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9 위에 동그라미해논 M화살표랑 오른쪽 M이랑 같은데 왜 마이너스 붙이나요 ...? ㅠㅠ 시계반시계가 뭔말인건지 진짜 모르겠어요 ... 몇시간동안 찾아봐도 무슨소리인지 모르겠어요 ㅠㅠㅠ 제발 좀 도와주세여 ㅠㅠ
@thinking-structural-analysis2 жыл бұрын
위에 표시해 놓은 방향은 내력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아래 자유물체도에서 내력 모멘트의 크기나 방향을 모르기 때문에 일단 +방향으로 가정하여 그려 놓은 것입니다. 실제로 그 방향이 맞는지는 자유물체도에 모멘트에 대한 평형조건식을 세워서 그 모멘트의 값을 계산해 보아야 합니다. 평형조건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멘트의 합을 계산해야 하는데 이 때는 반시계방향을 +로 해서 모멘트를 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계방향인 경우에는 -를 붙여야 합니다. 모멘트 평형을 적용했을 때 계산된 모멘트 값이 +이면 원래 가정했던 모멘트 방향이 맞는 것이고(정모멘트), -이면 원래 가정했던 모멘트 방향과 반대방향(부모멘트)가 내력 모멘트로 실제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설왕TV Жыл бұрын
3학년 편입하고 구조역학이해가 안되서 재료역학하고 같이 듣고 있습니다 부족한부분을 영상으로 채우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thinking-structural-analysis Жыл бұрын
힘이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 역학 공부에 도움을 받으셨다니 보람이 느껴지네요~
@김석환-i3j2 жыл бұрын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양정윤-e5j Жыл бұрын
13분 50초에 왜 10kn이 시계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키거 6키로 뉴턴이ㅡ반시계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지 알 수 았을까요??
@thinking-structural-analysis Жыл бұрын
D점을 중심으로 팔거리를 두고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시계방향, 윗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반시계 방향이 됩니다. 스페너를 가상으로 그려 생각하면 쉽게 이해됩니다. 정역학 복습 "모멘트" 동영상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kzbin.info/www/bejne/raLckI2qaKeEZqs
@K_Heeminpapa3 жыл бұрын
쏙쏙 들어오네요
@에엥-c7n2 жыл бұрын
고체역학을 배우는 학생입니다. 선생님의 영상 덕분에 미흡한 정역학을 배우고 가네요...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