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9

  Рет қаралды 46,112

하정훈의 삐뽀삐뽀 119 소아과 (삐뽀삐뽀 119 소아과)

하정훈의 삐뽀삐뽀 119 소아과 (삐뽀삐뽀 119 소아과)

Күн бұрын

훈육은 두돌 전에 기본틀 완성하자
바른행동을 지속적인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
“안돼” 만으로는 훈육할 수는 없다
훈육은 특별히 가르치는 것 아니다
가족과 함께 살다보면 저절로 되는 것
훈육은 어떻게 하나
붕어빵 찍듯이 찍어 나오는 것
가정의 틀 속에서 저절로 훈육된다
훈육은 가르친다기 보다는
훈육이 되는 것이다
훈육이 되는 가정의 틀은
부모가 권위 있고
위계질서가 있고
가정의 규칙을 만들고
아이가 지킬 한계를 명확하게
이걸 무조건 지키게 하는 겁니다.
여기에 부모의 적당한 배려도 중요
훈육을 할 때
확신을 가지고 밀어붙이자
부모의 권위가 중요
하루의 일과 리듬이 일정해야
신생아 때부터 지속적으로 하자
이론적인 공부 육아는 이제 그만
이런 저런 전문적인 방법들 많다
특별히 부모가 공부를 해야 하는 훈육은 곤란
아이도 부모도 힘들어진다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훈육되는 것이 중요
잘 안되는 아이도 있다
100% 되는 육아법은 없다
그대로 대부분은 이게 된다
잘 안되면 제대로 하는가 다시 확인
그래도 힘들면 할 수 있는 만큼 하자
부모의 일상이 중요
바람직한 일상에서 훈육이 된다
훈육은 계속해야 한다
두 돌 전 훈육이 중요
두 돌까지는 훈육의 틀을 만들자
두 돌 지나서도 틀 훈육이 중요
이후에는 언어 훈육이 추가된다
훈육 안된 아이는 지금부터라도 시작하자
#육아 #삐뽀삐뽀119소아과 #훈육 #인생 #자기통제
배경음악은 Bensound로부터 Standard Licence를 구입하여 사용 허가를 받은 음악입니다.

Пікірлер: 75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6 күн бұрын
훈육의 예!! 1 카시트 kzbin.info/www/bejne/fmGUhXWdnLKgd9Usi=Y5dS-Ai7OwrnIzMm 2 양치 kzbin.info/www/bejne/g5bbdYaAiNWZe9Usi=hhMyG7pE_OXDuFKH 3 식습관 kzbin.info/www/bejne/nXqynWCVbpqpmJIsi=2OAocyhfxFhsypOi
@송남수-c1y
@송남수-c1y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맨날 최고~ 아이에게 살면서 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선물이지요❤
@yoojinkom8509
@yoojinkom8509 6 күн бұрын
결론:부모는 자식의 거울이다.
@hyeminjun
@hyeminjun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이 계셔서 참 감사합니다
@Rihanzzang
@Rihanzzang 5 күн бұрын
아기를 키우다보니 엄마아빠맘을 그제서야 이해하게되고 어른이 되어가는 느낌이에요. 선생님 유튜브 보며 육아갈피도잡고~ 매번 도움받아서 항상 감사합니다 ❤
@이효정-e2f
@이효정-e2f 6 күн бұрын
물건 던지면 안돼, 발로 차면 안돼, 소리지르면 안돼 안된다고 해야하는게 키우다보면 너무나 많은데 ~~안돼 하면 아기가 안돼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따라합니다. 그러한 모습을 보고 집안 어른들이 너무 엄하다 안된다는 말을 너무 많이 한다 등 이야기가 많은데 저희가 잘 훈육하고 있는게 맞는지 어렵네요.
@kongshouse7554
@kongshouse7554 6 күн бұрын
그래도 해야죠. 나중에도 해야하니까 ㅜ😢
@yoonyoon._
@yoonyoon._ 6 күн бұрын
저희는 그래서 안돼라는걸 가르쳐주되 말은 다른걸로 하고있어요~ 이거는 하지말자 다른거 하자 라던가 이거는 이제 할수 없어 라던가요 ㅎㅎ 그러다보니 안돼라고 하는 횟수도 줄어들고 아이도 잘 따라주더라구요
@지수-o6o
@지수-o6o 5 күн бұрын
소리지르면 안돼->여기서는 작은 소리로 말하면 더 잘 들려~ 물건 던지면 안돼->물건은 살살 내려 놓는거야 다시 해보자 뛰면 안돼->내리막길에서는 걸어가야지 안전해 안돼라는 말보다 아이가 할 수 있는 바른행동을 긍정적인 언어로 표현해주면 훈육하기에 좋더라구요 아이도 거절당하는 느낌을 받지않고 가르침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니 말을 잘 듣게 되는 것 같아요
@sddrpark2323
@sddrpark2323 5 күн бұрын
@@지수-o6o바르게 이해하셨네요 삐뽀 선생님의 단점이라면 단점인데 일일이 떠먹여 주시지는 않더라고요 본인의 의지와 노력이 있어야 제대로 배울 수 있는듯
@kycho8291
@kycho8291 3 күн бұрын
안돼 해도됩니다. 남의 말이 뭐가중요합니까? 내자식인데?? 훈수두는사람 자식한번보세요 어떻게키우나ㅋ
@화이팅-x6b
@화이팅-x6b 6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딱 제가 궁금하던 곳을 긁어주네요
@jiyeonpark9006
@jiyeonpark9006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항상 건강하세요!
@erkang88
@erkang88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언제나 부모로써 궁금했던 점을 명쾌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발달 지연으로 퇴사하고 아이 키우다 보니 제 자신이 사라져 방황 중에 있는데, 이제 세돌도 다 되가니 제 자신을 다시 찾아볼까 합니다 아이 중심이 아닌 부모 중심으로 지내면서 아이에게 좋은 영향을 주길 기대해봅니다
@sssoooososo
@sssoooososo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jini9165
@jini9165 4 күн бұрын
너무 어렵게 생각마세요. 1. 훈육 = 명확한 선을 알려주는 것 2. 너무 엄격해서 아이가 상처받을 수 있지 않냐고요? 선 안에 있을 때 따스하게 일관된 방식으로 사랑을 주면 됩니다. 오히려 아이들은 안정감을 느낍니다. 우리 인간들은 부족 사회로부터 원래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니가 이것을 못 지키면 함께 갈 수 없어. 이런 느낌인 것이죠. 3. 그래서 결론은, 부모님들이 분명한 원칙을 가지고 일관성있게 나아가라. 공부를 하지 말라는 것은 기본에 충실하라는 뜻이지 아이에게 강압적으로 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ImMankey
@ImMankey 5 күн бұрын
두돌인데, 아이가 떼를 쓰면 못이겨서 들어주거나, 제가 갈팡질망하다가.. 당연히 안된다는 듯이 태도를 바꾸니 생각보다 잘 따라오네요. 애원하거나 설득하는것보다 그냥안돼. 당연히안돼. 이렇게 심플하게 행동하니 효과적이더라구요.
@kycho8291
@kycho8291 3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고고씽-v6h
@고고씽-v6h 5 күн бұрын
요즘 너무~~선생님 우리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셨나요....가 많음ㅋ
@네꼬다락방
@네꼬다락방 14 сағат бұрын
공감~~!!
@백두누나yj
@백두누나yj 6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반성합니다😂😂 선생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Rihanzzang
@Rihanzzang 5 күн бұрын
선생님 하정훈소아과 오래오래 진료 봐주실거죠?❤ 수목 휴무라서 너무 아쉽지만~~~ 오래오래 진료해주세요~😊 매번 갈때마다 쑥스러워서 금방 진료보고 휙 나오지만 접종하러든 감기든 모유수유 질문하러든 궁금한게 너무 많지만 소아과가선 진작 조용해지는 엄마...하정훈선생님 오래오래 진료봐주세요❤
@루꼴라키우는중
@루꼴라키우는중 6 күн бұрын
부모의 삶이 더 중요하다는 말씀을 다른 영상에서도 들었습니다. 저희 부모님은 저를 위해 사셨어요. 어려운 형편에도 저 키우려고 부지런히 일하셨고 본인의 인생이 없으셨거든요. 근데 아이를 낳고 지금 돌까지 키우다 보니 어느새 저 역시 제 인생 보다 아이를 위해 사는 것이 이 아이를 낳은 나의 책임이라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제가 선생님의 말뜻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어요. 저의 이런 아이를 위해 산다는 생각은 양육에 오히려 부정적일까요?
@류미-v4t
@류미-v4t 6 күн бұрын
아이를 낳는순간 내가 아니라 누구의 엄마,아빠로 살아야 하기에 당연히 포기할거 포기하고 아이가 우선 되어야하는건 맞는거 같아요 저도 그게 낳은자의 책임이라고 생각해요 그속에서 내가 맞다고 생각하는걸 하면 그게 부모의삶을 사는게 아닐까요? 사람마다 그 기준은 다르니 내모든걸 바쳐도 그냥 그게 부모의역할이다 라고 털어낼수있으면 괜찮은데 커서 그에대한 보답을 바라거나 독립된 인격체로 보지않으면 문제가 될것같아요~
@sik5342
@sik5342 5 күн бұрын
부모라는 것에 매몰되어, 모든 중심이 아이에게 있으면 아이와 부모 서로 종속되어 힘이듭니다. 특히나 점점 자랄 수록 아이의 독립성을 인정해주셔야 하는데, 구속하고 통제하실 수 있어요. 부모도 아이를 믿고 통제된 상황에서의 자율을 주며, 점차 본인의 선택에 의한 책임을 인지하게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양육의 목표 아닐까요?
@knpwb
@knpwb 4 күн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면.. 회사에 취직하면 회사에서 깨어있는시간의 대부분을 보내고 회사의 이익을 대변하고 회사를 위한일을 하지만, 그러면 님 인생이 오로지 회사를 위해 살게된거냐? 그건 절대 아니잖아요 회사에 다니니 회사를 위한일을 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지만 그건 님 인생의 일부일뿐이지 인생의 전부가 아니죠
@네꼬다락방
@네꼬다락방 14 сағат бұрын
1순위는 내자신이더라구요~~
@JoJo-rb5ru
@JoJo-rb5ru 48 минут бұрын
지금 부모로서 최선을 다해 잘하고 계십니다. 어차피 시간 지나면 자연스레 자식과 분리됩니다.애들이 안찾거든요. 이런 가정치고 안화목한집 못봤어요. 잘하고 계세요 화이팅~
@namsil2
@namsil2 6 күн бұрын
첫째 낳았을땐 선생님 말씀이 이해불가..연년생으로 둘째 낳으니 선생님 말씀..공감..기본적으로 스트레스 받을수는 있으나 웬만하면 행복한 육아를 하란 말씀인것 같네요 부모가 스트레스 받으면 행동에서 좋지 않아서 아이가 보고 배울수도 있으니 부모인생을 살아가면서 육아하라 하는것 같네요 포괄적 의미를 두는것 같아요 부모님들 화이팅 입니다
@PoPo-df3ql
@PoPo-df3ql 6 күн бұрын
가족과 함께 먹는 식습관이 중요하다고 해서 지키고 있는데요. 자기 밥은 안먹으려하고 어른 음식을 자꾸 원해요 (13개월 아기) 짜장면 시켜 먹고 있었는데 줄 수도 없고 ㅠㅠ 결국엔 우리끼리 일단 먹고 따로 먹였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user-nq4zl3bx9l
@user-nq4zl3bx9l 6 күн бұрын
저 같은 경우는 같은 메뉴 만들어서 어른꺼만 간을 더 쎄게 하고 다같이 먹어요 ㅋㅋㅋㅋ그리고 짜장면 같은 배달 음식은 애기 잘때 몰래 먹고요
@Lalalala-l9n
@Lalalala-l9n 6 күн бұрын
13개월이면 면정도는 먹어도 되요 저는 첫째 그때쯤 양념 완전 조금 발린 면 잘라서 주고 같이 먹었어요~
@Lucia_____
@Lucia_____ 5 күн бұрын
돌 지나면 어른밥이랑 같이 하되 간을 안하거나 약하게 해서 밥이랑 같이 주고 식사시간에 먹으면 돼요~
@moongkongbrother
@moongkongbrother 4 күн бұрын
아이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을 함께 드시는건 어떨까요? 시켜드시는 건 아이 재우고 드시고…
@user-bl7sq6rd7b
@user-bl7sq6rd7b 3 күн бұрын
구체적으로 뭐 어떻게 훈육하라는거죠?
@user-wkd2hqid2
@user-wkd2hqid2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그런데 우리 가족의 경우 지내다보면 하루 리듬이 매일매일 달라지는걸 느낍니다. 어제는 이시간에 잤는데 오늘은 깨있고, 어제는 이때 깨있었는데 지금은 졸려하고 ...아이가 졸려하면 재우고 배고파하면 먹이는 아이 위주의 스케줄은 훈육에 방해될까요?
@yoonyoon._
@yoonyoon._ 5 күн бұрын
@@user-wkd2hqid2 낮잠은 졸려하면 재우는게 맞고 밤잠은 졸려하지않아도 재우는게 맞아요 배고파하기전에도 먹을 시간이 되면 주는게 맞고요 아이에게 다 맞추는건 훈육이 아닙니다
@댕댕하이-w9p
@댕댕하이-w9p 6 күн бұрын
마저 전 영상에서 넘 궁금했어용
@시크릿-f6q
@시크릿-f6q 6 күн бұрын
어느선가 밤에 잠자기 직전에 우유를 찾아 줬었는데.. 지금이라도 완전 끊어야 되겠죠? 어느날은 우유 진짜 180 다 먹고 잘때도 있고.. 아예 먹지도 않으면서 찾을때도 있고..
@장미-m9e
@장미-m9e 6 күн бұрын
헉 자기전에 우유주면 안돼요?? 저희 애는 자기전에 꼭 우유를 먹어요ㅜㅜ
@시크릿-f6q
@시크릿-f6q 6 күн бұрын
@장미-m9e 저희 애기는 19개월이에요
@yjkal973
@yjkal973 3 күн бұрын
지인은 맨날 애키우기 힘들다 애가 유난이다 하는데 가만 보니 애한테 옳고 그름을 가르치지를 않더라. 당장에 애가 떼쓰는거 모면하려고 너 그러면 뭐 안해줘, 너 그러면 이놈한가 이런 겁박식의 혼냄만 있음. 긴말 할거없이 하면 안되는건 안된다고 하면 애들 다 알아먹는데 왜이리 힘들게들 애들을 유난스런 애들로 만드는지 모르겠음. 자기 자식하나 통제 못해서 쩔쩔매는거 보면 한숨나옴
@nayeonkim6115
@nayeonkim6115 5 күн бұрын
아이가 두돌되기 전 둘째 임신이 되어 입덧을 하다보니 엄마인 제가 산송장처럼 누워만 있었습니다 20주되어서야 사람 꼴이 되다보니 그전에 해놓았던 많은 틀이 무너지고 아이 두돌이 되었네요 지금이나마 다시 의자에 앉아 밥먹고 미디어 끊고 하려는데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아이가 의자에 앉는걸 너무 싫어해 뻗대고 그 힘이 너무 세 몸 약한엄마 힘겨루기에 밀리더라구요 이럴때는 뭐라 얘기해주어야 할런지요??
@sik5342
@sik5342 5 күн бұрын
앉기 전에 안 주셔야해요 ㅎㅎ 아이들과는 몸싸움을 하시면 오히려 대결구도로 엄마가 끌려갑니다. 아이외 엄마의 대결이 아니라, 엄마가 주최한 판(식사, 놀이, 취침 등 이벤트)에 들어오게 하세요. 미디어 보여주신 순간 조금 난이도가 높긴 하네요 ㅎㅎ 근데 제 생각은 한끼를 아가가 거부하고 나면 밥 잘 먹을거예요. 간식 때 좀 힘드신 거 극복하셔야죠 ㅎㅎ 저희는 '밥을 안 먹어서 간식 이를테면 과자 없다, 오늘은 과일 이거만 먹고 이따 밥 먹으면 준다' 이런 식입니다. 물론 매번 깨지고 다시잡고.... 😅
@knpwb
@knpwb 4 күн бұрын
어려울게 있나요? 의자에 앉기전에는 아무것도 하면 안되고, 그날 그거 수행하기 전에는 모든게 멈추는거죠. 다음날 또뻣대면 다음날도 또 그 다음날도. 의자에 안앉으면 그대로 서있어야하고 앉을때까지 다른데도 못가고 밥은물론 간식 놀이 티비 대화 아무것도 못하고 그자리에 서서 정지입니다.
@kunhosong8529
@kunhosong8529 5 күн бұрын
약간 하정훈원장님 본인의 철학에 가깝지 레퍼런스가 있는 내용은 아닌 느낌
@kycho8291
@kycho8291 3 күн бұрын
애를더키워보시면 이내용이뭘 말하는지알겁니다.
@joori1937
@joori1937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저희 아기가 이제 18개월인데요, 답답하거나 자기가 싫으면 본인 머리를 막 때립니다.. 특히 “안돼” “하는거아니야”라고 말 할때마다 머리를 엄청 때려서 훈육을 하기가 참 힘이듭니다ㅠㅠ.. 말이 트일 때 훈육을 해야하나싶은데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늘 머리 때리는걸 볼 때 마다 너무 눈물납니다ㅠㅠ....
@wint249
@wint249 6 күн бұрын
그행동을 하면 엄마가 반응하니까 계속하는거예요.
@joori1937
@joori1937 6 күн бұрын
@ 못 본 척 무시도 많이 하고 했는데도 안 고쳐지더라구요.
@nunlycouple8508
@nunlycouple8508 6 күн бұрын
머리 때리는 대신 할 수 있는 부드러운 행동을 가르쳐 주면 좋을 것 같아요
@kongshouse7554
@kongshouse7554 6 күн бұрын
때리는거 아니야도 해야죠 ㅠㅠ
@joori1937
@joori1937 6 күн бұрын
@@nunlycouple8508 이것도 해 봤습니다ㅠ 이쁘다~이쁘다~ 하면서 볼 만지기 같은 부드러운 행동으로 교정 해 주려 해도 결국 흥분하거나 마음대로 안되면 머리 때리기로 돌아가더라구요..
@j_pro8474
@j_pro8474 6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40일된 아기가 배도부르고 불편한게아닌 자고싶어 안아달라고 악을 쓰며 우는걸 울게 내버려두다 달래주는게 맞는지, 아니면 울기시작하면 달래쥬는게 맞는지, 울게 내저려 두는걸 훈육의 범주라 볼 수 있는지 구분이 질 가질 읺습니다 😢
@sssoooososo
@sssoooososo 6 күн бұрын
훈육은 하면 안되는 행동조절인데.. 그정도 아기는 우는거밖에 못하는데 당연히 안아줘야하는거 아닐까요? 기어다니고 걸어다닐때 만지지 말아야할거 알려주는게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전..3개월까진 많이 안아주고 반응해줘야 아이가 부모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고 육아서에 써져있습니다 아기 혼자 잘수 있으면 잠투정부릴때 살짝 혼자 둘 순 있겠죠 40일은 혼자 못자니까요
@코코아-l3u
@코코아-l3u 6 күн бұрын
그때는 그냥 안아주세요...
@j_pro8474
@j_pro8474 6 күн бұрын
@@sssoooososo 그렇군요..! 울때 좀 내버려두는것도 필요하다. 바로 달래주지 말아라 이런 이야기들도 하정훈 선생님께서도 하시다보니 좀 혼선이 와서요. 생리적 욕규는 충족시켜줘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애기때 우는게 생리적 욕구말곤 거의 없다보니😅 갈피를 좀 못잡겠네요..
@j_pro8474
@j_pro8474 6 күн бұрын
@@코코아-l3u 네 그래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6 күн бұрын
백일까지는 아기가 우선이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백일이 지난다면 아기 우선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전에도 울게 냅두라가 아니고 울면 달래주고 아기 스스로 울음을 그칠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시트 사용하는 것처럼 무조건 해야 하는 것은 우는 것에 상관없이 밀어붙여야 하는데 부모의 태도가 정말 큰 차이를 만듭니다. 2006년 카시트 사용이 법제화되었을 때 이 때만 해도 많은 부모들이 신생아 카시트 사용에 부정적으로 생각했고 대부분의 부모들이 카시트 사용할 때 아기가 울어서 정말 고생했습니다. 이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당연하게 카시트 사용해야 한다고 믿고 카시트 사용하니 대부분의 부모들이 아주 쉽게 카시트를 사용합니다. 부모가 확신을 가지면 카시트 사용이 쉬워지듯이 아기 우는 것 달래는 것 역시 부모가 아기 우는 거 겁내지 않고 담담하게 대하면 아기들이 우는 것 역시 감당하기 쉬워질 겁니다. 당연히 그게 잘 안되는 아기도 있지만 대부분의 아기들이 그렇다는 이야깁니다.
@stella_7240
@stella_7240 5 күн бұрын
아기가 17개월인데요 수저연습은 언제부터 하면될까요? 숟가락,포크 쥐어주고 하려해도 잘 안돼요ㅜㅜ자꾸 음식에 손대고...어떻게 해야할까요😢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하정훈의삐뽀삐뽀119소 5 күн бұрын
빨리 시작하고 정유미TV도 참고하세요. #381 이유식-숟가락과 컵은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kzbin.info/www/bejne/rmHMmGxjod-isJIsi=na-8S8MGXkuWHNzi
@시크릿-f6q
@시크릿-f6q 6 күн бұрын
19개월 아이인데, 밤마다 잠 자기 직전에 간식, 우유를 찾는데.. 어제 안됀다고 말했다가 목이 다 쉬도록 울어서 결국 줘버렸습니다. 까까를 달라고 하는데 안됀다는 말 말고, 다른 지혜로운 방법이 없을까요?
@k김말
@k김말 6 күн бұрын
이전 작업을 충분히 하고(지금 저녁식사 시간에 먹는거야 이제 양치하면 먹지 않는거야 등 반복) 울어도 끝까지 주지 말아보셔요 애기가 흥분하고 뒤집어져도 훈육자는 차분히 “아까 말한대로 이제 먹지 않는거야” 하고 스스로 흥분 가라앉을때까지 진정하게 두기 흔들리지 않고 침착히 일관되게 하는게 중요해요 전 유치원교사고 이렇게하면 아이가 제 말은 잘 듣는데 남편은 허용적이라 남편한테는 떼쓰고 말 잘 안들어요 ㅎㅎㅎ;
@kkkk-r3u
@kkkk-r3u 5 күн бұрын
저희는 17개월 남자 아가인데 “까까가 집에간데 내일보자~”하면 아가는 바이바이 손 흔들더라구요ㅎㅎ;
@시크릿-f6q
@시크릿-f6q 5 күн бұрын
@@k김말 감사합니다!!!!!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Сестра обхитрила!
00:17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958 М.
REAL or FAKE? #beatbox #tiktok
01:03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쇼핑의 여왕 최화정이 뽑은 '인생템 TOP20' 최초공개 (달걀감바스,뽕뽑템)
21:07
#218  공갈젖꼭지 사용! 몽땅 정리해드립니다. 소아과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
11:11
하정훈의 삐뽀삐뽀 119 소아과 (삐뽀삐뽀 119 소아과)
Рет қаралды 539 М.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