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고령화 쇼크 과장된 측면이 있다 f.이철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신과대화]

  Рет қаралды 298,811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문제 중 하나는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 모신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 이철희 교수는 선진국과 다른 한국 사회만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며 노동생산성의 과제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노인층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민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철희 교수의 말을 함께 들어보시죠.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오프닝벨 라이브
클로징벨 라이브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메일) edu.help@3protv.com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647
@3protv
@3protv 8 ай бұрын
한국의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문제 중 하나는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 모신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 이철희 교수는 선진국과 다른 한국 사회만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며 노동생산성의 과제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노인층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민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철희 교수의 말을 함께 들어보시죠.
@TOURTHEWORLD-b5h
@TOURTHEWORLD-b5h 8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진행하시는 것이 엄청나게 크게 좋아 진 것 같습니다.
@tjin8320
@tjin8320 8 ай бұрын
일할 사람이 없다는 것은 세금낼 사람도 없다는뜻. 세금없이 나라가 존재할까
@네오-i4t
@네오-i4t 8 ай бұрын
고령화의 디폴트가 달라질겁니다. 70까지 일하는게 당연한 시대가 오고 보통 40대에 관리직이 되지않으면 회사를 그만둬야할 상황이 오는데 지금까지의 회사문화였다면 지금은 50대 노동상산을 하는 실무자도 많습니다. 50대가 내는 세금과 청년이 내는 세금은 비교할가치도 없고요.
@주아히메
@주아히메 8 ай бұрын
그냥 '일'이아니라.세금을바칠 일이겠지
@올렝카-v2g
@올렝카-v2g 8 ай бұрын
@김영화-e2t
@김영화-e2t 7 ай бұрын
60대 후반 간호사입니다. 분만실에서 근무하던 40대 중반에 나이 때문에 은근 눈치가 보여 70대에도 수술실에서 당당히 근무하는 미국할머니 간호사 사진에 자극받아 미국 취업 이민을 생각했었지요. 지금은 한국에서 현역 간호사로 근무중인데 70대까지 눈치 안보고 당당히 근무할 수 있을 거 같아요. 😂 여가 시간에 헬스,캠핑, 등산하며 건강관리 중이지요. 20~30대 제 조카들 셋이 다 간호사로서 병원,보건소,제약회사에서 적성대로 근무중이라서 뿌듯합니다.😊😊
@강동백작
@강동백작 7 ай бұрын
울어머니 시골에서 이웃집3명 다른집두명 5명받앗어요 우리집 잔치때 그애들 다오구요 사실상 친척에요 부모님 다 돌아가셧지만 분만은 경험자가 더 유능합니다 생존하셧으면 120세 내가 77세 막둥입니다
@고문삼-q6w
@고문삼-q6w 7 ай бұрын
ㅣ😊 ㅔ😊ㅐ 지ㅣ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7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화이팅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6 ай бұрын
@@김영화-e2t 멋집니다!! ^^bb
@수정김-g5s
@수정김-g5s 6 ай бұрын
​@@강동백작 100세 시대 말만 좋지, 인간은 일반적으로 100세 못넘깁니다, 정정하시다, 건강하다 하시며 92세 어르신들도 하루만에 쓰러져 돌아가십니다, 자연섭리적으로 100세 넘긴다? 소수 몇명 노인일뿐지병없으시면 , 대부분은 90~ 95 세에 죽습니다,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일할 청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저임금에 힘든 일을 해줄 청년이 없다는 것이 맞다. 동남아 외국인노동자들조차 한국에 와서는 임금 높은 회사로 가려고 브로커까지 쓴다. 이제는 저임금에 힘든 일을 해줄 외국인노동자조차 없어질 것이다. 좋소기업들은 쌍팔년도식 사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외국인노동자들에게조차 취업기피대상이 될 것이다.
@battlestar_galactica
@battlestar_galactica 8 ай бұрын
요즘엔 베트남도 20대 청년들이 중소생산직 기피하고 배달이나 알바 위주로 한다고 함. 만국공통인 현상인데 꼰대들은 현실부정 쌍팔년도 날먹습성 못버리고 눈높이 타령ㅋㅋㅋ
@kingwang_zzang
@kingwang_zzang 8 ай бұрын
중소기업만의 문제는 아닌듯~ 누군 돈 더 주고 싶지 주기 싫것냐? 그냥 구조적 시스템적 문제이고..산업재개편을 안한 결과물이 서서이 나타나는것이지. 당장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만 봐도 큰데 산업재개편과 지방소멸 막지 못하면 이나라는 끝임.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kingwang_zzang 인력난에 임금이 급격하게 올라가면 로봇과 AI로 대체하는 것이 더 낫다면 로봇과 AI가 인력을 대체하는 분야가 늘어날 것이다.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가마니-i6z 민주노총, 한국노총에서 외국인노동자를 저임금으로 채용하게 되면 한국인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이 나빠진다고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하라고 정치권에 압력을 넣는다.
@rath3s31
@rath3s31 8 ай бұрын
몇살이 청년이? 저임금에 힘든 그 일자리 이미 50대 이상이 했고 그 사람들 없어서 외노자가 이미 얼마나 많이 들어왔는데
@조화연-j2f
@조화연-j2f 8 ай бұрын
7년간 방문요양보호사로 일하고있습니다. 대부분의 수급자는 교수님 말씀대로 매일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매일 방문해야하는 구조입니다. 일선에서 일해본 제 생각으로는 한 센터(시설)에 정규직으로 고용되여 스케쥴대로 근무하는게 어떤가싶습니다. 대부분 수급자들은 일주일에 두 세번이면 충분합니다. 주로 청소와 정서지원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1,2등급은 다를수있습니다. 병원대동은 한 달에 한 두번 정도입니다. 그것도 자주가는 편입니다. 요양보호사 교육도 축소하여야합니다. 자격증 도움안됩니다. 그냥 입사할 센터에서 신입사원교육하듯 한 달동안 이론수업과 실습후 수료증과 함께 정규직으로 고용. 가능하다면 정부산하 기관에서 관리감독 희망합니다. 80,90대 어르신들 호칭 못바꿉니다. 아줌마.. 네 괜찮습니다. 하지만 우리모두의세금이 허투로 쓰이는건 매우 가슴 아픈일입니다.
@kch-qp2zn
@kch-qp2zn 8 ай бұрын
요양보호 자격증? 제가 보기에는 1줄일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공단에서 자격증 장사하는 것 아닌지..
@꽁꽁이-v5i
@꽁꽁이-v5i 7 ай бұрын
좋은 생각인거 같은데 어디 의견을 내놓을 데가 있음 좋겠습니다.
@풀꽃-u4n
@풀꽃-u4n 7 ай бұрын
정년후 재가 요양보호사로 일한지 9개월 되었는데 국가 복지의 단점도 많더군요. 90대 인지 좋은 시어머니와 70대 혈관성 치매 며느리가 있는집을 케어하는데 자식들이 줄줄이 있어도 3시간 근무 요양보호사가 만능인듯 자주 찾아 오지도 않고 신경도 안쓰는거 보고 국가 복지가 개선되어야 할것 같애요.
@kch-qp2zn
@kch-qp2zn 7 ай бұрын
@@풀꽃-u4n 이해가 됩니다. 돈 몇푼 쥐어 주면 자신들은 책임을 다 했다는 것 아니겠습니까..어디 거기뿐이겠습니까...
@레드향너무좋아
@레드향너무좋아 7 ай бұрын
​@@풀꽃-u4n내가 내돈 쓰고 반찬 해줘도 고마운줄 모르고 드러버 안함.
@MC-ui5mz
@MC-ui5mz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규영-f4u
@김규영-f4u 8 ай бұрын
좀 한다는 기업은 너 말고도 사람 많다고 개우숩게 노동자를 대하고, 뭐 없는 기업은 인건비도 허덕이니 저임금으로 부릴 생각만하니 취업을 해도 문제, 안해도 문제 아니겠습니까? 당연 직장인이 스트레스 없이 회사 다닐순 없겠지만 주위 보면 아주 죽고 싶다는 사람들이 수두룩함. 그러니 애를 안낳지.. 본인이 살아남기도 벅차니.. 저출산으로 생길 미래가 어떻게 될지 피부로 느낄땐 어떤 세상인지 궁금함.
@3215-b6u
@3215-b6u 7 ай бұрын
윗세대 50대 60대 애들 똥을 지금 젊은애들은 평생을 고통을 받고 살아가야된다.
@heyy921
@heyy921 8 ай бұрын
목소리 톤이나 발음, 속도 너무 좋네요!
@lostinparadise26
@lostinparadise26 8 ай бұрын
이야~~ 정말 알차고 유익한 내용이다.. 이런 강의는 돈주고도 듣기 어렵겠다.. 와우~~ 1시간 정도를 넋을 놓고 들었습니다.. 감사하빈다.. 삼프로~~~
@MC-ui5mz
@MC-ui5mz 8 ай бұрын
같은 생각입니다
@만물의아이콘
@만물의아이콘 8 ай бұрын
아는 분이 국내 굴지기업의 연구소에서 나온 결과라며 앞으로 지금 직장 다니고 있는 사람들은 나이 때문에 짤릴 위험은 적다고 말하더라구요!!~ 왜냐면 교수님이 말한것처럼 고학력 노령자도 많고.. 젊은 사람들은 줄어들지만.. 그걸 충분히 커버한다고 합니다!!
@닭둘기-t6j
@닭둘기-t6j 8 ай бұрын
부모세대 처럼 살지 말라고, 그렇게 높은 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가 90년생인데, 그 세대에게 부모님 세대보다 나아질 기미가 안보이는 현 시점에서 아이를 낳아라 눈만 높다 이런 가스라이팅을 하는것 자체가 문제죠. 저출산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있어서 저출산이 생긴겁니다. 갈라치기, 남여갈등, 급나누기 등등 정치권에서 해결해주지 않고 바로 앞에 표심만 쫓아가니 이 나라의 결말은 이미 정해졌다고 봅니다.
@파사현정-s7e
@파사현정-s7e 8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좋은 말씀 ... 감사합니다..만.. 진짜 중요하고 복잡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하는데... 과연 무능한 정부... 썩은 정치권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지.. 의문입니다...
@이순둥-o9z
@이순둥-o9z 8 ай бұрын
양산에서 서식중인 그 개버린 인간이 여러 분야에서 갈라치기해서 재미 짭짤하게 봤지. 나라야 망하든 말든.
@lucaschoi8358
@lucaschoi8358 8 ай бұрын
해외 6개월정도 한번 다녀오시는걸 추천합니다
@kohana5955
@kohana5955 8 ай бұрын
그 아이들은 시킨대로 했을 뿐인대...
@JohnDoe-tu7do
@JohnDoe-tu7do 8 ай бұрын
​@user-kf6mh2dp2m 어그로 인가요? 진심인거죠?
@donglee356
@donglee356 8 ай бұрын
"구인난"??? 취업현장이 웃깁니다. "구인난" 이라고 하는 것은 젊고, 저렴하고, 경력있는 사람이 없다는 뜻입니다. 정말 진짜 "구인난" 이라고 한다면,..지금 현재 청년 실업자 100만명 시대가 말이 되나요? 저도 중소기업 면접에서 광탈했어요. 나이가 조금 많다고,.... 사람을 가려서 받는 것이 무슨 구인난 입니까? ..
@닭둘기-t6j
@닭둘기-t6j 8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말이죠.
@modu-modu
@modu-modu 8 ай бұрын
청년이 없다가 아니라 저임금으로 노동력 착취할 대상이 없다겠지
@Bora_san
@Bora_san 8 ай бұрын
진짜 구인난이라는건 일본을 봐야지. 지금 일본은 프로그래밍 '지망'으로 뽑아서 회사에서 파일 복붙하는 법부터 가르침. 너무나 당연하게 회사가 학교냐 운운하면서 완성된 신입을 찾는 한국은 아직도 사람 많음.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Bora_san 일본도 임금높고 편한 직장은 구직난이고 임금낮고 일이 힘든 회사는 구인난입니다. 일본의 구인배율이 1이 넘는다고 하지만 평균의 함정이 있습니다.
@강병민-g5o
@강병민-g5o 8 ай бұрын
일 한만한 중소는 그만큼 자기회사 특권 의식있서 고학력 원한는 경우 있어요 결국 3d업종 노예 근성 저임금 원하는데 만 많아지는 현상이 남을 거에여 ㅎㅎ
@김방석-k3j
@김방석-k3j 7 ай бұрын
고령자들이 일하게 하려면 앞으로 노동시간을 4시간으로 오전 오후 나누워서 하면 체력적으로 크게 부담이 없을 것이다.
@김기호-c7x
@김기호-c7x 6 ай бұрын
아마도 그리될거 같습니다 쿠팡헬퍼가 시작하고 잇죠 아르바이트이긴 하지만
@붕붕-n8n
@붕붕-n8n Ай бұрын
이진우님 진행 덕분에 항상 이해도 쉽고 중독됩니다. 응원합니다.
@백100-n7e
@백100-n7e 7 ай бұрын
넘 좋은 강의였습니다 교수님과 진행자 삼프로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jangpm
@jangpm 7 ай бұрын
인상 깊은 인터뷰 였습니다. 인구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modu-modu
@modu-modu 8 ай бұрын
일할 청년이 없는게 아니라 저임금, 장시간 노동에 의존하는 기업이 지나치게 많은겁니다. 관점을 기업 관점이 아니라 노동자 관점으로 보세요. 기업은 저임금, 장시간 노동을 해줄 노동자가 부족하다고 하겠지만, 노동자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이 나라의 기업들이 시간당 부가가치를 생산해내는 능력이 떨어지는 재래식 산업에 너무 많이 몰려있는겁니다. 한국이 산업의 고도화에 실패한거지 노동력이 모자란게 아닙니다. 노동력이 부족한데 왜 실업자는 많고, 구직 포기자가 늘어나는겁니까? 일할 청년이 없다는 말은 잘못된 해석입니다.
@Smoker-1p
@Smoker-1p 8 ай бұрын
일할 노예가 없는겁니다 노력이린 표현도 청년들을 노예근성 심어주는 가스라이팅 입니다 속지마세요,, 여러분 어차피 계층 사다리는 무너졌습니다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bruno89246 그래서 외노자들이 일본, 대만보다 한국에 오고 싶어 하지요.
@블랙-z3s
@블랙-z3s 8 ай бұрын
나이먹어서 후회하지말자. 그땐 일도 안시켜줌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bruno89246 그러니 동남아 외노자들이 한국에 가서 일하려고 하지요.
@bluesky3017
@bluesky3017 8 ай бұрын
@@Smoker-1p일할노예^^ 오해가 심하시네요. 능력이 없는 노예는 필요가 없습니다. 능력을 갖추려는 노예가 필요하지요. 산업생산구조가 님이 생가하는 것보다 고도화 되어가고 있구요. 대기업이 아니라도 스마트 팩토리를 기반으로 ai기반의 oa를 갖춘 기업들이 한국에서도 늘어나고 있어요. 노동강도는 당연히 낮아지죠. 임금은 1억이 넘지 않아서 저임금이고 하루에6시간 이상 근무하니 장시간 노동환경이긴 하지만^^ 님이 좋아할 만한 회사를 찾아가시던지… 직접 창업하시면되겠군요.^^
@silverpark2175
@silverpark2175 5 ай бұрын
구체적인 고민을 할 수있는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은정-m7f7j
@김은정-m7f7j 7 ай бұрын
대학 나왔고 전문직에 종사했던 40대 후반.. 지금은 청소알바하며 부동산투자공부하고 있어요. 어느날 문덕 직장에 나를 갈아넣어서 나중에 얻는게 뭔지른 생각해보니 암 걸린 내가 그려지더군요. 과감히 직장 때려 치우고 아이키우면서 새벽에는 청소알바 낮엔 애들케어, 애들 학원가는 시간엔 독서실로 가서 공부했어요. 노후준비 다 되어있고 (개인연금+국민연금+임대소득+각종보험) 주 20시간정도 알바도 계속 하고 있습니다. 교수님 말씀대로 고학력 노인들이 몰려오고 있습니다. 고학력 노동자들이라 어느 조직에 어떤 일을 해도 이해와 습득력이 빠릅니다. 과거의 노인들과 비교하시면 안됩니다. 앞으로 일의 수에서 젊은사람들과 경쟁하는것이 아니라 시간을 나누면 됩니다.(하루 4시간근무) 100세인생..육체를 너무 혹사하면 안됩니다. 몸을 아껴 건강하게 살다가 죽어야 됩니다. 8시간 노동 답은 아닙니다.
@greenlim1948
@greenlim1948 8 ай бұрын
사람이나 물건이나 우리나라는 완벽한 레벨의 것이 아니면 상품가치를 안쳐주는거 같아요. 극소수의 완벽한 사람들.. 그 아래는 다이소가격으로 후려치기
@Investor167
@Investor167 8 ай бұрын
청년이 없는게 아니라 뺑이치고 노예처럼 일해봐야 남는게없으니 대강 돈벌면서 투자하며 더러운꼴 안보며 살겠다는 거죠, MZ세대보다 유튭세대는 유튭에서 미리학습돼서 잘 안속거든, 나같은 세대는 속으면서 당하면서 배웠지만…
@kujuiced134
@kujuiced134 6 ай бұрын
요즘 20,30이 현명한거죠.. 나때는 세상이 원래 이런거구나 하면서 당하고 살았던거고...
@소금-s7j
@소금-s7j 2 ай бұрын
돈 많은 노인세대는 자산값 상승으로 돈 없는 노인세대는 복지비용으로 젊은이들의 미래를 절망으로 바꾸고 있는 듯.
@namjuyang1715
@namjuyang1715 8 ай бұрын
얼마나 웃긴 나라인지 월급올려야 한다고 얘기하면 중소기업 망한다고 하고 중소기업에서 노동자 들 기본12시간식 주야 근무한다 연장근무 야당근무수당 이런저런 방식으로 월급받는다 월급은세후 하면평균280정도 이월급이 많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 사장들마인드다 하루생산실적 맞추려면거기 일하는 노동자들은 발바닥 불나도록 일한다 12시간일하는데 중간중간 쉬는시간겨우 10분 15분쉬고 일해야한다 이런 방식으로 일시키면서 어느젊은 친구들이 일하겠는가 이건인간이 안이다 기계일뿐이다 내가중소기업 에서10년일했다
@빙빙방
@빙빙방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가업 하청인 경우가 많아서 그렇죠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7 ай бұрын
@@빙빙방 외노자들도 좋소기업들에 갔다가 임금이 높은 회사로 이직합니다.
@MAC-rj5iy
@MAC-rj5iy 8 ай бұрын
외국인 뿐만 아니라 내국인한테도 일하기 좋은 나라는 아니지 않나요?
@topoklee2107
@topoklee2107 8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아이디어 좋으시네요~~ 긍정적 계획수립이 필요하겠네요^^
@youngilpark6684
@youngilpark6684 8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경제 구조가 수출 중심이었다 보니 하청 중소기업 후려치며 성장한 대기업 중심의 정책이 더 큰 문제였죠. 변화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것도 문제고요.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정확히 말하면 일할 청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저임금에 힘든 일을 하고자 하는 청년이 없다고 해야 맞습니다.
@coffeetar
@coffeetar 8 ай бұрын
그렇지 굳이 미친 에이트 게임 속으로 왜 들어가나
@IamSuperDancer
@IamSuperDancer 8 ай бұрын
자원하나 안나는 나라라서 변화를 하고 싶어도 한계가 있죠
@Dfggffddgg
@Dfggffddgg 8 ай бұрын
제조업은 거의 외노자나 조선족들이 점령해서 내국인티오가 없음. 대딩들이 학비벌지도 못하고 중년층들도 공장취업도 못하고 있음ㅋ 중소기업에서는 4대보험세금부담때문에 한국인안뽑음
@백수현-k1p
@백수현-k1p 8 ай бұрын
그런 산업들은 도태 되거나 혹은 글로벌화 되는 추세죠.
@topoklee2107
@topoklee2107 8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다른곳에서 듣지못하던 이야기와 설득력에 감동입니다 국가차원의 준비가 중요한데 국회의원들 쓸데없는 말씨름들만하니 ㅜㅜ 우수한 전문가 들과 정부가 발빠른 대처하길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나이들어 노년에 편하게살려면 젊었을때 악착같이 열심히 사는수밖에는 없는거같네요. 인생을 산다는게 참 힘든거같아요.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인구밀도가 높은나라인거같아요. 특히 서울인구수ㆍ집값ㆍ다~돈문제~~ 돈타령하는거 진짜 넘싫은데~~하게되네요.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7 ай бұрын
인구 관련 분석, 발언을 하신 분들중에 제일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하시는 분이네요. 공중파 언론, 유튜브 기타 매체에 나오는 다른 인구학자, 인구 전문가 자칭하는 사람들은 지나치게 선정적인 발언만 쏟아내고 속빈 강정들이 많아요. 싼 임금에 부릴 아랫것들이 부족하다고 외국인 노동자를 대거 들여오자는 일본의힘당 무식한 놈들과는 차원이 다른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_HML_HomeMoneyLow
@_HML_HomeMoneyLow 8 ай бұрын
지방 인구 소멸을 보고 있으면 이 흐름이 과연 맞는가 싶은 회의감이 듭니다. 지금도 기업들이 해외이전하는 마당에 미래에는 갑자기 대책이 생기겠습니까. 문제를 줄이기는 커녕 문제를 더 만들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살아있을지 몰라도 대다수의 우리나라 인구 구성원들이 평범한 꿈을 가지고 살아나갈 수 있을까라고 한다면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동남아사람들이 저임금으로만 일하지는 않습니다. 동남아도 임금 인상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습니다.
@michealryu405
@michealryu405 8 ай бұрын
인사이트가 대단하십니다. 고학력 스마트 노인세대가 끼칠 사회적 영향력에 많이 고민해야겠네요. 그리고 운수 사회복지 인력 급감은 큰 문제가 될수도 있겠습니다.
@mscho2880
@mscho2880 8 ай бұрын
말을 제대로 하자 싼값에 부리던 사람이 없어진거겠지.
@신윤식-r7x
@신윤식-r7x 8 ай бұрын
노인들이 기업에 재입사한다라 참 희망적인 전망인데 외국인 인재도입을 더 합리적일 것 같은데 고학력 이면 뭐합니까 유연성이 떨어지고 실제적인 기업의 노동강도를 견딜 노인들이 있을까요?
@고기리-b7i
@고기리-b7i 8 ай бұрын
노인들이 쓸데가 없다니까 ㅋㅋㅋㅋ 아니 쓸데 있으면 침팬지도 돈주고 일시킬 게 기업임, 농노시대면 모를까 지금 노인들의 경험이 4차산업 시대에 뭔 도움을 줌?
@deltax9471
@deltax9471 8 ай бұрын
말씀하신대로 유연성 떨어지고 꼰대짓 할 노인들 수두루빽빽 젊은 사람들이 그사람들 끼고 일하려면 그이상의 숙련도와 노련함 같은게 있어야하는데 그정도 능력치 지닌 노인노동력이 올마나될지? 그리고 그런능력있는 사람이몀 굳이 일안해도 은퇴할만큼 벌어두고 은퇴할듯
@kingwang_zzang
@kingwang_zzang 8 ай бұрын
유연성은 MZ들도 존나게 없어.
@고기리-b7i
@고기리-b7i 8 ай бұрын
@@kingwang_zzang 헌법 개정해서 고려장 박아넣아야 나라가 산다
@그날이오면-z1w
@그날이오면-z1w 8 ай бұрын
지금도 간호직은 너무 힘든 직군입니다. 의사들이야 급여라도 높고, 파업이라도 하지
@nop8v
@nop8v 8 ай бұрын
간호직은 전 세계 어느나라를 가도 그렇습니다
@you-oo5xj
@you-oo5xj 8 ай бұрын
그나마 전문간호직은 임금이 좀 좋은 편이지요.
@사장님나바빠요
@사장님나바빠요 8 ай бұрын
제 주변에 의료인은 한명도 없습니다. 그래서 환자로서 병원에 종종 가지만, 간호직은 사명감없인 못하실것 같아요. 임금이상의 것을 하고계시죠. 댓글로 나마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greenlim1948
@greenlim1948 8 ай бұрын
나도 대졸자 노인이 되겠지만 70넘어 일하기엔 몸이 너무 힘들거 같아요
@수정김-g5s
@수정김-g5s 8 ай бұрын
50인데도 못하겠어요
@white.8817
@white.8817 7 ай бұрын
@@수정김-g5s안되요 ㅜ50은 더힘내셔야되는 나이입니다.유산소말고 근력운동하시고 계단이라도 오르세요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7 ай бұрын
일 종류에 따라 다르지요 요즘70대 젊고 강건합니다
@value_capture
@value_capture 8 ай бұрын
한가지 간과하는것이 있어 recap하자면, 예전 베이비붐 세대로 일컬어지는 지금의 60세 이상의 세대들 대비해서 현재 3040들은 노동에 대한 체력이 강하지 않고, 생애 노동기간을 길게 가져가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향은 더 젊은 세대로 갈수록 점점 더 짙어질수밖에 없고, 따라서 실질적 생산성 향상에 큰 임팩트를 주기가 어렵습니다. 1인 크리에이터나 유튜버, 단순 계약 관리직 등의 업무등을 하려고는 하지만 힘든 정신적 육체적 노동이 필요한 제조나 개발업무를 하려고 하지도 할수도 없지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생산성은 결국 얼마나 달러를 벌어다 주는 일을 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에 향후 미래 인구구조가 무섭다는 겁니다.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저출산도 문제지만~~제가나이들고보니 고령화가 더 문제인거같아요. 예전보다 더 늦게까지 일해야한단얘기인데~~사회는 나날이 발전하고 나라경제성장은 높아졌다면서도 정작 서민들의 삶은 여전히 팍팍한거같아요. 저만 그리 느끼는걸까요? 오래사는것도 겁나네요!
@정의구-f1c
@정의구-f1c 8 ай бұрын
요약: 은퇴 못하고 계속 일해야됨
@eos71
@eos71 8 ай бұрын
결국 부모가 만악의 원흉인거네. 애초에 역노화 노동해방 세상에 태어났으면 이렇게 고생하며 살 필요도 없었을텐데.
@einplasma7623
@einplasma7623 8 ай бұрын
일해라 핫산! 어딜 놀려고!
@namja2yagi
@namja2yagi 6 ай бұрын
​​@@eos71 어짜피 100세 시대로 바뀌는데 일찍 은퇴해서 어떻게 살려고. 더 일할수 있음에 감사해야할 시대로 변하는거야 그리고 뭔 뭐만하면 부모탓이냐. 늦게 은퇴해야 하는 세대는 지금의 60대부터 시작해서 50대 40대 인것을...
@김기호-c7x
@김기호-c7x 6 ай бұрын
네 맞아요 아마도 국민연금파산리스크를 어느정도 막으려면 노인들이 고용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합니다 월급을 차별두더라도말이죠 한달200만원을 벌면 금융자산 10억을 가지고 잇는 효과를 가진다고 하더라고요
@Mimirissoddo
@Mimirissoddo 3 ай бұрын
이제 좀 행복해지는 사회도 만들면 좋을텐게제바루
@막걸리커피
@막걸리커피 8 ай бұрын
사람은 많아요 허나 양질에 일자리가 없다는 것이지요 IMF 격고나서 아웃소싱 계약직 자리가 너무 뿌리 깊게 박혀 있으니 그걸 격은 40 ~60 대 자식이 취업을 한다 하면 글세요 부모세대에서 자식에게 무슨 조언을 해줄수있을까요 모든 급여를 최저시급에 맞추어 놓았으니
@kingwang_zzang
@kingwang_zzang 8 ай бұрын
그냥 조언 하지 마시라..알아서들 굶어 뒤지게.. 꼬우면 오도방구 하나 구입해서 배달일 하러 ㄱㄱ 하겠지라~ 급한넘이 우물 파는 법인기라.
@Fingers_
@Fingers_ 8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핵심적인 인사이트, 한국의 현실적인 부분의 정확한 지적과 분석!!! 잘 들었습니다. 와아~ 너무너무 좋은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mrdragonrider
@mrdragonrider 8 ай бұрын
나는 평생 내 안에 잠재된 폭력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고 살았는데 정말 오랜만에 내 안에 폭력성을 느끼게 해주네요. 나는 석가모니를 마음 속 깊이 존경하는데 그게 단지 그 시대에 어떻게 그런 놀라운 통찰을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경이로움도 있지만 그가 제시한 방법, 즉 있는 그대로 본질이 무엇인지를 보고 무엇이 중하고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깨닫고 행하라는 방법론이 참 와 닿기 때문이죠. 국가나 공공기관 인구 예측을 보면 어느 시점부터 갑자기 신생아가 늘어난다는 전제로 작성되는 것에 신비로움을 느끼는데 말하는 걸 보니 비슷한 맥락이네요. 출산율 꼴찌, 노인 빈곤율 1위, 자살율 1위, 노인 자살율 1위에 한국의 자살 증가율을 그려넣으려면 그래프를 옆으로 몇칸 늘려야 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아래서부터 물이 차오르는 타이타닉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아랫칸에서 위칸으로 몰려들듯 지방에서 서울로 꾸역 꾸역 모여드는 상황이고 출산율은 더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그런 상황인거죠. 있는 그대로 본질을 본다면 말이죠. 내가 인간적으로 일말의 동정심도 느끼지 못하는 부류의 인간들이 본질이 아닌 증상을 내세우며 본질을 흐리는 인간들입니다. 그건 그런 인간들이 공동체를 멸망으로 몰아가기 때문이고 공동체에게는 암, 악성 종양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죠. 지금 대한민국이 가라앉는 타이타닉이라면 밑으로 내려가서 구멍을 막고 더 이상 물이 들어오지 않게 하는게 중하고 어기에 목숨을 걸고 집중해야 하는 상황인 겁니다. 그런데 남아있는 마른 자리를 어떻게 잘 차지할 수 있는지 그런 얘기 하고 있으면 당연히 내안에 잠재된 폭력성이 솟구쳐 오르겠죠.
@장성식-f8v
@장성식-f8v 8 ай бұрын
선생님 아랫칸에 있는 청년으로써 무섭습니다 위에서는 더 이상 구멍을 막을 수 없다 판단하고 그 이후의 대책을 더 논의하는것 같아 무섭습니다 물을 막을 수 없다면 인간의 본질 본성은 생존이니 한편으로는 저런 생각을 한다는게 이해가 되기도합니다. 선생님의 여러 댓글을 읽었는데 멋있었습니다
@mrdragonrider
@mrdragonrider 8 ай бұрын
@@장성식-f8v 베트남 전쟁 때 심한 부상을 당한 군인들에게 곧 헬기가 도착하고 야전병원으로 이송된다고 말해주면 모르핀 없이도 고통을 견디지만 언제 이송이 가능한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독한 진통제로도 견디지를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죠. 아무리 현실이 힘들고 견디기 어려워도 일말의 희망이 있으면 인간은 버틸 힘을 얻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문제를 다 해결하는 것은 내 세대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의 젊은 세대와 앞으로 끝없이 와야할 미래 세대들에게 현실을 버틸 수 있는 희망, 더 나아질거라는 희망의 불씨를 만들어줄 수는 있겠죠. 그게 지금의 내 세대가 할 수 있는 일이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우리와 유대인들이 다른 점이 뭐냐면 유대인들은 민족이라는 유전자 공동체, 그리고 그 물질적 기반인 국가를 유지를 못합니다. 아무도 손해보지 않으려니 결국 공동체가 망하죠. 우리가 아직 민족과 국가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최소한 우리 안에는 공동체를 위해 나의 손해를 감수하는 바보들이 일정 이상 존재했고 본질을 이해하면 힘을 모을 줄 아는 민초들이었기에 가능했던 겁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문제는 본질을 외면하고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려는 세력들이 득세하면서 본질이 파뭍히기 때문에 힘을 모을 수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모두가 머리를 모래에 쳐박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똑똑한 바보들이 다 사라지지도 않았기 때문에 우선은 대화의 파라다임을 바꾸어 본질을 알리고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겠죠. 거기서부터 시작하면 가능합니다.
@bluesky3017
@bluesky3017 8 ай бұрын
매 아랫칸에서 물막이 하는 사람들 중 한명으로서 최근 읽기 힘들었지만..다행스럽게 인정하고 싶은 댓글을 읽을 수 있었던 것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게 되네요.
@yamorange6379
@yamorange6379 8 ай бұрын
글이 참으로 좋습니다. 정제된 분노. 감사합니다.
@배고픈칸예웨스트
@배고픈칸예웨스트 8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패버리고 싶네요
@lalalatica88
@lalalatica88 8 ай бұрын
생산성 문제라기보단 소비가중요하죠 50 60대가 돈벌어서 소비하겠습니까 앞으로 얼마나일할수있을지모르니 필수재 빼곤 소비안하겠죠 정작 소비력좋은 청년들은 빚을내서라도 소비합니다. 미래 근로시간이많으니까요 근데 취업이 늦어지고 취업을 못하니 나라꼬라지가 돌아갈리가있나 이걸 단순히 sns와 여성의사회진출 이딴걸로 설명하기엔 다른나라는 안그런가요?
@Mimi-fo7kp
@Mimi-fo7kp 8 ай бұрын
지금 5-60대 걱정보다는 젊은 세대들의 취업난이 문제이죠. 20대들이 취업해서 경험을 쌓아서 생산성이 높아져야 하는데 늦게 취업하고 "취준"생활하면서 쓸모없는 시험공부에 시간 낭비하고 있음. 저도 50대 초반입니다만 우리 세대는 벌어놓은 돈도 있으니 앞으로 각자 도생하면 됩니다. 젊은 세대들이 불쌍하죠. 회사나 공조직에서 몇 안되는 신입들 부려먹기만 하고. 나중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재정부담 젊은 세대들한테 다 떠넘겨고 합니다. 어차피 선거때마다 제 세대를 비롯한 장년층, 노년층들의 이기주의 때문에 노동시장 개혁, 연금개혁 못합니다. 총대를 매고 개혁할 정치세력도 없고 그들을 지지할 국민들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ttt-u9u
@ttt-u9u 8 ай бұрын
지금 직장에서 보면, 10년전 50대와 현재 50대는 현저하게 차이납니다.
@sjdob-y5d
@sjdob-y5d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재산세가 낮기 때문에 세수의 2/3 이상이 근로소득+부가가치세 인데, 이게 젊은 경제 인구가 지탱하는 구조이다. 저출산 고령화는 결국 이 세수 감소를 빠르게 유발할 것이고, 재산세의 인상을 필히 가져옵니다. 차라리 미국 처럼 빨리 35 퍼센트 가량의 세수를 재산세에서 거둬야 이를 만회할수 있겠습니다.
@tamar1199
@tamar1199 8 ай бұрын
이강의..진짜 유익하다. 강추🎉🎉🎉🎉
@닭둘기-t6j
@닭둘기-t6j 8 ай бұрын
내가 열심히 살면 나아진다는 시대가 지나갔습니다. 부모세대부터 잘 살지 않으면 교육만으로도 이겨낼 수 없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특히 AI가 발달 하는 현 시점에서 말이죠. 부가 부를 낳는 시대입니다. 중산층 이하는 노예를 생산하려 하지 않을겁니다.
@kingwang_zzang
@kingwang_zzang 8 ай бұрын
이걸 아직까지 모르는 철부지들이 많다능~ㅋㅋ
@soodukbyun1147
@soodukbyun1147 8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업종별 인력 풀을 만들어서 연령에 상관 없이 고용이 탄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 좋겠음
@놀구름
@놀구름 8 ай бұрын
인구 줄어든다고 난리치는 꼴 보기싫어 죽겠네요 개인적으론 줄어들든 뭔 상관이예요 동감해요 사회적으로 고령만 남는다 국가 소멸이다 경제적으로 엄청 손해이다 소수를 비싼값을 줘야하니 이거 아닌가요? 진짜 줄어드는거 민족성적으론 안타깝긴 하지만 국가예산 낭비되는거 바로잡고 해처먹는거 못 해쳐먹게하면 꽤 남을것 같단 생각들어요 국회도 인원쫌 줄이고 부수적인 수당쫌 줄이고
@user-b7tjk8hi
@user-b7tjk8hi 8 ай бұрын
고학력 노인들이라도 그 지식이 미래사회에 쓸모가 있을까요? 고학력 노인을 지속적인 배움이 가능하다면 생산력이 유지는 되겠지만 쉽지 않지요
@현선-r3i
@현선-r3i 7 ай бұрын
이론은 이론일뿐 현상에 절대 적용하기 힘들고 결국 기계로봇이 대체할것
@김기호-c7x
@김기호-c7x 6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롯보이 할수없는 일들이 많습니다 공장들만 보지마세요
@topoklee2107
@topoklee2107 8 ай бұрын
교수님 많이 배웠습니다 미래지향적 정책수립을 정부가 잘하도록 리드해주세요~~멋지십니다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f8j37cj3so9
@f8j37cj3so9 8 ай бұрын
(노예처럼)일할 노동자가 없다
@김소정-t7c
@김소정-t7c 7 ай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저출산 과 고령화 에 따른 경제활동과 돌봄 서비스~개인 의 역량 으로 이 모든것들을 하기에는 불균형 에 따른 또 다른 사회문제 를 발생 될수도 있으니 사회 시스템으로 역시 정치 의 영역 도 클 것 같습니다.
@dookim7197
@dookim7197 7 ай бұрын
지금의 60대는 30년 전의 50대보다 더 젊습니다. 건강하고 학력수준도 높고 많은 실무경험을 쌓았지요. 여전히 일할 의욕도 있기 때문에 사회(고용주)가 인식과 제도를 바꾸어 잘 활용하면 노동력 감소없이 계속 발전해갈 수 있다고 봅니다
@minam3340
@minam3340 7 ай бұрын
나이 들어간다는게 두려운 시기가 오고있네요. 잘 들었습니다
@오호-x1k
@오호-x1k 7 ай бұрын
고학력 노인들은 지식이 많을 뿐입니다. 여전히 한국 교육이 지식 활용보다 쌓기에 집중되어 있는데 노인들은 더 하겠죠. 그나마 건강한 노인들이 요양보호사라도 해주면 좋을텐데 고학력 노인들이 그걸 하려고 하나요? 고학력 노인 의미없습니다. 게다가 우린 위아래 문화가 있어 노인을 노동력으로 쓰기도 쉽지 않고요.
@Hkdimsum-b4x
@Hkdimsum-b4x 24 күн бұрын
건강한 노인이 요양보호사 하면 1년내에 자기가 요양보호 받아야함. 죽어남ㅋㅋㅋ
@hoha3249
@hoha3249 8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Himizu2023
@Himizu2023 8 ай бұрын
출산율이 1.2 정도만 되도 유효할 수 있는 말임. 근데 0.7...? 이건 커버 못 침 뭘 하든간에
@별빛영채
@별빛영채 7 ай бұрын
좋은조건은 같은 급여를 줘야 하고 내국인처럼 혜택을 다줘야 한다는 의미인데 .. 그럼 .. 정작 내국인은 역차별인한 발생은 누가 책임지고 해결책은 있는지요 ? 그럼으로 인해 또 국내인은 생산성에서 격차가 별로 없다면 굳이 그게 급급한 문제해결부터 먼저 해야한다는 발상은 ... 제발 교수라는 사람들은 다들 왜그런가요 ?? 이나라 경제도 다 망쳐놓으셨으면서 책임감도 없고 말만 하고 책만 내서 미디어에 나와서 애기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 그냥 아무것도 안하고 차라리 내비두는게 더 낳겠어요 현.. 국가 교육도 난도질만 당하고 돈을 돈대로 들어가는거 아시나요 ??? 어떻게 아무것도 모르는 나보다 해결책이 없나요 ? 근로조건과 복지 급여를 먼저 개선하고 일자리의 질을 높여야지 외국인력을 한국인들이랑 같은 급여 주면서 데려와서 일 시킨다 ..
@박도영-s7k
@박도영-s7k 7 ай бұрын
나이들면 자격증을 많이 갔고 있던 소위 학력이 좋아도 갈수 있는곳은 정해져 있는거 같아 씁쓸 합니다...
@jobine3781
@jobine3781 8 ай бұрын
명문대 나오고 정년퇴직 한 사람이 경비나 노동하는 일을 하도록 세금 설계된것= 건보료
@신동호-j1t
@신동호-j1t 8 ай бұрын
노동력의 공급은 분야별로 달라질 것입니다. 대졸 노인들이 늘어나서 생산성이 늘어난다는 것은 광장한 모순입니다. 대부분 대졸자들은 관리자로 일을 하고 있는데 관리자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젊은 사람들도 다 대졸자이기 때문에 대졸 노인들과 경쟁하게 될 것입니다. 반면에 실제 생산 라인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 것이고 공급도 없을 것 입니다. 한국은 여전히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대기업도 생산 라인 사람 구하기 힘듭니다. 지금 당장부터도요.
@dugsansu5449
@dugsansu5449 8 ай бұрын
젊은 노인들이요? 앞에 두 글자 붙이면 70살이 50살이 된답니까?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7 ай бұрын
요즘엔 70이지만 50대처럼 모든면에 능력이 있다는 표현으로 저는 긍정적으로 받아드리고 싶어용 😘
@김기호-c7x
@김기호-c7x 6 ай бұрын
요즘은 신체나이가 중요하죠 요즘 의사선생님들도 본인 나이에 13빼면 그게 신체나이라고 하시더라고요 미래는 숫자를 더빼야할겁니다 50년전평균수명 60도 안됏습니다
@그러려니-x2i
@그러려니-x2i 7 ай бұрын
옛날 60과 다르다해도 그건 취미생활일때이고 일하는 생산성에는 별반차이없습니다 즉 나이는 못속입니다 그리고 유럽소국과 비교 안되는게 우리는 북한과 중국이 언제삼킬지 모르기 때문에 소국은 곧 국가 소멸입니다 지정학적리스코 이게 제일 큽니다
@유비솜비
@유비솜비 7 ай бұрын
자기위로가 너무 크다. 50세만 되어도 은퇴하라고 압박하면서...
@noeyeehmik0613
@noeyeehmik0613 8 ай бұрын
정말 진지하게 잘 들었습니다
@espresso2709
@espresso2709 8 ай бұрын
구인난은 철저히 기업입장만 반영한듯. 구직을 원하는 준고령인구는 철저히 배재하면서 구인을 원하기만 하면 외노자만으로 회사가 꽉찰듯
@박도영-s7k
@박도영-s7k 7 ай бұрын
가지고 있습니다만 기업이나 업체에서 불러 주질 않아요.. 물론 청소나 설거지 같은 곳을 소개시켜 주는 업체 에선 오라고 하지만 그일 하려고 자격증 따진 않았거든요...
@topoklee2107
@topoklee2107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첫번째 교육제도 말씀하셨는데 지금 우리나라는 공교육 문제로 유아기부터 사교육난립으로 문제 입니다 아이도 힘들도 케어하자니 젊은부부도 힘들고~ 출산도 교육문제가 크다고봅니다~~
@kimcheongwi
@kimcheongwi 7 ай бұрын
이철희 교수님의 현답이 돋보이는 대담이네요!!! 깊이감과 배려가 느껴집니다
@silver_sirius
@silver_sirius 8 ай бұрын
50대 중반인데...친구끼리 요양보호사 작격증을 따고 서로 서로 도와주자 하였습니다^^
@Mysunshine-zz9qi
@Mysunshine-zz9qi 7 ай бұрын
간병인이네 뭐네 그 시장에도 자꾸만 조선족 애미나이들을 유입시키고 한국 노동자랑 경쟁시키고 있으니 더 문제지
@오호-x1k
@오호-x1k 7 ай бұрын
멋지십니다 사실 같이 늙어가는 사람끼리 서로 돌봐주는 것이 가장 좋죠 서로의 마음도 이해하고요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정책 꼭 좀 개혁해주세요. 이나라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인 불쌍해요. 행복한 유년기ㆍ아동기늘 가질수있도록 많은분들이 노력해주세요.
@yeonjin553
@yeonjin553 8 ай бұрын
10년전에 청년 취업난에도 "너 말고 일할 사람 많아!" 라고 말하며 후려치던 좋소기업 사장들 이제는 그게 안되니 외노자들 데려오란다. 니들이 초래한 저출산이다. 최저시급도 못 줄 정도면 인제 구조조정 되야되지 않나 싶다.
@열공3분법
@열공3분법 8 ай бұрын
좋소기업 사장들 오래된 사장들은 imf 때 아파트 집팔고 사업에 몰빵하여 경제에 기여 그 아파트들 586 686 사무직 전문직 대졸 그 부류가 받아먹고 아파트 값 올라 국민연금 올라 잘 쳐먹고 사는 중이지만 본인들 이익위해 사회발전앤 반대… 다는 아니지만 큰 수가 저렇다는거임요
@youngilpark6684
@youngilpark6684 8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경제 구조가 수출 중심이었다 보니 하청 중소기업 후려치며 성장한 대기업 중심의 정책이 더 큰 문제였죠. 변화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것도 문제고요.
@Bora_san
@Bora_san 8 ай бұрын
10년 전도 아님 ㅋㅋ 1990년 2000년 기사만 좀 뒤져봐도 좋소 사장들 요즘 젊은이들 힘들 일 안한다. 외노자 필요하다 타령나옴. 구린 기업은 시대불문 사람 부족했음.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8 ай бұрын
외노자들도 자국민들끼리 급여정보를 공유하면서 임금높은 회사로 이직한다. 외노자라고 좋소기업주들에게 고분고분한 시대는 지나갔다.
@버드나무-y1v
@버드나무-y1v 8 ай бұрын
@@hanpyulkong3676이분 최소 중소기업에서 인사부 팀장^^
@Fjcjkfgefj
@Fjcjkfgefj 8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rdwalk1
@rdwalk1 8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박도영-s7k
@박도영-s7k 7 ай бұрын
지금 현실은 이래요... 자영업 하다가 은퇴한 50살 남성인데 재취업 또는 알바를 위해서 자격증도 여러개
@wcooling
@wcooling 8 ай бұрын
“한국의 어른들을 믿지 마라, 한국의 어른들은 젊은세대의 미래에 관심이 없다” - 김누리교수
@엄수인-s1t
@엄수인-s1t 3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직접쓰신건가요?
@EasyClassic-n4h
@EasyClassic-n4h 5 ай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좋음. 예전에 다들 황사의 역기능에 비판하던 시대에, 서해안 갯벌 형성, 유지에 대한 황사의 순기능에 대한 다큐가 생각나네요(당연히 오염 물질은 아니고). 이 분과 다른 설이 다수인 상황에선 신선해 보이고요. 국뽕 창출자도 아닌 듯하고.. 결론은 이 가설이 맞다 틀리고 보단, 자신의 연구를 가감없이 말씀하시는 게 멋지심.
@skoh7424
@skoh7424 4 ай бұрын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아파트값을 내려야 한다. 모든 아파트 거래에 양도소득세를 물리면 부작용 없이 간단히 내릴 수 있다.
@v4x-v4k
@v4x-v4k 7 ай бұрын
노인 법적연령 70세로 바꾸고 노동도 70세까지 하는수밖에 현재 당면한 줄산율 감소와 노령화 문제 해결 방법이없는것 같습니다 생산성을 낮추는걸 줄이고 젊은이들 결혼 나이도 늦어지는것에 대한 대책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yeonkyoungshin7401
@yeonkyoungshin7401 8 ай бұрын
결국 오랫동안 일해야 한다는 거네요...
@정영미-u4h
@정영미-u4h 8 ай бұрын
에공... 고학력이어도 세월에 장사 없음요... 무례함은 좀 적겠지요
@Hkdimsum-b4x
@Hkdimsum-b4x 24 күн бұрын
ㄴㄴ 세월이 아니라 지금 20대도 고학력 필요없음ㅋㅋㅋㅋ 몇십년전 대학졸업장? 휴지임
@ahnnak
@ahnnak 8 ай бұрын
생산 가능 인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출생율이 높아지는것 또한 부양 인구 증가 이므로 사회에 그다지 좋지 않다 은퇴 인구에서 일할수 있는 인구를 활용하는것이 오히려 답이다 인구 자연 감소하면 부양인구도 자연 감소하게 되므로 은퇴자 활용이 출산율 올리는것보다 답이다
@winterl6988
@winterl6988 5 ай бұрын
내국인중에 일하고 싶어하는 일력을 교육시켜서 투입하는 방향으로 먼저 노력해야할듯햐요...
@윤경식-c1q
@윤경식-c1q 6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요양병원 근무중인 사람으로써, 늙으면 학력,건강 이런것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도리어 건강한(?) 남자 노인의 경우 요양시설에서는 기피 대상입니다. 생산성은 없으면서 쓸데없이 건강하기만 한 남자 노인의 경우 애물단지만 말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이긴 합니다만 75세 이상에게는 선거권 주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나라의 미래를 생각하면 그렇습니다. 다행인 점 하나는 58년 개띠로 통칭되는 베이비붐 세대는 연금과 나름대로의 자산이 있어 노후를 본인의 자산으로 어느정도 커버 가능한데, 이들의 인구비율이 높다보니 7~8년 후부터는 매년 70~80만씩 급격하게 개호나 요양을 받게 되는데 그 시점이 2030년 초반부터로 이때부터 이 나라의 경제는 정말 문제가 터져나오기 시작 할 듯 합니다. 지금 30년 후, 50년후 이런 이야기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한국경제(또는 부동산)는 2030년 마지막 화려한 불꽃은 피우고 급격하게 꺼질 듯 합니다. 요양시설에 근무중인 사람으로써 느낀점입니다. 단 한번이라고 화장장, 요양병원, 요양원 이런 곳 가보고 나와서 인구문제 입 털기 바랍니다. We are all dead in the long run. 내가 죽고 없을 30년 후, 2100년 이런 이야기 해서 뭐합니까. 내 손주가 살아 갈 이나라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저 따위 말 해서는 안됩니다.
@DIY-de9sc
@DIY-de9sc 7 ай бұрын
영유아가 줄어들고 어린이집도 문을 닫는데, 현장에서는 보육교사 구하기가 힘들어요. 교사의 연령도 높아지고요..
@hyunpark793
@hyunpark793 8 ай бұрын
(공짜로) 일할 청년이 없다
@845marine845
@845marine845 8 ай бұрын
일할 (능력있는) 청년이 없다
@태양님-f8e
@태양님-f8e 8 ай бұрын
누가 공짜로 일을시켜?
@비둘기-q3x
@비둘기-q3x 8 ай бұрын
​@@태양님-f8e기업이
@Bora_san
@Bora_san 8 ай бұрын
@@845marine845 회사가 신입에게 능력찾는거 자체가 사람 넘쳐난다는 증거임. 능력은 경력직에게 찾아야지.
@k0035633
@k0035633 8 ай бұрын
@@845marine845 능력을 신입에게 찾으니 문제..
@승훈-s3z
@승훈-s3z 8 ай бұрын
지금 조선업 호황인데, 외국인 근로자 일자리가 늘어나죠. 자동차도 중국이 심한 과다공급이고 구조조정이 된다면...자동차 산업도 중국인력이 일본이나 한국에 오겠죠... 국내도 일자리 때문에 서울, 수도권에 젊은 사람이 모이는데 ,,,외국인 노동인력도 일자리난민처럼 이동하겠네요. 고령이 되면 고령자와 외국인과 젊은 사람이 일자리를 경쟁할텐데... 기득권이 되어 밀어내는 경쟁이 되겠네요.
@shareart6561
@shareart6561 8 ай бұрын
불과 몇년안에 인공지능으로 많은 노동력이 대체될 수 있다는 변수는 고려가 안되어있네요.
@khisuh
@khisuh 2 ай бұрын
이교수 말에 동감~ 지금도 6학년 졸업자들이 곳곳에서 뛰고 있다는 사실~ 스스로 레벨 다운해서 임금 문제를 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 미국의 경우~ 할머니 비서도 많건만~ 우린 너무 나이에 민감하다. 같은 나이도 제각기 다 다른데~ 싸잡아 퉁치는 경우가 많으니~ 나이타령하는 사회의 마인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술 마시고 술주정만 하는 노인과 자료를 수집해서 저서를 준비하는 노인을 어찌 동갑내기로 취급할 수 있으리?
@sjohn6716
@sjohn6716 6 ай бұрын
외국 인력을 데리고 왔으면 관리를 잘해야되는데, 법도 미비하고 냅다 데리고만 오니, 불법체류자만 늘어나는 꼴임..
@uniquehandle1
@uniquehandle1 8 ай бұрын
인구밀도가 너무 높은게 이 나라 모든 불행의 원인입니다. 비슷한 크기의 플로리다주만큼 인구수 2000만 정도로 줄여아합니다. 외노자 난민들이자는 인간들은 뚝배기를 꺠야
@Earun777
@Earun777 8 ай бұрын
주식 오른다고 광고하는거보단 이런 내용 강의가좋네요
@지니수니빠
@지니수니빠 7 ай бұрын
60넘으면 정규직으로 계속일하게하되 임금은 조정해서 안정적으로 지원해야 고령화문제가 해결될듯..정년퇴직하고 너무 많은 세월이 남았음..
@TV-pc9ri
@TV-pc9ri 8 ай бұрын
한국인구는 천만명 수준이 적정하다고 봅니다. 과도기에는 어려움이 생기겠지만 장기적으로 이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일겁니다. 많은 인구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레드향너무좋아
@레드향너무좋아 7 ай бұрын
널널 하겠네
@이츠츠츠
@이츠츠츠 7 ай бұрын
지금 인프라 어쩔꺼야 ai로봇지하철요금 내게 생겼네
@날쌘돌이-h1m
@날쌘돌이-h1m 6 ай бұрын
아이를 낳던가 말던가 본인들이 알아서 해야지 그런것까지 신경써야 합니까? 마음대로 하세요
@epshini25c
@epshini25c 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뿌리깊은 지배계층의 정경유착 악습때문에, 모든 국가 시스템이 대기업 카르텔의 요구에 따라서, 일반 국민들의 삶에 정말 필요하고 진짜 중요한 것들은 가르치지 않고, 일 잘하면서도 사장 말 잘듣고 체제에 순응하는 인력 공급을 목표로 하는 교육을 하고 있고, 실제로 그런 일꾼들을 지금도 변함없이 생산해 내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는 그 결과이다!!!ㅡㅡ외노자 수입으로 대체하려고? ㅋㅋㅋ
@Mysunshine-zz9qi
@Mysunshine-zz9qi 7 ай бұрын
그 철옹성같은 지배계급의 이익을 위한 상위 1%들만의 카르텔이 절대로 안깨지더라고! 민주화 백날 불러봤자 절대로 상위 1% 카르텔은 부서지지 않는다! 오히려 민주화 (?)따위하곤 반대로 가는 개념이지. 그래서 옛날 경상도 늙은이들이 잘 했던 소리가 하나 있지? 한국은 독재 해야지 오히려 서민계급이 더 잘먹고 잘산다고 ~ 옛날엔 그 늙은이들이 못배워 먹어서 그런 소리 함부러 하나 했는데 지금 보니 그 뜻을 알겠더라. 출산률 저하도 바로 그 상위 1% 기득권 카르텔에겐 발등에 불 떨어진 위기인거지, 그걸 언론이 과장 과대 선전을 하니까 또또 못사는 것들이 덩달아 국가 소멸 거리며 나발 부는게 더 웃긴다 ㅋ 공노비 가 감소하니 이제 뭐 값싼 응웬이나 왕창 수입해 쓰자는 논리지. 어차피 자본에는 국경선도 없으니까,
@ttt-u9u
@ttt-u9u 8 ай бұрын
요즘은 20대나 외국인보다 , 지금의 50대들이 노인이 되는 경우는, 현재 노인들과 많이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ean486
@ean486 8 ай бұрын
고용주의 마인드 변화 절실합니다. 또한 고령 근로자 스스로 자기 개발 가장 중요하지요.
@김영순-d8n
@김영순-d8n 8 ай бұрын
글쎄요...모르겠네요...개인적 경험인지...1910년대 1920년대 생이셨던 주변 어르신들... 동시대인들중 고학력자셨는데(대졸)...다른 노인들과 같은 노년을 보내다 가셨음...
인간이 60세가 되면 이것부터 망가집니다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이상호 교수)
1:03:37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
[알릴레오 북's 17회] 약장수에게 속지 않는 법 / 경제학의 향연 - 폴 크루그먼
1:33:03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RohMoohyunFoundation
Рет қаралды 564 М.
신입사원 사라진 일본, 이걸 노리고 있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이창민 교수)
1:07:3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56 М.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