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능 물리1 해설

  Рет қаралды 4,722

과탐백프로

과탐백프로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44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1번: 00:00 2번: 00:20 3번 : 00:48 4번 : 01:30 5번 : 01:51 6번 : 02:50 7번 : 03:25 8번 : 04:00 9번 : 04:54 10번 : 05:53 11번 : 07:30 12번 : 08:37 13번 : 09:32 14번 : 12:08 (ㄷ 선지 설명 오류 : 대댓글 참조) 15번 : 12:46 16번 : 14:56 17번 : 18:00 18번 : 20:53 19번 : 23:55 20번 : 25:42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 14번 ㄷ선지 재해설 굴절율은 n : B > A > C 이다. 먼저, 단색광 R은 C에서 θ로 입사했다. 그렇다면, 굴절율이 매우 큰 매질 B에서 very small θ로 굴절했다. 이제, 단색광 R은 매질 B에서 very small θ로 매질 A에 입사한다. 굴절율의 관계로 보았을 때, very small θ< 매질 A에서의 굴절각 < θ일 것이다. 따라서, 전반사는 일어나지 않고, 굴절된다.
@튕겨져나간총알
@튕겨져나간총알 2 ай бұрын
zzz 1번 멘트듣고 빵터졌네
@hamham2890
@hamham2890 3 күн бұрын
정말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ㅠ 궁금한 게 있습니다 문제를 보고 바로 저렇게 구조를 파악해 푸시는 건가요? 저는 개념은 알아도 문제에 필요한 논리가 바로바로 보이지 않아서 풀이가 산으로 갑니다,,,
@science_100
@science_100 2 күн бұрын
제가 처음에 수능 풀었들 때, 전기력, 자기장 문항은 처음에 쫌 뜸들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논리가 바로 보이지 않으실 때, 수학처럼 고민 충분히 하시면서, 3번 정도 반복해서 푸시면 많이 좋아지실 겁니다! 반복할 때는 기계적으로 알고 있는 것을 꺼낸다기 보다는 순수한 궁금증으로 다가가는 걸 권합니다 !
@hamham2890
@hamham2890 2 күн бұрын
@science_100 와 알겠습니다 성의 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4561-n7r
@4561-n7r 2 ай бұрын
이제 봤네요 해설 감사합니다!!
@4561-n7r
@4561-n7r 2 ай бұрын
지금 보니까 또 쉽게 느껴지네요... 69모가 쉬웠던 영향이 컸던것 같네요
@MSONICY
@MSONICY 2 ай бұрын
12:40 지금 보니까 14번의 ㄷ을 잘못 푸셨네요. C와 B의 경계면이 아니라 B와 A의 경계면을 말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똑같이 틀린 선지긴 하지만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아이고... 그러네요! 제보 감사합니다
@kmj2155
@kmj2155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Woowhe
@Woowhe Ай бұрын
22:04 여기서 왜 가와 나의 힘의합력의 합이 0이 되야 하나요
@science_100
@science_100 Ай бұрын
(가)와 (나)에서 물체의 가속도가 같다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F=ma를 생각해서, 작용되는 알짜힘의 크기는 같다는 판단을 할 수 있게됩니다. 그리고, 운동 방향은 (가)와 (나)가 서로 반대입니다. 이는 힘의 방향이 서로 다름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힘의 크기가 서로 같은 두 힘의 작용 방향이 반대이므로, 이러한 두 알짜힘을 모두 더하면 0이되겠습니다
@야밍쿠
@야밍쿠 Ай бұрын
24:31 +y방향을 임의로 0보다 크다고 표현하신 건지 아니면 어떤 규칙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science_100
@science_100 Ай бұрын
규칙이 존재하고, 추후에 팁으로 한번 올려보겠습니다
@야밍쿠
@야밍쿠 Ай бұрын
@science_100 네 항상 감사드립니다
@KB-bg5cy
@KB-bg5cy 2 ай бұрын
25:18 여기서 진입하는 변이 1이라는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돼요 ㅠ
@MSONICY
@MSONICY 2 ай бұрын
금속 코일의 면적을 얘기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 싶네요
@힘호훈
@힘호훈 2 ай бұрын
1:24초에서 ㄷ 의 풀이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n=2 -> n=1 에서 주양자수를 2배 해주면 n =4 -> n=2가 됩니다. 에너지 준위가 n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에너지는 4분의1 배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진동수도 4분의 1배가 됩니다
@힘호훈
@힘호훈 2 ай бұрын
n이 짝수 짝수 일때만 적용 되는 건가요? n=3일 때를 해봤는데 다르게 나오네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n= b에서 n=a로 전이하면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에너지가 a제곱 분의1과 b제곱 분의 1의 차이에 수소의 이온화 에너지를 곱한 값이 될겁니다. n= 2b에서 n=2a로 전이하면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에너지는 위의 값에 4분의 1을 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MSONICY
@MSONICY 2 ай бұрын
@@힘호훈 짝수 홀수인게 중요한게 아니라 에너지 준위가 주양자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이 중요한 겁니다. 문제 상황은 마침 주양자수가 2배가 되었기 때문에 제곱에 반비례해서 1/4배 차이가 나게 된 거구요 n=1 → n=2 n=2 → n=4 시작점이 1에서 2로 변화 => 에너지 준위는 1/4배 끝점이 2에서 4로 변화 => 에너지 준위는 1/4배 만약 시작점이 2에서 3으로 변화했다면 에너지 준위는 4/9가 되겠죠?
@힘호훈
@힘호훈 2 ай бұрын
@@MSONICY👍
@GT-do8ri
@GT-do8ri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물1에서 물2로 가는 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흠.. 이제는 좀 애매해진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올해 수능만 놓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1등급 목표를 전제로 개인적으로 개념은 당연히 물2가 어려운데, 문풀은 물1이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래서, 물1 물2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제가 현재 고3 현역이라고 가정하면, 보수적으로 물1 선택할 것 같고, 재수를 한다면 물2 선택할 것 같습니다.
@Woowhe
@Woowhe Ай бұрын
10:10 혹시 여기서 대략적으로 숫자 어떻게 잡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science_100
@science_100 Ай бұрын
추후에 팁으로 올려보겠습니다
@user-fm4vj7rn1w
@user-fm4vj7rn1w 2 ай бұрын
9번문제 질문있어요! 조금 개념적인 질문인데, A가 본 우주선은 시간이 느리게 가는것처럼 보일텐데, 그럼 속력도 B가 보는 것보다 더 느려야 하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느리개 보인게 0.8c인거고 B가 느끼기에는 0,8c보다 빠른가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A가 정지상태고, A의 입장에서 측정된 우주선 B의 속도가 0.8c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속도가 이미 fix된 상황입니다. B 입장에서는 우주선 자체는 정지되어 있고, 배경은 0.8c로 지나갑니다.
@가라미-b5z
@가라미-b5z 19 күн бұрын
요즘 물1표점 낮다해도 잘치면 의대 다 가죠?
@imlancekim
@imlancekim 2 ай бұрын
13번에서 전하량끼리의 대소관계를 확실히 잡고나면 숫자는 그 조건만 만족하면 아무렇게나 잡아도되나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BOB-yl4vv
@BOB-yl4vv 2 ай бұрын
14번에 왜 굴절률이 A가 C보다 큰 거죠?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B를 기준으로 A와 C에 단색광을 입사시켰다고 생각해보시면, C는 전반사가 되었고, A는 전반사가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IrelYone
@IrelYone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역E보는 그냥 거저먹고 들어가는 문제가 됐어요. 내년 수능까지 달리겠습니다🔥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
@xxc457
@xxc457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예비고3인데요 생명할가요 물리할까요?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좋아하고, 꾸준히 할 수 있는 걸 추천하는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유전보다 고전역학이 더 논리적이라서 좋은 것 같습니다.
@imlancekim
@imlancekim 2 ай бұрын
이번에 43이면 2는 나오겠죠?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그러지않을까요??
@user-lc4mx7rcmms
@user-lc4mx7rcmms 2 ай бұрын
4 6 10 20틀리고 3등급 떴어요 ㅋㅋㅋ ㅠㅠ
@science_100
@science_100 2 ай бұрын
아이고..너무 아쉽네요. 그래도 대입 남은 마무리 잘 되시길 바랄게요
Quando eu quero Sushi (sem desperdiçar) 🍣
00:26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Episode 045 2028학년도 수능 시험 체제 분석
22:58
윤도영통합과학시스템
Рет қаралды 1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