로 산소는 계속 공급될수 있데요
@yhs5317
@yhs5317 Ай бұрын
횃불처럼 불꽃이 큰(?) 건 아니지만 촛불을 예로 들면 말씀하신대로 중력의 부재로 대류현상이 사라져서 구 모양의 작은 불꽃이 형성되었다가 금방 꺼집니다. 그런데 중력과 무관한 확산에 의해 미세하게 새로운 산소가 공급될 경우에는 작은 구 모양의 불꽃이 겨우 켜진 채로 유지될 수도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YonghwanShin
@YonghwanShin Ай бұрын
잼나네 ㅋ
@James_Nim
@James_Nim Ай бұрын
저 진짜 궁금한게있습니다. 우주탐사지도 보면 지구중심으로 전방향으로 지도밝혀지는걸보여주는데 탐사선을 전방향으로 보내지않으면 한방향으로 계속전진한다고하면 지구중심으로 한방향만 관측가능한거아닌가요?
@akavata47
@akavata47 Ай бұрын
우주가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있어서 탐사선을 보내도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란 결국 지구 중심아닐까요?
@charliehwang3336
@charliehwang3336 Ай бұрын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하나 생겼습니다. 너무 먼 거리의 은하에서 같은 은하라고 해도 매우 먼 거리이고 우리가 그걸 관측하는 건 수만년, 수백만년 전에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건가요? 같은 은하내 천체도 거리가 다른데 동시간대로 가정하고 은하의 모습을 추측하나요? 우리가 보고 있는 와중에도 이미 없어진 천체가 있을 수 있는거죠? 우린 그저 우리 눈앞에 확인되는 천체의 빛으로만 추측하는 건가요? 지금 보이는 게 실존의 의미는 아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어서요...지식이 없다보니 그저 상상만 하게 되니 이런 궁금증이....
@dongugkim6969
@dongugkim6969 24 күн бұрын
시간은 상대적이긴 한데 1A형 초신성으로 거리재고 아 몇년전 은하구나 하구있을거에여
@magnolia365
@magnolia365 Ай бұрын
@comeback6504
@comeback6504 Ай бұрын
우주이야기는 알면알수록 무섭다
@user-jf6is9bt5x
@user-jf6is9bt5x 23 күн бұрын
이 또한 가설이겠죠 가설을 가지고 가정을 하면서 더 근사한 가설을 정립해 나가는게 천문학인듯.... 이런 천문학자들의 가설이 뜬구름잡는 얘기가 아닌 과학의 틀안에서 엄청난 인재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것이니
@user-ui2cc1iy6g
@user-ui2cc1iy6g 6 күн бұрын
우주가 패창하는것이 아니고~ 순환되고있고~빛이 퍼져나가고 있는것 아닙니까?
@user-gd3vs7vw2l
@user-gd3vs7vw2l Ай бұрын
우주를 보면 너무 신기해서 영원히 살면서 어떻게 되는지 보고 싶다
@user-yy4tn3qh5m
@user-yy4tn3qh5m Ай бұрын
1초당 지구와 달의 거리의 3배정도가 팽창하는건가 ㄷㄷ 너무 무서운 속도다...
@user-jo4tg2yy3j
@user-jo4tg2yy3j Ай бұрын
걱정마~~ 우린 못느껴~~ 멸망 될거라는것도 못느끼면서~~ 영원은 없다 인류는~🤣🤣🤣🤣😂🤩🤩🤩🤩🤩🤩😝😝😝😝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Ай бұрын
가속팽창은 중력범위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원자해체따위도 일어날리 없죠
@user-cr2pb6fe9s
@user-cr2pb6fe9s Ай бұрын
우주가 팽창 후 급격히 빅뱅 전으로 수축을 해야 하는 게 물리법칙이라고 대부분 주장하는데 이에 대한 고견은요?
@FrogkingInTheWell
@FrogkingInTheWell Ай бұрын
'바나나 은하'라고 명명된 은하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도중에 중력의 영향에 의해서 일그러 졌을 가능성은 없는 걸까요?
@user-sb2fv2yo3f
@user-sb2fv2yo3f Ай бұрын
라고 하기엔 너무 많은 찌그러진 은하들이 발견이 되었거든요. 당연히 관측되고 분석된지 얼마 안된 은하들이라 수정될 가능성은 조금이지만 있다고 봅니다.
@user-bj9bk7tl1j
@user-bj9bk7tl1j Ай бұрын
밀코메다겔럭시가 되면 태양계도 지구도 다른 별끼리 충돌할 확률이 커지겠네요 어찌됐든 인류가 미래에는 우주로 탈출 해야만 살아남을것같네요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Ай бұрын
워낙 빈공간이 커서 충돌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긴 한데 아예 부딪힐 가능성이 없다는 건 아니죠.
@dongugkim6969
@dongugkim6969 24 күн бұрын
기준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지금 충돌중임다... 그리고 여기는 아무일도 없을가능성이 큼다
@gtr2904
@gtr2904 Ай бұрын
펭창해서 우주가 사라지기전에 지구가 먼져사라 질꺼 같은데요 ㅎㅎ
@dongugkim6969
@dongugkim6969 24 күн бұрын
한 40억년 후에 태양이 지구 먹긴하죵
@daae1612
@daae1612 Ай бұрын
웅배 안경걸이 폼 미쳤다
@user-cr2pb6fe9s
@user-cr2pb6fe9s Ай бұрын
우주팽창이라면 안드로메다와 더 멀어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dronemini7214
@dronemini7214 Ай бұрын
안드로메다랑 충돌하기 전에 이주할 다른 행성을 찾아야 합니다. 시급한 문제네요
@lunapurple8338
@lunapurple8338 Ай бұрын
왼쪽입꼬리를 잡아당기는 중력이 오른쪽 입꼬리보다 클때 입술은 붕괴를 시작하고 입이 찢어질수도 있지만 지웅배씨는 오른쪽 각도로 촬영하여 왼쪽 입술의 노출을 피하시네요!
@user-kx1lq9lh5h
@user-kx1lq9lh5h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은 블랙홀 속으로 들어가보실 생각 있으신가요?
@user-zk7kl4kq1z
@user-zk7kl4kq1z Ай бұрын
회전~ 회오리~ 그것은 바로 나선력
@banyajeong9576
@banyajeong9576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는 은하계의 끝자락 즈음에 있구나
@jhlee6514
@jhlee6514 28 күн бұрын
인간이 걱정할일은 아니네요
@lIlo0Ol.......
@lIlo0Ol....... Ай бұрын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추천 드림
@user-wn6bm4rp8g
@user-wn6bm4rp8g Ай бұрын
시간이 지나면서 더 먼곳 은하를 볼수 있는게 빠른가요, 우주가 팽창하면서 보이던 먼곳 은하가 시야 밖으로 나가는게 빠른가요? 매 시간 우리가 볼 수 있는 은하 갯수는 늘어나요, 줄어드나요?
@user-ti7iw8ms4u
@user-ti7iw8ms4u Ай бұрын
줄어드는게 훨씬 많아요
@charisma_lee
@charisma_lee Ай бұрын
헤어스타일이 가속팽창 중
@essenk9151
@essenk9151 Ай бұрын
빅뱅일까? 스몰뱅 여러개의 가속팽창은 불가능? 꼭 뱅이어야하나? 뱅이 아니라 접혀진거나 뭉쳐진거의 펼침이라면 빛의 속도를 초월한 팽창은 당연한거아닌가?
@user-jb7jr1bf1x
@user-jb7jr1bf1x Ай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하는대 대해선. 인류가 걱정할필요 없을듯 인간들 하는. 꼬라지가. 1만년 이상 생존할거 같지 않음 아마도. 자원환경 또는 전쟁. 아님 알파고사이보그 출현으로. 인류는 멸망할듯 근데. 온 우주가. 팽창한다고 햇는데 지구와 태양사이 거리가 1년에. 얼마나 변화 하는지 궁금
@user-gt6og1gk6g
@user-gt6og1gk6g 22 күн бұрын
1만년은 커녕, 천년도 못가서 인류가 멸종할거 같습니다.
@essenk9151
@essenk9151 Ай бұрын
양자역학 관점에서라면 흥부의 박, 요술주머니처럼 더높은 차원에서 꺼내지는 거면 너무나 당연한거 아닌가? 물론 입증하기 어렵지만 수학적으로는 근접할거 가튼데
@bluelake5832
@bluelake5832 Ай бұрын
우주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다면, 우리 몸 속의 원자간 거리나, 지구를 구성하는 물질의 원자간 거리도 지속적으로 멀어지고 있는건가요?? 그럼 미세하지만 우주의 밀도가 낮아지고 있으니, 모든 물질은 상대적으로 계속 커지고 있는 중 인걸까요?
@user-qx8ov7gz7r
@user-qx8ov7gz7r Ай бұрын
1초에 90만킬로미터면 서울ㅡ부산을 몇번이나 왔다갔다 하는거여
@jasonbourneman5845
@jasonbourneman5845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 우주가 팽창을 하고있다면 지구와 태양 사이도 같이멀어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unaL-we9bl
@unaL-we9bl Ай бұрын
인간이 느끼긴 힘들지만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약간씩 멀어지고 있습니다.
@dark_teacher
@dark_teacher 28 күн бұрын
나는 도너츠처럼 중앙부터 빈상태로 계속 퍼질거같아요 우선적으루 이후엔 링모양 사라짐 질량대비 최대면적설 주장해봅니다 제가 만들었습니다
@USED2580
@USED2580 Ай бұрын
공간이 빛보다 빠르게 팽창한다는건 공간에 있는 행성들도 빛보다 빠르게 멀어진다는건데 빛보다 빠른건. 없다고 아는데. 누구. 아시는분? 궁금하네요
@jgl4443
@jgl4443 27 күн бұрын
그 할머니 안경줄이 모든 집중력을 흐트리고 있어요.
@jhlee6514
@jhlee6514 28 күн бұрын
팽창을 하는데 안드로메다와는 왜 합처진다고 하나요
@antonius3496
@antonius3496 27 күн бұрын
새로운 별자리 전설이 더 이상 안 나오는 건 슬픈 일인 거 같음
@MrHhs006
@MrHhs006 12 күн бұрын
분해 되고나면 어찌 되나요, 다 없어지나요?
@user-it1gs2wh4h
@user-it1gs2wh4h Ай бұрын
무로 돌아가는건가요?
@user-pw6vd5te9z
@user-pw6vd5te9z Ай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우리가 어릴때 배웠던 별자리간격들이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다면 별자리의 사이즈도 많이 커져있나요?
@user-jc9ul4bt8l
@user-jc9ul4bt8l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는 중력으로 묶여있어 팽창하지 않습니다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06 М.
12 июня 2024 г.
1:01
Dragon Нургелды 🐉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Собаке не повезло🥺 #freekino
0:25
FreeKino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Эта Мама Не Могла Поверить в То Что Нашла 😱
0:10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ЛЕДИ БАГ УКУСИЛ ЗОМБИ😱 #shorts
0:22
Adler.mp4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