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골 대기근의 슬픈역사, 방글라데시 2부 [지구본 연구소 시즌2 - EP2]

  Рет қаралды 603,330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Күн бұрын

벵골 대기근의 슬픈역사, 방글라데시 2부 [지구본 연구소 시즌2 - EP2]

Пікірлер: 470
@sarahandgrace
@sarahandgrace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여자 아이에게 10년넘게 후원하고 있는 중입니다. 후원만했는데... 그 아이나라 역사를 배우고 나니, 위로와 격려, 그리고 대단한 민족이라고 칭찬의 편지를 써줘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역사 공부를 좋아하지만, 빠짐없는 전쟁과 약자의 죽음..그것도 떼죽음에 맘이 아파 제대로 공부가 힘들었어요.. 그나마 재미나게 진행해주시는 삼프로 여러분덕에 슬프고 맘 아프지만 공부해나갑니다. 삼프로 여러분과 최박사님..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한정범-r4h
@한정범-r4h 3 жыл бұрын
1
@susanlee4411
@susanlee4411 2 жыл бұрын
이런 지식을 들을 수 있어 고맙습니다 방글라데시가 참 어려운 시대를 이겨낸 나라였네요
@sundiego3950
@sundiego3950 3 жыл бұрын
정말 지구본 연구소에서 그냥 스쳐지나가는 나라들에 슬픈 역사와 정보들을 듣고 보면서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정말 고마운 프로네요. 정말 다양한 슬픈역사를 가진 나라들에 대해서 알면서 영국이 왜이리 싫어지게 되는지....
@jonathanw210
@jonathanw210 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전세계 만악의근원입니다 ㅋㅋㅋ
@allahu_aqbar
@allahu_aqbar 2 жыл бұрын
처칠=히틀러
@WhyKHahn
@WhyKHahn 5 жыл бұрын
저도 방글라데시에서 3년 정도 근무했었는데, 아직도 그 사람들을 생각하면 어쩐지 마음이 아픕니다. 최준영 박사님도 그러신 것 같네요.
@아라비-f7g
@아라비-f7g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 연구소 이야기를 요즘 계속해서 보는데, 오늘 이 동영상은 저를 눈물짓게 하네요. 외국 여러 나라를 여행 다니면, 우리가 조금 못산다고 하는 나라에서는 외국인 여행자들 곁에 아이들이 몰려오죠. 기본적으로 이 얘들에게 돈을 주지 말라고하지만, 이 아이들 모습을 보면, 안주기가 힘들어요. 이건 적선 개념도 아니고, 내가 많아서 개념도 아니에요. 그냥 내가 줄 수 있으니 주는거죠.
@k빈의자
@k빈의자 4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의 지구본을 들으니 인간이 참 무섭고 슬픕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태어난 것이 축복입니다.
@kskim6775
@kskim6775 4 жыл бұрын
같은 아시아권 국가의 이야기여서 더 가슴에 와 닿네요. 아프리카 국가들 이야기는 먼나라 이야기 같이 들렸는데.... 듣는 내내 마음이 짠했고 우리나라가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도 희망을 안고 조금씩 발전해 나가는 방글라데시를 응원합니다
@고독한고구마
@고독한고구마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6.25로 수 많은 국민의 희생하고 나라가 분단 되었습니다.
@realmadrid-cm3xu
@realmadrid-cm3xu 3 жыл бұрын
노동자에 대해서 말씀 하시는 목소리에 애민의 감정이 들리는거 같네요 선하신 분 같아요 감사히 잘 듣고 배우고 있습니다~~^^
@빨간벽돌-u6k
@빨간벽돌-u6k 4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전부 다 듣고 더 들을께 없어서 첨부터 다시 복습중입니다. 방글라데시편은 다시 들어도 또 울컥하네요. 최준영 박사님과 삼프로님께 감사드립니다
@maryoneill6652
@maryoneill665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 기다립니다.
@김총장-s6k
@김총장-s6k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가 인구만 많은줄 알앗엇는데 우리나라처럼 제국주의시절 1900년대부터 참 파란만장나라엿네요 장난으로 못사는나라를 방글라데시 비유햇던거 반성하게됩니다 몰랏던 유익한 정보 많이 얻어갑니다.
@이파랑-p4e
@이파랑-p4e 3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역사를 알고나니 진짜 눈물나네요 ㅠㅠ 힘내요! 응원합니다~~ 넘나 맘 아파서 후원신청하고 왔어요~~~
@oksungeike5290
@oksungeike5290 4 жыл бұрын
1960 에 우리 사는곳에 기근 있었음 모는 심었는데 비가 오지 안아 너무 배가 곱아 나무껒질 비겨서 먹고 아이들은 영양 실조로 배가 큰 개 나올것 잘못 알고 너무나 먹어서 배가부르 줄 알음 그때 먹을것 없어 고생한 뱅그라다시 역사 들으니 너무 슬퍼요.
@정남최고다
@정남최고다 5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너무 슬픈 스토리네요.
@namuliky
@namuliky 5 жыл бұрын
그저 먼나라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그 역사가 너무 가슴 아프고 아리네요. 방글라데시아인들이 새롭게 와 닿네요. 저 정도면 멘탈이 거의 다 나갈을텐데 살아가는 게 기적입니다. 오늘 하루만은 헬조선이 천국으르 느껴집니다.
@bk701225
@bk701225 5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아버지 시대는 참 강인하셨죠^^
@드루이드를꿈꾸며
@드루이드를꿈꾸며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역사가 너무 가슴 아픕니다. 국민들을 만나게 되면 다사 보일듯... 그래도 삶의 의지가 꾿꾿이.느껴져서 많은.발전 있는 나라가 되길 기원합니다.
@irooda
@irooda 4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먹먹해집니다. 방글라데시 국민들에 대한 존경심마저 드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도토리-o1v
@도토리-o1v 3 жыл бұрын
슬픈 역사가 있었네요! 눈물이 났어요. 외국에서 오시는 노동자분들께 따뜻하고 정중하게 대해야겠어요.
@brianzzzzz1111
@brianzzzzz1111 Жыл бұрын
지구본 연구소 들으면서 넓은 지식을 얻으며 늘 기뻐했는데 이번 강의는 너무 울컥하네요 이리 마음이 아플줄이야
@coolchristinesy
@coolchristinesy 4 жыл бұрын
김프로님 에피소드를 듣는데 눈물이 계속 흘러요 . 방글라데시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듣는내내 유익한데 괴로울 지경 ㅠㅠㅠㅠ 그래도 모르고 살 뻔 한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돌돌돌-l3c
@돌돌돌-l3c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참 아픈 역사가 있지만 방글라데시도 아픔이 많은 나라네요 듣고있으니 울컥했습니다
@강정순-m3f
@강정순-m3f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가 얼마나 좋은나라인지 우리국민들이 잘 모르고 있는것이 안타깝습니다 이만큼 잘살수 있도록 고생하신 부모님들께 감사하며 이제는 작은 도움이라도 어려운 나라를 도아줄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 되었으면 좋곘읍니다 좋은영상 잘듣고 많은 걸 깨닫게 되었읍니다 감사합니다
@jinju9998
@jinju9998 3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의 비극의역사를 듣고 나니 인간에 대한 근본적 회의감이 드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글라데시의 경제 상황이 나아져서 좋은나라가 되었으면 하고 진심으로 바래봅니다
@백두산호랑이-g8r
@백두산호랑이-g8r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의 조곤조곤 설명해주는 톤이 방글라데시의 시련 더 가슴아프게 들리네요
@양예원-d7k
@양예원-d7k 5 жыл бұрын
39년전 돌도 안지난 아들을 두고 사우디에서 일한 남편 생각이 납니다 그때만해도 2년을 안쓰고 모아서 반포 주공아파트를 샀는데... 방글라데시도 옛말하며 살 수 있을때가 빨리어면 좋겠습니다
@daytondeclan3567
@daytondeclan3567 3 жыл бұрын
pro tip: you can watch series at KaldroStream. Been using it for watching lots of of movies during the lockdown.
@thaddeusabram5855
@thaddeusabram5855 3 жыл бұрын
@Dayton Declan yea, have been using Kaldrostream for months myself =)
@김국수-e6h
@김국수-e6h 3 жыл бұрын
그때 1 억이 안할때 얘기인가 봅니다 아직 고속터미널 신세계백화점이 개발되기 전에요.
@yhanzisu4932
@yhanzisu4932 3 жыл бұрын
@@김국수-e6h 79년 박정희가 죽고, 전대갈이 청와대 금고 여니 6억원이 잇엇슴. 그걸 박근혜에게 줫는데, 당시 은마아파트가 2천만원.
@김국수-e6h
@김국수-e6h 3 жыл бұрын
@@yhanzisu4932 그럼 현재가치로 600억정도 하겠군요
@elliekim6342
@elliekim6342 3 жыл бұрын
듣는 내내 마음이 아팠어요. 방글라데시가 더 나아져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김jeong
@김jeong 5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잔잔한 감동과 많은 생각거리를 준 최박사님 감사합니다.
@SKK-dl4ep
@SKK-dl4ep 3 жыл бұрын
스스로의 삶을 돌이켜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많은걸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mjs8361
@mjs8361 4 жыл бұрын
눈물을 흘리며 봤네요. 너무 가슴 아픈 역사입니다.
@moneymany18
@moneymany18 5 жыл бұрын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정말 유익한 방송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정현태-u5s
@정현태-u5s 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어느새 박사님과 삼프로 배려 좋네요 나도 한 삶 살다가지만 그대들이부럽네요~
@cho968
@cho968 4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숙연해지네요. 역사라는것이 새롭게 느껴지고 가슴 뜨겁네요.
@목마와숙녀
@목마와숙녀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다가 왤케 먹먹해지죠, 눈물이 다 나려고 하네요. 에휴~~~~~
@user-ho6mb9lo7h
@user-ho6mb9lo7h 3 жыл бұрын
나쁜짓에 영국이 빠진적이 없다더니 진짜 잔악무도한 나라였군요 방글라데시 얘기 정말 눈물이 저절로납니다
@minju9453
@minju9453 3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따뜻한 박사님 ☺️ 국제 정세 역사 등은 참 말하기 어려운 주제가 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마음이 따뜻하신 분이라 항상 기분 좋게 듣고 있습니다 .
@박사려니
@박사려니 5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강의를 들으며 계속 눈물이 흐르네요
@garamkim2425
@garamkim2425 3 жыл бұрын
우리 한국인들 마음에 선함이 많아서 그래요. 하지만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우상숭배 하는 나라들은 답이 업습니다. ㅠㅠ 하나님 믿는 나라는 모두 복받고 잘살고, 반면 우상숭배해서 복음을 거절하거나...하나님을 욕하고, 귀신 도개비나 섬기는 나라, 행위구원을 믿는 나라는 그 자체가 불쌍한거죠.
@姜今河
@姜今河 4 жыл бұрын
마지막쯤 울컥했습니다. 최준영박사님,존경합니다
@v고요미
@v고요미 3 жыл бұрын
김프로님은 외모도 선하게생겼지만 인성이 진짜 인정 안할수가없다 존경합니다 👍
@user-qt2fn5hd7e
@user-qt2fn5hd7e 2 жыл бұрын
아버님의 이름으로 라는 부제가 그래서였군요. 지구본연구소를 들으며 외국의 현재와 과거에 대해서 알게되는것 그 이상입니다. 부가적으로 다른 나라의 시각에서 볼 우리나라의 위치, 우리 아버지 어머니 시대는 개도국이였으니 그들과 별 다를바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처절하게 노력하여 성공한 결과 지금을 살고있구나 싶네요. 다시한번 아버지의 이름으로가 와닿습니다.
@youngjoon88
@youngjoon88 3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잘 봤읍니다. 맞읍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임을 해외 이민 30년의 교민으로서 확인합니다. 최박사님의 잔잔한 뱅글라데서 상황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헬조선 이라는 엉터리 말은 더이상 마시길......
@sujungkim8188
@sujungkim8188 4 жыл бұрын
계속 정주행하고 있는데 방글라데시편이 유난히 맘이 찡하네요.
@Julius-Scissors
@Julius-Scissors 5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다. 이런 방송...👍
@권경영-y7b
@권경영-y7b 2 жыл бұрын
뒤늦게 코로나 시대 ㆍ 지구본 연구소 우연히 알겠습니다 ㆍ 방글라데시 편 3번째 시청중이네요 어렸을 때 부터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 이번 방글라데시편은 안타깝고 그러네요 방글라데시 발전 하시길 빕니다 ㆍ 좋은 정보 주시는 박사님ㆍ프로님 모두 감사합니다 ᆢ~^^
@peterkim3546
@peterkim3546 5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대한민국은 잘 사는 나라 맞습니다.
@bluestory5255
@bluestory5255 5 жыл бұрын
김프로님 너무 인간적이세요..너무 공감 합니다. ㅠㅠ
@lizie2002
@lizie2002 4 жыл бұрын
너무 가슴 아픈 역사네요. ㅠㅠ 너무 먹먹합니다 . 이런 역사도 알아야겠죠!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름다음도자란다
@아름다음도자란다 4 жыл бұрын
늦게 알게되어 요즘 보게 되었습니다. 최박사님 지식에 놀랍고 알아가는 짜릿함이 있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maryoneill6652
@maryoneill6652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은 명실상부한 humanitarian & humanist 이십니다!!! 존경합니다.
@travel945
@travel945 5 жыл бұрын
해박한 지식을 편하게 설명해주시고 재미있게 귀담아 배웁니다. 감사 요😊
@핀허클베리
@핀허클베리 5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방송. 최박사님 감사합니다.
@christinasunokcook
@christinasunokcook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박사님.
@차선진-x2m
@차선진-x2m 3 жыл бұрын
울컥하면서 좋은방송 잘들었습니다 대한민국 사랑합니다
@highlandcastle9428
@highlandcastle9428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이야기는 요리조리 피하다 오늘에서야 1,2부 시청했습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라는 서브타이틀의 의미. 수년전, 빌딩붕괴로 작업중이던 어패럴회사 고용인들의 떼죽음으로 알려진 당시의 현실,식수로 오염된 못의 물로 해결하고,비소오염된 지하수를 식수로 한다는 현실,바닷가에서 아무런 대비없이 선박을 해체하며 수많은 오염물질을 그냥 바다로... 선박의 부설물을 떼어내여 주변의 수많은 점포에서 팔고있던... 그동안 이곳 여러 다큐멘터리 방송 으로 알게된 방글라데시여서 시청하는데 주저했네요. 풍요로운 대지에서 대기근으로... 그야말로 동족상잔... 참 처절한 역사가 있었군요. 게스트이신 최박사님의 해박한 지식을 재미나게 이야기보따리 풀듯 하시면 늘 맛나게 이야기를 곁들이시는 듯한 주고받고의 호스트분들이 진행도 재미나지요. 경제에 대해선 무지한 저이지만 맛난 방송에 감사 전합니다.
@유금자-r5x
@유금자-r5x 3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너무감사합니다. 세계를 다시 돌아보고 많은공부를 하게되었어요
@마스터마구니-m1q
@마스터마구니-m1q 4 жыл бұрын
지구본 연구소 시리즈를 이제 알게 되었는데, ㅎㅎㅎ 남은 내용이 많아 행복합니다
@앤언니-y2r
@앤언니-y2r Жыл бұрын
얼마전 만난 방글라데시인 한국말 너무 잘하던데, 돈 많이 벌어 가시고 방글라데시에도 해뜰날이 오길~
@kimsangmibrienne1430
@kimsangmibrienne1430 4 жыл бұрын
재미있으면서도 너무 슬프네요. 소중한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haizikim6809
@haizikim6809 2 жыл бұрын
김프로님 참 너그럽고 동정심 가진 분이시네요
@andyryooable
@andyryooable 3 жыл бұрын
와 오늘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습니다. Thank you everyone.
@권재균
@권재균 4 жыл бұрын
김프로님 최고의 마음이시군요 그마음아니라도 돈을 쓰고 왔다해도잘하신건데 그런마음이드신다는거는 인간답습니다
@inseokmoon
@inseokmoon 4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 감사합니다.
@ranmanim
@ranmanim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가 후진국 농담거리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근대사가 정말 어마어마하군요. 국기의 빨간원이 희생을 의미한다는데 정말인거 같습니다
@천안촌놈_양규식
@천안촌놈_양규식 5 жыл бұрын
1,2부 많이 배우고 갑니다~~!! 정말 고생많으셨어요 ~~!!
@토랭이-b1s
@토랭이-b1s 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방송 감사 합니다 . ~~ 마치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자유를향한날개
@자유를향한날개 2 жыл бұрын
요즘 지상파 포함 언론들 이런 수준의 방송 아예 안 합니다. 드라마, 트롯트, 먹방, 스포츠 아니면 초등생들 모아놓고 얘들아 우리 놀자 수준의 예능이 전부인 것 같습니다. 뉴스는 아예 안하는 것이 나으니까 제외했습니다.
@christiangrey1331
@christiangrey1331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황현구-t9k
@황현구-t9k 3 жыл бұрын
많이배우고잇어요감사합니다
@yingshupiao
@yingshupiao 4 жыл бұрын
선박 해체 할때 사용하는건 용접기가 아니고 산소절단기라네요. 불꽃만나오면 다 용접기라 하는데 용접은 붙이는거 절단기는 자르는거 라고 용접공인 남편이 꼭 말해주래요 ㅋㅋㅋ
@balcony-n6t
@balcony-n6t 4 жыл бұрын
이상했는데 고맙습니다
@김영진-d9m3r
@김영진-d9m3r 4 жыл бұрын
산소 절단도 하지만 동관같은 경우 용접도합니다. 해서 산소용접기라고도 하죠
@KW-zb3sf
@KW-zb3sf 4 жыл бұрын
산소로 용접도 해요.. 아세틸렌과 산소를 이용해서..
@yingshupiao
@yingshupiao 2 жыл бұрын
@@김영진-d9m3r 하지만 선박 해체할 때 용접을 하진 않죠
@자유를향한날개
@자유를향한날개 2 жыл бұрын
남편분 잘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용접은 정말 극한의 직업입니다. 제가 용접사입니다.
@mariaahn4256
@mariaahn4256 4 жыл бұрын
마음에 많이 남는 내용이예요. 정말 감사합니다
@notefoto5275
@notefoto5275 4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 이야기 이지만,,,인생의 깊은 본질을 느끼게 하는 영상같습니다, 그리고 내가 어느 정도 포지션인지도 생각해 보게 하는 영상,,,뜻 깊습니다,,,과거도 생각해 보게 하고요,
@서성광-i8i
@서성광-i8i 4 жыл бұрын
정말 슬픈 역사네요. 눈물나도록..
@김정숙-k3q7o
@김정숙-k3q7o 4 жыл бұрын
몰랐던 방글라데시 역사를 알아가며 엄청 가슴아프네요.국력은 생명이네요.
@Mr-gu6oc
@Mr-gu6oc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9년전 혼자 배낭여행 갔다왔네요.. 1주일동안 현지 버스,트럭타고 다니면서 세계문화유산 있는 다카,보그라,쿨나 둘러봤습니다. 다카는 진짜 혼돈의 그 자체... 답이 안보이는 안 나오는 곳 이었는데 시골로 가니 그래도 따뜻한 정이 있더군요.. 어디를 가든 동네 꼬맹이2~30명은 몰고 다니고 ㅋㅋ
@taehoyoon8824
@taehoyoon8824 4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좋은 내용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kl8315
@skl8315 5 жыл бұрын
파편적인 사건으로 접했던 것들을 하나로 엮어서 들으니 새롭네요.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shaun01
@shaun01 4 жыл бұрын
너무 늦게 봤습니다. 최고의 유튜브 콘텐츠 입니다. 감사합니다
@AmericanVoiceMC
@AmericanVoiceMC 3 жыл бұрын
감동이 밀려오는 강연입니다.
@물망초-b2o
@물망초-b2o 3 жыл бұрын
방글라데시 역사 처음 듣고 비극에 놀랐네요. 앞으로 좋은 일이 있길.. 최준용 박사님 간사해여
@luluah284
@luluah284 4 жыл бұрын
방글라국민들 힘내세요!건강하세요!최준영박사님 많은걸 알게해 주셔서 고맙습니다!눈물막 났습니다!서파키스탄 나빠요!
@텀블러-y2g
@텀블러-y2g 2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highlandcastle9428
@highlandcastle9428 5 жыл бұрын
지난날 북한보다 우리나라가 못살아 당시 최빈국이였다네요. 서독 광부파견에 대학졸업자까지 몰려 대단한 경쟁이였다는게 이방송을 보며 떠오르네요. 바로 수십년전의 우리 모습과 오버랩되네요.....
@hyun5641
@hyun5641 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세계에서 두번째 빈민국이었습니다 장충동에 있는 장충체육관이 필리핀이 빈민국가에게 기부해서 지어준 체육시설이었습니다 우리 어릴 적 바나나가 귀해서 보기만 했던 과일이였답니다 내나이 60이니 불과 50년전 집에 전화있는 집이 동네에 몇집 없었지요 전 서울 장충동에 살았지만 초등학교 도시락에 계란 하나 얹어오면 최상이었습니다 우리들은 가난을 너무 쉽게 잊어 버렸습니다 우리들의 어린 누이들이 청계천에서 동생학비로 곤고한 삶에 꽃같은 나이가 지기 다반사지요 사회주의로 가는 현실의 참담함에 뒤척이다가 방글라데시 모습에 마음이 절로 아퍼오는군요
@Vincent_de_Paul
@Vincent_de_Paul 4 жыл бұрын
@@hyun5641 장충체육관 100% 우리 자본과 기술로 만든겁니다. 필리핀 원조는 헛소문
@hyun5641
@hyun5641 4 жыл бұрын
@@Vincent_de_Paul 헛소문에 속지 맙시다 대한민국 그 당시 최대 빈민국 아래에서 두번짼가 그랬지요 그당시 국민학교 미국원조 옥수수가루로 빵을 급식으로 줬답니다 혹시 구호물자 커다란 군복 입고 다니셨다면 60대 추억 장충체육관 앞에 현수막도 기억합니다~~~ 우리가 먹고 살만한게 언제부터인지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우리집이 장충동이라서 잘 알고 있습니다
@Vincent_de_Paul
@Vincent_de_Paul 4 жыл бұрын
@@hyun5641 1955년 6월 육군체육관으로 지붕이 없이 출발했다. 1959년 8월부터 서울특별시가 운영을 맡았다. 이후 본격적인 경기장으로 개·보수했다. 이 건물은 당시 서울특별시의 예산 과 국고보조금을 바탕으로 하여 처음에 총자금 9,200만원이 투입되었으며, 건축가 김정수에 의해 설계되었고, 감리는 미국의 벡텔사, 그리고 당시 한국 기술 여건상 실현하기 어려웠던 직경 80m 철골 트러스돔(철골트러스 32개, 환상형 트러스 13개)의 구조설계와 건축설계 부분은 미국에서 귀국한 건축가 최종완이 맡아, 삼부토건이 건설한 대한민국 최초의 실내 경기장이다. 필리핀 엔지니어가 참여했다는 설이 나돌았지만, 거짓인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이에 대한 보충 의견으로 감리를 맡은 미국의 Bechtel Corporation 아시아 사무소가 당시 필리핀에 있었기 때문에 필리핀인들이 단순노무활동을 하는 등의 보조적 양식으로 일부 건설에 참여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근거는 없다. 1963년 2월 1일에 개장했고 서울특별시에서 관리하다가 2007년 2월 1일부터 동원엔터프라이즈에 위탁했고,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동원과의 계약이 만료됐다.
@KW-zb3sf
@KW-zb3sf 4 жыл бұрын
@@hyun5641 자꾸 거짓말 좀 퍼나르지 마세요... 또 우리가 정말 최빈국은 아니었어요 그냥 가난한? 나라였지..
@lukejung8297
@lukejung8297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후진국나라의역사를 들으면 현재 선진국들의 잔악무도한 악행들을 알게되면 여러생각이드네요 다른나라의 자원 뼈속까지 빼먹고 지금은 온갖미디어 이미지관리로 선한이미지포장한거보면
@김정근-c1q
@김정근-c1q 3 жыл бұрын
전세계 역사가 그렇습니다 왕조시대는 힘의 시대였고 힘이 정의 였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국가들이 있는 것인데 작은 수백명 부족들이 전쟁으로 합쳐서 큰부족이 되고 큰부족들이 전쟁해서 작은 나라가 되고 작은 나라들이 합쳐서 더큰 나라가 되었음 징기스칸이 영웅이라지만 얼마나 많은 민족 국가들이 죽었는가 생각하면 전세계 영웅은 없습니다 훈족의 아틸라대왕이나 두세계 의 종족들은 아시아 민족들이 유럽인들을 학살한 고대전쟁도 있습니다
@자유를향한날개
@자유를향한날개 2 жыл бұрын
영국이 특히 심합니다. 전 세계 분쟁의 대부분은 영국이 싸질러 논 똥 때문입니다. 2차대전을 통해서 이미지 세탁을 너무 잘 해 놓았지요 개인적으로 BBC 다큐를 많이 보는데 그 어떤 프로그램에서도 자신들이 한 과거의 행동에 대하여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가장 공정하다고 정평이 나 있는 방송인데도 그렇습니다. 일본과 영국은 시간이 지나면 그 댓가를 반드시 치르게 될 것입니다. 개인의 아픔이 사라지지 않은 것처럼 민족과 국가의 아픔도 쉽게 지워지거나 사라지지 않습니다.
@러블리-h1l
@러블리-h1l 2 жыл бұрын
아 철까마귀 너무 감동적으로 봤어요. 엄청 울었어요. 계속 생각나는 영화였어요.
@jau8300
@jau8300 5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의 방글러데시 흑역사는 해설은 충격이네요! 영국과 제국주의가 낳은 비극이 전세계 붏행의 근원!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엄지척!
@Jw-fb4cz
@Jw-fb4cz 3 жыл бұрын
대체 영국은 전세계에 무슨 짓을 한건지....!!!
@해피연두-z6z
@해피연두-z6z 3 жыл бұрын
@@Jw-fb4cz 맞아요 모든 갈등의 원인이더라구요
@est6104
@est6104 3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 강의는 정말 빠져듭니다
@팬더곰-e4q
@팬더곰-e4q 4 жыл бұрын
삼프로님들 마음이 따뜻하신 분들이세요. 번창하세요^^
@익명-j4e3p
@익명-j4e3p 4 жыл бұрын
벵골 대기근, 방글라데시 독립 사건이 있었던 것만 알고 있었는데 방송을 보니 정말 충격적이네요
@yyoungkang5
@yyoungkang5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많은 생각을하게하는 방송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꽃아름-s8f
@꽃아름-s8f 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una8250
@suna8250 4 жыл бұрын
처음인데 재밌네요~ 짬날때마다 취침전 들어야겠어요, 일당백처럼 ㅋ 좋아요 꾹요~
@양재식-t6v
@양재식-t6v 4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너무너무 재미있게 보고있어요
@양파-m5e
@양파-m5e 3 жыл бұрын
리얼하게 강의하신 최박사님과 삼프로님들 공감해주는 방송냉송 내용이 공감갑니다
@김민성-z9z6k
@김민성-z9z6k 5 жыл бұрын
좋은 이야기 감사히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빅토리민
@빅토리민 4 жыл бұрын
삼프로 그리고 박사님 고맙습니다.
@이동희-s1p
@이동희-s1p 4 жыл бұрын
유학생들 중 방글라데시 학생들 성실하고 똑똑한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역사를 모르고 예전 이미지만 알고 있을때 의아했었는데 역사를 듣고나니 이해가 됩니다
@김미현-n3z
@김미현-n3z 2 жыл бұрын
정말 비극이 점철된 역사를 가졌군요 잘해 드리고 싶어요 화이팅! 방글라데시♥
@백마-k8x
@백마-k8x 4 жыл бұрын
금수강산 이땅에 태어난것에 감사하고 또한 자랑스럽습니다 우리조상 우리부모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지금의 우리가 누리는 행복을 함께나눌수있기를 기원합니다.
@이성호-c7j
@이성호-c7j 4 жыл бұрын
아유~정말 듣다보니 눈물이나네요ㅜㅜ
@박경희-c4g
@박경희-c4g 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B.winter
@B.winter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권프로-b4g
@권프로-b4g 4 жыл бұрын
조은방송 감사합니다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1% vs 100% #beatbox #tiktok
01:10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coco在求救? #小丑 #天使 #shorts
00:29
好人小丑
Рет қаралды 120 МЛН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