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탐구생활 소통 채널 OPEN!!! t.me/bandocheEXPgo 링크 클릭! 업로드 하루 전에 만나 보는 최강 스포일러!!!와 강해령기자와 함께 반도체 이슈·정보에 대한 이야기도 나눠보세요~!
@가즈아-v3e2 ай бұрын
보지도 않고 바로 비추
@나만세-b1z2 ай бұрын
이러고 정현호가 돈 든다고 킬 하면 끝. 기술회사에 주판쟁이가 칼자루를 쥐는게 말이 되나?
@qwq08152 ай бұрын
퇴사하심
@im.incheol2 ай бұрын
정현호 짤림
@아이시떼루-y3w2 ай бұрын
근데 이번에도. 재무통. 정현호 후임. 도찐개찐일듯
@MrSkyoum2 ай бұрын
정현호 짤림 아니 도망감
@redarishem2 ай бұрын
재무통 짤리고 다시 오는 놈들도 재무통임 삼성 미쳤음 보잉이랑 인텔 꼴남
@오천조-h4f2 ай бұрын
3나노 수율이나 빨리 잡아라...3나노 나온지가 언젠데 아직도 빌빌 거리누....ㅠㅠ 최소 80% 이상은 나와야 먹고 살징...ㅠ
@로버트-f9d2 ай бұрын
너같은 녀석은 대만 국민 발끝에도 못 미친다. 대만은 국민 정부 국회 모두가 한 마음으로 반도체 기업을 살리기 위해 온 힘을 다 하고 있다.
@안성태-l4b2 ай бұрын
동감
@santayoon28282 ай бұрын
수율이 20%라는 설도 있음. 그래서 갤럭시폰 칩도 자체 생산에 맡기지 못한다는...
@하루토와덕구2 ай бұрын
5나노 나올때 다른건 다 제치고 2나노때 보여주겠따고 했는데 ㅋㅋㅋ
@안성태-l4b2 ай бұрын
@@하루토와덕구 그러게요 ㅋㅋ 3나노때까지는 역시 삼성 이러다가 이제는 ㅋㅋㅋ
@미소-m7w2 ай бұрын
삼성전자가 다시 최고의 정상에 오르길 응원합니다
@korfishingman2 ай бұрын
r&d로 잡아야지 재무로 잡아서 정상에 오는 기업은 없다.
@없음-q7k2 ай бұрын
애플?
@news_IT-my16102 ай бұрын
망한삼성 부랄 만지는 유투버들 ㅋㅋ
@빛으로-d9b2 ай бұрын
대표적인 기업이 보잉
@은인생졸망주식2 ай бұрын
재무가 더 중요해 멍충아
@짱구는목말러-z4x2 ай бұрын
수장이 반도체에 대한 이해도가 없고 오로지 재무재표에만 의존하는 머저리인데 반도체 희망이 있냐? 이미 삼성의 몰락은 예견된 일이다. 반도체 패권에서 점점 밀리고 있고 후발주자들에게도 추격을 허용하고 있다.
@gomtang_pu2 ай бұрын
양산해서 수율이 나와야지 의미가 있지...논문수준으로는 ibm이나 인텔은 벌써 2나노 나왔다..
@heekyujaydenkang72702 ай бұрын
인텔 논문이 아니라 테스트 칩나왔고 내년 양산한다함. 삼전 하이나 장비도 없는데 설레발 코메디도 아니고 ㅋㅋㅋㅋㅋㅋ
@hansin592 ай бұрын
@@heekyujaydenkang7270내년에 반입하기로햇는데요
@ganadaramabasajachakatapahaАй бұрын
논문 수준이 아니라 구글은 양자컴퓨터를 이미 현물로 제시함 ㅋㅋㅋㅋ
@kyk98392 ай бұрын
지금 삼성이 멀한다해도 믿음이 안감
@로버트-f9d2 ай бұрын
너같은 녀석은 대만 국민 발끝에도 못 미친다. 대만은 국민 정부 국회 모두가 한 마음으로 반도체 기업을 살리기 위해 온 힘을 다 하고 있다.
@신민수-g9v2 ай бұрын
근데 5년전부터라도 학회에서 발표하능거 보면 논문 같은건 많이 냈고 개발같은건 많이 냈지만 결론 양산이 안되는거라던데요 이것도 그렇게 될까봐 걱정되네요
@hansin592 ай бұрын
Tsmc,는 공정에서 사용하고잇는데 양산안댄다는건 대체 뭘보고 하는얘기에요?
@user-z1r3v2 ай бұрын
@@hansin59삼성말하는거겠지 난독이냐
@dkzlakfn2 ай бұрын
알앤디 역량은 높으나 제조양산의 협업이나역량이 못따라간다는거죠@@hansin59
@무무아-r6v2 ай бұрын
@@hansin59이냥반 되게 까칠하네 그냥 잘아는 양반이 설명해주면 될것을 요즘 인간들 인성 참..
@손비비치Ай бұрын
@@hansin59공학에선 양산 안 되는 이론은 개쓸모없는 이론임. 교수 왈 “논문 만 개 중에 쓸만한게 10개 정도고 그 중 돈 뽑히는건 1-2개”
@이승현-c1z5e2 ай бұрын
유튜브로 반도체를 배우네요. 모든 과학자 분들 화이팅.
@yingcracker75132 ай бұрын
역시 역시 👍 삼성전자 역시 👍
@lollol-ih5tx2 ай бұрын
3나노 때도 그 얘기했져
@딸기시럽마니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gohu618 근데 실무진들이 말하는데 더이상 나노공정으로 입지다지는건 무의미하고 설계를 잘하고 불량없이 깨긋하게 나오게 하는게 중요해요 미세공정갈수록 만드는게 어려워지기만할뿐 수율못잡으면 소용없음
@대장부-c6p2 ай бұрын
삼성전자 파운드리 홧팅
@러브머신-q5h2 ай бұрын
파운드리는 TSMC랑 격차가 더 벌어지는데 그냥 버리는게...답없어유
@user-e3o7jz1dx2 ай бұрын
@@러브머신-q5h 다케시마도 못지킬거같은데 그냥 일본주지
@둘리-j3i2 ай бұрын
@@러브머신-q5h삼성이 소니는 그럼 어떻게 이겼냐?
@NADAGA-yl1cx2 ай бұрын
백날 짖어좌야 쳐망하는중.. 또 이미지센서도 겁나게 벌려놓고 수십년째 게썼거라 소니 하고 1억화소 넘어 2억화소 센서마져 출시했지만 파운드리의 TSMC와의 격차가 더벌어진것 만큼 이미지센서도 쳐망해서 소니와의 격차는 더벌어짐 ㅋㅋㅋ 백날 이미지센서에 더 집적해서 고화소 만들어봐야 세계시장에서 소니이미지센서와의 격차는 더벌어진게 팩트 ㅋㅋㅋ 이러니 쳐망하지 샘쓩 ㅋㅋㅋ
@evangelisthong49102 ай бұрын
아주 반가운 소식이네요 삼성전자 응원합니다. 화이팅
@엄분도2 ай бұрын
해설이 너무 훌륭합니다. 👍 👍 👍
@hhj69972 ай бұрын
정말 쉽고 이해가 쉽게 설명을 잘하시네요
@mtouch581025 күн бұрын
주식은 열심히 하면 할수록 손실이 됩니다 하는일이 있고 주식은 길게 봐야합니다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Five5Bagger2 ай бұрын
추가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종욱-y1q2 ай бұрын
와 저도 장비 가공을 하면서 펠리클 중요성을 알고있는데 전문가들이나 관심이가지 일반인들은 관심 가지기 어려운 분야죠.. 펠리클에대하여 좀더 쉽게 설명도 해주시고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 가요.
@syncearth2 ай бұрын
학회 발표 내용이 약간은 개념증명에 가까운 것이니, 양산에 적용될거냐는 문제는 또 다른 얘기처럼 이해됩니다. 삼성 파운드리 발목을 잡는 수율도 언제 극복될 지가 관건인 것 같고요.
@psmqdt-r4x2 ай бұрын
이런 전문 채널이 필요합니다.
@김빅터-u2f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leekwanhee38252 ай бұрын
설명잘들었습니다
@molcang38072 ай бұрын
코팅의 핵심이유는 수소 플라스마 방어용입니다.. 수소이온 특성상 투과를 아예 막는것이 이론상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기에 최대한 펠리클의 내구도를 올리는 쪽으로 개발되고 잇고 사이클 내에서 버텨주기만 해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shuya3679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operonx2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를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좋네요
@Hwagi-y5c2 ай бұрын
삼성 3나노할떄 언플뭐라고했냐 ㅋㅋ 초격차 최신 euv기술로 tsmc랑 퀄리티가다른 기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실은 tsmc 수율반도못가고 파운드리 시장다뻇기고ㅋㅋ 이번에도 똥쌀예정이라 기대도안됨
@과거로떠나는여행2 ай бұрын
왜 이렇게 기뻐하시는거죠? 국적이나 고향이 궁금합니다
@Returns_B2 ай бұрын
@@과거로떠나는여행삼성전자 주식에 시드 5억 지금 현재 2억 하락해서 물려있는상황인데 삼성 까면 안됨? 한국인이면 무조건 옹호 해야함?
@@과거로떠나는여행 내가 삼성 까고싶은 입장인데 당신이 까지말라는식의 댓글쓴걸 보니 아니꼬와서 그런다 니 입당에서는 삼성까니 조선족이나 중국인으로 보이냐??
@Returns_B2 ай бұрын
@@과거로떠나는여행내가 삼성 까고싶은 입장인데 당신이 까지말라는 식의 댓글 쓴걸 보니 아니꼬와서 그런다 니 입장에서는 삼성 까니 내가 선족이나 짱깨로 보이냐?
@김득철-b9l2 ай бұрын
삼성 힘내라 !
@jtvgo2 ай бұрын
3나노 이상 공정도 수율이 안나오는데...2나노라...앞으로 주도권 잡겠다 하지말고 잡고 얘기해라
@snow_-man2 ай бұрын
장비가 틀리니 똑같은 시점이 아니냐 그런생각 하는듯. 3나노에서 많은게 바뀔줄 알았는데 아쉽네요.
@남산동스크류드라이버2 ай бұрын
언플주도권은 확실한 듯
@redblue8542 ай бұрын
@@kita-p4r그렇다기엔 이 채널에서 삼성이 안좋다는 언급이 꽤있었는데
@hansin592 ай бұрын
2나노는 공정도 다르고 기존 핀펫공정에서 GAA로 하이닉스는 기존 MUF 방식을 독점 계약해서 결국엔 2나노도 그대로 가는데 HBM4는 장비도 달라지고 해서 GAA의 하이브리드 본딩방식이 더 탁월하다는게 미국 연구원들의 결과입니다 그래서 삼성은 2나노에서 전세역전을 하겟다는거죠 기존디램도 재설계해서 수율잡고요
@ywpark21862 ай бұрын
다들 잘났어! 정말
@wewe92952 ай бұрын
팰리클의 목적에 대해 조금 잘못설명하셔서 정정드립니다 3:37 마스크 단에서 발생하는 파티클이 떨어지지 못하게 막는 목적은 아닙니다. 노광공정을 진행하다보면 마스크에 파티클이 붙을 수 있는데 이게 마스크의 패턴면에 붙어있으면 패턴이미지에 오류가 그대로 웨이퍼단에 전달되어 모든 die에서 불량이 날수있습니다. 팰리클은 이 파티클이 패턴면에 붙이 못하게 어느정도 높이 차이를 두고 막을 형성하여 그 막 위로 달라붙게 하는겁니다. 그렇게되면 광 경로 상에 그대로 파티클이 붙어있긴하지만 패턴면에 초점을 맞춘 빛이기 때문에 펠리클 단의 오염은 웨이퍼단의 이미지로 전달되지 않아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됩니다.
@반친자_반탐생_해령2 ай бұрын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경제 강해령 드림
@heebolee2 ай бұрын
마스크 수명 향상도 펠리클의 목적이 맞긴함 defect printing을 막는 게 제 1의 목적이고. 마스크에 파티클 떨어지면 contamination 발생하는데 그럼 세정해야하고 세정 횟수는 제한돼있어서(모 논문에 따르면 100회 정도 가능) 세정 덜하면 포토마스크 수명도 늘릴 수 있음. 이건 부수적인 것이긴하지만 MI 부담감도 줄일 수 있고 여러모로 좋음
@HappyManKR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삼성 …화이팅 !
@wheldixn2 ай бұрын
신공정 나올때마다 매번 똑같은 소리 하지만 매번 tsmc에 발림
@hhj69972 ай бұрын
삼성 파운드리 대만을 넘는다 한게 10년전인데 오히려 점유율이 더 줄어듬 삼성!! 제대로 힘 좀 더 내봐
@최정민-n4n23 күн бұрын
주식은 열심히 하면 할수록 손실이 됩니다 하는일이 있고 주식은 길게 봐야합니다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IllilliiililiIIliliI2 ай бұрын
기본이 되야 더 높은 기술에 도전이 가능한건데 도대체 제대로 안 되는데 더 높은 목표를 잡는게 말이나 되냐
@trillians85402 ай бұрын
삼성은 기술문제가 아니고 이미 리더와 조직문제임. 기술 논의 자체가 어불성설.
@박정민-c6y2 ай бұрын
동감 기술 개발도 환경이 중요한 건데 우리나라는 결과만 좋으면 그 과정에서 문제들은 개무시해버림 최근 축협 사건만 봐도 근본적인 문제는 무시한채 기껏 한다는 말이 월드컵 본선 진출 못 하면 누가 책임 짓거냐고함 당장 본선 진출 해봐자 좋은 모습 못 보여줄게 뻔한데도 바꿀 생각을 안함 근데 기업들도 똑같음
@hskim75842 ай бұрын
왜 그런 주변 기술에만 집착하고 있냐고? 빨리 주성엔지니어링과 손잡고 화합물반도체 제조 기술을 개발하면 그런 것 신경 안 써도 되는데.
@겨울눈소복2 ай бұрын
아니 그렇게 좋으면 삼전 몰빵해보시든가... 그것도 아니면서...
@brandonlee6876Ай бұрын
5:55 전자렌지 실제 전력소비는 1000w 넘습니다(출력700w기준)
@로버트-f9d2 ай бұрын
대만은 국민 정부 국회 모두가 한 마음으로 반도체 기업을 살리기 위해 온 힘을 다 하고 있다.
@정의-m6u2 ай бұрын
GAA 수율처럼 장난질 칠려는거 아닌지 신뢰가 무너진 삼전
@김종성-s8w2 ай бұрын
말로만 하지말고 실전에 인정을 받아 마땅하다.
@jaeunha52 ай бұрын
제가 cnt가지고 연구해본적있는데 저정도 에너지면 몇번 못견딜것같네요 ㅋㅋㅋ
@qwertysix2 ай бұрын
2:47 후루후루
@천년설-j9f2 ай бұрын
이제 삼성 얘기는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안믿음
@ahn-w2d2 ай бұрын
업체 관계자인 친구에게 들었어요. 삼성전자 답 없답니다. 문제 생기면 TSMC는 새벽에도 튀어나와서 일을 해결하는데 사실 퇴근도 거의 없지만 삼성은 그 해결이 훨씬 오래 걸린다더군요. 공정을 바꿔서 한방에 역전시키겠다는데 기본이 없는데 갑자기 집이 지어지냐고 하더군요. TSMC는 업체 관계자라도 한국인은 공장에 절대 출입을 시키지 않는답니다. 일도 열나게 빡세서 적응 못하고 퇴직하는 경우도 많고 공정 시뮬레이션을 50번씩 돌려서 이상이 없어야 go사인이 나온다고... 완전 장난이 아니라고 하네요. 이 이야기를 제가 5-6년 전에 들었습니다. 한창 삼성이 잘나가고 파운드리 1위 업체가 멀지 않았다는 기사 나올 때말이죠.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그 친구 말로는 쫒아가기 힘들거라고 하네요.
@김태균-e7o3f2 ай бұрын
친구가 모자란 사람인듯. 시간이 문제가 아닙니다. Tsmc 인센이랑 연봉이 장난 없습니다. 삼성이 지금에 배로 줘도 모자랍니다. ㅋㅋㅋ
@돈이최고더라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ㄱㅋㄱㅋㅋㅋㅋㅋㄲㅋㅋㄱ
@dimdim17392 ай бұрын
@@김태균-e7o3f병신이 난독증 있나? 글 이해를 못하내
@허강훈-n4o2 ай бұрын
업체 관계자한테 들은 내용수준치고는 기사에서 읽을만한 얘기를 써 놓으셨네요ㅋㅋㅋㅋㅋ잠이나 주무셔요
@7275fdcful2 ай бұрын
삼성에서 일하는 얘들 보면 대부분이 영혼 없는 월급루팡들 뿐이던데 삼성도 이끌어가는 건 결국 상위 1프로들일텐데 그 친구가 그런 친구는 아닐 거 아닌가베요 협력업체 얘들 마인드나 기술력은 더 형편 없고...삼성이나 삼성물산에 아부만 잘 하지
@이관모-p8s2 ай бұрын
첨단 노광기의 대강의 구조와 부속을 알게 되다니.... 나름 재밌다.
@cedriverallenАй бұрын
반사를 왜 하는건지 ? 작게 마스킹하기 위해서 인가요? 빛 알갱이가 작은걸 써야 식각을 작게 할 수 있을거 같은데, 통과하면 에너지량이 낮아 반사 시키나요?
@byungminkim-uf9mm2 ай бұрын
재무쟁이 배제하고 엔지니어에게 주도권을 주라
@할거-없음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믿고 보는 갓해령 기자님.
@austinclassjasontv91152 ай бұрын
뭘 하던 과거의 영광을 되찾았음 좋겠네요.
@SKANFJQM2 ай бұрын
애플이나 앤비디아 하드웨어 공장하나없이 전세계시장을 잡았다. 하드웨어는 영원한 하청업체일뿐 , 소프트웨어가 더중요하다
@tmdwp2225 күн бұрын
내가 삼성 파운드리보고 느낀점. 빈깡통이 요란하다. 3나노 EUV 먼저 선점했다고 요란떨더만 결과는 TSMC가 압살. GAA 3나노 먼저 했다고 품질어쩌고 좋다고 요란떨더만 또 압살. TSMC는 언플안하고 미리 준비해서 품질로 승부하는데 삼성은 언플로 승부.
@fingerstring12 ай бұрын
몬말인지 하나두 모르겠지만 쌤썽 화이팅❤
@kocjung2 ай бұрын
3나노도 못만드는 주제에 2나노는 무슨ㅋㅋㅋ 이런 기사 속은게 5년이상이다. 회사 망하겠다 재용아... 아.. 너는 실세가 아니지? 그 부회장 모씨가 실세지?
@IKURA_loveАй бұрын
계획은 그럴싸하다.
@potionwhite6132 ай бұрын
양산수준이 아니면 의미 없다는걸 전국민이 알게되어버림
@이정식-j5i9j2 ай бұрын
GOS 2.0?
@davidcc74922 ай бұрын
기술 좋아도 갑의 지위를 고수하고, 구조적으로 고객과 경쟁구도를 버리지 않으니 문제가 생긴 겁니다.
@HiUTube2 ай бұрын
망조로 가는 회사들 특징들 지금의 삼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아진다. 아무리 좋은 기술을 내놔도 아무도 신뢰하지 않는다.
@Yoktube2 ай бұрын
저거보다 상온초전도체가 더 빨리 나올것 같네요
@해미소-d1w2 ай бұрын
지금부터 바짝 정신 못 차리면 곧 없어 질듯요?
@dkzlakfn2 ай бұрын
알앤디 기술은좋으나 양산은다른문제임 기술력은 살아잇긴한데... 응원합니다
@Flame_flavored_meat2 ай бұрын
그래서 수율은?
@hicha1215-m5d2 ай бұрын
기술보안 잘해라 제발 엔지니어들 처우 개선도 시급
@교푸2 ай бұрын
몇년전에도 tsmc잡겠다고 온갖기술 언급했디지....그 결과는? 제발 새로운장비 쓰지말고 기존에 있는 장비나 제대로써라 수율 개판주제에 수년내로 중국반도체기업들에 잠식당한다
@멀위랑다래랑2 ай бұрын
설레발은 오진데 왜 발주는 없는걸까?
@pdhlion12 ай бұрын
삼성전자 고고씽 화이팅!
@칼칼-o2r2 ай бұрын
예전삼성이면 벌서 개발완료 양산수율 올리고있을건데
@민경진-m9e2 ай бұрын
엑시노스 성능이나 일단 스냅드래곤을 따라가는 것이 순서 아닐까요?
@naragood57212 ай бұрын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보고서 쓴지 꽤 됐으니까 회계쟁이 문과들이 기술을 이해했나봐요.
3나노때도 딱이런식으로 선전하고 tsmc보다 더 빨리 더 신기술 적용했는데 결과는 천지차이.. 결국 결과나와봐야아는거지 이런기술 백날말해봐야 아무효과없다는거지..
@불천노불이과-u4e2 ай бұрын
어디까지나 학회 발표일뿐, 상용화하고는 관련이 없다. 상용화와 관련이있다면 학회에 발표하지않고 특허내고 파일럿 라인에 적용할 걸?
@Uber-mensch2 ай бұрын
10여년 전에 중국 기업들이 많이 하던 언론 플레이죠. 이런 식으로 삼성을 빨수밖에 없는 게 삼성의 현 수준이죠. 유튜버들은 그저 빨아주기만 하고 ㅉㅉ
@사색과명상2 ай бұрын
희귀적 전문성이 돋보입니다 ~ 저력의 삼성이 최첨단 노광장비로 tsmc를 능가하는 최고의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이 될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강해령기자 쵝오입네다
@가랑비-f4f2 ай бұрын
Cnt 펠리클 단점을 보니 그래핀 펠리클이 그래서 계속 연구되는구나.
@샘숭맨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삼성은 항상 세계최초를 외치는데...성숙도는 최하위
@제암산-g6e2 ай бұрын
미국에 갖다받친 첨단반도체공장 등으로 한국의 주가와 환율이 상승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외환보유액이 4천억달러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천편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주52시간 법제정의 후유증이 오늘의 삼성전자를 낳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반성하고 책임을 져야할 것이다. 지금이라도 연구개발 분야 등에는 주52시간제 운영을 유연하게 해라
@sosopark35222 ай бұрын
세계일류기업이라면서 주 52시간제 때문에 경쟁력에 문제가 생긴다면 그런 기업은 망하는 게 맞지ㅋㅋㅋㅋ 어이가 없네.
@교현KH26 күн бұрын
펠리클이 터지면 웨이퍼를 버리는거로 문제가 끝나는게 아닙니다.... 장비 내부 구석구석 파티클이 쏟아지는데... 이게 진짜 노답 입니다
아휴...마지막 끝판왕공정 후공정 즉 패키징 기술도 안되는데 뭘 한다는건지.. 대만 tsmc공장 주변에 수많은 기업들이 얽힌 그 과정을 이해 한다면...제발 대만에라도 다녀와보고 말좀 했으면 한다
@user-dk3jp7vj5l2 ай бұрын
일본이 화이트리스트 제재할 때 미스이가 삼성에 팰리클 안줬죠. 팰리클 국산화 한다고 난리도 아니었던게 생각나네요.
@MinsooMaharacha2 ай бұрын
노광기 제작을 ASML뿐만 생산하는건 아니죠. 중국도 만들어요. 다만 현재로선 24나노 수준이라고 합니다.
@user-dddd6182 ай бұрын
다음엔 1나노로 다음엔 0.8나노로 선방을 날릴것으로 추측할게요
@yhlee-gee2 ай бұрын
결과물 나오는거로 평가하면 됨. 논문으로는 뭐든 다 가능함
@mint-chocokorone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 파운더리는 tsmc
@exitsamsung2 ай бұрын
혹시라도 이 영상보고 삼성전자 투자하시는분이 계실까봐 남깁니다. 마스크 관련부서 임원진 회전초밥식 발령과 파운드리 ㅈ망에 대한 책임전가로 생산설비 냅두고 유배갑니다. 밖에서 뉴스로 아무리 떠들어봐야 내부는 변하는게 없습니다. ㅈ망의 길을 꾸준하게 유지중입니다.😂😂😂
@사마귀-o8z2 ай бұрын
이니 선단공정 만들면 뭐하나.. 수주를 못받는데.. 수주를 받아야 수율도 점차 오르거 하는건데.. 수주를 못받아..
@Uber-mensch2 ай бұрын
아니 뭐 이런 거 까지 삼성을 빨아주나.. 이젠 삼성을 빨 게 그렇게 없나? 10여년 전만 해도 타사 경쟁업체들이 이런 식으로 뭘 개발해서 "앞으로" 이걸 가지고 생산하겠다 라고 말만 하고 삼성은 그 방식으로 이미 생산을 했었는데 이젠 삼성이 이런 언론플레이를 하는 처지네 이런 거 빨아주는 사람도 참 딱하고 서글프다.
@superstring-w4d2 ай бұрын
아직도 삼성의 파운드리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을 못하누만 정확한 원인 진단이 되어야 올바른 처방이 나올수있다 결론 삼성 파운드리 앞날이 참으로 걱정된다
@nncjd2 ай бұрын
또 입벌구 짓 ㅋㅋㅋㅋ 삼파 초반에는 TSMC 입벌구라고 국내에서 언플 더럽게하더니 결국 입벌구는 삼성이었음. 여태 수율 나락가서 퀄컴, 엔비디아 빅엿 맥이고 고객사 대거이탈한건데 또 입만 털어 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