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누이정리입니다. 나중에 다른방 만드시면 설계도면 보내드릴께요 ^^; 불목의 고도를 낮춰주시면 역류가안생깁니다. 일단 불목의 높이가 아주 낮지않으면 흡출기를 사용하시는게 이롭습니다. 머릿돌과 화구 바닥의 높이 차이가 1미터 이상 나야 하는데 그러려면 집이 너무 커지고 건축비가 힘들어져요 ^^; 냉침관도 빼고 불 돌기 등 ㅎ설계를 해야 하는데 처음 놓은 작품치고는 아주 잘 놓으셨어요 ^^;
@ehgg78965 жыл бұрын
황토방 구들방 좋아 보여요.
@zoo101410145 жыл бұрын
도끼질도 잘하시네요 정말 정말 멋있어요
@longlong-wu2fp5 жыл бұрын
장작패는 모습에 빵터졌네요 ~^^
@mikecan13304 жыл бұрын
부럽네요 올해 겨울도 행복하세요
@dosati53385 жыл бұрын
야산에서 작은 나뭇가지 줏어다 쌓고 신문지로 불 붙어서 타오르면, 큰 장작 올려보세요. 처음 큰 장작에 붙히려면 잘 안붙어서 힘들때가 많죠. 따뜻한 겨울되세요.
@여울이는데5 жыл бұрын
진짜 제대로 된 온돌은 환풍기가 없어도 활활 잘 타들어가는 거죠^^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져서 외부에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되는 거 말이예요! 근데 서방님께서 애써서 만들어주셨으니까 비록 환풍기를 달았어도 그건 강제적인 힘이 아니라 사랑의 힘으로 공기를 순환시킨다고 봐야겠죠^^ 애들이랑 마누라를 생각하는 사랑의 힘이요♡♡♡
@youngkim50915 жыл бұрын
따뜻한 겨울 보내세요.
@신정신정5 жыл бұрын
방이따뜻하겠어잘보구갑니다👍👍
@김선옥-t8g5 жыл бұрын
도끼질 하시는 모습이 너무 어설프고 귀여우셔서 덧글 안달 수가 없어요^^~ 저도 귀농하고 싶어요 그 이유가 아궁이에 불때고 싶어서예요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나무하고 운반하여 자르고 도끼질에 매일 뿔때야하고 중노동 이지요~~~민박등 체험 한번 해보셔유~~보기만 하면 낭만적인데 현실 실제로는 힘든 노동입니다~~~재도 수시로 치워야 하구요~~~
@예준해-p7b5 жыл бұрын
따뜻한 겨울 보내세요..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실내 아궁이 구들 침대도 좋아요~~~
@이현주-r2d5 жыл бұрын
라이터도 못켜던 분이 뒤로 넘어갈듯 도끼질하는 모습 귀엽습니다 일머리 좋은 남편 잘해줘야 할듯 우린 그렇지 못해서 ㅠㅠ
@parsaikr5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불 피울 때마다 쭈그리고 앉아 부채 부치면서 거의 1시간씩 생고생하고 있는데.. 시골 할아버지께서 장작 꽉꽉 채워넣고, 자루에서 마른 솔가지 한 줌 꺼내서 장작 앞에 놓고 라이터 불 한 번 딱 붙이고 돌아서시던 거 생각나네요.. 와.. 그때의 그 놀라움이란..^^
@sangryulpark30974 жыл бұрын
화구 아래단을 기밀하면.. 아래로 들어가던 공기가 적어져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공기(산소)가 들어가게 되면서 연기가 화구 위쪽으로 나오지 않는답니다. 다만 화구문을 통해 들어가는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면 화실에 있던 산소가 모두 타고 더 이상 보충되지 않아 이산화탄소만 남게되고 결국 이산화탄소로 불은 꺼지게 되지만.. 화구문이 완전 밀폐되지 않아 공급되는 산소량만큼 천천히 연소하게 됩니다.
@kyo15103 жыл бұрын
나무넣을때 얼기설기 x자로 넣어야 잘타고 열효윤이 좋습니다
@refarm7th3 жыл бұрын
네. 공기구멍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요령인지 어설픕니다
@이정현-j2h4 жыл бұрын
귀농 7년차 가족분들 항상 응원합니다 귀농 귀촌의 모범사례가 되어주시길 기원합니다
@francescalee34365 жыл бұрын
분위기 좋습니다. 이렇게 아궁이에 불 때는거 보니 옛날 생각이 납니다. 불을 한동안 쭤고 있으면 몸도 건강해 지는 느낌이었던거 같은데... 같이 앉아서 불을 쳐다보고 싶습니다 건강하게 잘 지내시기 바랍니다. 가족 건장하시고요. 약간 부럽습니다 나도 나중에 한번은 할날이 있겠지요 ㅎㅎ
@이해와달3 жыл бұрын
밑불 솔가리가 최고요
@강호상-w8q4 жыл бұрын
저도 귀촌 2년차 큰방 아궁이에 불을 지펴 난방을 하고 있습니다. 불 쏘시게는 소나무 밑 떨어진 솔잎이 최곱니다. 나무 몇개는 가로 및 세로 로 겹겹이 쌓으면 연소가 잘 됩니다
@cosmos96475 жыл бұрын
가능한 일은 아니지만,날씨가 날씨인만큼 활활타는 장작불 보면서 불멍 때리고 싶어지네여~
@조경희-z9k5 жыл бұрын
진짜 사람은 어디서든 적응하게 돼있군요~ㅎ 누가도시살던분이라 하겠어요~ㅎ 최고~^^
@문성식-j5v4 жыл бұрын
끄름이 생기는 원인은 결빙현상이죠. 즉 내열유리의 온도를 토치로 가열한다은 불을 피면 끄름이 안생김. 즐감입니다.
@무갑산-v8c5 жыл бұрын
아궁이불 처음 때 보시는거같네요!! 아궁이 밑부분 공간을 있도록 장작을 넣으시고, 그 공간에 종이등 불쏘시와 잘 마른 나무가지로 어느정도 넣고(장작에 불이 붙을 정도) 피우세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아궁이 생활 7년차인데 아직도 이렇네요 ㅋㅋㅋ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화구문 당연하지요~집에 문 없는것보다 있는게 워얼씬 유리하지요~~~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사탕 쪼개 먹으면 빨리 녹듯이 표면적이 증가하죠~~~나무도 수직 개념으로 잘게부터 점점 두께 크기 증가 하는게 불붙이기 유리 하죠~~~아궁이 밑바닥양엽 전체 부터 단열도 중요하죠
@14마리늑대의기적4 жыл бұрын
종이가 많은것두 아니잔아요 그냥 푸대에다가 솔잎산에 땅에 많이 쌓여있잔아요 불쏘시게는솔잎에 최고예요 그거 푸대에다가 몇푸대만 주어와도 몇일은써요 잔가지도 많이 모와서 불쏘시게로 쓰면 편해요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화구문 고온용 세라크 울 등으로단열재 들어가면 더 좋지요~~~
@도와농원3 жыл бұрын
혹시 모르니 일산화 탄소 경보기도 설치하면 좋겠네요!
@qkrrmawjd005 жыл бұрын
어렸을적 불많이 지폈는데 나무에 불지피는데는 솔잎이 좋아요 불잘붙고 오래가요
@한흥수-o3j4 жыл бұрын
굴뚝 환풍기 다시고. 밑불은 콩대나 깻대를 깔아주고 라이터 대신 토치를 사용해보셔요
@tv-ke9hu5 жыл бұрын
나무 놓기전 빈박스 줏어다가 밑에 까시고 깻단 다 턴거 밑불용으로 활용해 보세요
@rkwlrkwlgksek5 жыл бұрын
아래 쓰신분 말씀대로 마른 솔잎이 아주 좋아요 저 어렸을때는 겨울 방학이면 솔잎 긁어모아서 나르는게 일이였네요 솔잎은 밑불, 솔방울은 불쏘시개, 나무 자르고 남은 밑둥이 오래된 것은 장작보다 화력이 좋아요 산에서 수거 가능한지 모르겠네요 불법인지는 확인해보시고ㅎ 도끼질 불안하지만 잘하십니다ㅋㅋ 그 모습에 웃었네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네 조언 감사합니다. 도끼질은 원래 남편이 하는데 없어서 급한데로...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방바닥과 아궁이 상단 1메타 1200 정도가 좋긴 하죠~ 열은 높이 올라가려는 성질이니까요~~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처음 불지필때는 자잘한 불쏘시개가 불이 잘붙는데 첨부터 화목을 마니 넣고 불피우면 불리해요 ~자동차가 출발때처럼 서서히 양 크기를 증가 해야지요~~~
@산야월5 жыл бұрын
미국 영화의 여배우 도끼질만 보았는데... ㅎㅎ 신선하게 보여 지네요^^
@hyeongjuncheon80684 жыл бұрын
한대 혹은 두해마다 굴뚝청소만 잘 해주어도 바람을 빨아들이는 효과가 있어서 불이 잘 핍니다.
@한상호-i8l4 жыл бұрын
장작을처음놓을적에X자로놓아야잘탑니다일자로놓으면장작이많이들어감.
@IRONMAN-bn7jf4 жыл бұрын
1. 안녕 하세요? 귀농에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까하여 몇자 적습니다. 2. 화구문 아주 잘 하셨습니다, 그리고 2개로 분리 하신것 또한 좋은 방법 입니다, 혹시 수정이 가능 하다면 두개의 문 보다는 공기 유입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면 좀더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 합니다, 즉 이말은 혹한기에는 아참 저녁으로 군불을 때야 하는데 이때 불 땔 때는 방이 너무 따듯하고 불을 다시 때야 하는 시점에는 방안의 온도가 너무 내려 갑니다. 공기 유입구를 조절하여 연소량을 조절하여 가능한 오래 동안 연소시간을 길게하여 방안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온도조절 하듯이 하기에는 충분치 않지만 그래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3. 온돌 온도를 올리기위해 이불로 온돌을 덮어야 방이따듯해지는 현상은 벽체와 천장 그리고 창문의 단열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급하는 열량보다 유출되는 열량이 많다는 현상 입니다, 외벽과 천장 그리고 창문 커텐으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단열이 충분 하다면 불을 조금 만 때어도 충분히 따듯하고, 화구문에서 공기 유입을 조절하여 연소 시간을 길게 한다면 지속적으로 적정 온도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4. 혹시 아궁이의 깊이가 깊다면 초기 점화 후 적당히 불을 땐 후 연소 중인 장작을 안쪽 깊이 밀어서 넣고 그 뒷쪽으로 장작을 채운 후 화구문을 잘 닫고 공기 유입을 최소화 하여 장시간 연소 될 수 있도록 하면 초기의 장작은 식혀진 온돌을 덮히고 뒷쪽에 가득 채운 장작은 주택의 열손실을 보충 하면서 적정 온도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refarm7th4 жыл бұрын
상세한 정보 감사합니다. 황토벽돌을 2중으로 쌓고 왕겨훈탄까지 넣었는데도 단열이 부족한가봅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염효빈-w7w5 жыл бұрын
바닥 시공 하신것 보니까 황토석 타일 시공,... 아저씨 동네 목수 하시면서 생활비 벌이 하셔도 될듯합니다. ^^; 욕실도 수리 해주고, 지붕도 보수 해주시고,... 그러면서 ^^; 불 때는자리 주변에 황토를 발라주세요 (운치날거예요 ^^;) 가스 토치 활용해서 불 피울때 활용하세여^^;
@김충기-g9r4 жыл бұрын
연탄불피우는 번개탄으로 하면 최곱니다.
@새천지-t3t5 жыл бұрын
👨👩👧👦 잦나무 나 소나무 잎 , 열매 껍질, 작은 가지를 이용하시고 , 라이터 대신 부탄가스 도치를 사용해보세요.
@새천지-t3t5 жыл бұрын
남편분께서 손 재주가 좋으신 듯합니다. 아궁이 안쪽 에받침대를 만들어 사용하시면 더욱더 편리할듯 합니다.
@아리바다5 жыл бұрын
귀요미님 라이터도 잘켜요~~^^
@정문환-w4b5 жыл бұрын
가스토치 사용하세요. 잘봤습니다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난로는 가스토치 사용했는데요.. 부탄가스도 금방 쓰게되고 아궁이는 그냥 라이터로 만족합니다..
@thaumazein1506 Жыл бұрын
다이소에 점화기능도 있는 토치있어요. 5000원. 흔히 쓰는 부탄가스 한통이면 겨우 내내 쓸 수도 있고요 15000원 20000원대 토치랑 비교하면 가성비로는 다이소 5000원짜리가 더 나아요 토치로 불 붙이면 굳이 종이. 잔가지 없어도 잠간만에 불 붙일 수 있어요 그래도 밑불붙일게 필요하시면... 시골에는 방앗간. 미곡처리장이 동네 마다 근처에 있어요 사시는 동네 일대 지도 검색해보면 나올거에요 왕겨를 공짜로 얻어올 수 있어요 큰 푸대나 비닐 봉투에 얼마든지 담아올 수 있어요 그 왕겨로 불피울때도 쓰시고 텃밭농사에도 쓰실 수 있죠 그것도 번거롭다 싶으면 소나무 아래 솔잎(솔방울도)을 박스에 담아오세요 불쏘시개로는 으뜸이죠 ...
@tjxpuck4 жыл бұрын
도끼나 곡괭이질은 한수 가르쳐드리고 싶네요ㅋㅋ 도끼를 들어올릴때는 왼손(혹은 오른손)으로 목을 짧게 잡으시고 들어올리시면 지렛대원리로 무게가 훨씬 가벼워집니다^^
@ehgg78965 жыл бұрын
우리 농막비닐하우스 에 꾸버스 난로엔... 착화탄 1장, 박스 찢은것에.. 가스 토치로 불 붙여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저희도 난로는 토치로 불붙였는데 아궁이는 그냥 라이터 쓰네요
@두꺼비-q1f5 жыл бұрын
보니까 앞에 산이 있던데 솔잎을 갈퀴로 긁어서 그걸 가지고와서 사용해 보세요 지금보다 수월할겁니다~^^
@dsmhan52894 жыл бұрын
안진근 명장 회전구들 검색해봐요~ 구들 방식이 완죤 달라요~~~~~~~~~~~~~~
@jau74465 жыл бұрын
👍👍👍
@지꺽-u8v5 жыл бұрын
온돌 부럽다 10년 뒤 내 모습 ㅎㅎ
@안지형-p1v5 жыл бұрын
군불 땔 때는 일단 불이 붙으면 장작을 아궁이 깊숙히 넣어야 나무도 아끼고, 연기가 역류하지 않아요.
지금 겨울인데요 ㅋㅋ. 한겨울에도 하루에 한번만 떼면 구들돌이 식지않아서 종일 따뜻해요. 대신 며칠 집 비워서 안떼다 떼면 구들돌이 뜨거워지는데 한참 걸려서 바로 따뜻해지진 않아요...
@청맹과니-x1z5 жыл бұрын
무조건 까쓰토치 적극 추천합니다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네. 실내 난로는 가스토치 쓰는데 아궁이는 라이터로 만족합니다
@과수원집아들-y3h5 жыл бұрын
토치로 하시는 분도 계시더라구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네. 저희도 난로는 부탄가스 토치 사용했는데요 그게 생각보다 금방 쓰더라구요. 그래서 아궁이는 그냥 라이터 쓰고있습니다
@멍아지tv5 жыл бұрын
그 온도계 어디서 사셨어요? 저도 하나 갖고 싶습니다 ^^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인터넷에 난로온도계인가 검색하면 팔아요.. 중국산이라 엄청싸요.. 만원 안팎으로 기억되네요
@vietso87565 жыл бұрын
잘 안타면 풍로가 젤 좋아요 풍로한번 써 보세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제가 70년대 생이라 곤로까진 아는데 풍로는 모르겠네요 ㅋㅋ
@life-rf1sq5 жыл бұрын
송풍기 사면되요
@choding00l003 жыл бұрын
불을 그렇게 피우면 연기가 많이 나서 건강에 해롭습니다. 불 피우는 법이 따로 있어요.
@젤리-c6k5 жыл бұрын
황토방 커보이는데 몇평이예요 저도 3평 이동식 황토방 생각하고 있는데 괜찮을까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저희집이 26평정도 되는데 방이 이거 하나라 좀 커요.. 살아보니 잠만 자는데 많이 크다싶네요. 이동식이면 3평만 되도 괜찮지않을까요?
@새미의일상5 жыл бұрын
불땐 재 어떻게사용하시나요?
@hwadams655 жыл бұрын
밭에 뿌리묜 조흐은대 요
@새미의일상5 жыл бұрын
@@hwadams65 저는 소변 하고 재하고 썩어놓고 있는데 어떻게 사용해야 될까요?
@박진섭-z5f5 жыл бұрын
@@새미의일상 ,,,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재는 밭에 뿌려도 되고 물에 우려서 잿물만들면 액비로도 사용가능한걸로 압니다. 생태화장실 있음 화장실에 쓰기도하죠
@김선옥-t8g5 жыл бұрын
위에 까맣게 나오는 것을 ....그을음.....이라고 해요
@washingtongeorge96165 жыл бұрын
好棒🤗
@서구익4 жыл бұрын
불 피우기 달인 인정
@새미의일상5 жыл бұрын
어찌 하시는일이 나랑 똑 같습니다 엄마들은 용감합니다
@财神-r7k5 жыл бұрын
좋아요 근데 지붕 하나도 만드세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네. 지붕 계획이 있긴한데 자꾸 미뤄지네요 ㅠㅠ
@choding00l003 жыл бұрын
화구의 모양이나 사이즈랑 무관합니다. 강제 배기팬 필요없고요.불 피우는 법을 아셔야 해요.
@kwildhunter30375 жыл бұрын
에~고 참 부탄 토치로 일분안에 오케이 인데 ᆢ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실내 난로는 토치 사용하는데요 부탄가스 소비량도 만만치 않더라구요. 야외 아궁이는 라이터 하나로도 충분합니다. 다만 이때 밑불용 마른 장작 해놓은게 별루 없어서 좀 걸렸네요
@bluezip74 жыл бұрын
과학적인 부분의 기본이 다 정해져 있는데 너무 뇌피셜로 원인을 쉽게 단정해서 얘기하니 그게 그렇네요. 어차피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는거고 열을 받으면 공기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그에 따른 기압이 생기는건데 산소가 어떻고 상승기류가 어떻고 그냥 기본원리에서 어떻게 하면 구들안에 있는 차가운공기가 일단 연통위로 나가기 전까지는 역류가 있을수 있으니 강제적으로 위로 흡출기로 뽑아주기도 하고 당연히 처음 불을 붙일때 역류 할수 있는건데 말이죠. 그냥 기본원리에서 효율적으로 처음 불붙일때 감안하고 조치를 취하는것이지 뭐때문에 연기가 안나오고 나오고 이런건 아님.
@财神-r7k2 жыл бұрын
찌미있네요
@청풍명월-w1f5 жыл бұрын
아궁이 보니까 불장난하고싶네요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ㅋㅋ 이게 합법적인 불장난이죠
@농부-d4n5 жыл бұрын
구질”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좋은데요 불장난...ㅋㅋ
@인어-h7s5 жыл бұрын
에구 몸배입고 시골살이 젊은날이 다가는구먼~~~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인어-h7s 20-30대 원없이 하고싶은거 하며 살아서 아쉬운거 없습니다.ㅋㅋ
@인어-h7s5 жыл бұрын
@@refarm7th 그러세요 저도시골살아서 어떤날은 시골이싢거든요 구질거려서요 영상 많던데 저보다 더열정 있더군요 열심히 살아보자구요 ㅋ
@refarm7th5 жыл бұрын
@@인어-h7s 네.. 저는 도시에서 나고 자라서인지 시골생활이 또 다를것같아요. 모든게 처음이라 나쁘지않네요. 화이팅 하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