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라덴의 발음이 '바니타스' 라고 들린거 같아서 떠오른 겁니다만 '바니타스 정물화' 라는 정물화가 실제로 있긴 합니다. '바니타스 정물화'는 꽃, 왕관, 금목걸이등 대충 긍정적인 물건들 가운데 두게골과 같은 죽음을 상징하는 물건을 두어 '삶의 덧없음'에 대해 나타내는데, 왜 이런 그림을 그리게 된건지는 유튜브나 구글이 저보다 잘 설명해주니 이만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정물화의 한 종류를 말하는 것이었군요!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itsumosleeppy Жыл бұрын
Vanitas Vanitatum Et Omnia Vanitatum....
@pitot0philo207 Жыл бұрын
@@itsumosleeppy그 바니타스에서 나온게 맞습니다. 전도서의 저자는 불명이나, 많은 성서학자는 저자가 솔로몬이거나, 솔로몬의 입을 빌렸으리라 추측합니다. 저자는 말하길 "내가 살아오며 수많은 부귀영화를 누리며 천군만마를 부렸지만 이 모든것은 한순간에 무너지니 모두 덧없도다. 참으로 의미있는 것은 오로지 주 하나님께 경배드리며 찬양하는 것이다." 라고 고백합니다. 그를 위한 포섭이 바로 전도서의 가장 유명한 구절 "헛되고 헛되도다. 전도자가 말하노니 헛되고 헛되노니 모든것이 헛되도다."(Vanitas Vanitatum. Dixit Ecclesiastus, Vanitas Vanitatum et omnia Vanitas) 입니다. 그리고 그 "인생의 무상함"을 나타내는 예술기조가 바로 바니타스 정물화입니다.
@pitot0philo207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단어가 같을 뿐이라고 얘기하실 분들이 있을지 모르니 Vanitas라는 단어는 Vanish의 어원으로 본래 허무하게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이것이 전도서를 번역하며 단순히 허망함을 넘어서서 "인생의 무상함" 을 나타내게 되며 바니타스 정물화라고 불리게 된것입니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pitot0philo207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nocturnetale Жыл бұрын
광기라는 포장지에 감춰져있던 지성...
@hamsi7399 Жыл бұрын
포장지가 너무 두꺼워요 ㅋㅋ
@KookyCookie-f8m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이것이 진짜 광기ㄷㄷㄷ…
@LexicK Жыл бұрын
스킵 한 번 없이 빠져들게 만드네요. 평소 미술작품에는 진짜 관심도 없고 알고싶지도 않은데 이래저래 라덴의 설명을 듣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미술작품 감상한 느낌이네요.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쭉 이런 컨탠츠를 진행한다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user-uj5qw2un2p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잘 아는걸 넘어서 가르치는 능력도 대단한듯
@Meo-yp0248 Жыл бұрын
사람 자체가 개성있어서 너무 좋아요..
@hamsi7399 Жыл бұрын
'개성있다'라는 말이 이렇게 잘 어울리는 사람이 있을 줄이야
@Ryu_SeH4 Жыл бұрын
영상처럼 이런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은 보면 아시겠지만 그 당시의 사회적 배경, 역사, 문화 등등을 알아야기에 세계사를 좋아하는 분들이많고 예술가들의 일생이나 작품 자체의 스토리 같은것들을 좋아합니다 장르를 넓혀가다보면 진짜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을 찾아가시는 분들이기에 개성이 뚜렸한 분들이 많습니다 의상이라던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ㅋ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여러모로 입체적인 캐릭터라 너무 좋습니다.
@decrobyron Жыл бұрын
왜야 왜 수준높아...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라덴'이기 때문
@craresc Жыл бұрын
앤 진짜 예술가 느낌임 ㅋㅋㅋ 재능넘치는 방탕한 예술가 ㅋ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너무 방탕하게 살아오셔서 통장잔고가 없으신...
@계란감자 Жыл бұрын
한줄요약 : 마! 실제로 보면 좋을걸!! 그런데 실제로 보면 진짜 그렇다 그렇지 위해서 만든 작품을 보는데 기분이 좋아지지 않으면 현생을 되볼아보는게 좋아.... 너가 기분 좋거나 뭔가 생각하기 위해서 만든 작품인데 아무것도 못 느낀다면 그건 서로가 불쌍한거 아니겠냐 상대방은 진심이라고 그래서 예에에에술이 좋아
@wadf11003 ай бұрын
현대 미술에서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를 영상을 보고 알겠네요. 겉으로 볼때 라덴님이 설명하신 방법으로 알기가 어렵기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ㅋㅋ
@플라맹고-b6o Жыл бұрын
일본어를 못하는나에겐 클립이 본채널이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언어의 장벽이라는게 참 무시못하긴 하죠 ㅎ
@user-uj1hy9xc2u Жыл бұрын
언어의 장벽을 허물게 되면 그동안 격어보지도 알지도 못했던 것들이 들리고 보임니다. 당장에 음악만 봐도 언어의 장벽을 넘으면 보다 다양한 장르 다양한 가사와 주제등이 넘쳐나고 들을거리가 많아지고 가사에 담긴 감정또한 느낄수 있습니다. 이는 영화 드라마도 공통되구요... 더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 할수있고 또 즐길수 있죠. 장벽 넘어의 세상은 참 뭐랄까... 아름답습니다.
@Stellar_Stellar Жыл бұрын
알고보니 청초하네...?
@jhyhad Жыл бұрын
청초(8mm 담배에 불을 븥이며)!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청....초....는....어......
@SurfingOrca Жыл бұрын
첫인상을 생각하면 참 묘한 기분이 든단 말이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그...사실 지금도 술마시면서 방송중이긴하거든요...ㅎ
@FuwaSakii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홀로 최고의 유익한 컨탠츠 + 홀로 최악의 자기관리
@CBRN-115 Жыл бұрын
목소리 너무 귀여워
@MAIHAMA7329 Жыл бұрын
세상에 미학과 교수보다 설명 잘하는거 실화냐...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역시 이쁘고 봐야한다. 귀에 더 잘 들어오는 느낌이야
@rl5952 Жыл бұрын
교수아닐까??? 아마 전공일꺼 같아보이는데
@jhyhad Жыл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라파엘로, 베르메르…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작품을 좋아하는 모양이네요 라덴은. 제가 좋아하는 쪽이랑은 살짝 어긋난 느낌. 확실히 1번은 작품을 많이 감상한 다음에 느낄 수 있죠. 2번의 2-1에 촛점을 맞추고 감상하다 보면 2-2, 2-3까지 나아가고, 그 다음에 1번이 보이게 되겠죠.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미술 전반적으로 좋아하는 것 같긴한데 아직은 좀더 디테일한 이야기를 안풀었으니 지켜봐야 할 듯?
@ElfTori Жыл бұрын
제목보고 ' 배워서 다른 사람한테 아는척 해야지! ' 하고 들어왔지만 미술관 가이드 톤에 매료되어 멍하니 보고만 말았습니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보고 있으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빨려들어요 정말 ㅋㅋ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이걸 가만히 듣고있는 사람이 많다는건 버튜버 시청 연령층이 낮지 않다는 거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사실 미술이라는 주제가 생각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것도 있을꺼에요ㅋㅋ
@user-kankokudokuta8 ай бұрын
확실히 지성인인가 한자 잘 쓰네
@snrnfrksks2374 Жыл бұрын
미술사학 교양 강의 듣는 느낌인데 가르치는 사람이 버튜버다? 이걸 어케참음 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우리 교수님도 버튜버였으면 열심히 공부했을꺼야..
@kokoda4514 Жыл бұрын
그저 술담배 좋아하는 아줌마로 보기엔 라덴 지성미 오져버리고 ㄷㄷ 진짜 극호다 극호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지성이 넘치는데 술담배를 좋아해? 오히려 좋아
@모르고리즘 Жыл бұрын
역시 예술가는 광기가 필요한건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광기...예술의 오랜 친구여
@_dupdup Жыл бұрын
3:09 '르네상스를 좋아하는' 이 아니라 '르네상스기의'(약 10초뒤 재언급시엔 제대로 써져있음)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아앗! 감사합니다! 검수할 때도 생각없이 쉭하고 지나가버렸네요;;
@konyappi4 Жыл бұрын
라덴 센세..
@hamsi7399 Жыл бұрын
홀로는 빨리 라덴 센세에게 안경을 지급하라...
@ahs0912 Жыл бұрын
3:07 르네상스 기(期) 같네요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ㅠ 다음부터는 더 신경쓰겠습니다! ㅎ
@Joshrimp Жыл бұрын
개성있는 교수님의 교양수업듣는 느낌...🤣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내 교양교수님도 저랬으면....!!!!
@deptofbiochem1143 Жыл бұрын
봇치더락의 키쿠리가 생각나는 느낌? 미술계의 키쿠리... 술담배 도박을 좋아하지만 자기 분야에서는 전문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트위터에서도 키쿠리랑 엮어놓은 그림들이 많더라구요 ㅋㅋ
@홍련의노래 Жыл бұрын
아직 방송 초반이지만 라덴의 방송은 게임일변도의 방송과는 다를 것 같아 기대되네요.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본인이 게임 방송 쪽보다는 잡담 쪽을 선호하고 그걸 매우 잘하는 편이니까요. 라덴 잡담방송 진짜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보고 있어요!
@nangha2012 Жыл бұрын
라프라스도 초반에 보면 순수미술 얘기를 했지만 수요가 없어서인지 결국 안하긴하죠
@hamsi7399 Жыл бұрын
@@nangha2012 이쪽은 오히려 순수미술 이야기할 때도 시청자가 몰리고 있어서 그런면으로는 장기적인 시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ㅎㅎ
@레디퍼펙트10 ай бұрын
라덴 교수님?
@salt-candy Жыл бұрын
강의OT를 하는 버튜버ㅋㅋㅋㅋㅋㅋ구독하면 수강신청인가요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우리 교수님도 저렇게 가르쳐주셨으면 내 학점이....
@pai6790 Жыл бұрын
라덴 게릴라를 거의다 챙겨봤는데 진짜 뭔가 배우는것도 있고 말을 잘해서 재밌슴다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진짜 보다보면 '말을 잘한다'라는게 느껴져요.
@곰돌-r9b Жыл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 인건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아는 만큼 더 재밌게 볼 수 있다!
@PLUTONIUM1228 Жыл бұрын
이과계열 브레인도 하나 있으면 개쩔듯 버츄얼 미소녀에게 상대성이론 강의나 입자물리학 강의 들으면 재밋을거같은데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비쥬얼은 코박사님이 그런 계열인데...분명히 본인 입으로 홀록스의 지능이라고 그랬는데...크흡
@PLUTONIUM1228 Жыл бұрын
@@hamsi7399 제가 하필 예술 이런거와는 담쌓고 지낸지 24년째라 ㅋㅋㅋㅋㅋㅋㅋ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사나가 인터스텔라 설명회 한적 있지 않았나요
@1957Y Жыл бұрын
문학으로 치면 표현론과 수용론계열인가
@쿠찌모찌 Жыл бұрын
왜 난 라덴에게서 버튜버가 아닌 평행세계 속 또다른 세계선의 입담 좋은 일류 스타강사로 활약하는 라덴을 보고 있는걸까...
@hamsi7399 Жыл бұрын
가능성이 있다!
@황순현-f8b Жыл бұрын
대학교 교양수업 듣는 기분인걸...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다들 비슷한 감정을 공유 중 ㅋㅋ
@아샤삭 Жыл бұрын
뭔가... 뭔가 본업 모먼트 같네 다른거 보다보니까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지 않습니까?
@아샤삭 Жыл бұрын
@@hamsi7399 ㄹㅇ 머찜
@Blue__navi Жыл бұрын
물리적인 측면에 그려질 당시 시간하고 공간까지 포함이구나 세상에 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분명히 학교다닐 때 배웠는데...이렇게 재밌지 않았는데...이상하다...
@pitot0philo207 Жыл бұрын
인상주의 이전 사실주의 시대에는 그림이 그려지는 그 순간의 시간과 공간에 따른 이미지를 포착해내는 시절도 있었으니까요ㅋㅋ
@nangha2012 Жыл бұрын
예전엔 실내에서 그렸지만 게술에 발전에 따라 결국 순간을 담아내는 인상화로 까지 가죠 모네의 연작 같은걸 보면 시간변화에 따른 풍경을 변화를 담아냈죠 그후로 후기인상파로 넘어가지만 전 전기 인상파의 그림들이 좋더라구요 예전에는 만들어진 빛과 형태라면 인상화는 보는 그대로의 풍경을 담아냈으니 그시간대 그대로를 표현했다고 하는거죠 그래서 그림을 배우거나 할땐 오히려 인상화가에서 배우면서 거꾸로가는걸 추천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인상화특징이 그시간대의 빛의표현에 중요해서 말이죠 오히려 인상화가 더 극사실주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onlymarinewatch Жыл бұрын
수능57일전 인강 강사로 최적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사님 있으면 1등급 받을 때까지 공부하지...
@패애 Жыл бұрын
페코라에게 지성을 많이 넣으면 저런 느낌일까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지성을 추가한 만큼 자기관리를 빼야할지도...등가교환이다...!!
@noizel1990 Жыл бұрын
아는 거 많은 한량 같네 ㅋㅋㅋㅋ 동기한태 돈 빌려 달라고 떼쓰는 거 보면 ㅋㅋㅋㅋ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736엔 남았다고! (술을 마시면서)
@nja0528 Жыл бұрын
예'술'가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원래 예술가들이 향략도 좋아하고 그런거죠
@eldis4304 Жыл бұрын
미술사학 부전공인가 일본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미술사학 전공하면 전공심화쯤에 배우는 내용인디 ㅋㅋ 교양으로 배우면 요정도로 깊게 안들어감
@eldis4304 Жыл бұрын
큐레이터나 도슨트 준비했거나 해본거같음 베르메르나 클노드모네 나오면서 해당 시기의 배경 설명이나 작가 특징까지 언급하는거 보면 겉할기로 언급하는게 아니고 분명 더 아는데 시청자 수준 맞춰서 심화까지 안가고 일부러 내용 수준 조절해서 이야기해준 느낌 ㅋㅋ
@hamsi7399 Жыл бұрын
아~ 교수님이 OT때부터 너무 깊게가면 수강생들 다 도망간다구요 ㅋㅋ
@venra8920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전문적이라서 멋있기는 개뿔 초등학생이 자기 학교에서 배운거 설명해주는 느낌이라 ㅈㄴ 귀엽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