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쩜 이렇게 깔끔한 강의를 할수있나요 ^^ 동강은 듣다보면 쓸데없는 강사님들의 이야기로 시간이 아까울때가 종종있는데 .. 참 멋지신 강사님인듯요^^ 팬이 되었어요^^ 요즘 자주 등장하는 아두이노가 뭔지 궁금해서 검색하다 우연히 보게 된 강의인데 들을수록 재밌네요 백번 돌려 봐야겠어요 지식이 전혀없는 상태라
@odiy31059 жыл бұрын
+이하윤 감사합니다^-^ fb.com/neosarchizo.blog
@Xxxxx0864 Жыл бұрын
넘 쉽고 깔끔하고 재밌게 알려주시네요 기본강좌로 너무 좋아요
@엉뚱발랄가족과강아지9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강의 감사드립니다.컴퓨터에 무지한 저에게 아두이노의 기초를 알게 해주셔서......~!!!정말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리들을 이제 알았네요....아이들과 학교에서. 그리고 아들과 딸과 함께 해봐야겠네요^^
@odiy31059 жыл бұрын
+이병철 감사합니다^-^ 다른 강의도 재밌게 봐주세요ㅎ fb.com/neosarchizo.blog
@howardkim23929 жыл бұрын
저항 = (5-1.7) / 0.01 = 330 ohm으로 수정하셔야 하네요.. ^^
@lcs6902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amppower7735 Жыл бұрын
넘 쉽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건호-k3h9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진행하는 과제연구에서 아두이노로 작품을 만들려하는데 진짜 도움많이됩니다ㅠㅠ감사합니다!
@odiy31059 жыл бұрын
+이건호 좋게 써주시니 감사합니다^-^ fb.com/neosarchizo.blog
@soundsgood578 жыл бұрын
강의화면 8:32 부터 9:43까지 옴의 법칙이 잘못 쓰였습니다. 저항(R)=전압(V) / 전류(I) 인데 저항(R)=전압(V) × 전류(I)로 표기 되었고 그 공식대로 계산하면 330이 아니고 0.033인데 330이라고 강의 하시네요. 교정 바랍니다. 아, 밑에도 몇분이 지적을 하셨는데 너무 오래된 강의라 팔로우를 안하시는건지...
@코사임당4 жыл бұрын
저도 아두이노에 대해서 계속 공부하는데 너무 잘 참고해서 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박기범-c2n7 жыл бұрын
이 강의 너무 좋아
@소순혁-y2j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어요~~
@syp95689 жыл бұрын
정말 쉽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sssh27024 жыл бұрын
마지막회로에서 버튼쪽 빨간선은 왜 뒷쪽 5볼트핀부분이랑 연결하나여?
@arachi03ky10 жыл бұрын
저항=전압/전류 R=(5-1.7)/0.01=330ohm 이어야겠어요.
@강명훈-k2v2 жыл бұрын
오토데스크 팅커캐드로 하니까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porysmail9 жыл бұрын
영상 아주 잘 보고 있습니다. 버튼은 왜 "10k"값의 저항을 사용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어떤 소자에 어떤 저항을 써야 하는지 그 이유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김정훈-z9d3e5 жыл бұрын
무한 반복 감사합니다.
@한윤승-p1h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정보의 아들 한윤승입니다
@inni_ouo5 жыл бұрын
풀업, 풀다운은 각각 언제 쓰면 효율적인가요??
@hoxyoh25849 жыл бұрын
5V를 인가 하면 5V가 걸리고 안걸리면 0V가 걸릴것을 예상하는데 풀업저항이나 풀다운 저항이 없으면 전류가 흐를 통로가 없기 때문에 전압이 휙휙 안바뀌니까 통로를 만들어 줬다고 생각하면 됌.
@H2나종덕5 жыл бұрын
버튼 사용하기에서 void loop(){ if(digitalRead(BUTTON)==HIGH){ digitalWrite(LED,HIGH); delay(500); digitalWrite(LED,LOW); } } if문 안의 내용을 보면 digitalWrite(LED,HIGH); delay(500); digitalWrite(LED,LOW); 이것인데, 버튼이 눌러지면 0.5초에 한번씩 led가 켜졌다 꺼졌다 하는게 아닌가요? 영상 상으로 제가 잘못본게 아니라면 계속 켜져있는 듯 한데, 만약 그렇다면 delay(500); digitalWrite(LED,LOW); 문구가 왜 필요한지 알고 싶습니다.
@bkkang3907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부분 이해가 안되요. 생각한대로라면 스위치 누르고 있어도 0.5초 후에 꺼져야 할거 같은데 꺼지지는 않고 , 스위치에서 손을 떼야 0.5 지난 다음에 꺼지네요.
@김문홍-s7b7 жыл бұрын
좋은설멸 감사합니다^^
@deogjoonlee72797 жыл бұрын
문의 드립니다. 동영상에서 얘기한 것처럼 5개 LED를 순차제어 해보고 다음으로 버튼 입력을 받는 실습을 해보았는데 같은 하드웨어(회로)에서 두개의 프로그램에 따라 LED 밝기가 다릅니다. 순차제어시에는 밝게 점등되는데 버튼 입력을 받을때에는 밝기가 어둡습니다. 프로그램은 순차제어 프로그램 앞에 버튼 입력을 추가하여 동작은 잘 됩니다. 물론 Delay Time도 같습니다..... 이해가 안되길래 문의 드립니다.
@어쩌란거지-c3c6 жыл бұрын
좀늦었지만 아마저항이달라서그럴겁니다
@샤워한듯풀려힘이6 жыл бұрын
혹시 버튼으로 서보모터를 제어할 수 있나요?
@goodboy-q6r3z2 жыл бұрын
음극은 그라운드로 빼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hmnyari9 ай бұрын
첫번째는 왜 5볼트 빨간선이 없고 두번째만 있는건가요??
@touchdownchef2 жыл бұрын
스위치에 알맞는 저항을 선택할때 그 값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스위치는 특정 저항 값이 존재하나요?
@김춘식-q5l4 жыл бұрын
아주좋아요
@김명식-t3k8 жыл бұрын
코딩은 C언어 배워서 이해 잘되는데 회로도는 하나도 이해 안되네요. 제가 아는거라고는 브레드보드 세로줄로만 연결된다고 알고있었는데 가로로 가는거 있고 그라운드 처리는 무슨 말인지 회로도 어떻게 읽는지 잘 모르겠네요.
회로를 만들고 코드도 오타 하나 없이 입력해서 업로드했는데 버튼을 눌러도 작동을 안해요 이럴땐 어떻게 해결해요? 보드는 호환 UNO 인데 보드가 고장난건가요? 아두이노 IDE로 코딩햇습니다
@lovesail26643 жыл бұрын
아재들은 기억하실 예전 미드 전격Z작전 자동차 키트처럼 앞부분이 붉은 빛이 왔다갔다 하는 자동차 튜닝을 저런식을 하는거였네요...
@명익-l2y6u8 жыл бұрын
led파도타기 부분까지는 됬는데 버튼을 이용하는 부분 회로도와 코드를 그대로 따라했는데도 안되네요 ㅠㅠ 선도 빠진 곳 없고 포트도 잘 연결 되있는데 안되니까 더이상 이유를 모르겠어요! 혹시 문제점에 대해 짐작가는 부분 있으시다면 답글 달아주세요
@명익-l2y6u8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저항은 led부분에 220 버튼에 220도 해봤고 led 220 버튼 10도 해봤습니다
@나-e8v3n8 жыл бұрын
스위치랑 gnd를 연결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는데 설명 해주실 수 있나요? (5v가 7번으로 들어가면) 을 하는 이유는 알겠는데 gnd에 하는게 잘 이해가 안되네요
@odiy31058 жыл бұрын
www.yes24.com/24/goods/33228360 설명하기 좀 복잡한데 위에 제 책 참고하시겠어요^-^ fb.com/neosarchizo.blog
@mimun964 жыл бұрын
다 했는데 LED가 안들어와여ㅠㅠ 어떡하죠?
@이지행-i3w10 жыл бұрын
led의 밝이가 잘안보여요
@조예슬-l3n7 жыл бұрын
컴파일은 되는데 업로드는 안되네요..ㅠ
@userjusicool5 жыл бұрын
컴파일은 되는데 업로드가 안되요
@조현준-r1h5 жыл бұрын
스위치 이용한 회로가 잘 이해가 안되요 설명해 주실분 있으세요? ㅠㅠ
@monyking18185 жыл бұрын
설명 뭐해드릴까용??
@sit8104049 жыл бұрын
220k써도 되요?
@odiy31059 жыл бұрын
+서인태 버튼의 10k 옴 대신 쓰는건 괜찮은데, LED에 220k 옴을 사용하면 빛이 상당히 약하게 날거에요. fb.com/neosarchizo.blog
@sit8104049 жыл бұрын
+ODIY 한국과학창의재단 10k도 빛이 약해서 그런데 1k써도 이상없나요? 어떤분은 저항안써도 크게 상관 없다고하는데.....
@odiy31059 жыл бұрын
+서인태 일분 흰색 LED는 저항 없이도 잘 동작하긴 하는데, 그것도 장담 못해요. 연결해보면 아시겠지만 냄새가 나면서 탈지도 몰라요. 그리고 1k도 일반적인 LED에 사용되는 저항과 비교하면 꽤 큰 값이라 빛이 약하게 날거에요. fb.com/neosarchizo.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