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확신 있어야”…파월 의장이 ‘고통’을 언급한 이유 [뉴스in뉴스] / KBS 2024.06.20.

  Рет қаралды 9,372

KBS News

KBS News

12 күн бұрын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 금리가 1년 가까이 변함이 없습니다. 물가 안정이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금리 동향, 김태형 해설위원과 살펴보겠습니다. 지난주 미국 연준이 금리를 또 동결했어요. 그대로 5%대인 거죠?
[답변]
네, 변동 없습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몇 퍼센트다, 딱 잘라서 특정 숫자로 발표되지 않고, 몇 퍼센트에서 몇 퍼센트, 이렇게 범위로 표현되고는 하는 데요.
연 5.25%~5.5%입니다.
[앵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연 3.5%죠?
[답변]
네, 그래서 한국과 최대 격차 2%p는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지난해 7월 인상한 이후 일곱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이게 기준이 되는 금리인 셈이니까, 미국 시민들이 실제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는, 일반적으로 여기에 가산금리 등을 더하게 되겠죠.
이자에 대한 부담감이 적지 않을 겁니다.
[앵커]
그렇죠.
이자 부담이 크니까, 좀 낮춰야 하는 거 아니냐, 이런 목소리가 미국 사회에서도 많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에 대한 고민이 여전히 큰 가 봅니다.
파월 의장은 뭐라고 설명했나요?
[답변]
네, 먼저, "미국 경제 괜찮다"는 말로 말문을 열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지난 2년, 고용과 물가 측면에서 미국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 말로 얘기를 시작했는데요.
하지만, 진짜 중요한 말은 '그러나' 다음에 나온다는 얘기가 있지 않습니까.
파월 의장은, 단서를 붙였습니다. 아직은 부족하다는 겁니다.
파월 의장 얘기 들어보시죠.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6월 12일/현지시간 : "인플레이션이 7%에서 2.7%까지 상당히 둔화됐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높습니다. 모두에게 이로운 건실한 경제를 위해서 물가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 흔히 점도표라고도 하죠.
금리 예측표에선 올해 말 기준금리를 지난 3월 전망 때의 4.6%보다 높아진 5.1%로 예상했습니다.
이 예상치만 놓고 보면, 올해 한 차례 정도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제롬 파월 의장 얘기를 들어보니, 물가에 대한 고민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물가 목표는 2%다, 이번에도 강조했어요.
미국 연준은 원래부터 물가 목표를 2%로 잡고 있었던 것인가요?
[답변]
미국 연준이 목표로 잡고 있는 인플레이션 수준, 2%이죠.
지금은 연준이 물가 목표치를 발표하는 게 당연해 보이지만, 사실 그리 오래된 관행은 아닙니다.
미국 연준은 지난 2012년 이전만 해도, 요즘 볼 수 있는 것처럼 '우리가 목표로 잡고 있는 물가 수준은 얼마이다' 이런 식으로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러 논의 끝에 투명하게 공표하는 게 오히려 낫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 것이죠.
경제 주체들이 연준이 제시하는 물가 목표치를 참고삼아 경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등 얻는 게 더 많다는 취지였다고 합니다.
2012년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처음으로 물가 목표를 2%로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앵커]
연준의 바람대로, 인플레이션이 2% 정도만 돼도 괜찮을 것 같긴 합니다.
그런데, 왜 2%인가요?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인가요?
[답변]
네, 파월 의장이 강조하고 있는 물가 목표 2%, 여기에는 나름의 역사가 있습니다.
먼저, 경제 쪽 과제들은 아무래도 수학이나 물리학 문제처럼 정답이 딱 나와 있지 않은 경우가 많죠.
미국 연준이 목표로 잡고 있는 인플레이션 2%라는 수치도, 정교한 계산이나 수식을 통해 나온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미국 언론이나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는 얘기를 들어보면, 물가 목표를 아주 낮추게 되면, 예를 들어, 0%대로 목표를 낮추게 되면, 재화나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에 대한 걱정이 생길 수 있다고 하고요.
또 통화정책의 운영성 측면도 생각해봐야 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0%대의 낮은 물가를 유지하려면 금리도 아주 낮아야 하겠죠.
그런데 이럴 경우, 경기가 침체됐을 때, 금리를 더 내릴 여력이 생기기 어렵다, 이와 같은 의견도 반영됐다 합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 따져보니, 그래도 2%가 현실적으로 적절하면서도 실현 가능한 물가 목표치이고, 여기에 맞춰 금리를 조정해 나간다는 얘기입니다.
[앵커]
파월 의장은 본인 말대로 2%라는 물가 목표치를, 확고한 기준점으로 삼고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왜 꼭 2%여야 하나, 반론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네, 물가 상승률 목표를 꼭 2%로 설정하는 게 적절한 것이냐, 이에 대해서는 반론도 나오고 있는 데요.
예를 들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셉 스티글리츠 교수는 2%라는 목표치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며, 여기에 과도하게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물가를 잡는다는 공통의 목표는 같아도, 방법론에서는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 같군요.
파월 의장은 기자들과 질의응답 시간도 갖지 않았습니까? 어떤 얘기들이 오갔습니까?
[답변]
네, 기자회견 중반 정도에 이런 질문이 나왔어요.
"경제의 여러 데이터는 괜찮아 보이지만, 체감이 안 된다고 얘기하는 미국인들이 많습니다. 이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얘기는 무엇입니까?" 답하기 다소 까다로울 수도 있는 질문이 나왔어요.
파월 의장은, 경제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어떻게 체감해야 하는지, 이와 관련해 말하는 것은 연준이 하는 일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연준은 데이터가 보여주는 것만 얘기할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통은 저소득층이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며, 물가 안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기자회견장에서 '고통'이라는 표현을 네 차례나 썼습니다.
당장은 금리가 높아서 어려움이 많겠지만, 물가를 확실히 잡지 못하면 이것만 한 고통도 없다는 뜻이겠죠.
[앵커]
네, 미국이나 한국이나 금리를 이해하려면, 먼저 물가를 봐야겠군요.
김태형 해설위원이었습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기준금리 #물가 #미국연준

Пікірлер: 16
@leejames5560
@leejames5560 9 күн бұрын
고금리시대가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돈을 하도 많이 풀고 있어 11월 대선 이후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계속 올려나갈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내년 미국 기준금리를 7%또는 8%대까지 보는 견해가 나오고 있습니다.
@chanwoos
@chanwoos 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언제 금리올리나 금리 안올려서 환율도 미쳐날뛰고 물가도 미쳐날뛰는데
@brown4716
@brown4716 7 күн бұрын
올리면 부동산 무너지는데 윗대가리들이 올리겠습니까.. 젊은 세대한테 떠넘기고 나중에 튀겠죠..
@user-ry4qe4jb9h
@user-ry4qe4jb9h 8 күн бұрын
한은장이 얘기해따 물가 비싸지않다고 어디서는 석유있다고 석유 파겠다고 하고 다 자기만 살겠다고 하는 시기에 머지않았다
@user-zu3wf6tr7d
@user-zu3wf6tr7d 8 күн бұрын
파월의장 말이 맞다. 빨리 한국은행금리올려라 우리나라가미국보다잘살고 큰나라냐?? 윤석열 집값. 올리려고하다 고물가 특히 채감 느끼는물가는 금물가 시대다...
@user-ur1vl6yv1p
@user-ur1vl6yv1p 8 күн бұрын
좀 더올려라. 어차피 다른 나라 양털깎기할거면 모두의 희망과 예상을깨고 올려라.
@user-tu2ru3gz7d
@user-tu2ru3gz7d 8 күн бұрын
과거엔 중국덕분에 저금리유지할수있었던거아닌가 미중무역전쟁으로 미국도무슨수를써서든 물가가 1순위아닐까
@user-dp9ld8ff3e
@user-dp9ld8ff3e 7 күн бұрын
앨런이 돈을 그렇게 풀고잇는데 ㅋㅋㅋ 인플레 못잡지 ㅋㅋㅋ 파월도 짜증나것다 진짜
@user-jt4uh5wj6s
@user-jt4uh5wj6s 7 күн бұрын
진짜 목소리 하나는 기똥차단말야 ㅎㅎ
@user-uo7dc7os4x
@user-uo7dc7os4x 7 күн бұрын
불가능한걸 목표로 하면 피곤할 뿐이다
@abokado-hn4ji
@abokado-hn4ji 6 күн бұрын
미 연준에 금리가 안 내려도 우리는 윤 정부 압박에 시중 금리는 이미 다 내렸는데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물가야 올라가던 말던 금리는 정부에 의해서 내려가고 있잖아요
@user-um5mz6mz3q
@user-um5mz6mz3q 6 күн бұрын
파월 =숏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6 күн бұрын
Dol I 같은 분. 물가 대폭등 하며 사람들이 아우성일 때 일시적인 것이라며 끝까지 똥고집 부리며 물가로 망하기 직전 까지 금리 안올리던 놈 맞나.
@user-Kill4444
@user-Kill4444 6 күн бұрын
시민들만 죽어나는구나~
NERF WAR HEAVY: Drone Battle!
00:30
MacDannyGun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NERF WAR HEAVY: Drone Battle!
00:30
MacDannyGun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