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는 아직도 굶주리고 있을까? 세계 기아 지수로 보는 아프리카 분쟁! | 국제정치

  Рет қаралды 1,475,610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Күн бұрын

#컨선월드와이드 #NothingKillsLikeHunger #세계기아지수 #국제정치
🌍 with 컨선월드와이드 🌍
전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굶주림에선 살아남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지금, 긴급 식량을 보내주세요.
🌍 캠페인 자세히 보기: campaign.do/XzVR
아프리카는 아직도 굶주리고 있을까?
세계 기아 지수로 보는 아프리카 분쟁! | 국제정치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 참고문헌 📑
Anderson, W., Taylor, C., McDermid, S. et al. (2021, August 12). Violent conflict exacerbated drought-related food insecurity between 2009 and 2019 in sub-Saharan Africa. Nature.
www.nature.com...
Collier, P., & Hoeffler, A. (2002). On the Incidence of Civil War in Africa.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46(1), 13-28.
Easterly, W., & Levine, R. (1997). Africa’s Growth Tragedy: Policies and Ethnic Division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2(4), 1203-1250.
The Economist. Africa will continue to suffer coups and civil wars in 2022. (2021, November 8). The Economist.
www.economist....
Elbadawi, I., & Sambanis, N. (2000). Why Are There So Many Civil Wars in Africa?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Violent Conflict. Journal of African Economies. 9(3), 244-69.
Nunn, N. (2008). The Long-Term Effects of Africa’s Slave Trade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3(1), 139-176.
Nunn, N., & Wantchekon, L. (2011, December). The Slave Trade and the Origins of Mistrust in Africa. American Economic Review. 101(7), 3221-3252.
Whatley, W. C. (2018). The gun-slave hypothesis and the 18th century British slave trade,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67, 80-104.
최윤정. (2021, October 17). 세계기아위험 1위 소말리아..."코로나19보다 분쟁이 문제". 연합뉴스.
www.yna.co.kr/...
김영미. (2021, November 27). 세계는 왜 굶주리는가. 경향신문.
m.khan.co.kr/w...

Пікірлер: 1 400
@Kjy_Play
@Kjy_Play 2 жыл бұрын
🌍 with 컨선월드와이드 🌍 전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굶주림에선 살아남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지금, 긴급 식량을 보내주세요. 🌍 캠페인 자세히 보기: campaign.do/XzVR
@spqr6291
@spqr6291 2 жыл бұрын
네 참여하겠습니다!
@도솔-v6i
@도솔-v6i 2 жыл бұрын
동참하겠습니다.
@도솔-v6i
@도솔-v6i 2 жыл бұрын
후원 신청 했습니다. 크리스마스 선물 감사합니다.
@최은석-q5z
@최은석-q5z 2 жыл бұрын
혹시 종교단체 혹은 특정 종교와 관련되어 있나요? 그렇다면 구호를 핑계로 님들 종교 세력 확장을 위한건가요 혹은 굶주리는 아이들 위해 쓰라고 주는 구호금으로 월급 받지 않나요?
@my-cat-siro
@my-cat-siro 2 жыл бұрын
제 해피빈 적립금 기부 단체에 추가했습니다. 작은 기부금과 함께
@버닝아웃
@버닝아웃 2 жыл бұрын
저는 모든 이의 교육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빈부 문제, 인권 문제, 이념 문제 등등 뭐가 문제인지 알고 해결을 위해 나서야죠.
@키다리아저씨-t9o
@키다리아저씨-t9o Жыл бұрын
한국인 중에서 아프리카 가나가서 농사지으신분 계신데 그 분 인터뷰 영상 보면 그 분이 구입한 밭까지 가려면 길이 없어러 직접 고용해서 불도저로 밀어서 도로를 내는걸 봤습니다. 그거 보고 현지인들이 놀랐다고 함.. 그리고 그 길은 그분보다 현지 가나인들이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하구여 환경도 문제겠지만 스스로 노력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참고로 가나 땅 1평당 우리돈 1500원 이고 거기 현지기사 채용하는데 한달월급이 우리돈 15만원이었음
@회전목마-p6e
@회전목마-p6e Жыл бұрын
역시 문화와 역사가 중요하다
@irenelee4230
@irenelee423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지윤박사님. You don’t just share fact-based information but alway present a question or a challenge that makes views think . . . for days . . . and weeks and make us dig deeper
@파치왕
@파치왕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we are the world해서 소말리아에 기부해서 결국은 해적됨
@micheal6485
@micheal6485 2 жыл бұрын
HWPL 평화단체에서 아프리카 55개국 의회와 평화를 이루기 위한 일이 하고 있습니다 저도 아프리카를 위해 기부를 하지만 기부는 끝이 없는 일이죠 분쟁후 구호는 끝이 없죠 평화를 이뤄야합니다 저도 마이클잭슨의 극성팬으로 아프리카의 기아에 관심이 많습니다 인류의 평화를 위해 HWPL평화 단체에서 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국내에선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프리카 55개국 의회가 손을 잡았습니다 지금 인류는 평화의 중요성을 너무도 절실히 느낌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골미녀-w5h
@골미녀-w5h 2 жыл бұрын
결국 아프리카는 답이 없구먼. 차라리 코로나로 인구가 현저히 급감해서 식량난을 해결하는게 빠르겠어.
@일청송
@일청송 Жыл бұрын
김지윤박사님 출연프로 및 영상은 다 보고 찾아서라도 봅니다. 지식을 공유해 주시고 세상을 해맑게 해 주시니 고마울 따름이지요. ♥♡♡♥♥☆☆★★☆화이팅
@이현희-f2e
@이현희-f2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마음의안식-s4w
@마음의안식-s4w 2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scarymuffin6978
@scarymuffin6978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친구가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 어린이가 ‘왜 우리는 가난해요?’라는 질문을 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저도 계속 궁금해하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인류애 부분도 너무 공감합니다
@덕덕-b2e
@덕덕-b2e Жыл бұрын
10대 중후반 즈음엔 알게 될거고 너도 한 몫하고 있을거라고 대답해주면 됨.
@샤쿄
@샤쿄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하면 늘 안타까움이란 단어가 먼저 생각납니다. 터무니 없는 얘길 수도 있겠지만 여러 부족이 하루 빨리 이해관계가 회복되서 마치 영화에 나오는 와칸다같은 가상국가 같은 모습을 보고 싶네요ㅠㅠ 늘 좋은 설명 감사드려요^^
@진한김-k3z
@진한김-k3z 2 жыл бұрын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새로운 사실을 알았어요 감사합니다
@user-ry4gf1kx2c
@user-ry4gf1kx2c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ㅎ
@김재선-b5f
@김재선-b5f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김 지윤 의 지식 play 최고💝
@ASMR11
@ASMR11 Жыл бұрын
설명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입니다
@borasack0_092
@borasack0_092 2 ай бұрын
오랫동안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기부를 했었는데.. 이게 무슨 소용인가.. 그들이 각성해서 깨어나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어 기부를 멈추고 다른 곳(진정 도움이 될만한 곳)을 찾아 옮겼습니다. 아프리카도 시간이 흘러 자연도 보존하며 기본 복지가 되는 지역으로 발전되길 바랍니다.
@한고을-f7c
@한고을-f7c Жыл бұрын
잘살라고 노력하는데는 도움으로 일어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곳에 물질적인 지원은 깨진독에 물붓기... 실제로 도움을 주려고 한다면 잘살려는 의지를 주는 조금씩이라도 자기들의 노력에 대한 성과가 보여지는 걸 본다면 바뀌겠죠! 그렇지 않은데 식량을 주는식으로는 영원히 개선이 않될듯 합니다. 요즘 유튜브방송을 통해서 많이 보는데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어렵게 사는 사람들을 보면 못사는 이유가 있더라구요! 그게 다른국가의 영향과 잘못만은 아니라는것 핑계를 데다보면 끝이없습니다. 우리나라도 살만해진게 그렇게 오래된일이 아니죠!
@cafelatte123
@cafelatte123 2 жыл бұрын
촬영 공간이 엄청 예뻐요. 스튜디오인가요?
@__-wp5is
@__-wp5is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쉬바쉬바-s2h
@쉬바쉬바-s2h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기아지수가 높은건 낮은 피임지식과 과잉 인구생산에 있습니다. 여성 교육을 증가시켜 인구수 자체를 줄일 수 있게끔 지원하는게 빵한조각 더 주는것보다 그쪽 사정을 좋게 할지도
@J다바크
@J다바크 2 жыл бұрын
단 1%라도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 자체로 된거라 생각해요. 기부를 하던 안하던 그건 자신의 몫이지 누구도 강요하진 않습니다. 이런 영상을 볼때마다 마음이 아프지만 꼭 필요한 내용이라 생각되요. 알고만 있는 것과 보는 것은 다르니까요. 영상 감사합니다♡
@맑은하늘-g9d
@맑은하늘-g9d Жыл бұрын
글쎄요.....1퍼센트가 도움이 된다는건 도움이 안되는것과 진배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선한사람들이 백달러를 기부했을때 일달러가 간다고하면, 기부를하지 않는사람들에게 불신만을 줄 뿐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부를 줄이는 결과를 낳게될것이고요. 그래서 우리는 똑똑하게 정말 정직한NGO를 찾아 그들에게 쾌척해야할겁니다.
@J다바크
@J다바크 Жыл бұрын
@@맑은하늘-g9d 그래서 정직한 NGO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부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기부 문화에 부정적이죠. 그것도 개인의 자유니까요.
@파랑-i3i
@파랑-i3i 2 жыл бұрын
연말에 어울리는 내용입니다. 언제나 지식의 지평을 넓혀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내용도 기대할게요.
@soonmyoungkwon3850
@soonmyoungkwon3850 2 жыл бұрын
연말에 어울리는 내용이 아니라 한국처럼 경제적 부를 얻고 있는 사람들이 항상 반드시 가져야할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태영-j5u
@이태영-j5u 4 ай бұрын
2년 전이나 2년후 지금이나 여전히 예쁘시네요 박사님 ❤
@김현경-f9z
@김현경-f9z 2 жыл бұрын
일단 정치적 안정이 중요한 것같습니다.....그래야 뭔가 계획이라도 세우고 외부의 원조도 가능할테니까요.....부족주의가 강한게 여러모로 발목을 많이 잡는 것같습니다......
@Vlusky615
@Vlusky615 2 жыл бұрын
좋은일 많이 해주시길 바랍니다,
@솔로몬-g8i
@솔로몬-g8i 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감사합니다
@jinpark5062
@jinpark5062 2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규문-g6e
@이규문-g6e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영상 고맙습니다^^
@PSIK_
@PSIK_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자선단체 광고를 보면 아프리카 아이들이 불쌍하다고 느꼈는데 요즘에는 우리나라가 옛날에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되어 경제적 자립이 된것처럼 아프리카가 자선단체에게 도움도 받은지도 꽤나 오래되었는데 왜 아직도 가난에 허덕이고 있는가 궁금했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네요...
@이지금-z8w
@이지금-z8w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지안-c3j
@지안-c3j 2 жыл бұрын
도와주는건 한계가 있음 스스로 먼저 변해야 도움이 효과를 보는 것임 근데 저런 곳에서 기아를 돕는 분들 중에도 음식을 댓가로 어린 애들을 성적 착취 하는 경우도 있다는 다큐를 보고 충격 받음 저런 곳에 봉사 하시는 분들은 좋은 사람들인데...가장 하지 말아야 할 범죄를 저지른 다고 하니...
@제이에이치TV-w4n
@제이에이치TV-w4n Жыл бұрын
고급진 채널!! 저도 교육을 하는데 많이 홍보(권유)하고 있습니다. [ 정치인들 필수 클릭 채널로 하고 싶습니다.ㅎㅎ ]
@이킁킁-w7u
@이킁킁-w7u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사막 때문에 횡단 물류의 맥이 끊기기 때문입니다.
@팬더곰-e4q
@팬더곰-e4q 2 жыл бұрын
와 강의 멋있네요
@peachby6335
@peachby6335 2 жыл бұрын
물론 노예문제 때문에 불화가 커졌겠지만 그문제 없어도 그냥 부족끼리 생존경쟁하는 원시사회체제라 사이가 좋았을리가 없지않고, 지금 잘나간다는 서방문명도 중세에서 발전하는데 수백년이 걸렸고 불과 몇십년전까지 계속 전쟁질만했었는데 원시사회체제에서 성숙하는게 수십년만에 이뤄지긴 쉬운일은 아닐듯.
@시간의흐름
@시간의흐름 2 жыл бұрын
생각이 많아지게 되는 내용입니다
@donema9958
@donema9958 2 жыл бұрын
퇴근길에 보기 딱 좋은 채널
@이거보면행운대박
@이거보면행운대박 2 жыл бұрын
정말 격변하지 않는이상, 앞으로 50년이상은 답이 없는 대륙 아프리카.
@까만모자-b6j
@까만모자-b6j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말합니다 전 도와주는게 옳은것인지 모르겠네요 도와준다고 필요한곳으로 들어가는지 모르겠고 국제기구를 믿을수 없어요
@paul-ik6zt
@paul-ik6zt 2 жыл бұрын
👍
@JamesK920
@JamesK920 Жыл бұрын
8:50 기아지수 영양결핍 / 아동 저체중 아동 발육부진 / 아동 사망률
@감우성-f9i
@감우성-f9i 7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의 태생이 미국이나 호주 같았다면 굉장한 기회의 땅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식민지 사냥시절 강대국들이 지들 마음대로 그어놓은 국경선때문에 수많은 원주민들의 갈등이 필연으로 나타나고 내전으로 번질 수 밖에 없음 아예 미국이나 호주의 건국처럼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새로운 국가를 세우면 몰라도 아프리카는 앞으로도 계속 내전의 땅이 될껍니다
@gunsg3946
@gunsg3946 2 жыл бұрын
혁명적인 정치가 특출난 인재들이 없는것도 신기함
@김문정-t4b
@김문정-t4b 4 ай бұрын
불공정 부정부패가 어느정도인지가, 그 나라의 모든수준및 행복도의 척도. 공산이니 자본이니 왕정이니 봉건이니 종교 사회주의니는 선명 의미 없어. 오직 그 사회가 공정하나 않하냐, 부정부패하냐. 않하냐가 선명성과 행복도의 척도.
@mango77121
@mango77121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의 문재는 자원과 물이 국제금융회사들이 독점하고 있어서 없는거나 마찬가지임
@dky89
@dky89 2 жыл бұрын
밑빠진독에 물붓기…..이정도 원조를받았으면 자급자족해야죠
@kbmnike
@kbmnike 3 ай бұрын
부족별로 독립했으면, 55개국이 아니라, 200개국으로 나눠졌어도 모자랐겠네요. 그리고 서로 조상의원수라고 전쟁하고 있겠네요.
@koabounga
@koabounga Жыл бұрын
나오는자원을보면 당췌 가난할수가 없는 나라들인데도 가난해 부의 분배가 씹창나면 여기까지 조질수있다는게 대단함
@등심스테이크-b9s
@등심스테이크-b9s 2 жыл бұрын
와.. 노예의 대한 새로운사실..ㅋㅋ
@장기태-q6c
@장기태-q6c 2 жыл бұрын
욕심때문이죠.
@앵그리구
@앵그리구 Жыл бұрын
사냥만 해서 먹고 사는 부족국들이였기에....지금도...뭘 생산해서 살아가는거보단....당장의....남의껏을 뺏는것을 더 좋아하니....발전도 안되고....전쟁만하지 않나 싶음....
@aj-sd7pq
@aj-sd7pq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지속적으로 아프리카를 다 먹여 살릴정도의 식량도 가격이 안맞으면 다 버린다는 것도
@이진이-w8c
@이진이-w8c 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감사합니다
@nada6710386
@nada6710386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도 그렇고. 중동도 마찬가지고 여기 나라들은 기본적으로 부족문화가 강하다보니 끊임없이 분쟁이 일어나고 국가 발전할수있는 동력이 생기지않는거같습니다
@younjooil
@younjooil 2 жыл бұрын
20여년을 해외 ngo에서 일했습니다... 당연히 아프리카도 여러나라를 오랫동안 다녀왔구요.... 살기도 했고 ... 오늘 이 주제가 눈에 들어온 이유기도 합니다... ngo가 도와주는 것의 한계와 20여년 전에 갔던 아프리카와 최근 간 아프리카는 그다지 바뀌지 않았다는 거죠... 도시만 바뀌지, 지방으로 가면 너무나 똑같습니다.... 오래전엔 백인들의 식민지였다가 최근엔 중국의 경제식민지로 바뀐 듯한 느낌이구요... 지금은 개인사업을 하고 있지만, 언제나 미안함과 안타까움을 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수돗물만 봐도, 남겨지는 음식을 봐도, 안쓰는 물건만 봐도 그들이 생각나죠... 세계는 그러한 풍요를 조금만 나누어도 해결될 문제지만, 각 자기 국가들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게 현실이니까 말이죠...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몰라 각자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답답한 일만 반복됩니다. 잘사는 나라만의문제도 아니고, 유엔이 개입 안해서도 아니고, 아프리카 정치문제만도 아니고, 그나라 사람들의 국민성 때문만도 아닌... 모든 문제의 복합적인 관계로 인해... 반복되는 어려움이라 생각되네요.... 이시간도 현지에서 일하고 있는 많은 ngo분들과 현지의 희망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현지분들을 위해 화이팅을 전하고 싶습니다...
@sarah90
@sarah90 2 жыл бұрын
@윤주일 와 그동안 20년간 수고하셨습니다.. 밑빠진독에 물 붇는 느낌이 드셨을수도 있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도움을 주셨을꺼에요... 감사드려요! 국제개발학 전공했고 단기 봉사 몇번후 제 길이 아니라고 포기해서 마음 한켠 아쉬움이 있는데 끈기있게 일하시는 윤주일님 같은 분들이 귀합니다. 감사해요!!
@1130따오기
@1130따오기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빈민에 대한 지원이나 기부는 밑빠진 독에 물 붓는 느낌이 너무 강하게 들어요. 그런 느낌을 없애는 것은 오롯이 그들의 몫이죠.
@정주안-k8d
@정주안-k8d 2 жыл бұрын
참 어렵다는 생각을 들게하는 글입니다 선생님 ㅜ
@sunyoungpark910
@sunyoungpark910 Жыл бұрын
답글 정말 감사드립니다...오늘 아침 지금 휘몰아치는 lay off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선생님의 글을 읽으면서 나의 고민은 지구 반대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불편과 힘듬에 비하면 별거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ahgridbhek3482
@ahgridbhek3482 Жыл бұрын
남는 음식을 왜 그들과 나눕니까? 그들이 개가 아닌데. 스스로 일어서야지.
@성엘리-p1d
@성엘리-p1d Жыл бұрын
저는 자꾸 자기가 안되는 이유를 외부에서 찾는 생각 자체가 문제인 것 같은데요. 다른 사람만 원망하며 자기 문제를 남이 해결해주길 바라는데 정말 외부에 문제가 있어서일까요? 우리는 외부의 문제가 없어서 이렇게 잘 살까요?
@청설모-c6z
@청설모-c6z 7 ай бұрын
박사님처럼 인문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올바르게 세상을 보는 가치관을 가져야 어려운 이웃이 보이고 고통받는 환자들이 보일것 같습니다 인류문명의 시작과 끝은 인문학 이라고 감히 생각합니다 건강하세요 👍😊
@nlvea536
@nlvea536 Жыл бұрын
겁나 궁금한게 아프리카는 깨진 독에 물붓기라고 생각하는데요 언제까지 도와줘야 되는거죠? 여러국가가 몇십년동안 몇조원은 기부한것같은데 발전 가능성이 없는데 계속 기부해야되나요? 일단 국민들이 하나로 단결을 하고 올바른 지도자를 뽑고 1차 산업을 계발하고 등등 이걸 몇십, 몇백년동안 못하고 있는데 계속 도와주는건 아닌것같아요
@greenjoon1
@greenjoon1 2 жыл бұрын
원고를 직접 쓰시나요...? 아니면 작가가 있으신가요...? 기획과 원고, 영상, 그래픽 모두 정말 훌륭합니다. 이제 공중파는 사망선고를 받았다고 봐야할 듯 합니다. 훌륭합니다.
@어멈-k3c
@어멈-k3c 5 ай бұрын
직접 쓰신다고 최근 타 유툽에 나오셔서 말씀하셨어요!
@miaaa1488
@miaaa1488 5 ай бұрын
당연히 직접 쓰시겠죠 저 정도로 깊고 방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어떻게 작가가 쓰나요...ㅡㅡ 공중파에서도 전문적인 내용은 이런 전문가들 모셔다가 자문받아서 쓰는 거예요.
@sumgim928
@sumgim928 Жыл бұрын
기아가 많이 줄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저는 아프리카의 기아는 매년, 매해 늘고있다고 생각한 사람이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기아지수가 줄어든다는 것에 감사하고 또 동참하고 싶습니다.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6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의 문제는 아프리카 남자들의 문제입니다 미국에서 보면 학력높은 고학력 엘리트 흑인여성들은 결혼할 남자가 없다고 합니다 결혼 연령대인 20대~30대 남자들 절반은 감방에 가있고 나머지는 마약에 취해 있거나 마약거래등 각종범죄자 이며 흑인들은 여자에게 임신만 시키고 또다른 여자에게로 가버립니다 흑인남자들은 바람도 많이 피웁니다 체력은 우수하고 운동도 좋아 하지만 결혼생활이나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지 않습니다 백인들이 아프리카를 식민지로 해서 착취한것 보다 더많은 항구 철도 공항 및 수많은 건물들과 공장들 물려줬어도 그것을 발전시킬 능력이 없었으며 흑인 조상들의 노예생활 댓가로 쿠바나 아이티 중남미등 아프리카 보다 살기좋은 나라들로 옮겨서 같은흑인들 끼리 살게 되었어도 중남미에 흑인들이 많은 나라들 모두 가난하게 살고있습니다 흑인들만으로는 국가를 발전시킬 역량이나 능력이 없고 오직 같은흑인 들끼리 서로 여자 빼앗기 바람피우기나 즐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는 유럽이나 미국에가서 고임금 취업하는것이 그들의 꿈이지요 노예생활이 싫었으면 자기들 끼리 잘 살도록 나라를 만들어 주었으면 발전시키고 잘살아야지 그렇게 막아도 왜 다시 백인들의 나라로 갈려고 하는것인지 ? 미국과 일본 유럽등 선진국들이 아프리카를 위해서 얼 마나 많은돈을 해마다 기부하고 유엔 및 각종국제기구들이 돈을 퍼부우면서 지원하고 있는데...
@choi8921
@choi8921 Жыл бұрын
조금 냉정하게 들릴수있겠지만 자기들이 해결할수있게 두는게 맞는게 아닌가 싶어요 몇십년이 흐르든 몇백년이 흐르든 자기들 경험으로 성장해가는게 맞지 외국 원조로 오는 쉽게 가질 돈으로 무엇을 배울까요… 그 원조는 과연 정말 대가를 바라지 않는걸까요? 예전에 한 미국 사업가가 아프리카 인구가 지구에서 상당량 차지하고 그것이 나중에 중요한 인력으로 필요할것이다라고 말하던데 그 길을 들이기위해 미리 손쓰고 있는건 아닐까요
@강마루-u6g
@강마루-u6g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아프리카는 자기들 힘으로 단한번도 문명사회를 이룬적이 없는거 보면 내부 원인이 제일 큰 문제인거같음..
@searching8848
@searching8848 8 ай бұрын
아비시니아 제국
@강마루-u6g
@강마루-u6g 8 ай бұрын
@@searching8848 찾아봐도 나오는게 없음..
@LA-fm5gy
@LA-fm5gy 2 жыл бұрын
국제사회가 그렇게 원조 했는데 안 되는건 그 지역 기득권들이 문제인 듯
@std3786
@std3786 2 жыл бұрын
근본이 수렵 채집민족들이니 당연 하루살이에 만족ㆍ 그것이 유전적 요인ㆍ즉 천생이 창조적 사고가 아닌 자연친화적 ᆢ그 결과 낙후
@user-eey
@user-eey 2 жыл бұрын
예전 평범한 방송인으로만 알고있었던 김지윤님, 해박한 정치 외교 문화 경제 잡학까지, 60대인 제가 애청자로서 감탄합니다.
@이바디-f5f
@이바디-f5f Жыл бұрын
김지윤님은 정치학 박사이십니다
@thegdo7197
@thegdo7197 2 жыл бұрын
자선업체들이 구호금을 받아 본인들 배를 불리는데 쓴다는 걸 모 자선단체에 몸담은 지인에게 들은 이후로 광고를 보면 불편해집니다. 빈곤 포르노라고 하죠. 가난한 자들을 앞세우고 선의를 베풀고자 하는 사람들의 뒷통수를 치는 기만은 더 이상 보고싶지 않습니다.
@taehyunkim1337
@taehyunkim1337 2 жыл бұрын
바뀔애들은 진작에 바뀜 아직도 안바뀌는건 의지가 없는거임 몇백년전 핑계를 아직도 대고 있는건 문제가 있는거임 우리보다 잘살던 필리핀과 아프간이 못살게 된 이유만 봐도 답이 나옴 싱가폴이나 나이지리아ᆞ우리같이 식민지때 수탈받았지만 스스로 극복하고 일어나는 나라들도 있음
@세바스찬-s8o
@세바스찬-s8o 2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본 글인데 어떤 사업가가 모기장을 팔면 대박이겠다 해서 생산시설 까지 설치해서 판매하니 초반엔 잘팔렸다 합니다. 그걸 본 자원봉사자들이 모기장을 보내주자 해서 세계 각국에서 모기장을 보내주니 망했더라죠. 선한 마음에 마냥 도와주는게 어쩌면 나라의 발전을 망치는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hyaho3729
@hyaho3729 Жыл бұрын
하긴 .. 조선시대에도 동족을 노비로 부렸지..
@wonminsong9883
@wonminsong9883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는 아직 국가의 형태를 갖추기 위한 철학과 교육이 부재하다는 생각을 늘 했습니다. 유럽인들의 침략이 있기 전, 그들이 국가를 이루지 못한 것은, 아무래도 국가를 이룰 정도로 조직된 거대한 행정조직과 노동력의 필요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주로 수렵과 사냥으로 생계를 잇는 사람들에겐 이동성이 높은 작은 단위의 부족의 문화가 더 맞았을 겁니다. 반면 동양은 거대하게 조직된 노동력이 필요한 농업에 기반하여 그에 필요한 조직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문화와 행정을 개편해 국가를 수립하였죠. 유럽은 종교의 명분으로 국가와 왕정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세웠고요. 결론적으론, 현대 사회의 국가라는 철학이 과연 아프리카 인들의 부족문화에 맞는 것인지 부터 따져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역사적으로 부족 이상의 조직을 만들 이유가 없던 사람들이, 한 나라의 경계선 안에 묶였다 해서, 옆부족을 내 이웃처럼 생각할 동기부여 자체가 없을텐데 말입니다. 그런 이유로 아프리카는 결국 중국에 잠식되거나, 다시 서양에 잠식되거나 둘 중에 하나라 생각이 듭니다. 허술하게 울타리가 쳐진 땅 안에 귀한 보석이 가득 차 있다면, 누군가는 그 울타리를 서슴치않고 넘어가 보석을 챙겨오려한다는 건, 뻔한 일이니깐요. ---- 이렇게 추천 많이 받는 댓글로 생소한데, 대댓글에서 전혀 상관없는 이념전쟁이 한창이네요. 선거철이니 그러려니 합니다. 근데 박정희를 옹호하는 분들이 좋아요 많은 댓글에 계획적으로 대댓을 다는 패턴이 보이네요. 정치공작이 의심이 가긴 합니다.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이보다 나을 거라 생각합니다. 진영논리에 매이지 말고, 큰 그림을 보시길 간곡히 부탁합니다. 한국의 위상이 올라갔으니, 우리의 시야도 그에 상응하여 높아져야죠. 조국의 청년들, 건승을 기원합니다. ---- 미국 아재가.
@코델리아-z7o
@코델리아-z7o 2 жыл бұрын
자원이 많은 나라에 지도자가 부패하면 아프리카 같이 다수가 굶어 죽죠 ㅉㅉ 자원 없는 나라인 우리나라 이런거 보면 진짜 대단합니다.
@sekaempire
@sekaempire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세계 , 정치의세계는 결과물의 싸움이다 박정희대통령은 단군이래 최강의 결과물을 만들어냈기때문에 모든 절차와 과정이 민주적이고 , 합리적이고 , 투명하고 , 절대선이될수밖에없고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처럼 , 결과물이 최악이면 절차와 과정이 모두 비민주적이고 , 불투명한 비합리성에 최악의 독재가 되는것이다 절차와 과정을 정당화시켜주는게 있다면 , 그건 오로지 결과물이기때문이다
@코델리아-z7o
@코델리아-z7o 2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근데 박정희 대통령이 공이 크신분이긴 한데 그분이 진짜 독재자 였죠. 그분이 했던 정책은 다 큰정부 였기에 가능했던 일입니다.
@도리-m9r
@도리-m9r 2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박정희는 두 번 다시보아도 훌륭했지만 너처럼 한 쪽에만 치우친 놈들이 그를 세 번 낮춘다 차라리 까불지말고 조용히 있어라 모두의 잘된 점을 높이사고 잘못된 점을 비판하는게 맞지 그저 네 맘에 들지않는다고 비난하며 흑백논리로 역사를 재단하는 행위는 너 뿐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ohseonggwon750
@ohseonggwon750 2 жыл бұрын
@@코델리아-z7o 박정희대통령이 독재자였다는 증거좀 봅시다 기존헌법을 중단시키고 , 완전 새로운헌법을 만들어서 국가를 새로 세우고 , 나라를 건국한 건국대통령한테 독재자라고 하면 , 이승만도 건국대통령이 아니라 , 일본정부로부터 정권교체한 대통령이고 왕건이나 이성계도 나라를세운 태조가 아니라 그냥 단순히 정권물려받은 왕일뿐이지 ,, 당신 , 고려사 조선사 한국사를 다시쓰고싶나?
@rahymmammedov809
@rahymmammedov809 2 жыл бұрын
1:56 아프리카 연합에서는 서사하라를 정식으로 국가로 인정하여 55개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구암-w5r
@구암-w5r 2 жыл бұрын
흑인국가의 숙명이 아닐까요? 흑인국가중에 선진국이 있나요?
@jbl3039
@jbl3039 2 жыл бұрын
교육말고는 절대 아프리카의 빈곤문제는 해결하지 못할거에요
@LDD897
@LDD897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는 구제 불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부족간 분쟁은 어느 한쪽이 살아있는 한 끝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또 외부인은 호시탐탐 이를 이용해서 이익챙기기 바쁘고 기득권은 자기배 채우기 바쁘고 인재는 타국으로 빠져나가고 총체적 난관
@gobaek6432
@gobaek6432 2 жыл бұрын
민족자결주의만 지켜지면 원조보다 낫다봐요 지들끼리 내전하는데 그게 가장 크다 생각합니다 노답입니다 나라덩치는크고 수십수백개의 민족이 나라내에서 할거하니 쩝 아프리카 나라들은 체코와 슬로바키아처럼 갈라서거나 유고슬라비아처럼 해체되는게 낫지 생각해요
@junchun8064
@junchun8064 Жыл бұрын
한반도도 지배당하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미국 지원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현재 한국의 발전을 이뤘는데 아프리카는 문명다운 문명도 발생한적이 없고 미국만 하더라도 흑인이 두번째로 들어간 인종인데도 그 뒤에 들어간 아시아인들에게 밀려서 아직도 최하층으로 살고 있는거 보면 인종 자체의 DNA적 특성을 의심할수 밖에 없음. 서양 신문물을 접하게 되면 사업이라던가 해서 나라를 발전시킬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무기부터 수입해서 다른부족 약탈할 생각부터 하는거 보면 문명이 발달할 여건이 안됬던게 아니라 문명을 이루고 살 정도로 진화가 아직 덜됬나 싶은 생각이 듬. 수천년 넘게전부터 국가라는 개념을 제대로 이루고 산 인종들과 20세기 들어서까지 국가 개념이 없는 인종들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함.
@김뭐뭐-w8z
@김뭐뭐-w8z 2 жыл бұрын
국경선이 분쟁의 가장큰 원인임. 지도를 보면 팬으로 그어늫은듯 반듯한 선들을 볼 수 있을거임. 과거 열강들이 아프리카를 수탈하고 식민지배했을때, 그리고 그걸 돌려놓을때 그어놓은 국경선임. 근데 열강들 입장에선 원주민 부족들을 배려할필요가 없기때문에 그냥 지들 편한대로 국경선을 찍찍 그어버린거임. 그게 현재 분쟁의 불씨가된거임
@미국테레비
@미국테레비 2 жыл бұрын
제가 들어본 말중 가장 멍청한 말중의 하나이군요. 애초에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국경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아직도 소위 선진국들도 국경분쟁이 진행중이죠. 그 과정일 뿐입니다
@유승호-o7h
@유승호-o7h 2 жыл бұрын
유럽에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흘러갔으면 에티오피아 같은 나라빼고 대부분 수많은 소규모 부족상태로 존재로했어야했음 ..이런상태라고 더 평화로웠을까?
@KJH53241
@KJH53241 2 жыл бұрын
@@미국테레비 최대의 사람들이 만족하는 국경은 있겠죠 지금 국경은 의도적으로 민족을 찢어놓았다 싶을 정도로 인위적인 건 사실입니다
@sangkim3809
@sangkim3809 Жыл бұрын
저는 의사로서 남미와 아프리카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보면 견해가 조금 다릅니다. 제가 한국의 역사와 남미, 아프리카를 비교하면서 미국의 어느 박사님과 이야기를 하다 보니 그분 말씀이 한국은 Man's power이 있고 다른 빈곤나라는 없어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 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한국보다 자원이 많은 나라도 한국보다 못 사는 나라가 많이 있지요. 그럼 Man's power이 무얼까? 건전한 사고와 성실성입니다. 건전한 분은 어려움이 닥치면 건전한 일과 노력을 하지만 아닌 사람은 남을 죽이고 훔치는 생각부터 합니다. 여러분 지도를 펴놓고 부자나라와 빈곤한 나라들의 종교를 한번 통계 내어 보세요. 답이 나옵니다.
@sangkim3809
@sangkim3809 Жыл бұрын
@@이슬여우-g8w 그러니까 악손환이 반복합니다. 빈곤과 구걸의 악순환.
@늑대-u3s
@늑대-u3s 2 жыл бұрын
키워줄 자신이없으면 낳지안는게 정상인데 낳아놓고 애들배고프다고 도와달라??? 능력안되서 3포, 5포, 7포가 수두룩한 나라에 TV만 켜면 도와달라 후원해달라 할말이없다.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갸들 굶는다고 불쌍하다고 식량 보내주면, 쳐먹고 자라나서 더 많은 애들 까낳고, 더큰 문제를 일으키는거죠. 걍 굶어죽게 내버려두는게 옳바른거죠.
@Joustis
@Joustis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교육이 함께 들어가야합니다..
@0019-i8p
@0019-i8p 2 жыл бұрын
결혼 연령시기도 차이크죠,,한국도 40년전 여성 결혼 평균나이는 21살임,그런데 지금은 31살,,, 아프리카는 거의대부분 16~22살임
@jaepil5692
@jaepil5692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아프리카 빈곤을 지원해줘도 소용없는짓이란걸...아프리카는 23세기가 와도 상황이 그대로일듯합니다. 뿌리부터 고쳐야할 아프리카
@fykyung
@fykyung 2 жыл бұрын
유튜브를 통해 시대적으로 깨우침을 주는 이런 방송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zoonystyle
@zoonystyle Жыл бұрын
한국 남성이란 차별과 능력절하급 취급에대해선 관시이 없을까요?
@sjzaza63
@sjzaza63 2 жыл бұрын
국제 정치학을 전공하신 분의 해박한 지식을 이렇게 간단 명료하게 받아볼 수 있어서 좋네요. 특히 전문 아나운서와 같은 수준의 목소리에,따박 따박 끊어서 말하며 하는 논리적인 전개가 참 좋습니다. awesome!!!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6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의 문제는 아프리카 남자들의 문제입니다 미국에서 보면 학력높은 고학력 엘리트 흑인여성들은 결혼할 남자가 없다고 합니다 결혼 연령대인 20대~30대 남자들 절반은 감방에 가있고 나머지는 마약에 취해 있거나 마약거래등 각종범죄자 이며 흑인들은 여자에게 임신만 시키고 또다른 여자에게로 가버립니다 흑인남자들은 바람도 많이 피웁니다 체력은 우수하고 운동도 좋아 하지만 결혼생활이나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지 않습니다 백인들이 아프리카를 식민지로 해서 착취한것 보다 더많은 항구 철도 공항 및 수많은 건물들과 공장들 물려줬어도 그것을 발전시킬 능력이 없었으며 흑인 조상들의 노예생활 댓가로 쿠바나 아이티 중남미등 아프리카 보다 살기좋은 나라들로 옮겨서 같은흑인들 끼리 살게 되었어도 중남미에 흑인들이 많은 나라들 모두 가난하게 살고있습니다 흑인들만으로는 국가를 발전시킬 역량이나 능력이 없고 오직 같은흑인 들끼리 서로 여자 빼앗기 바람피우기나 즐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는 유럽이나 미국에가서 고임금 취업하는것이 그들의 꿈이지요 노예생활이 싫었으면 자기들 끼리 잘 살도록 나라를 만들어 주었으면 발전시키고 잘살아야지 그렇게 막아도 왜 다시 백인들의 나라로 갈려고 하는것인지 ? 미국과 일본 유럽등 선진국들이 아프리카를 위해서 얼 마나 많은돈을 해마다 기부하고 유엔 및 각종국제기구들이 돈을 퍼부우면서 지원하고 있는데...
@Min.Kyeong-cheol7Div.637fa
@Min.Kyeong-cheol7Div.637fa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대륙의 고질적인 기아와 가난의 원인에 대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yuza3412
@yuza3412 Жыл бұрын
근대의 아프리카의 현주소에대한 이해가 되는 내용이였습니다. 더 궁금한것은 전체 인류문명에서 아프리카는 왜 번성한적이 없었는가도 궁금합니다. 아시아도 유럽근방까지 영토를 넓히며 문명이 꽃피웠으며 유럽.중동도 다 한번씩 번창하였는데 왜 아프리카만 그러한 찬란한 문명의 시대가 없었는지 궁금합니다.(나일강의 기적 이집트는 중동으로 보고요~)
@이킁킁-w7u
@이킁킁-w7u 2 жыл бұрын
쿠테타-독재-비리-내전-기아-다시쿠테타-독재-비리-내전-기아 챗바퀴죠. 해결책은 문맹퇴치 교육수준 전반화인데 한글이 아니면 힘들고 요연하죠.
@user-nj6py3yl6h
@user-nj6py3yl6h Жыл бұрын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제대로 된 인구 계획의 실종에 있다고 봅니다. 영상 중에서 소말리아를 중요한 사례 중 하나로 언급하셨는데, 소말리아는 극심한 기아와 내전까지 겹쳤는데도 매년 인구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00년에 870만 정도 되던 소말리아 인구는 2021년엔 1700만을 넘겼죠. 다른 중진국들처럼 고도의 경제성장을 통해서 국민들에게 배분할 수 있는 자원의 총량이 늘어나는 것도 아니고, 한정된 자원 속에서 인구만 계속 늘어나고 있으니 결국 개개인의 삶은 갈수록 열악해지고 사회적 문제만 커지는 것입니다. 아프리카를 진정으로 도우려면 식량이 아니라 콘돔과 피임약을 보내야 합니다.
@JAKBOT3000
@JAKBOT3000 2 жыл бұрын
Thomas Sowell의 이 주제에 대해 많이 썼어요. 전 그 사람의 쓴 것을 진짜 추천해요
@서영민-r9p
@서영민-r9p 2 жыл бұрын
인류애를 아프리카 밖에서 느끼고 자각하는 것은 아프리카인들의 실질적 자립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들이 인류애의 필요성과 공존을 현실의 보편법칙의 적용을 통해서 자각하고,최소한 국가적으로 뭉치게 되었을 때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겠죠. 서구사회가 아프리카에 병을 주고 약을 주는 이중적 모습으로 비춰지기도 합니다.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서구 사회를 보면서 아프리카인들은 분열이 아닌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각성이 필요하겠죠.
@awesomy
@awesomy 2 жыл бұрын
예전이는 아프리카가 가난한 이유가 서구열강때문이라 생각했었지. 근데, 제국주의 시대때 '제국' 빼고는 식민지가 아니였던 나라가 몇이나 되나? 한국은 둘째치고 동남아, 유럽내 식민지 국가, 하다못해 남미국가도 어느정도 제 밥벌이 하고 사는데 반백년이 지나도록 대륙 전체가 구걸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
@rockstar-sr4ed
@rockstar-sr4ed 2 жыл бұрын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주연한 블러드 다이아몬드가 아프리카의 어두운 면을 잘 보여줬죠. 정말 잘 만든 영화이니 꼭 보셨으면 좋겠네요.
@심미안-y9n
@심미안-y9n 2 жыл бұрын
배운사람이 없으니 권력을 잡아도 할 수 있는거라곤 독재 무단 통치...그게 계속 무한반복
@popoj5707
@popoj5707 Жыл бұрын
1.서구세력의 침략에 제대로 저항도 못할 정도로 자체발전을 못 했다. 2. 지금은 독립한지도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깨어있는 사람이 적으며 각종 부정부패로 앞으로의 비전도 없다.
@미소랑-l9c
@미소랑-l9c 2 жыл бұрын
정치시스템의 낙후가 가장 큰 요인 아닐까요? 북한은 우리와 비슷한 지형에 같은 민족으로 같은 언어를 쓰고 있지만 국민총생산이 40배가 차이가 나는데, 이는 문화인류학자인 제레드다이아몬드 교수가 "나와 세계"에서 남북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한 나라의 부를 결정하는 데에는 국가 정치 시스템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고 그 다음이 기후와 지형이라고 하였지요.
@S_H_J95
@S_H_J95 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다른건 몰라도 정치시스템도 한 몫한거 같아요 자원 하나 없는나라에서 무슨짓을 해서라도 살아남았으니
@김정은총비서
@김정은총비서 2 жыл бұрын
공화국은 남조선보다 산이 더 험준하고 많으며 평야는 훨씬 좁디요. 기온도 더 춥고 지형은 비슷하디 않습네다.
@Ahn_Donghee
@Ahn_Donghee 2 жыл бұрын
@@김정은총비서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로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니죠. 심지에 새마을 운동이 있기 전까지는 북한이 우리나라보다 잘 살았으니 말이죠.
@익명맨-y1p
@익명맨-y1p 2 жыл бұрын
냉정히말하면 냉전시대 미국의지원유무인거 같습니다. 공산주의 전파를막기위해 자본주의산업화를 시켜 공산주의가 확산되지못하도록 미국이 지원을 아끼지않은 일본 독일 한국등을보면 그예를볼수있는듯.. 단순 경제지원뿐만아니라 공산주의확산방지를위해 성공적인 산업화까지 꼭필요했기 때문이죠.
@데자와는맛있어
@데자와는맛있어 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지원이 크죠 우리는 군사비를 미국덕에 아끼고 경공업중심의 자연스러운 경제개발을 했지만 북한등의 공산권은 소련의 지원 없이 자력갱생노선을 타느라 국제무역에도 참여하지 못하고 경공업 부재, 중공업 몰빵이라는 기형적 경제구조를 가지게 되었으니까요
@ckymzh
@ckymzh 2 жыл бұрын
한 국가에 여러 민족과 부족이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만난 아프리카 사람들 특히 배운 사람들은 국가나 국민에 애국이나 애민과 같은 마음은 거의 없어 보였다 아니면 있더라도 자신의 눈앞에 보이는 이익에 비교해 한낮 종이장처럼 가볍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다. 유럽에서 유학할때 수많은 아프리카 사람들을 만났다. 거기엔 난민도 있었고 유학생도 있었다 자력으로 온 사람도 있고 정부 장학금으로 온 사람도 있었지만 그들 대부분의 목적은 아프리카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었다. 공부하고 취업하고 결혼해서 선진국에 눌러 앉는 것을 가장 우선시 했다. 6-70년대 우리네 부모들처럼 많이 배우고 익혀서 다시 돌아와 내 가족과 나라를 더 잘 살게 만들고자하는 의지를 가진 사람은 솔직히 단 한명도 만나지 못했다. 물론 그렇다고 그 사람 됨됨이가 나쁘다는건 아니다 모두 인간적으로는 무난한 사람들이었다. 그렇게 정착해서 돈을 벌고 1년에 한번 휴가철이 되면 고향으로 돌아가 친척들을 만나고 자신의 성공와 돈자랑을 하고 돌아오는게 그들의 낙이었다. 이와 똑같이 행동하는 사람들이 동남아시아의 필리핀 사람들이었다. 항상 보면 거기서 정착했지만 궂은 일을 하면서 돈 모아서 필리핀에 별장을 사고 1년에 한번 고향으로 휴가가서 돈자랑하고 와서는 그걸 삶의 낙으로 여기는 듯 했다. 필리핀이 아시아의 부국에서 지금 최빈국으로 떨어진 이유중 하나이지 않을까? 국가가 발전하는덴 많은 희생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우리의 부모와 그 윗세대는 아마도 지금보다 훨씬 강도 높은 업무와 노동을 하고도 빈약한 댓가를 받았을 것이다. 그런 희생이 모여서 국가가 발전하게 된거고 현재 우리가 그때보다 더 많은 일의 댓가를 받고 있는게 아닐까 물론 충분히 업무나 노동의 댓가만큼 일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최소한 그 시절만큼 열악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힘든 시절 많은 학생들이 선진국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배웠고 사람들은 외국의 건설현장에서 일하고 전쟁에도 참전했다 하지만 항상 다시 돌아와서 가족과 국가를 위해서 일했고 그런 것들은 국가가 발전하고 국민이 더 나은 삶을 사는데 큰 도움이 되었을거다. 선진국에서 많은 유혹을 뿌리치고 가난한 자국으로 돌아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내가 느끼기엔 아프리카 사람들에게는 그런 애민이나 애국에 대한 마음은 작아보였다. 다민족 국가 아니면 전쟁에 대한 위협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 아니면 우리가 한민족이라서? 교육에 대한 열의가 유독 특출해서 우리만 유별나서 일지도 어쨌든 내가 느낀 점은 국가가 발전하려면 국민이 변해야 한다는 거다. 그 밑바탕은 교육이 되는거고 공동체 의식이 생기지 않으면 아무리 강제로 뭉쳐봐야 다시 흩어지고 만다. 이래서 다민족 국가는 발전하기 힘든거 같다 표면상으로라도 단일 민족이거나 아예 피가 다 섞여서 구분하기 힘들거나 미국이나 중국처럼 자부심, 전쟁이나 세뇌등 어떤 방식으로든 하나라는 공동체 의식이 생기지 않으면 발전은 쉽지 않을거 같다. 그런 이유로 아프리카는 앞으로도 빠른 발전은 매우 힘들거나 상당히 더딜거라 생각된다.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 남쪽 아프리카 국가들중, 유럽 제국들이 오기 전이라고 나라꼴 제대로 하고 살던 사람들 없죠. 사하라 남쪽에서 가장 큰 인간이 만든 건축물이 짐바브웨 입니다. 말 다했죠. 유럽 식민정책을 탓하는건 핑계일 뿐.
@moonshock2683
@moonshock2683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한국의 민족주의나 중국의 중화주의 일본의 전체주의 같은 국민들을 뭉치게 하는 구심적 역할의 철학이나 사상 종교가 있어야 통합이 됩니다.
@lennylovessafari
@lennylovessafari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에 20년째 살고있어요. 여행객들에게 아프리카는 왜 늘 가난할까? 하는 질문들을 자주 받게되는데 교수님의 깔끔하고 정확한 해석 잘 듣고 갑니다. 놀라운것은 모든 아프리카 국가의국민들과 지도자들이 문제점을 공감하지만 누구도 먼저 고치려 하지 않아요. 만연했다는것이죠. 최근 아프리카 대다수 국가가 직면한 문제는 중국에 의한 잠식이라 생각됩니다. 백인들이 떠나고 나니 이제 중국인이라니, 아프리칸들의 외부인에 대한 불신은 정말 끝이 안보입니다. 안타까워요.
@std3786
@std3786 2 жыл бұрын
무식한 님아ᆢ근본적인것은 국민들 수준이지요ㆍ 즉 농경문화가 아닌 유목 채집문화가 그곳임ㆍ 즉 수천년 유전인자가 게으른 민족으로 된것임ㆍ 미국가바요ㆍ흙인들 주급 받으면 어케 하는지
@신아름-n5o
@신아름-n5o 2 жыл бұрын
중국에 의한 잠식이라 ㅋㅋ
@무하-e1s
@무하-e1s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중국인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안좋을걸요? 코로나땜시
@sejinJ
@sejinJ 2 жыл бұрын
중국의 문제점은 동맹국이나 협력국을 만드는게 아닌 온통 영향력을 키울 생각뿐이라는거죠 중앙아시아 동남아부터 아프리카까지.. 일대일로라는 이름으로 시설투자, 자원개발 등등으로 지배력을 키우는 전략 최근 아프리카에 정책적으로 청년들을 보내는 시도를 하고 있어요 일단 지배력을 키워서 후에 갑질을 하는게 중국입니다 이 갑질로 인해 현재 많은 국가에서 반중정서가 심한거구요 심지어 호주 같은 강대국을 상대로도 지배력을 키워 경제보복 하다 역풍을 맞았죠 우리도 중국의존도가 높은 나라라 이미 경제보복을 당한 바 있구요
@귀검-h6p
@귀검-h6p 2 жыл бұрын
@@std3786 넌 유식해서 좋겠구나~쯧쯧
@Greenminou
@Greenminou 2 жыл бұрын
좋은 취지와 컨텐츠 인데 너무 인종차별적 발언이 많네요.. 한국도 일본의 식민지화를 경험하고 나서 다시 일어서려는 노력이 필요했는데.. 아프리카는 더욱 오랜 기간동안 북미유럽의 착취를 당해왔고, 그뒤 혼란과 그들안의 갈등으로 인해 아직도 그 휴유증이 남아있는 것인데요. 한국처럼 다시 일어서지 못해서 미개하다느니, 미국의 게토를 가보면 왜 흑인이 못사는지 알게 된다느니 하는 댓글들을 보니 참.. 미국에 사신다는 분이 이런 댓글 남겨주셨는데 이런이야기 직장 소셜모임에서 하시면 바로 징계 고립됩니다. 경제대국 k예술 부강하면 뭐합니까.. 인종차별적 발언이 한국사회에서 난무하는데요..
@김정은총비서
@김정은총비서 2 жыл бұрын
지윤 동지. 아프리카보다 공화국이 더 급합네다.
@jlim105
@jlim10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핵을 포기하라우 ㅋㅋㅋ
@김승환-u7d
@김승환-u7d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볼초코-e5d
@볼초코-e5d 2 жыл бұрын
지난 30년동안 국제기구가 아동들을위해 지원을해줬는데,소말리아경우는 지금까지 내전이 계속된다는것은,국제기구의 도움을받아 자란아이들이 성인이된후에 계속되는 내전을 잇는 후손들이된다는 얘기. 결국 그 안에서 반복되는 악순환. 국제기구가 온갖 감정팔이해서 지원하는 것이 결국은 내전을 지속시키는 원인중 하나라는 결론. 밑빠진 항아리에 물부어봐야,소용없다. 깨버리는게 정답.
@바로고-f9k
@바로고-f9k 2 жыл бұрын
결국 모든 비극은 인간들의 이기심과 욕심에서 비롯되는 군요.. 다시 한번 느낍니다
@유영복-r8f
@유영복-r8f 2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쉽고 논리적인 설명에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ohgwon7195
@ohgwon7195 2 жыл бұрын
18년재임기간 , 년평균 경제성장률 11.7%라는 경이적인 기록으로 세계경제학계에 " 고도성장 고속성장"이라는 말을 최초로 만들어냈으며 .. 수많은 해외대학과 ,경제학 전공자들 사이에서 지금도 연구와 분석이 계속되고있는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지도자" 박정희대통령 지금까지 어떤나라도 어떤지도자도 깨지못한 전무후무한 불멸의 대기록으로 해외에서는 경제의신으로 평가받는 , 5천년역사상 한민족이 배출한 최고의천재 박정희대통령덕분에 이렇게 잘살게 된거임
@p9ifd
@p9ifd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1960년대에는 , 지금의 아프리카와 사정이 똑같았다 1960년대 90%가 농사짓고 , 매일 자고일어나면 수십명씩 굶어죽어가던 시기에 누구도생각하지못했던 "자동차산업 , 조선산업 , 철강산업 , 전자산업 , 원자력산업으로 국가체질을 과감하게 바꿔놓고 수많은 반대를 무릎쓰고 강력하게 밀어부쳐서 지금의 위대한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을 만들어놓은게 박정희대통령이지
@8ijghu923
@8ijghu923 2 жыл бұрын
@@최민환-t6y 박정희대통령이 독재자였다는 증거좀 보여줘 뭐 어떤 독재를 했는데??
@브리핑su
@브리핑su 2 жыл бұрын
@@최민환-t6y 역대최악의 독재자는 국민이뽑지않았는데 , 지들맘대로 대통령 해먹은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같은 애들이었지 대통령되고나서도 , 지들 사조직동원해서 총리 ,장관 ,차관 ,공기업사장 , 청와대 비서관까지 지들끼리 1인독재로 다해먹은 히틀러급 역대독재자가 '김대중 김영삼 노무현 문재인이었음
@브리핑su
@브리핑su 2 жыл бұрын
@@최민환-t6y 쿠데타일으켜서 정권잡은 반란수괴는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같은 독재자들이었지. 남한의 김일성은 김대중이고 , 남한의 김정일은 노무현 , 남한의 김정은이 문재인이야 .. 아니면 아니라고 반박해보던가
小丑妹妹插队被妈妈教训!#小丑#路飞#家庭#搞笑
00:12
家庭搞笑日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Пришёл к другу на ночёвку 😂
01:00
Cadrol&Fatich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천안문 항쟁은 중국을 어떻게 바꾸었나 | 중국, 천안문, 중국사
13:51
小丑妹妹插队被妈妈教训!#小丑#路飞#家庭#搞笑
00:12
家庭搞笑日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