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사라지는 일자리 1,400만 개…'이 일'만은 살아남는다고? / SBS / 친절한 경제

  Рет қаралды 2,224,780

SBS 뉴스

SBS 뉴스

Жыл бұрын

〈앵커〉
친절한 경제의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은행 지점 문을 닫는다는 안내문들 같습니다. 은행 지점들이 되게 빠르게 최근에 문을 닫고 있는데 좀 이제 익숙한 것도 같습니다.
〈기자〉
저도 얼마 전에 집 근처에 있던 주거래 은행 지점이 문을 닫아서 좀 당황했는데요.
전국 17개 은행들의 지점과 출장소 이런 안내문들을 남기고 지난해만 400개 가까이 사라졌습니다.
노년층의 금융 접근성 같은 게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들뿐만 아니라 그때마다 은행 창구 업무 직원들의 일자리, 은행 텔러 자리가 그만큼 사라지고 있는 겁니다.
은행 텔러 자리는 최근 들어서 위협받고 있는 대표적인 일자리 중에 하나입니다.
세계경제포럼이요. 2년에 한 번씩 일자리 앞으로 뭐가 사라지고 대신 뭐가 전도유망할지 분석하고, 또 2년마다 과거 분석도 다시 점검해서 자료를 내고 있습니다.
이 자료가 특히 눈길을 끄는 게 먼 미래가 아니고 앞으로 5년간을 딱 봅니다. 그러니까 이번 자료는 2027년까지를 보는데요.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 세계에서 지금 1천130만 명을 고용하고 있는 803개 회사를 상대로 조사한 겁니다.
그런데 특히 최근에 AI 인공지능 기술 같은 게 생활 속에 성큼 파고들면서 앞으로 5년 동안 거의 25%가량의 일자리가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앞으로 5년간 지금 있는 일자리 규모 대비 가장 빠르게 줄어들 걸로 예상된 직업 1위가 은행 창구 직원입니다.
일각에서는 새로 고용이 창출되기도 하겠지만, 전반적으로 은행 창구 직원의 40% 가까이가 세계적으로 5년 안에 사라질 걸로 보인다는 겁니다.
〈앵커〉
이렇게 말씀하신 대로 사라지는 일자리도 있지만 또 생기는 일자리도 있을 것 같고 그만큼 사람들이 더 필요한 곳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앞으로 5년 동안 노동시장에서 일어날 변화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 도식입니다. 저 사각형 1개가 일자리 100만 개입니다.
가운데 있는 파란색 일자리들은 앞으로 5년간에도 별 변화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왼쪽에 있는 보라색 일자리들이 사라지면서 오른쪽의 초록색 일자리들이 생긴다. 그런 이야기인데요.
왼쪽 사각형 세어보면 83개고요. 오른쪽은 69개입니다. 다시 말해서 8천300만 개 일자리 사라질 때 새로 생기는 일자리는 6천900만 개에 그칠 거라는 얘기입니다.
앞으로 5년간 사라질 거라는 1천400만 개 일자리 지금 전체 노동시장의 2%나 되는 비중입니다.
우편 관련 업무, 캐셔, 경리, 사무 보조나 비서 업무도 지금보다 비중이 크게 줄어들 걸로 꼽혔는데요.
사무보조나 비서는 비중이 빠르게 축소될 일자리 중에 5위지만 워낙 지금 이 분야에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일자리 개수로 환산해 보면 600만 자리 정도 5년 안에 사라질 걸로 예견됐습니다.
건물관리인, 가정관리사, 경비 모두 앞으로 5년간 100만에서 200만 자리 넘게 사라질 걸로 예상된 일자리들입니다.
반면에 사실 최근까지 거의 존재하지 않다시피 했던 일자리에 전문성이 있는 사람들은 요즘 부르는 게 몸값입니다.
인공지능 전문가, 친환경 에너지 기술자, 또 빅데이터 분석가 앞으로 5년간 비약적으로 늘어날 걸로 집계됐습니다.
분야로 보면 이런 변화가 가장 두드러질 분야로 미디어와 연예계, 스포츠 산업이 꼽혔고요. 정부 부문과 IT 부동산 업계가 그다음이었습니다.
일자리 개수로 보면 약간 허를 찌르는 직업인데, 농기계 조작 기사가 유망했습니다.
농업 자동화가 촉진될 텐데다가 기후변화로 인해서 농업에 대한 투자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거죠.
특히 농업 종사자들은 앞으로도 인공지능의 영향을 덜 받을 걸로 꼽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일자리 변화가 이렇게 속도도 빠르고 규모도 큰데 조만간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될 청년뿐이라 실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이 주목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기자〉
앞으로 5년 동안 가장 많이 늘어날 일자리들 중에서 3위로 꼽힌 게 바로 직업 교육 강사입니다.
그만큼 이렇게 급변하고 있는 일자리 시장에서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겁니다.
과거에 익숙한 기술 또는 방식만 고집해서는 언제 내 자리가 위태로워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있습니다.
앞으로 5년간 첨단기술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분석적이고 창조적인 사고의 중요성이 직업시장에서 가장 크게 요구되는 자질이라는 게 세계경제포럼의 진단인데요.
평생 재교육, 평생 직업교육의 시스템을 좀 더 면밀하게 갖추는 게 앞으로 우리 일자리 문제에 있어서 핵심적인 과제가 될 걸로 보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175558
☞[친절한 경제]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t/?id=100000...
#친절한경제 #일자리 #5년내 #소멸 #1400만개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Пікірлер: 2 200
@ekw2432
@ekw2432 Жыл бұрын
Kt전화하면 Ai가 질문하고 대답하는데 미치겠어요 내가 원하는 답도 못주고 상담원 바로 연결도 안해주고 더 짜증납니다 쇼핑몰 고객센터조차 이메일로만 보내라하고 전화번호 없애더니 답오는데 며칠걸리고 무조건 돈만생각해서 없애는게 답이 아닙니다
@user-dt8vi3bk7r
@user-dt8vi3bk7r 10 ай бұрын
너무나 공감
@maromi-wt6vk
@maromi-wt6vk 8 ай бұрын
Ai 가 자기 하고싶은 말만하고 시간다잡아먹음 상담원이랑 이야기하면 쌩유베리감사 하면끝일걸ㅋ 또 열받아 끊음 다시시작임ㅋㅋ
@user-wj6ye8no2g
@user-wj6ye8no2g 5 ай бұрын
맞다. 속터짐 그럴땐 상담원 바꿔 요녀나 소리쳐
@user-sr5og9nl2o
@user-sr5og9nl2o 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inaeyu4431
@inaeyu4431 4 ай бұрын
학습을 계속 시켜야 하는 걸 고객상담으로 떠넘기는 거 같아요. 에휴
@user-pl9yl8no8x
@user-pl9yl8no8x Жыл бұрын
은행대출은 무조건 대면으로 하도록 해주세요! 사기범들한테 걸리면 무섭다
@user-fj2ql2qr9t
@user-fj2ql2qr9t Жыл бұрын
은행직원 ...다,어디가냐?...친절햇는데 ..
@user-dq2cb6hd8t
@user-dq2cb6hd8t 8 ай бұрын
폰팔이와 공인중개사가 제일 먼저 없어져야 하지 않을까? 없다고 불편함 없음
@user-kd9kd8nf7g
@user-kd9kd8nf7g 6 ай бұрын
5년간이면 대통령님 집권때인데... 좋게 변화시킬순 없습니까?
@user-of8yw
@user-of8yw 5 ай бұрын
​@@user-xr5yg3mw1j 문재앙도 마누라 관리 못하던데? 해외 나가서 하고 다닌 꼬라지 보면 가관이더라 정수기 말이다 캄보디아 공항에서 체코에선 숨바꼭질이나 하고.. 정수기 옷값은 왜 공개 못하게 박아 놨냐? 얼마나 해 처 먹었으면? 옷값이 천문학적 숫자인가 봐?
@user-el3nb7gr2t
@user-el3nb7gr2t 3 ай бұрын
은행창구 있어야 해요. 오류생기고 모바일로 못하는분들 많아요
@supertonic_1802
@supertonic_1802 Жыл бұрын
법률서비스도 AI로 하루 빨리 전환되야 합니다 특히 판사, 변호사는 대체되었으면 좋겠어요
@suncheol
@suncheol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걔네 책에있는거만 알아가지고 ㅋㅋㅋ 어휴ㅋㅋㅋㅋ
@user-ud1kp9du6v
@user-ud1kp9du6v Жыл бұрын
국가의 허가받은 사기꾼들이 어디가서 사기치고 다닐까요?
@user-lf2xu7sn7v
@user-lf2xu7sn7v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도
@dolgum826
@dolgum826 Жыл бұрын
되충이나 사라졌으면... 돼야 돼야 돼야
@eungae918
@eungae918 Жыл бұрын
유튜브댓글도 AI로 대체합시다 ㄹㅇ ㅋㅋ
@hyunmiyou6081
@hyunmiyou6081 10 ай бұрын
잘못된 판결들이 너무 많아서 판사들도 빨리 대체 되기를 ᆢ
@kookiinaomi2125
@kookiinaomi2125 3 ай бұрын
검사아니고?
@liiililliliiilililiiliili
@liiililliliiilililiiliili 2 ай бұрын
​검사도포함이죠.
@user-zr4bn6im4q
@user-zr4bn6im4q Ай бұрын
의사도, 세무사도 법무사도 사자 들어가는 직업다
@user-zr4bn6im4q
@user-zr4bn6im4q Ай бұрын
사자 들어가는 직업 지들끼리 수임료 정해놓고 서로ㅜ경쟁 안함 서민은 그러 약자일 쁜
@user-sv5px4tz5x
@user-sv5px4tz5x Жыл бұрын
판사들은 절대 없어져야한다 특히 한국 판사들
@sow1526
@sow1526 Жыл бұрын
판검사,변호사들은 사법연수원에서 다같이 어우러져서 놀기만했다함. 성적보단 축구 잘하고 술잘마시는 놈이 최고라했음. 그냥 대학교보다 놀자판인곳임. 그런곳에서 있던 놈들이 뭘하겠음? 사법연수동기라고 겁나 편파판결도 밥먹듯이하고ㅋㅋㅋ
@dj-zl3ev
@dj-zl3ev Жыл бұрын
Ai로 대처해도 지장없는 직종임
@user-ld4xb2iy6p
@user-ld4xb2iy6p Жыл бұрын
역사적으로 흘러가듯 가!
@user-de7uc9en5r
@user-de7uc9en5r Жыл бұрын
미국 판사로
@user-ks1jq5zx1i
@user-ks1jq5zx1i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user-cc6cl2lx1v
@user-cc6cl2lx1v 5 ай бұрын
아나운서,기상캐스터,기자야말로 ai대체가 딱이야
@user-pn3de3uu6i
@user-pn3de3uu6i Жыл бұрын
특히 세금도둑인. 정치인. 판사. 변호사 . 하루빨리 시행돼길
@niceandrew2773
@niceandrew2773 Жыл бұрын
검사도좀...
@run_ung
@run_ung Жыл бұрын
정치인,판사,변호사는 다른직업 다ai대체해도 살아남을 직업이다.
@skayong
@skayong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살릴 정책! 허경영 33정책!! 국회의원 100명으로 무보수! 지자체폐지. 새나가는 예산을 절약해서 국민배당금 18세이상 매월 150만원 지급!!
@user-cr9ws6kt9y
@user-cr9ws6kt9y Жыл бұрын
의사 약사도 없어질직업
@user-lx7rc9qs1n
@user-lx7rc9qs1n Жыл бұрын
​@@niceandrew2773 그럼 마법사는?
@user-ci4bq5zd5o
@user-ci4bq5zd5o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없어지고 자동화로 대체되는걸 사람들은 왜케 좋아하는지?...나만 서글픈가?...
@yeonggyeongsir8301
@yeonggyeongsir8301 Жыл бұрын
나만 아니면 되고, 다른 사람의 불행이 곧 나의 행복인 사람들만 남아서 그럼 ㅋㅋㅋ 어떻게든 남이 망하는 게 즐거운 거고, 지금 나보다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들이 아니꼬운 거고 ㅋㅋㅋ
@user-jq5ij6zs2s
@user-jq5ij6zs2s Жыл бұрын
ㄹㅇ 온라인상이라서 그런건가 싶긴 한데, 이게 10년-20년 후에 자기 일자리가 대체되지 않을 것이란 보장도 없는데 너무 다 가볍거나 낙관적인 분위기인거 같네요. 뉴스에선 인공지능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고 인공지능 개발자 등의 프로그래머들의 위상이 높아진다고 말하는데, 결국 좀 극단적으로 말하면 인공지능을 보좌하는 일부 일자리만 생기는 것이고, 개발자도 인공지능 등 일부 고급기술에 한해서 살아남는단 의미라고 봅니다. 예시를 따지면, 글이나 그림, 코딩을 인공지능이 하고 설계와 검수만 소수의 사람이 하는 구조로 변하겠죠. 결국,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면 다 실직자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걸 뭐 도태된게 당연하다 말하면 어쩔도리가 없지만, 진짜 문제는 생산력. 공급은 그대로이거나 더 높아지는데, 그걸 구매할 수 있는 사람들은 없어지니까. 수요는 점차 떨어지게 됩니다. 사람이 소비를 하는거지 인공지능이 소비를 하는게 아니니까요. 이 경우엔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 이상. 시민과 기업 모두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될거라 봅니다. 솔직히 개인적으론 지금의 기술발전이 인공지능이 아니라, 트랜스휴머니즘. 즉, 기술로 신체를 개조하여 고성능을 내도록하는 기술들이 위주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적어도, 기술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보조일뿐, 인간이 핵심이 될 수 있도록 발전하는게 맞지 않나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ddd-zi8cd
@ddd-zi8cd 10 ай бұрын
100프로 대체하면 됨
@user-tx7qv4kn9g
@user-tx7qv4kn9g 9 ай бұрын
걍 열등감에 찌든 하류인생들임
@KR_Health
@KR_Health 3 ай бұрын
​@@user-jq5ij6zs2s👍
@uhh487
@uhh487 Жыл бұрын
은행은 비대면대출에 대한 책임을 넓고 무겁게 만들어야 함. 대출은 그 위험성만큼 본인확인을 강화해야 함.
@joeudi
@joeudi Жыл бұрын
업무 늘어난다고 반대할게 뻔함 당장 업무시간 18시까지 늘리는 것도 게거품물고 반대하는 것들임
@yanna-09
@yanna-09 Жыл бұрын
그거 본인확인하다가 신분증 인식안되고 뭐가 자꾸오류나고 화딱지나서 은행간다는게 정설
@nigasaraminya7499
@nigasaraminya7499 Жыл бұрын
​@qwe⁰ 이렇게 만든게 노조요. 왜이리 부자를 미워하고 적대시 한것인지. 사람관리가 어려우니 쉬운길로가는것이지요.
@woojinson5313
@woojinson5313 Жыл бұрын
지문만 있으면 될텐데
@user-cs4tx9lm4i
@user-cs4tx9lm4i Жыл бұрын
​@qwe⁰ 그닌까 되도 않는 문가 놈 정책 때문에 그럼
@user-rd8gw5fr2v
@user-rd8gw5fr2v Жыл бұрын
갈수록 살기에는 편해지지만 살아가기에는 힘들어지는것 같네요.
@ipark6994
@ipark6994 Жыл бұрын
편함도 돈이있야 누리는 거죠
@user-ro5ex8pm3q
@user-ro5ex8pm3q Жыл бұрын
환경이 파괴 되거나 직장인들이 일 자리를 잃거나 아주 위험한 상황 이제 부자들만 돈을 벌고 살아 남을 텐데 과연 기본 소득 보장 될까
@user-jj4nh9ek1f
@user-jj4nh9ek1f Жыл бұрын
가난한 사람이 자식을 낳아서 AI와 경쟁에서 내자식이 어떻게 살아 남을까도 생각해야 되겠구나.
@skayong
@skayong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살릴 정책! 허경영 33정책!! 국회의원 100명으로 무보수! 지자체폐지. 새나가는 예산을 절약해서 국민배당금 18세이상 매월 150만원 지급!!
@KitCaT-Z
@KitCaT-Z Жыл бұрын
딱 부자들이 살기에 조은 환경 만들어 놓은~ 서민에겐 헬~ 현대판 자린 굴비 고비🤤~ 🤢
@user-rr8ge6lg8e
@user-rr8ge6lg8e 9 ай бұрын
구의원.시의원부터 없애야한다. 없어지는게 아니고 없애야한다
@0225marisol
@0225marisol Ай бұрын
의원직은 더 많이 늘릴 수록 좋습니다. 그들이 하는 일이 국민 세금을 행정부처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감시하는 일을 하고 국민들에게 꼭 필요한 입법을 하기 때문입니다. / 국회의원부터 선진국 수준으로 국민수 비례하여 많이 뽑아야합니다. 돈있는 자들의 로비가 불가능할 정도로 인원수가 많을 수록 그들의 부정부패와 특권은 사라지니까요!!! / 마치 의사 숫자가 많아질 수록 그들의 특권의식도 사라질 수밖에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dennylucy
@dennylucy 12 күн бұрын
​@@0225marisol의원직은 없애는게 맞습니다. 예를 들어 시의원이 있으면 주민들이 해달라는 요구사항 받아서 시에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 전체로 보면 예산 낭비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 하는데에 걸림돌이 됩니다
@0225marisol
@0225marisol 12 күн бұрын
@@dennylucy 예산낭비는 행정부 공무원이 젤 많이 하죠. 그들이 쓰는 예산 1년 600조(국민혈세), 그걸 국민 대신 감시하라는 게 국회의원이 할 일이고요. 지차체 예산( 주민 혈세)을 지자체 공무원들이 제대로 쓰는지? 주민들 대신해서 감시할 역할을 부여받은 게 지방의원, 시의원들입니다. 의원은 국민을 대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짐당 혹은 매국노들이 그렇게 반대하는 것이구요. 민의를 이행할 사람이 줄 수록 없을 수록 지네들 맘대로 권위주의 전체주의 독재주의자들 등등 권력자들 맘대로 할 수 있으니까~~요!!!!
@Gisele_Gisele
@Gisele_Gisele Жыл бұрын
뭔가 참 두렵긴하다. 향후 5년이지. 10년뒤에는 내 직업이 될수도 있는문제고. 수명은 자꾸 길어지고 돈을 버는 방법은 없어진다기 보단 나 역시 나이가 들면 지금의 어르신들처럼 시절에 따라가기 힘들어 질테고. 뭔가 참 두렵다는 생각이 드는건 어쩔수 없네
@user-re1ve4fe2u
@user-re1ve4fe2u Жыл бұрын
저두용ㅠㅠ 뭐해서 돈을 벌어야할지 걱정이에요.
@user-fj5jz9in9l
@user-fj5jz9in9l Жыл бұрын
다 필요없고 양형기준없는 사법부부터 없어져야함.....판사가 판단력이 애매할땐 떨어내야지....
@youone3584
@youone3584 Жыл бұрын
그럴려면 경찰 검찰 법원도 없어져야.
@user-ux1sj5fw7k
@user-ux1sj5fw7k 4 ай бұрын
맞아요 판시에따라달라지는 판사없어져야합니다~~기준도없고^^
@MZ-ls8xs
@MZ-ls8xs Жыл бұрын
국회에도 AI가 도입했으면 좋겠네... 탁상공론하고 지들끼리 싸우는 것보다 AI가 나을 듯
@user-uk3ze4sd1h
@user-uk3ze4sd1h Жыл бұрын
님 말처럼 되면 일부 세력들이 AI 조작해서 본인들 원하는대로 모든걸 조종할려고 들겠죠. 일부 세력들로 인해 지배당하는 세상이 될텐데요..
@user-qj8rc7om6n
@user-qj8rc7om6n Жыл бұрын
@@user-uk3ze4sd1h 님이 언급한 우려만 대책이 확실히 세워진다면 인공지능이 펼치는 정치도 쓸만할 겁니다. 서로 헐뜯기만하는 지저분한 3류 정치인들때문에 이골이 나서요.
@user-uk3ze4sd1h
@user-uk3ze4sd1h Жыл бұрын
@@user-qj8rc7om6n 3류들이 판을치더라도 국가를 운영하는 인사들이 인공지능으로 채워지면 우리 또한 인공지능에 의해서 통치 당하는거고,그렇게 되면 처음에야 좋은 방향으로 흘러간다고 해도 점차 개개인의 자유를 박탈당하는 세상이 오게 될것입니다. 또 만에하나 해킹이라도 당하게 되면 좋을것 같다고 생각하는 부분 보다 현실적인 문제점은 걷잡을수 없을것 같네요. 모 나라꼴이 말이 아니니까 님도 답답해서 하는말 이겠지만요.ㅎ 모 우리가 죽을때 까지는 AI가 국가를 운영하는 시간은 오지 않겠지만.... 점차 AI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니 언젠가는 그런날이 올수도 있긴 하겠죠.
@user-gb5ri6ni1x
@user-gb5ri6ni1x Жыл бұрын
혹시 AI세요?
@user-qj8rc7om6n
@user-qj8rc7om6n Жыл бұрын
@@user-gb5ri6ni1x 뻔히 사람인 줄 알고 그러십니까? 정치인이 그만큼 형편 없으니 그렇죠. 그리고 농담이 아니고 언젠가 진짜 AI가 정치에 개입할 겁니다. 만약 밖에서 얼굴 마주보면서 "혹시 AI세요?"라고는 안하겠죠. 여긴 익명성이 보장되니까요.
@user-qj8rc7om6n
@user-qj8rc7om6n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은 맨날 패갈려서 서로 욕하고 싸움질만 벌이는데... 그 정치하는 인간들도 여당과 야당 전부 다 합쳐서 빨리 사라졌으면 좋겠어요. 그 자리를 AI가 대신한다면 훨씬 객관적이고 명확한 정책이 펼쳐질거라 봐요.
@cellics
@cellics Жыл бұрын
판사도
@user-ld8dd3ci8c
@user-ld8dd3ci8c Жыл бұрын
그말은 대통령도 ai가 하라는 말인데 ㅋㅋㅋ 생각안하고 말하노 ㅋㅋㅋ
@park2240
@park2240 Жыл бұрын
빅브라더?ㅋㅋ
@user-rb7wb6vx2m
@user-rb7wb6vx2m Жыл бұрын
캣맘도 인공지능 됐으면 좋겠다
@gildonghong1347
@gildonghong1347 Жыл бұрын
판검사가 ai면 국힘당은 진짜 졷된다 한마리도 삐짐없이 다잡혀갈듯
@huklee9967
@huklee9967 Жыл бұрын
가장먼저 국회의원 모두 없애고 인공지능이 국민의 의견들 취합해서 정책을 입법하고 결정 해야함
@seongjae_park
@seongjae_park Жыл бұрын
국민들 수준이 그나라 국회의원 수준인데 뭐 달라질거 같음?
@tiho-nge60r-rttj
@tiho-nge60r-rttj Жыл бұрын
​​@@seongjae_park 인공지능을 미국산으로 쓰면 됩니다
@kaypark8378
@kaypark8378 Жыл бұрын
@@tiho-nge60r-rttj ㅎㅎㅎ
@ooooo211
@ooooo211 Жыл бұрын
​@@seongjae_park 그니까 걸러야지 이상한 사고를 가진 집단이나 부류 비상식적 이런데는 집단 투표나 전문가들 의견 또는 집단 대 집단 국민들간 간담회 토론회로 논리 싸움으로 왜 내가 혹은 내가 속한 집단이 남아야 하고 배제되면 안되는 상식인 집단 개인인지를 증명하고 논리에서 줫발리면 뭐... 없어지는거지
@briank2818
@briank2818 Жыл бұрын
Ai 도입하면 국민의견 왜 필요함. . 미리 미국꺼 학습해서 올텐데.. 그리고 불필요한 직업군 사람들부터 직업잃고 먹고살기힘들어지고. 또 그다음 불필요한 직업군 사람들 제거하고 . 이 패턴으로 가면 생각보다 빨리 사람이 필요없어짐
@user-it5tn9ln1v
@user-it5tn9ln1v Жыл бұрын
존엄사 도입이 시급하다... 아름답게 숨을 거둘수있는 제도를 하루빨리 만들어야 미래세대들이 살아갈수있다..벽에 똥칠할때까지 산다는게 얼마나 치욕스러운 일인지 많은이들이 공감해야 할텐데..
@user-vu6lh6zo9b
@user-vu6lh6zo9b Жыл бұрын
왼 갑자기 죽음 그냥 아름답게 죽으면되지 웃으면서 고민도 아닌 고민
@mjyoo2713
@mjyoo271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돌아가신 아버지 치매 걸리셔서 요양원에 계시고 우울증으로 자꾸 우시는데 치매약, 우울증약 약 많이 드셔서 위 안좋아지셔서 위장약, 고혈압약 끼니때마다 한주먹씩 약 드시는데 누구를위한 연명인가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작년에 코로나로 돌아가셨는데 차라리 하늘나라에서 행복하실것같아요.
@iskho
@iskho Жыл бұрын
@@user-vu6lh6zo9b 힘내 세상을 잘 모르면 그럴수있어
@user-neobelle
@user-neobelle 10 ай бұрын
​@@mjyoo2713건강할때 자신이 정해놓으면 좋을거같아요. 저는 남편에게 내가 정신을 잃거나 스스로 삶을 유지하는게 힘들어지면 (연명장치 라던지..) 다같이 스위스 여행하고 웃으면서 떠나겠다고 했네요. 부모님이 그렇게 가시는걸보고 남은 이들이 더 힘들다고 느꼈거든요.
@Eockwo
@Eockwo 10 ай бұрын
​@@user-vu6lh6zo9b우리나라는 식물인간이 불치병 판정을 받아야지 안락사 판정이 될까말까한 나라임 본인이 죽고 싶을때 못 죽는게 웃을 수 있으면서 죽을 수 있는 아름다운 죽음일까요?
@kysm4893
@kysm4893 Жыл бұрын
하루 빨리 판사, 국회의원이란 일자리도 없어지길 바랍니다....그리고 AI들은 대한민국 양형기준 x3배하길 바랍니다
@user-lk9ij4hk2o
@user-lk9ij4hk2o Жыл бұрын
민주 자유 이런거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국회의원을 AI로 대체...?
@Lasz885
@Lasz885 Жыл бұрын
@@user-lk9ij4hk2o 얼마나 개같으면 그러겟노..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정부부터 구축하고 그 돈으로 개인한테 나눠줘야함 정부사업같은거 없애고
@slowook
@slowook Жыл бұрын
판사는 아무리 대체 가능하더라도 상징적인 의미가 커서 사라지지 않을 확률이 큼 대신 판결을 평가하는 AI는 충분히 생길듯 이걸로 어긋난 판결을 질타 및 견제하고
@user-yy2eg2kw2k
@user-yy2eg2kw2k Жыл бұрын
경찰이랑 선생도 확 줄었으면 좋겠당 쉬레기 무능이 많음
@zoenoh8683
@zoenoh8683 Жыл бұрын
은행같은 업무는 대면업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쉽네요.. 지금이 노인이 살기 쉬운 세상은 아닌 것 같아 슬프네요
@user-gf7mc2rh5t
@user-gf7mc2rh5t Жыл бұрын
진짜 살기 힘든건 2030이 맞음 누가 이렇게 살기 힘들게 만들었을까
@jimmyvlee4904
@jimmyvlee4904 Жыл бұрын
남탓못해 안달난 태도 자체가 어딜가나 힘들걸. 지금 6070세대 스마트폰 하나 없고 아무것도 없던 세대로 돌아가면 아무것도 못할거 같은데 그때 돌아가서 남탓하면서 아무것도 안하면 굶어 죽는다. 시대가 좋아서 멘탈 약한 사람도 살아 남을 수 있어서 떠들 수 있는 좋은 세대다
@user-jt5wb5qj1f
@user-jt5wb5qj1f Жыл бұрын
@@user-gf7mc2rh5t 나도 31살이고 살기 힘든데, 2030이 제일 힘들다고 징징대지좀 마라 윗세대에 비하면 아무일이나해도 밥은 먹고 살 수 있자나?
@kwonjames6651
@kwonjames6651 Жыл бұрын
역대급 수익을 내는 은행이 에휴
@user-kk3mk2fu7z
@user-kk3mk2fu7z Жыл бұрын
@@user-jt5wb5qj1f 그래도 돈 벌면 집 사고 차 살 수 있던 시대잖아 ㅋㅋ 지금이 더 힘들지 이 모지란 친구야 비교할 걸 비교해라 n포 세대인 지금이랑 윗세대처럼 돈 벌면 집 사고 차 살 수 있던 시대랑 같냐?
@user-qf3cg9sh8k
@user-qf3cg9sh8k Жыл бұрын
고객센터 직원이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답답하면 사람부터 찾으니 쉽게 바뀌진 않을듯
@NOTFOUND-mx8jw
@NOTFOUND-mx8jw Жыл бұрын
나도 이게 맞을듯 비서들도 솔직히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비서 끌고 다니는 사람이 에이아이 들고 다니지는 않을걸 아이패드를 잘 다루는 비서를 데리고 다니겠지
@user-ck9ry1uf3n
@user-ck9ry1uf3n Жыл бұрын
일할때 소통이 무척이나 중요하다 사람대 사람일 경우 문제 발생도 적어지지 지금 대부분 문제 터지는것들 대부분이 비대면으로 발생한 것들이다 편리성이 늘어난만큼 개인의 위험부담이 커지는거지
@user-hv7vq9iq1l
@user-hv7vq9iq1l 9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사라지진않고 기술을 이용해서 한명이 충분히 여러일 할 수 있을정도로 능력을 갖춰야하는 시대가 올뿐이지 사라지는건 아닌거 같아요.
@donkeyekyo7676
@donkeyekyo7676 5 ай бұрын
뉴스처럼 금방 바뀔듯 생각하면 큰 오산일듯... 타임머신도 곧 개발될듯 ㅋㅋ
@yoling-1004
@yoling-1004 4 ай бұрын
고객들 입장에선 사람이 편하지만 고용주 입장에선 ai가 편해서 다들 ai돌리려 해서 거기에 고객이 발맞춰 순응하는 분위기로 갈 수밖에 없을듯함. 고로 절대 지금처럼 사람 위주로 운영 하지 않을듯.
@cfh654
@cfh654 Жыл бұрын
현장기자보다는 TV에 나오는 뉴스앵커 일기예보 앵커 등 방송국 에선 당신들이 제일 빨리 대체 되지시 싶네요ㅜ
@user-hd3pg4js7x
@user-hd3pg4js7x Жыл бұрын
왜사는지 모르겠고... 과학은 발전하고 살기 좋아진다는데 나는 더 살기 힘들고... 일안하겠다는것도 아닌데 일도 없어진다네... 뭐 어떻게 살라는걸까...
@k_soo513
@k_soo51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점점 과학이 싫어져요ㅠ 편리하면 뭐하나요? 밥벌이 위협인데요ㅠ 차라리 과학이 덜 발전해도 일자리 많은 예전이 더 안정적이고 덜 힘들었어요..또한 출산율도 높았죠..과학의 발전은 점점 편리한 시대가 아니라 불안한 시대인듯요ㅠ
@ojh0420
@ojh0420 Жыл бұрын
​@@k_soo513 공감합니다
@user-xm2rk3pw3m
@user-xm2rk3pw3m 4 ай бұрын
부탄 갑시다
@Ctrlart-qt7gv
@Ctrlart-qt7gv Жыл бұрын
댓글들 말씀대로 정의감없고 야욕만 넘치는 정치인들과 판사들의 자리를 AI로 대체되면 좋겠고 환경을 살리고 사람을 살리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부와 명예가 넘쳐났으면 좋겠숩니다
@user-ov4nr3je4x
@user-ov4nr3je4x Жыл бұрын
아나운서랑 기상캐스터도 솔직히 Ai대체가능하지않나ㅋㅋ
@user-bk7sp8ti3q
@user-bk7sp8ti3q Жыл бұрын
ㅇㅈ 개필요없음
@user-nw6lq8pr7x
@user-nw6lq8pr7x Жыл бұрын
요즘 가상 휴먼 나오는거보면 5년후엔 가능할지도?
@user-sw7ho8ku7t
@user-sw7ho8ku7t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사람이 좋음
@dupersuper8955
@dupersuper8955 Жыл бұрын
그러게 가능할거같은데
@dGJJLLL
@dGJJLLL Жыл бұрын
연예인도 가능해질듯.....예를들어 프레디 머큐리의 외모와 목소리 자료를 토대로 가능할듯....
@sydneyroseenglish
@sydneyroseenglish Жыл бұрын
아나운서 여러분들, 본인들은 괜찮을거 같죠? AI랑 인간의 구분이 정말 어렵습니다. 남의일이 아님
@pinkberry3885
@pinkberry3885 Жыл бұрын
@Honnareddy.G 그거 ai 인듯
@user-xv2rp2ub2r
@user-xv2rp2ub2r Жыл бұрын
ai사진 보다 보면 평소 예쁘다고 생각했던 여자들 다 오징어 같아보임ㅋㅋㅋ
@par_K
@par_K Жыл бұрын
팩트: 아나운서 여러분들이 본인들은 괜찮을거 같다고 말한 적 한 번도 없음..;
@aesthetic682
@aesthetic682 Жыл бұрын
​@@user-xv2rp2ub2r 주제 파악 좀...
@user-ms1zu3kr4t
@user-ms1zu3kr4t Жыл бұрын
​​@qwe⁰ 맞는 말씀입니다만 사람이 하기 굉장히 힘든 노동이라던지 위험한 노동이라던지 더러운 노동이라던지 오래 하면 오래 할수록 사람의 건강에 해로운 일이라던지 이런건 AI가 대체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wy3fl8yw4x
@user-wy3fl8yw4x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나온 은행창구도 그렇고 식당에서 일하는 사람들 공장직원 등등 진짜 없어질 일자리 많음 특히 요리해주는 로봇이나 서빙로봇이런건 벌써부터 현장에서 활동하고있음 당장 키오스크같은것도 예전처럼 안내해주는 사람이 이젠 따로 없는게 현실이지... 생각보다 더 빠르게 세상이 바뀌고있음
@hcp3425
@hcp3425 Жыл бұрын
AI가 그림 그리고 노래 부르고 사진도 찍으면서,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부르던 창작의 영역까지 침범하는 것을 보고 이런 예상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느낌... 어떤직업이 어떤식으로 사라질지, 혹은 어떤식으로 변화될지 아무도 모르는 지경임.
@user-ps1cp1fe9x
@user-ps1cp1fe9x Жыл бұрын
각자도생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Жыл бұрын
미래엔 AI 전문 개발자들이 떼돈을 벌 것
@user-kj3tg7dr6f
@user-kj3tg7dr6f Жыл бұрын
ai 가 ai를 더 발전시키고 보수하면서 인류 전체의 영역을 잃어버리고 소멸할듯
@national-slave
@national-slave Жыл бұрын
5년은 예상가능할거같은데
@user-sc2yw1eb5d
@user-sc2yw1eb5d Жыл бұрын
공장쿠키가 찍어나오는세상에서 sns에서 화제가 되고있는것은 수제쿠키입니다 공장쿠키와 다른 무언가가있는 수제쿠키처럼 사람의 일을 ai와 기계가 대체하고있는 현재 자신만의 무언가가 있는사람들만 살아남는 세상이될겁니다
@jamesdean3432
@jamesdean3432 10 ай бұрын
일자리가 없어지고 로봇이나 AI가 일하게 될텐데 자본주의 사회에선 로봇이나 AI를 소유한 사람만 돈을 벌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이나 AI때문에 직장을 잃게 되는 사람들을 위해 로봇세를 도입하거나 국민기본소득을 도입해야 사회가 유지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각 국가는 파멸을 맞이할 것이다.
@lalala6298
@lalala6298 Жыл бұрын
농업에 대해 자국민이 나서지 않으면 농업쇠퇴로 식량난에 대처 어려울듯.. 외국인 노동자 고용은 한계가 있음
@user-bw6bu4wc6e
@user-bw6bu4wc6e 20 күн бұрын
농업도 시스템 자동화 되었읍니다. 아파트형 체소류 시설물이 도시에서 생산 합니다. 쌀 전업농 빼고
@raykim1812
@raykim1812 Жыл бұрын
일자리를 인위적으로 무조건 만들어내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을 뿐더러 이조차도 일자리가 사라지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 결국 향후 대량 실직 사태가 발생하고 실업율은 절대 회복 불가능하며 더욱 그 수치는 높아질게 분명한 미래 모습이다. 이는 단지 일자리 문제가 아닌 경제 구조 전체를 혁신적으로 바꾸는 노력이 뒤따라야만 하며 직업은 필수가 아닌 선택적인 개인 취향의 요소로 받아들여지게 될 것이다.
@user-ty1vw8js1t
@user-ty1vw8js1t 11 ай бұрын
일자리 만들려면 소비력을 늘려줘야된다. 그러면 자연스레 시장이 알아서 일자리를 조절해줄거야. 빈부격차로인해 절대다수의 소비력이 약하면 일자리도 점점 줄어드는거야.
@user-td9ql6lq6v
@user-td9ql6lq6v Жыл бұрын
Ai도 문제지만 국내 공장 지을거를 해외로 짓고 하니 내국인 일자리 줄고 하는게 더 문제임
@valentinea7818
@valentinea7818 Жыл бұрын
의외로 블루칼라 직업이 살아남고 데이터화 가능한 화이트칼라 직군이 없어지는데 이들은 이미 국가사회 기득권이라 AI 쉽게 도입 안할거임 자율주행택시 나오면 운전종사자들도 냉정하게 시장에 적응해야 해놓구선 쳇gpt 나와서 코딩기술자 빠르게 없어지게 생겼으니까 당장 막아야한다고 위험하다고 ㅋㅋㅋ 기득권 내밥그릇만 지키면 되는거임
@user-mt3cs1hj3z
@user-mt3cs1hj3z 9 ай бұрын
진짜 앞날 예상못하겠음.. AI테크놀러지 유지보수하는 엔지니어는 지들이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일자리라고 한시름놓고 인건비 쎄게부르다 오히려 AI들이 자기적으로 유지보수하고 회복하면 걔네일자리부터 없어질수도.
@lifebeautiful7401
@lifebeautiful7401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은행원 걱정은 수십년전부터.. 신규 고용을 안하는거지 기존 직원을 해고할 순 없습니다. 명퇴제도 시행을 확대할 순 있겠지만 그렇다고 빈손으로 나가는것도 아니고 , 강제할 수도 없고요
@ttkk9040
@ttkk9040 Жыл бұрын
금융노조... 금속노조 쌍두마차
@user-ny4ho9nc7s
@user-ny4ho9nc7s Жыл бұрын
맞음 저거줄어드는거 걱정없는게 그만치 받고나감ㅋㅋ 일단들어가면 장땡
@user-tn1yw7uo9p
@user-tn1yw7uo9p Жыл бұрын
연착륙 하는거죠 ~부작용 축소해야죠
@user-bc6ws5hl5x
@user-bc6ws5hl5x Жыл бұрын
퇴직금 연차 위로금 까지 4~6억받고나옴
@user-mq3yy4eo1k
@user-mq3yy4eo1k 5 ай бұрын
@@user-bc6ws5hl5x 와 죳대네
@jisun2653
@jisun265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우린 점점 인구수도 줄어드는 마당에 한편으론 다행일수도 있다
@voo6002
@voo6002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이라든지 사람이 한명이라도 필요한 그런 직종은 이번세대까진 남아있긴 할거임... 다음 세대부턴 로봇이니 뭐니 하면서 다 대체해버릴지도..?
@JIyuziyu
@JIyuziyu Жыл бұрын
지금 인력의 1/10만 채용하겠죠
@user-no5hu9pn7k
@user-no5hu9pn7k 4 ай бұрын
권애리기자님~~ 경제뉴스 감사합니다
@TV-jc5jn
@TV-jc5jn 5 ай бұрын
얻는게 있으면 늘 잃는게 있다더니..그냥 적당히 발전되었던 과거가 더 그리운건 뭐지. 맨날 살기 힘들고 괴상한 뉴스 볼때마다 사는게 무기력해집니다.
@1dkssudgo
@1dkssudgo 2 ай бұрын
은행 창구직원 없애지마!!!! 너무 불편하다고여!!!
@pridekorea4595
@pridekorea4595 9 ай бұрын
반도체가 없어도 사람은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성적인 식량부족과 극악의 주거환경, 에너지 부족, 수자원의 부족 등은 어떤 식으로 대처해 나갈 지 솔직히 궁금합니다. 과연 눈 앞에 닥쳐서 이번 잼버리 사태처럼 허둥지둥 할 지 아니면 사전에 대비를 할지 믿음이 가질 않네요. 돈이 있어도 물과 식량은 구할 수 없습니다. 모든 국가들이 제 코가 석자이기 때문입니다. 머지않아 우리가 마주해야 할 미래의 모습을 생각하면 요즘 정치권이나 정부가 하는 짓은 참 한가해 보입니다. 한 줌도 되지않는 권력다툼에 해 저무는 줄도 모르는 병신들의 행진 같아서 입니다.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5 күн бұрын
반도체가 없으면 냉장고도 못 써 븅신아 ㅋㅋㅋㅋ
@mjkim9193
@mjkim9193 Жыл бұрын
이제 언론사 기자들도 AI로 대체해야한다.
@user-hl5eh5ky2f
@user-hl5eh5ky2f Жыл бұрын
그러다 나중에 ai한테 인간이 지배당한다
@mjkim9193
@mjkim9193 Жыл бұрын
@@user-hl5eh5ky2f 판사 검사 경찰 기자 AI로 대체되어야함. 그게 본질임.
@mjkim9193
@mjkim9193 Жыл бұрын
@JR S 얀마 그리고 AI라는거는 학습 지각 추론 하는 인공지능을 뜻하는거여. 소프트웨어는 대게 컴퓨터프로그램을 일컫고. 하드웨어는 기계적인 컴퓨터 기기를 뜻하는거고 이 비웅신아;;;; 이새끼 이거 중졸이냐?
@mjkim9193
@mjkim9193 Жыл бұрын
@JR S 형이 알려줄게 이 무식한 놈아... AI라는거는. 학습 지각 추론 할수있는 능력이 있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능이 있으며. 상위기능에는 머신 러닝있다. 너가 말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는. AI의 가장 기초적인 소프트웨어(보통 컴퓨터 프로그램). 하드웨어 (컴퓨터의 기계적인 부분을 일컫음)을 담당 하지. 너가 말한 AI는 소프트웨어지 하드웨어가 아니에요! 뿌애앵! 님 대학도 못 나왔죠? 이게 얼마나 무식한 소린지 알겠니? 나같으면 얼굴을 들수 없겠다. 이 무식한놈아;;어디 대학 나왔니?
@mjkim9193
@mjkim9193 Жыл бұрын
@JR S 야. 현장조사 다한다. 됐냐? 이미 만들어 지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판사 검사 경찰 기자.
@user-fj5hs7od8b
@user-fj5hs7od8b Жыл бұрын
3:24 이 부분에서 이런 변화로 보면 이라는 표현이 애매한거같습니다. 저 부분은 사라진다는 건가요 앞선 인공지능전문가와같이 각광받는단 표현인가요?
@jae025seo7
@jae025seo7 Жыл бұрын
자격증도 필요 없이 일하던 모든 직업은 그동안 AI나 기계보다 저렴한 인건비 덕에 가능했던것. 이젠 인건비가 올라감은 물론 사고라도 나면 고용주에게 책임을 가하니 고용주도 살아남으려면 기계 설비를 도입해야함
@viewee22
@viewee22 Жыл бұрын
덧붙이자면, 자격증이라는 것도 중장비나 안전관련된 자격증을 제외하고는 의미가 퇴색됐죠. 자격증에 의미를 두기보단, 실질적으로 일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user-rs1cj1ic9r
@user-rs1cj1ic9r Жыл бұрын
문재앙효과
@Andidmylife
@Andidmylife Жыл бұрын
@@viewee22 일할수있는 역량은 어디서 키우나요~
@etu91123
@etu91123 Жыл бұрын
@@viewee22 보통 회사에서 자격증으로 기본기를 판단하고, 역량은 경력으로 판단 하고 직원을 뽑죠. 퇴식된게 아니고 오히려 중요성이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남들 다 있는 자격증 본인만 없다면 회사에선 스펙 안쌓은걸로 판단해버립니다. 아에 면접 기회조차 안오는걸 경험할 겁니다. 어떤좋은자리가 있을때 100명이 지원한다면 1차 이력서에서 보통 그분야의 전문 자격증이나 포트폴리오를 먼저 보고 면접 기회가 주어집니다. 자격증 조차 없으면 면접 기회도 안주어집니다. 이게 현실이고 펙트입니다. 그 흔한 역량조차 발위할 기회조차 안주어지기 때문에 자격증은 필수인 시대입니다. 2023년기준입니다.
@goodshining
@goodshining Жыл бұрын
​​@@viewee22 역량만으로 취업이 될까? 자격증+역량이 되어야 시너지 효과가 생기지 자격증+역량 가진 사람 차고 넘침 역량만으로 경쟁력이 가능할까? 님 같은 생각은 이명박 정권 전에나 가능했던 일
@user-to4hg7tq1b
@user-to4hg7tq1b Жыл бұрын
은행 가면 입.출금 창구는 1개 밖에 없고 대출 창구는 7~8개 있는대 정작 입.출금 창구에 고객이 대부분 몰리고 대출창구 직원들은 컴퓨터나 휴대폰이나 쳐 보고 있던대 이런 문제나 좀 해결하든지 해라
@user-ou8db2ir2q
@user-ou8db2ir2q Жыл бұрын
법원 판사가 AI로 빨리 대체되었으면 좋겠다
@user-qe9pe8qq6r
@user-qe9pe8qq6r 9 ай бұрын
가장먼저 국회의원수 를 팍 줄여야 할것이다 국민들세금이 대거 급여로 들어가니 국민들 살림이 나아지질 않음..
@chanheo4950
@chanheo4950 Жыл бұрын
은행거래는 더 확실히 본인 인증이 되고 사기 의심 감시체계가 개발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수가 안줄어들 것 같은 직업은 교도관 입니다. 범죄자는 늘어나고 있거든요.
@Aura_Battler
@Aura_Battler 6 ай бұрын
그런데 교도소가 적어서 감방갈 놈이 돈 내고 나오자너
@user-gs3bv3iq9v
@user-gs3bv3iq9v 6 ай бұрын
글쎄요 값싼 ai로봇이 나온다면 모르죠
@user-sp9zv8rg4p
@user-sp9zv8rg4p Жыл бұрын
AI가 기존 의사들보다 정 확도 더 (처방)높다는 실험이 미국에서 이미 나왔다고 함. 이제 회계사 변호사 의사 판사 등 이 어느날 삽시간에 일자리 사라질수도 있습니다~ 정확도가 ,AI가 시간과 비례하여 높아짐. 스마트폰이 카메라 팩스 후레쉬 등...그야말로 없어진 산업(일자리)가 헤아릴수조차 없듯이..이제 시작에 불과..
@bubble2320
@bubble2320 Жыл бұрын
Data Science 분야 전공자입니다. 팩트를 말하자면, '단순반복 업무' +' 창의력이 적게 관여' 하는 분야일수록 AI 대체 확률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판사, 검사, 변호사, 의사(정신과 같이 사람을 많이 상대하는 분야는 덜합니다.), 약사 등 소위 '전문직'들이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미 동유럽의 한 국가에서는 가정법원에 AI 판사를 시범도입을 한 상황입니다. AI 기술이 이정도로 발전한 것이 현실이고, 당장 내일이라도 한국에서 약사를 AI로 대체한다고 해도 가능한 수준으로 지금 기술이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언제 저 소위 말하는 '전문직'에 시범도입이라도 될지조차 미지수입니다. 왜일까요? 바로 저 직종이 '기득권'이기 때문이라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정치권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대체를 못하는 겁니다. 그래서 예상해보자면, 한국에서는 기득권이 아닌 직종인데 앞서 언급한 단순반복 업무 + 창의력이 적게 관여하는 분야부터 AI 대체가 서서히 되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가게 점원, 판매원, 상담원(고객센터에서 근무하시는 분들), 회사원(AI 개발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같은 분들은 제외하고 단순 사무직), 택시 운전사, 버스 운전사 분들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공무원도 위험합니다. 벌써 가수, 배우에서도 도입될 기미가 보여지는 상황이기에(이들은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의 코드에 불과하기에, 각종 논란에서도 자유롭다는 점이 있지요.) 앞으로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가 있을것으로 보여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TV-ls7ig
@TV-ls7ig 9 ай бұрын
농기계 수리기사 앞으로 전망이 좋다니 다행입니다. 수리기사님들 다들 화이팅!!!
@user-bw6bu4wc6e
@user-bw6bu4wc6e 20 күн бұрын
농기계 수리기사 좋다는것 시장 조사 않한 자료 입니다. 시설제배로 자동 시스템화 되어 갑니다. 쌀 ,목축업외에 장비사용 않합니다. 농기계업계 매출 20% 축소 되엇읍니다.
@for_what_or
@for_what_or Жыл бұрын
극한의 효율성만 추구하다가 결국엔 인간이 필요하지 않은 시대를 원하는것 같아 소름돋는다. 본인들도 언젠간 쓸모 없어지고 외면당하는 시기가 올텐데, 남이사 내 알빠 아니다 라는식의 극한 이기주의와 저급한 욕망이 결국 인간을 없애버리고 인간이 낳은 '최후의 자식' 에게 결국엔 무능력하고 필요가 없단 이유로 잔인하게 버려질 본인들의 미래를 스스로 밟아 나아가는 현실이 참 안타깝다. 그게 인간의 운명이라면 받아들여야 겠지만 훗날 목숨이 막바지에 다다랐을때 다시한번 그때의 당신을 생각해볼 기회가 왔으면 좋겠다. 인간은 내로남불 그 자체인듯
@iolalife8707
@iolalife8707 9 ай бұрын
판사들을 쳇gpt로 바꿔야함 일안하는게 느껴짐 세금도 줄이고 객관적 판단해서 형벌을 제대로 내릴 수 있음
@user-ly2bc9pw1o
@user-ly2bc9pw1o Жыл бұрын
그나마 노인들이 할수있는게 경비인데..마음이 아픕니다
@user-rc7xh8ng6g
@user-rc7xh8ng6g 8 ай бұрын
경비가 사라지긴어렵습니다.. 아무래도 기업에 소속되어있는 경비는 솔직히 잘모르겠습니다만 대기업 계열사는 나름 안전하겠죠? 국가중요시설 특수경비, 대기업 계열사 일반경비와 기계경비원은 사라지진않을것같습니다 5년안에100만명 200만명? 까지는 잘모르겠어요 그치만 완전히 사라지진않을거에요 한20년안엔 차츰차츰 사라질수도있을것같아요..
@abn-rw5ir
@abn-rw5ir 4 ай бұрын
감사 합니다🙏
@IIIIIIIII563
@IIIIIIIII563 Жыл бұрын
금형과 같은 제조업은 어떻게 되려나요? 뿌리산업인데 정말 없어질까요?
@user-rh5cm9hu9e
@user-rh5cm9hu9e Жыл бұрын
없어지는 일자리도 문제지만 일할사람도 없어지는게 더 문제다
@MrYongminkim
@MrYongminkim Жыл бұрын
그건 문제가 되지 않음 킹한민국보다 인구가 적어도 선진국인 나라가 유럽에서 존재함 중요한건 사람이 아니라 시스템의 구축임
@catiscute___
@catiscute___ Жыл бұрын
문제 인
@user-rh5cm9hu9e
@user-rh5cm9hu9e Жыл бұрын
@@MrYongminkim 아직 우리나라의 인구문제를 모르시나 보네요 급격한 인구감소가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올지 상상하기도 두렵습니다.
@grida7000
@grida7000 Жыл бұрын
일할 사람은 넘쳐나는것 같아요. 일자리가 없어서 문제지.
@Vietnam.No1
@Vietnam.No1 Жыл бұрын
​@@grida7000 초중고 폐교되고 잇는데 일할사람 넘치는거 맞음?
@dsadash8962
@dsadash8962 Жыл бұрын
은행 빨리 대체됐으면 합니다 ㅠ 3시 4시에 샷다내리고 일반 직장인들은 은행가려면 반차쓰던가 해야하는데 참 짜증나죠... 뭐 샷다 내리고 일한다는데 그건 제 알바 아니고요. 그럴거면 걍 재택하지 은행 왜 출근하나요>?
@user-nh5vn7pf8f
@user-nh5vn7pf8f Жыл бұрын
단언컨데..앞으로는 소수의 사람만 보다행복하게 살고..수많은사람이 잉여인간으로 남을것이다
@user-mt3cs1hj3z
@user-mt3cs1hj3z 9 ай бұрын
은하철도999의 철이 : 아...나도 기계인간이 되어서 잠안자고 일하고싶다
@katkk43
@katkk43 2 ай бұрын
난 행볻할거야🎉
@user-ds5df2ed9v
@user-ds5df2ed9v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네요🙏🏻
@choichoi2382
@choichoi238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절대 못사는 나라가 아니다. 해외 나가보면 우리나라처럼 살기좋은 편리한 나라가 드물다. 단~정치가 후진국이라 이모든 장점이 정치꾼들에 의해서 나라가 망해가는것이다. 따라서 정치꾼들이 득실대는 국회의원을 대폭 줄이던지 아예 없애버려야 한다.
@user-mt3cs1hj3z
@user-mt3cs1hj3z 9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세계10위 선진국인 나라인데 상위 50%의 삶보면 그냥 개발도상국 국가의 중산층 일상임...그만큼 위에서 다 헤쳐먹고있다는 얘긴데. 중국이랑 필리핀, 태국, 인도갑부들 보면 한국은 순한맛이라는게 슬픔ㅜㅜ
@jgd824
@jgd824 6 ай бұрын
그럼 정치인들도 싹 다 ai로 바꾸는걸로 굿 아이디어네
@lhan156
@lhan156 Жыл бұрын
열심히 유불리를 가려 보지만 사람을 대체하지 못 할 기술은 없다. 시기의 차이일 뿐 ...
@ryannolan790
@ryannolan790 Жыл бұрын
사무직도 다 대체가능함 현재 일반 직장인들 90%는 대체 가능할듯
@user-sc8ws2ru5e
@user-sc8ws2ru5e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주입식 때려놓고 창의적을 바라는 캬~
@knowtalk
@knowtalk 9 ай бұрын
일자리 없애는게 불행이 아닌 축복이 되기를. 대부분의 생산, 서비스 까지 인공지능이 대체되어 인간은 놀고 먹고 소비만 해도 생활이 가능한 사회가 되길.
@parkkki
@parkkki 9 ай бұрын
놀고 먹길 바라는 무뇌?ㅋㅋㅋ 공짜가 어딧노? 서비스를 이용할라면 돈이있어야지???????
@iIiiililliiiliI
@iIiiililliiiliI 9 ай бұрын
돈은 누가벌어다주누…
@U2HS1D
@U2HS1D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2050년 이후 인구가 3000만명대로 줄더라도, 안망하고 버티려면 AI + 로보틱스 + 무인자동화에 답이 있다.
@user-kz2lu8ec3x
@user-kz2lu8ec3x 7 ай бұрын
2030년까지 가도 바닥인데
@user-mm7mf2xg4t
@user-mm7mf2xg4t 6 ай бұрын
미친.....
@user-bd2yq9oh5j
@user-bd2yq9oh5j Жыл бұрын
농사짓고살아야겠네요 결국 힘들고 몸으로 일하는 3d업종이거나 아예 신사업중심의 엘리트직종이거나네요
@user-yo4ko5vl8u
@user-yo4ko5vl8u 15 күн бұрын
농사도 돈이 있어야...
@roy_1273
@roy_1273 Жыл бұрын
AI가 확대되면 은행보다 뉴스 앵커가 더 빠르게 대체되지 않을까? 현장 앵커 제외하고는 서서 대본 읽어주기만 하는데 요즘 뉴스 틀면 트는 뉴스마다 거의 모든앵커가 말을 전다.. AI가 대체화면 넣고 음성만 나오는게 더 정확하고 분명하게 전달될듯
@tkddnr617
@tkddnr617 Жыл бұрын
한때 은행고객센터에서 상담원으로 1년간 일한 적 있습니다. 일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지점수 줄이는 것도 적당히 해야지 이건 너무 심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가장 크게 들었습니다. 은행이 지점 줄이는 거 진짜 심하게 많이 줄이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지점을 운영하지 않는 것이 목표인 것 같습니다. 은행원은 틀림없이 가장 빨리 없어질 직업임이 틀림없습니다. 은행 고객센터에서 일하다보면 전산 지점 정보에 보면 지점직원들 정보도 보이지만 해당 지점이 통폐합되었거나 통폐합될 예정이면 관리자들이 '해당 지점은 202○년 ○월 ○일에 □□지점과 통폐합됨', '해당 지점은 ○○지점에 통폐합될 예정' 이런식으로 통폐합 이력을 메모남겨놓는데 이렇게 통폐합 이력 메모가 안적혀있던 지점을 일했던 1년 동안 단 한 군데의 지점도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지점 없어졌나요? □□지점이 어디로 통폐합되었나요? 문의도 엄청 많았고 ♤♤지점에서 대출을 받았는데 어느 지점이 대출관리지점인가요? 문의 역시 많이 받았습니다. 지인 중에 누군가가 은행원을 한다고 하면 뜯어말릴겁니다
@xoxoopark3836
@xoxoopark3836 Жыл бұрын
지역농협도 마찬가지인가요?
@tkddnr617
@tkddnr617 Жыл бұрын
@@xoxoopark3836 농협이 아닌 다른 은행에 있었는데 그건 모르겠습니다. 제 뇌피셜인데 거기라고 사정이 크게 다를것같진 않습니다.
@kangkang6265
@kangkang6265 Жыл бұрын
화상으로 하는 비대면창구 만들던데요.
@tkddnr617
@tkddnr617 Жыл бұрын
@@kangkang6265 네. 저도 그건 알고 있어요. 전 그걸보고서 지점수를 더욱 더 대놓고 줄이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작년 10월에 퇴사했는데 그 은행은 그 시점까지도 그런 비대면 창구는 없었어요.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진 모르겠지만요.
@kwangj3394
@kwangj3394 Жыл бұрын
ATM 이 보급된지 언제인데 아직도 사람을 쓰나 최초 첨퓨터 애니악도 계산을 하기 위한 목적이었고 아직까지도 사람을 쓴다면 그건 결정권자의 근무태만이다
@user-vi3mm4lm7b
@user-vi3mm4lm7b Жыл бұрын
요즘 음식점 식탁에 앉아 모니터 화면으로 터치 주문 하는 거 너무 편하고 좋음 감동적임😊
@user-tn1yw7uo9p
@user-tn1yw7uo9p Жыл бұрын
나두~불친절한 종업원보다 낫더만
@animatok2524
@animatok2524 Жыл бұрын
서빙도 로봇이 해주자너 ㅋ
@user-kb1ge6ck3p
@user-kb1ge6ck3p Ай бұрын
맞아요 틱틱대는 알바들 꼬라지보고 기분 상하느니 차라리 로봇이 나음
@korea2130
@korea2130 Жыл бұрын
택배기사는 로봇, 인공지능 발전의 영향을 받을려나요?
@teeell9444
@teeell9444 Жыл бұрын
개발자도 AI를 보수하는 생산직과 비슷한 저임금 직업이 될 것 같아요. AI가 근로를 대체하는게 아닌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법적 보호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고용주 입장에선 비용이 저렴한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겠죠. 오히려 기계를 만드는 비용이 더 드는 노동 그러니까 기계조차 하지 않는 노동을 마치 기계를 돕는 일을 하는 게 근로자의 위치가 될 것 같습니다. 법이 개정될 때마다 AI가 빠르게 지식을 교체하거나 과거 판례를 근거로 판단하는 방식인 법조계도 AI가 대체 가능할 것 같아요. 살아남는 직종은 사업자 정도일 듯. 그리고 전문직은 보수 안 올라요. AI가 생산과 판단 기능을 대체하게 되면 뇌가 할 일의 일부를 AI가 대신하기 때문에 게으름병이 만연하게 될 듯 (스마트폰이 뇌를 변화시키 듯이요)
@chanchan-wo7fc
@chanchan-wo7fc Жыл бұрын
이미 10년전에 은행원이 가장 빠르게 사라진다고 했다. 눈 앞에 보이니 신기할 뿐이다
@user-bc6ws5hl5x
@user-bc6ws5hl5x Жыл бұрын
신규인력을 안뽑는거지 은행원들은 안없어져 텔러가 없어지는거지 그리고 은행원들은 명퇴제도실시하면 퇴직금 위로금 연차수당 다 해서 4~6억받고나온다
@user-br5qu9uj9b
@user-br5qu9uj9b 27 күн бұрын
은행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시스템을 알아서 돈을 빼돌리기도 하겠죠. 기업은 직원들을 잘감시해야됩니다, 특히 불경기에는
@mnbvcxzjqk8198
@mnbvcxzjqk8198 Жыл бұрын
은행대출업무 비대면은 나중에 문제가 될듯싶은데...
@user-gi5pz3zg5e
@user-gi5pz3zg5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걱정안해도 될듯 인구가 알아서주니
@user-qz1yw9dj1w
@user-qz1yw9dj1w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다, 사람이 가진 가장 큰 무기는 빠르게 변화되는 세상에 맞출 수 있는 태도일 듯 죽는 순간까지 자기계발이 생존이다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Жыл бұрын
늘 삶을 대하는 태도가 중요했음 (세종대왕님)
@pinemarten4371
@pinemarten4371 Жыл бұрын
거창한 말과 매칭이 안되는 ㅈ같은 단어.. 인지부조화가 온다.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Жыл бұрын
@@pinemarten4371 공자 : 배우지않고 생각하지않으니 뇌가 흐리멍텅해서 자기가 무슨 짓을 하는지 모르는구나(배우지 않으니 태도가 문제다)
@user-DorejoAYo
@user-DorejoAYo 11 ай бұрын
10대 친구들 20대 대학생 및 취준생 여러분 직업 선택하실때 잘 선택해서 결정하세요!!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역시 기술주 투자가 답인 거 같아
@Soleiaaaz
@Soleiaaaz Жыл бұрын
이 사회에 제일 무쓸모한데 돈은 잘버는 직종 : 약국약사…제약 연구쪽이면 모를까 약국 약사들이야말로 제일먼저 ai와 로봇으로 대체되도 무방함 ㅋㅋ
@user-wy9so6yd8p
@user-wy9so6yd8p Жыл бұрын
자격지심
@LuckyGuy_JK
@LuckyGuy_JK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중학생 세대는 나중에 일자리 넘처남 물론 사라지는 직업군들이 많아지지만 인구가 없다는 이유 때문에 슬픈 일이지
@user-xo8yc6tn1h
@user-xo8yc6tn1h Жыл бұрын
응 과거엔 인간이 인간을 대체했지만 앞으론 인간다수를 기계가 대체함 일자리 없어 상위인간은 잘먹고 잘살고 하위인간은 도축되는 세상이 올거다
@seokilkim5403
@seokilkim5403 Жыл бұрын
80먹어도 일하고 중학생 세대들 일자리는 여전히 부족하지 않을까?
@xpfks0726
@xpfks0726 Жыл бұрын
​@@sahrahnghahndah졷소기업이나 그렇지 좋은 기업은 안그럼ㅋㅋㅋ 내 친구도 도쿄사는데 소니 서류 통과하고 면접 4번 더 봐야됨. 양질의 직장은 일본도 힘들고 한국도 졷소 들가긴 쉬움
@user-vy7qj4ff2p
@user-vy7qj4ff2p Жыл бұрын
말도 안되는 소리죠 지금이나 10년후나 큰변화 없습 니다
@hundoshi7
@hundoshi7 Жыл бұрын
지금 중학생 세대는 중년 되면 김씨 일가 밑에서 지정해주는 일자리 받을건데 뭐가 많아? 농장에서 일하라년 일하고, 광산에서 일하라면 평생 일하는거지 뭐 27년후 한국 출생아 7만 미만, 군병력 15만 미만, 국민평균연령 60세 북한 현재 출산율 1.9명, 출생아 39만, 군병력 128만, 국민연령 34세, 핵무기 다수 보유 휴전국가에서 군대 없으면 그냥 병합되는거지
@maniwayogi_3785
@maniwayogi_3785 Жыл бұрын
음식점 . Plummer 화장실 변기 세면대 싱크 하수구 등등 고치는 직업 , 시멘트 ,집 짓는 사람, 미용실 , 의사 , 등등 앞으로도 계속 잘될 직업 같아요 . 손이 직접 가는 직업이니깐요.
@user-pd5gz5xo6x
@user-pd5gz5xo6x 8 ай бұрын
머리도 더잘잘라요 AI가
@Baeksz
@Baeksz 7 ай бұрын
집도 3D프린터 기술로 척척 짓는대요
@user-kz2lu8ec3x
@user-kz2lu8ec3x 7 ай бұрын
도배 장판 이사는 왜빼요 누수도있네 건축쪽은 다 호황
@jgd824
@jgd824 6 ай бұрын
의사도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던데
@user-xu5qz5yj7y
@user-xu5qz5yj7y 5 ай бұрын
미용사는 인정이다 커트해주는 기계가 나온다고 해도 사람에게 받을듯 귀짤릴까 무서워서
@user-3m7kth569
@user-3m7kth569 Жыл бұрын
생산성없는 관리, 창구 직종부터 먼저 없어지네 결국 생산성없는 일을 미래도 없다는게 전세계 현실... 특히나 대한민국은 더 그럴듯...
@user-op5op5op5
@user-op5op5op5 Жыл бұрын
바닥일자리는 토종한국인을 위한 마지막 복지이다. 이것을 불채자,난민,외노자에게 일자리를 양보한다는것은 위험하다. 힘없고, 빽없고 , 기댈곳없는 사람에게 바닥일자리는 마지막남은 희망이다.
@user-ll1nb9iy5y
@user-ll1nb9iy5y 11 ай бұрын
안하는데.. 복지고 나발이고 걍 외국인 풀어주길..
@user-rt1oi8zt3j
@user-rt1oi8zt3j 10 ай бұрын
몸값을 터무니 업이 부르는데 누가 채용할까
@nullerror934
@nullerror934 5 ай бұрын
이미 중국인(조선족)이 차지했음 ㅋㅋㅋ
@hc9855
@hc9855 Жыл бұрын
모든건 돈에 의해 결정될것 같은 느낌 ai나 기계를 쓰는게 사람을 쓰는것 보다 더 싸다 생각될 직군의 개발 속도가 빠를꺼고 사라질 위험도 높죠
@user-nt7fm3zo1j
@user-nt7fm3zo1j Жыл бұрын
나중에는 AI가 AI스스로를 발전시키는 시대가 도래하는 특이점이 오면, 인간이 새로운 직업을 가지려고 교육받는 몇년 사이에 그 직업이 싹다 AI로 대체되버릴 수도 있을 듯.
@user-nx9zb8md7h
@user-nx9zb8md7h Жыл бұрын
오오 소름
@user-sz9jq5xb9k
@user-sz9jq5xb9k Жыл бұрын
레이커즈와일의 특이점
@user-cu4nb6sb9o
@user-cu4nb6sb9o Жыл бұрын
5년 전에 발표한 것이 지금 어느정도 적중했는지도 필요
@vmdbxm
@vmdbxm Жыл бұрын
지금 학생들은 이런 뉴스보면 막막허겠다.. 공부를 얼마나 해야되는거여..
@fantasticfarm007
@fantasticfarm007 Жыл бұрын
걱정하지 마세요 , 자식을 낳지 않아 인구가 계속 줄게 되면 문제가 해결 됩니다, 일자리에 맞춰 인류의 량을 조절해야죠, 참 그럼 AI세계 안에 인류가 있게 되는건가?
@user-ir6jq9tr1i
@user-ir6jq9tr1i 11 ай бұрын
앞으로 가장 늘어갈 일자리 화류계가 아닐까요? 일반 회사들보다 면접 경쟁률이 너무 치열합니다
@user-un8bm4mo3z
@user-un8bm4mo3z Жыл бұрын
예상했던거 아닐까? 추가로 요식업도 위험하죠 기계로 닭도 튀기는데 ㅎ 서빙까지 이제 실업자가 넘칠듯
@gaesomun1348
@gaesomun1348 Жыл бұрын
기본소득 + 최저임금 해서 월 수령액 350~400 정도면 불만 없음 큰 자본들은 ai로 스트레스 사라지니 쉽게 돈벌거고 일반인들은 최저임금 일자리만 남을것이고 앞으로 기본소득 없으면 폭등 일어날거고 점점 힘들어저서 결혼 출산은 사라질거고 상위 10% 사람들만 남아서 로봇이랑 살던지 지금부터 기본소득 대책을 마련하던지
@kjlee5105
@kjlee5105 10 ай бұрын
기본소득ㅋㅋㅋㅋ 복지는 줄어들수밖에 없음
@gaesomun1348
@gaesomun1348 10 ай бұрын
@@kjlee5105 안하면 공산혁명임
@ddd-zi8cd
@ddd-zi8cd 10 ай бұрын
실업율 20퍼 30퍼쯤 되면 논의할듯
@kjwh35
@kjwh35 9 ай бұрын
기본소득도 최저임금도 많이 받아봐야 인플레이션오면 그거나 그거임ㅜㅜ
@user-lr4mi8wc4k
@user-lr4mi8wc4k 2 ай бұрын
​​@@kjlee5105 기본소득은 복지개념이라기보단 경제개념입니다.
@yyjj1137
@yyjj1137 8 ай бұрын
학교서 국영수니 역사니 이딴거나 배울때가 아니다
@user_yong
@user_yong Жыл бұрын
결국에는 인간 자체를 직접 다루거나, 인간이 필요한 기계를 다루는 기술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의료계, 피트니스, 스포츠, 뉴스에도 언급되었던 프로그래머와 기계공 등등.
@yj1437
@yj1437 Жыл бұрын
의료계 중 의사는 ai가능성 있다고 말 많이 나옵니다.
@jkkim9626
@jkkim9626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래머도 인공지능 발달로 단순 코딩 하던 애들은 다 잘렸어
@user-kz2lu8ec3x
@user-kz2lu8ec3x 7 ай бұрын
ㅋ 고장나서
@user-bs6yc2hr5d
@user-bs6yc2hr5d 2 ай бұрын
미술 디자이너도 다잘림 미대생어카냐
@user-du2co8xh5f
@user-du2co8xh5f Ай бұрын
이제 웹툰 디자이너도 한물갈듯. 차라리 창의적인 극본 글 쓰는게 조금 나을듯.창작 글도 ai가 더 잘 쓴다고는 하지만~ 큰일이다 ㅎ
@user-fi9ig3zn4v
@user-fi9ig3zn4v 9 ай бұрын
인간의 삶의 질을 위하여 만들어지는 Ai인데 일자리가 떨어져서 팍팍해지는 인생을 산다는게 모순이다 편리해진 만큼 인류의 삶을 책임지는 정국의 자세도 중요하다
@srutsrut47
@srutsrut47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ai로봇은 노가다 공사판에서 벽돌들고 계단오르는거 엄청 힘들어함... 그러나 숫자나 판례분석 등 사무직 전문사짜영역은 인공지능ai 로봇에겐 엄청 쉬움... 즉.. 인공지능세상이 오면 몸쓰는 단순노무직이 살아남고.. 전문사짜 사무직 등의 일자리가 없어짐...
@user-mr3tx2rq5o
@user-mr3tx2rq5o Жыл бұрын
반대임. 단순 힘쓰는건 기계가 먼저 대체하고 있고, 전문직 같은 경우에는 단순한 직역수행 뿐 아니라 법적인 책임을 지는 대상이기 때문에 기계로 온전히 대체되기는 어려움. 노가다나 유통 물류 -> 단순 사무직 -> 전문직 순으로 대체되면 됐지 그 반대는 전혀 아님.
@user-mr3tx2rq5o
@user-mr3tx2rq5o Жыл бұрын
애초에 AI가 탑재된 "기계"일텐데 힘들어한다는건 뭔소린지
@user-nn8ug2jr7b
@user-nn8ug2jr7b 10 ай бұрын
이미 3d프린터로 건물도 짓는 시대임. 벽돌지고 올라간다는 발상자체가 구시대적인게 이미 장비나 리프트로 자재 올리지 사람도 그렇게는 안함ㅎㅎㅎ
@user-lh9jr4ng6g
@user-lh9jr4ng6g Ай бұрын
​@@user-nn8ug2jr7b지금도 계단타고 자재곰빵 많습니다. 대규모 고층 아파트만 짓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애매한 층수인곳은 타워크레인을 설치할수도 없고 호이스트를 설치할수도 없습니다. 일단 돈이 더 들어 가잖아요. 곰방 불러서 자재곰빵 몇번 시키면 돈적게 들이고 원하는 위치에 자재 다 옮겨놓는데 그럴때 인간이 필요한거고 로보트가 긴 다루끼를 계단사이로 간신히 집어넣어서 목수자재를 옮기는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오히려 몸쓰는 단순일은 사무직에 비해 대체하는게 더 어려울거 같습니다. 생각보다 더 고도화된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앞서 3d프린팅으로짓는다고 하는데 그것도 한계가 명확합니다. 단층구조나 2~3층 정도라면 모를까 중층이상 올라가면 하중을 버틸 기둥부터해서 엘리베이터등 모든게 복잡해집니다. 단순히 3d로 찍어서 할수없는 영역이 있습니다. 고로 몸쓰는 일은 오히려 늦게 타격을 입을 확률이 큽니다. 지식업에 비해서요
@mlpzaq7063
@mlpzaq7063 8 ай бұрын
판사는 반드시 사라져야함
@user-wx2gt7dt1t
@user-wx2gt7dt1t Жыл бұрын
은행직원인데 증권 금융쪽으로 이직 준비중입니다.
@Armor_of_God777
@Armor_of_God777 Жыл бұрын
요즘 법조인들이 개판이라 판사 가 사라지면 좋을듯 인공지능이 대체하면 어떨지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앞으로는 기초수급과 시간제한 일자리가 선택 연동해서 세금을 더 걷고 고용을 늘리는 시스템이 적용 되면 문제가 해결 가능 함,
@user-gu6lz7kl5c
@user-gu6lz7kl5c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대 프리랜서 시대가 올 것 이다 개인의 생활방식 과 기업의 고용 방식이 충돌 하니 업무 대한 계약 으로 바꿔 질 것 배달 라이더 처럼 한 건 한 건 업무 오더가 나오면 프리 랜서가 처리 하는 방향으로 변화 될 것이다
@yoontaekim7047
@yoontaekim7047 Жыл бұрын
세상엔 영원한건 절대 없어~~
@JJART8843
@JJART8843 9 ай бұрын
은행은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어요ᆢ 휴대폰 잃어버리면 힘들고 ᆢ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9 МЛН
🐯코딩? 농부? 미래에 인기있을 직업과 산업군 전망ㅣMMM @MickeyPedia
15:15
MZ세대 '손노동'에 빠졌다 / SBS / 모아보는뉴스
26:09
SBS 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