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합니다. 시험후 프리액션밸브 배수밸브 개방 및 수평주행배관 끝에 설치된 배수밸브를 개방하여 완전 배수해 주셔야 하고요, 기타 낮은 부분의 배수가 되지 않는 부분도 신경써서 배수시켜 주셔야 하오니 참고하세요~
@한지섭-p7t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질문이 있는데요. 1. 주,예비,보조 펌프의 압력챔버가 있으니, 펌프의 자동정지압력도 설정해놓였을텐데 본 수신기에 주펌프,예비펌프의 자동정지점이 없어 자동기동시에는 복구스위치를 눌러야만 정지된다는 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2. 복구스위치는 자탐설비에 대한 스위치 복구기능만 있는 것이 아닌가요? 펌프 PS는 소화설비쪽에 해당되는데 펌프 PS 표시등이 복구 스위치에 의해 복구되는 것도 잘 모르겠습니다. 3. 영상에 소개된 현장은 주,예비 펌프는 엔진펌프를 사용하고 보조펌프는 모터펌프를 사용한 현장인가요? 바쁘신데 질문이 장황하여 송구합니다. 감사히 영상 잘 보고 있구요. 많이 배워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V-sp4nr2 жыл бұрын
1. 주,예비,보조 펌프의 압력챔버가 있으니, 펌프의 자동정지압력도 설정해놓였을텐데 본 수신기에 주펌프,예비펌프의 자동정지점이 없어 자동기동시에는 복구스위치를 눌러야만 정지된다는 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 펌프 압력스위치에는 기동압력과 정지압력을 설정합니다. 자동정지의 경우는 펌프가 설정 압력에서 기동후 압력을 채운뒤 자동으로 설정압력에서 정지를 하지만, 수동정지의 경우는 펌프가 설정압력에서 기동하여 압력을 채워 정지압력에 도달하여도 펌프가 정지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펌프는 계속기동을 하게 됩니다. 정지는 통상 수신기의 압력스위치에 자기유지회로가 있어 수신기를 복구해 주어야 압력스위치가 복구가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2. 복구스위치는 자탐설비에 대한 스위치 복구기능만 있는 것이 아닌가요? 펌프 PS는 소화설비쪽에 해당되는데 펌프 PS 표시등이 복구 스위치에 의해 복구되는 것도 잘 모르겠습니다. => 자동화재탐지설비만 있는 경우는 수신기 자동화재탐지설비에 소화설비, 소화활동설비+기타 설비가 복합적으로 설치된 경우는 복합식수신기라고 합니다. 수신기의 복구스위치를 누르면 수신기의 전원을 한번 껏다가 켜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영상에 소개된 현장은 주,예비 펌프는 엔진펌프를 사용하고 보조펌프는 모터펌프를 사용한 현장인가요? => 충압펌프는 어느 현장이든 모터펌프를 사용합니다.
@후-r7g2 жыл бұрын
펌프실에서 압력스위치 누를때 수신기 연동해놓아야되나요?
@TV-sp4nr2 жыл бұрын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펌프의 압력스위치인지 구분만 하신다면 수신반에서 펌프는 연동정지로 놓고 압력스위치 동작 확인만 받으시면 되구요, 펌프 자동기동확인을 하신다면 연동으로 놓고 점검을 하셔야 겄죠~
@후-r7g2 жыл бұрын
@@TV-sp4nr 답변 감사합니당 그럼 자기유지확인하려면 수신기 연동해놔야 되는거죠?
@이동근-h5c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소방일은 하게 된지 얼마 안된 사람입니다 단선이 확인될때 왜 저항을 물리면(처항처리를 하면) 단선이 복구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TV-sp4nr2 жыл бұрын
수신기에서 각 감시선로, 예를 들자면 화재감지기 회로, 압력스위치 회로, 탬퍼스위치 회로 등에서 선로 말단에 종단저항을 설치 해 줍니다. 종단저항 설치 목적은 도통시험을 하기 위함입니다. 종단저항을 설치해 놓아야 수신기에서 전류를 흘려 돌아오면 선로가 정상, 돌아오지 않으면 단선으로 표시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지섭-p7t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프리액션밸브 방출확인등이, 프리액션밸브 동작표시등과 같은 건가요?
@TV-sp4nr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hsp43493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불로그에서 그림은 어떻게 볼수 있을까요?
@TV-sp4nr3 жыл бұрын
블로그에 있는 그림은 첨부화일로 되어 있지 않은것은 다운이 안되구요, 보시기만 됩니다. 굿이 필요하시면 화면캡쳐 하셔서 저장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