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병 출신이라 군대에서 저거 많이 사용했는데 오랜만에 보네요 ㅋㅋ 서울리안님은 항상 볼때마다 찐이에요
@One_iD3 жыл бұрын
렌테기 한달전까지 오지게썻었는데요 ㅋㅋㅋ
@SeungJaeJJang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삐빅-x3t3 жыл бұрын
통신병 괴롭히는법 : 예초기로 야전선 몰래자르기
@twk73563 жыл бұрын
@@삐빅-x3t 어허! 학생 글내려!
@sssllaldkdn35653 жыл бұрын
@@삐빅-x3t 너였구나?
@jows_bar3 жыл бұрын
와 이 누나가 왠일로 만원 이하 제품을…처음으로 누나 영상에 나오는 제품을 사봅니다
@kwlee62223 жыл бұрын
it팀의 영원한 친구...
@아빠고릴라-z7u3 жыл бұрын
3:36 예전 10메가 100메가 인터넷은 케이블의 8가닥 중에 4가닥만 사용했지만.. 최근의 500메가나 기가 인터넷은 8가닥 모두 사용합니다. 참고하셔서 케이블 작업 하세요
@Anony1677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찾던 주제인데 자주보는 유튜버분이 올려주니 너무 좋네요
@krj59173 жыл бұрын
얼마전에 오래된 빌라로 이사왔는데 1번 컨텐츠 정말 기대되네요 :) 예전 리안누나 홈네트워킹 영상도 엄청 참고 했었는데 매번 감사합니당!ㅋㅋ
@dirty_kleaner3 жыл бұрын
기가랜 이전에는 8개중에 4개만 있으면 돼서 두개로 나눠쓰고 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오래된 집이고 예전에 설계된 케이블이면 4가닥만 통신되는게 고장이 아니라 의도적인 구성이고, 정상입니다.
@frisebichon1519 Жыл бұрын
그땐 케이블 반 쪼개서 반대방향으로 신호 보내곤 했었지요...ㅎㅎ
@izeroswoo9773 жыл бұрын
랜테스터기 사놓은지 10년쯤 된 거 같은데, 올해 처음 써봤습니다. 구축으로 이사오면서, 단자함에 랜선도 새로이 찝어줘야하고 어디로 이어졌나 찾아도 줘야하고. 애물단지다 싶었는데, 마침 제역할을 해줘서 뿌듯합니다.
@곽주원-f9f3 жыл бұрын
너무 설명 잘 하시고 영상도 잘 볼 수 있게 잘 편집되어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ggacddugi Жыл бұрын
0:11 이번영상 심쿵 포인트 ㅎㅎ 너무 귀여우심
@만두453 жыл бұрын
유용한 꿀팁 감사 합니다~^^ㅎ 잘 보고 갑니다 설명도 잘 해주시네요😆☺ 목소리 되게 매력적이십니다~~
@JH-gu7qw3 жыл бұрын
전문적인거 쉽게 설명하는건 이분이 최강
@yadaman7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궁금했던 내용이였어요!
@blues_hole3 жыл бұрын
건설비리중 하나가 있는데. 광케이블로 외부에서 왔는데 현장에서 사용하는 UTP케이블이 Cat.5일때가 있습니다. 좀 나은경우는 Cat.5와 6를 복합 사용할때도 있습니다.
@insuk12343 жыл бұрын
cat5e 아닐런지요
@ekradlegna3 жыл бұрын
못하는게 대체 뭡니꽈아~
@user-normalin3 жыл бұрын
14년 통신했는데~ 항상 곁에 있어서 랜테스트기, 삑삑이 소중하죠~ 암요🙆
@applefarm783 жыл бұрын
아니 하다하다 진단기까지;; 이정도면 테크유튜버가 아니라 서버 엔지니어인데;; IDC 인재가 여기 있었네요
@길아찌TV중년차박채널3 жыл бұрын
똑소리나네 ㅎㅎ 말도 또박또박 귀에 쏙~~~들어오고 이해도 쉽고 대박채널
@bansakdo3 жыл бұрын
오 나중에 랜툴로 선 찝는거까지 알려주시겠네요 ㅋㅋㅋㅋ 집 전체 cat7으로 하는건.. 홀리..
@Kim_Jinhong3 жыл бұрын
IPTV 제외하고 CAT.7으로 구성해서 쓰고 있는데 10기가 장비는 모뎀 뿐이라 쓸모가 없네요 ㅋㅋ
@bansakdo3 жыл бұрын
@@Kim_Jinhong 와 ㅋㅋㅋㅋ 저는 컴퓨터가 2.5기가 포트가 있는데 나스랑 공유기가 1기가 포트밖에 없어서 제대로 활용 못하고있는데.. 대단하시네요 ㅋㅋㅋㅋ
@Kim_Jinhong3 жыл бұрын
@@bansakdo 저는 2.5기가 포트가 없어서 2.5기가 랜카드 씁니다 ㅠㅠ 2.5기가 회선이라 단말 여러대 접속해도 속도 안쳐지는건 좋네요
@pewpewpew85223 жыл бұрын
CAT6 로도 충분해요. 문제는 CAT7 케이블이 두꺼워서 입선할때 PVC 주름관 작은거 쓰는 경우 안빠져 나옵니다;;;
@이유-t5i3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컨텐츠입니다 가끔 댁내 단자 불량 핀불량이죠 단자 커버 올려보면 핀꼬인거 많을거에요
@일반인-p4s3 жыл бұрын
이과언니신가보다 멋있다👍뭔말인지 모르면서 끝까지 봄ㅎㅎ
@이건희-c9z5i3 жыл бұрын
와 랜선 테스트기를 여기에서 보다니 대흉근이 웅장해지네요
@insungkim26223 жыл бұрын
찾았다 ^^ 웃는 모습 짱기엽~ 잘보고 가요
@goldentoby77153 жыл бұрын
추억의 공대 언니 냄새가 ~~~
@what4693 жыл бұрын
영상보고 사두었던 테스터기 어제 아주 기깔나게 잘 썻어요 :) 감사합니다~~~ 다시 보다보니... 1) 라벨기 어떤거 쓰시는지 2) 랜선 만드는 영상 궁금하고 기다려 집니다~~~
@stigmakim58543 жыл бұрын
이번 시리즈 기대기대합니다~
@worshiper3133 жыл бұрын
^^ 덕분에 구입해서 랜선 찾았습니다.^^ 그동안 저 멀리 방에서 랜선 연결해서 사용했었는데..ㅠ kt전화했더니 출장비(?) 이야기를 하던데,, 4600원으로 해결했습니다.~! 이제 바로 책상 아래에서 네트워크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smg67523 жыл бұрын
이런 컨텐츠 볼 때마다 이 사람은 찐 ‘테크’유튜버구나~ 싶습니다 😁👍🏻
@SeonJoonPark3 жыл бұрын
현장용 장비까지 사용을 하시다니...👍👍
@jkp76843 жыл бұрын
한양누이~ 현관에 있는 요상하게 생긴 신발을 난 보았소.. 탐나는구려~🥱👟 오늘도 건강하게 밝게 화이팅 하시오~🥳👏🏻
@moonhunt873 жыл бұрын
잉? 같은 모델이네요. 꼭 아이피 받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어요. 그냥 연결하고 다른쪽에서 이더넷 스위치 연결되어 있다면 스위치 포트에 바로 불들어 옵니다. 그것만 확인해도 되요.
@한정우-j4j3 жыл бұрын
렌테스터기없을때는 선 2가닥 쇼트내고 일반 테스터기로 확인하는것도 팁입니다
@지원석-j9k3 жыл бұрын
그럼 RJ를 다시 찍어야되는데 랜툴 있는 사람이 더 적을 것 같아요 ㅋㅋ
@accountA-b6v3 жыл бұрын
0:11 진짜 행복해보이는 표정ㅎㅎ
@김영도-c6s3 жыл бұрын
사실 인터넷 되는지까지는 필요없고 선 꽂았을 때 공유기에 불이 들어오는가 정도로 확인을 크흠... 물론 랜테스터기 저도 추천하긴 합니다. 8개 핀 중 단선 된게 있는지 찾을 때는 꼭 필요하죠 ㅎㅎㅎ
@아릿다움-m2n3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싼거 사면 되는게 아니고 랜선찾기 가능한 제품사세요..랜선찾기 기능 있으면 저렇게 하나하나 랜선 안꽂아봐도 됩니다.
@kbgyhy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1~8번까지 전부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해당 라인은 100m속도로만 서비스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테스터는 1~8번까지 순차적으로 불이 들어와야 합니다.
@justinjjeon50303 жыл бұрын
와 대박....이런게 있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hitdrive3 жыл бұрын
걍 삑삑이에 커플러 꽂아도 되긴하는데 저렇게 하면 무슨 선이 끊긴건지 찾기 쉽긴하죠 ㅋㅋ 일 할때 쓰는 걸 여기서 보다니 ㅋㅋ
@32wanksta3 жыл бұрын
이거 필요했는데 마침 관련 영상이 떴네요 바로 구매했습니다 빨리 활용해보고 싶네요 ㅋㅋ
@89nmy3 жыл бұрын
네떡 운영할때 가끔 선찾아줄때 필수품 ㅋㅋㅋ 비싼놈은 반대쪽에 하나 껴놓고 대기만 해도 소리나서 찾을수있쥬 대형 오피스 네떡 운영 꿀템
@pwoong993 жыл бұрын
계획중인 컨텐츠 기대되네요^^
@HypedLabs3 жыл бұрын
언니 시놀로지에 도커쓸때부터 알아봤어 ㅋㅋㅋ큐ㅠㅠㅠㅠㅠㅠ
@DrClearVoice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영상보구 집 네트웤 구성하고 나스샀지요 감사드리면서 쓰고있어요~
@정희수-y4j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천일주3 жыл бұрын
설명하신대로 노트북,PC,공유기에 랜선 뺏다가 꼽았다가 하면서 찾으시는게 낫습니다. 아니면 그냥 허브를 사서 각방 랜선을 다 연결해놓으시는게 두번손댈일이 없죠. 더구나 랜케이블의 단선으로 인한 불량이 아니라면 거의 RJ45커넥터 접촉불량이나 랜아울렛접촉불량일 경우 혹은 배선배열이 잘못되서 조립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전문가 입장에서는 사용빈도가 많지만 일반인이 1회성으로 랜테스터기를 구비해놓을 필요가 전혀 없다고 생각되네요. 사놔봐야 집에 처박혀있게 됩니다.
@강명현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템 하나로 살았습니다ㅠㅠ 찾기 어려워서 하나하나 찍다가 이젠 랜 테스터 찍고 가끔 랜선 만들땐 랜선 잘 되는지 확인하려고 유용하게 쓰네요
@sosssg3 жыл бұрын
랜 테스터... 예전에 하나 샀던게 기억 나네요 ㅎㅎㅎ 케이블 몇번 만들다가 귀찮아서 플렛케이블 사서 사용하게 되었네요 ㅎㅎㅎ
@gerinusj68953 жыл бұрын
와 덕분에 이걸로 cctv 케이블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junehahwang89423 жыл бұрын
이거 컨텐츠 기다리고있어여!!!!ㅎㅎ 언제 하시려낭~
@sungrimhan3 жыл бұрын
3:36 기가인터넷은 8가닥 다 써야하는걸로 알아요 100메가까진 4가닥으로 가능한걸로 알아요^^ 옛날에 배운 기억이라 요즘은 또 어떻게되는지 4가닥으로도 기가되는지 모르겠네염
@moonhunt873 жыл бұрын
이더넷은 1,2,3,6 번이 연결되어 있으면 됩니다. 파워까지 쓸려면, 8개 다 연결해야 하지만, 데이타는 1,2,3,6 번만 이용합니다.
@shell_pink3 жыл бұрын
와 랜 테스터기! 군대에서 많이 만졌죠... 완전 울화통ㅋㅋㅋㅋ 지금도 군대지만 이것 말고도 그 빨라빨라 소리 나는 것도 있는데ㅋㅋㅋㅋ.... ㅜㅠㅠㅠ
@muwonkang64423 жыл бұрын
서버로 쓸려면 정보통신부에서 라우터기로 구입해서 서버를 써야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렇지 않고서는 사용하기 힘든게 많았던 기억이 남아요 네트워크 회사에서 고정IP로 할당 받을려면 사업자등록증과 정보통신신고증 꼭 잇어야지만 가능하다는 거죠 라우터기를 쓰기 않고, 네트워크 회사에서 고정IP 할당 받으면, 포트 번호가 잠겨 있는 경우가 많아서 서버 만들 때 포트 번호를 일일이 바꿔줘야 하는게 큰 단점 이지요. 이게 가장 번거롭더군요. 그 다음에는 여러 PC 있을 때, 고정 IP로 공유기를 쓰면 게이트 웨이 값 설정도 해줘야 하는 불편함도 생기더군요. 요새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세상에는 더 편안 졌으니깐, 기본 포트번호 풀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FTP: 21 HTTP:8080 이런 기본 포트를 말하는 것이빈다.
@MinColeLegend3 жыл бұрын
네트워크 컨텐츠 기대됩니다~~ㅎㅎ 랜테스터가 생각보다 무척싸네요??
@singig11033 жыл бұрын
추가로 궁금한게 있는데요. 저 라벨스티커지는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hankseo7553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당장 사야지 구독 눌렀어요
@iamsongs3 жыл бұрын
3:34 10/100(4선 연결) 말고 기가비트 인터넷 쓰려면 8개 다 써야 합니다. 참고로 옛날 10/100 4선연결 시절에는... 스트레이트(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이라고 나누어져 있어서... 스트레이트는 송신쪽과 수신쪽 케이블 번호가 1~8번까지 동일하게 결선되어 있고 즉, 1-1, 2-2, ... 8-8 대응됨. 그러나 크로스 케이블은 한쪽인 1,2,3,6 이면 반대쪽은 3,6,1,2 이렇게 결선합니다. 즉, 1-3, 2-6,-3-1, 6-2 대응됨 요즘은 허브나 스위칭 장비들이 케이블 종류 관계없이 잡아줘서 케이블 종류는 상관없습니다.
@비밥드론-f8e3 жыл бұрын
크로스케이블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보통 컴퓨터끼리 연결할적에 많이 사용하던건데ㅎ
@codefactory_official2 жыл бұрын
역시 개발자 출신!?
@nonohoho6763 жыл бұрын
군대 노트북 가방에 저거랑 돌돌이, 랜툴기 들고 다녓는데 반갑네얔ㅋㅋㅋ
@boong-uh3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서 utp선 만들때 가끔 쓰던걸 오랜만에 보네요 주띠주
@ideationseo3 жыл бұрын
진짜 무서운 알고리즘입니다 ㅎㅎ 검색안하고 머리속에서 랜테스터 주문해야 겠다 하고 있었는데... 서울리안 님 영상이 딱하고 뜨다니~~ 이제 알고리즘이 내 머리도 검색하나봐요 ㅋㅋㅋ
@heychris4752 жыл бұрын
어? 찾았다!왜케 해맑은데 ㅋㅋㅋㅋㅋ
@JNK-1273 жыл бұрын
아 서울리안님 정말 내스타일이시당
@xman4776moon3 жыл бұрын
rj45.rj11 테스터 , BNC 테스터기 랜툴.BNC툴 hdmi테스터기 일반 가정집인데 ㅎㅎㅎㅎ~리안전자 사장님 말씀처럼 하나 있으면 이만저만 사용하죠 다만 개인적인 경험에 가끔씩 배터리 상태 및 기기 상태 점검을 한다면 말씀처럼 최대한 오래 사용은 가능하죠~서버룸 꾸미시면 가정용 ESS 와 apc는 필수겠습니다.뭐 ESS가 있다면 apc는 구지 필요가 없지~~이만 오늘 같은 컨텐츠가 역시나 리안전자 사장님답습니다.!!!!
@heum-good-energy3 жыл бұрын
스튜디오 라벨은 무엇으로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울산고래박물관3 жыл бұрын
랜선 만드는 컨텐츠 기대되네요
@srv10243 жыл бұрын
요즘 집 와이파이가 말썽이라 짜증났는데 함 확인 해봐야겠네요.
@free11103 жыл бұрын
엄청 깔끔하게 알찬내용이네요
@johnoogim3 жыл бұрын
단자함도 없는 오래된 아파트에서 혼자 방 랜선 따면서 고생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ㅋㅋㅋ 잘못 땄다가 인터넷 안되면 온가족한테 욕먹을까봐 더 힘들었음ㅋㅋ
@thinwood3 жыл бұрын
100메가랜은 흰주 주황 흰녹 녹색 4 가닥만 쓰면되지만 기가랜은 8가닥 다 씁니다
@gost03143 жыл бұрын
정말 중요한 정보! 넘나넘나 감사합니다. 진짜 개인사업할 때 제일 중요한 정보 입니더 o_Q
@SoondaePark3 жыл бұрын
찐 IT 유튜버 이런게 ㄹㅇ 찐이죠 ㅋㅋㅋㅋㅋ
@다시시작해-k7x3 жыл бұрын
저런 방식은 아주 오래전부터 썼었는데.. 인터넷 기사님들은 저거 말고도 다른장비쓰더라구요! 저 테스터기도 찾다보면 아파트경우 복잡하고 머리 아플대가 있어요!! 이전 살던데가 오피스텔인데 랜선을 뒤집어 놔버려서. 복잡해서 찾기 저걸로 어림도 없었음.. 헌데 기사님들은 선을 대던가. 어떻게 해서 쉽게 찾더군요... 그게 궁굼합니다.. 더 연구해서 다음 유튜브에 올려주세요!!!
@김재영-h2r3 жыл бұрын
저는 처음 듣는 내용이라 기초부터 들어야 하는데 첫 강의 하신 것 어디서 찾았서 듣습니까 ? 강의를 참 잘 하십니다 랜 선 만드는 공구가 있던데 색깔별로 공구에 꽉 집어니까 필요 한 길이로 만드는 것 보았습니다 이것까지 강의하신다니 꼭 배우고 싶습니다 ,
@ricky62953 жыл бұрын
맨처음 직장에서 LAN선 찝으러 다니는게 일이었는데... ㅠㅠ Lan Tester기 구매하러 가야 겠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