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농산물 산지 폐기, 유통 구조 문제? 농산물 가격의 비밀-누가 돈을 버나? [풀영상]ㅣ시사기획 창 311회 (2020.12.19)

  Рет қаралды 612,822

KBS시사

KBS시사

3 жыл бұрын

■ 농산물 가격의 비밀, 누가 돈을 버나? (윤주성, 김효신 기자)
지난해 제주도에서 농사를 짓던 부부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정성들여 농산물을 재배하고도 판로를 찾지 못해 자금난에 시달리던 상황이었다. 이렇게 농산물의 판로를 찾지 못하거나 제 값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것은 비단 이 부부 만의 문제는 아니다. 풍년이 들어도 농촌 들녘에서는 애써 키운 농산물을 갈아엎는 이른바 ‘산지 폐기’가 되풀이되고 있다.
농민들은 왜 제 값을 받지 못하는가? 농산물 가격은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가?
이러한 의문의 답을 찾기 위해 KBS 기자가 강원도에서 직접 배추와 감자를 수확한 뒤 우리나라의 중앙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 출하해봤다. 그런데 경매를 주관하는 도매시장법인 별로 햇감자는 20킬로그램 상자 기준으로 7,000원에서 32,000원까지 4.5배나 가격 차이가 났다. 배추 역시 12개들이 특품은 6,500원에서 11,000원까지 낙찰가가 천차만별이었다. 동일한 밭에서, 비슷한 크기로 선별해 출하했는데도 도매시장법인과 경매사 별로 가격은 제각각이었다.
취재팀이 서울 가락시장에서 지난 9월 거래된 과일과 채소 13개 품목의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전체 22만여 건 가운데 33%가 3초 만에 낙찰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1초 안에 경매가 이뤄진 경우도 8천 건이 넘었다. 심지어 경매사가 특정 중도매인을 따로 불러 1:1로 경매를 진행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매제는 가격 결정 과정이 투명하고 공정하다는 우리 사회 일반의 믿음과는 다른 수상한 거래가 공영도매시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공영 도매시장에서 지자체를 대신해 경매를 주관하는 주체는 도매시장법인이다. 이들은 농산물의 가격의 등락과 상관없이 낙찰액의 최대 7%를 수수료로 챙기며 해마다 수천 억 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도매시장법인으로 한번 지정되면 별다른 사유가 없는 한 퇴출 우려도 없다. 그래서 서울 가락시장의 도매시장법인은 수백억 원에 거래되고 있고 대주주는 농업과 관련이 없는 건설사와 철강회사 등이 차지하고 있다.
일부 학계 전문가와 농민, 소비자 단체 등에서는 생산자가 농산물 가격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유통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시장 도매인제’ 등 공영 도매시장의 경쟁체제 도입을 지속해서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에 근거가 마련돼 있는데도 농림축산식품부는 20년 넘게 ‘시장도매인제’ 도입에 소극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나아가 도매시장법인들의 입지를 공고히 해주는 내용으로 관련법이 잇따라 개정돼 왔다.
공영 도매시장의 ‘경매 중심’ 유통 구조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위한 경쟁 체제 도입이 왜 이뤄지지 않는지 그 실태와 배경을 심층 조명한 이번 주 [시사기획 창]은 12월 19일(토) 오후 8시 5분, KBS 1TV에서 방송된다.
#농산물가격 #농산물유통 #농산물경매 #쪽파 #가락시장 #채솟값 #농산물산지폐기 #시사기획창 #kbs시사
[해산물]
오징어: • 중국, 동해를 삼키다 - 오징어 싹쓸이 ...
꽃게: • '가을 꽃게철' 불법 중국어선 서해 N...
새우: • 베트남산 냉동새우에서 바이러스 검출......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bitly.kr/F41RXCerZip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2 400
@mlim4646
@mlim4646 3 жыл бұрын
농민과 소비자 모두 불만이고 극소수의 도매법인 주주들만 이익을 보는 현행 농산물 도매제도는 빨리 고쳐야 겠습니다.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세계 4~5위 수준인 데는 이유가 있었군요.
@gyejin6528
@gyejin6528 3 жыл бұрын
누구는 배당금 잔치를 벌이고, 누구는 목숨을 끊고.. 이게 뭔일이냐.. 결국 그 허다한 배당금이 목숨값 아니냐...
@swso7056
@swso7056 3 жыл бұрын
지속적으로 추가 보도 부탁드립니다. 국민 99.9%가 부당하게 손해보고 있는 이 정책을 변경해야 합니다.
@user-zs8ng2ci7j
@user-zs8ng2ci7j 2 жыл бұрын
냉장탑차에 넣어서 유통해야하는데 특히 여름에 도매상들이 그냥 탑차에 넣어서 유통해버립니다 야채가 녹아버리죠 겨울에는 야채가 얼어버리고 특히 엽채류는 엄청 심하죠 결국 그들은 싸게사서 엄청난이익을 남겨요 올해 상추 깻잎가격 보세요 이건 범죄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친환경 퇴비 ᆢ 쌀겨분 + 🐔 계 鷄닭 🐔 매실효소액 견과류 돌확돌방아로 샐러드 🥗 드레싱 🌿 🍂적근대 🍁 🌿 외국종 품종개량 쌈채 청경채 중국 🇨🇳 쌈채🥬배추🥬 수리취잎(보름날) 🥬호박쌈🥬 나물차 ⛰산채쌈🏔 虹무지개 陵(고종)
@user-lo7rq9hb8h
@user-lo7rq9hb8h Жыл бұрын
허가받은 도둑놈들????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Жыл бұрын
@@user-zs8ng2ci7j 끄덕끄덕 ㅡ ᆢ
@user-tq4kc3fo1v
@user-tq4kc3fo1v Жыл бұрын
@@user-zs8ng2ci7j ㅏ
@junholee7177
@junholee7177 3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농산품 가격 책정 구조가 비정상적이다 생각은 했었는데 이렇게 깊이 곪아 있을줄은 몰랐습니다. 이 취재를 계기로 이 문제가 더 크게 이슈화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좋은 취재 감사합니다!
@user-xt6cl1dw7p
@user-xt6cl1dw7p Жыл бұрын
. 그
@blueredtraders2026
@blueredtraders202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대기업 유통에서 빼먹는 구조는 역겨울 정도 입니다. 부족한 제 생각이지만 각 지자체에서 유통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일년 죽어라 농사 짓고 결국 돈은 누가 가져가는지 알아야 합니다.
@mudkorea
@mudkorea Жыл бұрын
문제 이슈화 그런걸로는 아무것도 못해요. 이 이야기가 방송탄것이 이번이 처음 아닙니다. 농민들이 가락시장에 모여서 화염병을 던져서 불태워 버리면 그때나 한번 생각해 볼까 말까 할겁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바뀌는 것은 1도 없어요.
@mudkorea
@mudkorea Жыл бұрын
@@blueredtraders2026 뭔가 번지수를 잘못 찾은듯. 농산물 자유롭게 유통할수 있도록 하면 되요. 농산물시장에서 독점적으로 거래하도록 한 그 악법을 없애면 되요. 물론, 가락시장을 불태워 버리는게 더 빠르겠지만 서도.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썩은 지방 언론사 와 비리 집단들이 야합 농민,노동자 피 빨아 먹는구나 ㅋ 고위 공무원 놈들 퇴직 후 갈 자리 다 마련해 뒀구나 ㅋ 퇴직 관료+비리 법인+썩은 언론사 합작품 ㅋㅋㅋㅋㅋ 21c에 경매사가 왜 필요하냐 전자 경매 해라 ~
@dupdazz
@dupdazz 3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공영방송이고 시사프로그램이지.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user-pw3ik3cb3r
@user-pw3ik3cb3r 2 жыл бұрын
날씨
@user-zs1wc4xm6p
@user-zs1wc4xm6p 3 жыл бұрын
이거 취재한 기자 상줘야한다
@user-ui8rq6yn7f
@user-ui8rq6yn7f 2 жыл бұрын
유통구조 변화하고 농협이 주도해서 농민을 도와줘야 하는데지금 농협은 돈놀이나 하고있으니 우리 농민들이 힘을 모아서 새로운 판매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user-vi7go7ed6q
@user-vi7go7ed6q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농협은 농민들 등에 빨대꼽고 빨아먹는다고 하죠.
@user-yu8ml8mv3q
@user-yu8ml8mv3q 2 жыл бұрын
농협이 온갖 비리의 온상이니 농협만 똑바로 해도 이렇게 안되지요
@user-yu8ml8mv3q
@user-yu8ml8mv3q 2 жыл бұрын
일은 농부가 하고 돈은 엉뚱한 악한자가 다 빼앗아 가도 국회의원은 돈받고 구경만 하고 있고
@dongkwon1242
@dongkwon1242 2 жыл бұрын
당연한 말씀! 늦은감이 있지만 농민들 스스로도 소비자와 직거래를 열어야 겠다는 각오가 필요합니다.
@dxdgs21
@dxdgs21 2 жыл бұрын
농협은 농민을 위한 곳이 아님 특히 농협중앙회는 그냥 금융회사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2 жыл бұрын
도매시장법을 폐지해야한다 농산물 유통을 개선해야한다. 유통개선못하면 농민이 사라진다. 농민을 자살하게 만드는 이유가 유통방법 개선이 절실하고 재벌의 농사물 무차별 수입을 금지해야한다.
@user-uu2ou5yp2l
@user-uu2ou5yp2l 2 жыл бұрын
이사건..공문으로..국회의원..개개인에게..양보해야...화면을..국회......상영하고...해당.위원회에...상정..법을.정해.의사봉..3회..두려야..해결된다...해결...된다...3개월이면..해결된다...
@user-uu2ou5yp2l
@user-uu2ou5yp2l 2 жыл бұрын
빨리..해결하라...해체..협회..도매시장...해체하고..회장..등등...농협에서..원협..살려..겸하고..개판 도매시장..싹쓸이..하라..올..안에.해결하라...국회에서..해결하라...감사원에서..철저히..감독..처리..정상화.때까지...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썩은 지방 언론사 와 비리 집단들이 야합 농민,노동자 피 빨아 먹는구나 ㅋ 고위 공무원 놈들 퇴직 후 갈 자리 다 마련해 뒀구나 ㅋ 퇴직 관료+비리 법인+썩은 언론사 합작품 ㅋㅋㅋㅋㅋ 21c에 경매사가 왜 필요하냐 전자 경매 해라 ~
@user-ut7tx9fn9g
@user-ut7tx9fn9g 3 жыл бұрын
결국 자국의 산업과 국력을 파괴시키는 것은 해외의 값싼 상품이 아니라. 내부의 적들 이구나...
@jihokim1162
@jihokim1162 3 жыл бұрын
맞음..소비자는 싼고 좋은거 고르니 해외제품 고르지만, 국내가 더 이상 생산을 안하면 해외가 가격올린다 하고.. 참 딜레마죠
@kbssisa
@kbssisa 3 жыл бұрын
농식품부가 최근 KBS 시사기획 창 ‘농산물 가격의 비밀’편에서 보도한 농산물 유통의 실태와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내년 상반기까지 개선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도매법인이 평가에서 2년 연속 최하위 점수를 받으면 지자체가 의무적으로 퇴출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관련 예산도 확보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news.kbs.co.kr/news/view.do?ncd=5076782
@nonamed6307
@nonamed6307 3 жыл бұрын
지속적 관심이 필요한데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잠잠해지면 개선은 또 조용히 없어지겠죠.
@user-lh9zc9hl8q
@user-lh9zc9hl8q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he5ch9jb5i
@user-he5ch9jb5i 3 жыл бұрын
도매법인만의 문제가 아닌게 더 문제입니다. 농산물 유통은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요 즉 생산자가 소비자하고 직거래. 생산자가 지역 공판장을 통해서 수도권 경매로 넘어가기도 하고 지역공판장에서 산지 바이어가 물건을 모아 대형체인 유통으로 납품도 하구요 기타등등의 수~많은 경우의 수가 있어 부분적으로 손을 봐도 다른 방법으로 넘어가버리면 개선책 마련이 쓸모가 없어지는 거예요 그래서 농산물 유통문제는 구조의 몸통이나 머리부분보다 바닥부분을 좀더 깊게 들여다보고 문제인식을 하는게 최우선이라는 생각을 하네요 원래 이런부분에서 문제해결의 조직으로 농협이라는곳이 있으나 책임의식도 없구 현재는 돈놀이와 장비팔이 자재팔이 등등에 눈이 멀어 해결의 의지조차없는 그나물에 그밥이 되어버린거죠 취재하신 거이 모든 경매장에도 농협이 들어가 있어요 ㅇㅇ 청과 만 있는게 아니구요 ㅇㅇ청과가 문제가 가장심하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보면 농협또한 같은 짖을 하고 있는게 농민을 보호하지는 못할망정 같은짖을 하고있는게 더 문제라는거죠...지나가다 쇠주 한잔먹고 끄적거리고 갑니다~수고하셨습니다
@ADNAMS.singlemalt
@ADNAMS.singlemalt 3 жыл бұрын
상반기면 이번달인데 뭐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듣기좋은 개소리를 만들었겠지만
@woonsikyeom3825
@woonsikyeom3825 3 жыл бұрын
내놓은 개선안이 고작 그거야??
@chaesiktam4906
@chaesiktam4906 3 жыл бұрын
진짜 농부님들... 을 도와야합니다. 농림부 장관이며... 20년째 그 위에서 도대체 뭐 하는 거세요 ? 욕나온다.
@user-zb9gi5mc6t
@user-zb9gi5mc6t 2 жыл бұрын
이십년? ㄴㄴ 나라 세워질때부터
@user-hg4wt2nc4x
@user-hg4wt2nc4x 2 жыл бұрын
정부가 나서서 저놈들 대가리 다 깨부셔얃힘 ㄹㅇ
@user-hg4wt2nc4x
@user-hg4wt2nc4x 2 жыл бұрын
@@erotic440 그것도 나라 욕할일이죠 그거다 국가가 못하는거임 개인의 이익 얻으려는 욕심을 재대로 제어하는게 국가의일
@user-kl9hp8ok1w
@user-kl9hp8ok1w 2 жыл бұрын
@@user-hg4wt2nc4x 사필귀정이란 단어가 사라질지경인 나라인대 멀더 바라겠습니까 백날 얘기한다고 바꿔는건 없어요 그런가보다하고 끝이지 정의는 없고 비리가 판치고 적폐가 판치는 세상인대 국민의 목소리는 귀기울이는 나라는 없어졌어요
@user-qf1zp7uw9c
@user-qf1zp7uw9c 2 жыл бұрын
농림부장관님께서는 뒤로 뭐든 받아쳐드신다고 바쁘십니다 이런데 신경쓸시간이 있겠습니까 뒤로 많이 받아서 자기 새끼들한테 물려줘야죠
@eunsookhan2294
@eunsookhan2294 2 жыл бұрын
후속 보도 부탁드립니다. 제대로 된 탐사보도여서 창찬합니다. 응원합니다. 농민분들을 지켜 주세요.
@overthelimit8331
@overthelimit8331 3 жыл бұрын
미국 독일보다 마트 물가가 비싼이유가 다 여기에 있지.. 집에서 밥해먹는데도 더럽게 비싸지
@user-bs9wk5tu9n
@user-bs9wk5tu9n 2 жыл бұрын
농업을 과학이나 산업으로 접근해야하지만 감성적으로 접근하니... 농사꾼도 문제많음... 농대출신 젊은이들이나 기업형 농사꾼들이 과학적 농업을 도입해야함 이스라엘처럼
@user-ol9zi8sc8f
@user-ol9zi8sc8f 2 жыл бұрын
전문가들 많내 그렇게 잘알면 농사져요. 농사 잘지면 부자되요.
@user-bs9wk5tu9n
@user-bs9wk5tu9n 2 жыл бұрын
@@eeeeanyyy2169 그럴까?
@eeeeanyyy2169
@eeeeanyyy2169 2 жыл бұрын
@@jss1815 뻘소리좀 그만해. 규모경제 운운하다가 여기까지 와서 우기냐? ㅋㅋ 세상이 네 맘대로 돌아가니? 그럼 농업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 다 죽자는거지 그게 국가의 자국산업 보호 명목인거고, 반도체도 그렇고 조선도 그렇고 은행도 그렇고 혈세를 낭비하면서까지 살려주는 산업이 얼마나 많은데? 지방 사람들은 다 죽은란 소리야? 세상물정 모르는 소리그만하고 아닥하고 네 할일이나 제대로 해 세금 꼬박 내고 더 이상 말도 안되는 소리에 일일히 답급 다는거 내 시간이 아깝다 ㅋㅋ그 사이 공부좀 더 하고 좋은데 취직해서 세금 꼬박 내라 ㅋㅋㅋ
@eeeeanyyy2169
@eeeeanyyy2169 2 жыл бұрын
@@jss1815 미친 ㅋㅋㅋㅋ 지원책에 소농 사라져야 운운하더니 이제는 부농을 논한다 ㅋㅋㅋ 이새끼 졸라 개그맨이네 ㅋㅋㅋ 너 돈 많이 번다고? ㅋㅋㅋㅋㅋ 인증가능하니? 증거 잣대 운운하더니 이제는 뭐 너 돈 많이 번다고? ㅋㅋ 왜 자꾸 논점을 흐림? ㅋㅋㅋㅋㅋㅋ 간만에 올 한해 제일 웃긴 놈 만났다. 고생해라^^
@carefarming1191
@carefarming1191 3 жыл бұрын
소비자분들 이제야 아셨죠? TV에서 배추니 무니 농작물 갈아엎는 장면 보시고 마트나 시장에가시면 여전히 비싼이유.., 제발 개선 아니 개혁 필요합니다 농민들 피눈물 흘려요ㅠ.ㅠ
@WooJ1004
@WooJ1004 3 жыл бұрын
이방송이 각종 커뮤니티로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화나네요.
@dannylee9662
@dannylee9662 3 жыл бұрын
농민도 피해 소비자도 피해.
@hoonbae8662
@hoonbae8662 3 жыл бұрын
배추 무가 어디마트가비싼가요? 2포기5처넌하던데 지금 채소값다싸던데
@user-gz1fw4iu7v
@user-gz1fw4iu7v 3 жыл бұрын
곧 국민청원게시판에 이문제 나올것같아요.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user-bs8ox4kn9b
@user-bs8ox4kn9b 3 жыл бұрын
@@hoonbae8662 단가로만보면 싸보이죠?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2 жыл бұрын
중간도매상과 도매법인과 결탁해서 답합해버리면 경매제도를 제도적으로 규제해야한다 생산원가를 계산해서 경매사와 중도매인이 결탁하지못하게 제도적으로 막아야한다.
@kweonsuoh965
@kweonsuoh965 2 жыл бұрын
안되ㅈ ㅅ ㄴ ㅇ ㅁ ㄷ ㅇ ㄱ 약
@user-eo3of1ud1z
@user-eo3of1ud1z Жыл бұрын
농민이 직거래로 팔고 살수 있도록 장소를 마련해 제공해야만 한다
@user-xf1xc2go2z
@user-xf1xc2go2z Жыл бұрын
그일이 농협이 존재하는 이유일텐데 지금은 돈놀이해서 모아놓은돈 부칸의 해킹한방에 싹다털리고 있지요.
@RuinedLife212
@RuinedLife212 10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 그 지역 농민이 뽑은 지역구 의원이 지자체 직매구조를 반대합니다.
@HJ-un1hu
@HJ-un1hu 2 ай бұрын
로컬푸드
@user-or9fq6vf8k
@user-or9fq6vf8k 3 жыл бұрын
참 대단한 농식품부다.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은 뺏어가고, 기득권층 협회 상근부회장은 자기들 내부자리로 치부하고, 협회에서 근무한 농식품부출신직원은 at의 촉탁직원으로 임명해서 기득권층의 평가를 하도록 한다. 마피아네 마피아야 농민의 피를 먹고사는 마피아집단이다.
@user-dp3qm7vf7i
@user-dp3qm7vf7i 3 жыл бұрын
국토부 농림수산부등등 문통은 뭐하는 한심한 작자냐 사대강 보 철거도 나몰라라 요즘보면 문통이 엑스맨이라는것을 깨닫는다
@RT-xv3js
@RT-xv3js 3 жыл бұрын
@@user-dp3qm7vf7i 저 진짜 궁금해서 그러는데.. 모든게 대통령 잘못이라 생각하세요? 이런 댓글 보면 좀 웃겨서요.. ㅋㅋ 무슨 지금 시국이 다 현 대통령 탓인냥 ㅋㅋ 이게 하루 아침에 일이겠어요? 한 사람이 나라를 어떻게 개혁해요?? 국민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국회의원 잘 뽑고 우리가 할 수 있는건 해야죠 우리 나라인데. 그냥 좀 웃겨요 이런글 볼때. 마치 내일이 아니라는 식
@user-dp3qm7vf7i
@user-dp3qm7vf7i 3 жыл бұрын
@@RT-xv3js 너 좀 모지라지 ? 이런데 댓글달시간 있으면 책좀 읽어라
@RT-xv3js
@RT-xv3js 3 жыл бұрын
@@user-dp3qm7vf7i 사돈남말하고 있으시네요. 뭔 논리임. 지는 왜 댓글달아 독서 하셔야지 ㅋㅋ we call you guys a moron. Yea, go find the meaning you moron.
@smin44rgs30
@smin44rgs30 3 жыл бұрын
농림수산부 일 안한지는 오래 됐습니다. 쓰레기새끼들이죠.
@Farmer_king_man
@Farmer_king_man 3 жыл бұрын
정말 피땀흘려 만든 결과물인데... 농업인이 흘린 피땀의 가치를 인정받는 시장경제가 갖춰졌으면 좋겠습니다.
@user-fd9lu8nt7g
@user-fd9lu8nt7g 2 жыл бұрын
도매업체 없애고 능력자가 나타나서 중개인들이 이용할수있는 어플 만들어주면 좋겠네요
@Puzzle1003
@Puzzle1003 2 жыл бұрын
중간에 도둑질하는놈들 재대로만규제해도 가격은 어느정도 정상으로 돌아옴ㅋ 문제는 같은도둑놈들이 정치인들이라 안만드는거임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썩은 지방 언론사 와 비리 집단들이 야합 농민,노동자 피 빨아 먹는구나 ㅋ 고위 공무원 놈들 퇴직 후 갈 자리 다 마련해 뒀구나 ㅋ 퇴직 관료+비리 법인+썩은 언론사 합작품 ㅋㅋㅋㅋㅋ 21c에 경매사가 왜 필요하냐 전자 경매 해라 ~
@user-my3ve7oe4f
@user-my3ve7oe4f 2 жыл бұрын
각종협회 중앙회 모두다 없애라 불공정 부패의 온상이다
@user-mn4fp9ij5h
@user-mn4fp9ij5h Жыл бұрын
맞읍니다. 결국엔 지들 배불리는것 임
@James-nz7vy
@James-nz7vy 3 жыл бұрын
농업을 장려하지않는 국가의 미래는 없다. - 영국 처칠 - 강국의 조건 - 무기,병력,자원,식량
@sungbokcherry
@sungbokcherry 3 жыл бұрын
나도 항상 포도따서 도매시장 출하할때 분명 유통구조가 개판인건 느꼈지만 능력이없어 속앓이만 했는데 시사기획 창 이 확실히 파헤쳐줘서 일단 속이 후련 하네요. 나도 화면에 나온 00청과에다 출하 많이 했는데 기업들 거였다니 첨알았어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운영하니 농민들이 안중에나 있을리가 없지 시사기획 창 잘하셨습니다
@kwankim9179
@kwankim9179 3 жыл бұрын
농민들 피빨아먹는 구조를 정부가 조장하고있는것으로 보이네요..
@user-jd8gv9ip2t
@user-jd8gv9ip2t 3 жыл бұрын
왜이리 개혁이 안 될까요
@sungbokcherry
@sungbokcherry 3 жыл бұрын
@@user-jd8gv9ip2t 기득권의 막강한 자금력으로 영향력 있는곳에 로비 때문이 아닐까요
@sungbokcherry
@sungbokcherry 3 жыл бұрын
@@sinhan5425 고마워요 함 찿아볼게요
@user-ts2zw2zg9x
@user-ts2zw2zg9x 2 жыл бұрын
인터넷으로 소비자랑 1대1 택배로 직거래는 안되는건가요?
@user-iu5be7kg4e
@user-iu5be7kg4e 3 жыл бұрын
이번 여름 농산물값이 오른 이유가 장마때문이 아니라 중간유통업자들 때문이란걸 어디서 들었었는데 이렇게 눈으로 보니깐 정말 심각하네요.. 보면서 기가차서 와...와... 하면서 보게 됩니다.
@user-cx1hq2dl1g
@user-cx1hq2dl1g 3 жыл бұрын
이번 노지작물들은 기후 날씨가 한몫한건 맞아요 그리고 일손 부족으로 파종밑 수확을 제때 못한곳도 많고요
@jihokim1162
@jihokim1162 3 жыл бұрын
@@user-cx1hq2dl1g 일손부족도 있죠..
@user-dl4xu9gf6x
@user-dl4xu9gf6x 3 жыл бұрын
두해동안 2019.2020. 마늘 양파는 엄청 풍년들었다 근데 비싸다 중국에서 수입이 안되서 그런가?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2 жыл бұрын
농수산 식품부 유통공사가 35년간 부정의 원천이다 대대적으로 부정을 수사해야한다.
@maxkim4772
@maxkim4772 3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진짜 잘 기획했다. 수신료가 아깝지않다.
@user-kn4zc2xo4z
@user-kn4zc2xo4z 3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배추가 금배추가되어도 ABC주스를 열심히 먹어도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들께서 힘들어 하셨던 이유를 이제 알겠네요
@user-zm1qh4rk8u
@user-zm1qh4rk8u 3 жыл бұрын
생산자는 항상 돈을 못받고, 소비자는 항상 비싸게 산다
@sarah-sz1vl
@sarah-sz1vl 3 жыл бұрын
이게 요점이죠. 즉 중간에서 가로채는 무리들이 있다는것.
@sjjs5704
@sjjs5704 3 жыл бұрын
그중간에 도매법인이 있고
@user-lu2hb2su3r
@user-lu2hb2su3r 2 жыл бұрын
역시 중간상인(도둑놈)
@smin44rgs30
@smin44rgs30 3 жыл бұрын
이 잘못된 시스템을 고칠수 있는 사람들은 기자들 밖에 없어요. 끊임없이 기사를 써서 국민들에게 알려 국민들을 깨우쳐 주셔야 합니다. 교육만이 이 부조리를 뿌리 뽑을 수 있습니다.
@justs3665
@justs3665 2 жыл бұрын
500원짜리 배추 한포기가 도시 마트에서 15000원에 판매되는거 보면 유통업자들이 미친건 확실함.
@user-ms8kj2bo5x
@user-ms8kj2bo5x 2 жыл бұрын
미친
@user-kd3ny5if2d
@user-kd3ny5if2d Жыл бұрын
기자분이ㅡ너무고생ㆍ합니다ㅡ농산물ㆍ유통과정이ㅡ시급히ㅡ개선ㆍ되어야ㅡ합니다ㅡ억울한ㆍ농민을ㆍ정부에서ㅡ발벗고ㅡ나서서ㅡ농민들과국민들의ㅡ피해가ㅡ없도록ㆍ농림부에서ㅡ책임ㆍ해결ㆍ해야ㅡ합니다ㅡ모든것이ㅡ정부에ㅡ무능한ㆍ책임을ㆍ인식하고ㅡ해결책을ㆍ마련해야ㅡ합니다ㅡ직거래를ㆍ한다든가ㅡ대책이ㅡ필요합니다ㅡ
@5cm936
@5cm936 3 жыл бұрын
청년농입니다. 도매시장에 납품 안하고 다른 루트 찾아서 판매하는 것이 답이라는 생각이 더욱 굳어지내요. 생산과 판매 농민의 입장에서는 힘든 일이지만 어쩌겠습니까. 농민의 수고를 잘 모르는 이상 소비자는 이런 영상이 아니면 공감해줄 수 없기 때문이지요...
@5cm936
@5cm936 3 жыл бұрын
@@user-ry6md6vc7n 각 지역마다 지방 인터넷쇼핑몰이있습니다. 그곳에서 팔던지 아니면 지역농협이나 군부대 납품을 합니다. 대규모 쇼핑몰의 경우 물량이 어느 정도 나오면 쇼핑몰에서 약간 강압적으로 할인행사를 하도록 한다고 합니다. 이건 제가 경험해본건 아니고 다른지방 교육차 갔을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그래서 대형쇼핑몰에는 물건 안올립니다.
@anava5726
@anava5726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바이러스 개인 생산자가 직거래판매 진입하기가 쉽지 않죠 생산만 하기에도 벅차서일거에요
@ADNAMS.singlemalt
@ADNAMS.singlemalt 3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10톤처럼 물량이 많으면 대형거래처가 필요할것같습니다. 도매인이든 아니든.
@jss1815
@jss1815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바이러스 직거래 주요 통로인 전통시장이 망했고, 대부분 농산물은 지방에서 나오는데 주 소비지인 도시와의 이격이 너무 심함.
@user-vd3ri2li6i
@user-vd3ri2li6i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바이러스 직거래를하기위해 누군가는 영업을해야하고 지방에서 인구가많은 도심지로 배송해야합니다.그걸 농사를지으면서 하기는불가능하니 누군가가 각각 대신해준다면 또 각각 중간마진이생깁니다.
@user-ib5qe9ru8m
@user-ib5qe9ru8m 3 жыл бұрын
농어민들 피빨아먹고 소비자들 등쳐먹고 사는 저 기생충들 국가에서 반드시 단죄하고 뿌리뽑아야 우리나라 식품 산업이 건강해집니다. 정말 보는 내내 육성으로 욕이 터져 나오네요. 농부의 아들로서 농민들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지 알기에 더욱 화가 납니다.
@stanleyc4062
@stanleyc4062 3 жыл бұрын
바뀌기가 힘들겁니다. 중간유통 구조를 바뀌어야함에도 그걸 삶의 지혜로 믿고 따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랄까요. 아파트 부동산 가격이 고공행진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라고 봅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아파트 영끌족은 피해자로 안보는 편입니다. 결국 똑같은 시장논리에 담합한 투기꾼들이란 생각이...들면서 (어떤 문제들을 판단 비판 할 때)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이 흑백논리 혹은 특권계층의 악행으로만 바라보는 습관적인 모습부터 어느정도 걷어내지 못한다면, 현실적인 문제는 바뀌지 않을거란 생각입니다. 아무리 좋은 법과 시스템, 제도들도 결국 그 사회에 몸 담고 있는 구성원과 사용자들의 양심적인 행동과 스탠스(?)가 담보 되지 않는 다면... 그 어떤 시스템도 무용지물 일 겁니다. (우리 주변만 둘러봐도) 나 하나쯤... 나만 아니면 괜찮다~ 식의 사람들이 꽤 많다는 게 현실입니다. 더구나 그런 태도를 삶의 지혜쯤으로 바라보는 사회 분위기 더 불편하고 피곤 할 따름입니다.
@user-ni5lp5fd1j
@user-ni5lp5fd1j 3 жыл бұрын
국가에서 몰라서 저렇게 되었을까요? 국가에 바꿀수 있는 힘이 없어서 보고만 있을까요? 겉으론 농민을 위한 것처럼 위장하여 막대한 세금으로 건설사, 투기꾼, 상인 등등.. 이권이 개입된 당사자들과 거래를 하고 있는곳이 바로 행정기관(장, 부서, 담당 등)입니다. 또한 이렇게 구축된 시스템속에서 정부가 눈을감아야 엄청난 세금을 거둬들일수 있고, 공무원들에게 어마어마한 불로소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그래도 국가에서 해결해 줄거라 믿으시나요? 요즘은 TV에 대놓고 공무원은 깨끗하고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심한언행으로 공무원을 힘들게하면 안된다고 대대적인 광고까지 해됩니다. 국민들의 피와 땀을 훔친 돈으로 말입니다 ㅋㅋㅋㅋ 😂
@viewer3355
@viewer3355 3 жыл бұрын
이미 뇌물먹어서 안되요.
@anyangtrader
@anyangtrader 3 жыл бұрын
너무 하네요 정부는 뭐하는건지 빤히 보이는 비합리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고.. 그래서 농민은 단합하고 정치적으로 변해야 됩니다 정치적으로 힘을 내야 됩니다
@smin44rgs30
@smin44rgs30 3 жыл бұрын
어휴 나라에 도둑놈, 사기꾼 새끼들이 천지네요🤬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2 жыл бұрын
생산질서 유통질서를 개혁해야합니다. 농협이 생산관리 기능과 소비량을 소비패턴을 Big data 분석을 통해서 과잉생산을 원천적으로 예방해야하고 논산물 경매를 경매사 마음대로 원가이하로 경매하면 처벌을 받아야합니다. 농민의 생산비용을 산출해서 유통마진을 산출식에 넣어서 경매예 상가격 최저가를 정해주어야합니다.
@eng-listening
@eng-listening 2 жыл бұрын
시사기획창 미쳤다.... 이정도 퀄리티면 수신료 아깝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BBC다큐 저리 가라이다. 우리사회 현실에 뿌리 내린 인사이트가 돋보인다..
@user-qx1fi8pd4x
@user-qx1fi8pd4x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나 지금의 대한민국이나 강력한 조직 즉 몇몇의 기득권세력이 몇 백만 생산자의 피를 빨아 먹는 것은 예나 지금-똑같습니다. 하루빨리 개선 되어야합니다. 농민 즉 힘없이 열심히 사는 농민도 잘 살았으면 합니다. KBS 감사하고 응원합니다. 2부도 해 주셨으면 합니다.
@user-js4ml1pp3m
@user-js4ml1pp3m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큰일입니다 국민청원 올려주세요
@shangria2199
@shangria2199 3 жыл бұрын
2부 부탁드립니다
@user-wf5yz1nm9n
@user-wf5yz1nm9n 3 жыл бұрын
바뀐게 없네요 정말..
@2sangmang77
@2sangmang77 3 жыл бұрын
와 법이 자리 깔아주고 괴물을 키웠네 법도 뇌물로 만들어지고 돈으로 공무원도 하수인으로 두고 이게 무슨 ...
@hajunggu
@hajunggu 11 ай бұрын
대파 키로당 750원에 도매시징에 넘겼는데 마트 거래가는 1만원이더라고요.
@yslee684
@yslee684 3 жыл бұрын
농협 없애야 합니다~~. 그리고 농림부도 문닫고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세금기생충. 공무원들이 넘쳐나니 이런 악순환의 고리가 지속되니, 도매시장철폐만이 농민을 살리는 길이다.....
@kh3223
@kh3223 3 жыл бұрын
강력한 제도정비를 통해 공정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깨시민들이 꾸준한 관심을 보여줘야 변할수 있습니다 시사기획 창ㅡ응원합니다
@user-bz8yv4wk9d
@user-bz8yv4wk9d 3 жыл бұрын
@@7721forvalue ㅂㅅ인가 ? 초졸이니? 의식이 깨어잇는시민이란 뜻인데.?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3 жыл бұрын
@@7721forvalue 레알 문재인 찍은것들이 깨시민 이 ㅈㄹ ㅋㅋ 개역겨움
@user-ur3ml3nj4u
@user-ur3ml3nj4u 3 жыл бұрын
16:23 요기서 일해본 사람입니다. 쪽파 경매장인데 경매 안합니다. 할말 많지만 안할랍니다. 그리고 다음 대통령은 농산물 유통 개혁 (특히 도매법인) 한다는 공약 하는 후보에게 투표합니다.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2 жыл бұрын
농수산 식품부 유통 정책과장이 현재농림부장관 김연수 장관이 원흉이다 시장도매인 제도로 바꿔야한다. 72.4% 시장도매인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user-bt5ec7ru3o
@user-bt5ec7ru3o 2 жыл бұрын
정말 마지막 농민분의 눈물을 보고 저도 가슴이 아프고 눈물나네요.. 정말 하루빨리 개선됐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user-js4ml1pp3m
@user-js4ml1pp3m 3 жыл бұрын
도매법인 대개혁 서둘러서 강구해야 큰일입니다 정부는 유통구조 개선해야 일만 많고 가격변동 심해 ....!
@briancho3122
@briancho3122 3 жыл бұрын
농수산 유통구조에 문제가 많네요. 농민 여러분 힘내세요. ㅠㅠ 농민과 시민을 위해 빨리 농안법 개정이 되어야겠네요.
@user-dk3nu2or5p
@user-dk3nu2or5p Жыл бұрын
농산물 유통 구조를 바꾸자는 얘긴데 무슨 농민들 힘내세요 야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썩은 지방 언론사 와 비리 집단들이 야합 농민,노동자 피 빨아 먹는구나 ㅋ 고위 공무원 놈들 퇴직 후 갈 자리 다 마련해 뒀구나 ㅋ 퇴직 관료+비리 법인+썩은 언론사 합작품 ㅋㅋㅋㅋㅋ 21c에 경매사가 왜 필요하냐 전자 경매 해라 ~
@user-qq6sl7kq3n
@user-qq6sl7kq3n 10 ай бұрын
@@user-dk3nu2or5p맞는 말이잖아 농산물 유통구조 땜에 농민과 소비자 모두 덜 받거나 더 주고 사는건데 ㅡㅡ 말을 이해 못하냐?
@min-bd8zz
@min-bd8zz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잘만든 영상컨텐츠 입니다. 훌륭합니다. 영상퀄리티며 기획구성 음향 내레이션 자막 폰트까지 모든것이 완벽합니다. 정말 잘 보겠습니다.
@user-wx4vr8je7w
@user-wx4vr8je7w Жыл бұрын
법인들 경매사들 다 조사하고 농민들의 억울함과 농산물 장난질을 더이상 하면 강력히 처벌해야 합니다ㆍ 서로 발목잡기식 거래를 해서 꼼짝 못하게 하는 법인들 갑질입니다ㆍ
@paulyoon9211
@paulyoon9211 3 жыл бұрын
유통이 대단히 가격에 왜곡이 심하다는 것을 짐작했지만, 역시나 매우 심각하고, 또한 물가가 왜 차이가 심한지를 절실히 느낀다. 그럼에도 정부와 국회의원. 공정위가 움직이지 않으면 국민이 나서서 개혁해야 한다...!!!
@user-rx2on6qm7o
@user-rx2on6qm7o 3 жыл бұрын
농협이 이상하게 바꿔어 역할을 못하니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농협이 판매, 자금지원 등의 원래 역할로 돌아와야 합니다.
@gwakjeonghun
@gwakjeonghun 3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농협이 돈벌이만 관심..
@dltkdrnr2391
@dltkdrnr2391 2 жыл бұрын
두번 보네요. 앞으로 더볼 수도 있겠고요. 농축협, 경매 도매시장, 중간유통 상인의 폐해는 참 안타까운 현실이예요 ㅠㅠ 소비자 국민, 중간 유통, 생산자... 모두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힝써야 겠어요.
@jeonggene
@jeonggene 2 ай бұрын
3년전 영상인데 아직도 변하지 않은 대한민국이 레전드.
@user-rf5hx7ej8o
@user-rf5hx7ej8o 3 жыл бұрын
땡볕에 눈 비 맞아가며 올해는 마스크까지 쓰고 농사 지으셧을 어머니 아버지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네요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Жыл бұрын
논밭에서 농사지으면서까지마스크?ᆢ
@koo476
@koo476 3 жыл бұрын
시사기획 창 같은 프로가 있다는것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megayoo1373
@megayoo1373 2 жыл бұрын
너무 가슴이 아프네 이웃 주민이 돌아가신 고인을 생각하며…. 너무 슬프네요. 농민들 정말 고생 많이 하시는데 ….
@mudkorea
@mudkorea Жыл бұрын
가락동 농산물 시장 문제가 20년도 넘은거 같은데... 도매시장을 통해서만 판매를 하게 법으로 되어 있다던데 이 법을 없애야 되요. 다시 말하면 경매시장을 없애야 농민이 살아요.
@po2son72
@po2son72 3 жыл бұрын
경매사 없애고. 전산시스템으로 바꿔라. 뭔짓이냐 저게. 사람들에게 앱 깔게 해서 앱으로 경매가격입력하게 하면 될거아녀. 다 기록으로 남기고 최고가 입찰한 사람에게 판매하믄 되는걸 왜 사람시켜서 비리를 만들어.
@jing3774
@jing3774 3 жыл бұрын
이 문제로 국민청원이 진행 중 입니다. 참여 해 주세요 ~~ 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D4ARay
@user-kq2pg4wt1p
@user-kq2pg4wt1p 3 жыл бұрын
제발 이렇게 ㅠㅠ
@user-mw6ik3un3q
@user-mw6ik3un3q 3 жыл бұрын
@오준서 경매사는 눈으로 보고함?
@user-mw6ik3un3q
@user-mw6ik3un3q 3 жыл бұрын
@오준서 산지조사가 만능이 아니잖아요... 같은 산지, 같은 과수원, 같은 나무에서도 특품 비품이 나오는데 고작 산지조사 하나로 퉁치는게 말이 됩니까 차라리 소비자가 직접 먹고 다수의 사람이 맛 없다고 평가하면 알아서 도태되겠지요
@user-mw6ik3un3q
@user-mw6ik3un3q 3 жыл бұрын
@오준서 뭐... 농협 온라인 농산물 거래소가 어떻게 될지... 여튼 가락시장이랑 강서시장만 비교해봐도 현 경매제도가 문제가 있다는 건 자명하니깐요ㅜ 이익, 이득이 껴있는 문제다보니 진흙탕을 넘어선 ㄸ구더기 수준인데 참...
@user-eb9vl6yi4q
@user-eb9vl6yi4q 3 жыл бұрын
카르텔이 많네... 아마 다 그럴거야... 농민들만 불합리한 대우를 받는구나... 국가의 근간이 되는 산업이 농업인데... 에휴~~~! 좀 너무 늦은건 아니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런 불합리한 시스템에 대한 기사, 영상 많이 많이 내보내주세요. 물론 한번에 바뀌지도 않겠지만, 조금씩 조금씩 10년이고, 20년 계속 바꾸다보면 점점 더 좋아지겠죠.
@K-tiger8888
@K-tiger8888 4 ай бұрын
수십년이 지나도 개선이 되질 않는구나. 결국 돈 있는 놈들이 꽉 쥐고 있어 절대 놔주질 않고 정치인들은 수수방관.
@user-tw6gp5wc1q
@user-tw6gp5wc1q 2 ай бұрын
3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바뀐 게 없네요
@user-kim0000
@user-kim0000 3 жыл бұрын
수신료가 아깝지 않은 방송이였습니다. 후속보도 부탁드립니다.
@junghoon9
@junghoon9 3 жыл бұрын
시사기획창 매번 내용 참 좋습니다.
@kbssisa
@kbssisa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많이 공유해주세요:)
@bobcoreriddle
@bobcoreriddle 3 жыл бұрын
진즉 구독할껄 그랬어요!
@user-he5ch9jb5i
@user-he5ch9jb5i 3 жыл бұрын
@@kbssisa 지역 단위 농협 부터 조져주셨으면 그리고 거대 수집상 부분도 이번 방송은 극히 상층부인데 그들은 매번 바뀌어도 밑에서 바쳤주는 이들은 10년이 지나도 20년이 지나도 한자리에 꾸준히 지키고 농민의 고혈과 소비자들의 똥꼬의 콩나물 대가리 마져 빼먹고 있죠
@BirdnTree
@BirdnTree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농민의 등골을 빼먹냐.... 마지막에 밝게 웃으시던 아주머니 흐느낄때 너무너무 슬프네요.
@user-wf5yz1nm9n
@user-wf5yz1nm9n Жыл бұрын
다시 보러 왔습니다. 마지막 윤순자 농부님의 눈물에 너무 맘이 속상하네요..
@PETBOY
@PETBOY 3 жыл бұрын
이거 몇달전부터 기사로 주구장창 떳던거임. 회사도 똑같네요. 근데 이슈는 못됐으나 이건 방송이라 파급력있을듯. 심지어 2012년 기사도 있으나 바뀐게없음
@user-qe8pe7qi6o
@user-qe8pe7qi6o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방송입니다. 국민의 알권리를 취재많이 해주세요. 제발 한국에 비리가 없어지면 좋겠습니다
@Grace-fp2bd
@Grace-fp2bd 2 жыл бұрын
중간 유통마진이 농부를 죽인다 유통과정 손봐야 한다. 직거래해야 한다.
@user-sm4vm2hm8n
@user-sm4vm2hm8n 2 жыл бұрын
웃긴건 직거래하면 유통가격에 팔라하더라
@su-qs4kk
@su-qs4kk 2 жыл бұрын
몇년전 쪽파를 추석 전에출하 하려고 수원경매장을 둘러보니 파가없었다 가격이좋겟다 싶어바로 뒤날 내고뒷날가격을보니 2100 와왔다고 해서 경매인점포를 둘러보니 자신들이 짜고 자신들 가계에 나누어 놓고 한단에 9천원에 팔고 있었다 경매장 회수 해서 로컬푸드 처럼직원두고 판매해야 정부는 뭘하나
@being4you
@being4you 3 жыл бұрын
도매법인이 없어져야 하겠네요. 건설회사, 사모펀드사가 도매법인 모체인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농림부가 손 안대고 있는 이유가 있었군요.
@user-sl3gq1qz8e
@user-sl3gq1qz8e 3 жыл бұрын
재벌 페이퍼 회사가 아닐지???
@smin44rgs30
@smin44rgs30 3 жыл бұрын
농림부도 일 좀 해라!! 저것들이 나라를 말아먹고 있잖아. 과일값이 천정부지로 뛰는 이유가 저 사기꾼새끼들 때문인데 뭐하냐!!🤬🤬🤬
@user-wv9mk4iw1h
@user-wv9mk4iw1h 3 жыл бұрын
좁디좁은 이나라에 유통구조가 개판인데 몇십년째 계속이 ㅈㄹ 인데 왜 고칠생각을안함?
@never.com701
@never.com701 3 жыл бұрын
우덜끼리 헤쳐먹어야 하니까
@heartorse.9792
@heartorse.9792 3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여?
@NeighborSider
@NeighborSider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에 부터 내려온 관행으로 굳혀짐.
@user-ry5pz1tk5l
@user-ry5pz1tk5l 3 жыл бұрын
그거 고치려 하면 당직자나 교수실 문에 칼 박혀 있어요.
@sanglee7877
@sanglee7877 3 жыл бұрын
기득권층이 가만히 당하고 있지 않거든요 그걸 억지로 억누르면 공산주의니 독재정권이라고 난리칠거고요 누군가 돈을 버는 세력이 있으면 참 바꾸기 어려운겁니다
@parrotkorea
@parrotkorea 3 жыл бұрын
모르고 지내던 유통구조에 대한 이야기 사각지대에 놓인 조류관련 농업인으로써 공감되는 부분들이 많네요.
@failbetter
@failbetter Жыл бұрын
땀흘려 일한 농민들의 이익을 착취 하는 카르텔 집단이 농림부랑 엮여있다는게 비통합니다 그동안 관심 갖지 못해 운명을 달리 하신 농민분들을 보니 가슴이 먹먹해지네요 도매법인, 중도매인 관련 키워드로 뉴스를 찾아보니 아직도 현실은 크게 바뀌지 않은거 같습니다 더 많은 관심과 변화에 대한 촉구가 요구 되는거 같습니다 너무 뒤늦게 봤지만 발벗고 나서서 취재해주신 기자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취재 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haejinlim8322
@haejinlim8322 3 жыл бұрын
취재하느라 고생 많으셨겠습니다.. 쉽지않은 내용 담아주셔 감사합니다.. 하나씩 조금씩 바뀔 세상에 희망을 가져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친환경 퇴비 ᆢ 쌀겨분 + 🐔 계 鷄닭 🐔 매실효소액 견과류 돌확돌방아로 샐러드 🥗 드레싱 🌿 🍂적근대 🍁 🌿 외국종 품종개량 쌈채 청경채 중국 🇨🇳 쌈채🥬배추🥬 수리취잎(보름날) 🥬호박쌈🥬 나물차 ⛰산채쌈🏔 虹무지개 陵(고종)
@user-yz2qc4fl7z
@user-yz2qc4fl7z 3 жыл бұрын
첫출하 30상자 3만 5천원만원 두번채출하 50상자 3만원 세번째출하 1백 5십 상자 1만 5천원 이때부터 가격 후려치고 소비자가격은 첨 가격하고똑 같은 이유가먼지 고품질 농사 지으라고 그러면 머해 지네들 장사 하려고 물량 위주로 경 매 때리는걸
@rtrertyuhgfd
@rtrertyuhgfd 3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게 이제서야 보도 된다는게 말이되냐~ 와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라도 바꿔야죠
@user-cq6nc1bu6c
@user-cq6nc1bu6c 2 жыл бұрын
보고 또 보고....볼때마다 엄지척 눌러주고 싶네요~~
@suruman2752
@suruman2752 3 жыл бұрын
경매사나 중도매인만의 문제가 아닌 커다란 구조와 틀까지 건드려서 좋은 방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농민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 판인데, 농민에 대한 대우가 더욱 좋아졌으면 합니다.
@user-yp5vy6uw9u
@user-yp5vy6uw9u 3 жыл бұрын
비리 도매법인 강력하게 조사해서 퇴출시켜야 함니다 나라에서 먼산구경하듯 구경만하니까 비리가 있을수밖에요 농민들은 목숨이 달려있는 문제 임니다 ㅜㅜ 경매도 안하고 넘겨지는건..정말 화가나네요 국민청원 갑시다
@user-lp6re8em4n
@user-lp6re8em4n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궁금했던 내용 이렇게 취재해주셔서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분노에 잠을 못잘거 같네요. 많은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s7xt7io8l
@user-hs7xt7io8l Жыл бұрын
1년이 지나도 변한건 없다 단, 농협은 성과급 잔치를 했다
@user-yk1ni7dn6c
@user-yk1ni7dn6c 3 жыл бұрын
이런 문제가 공론화되길 간절히 기다렸던 사람입니다. 이런프로를 기획해주신 시사기획창 너무 감사하고 이걸 계기로 오랜기간 농민들과 서민들의 피를 빨아먹는 적폐가 빨리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user-hl3xh1gb3i
@user-hl3xh1gb3i 3 жыл бұрын
늘 폭주하는 한국 과일값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는데 속시원한 방송 감사합니다. 호반건설, 신라교역, 더코리아홀딩스, 태평양개발, 고려제강 불매하려구요. 농식품부에도 지속적으로 항의하겠습니다.
@user-qx1fi8pd4x
@user-qx1fi8pd4x 3 жыл бұрын
저도 불매하겠습니다
@user-xq2rn9vk5g
@user-xq2rn9vk5g 3 жыл бұрын
저도 불매 합니다 대파 농사 5년째 빚만 남았어요
@user-he5ch9jb5i
@user-he5ch9jb5i 3 жыл бұрын
그 회사들은 우리가 불매 한다고 불매가 되는 부분이 없을꺼예요 슬프지만 현실이예요 그들을 이길려고 해도 일반적으로는 할수있는 부분이 거이 없을꺼예요 법을 바꾸고 해도 그들은 다른 방법으로 현재와 비슷한 구조를 만들어 나갈꺼예요 그러면 답은 머냐? 물어보실꺼죠? 없는건 아닌데 정말 무지무지 힘들꺼예요 일단 소비자 그룹이 필요하고 정직하게 생산하는 생산자 그룹이필요하구요 이것을 포장하고 전달하는 그룹이 필요해요 생산자는 주변 가격에 흔들리지 않고 적당한선에서 정직하게 가격을 책정하구요 포장 및 전달자는 안전하게 포장과 전달을하고 소비자는 주변 대형 매장들의 장난질에 넘어가지 않으면 되는거예요 참으로 꿈만 같은 이루어지기 힘든 일이죠 진흙탕 싸움으로 그들과 싸워야 될거예요. 그래도 해야되요 하지않으면 밥상이 무너질거예요 이미 우리의 밥상은 무너지고 있어요 밥상위에 우리 농산물이 얼마나 있을까요? 자세히보면 리미 우리 농사들은 무너졌어요 하지만 그래도 심폐소생정도는 해봐야죠?^^ 화이팅 입니다 글이 길어서 읽어주신 분들 꾸벅 참조로 한땀한땀 엄지로 친거예요^^
@RT-xv3js
@RT-xv3js 3 жыл бұрын
@@user-he5ch9jb5i 오랫만에 해결책까지 제안하는 글을 보니 속이 다 시원합니다. 누구누구 탓이네 대통령 탓이네 하지 않고 진짜 국민으로써 뭔가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네요. 진짜 이런 의식이 깨어있는 분들이 뭔가 이룰 거에요 화이팅!!!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ㅡ좋은 결실 맺어지길 ㅡ ᆢ
@MrWoosigi23
@MrWoosigi23 3 жыл бұрын
먼저 이런 좋은 프로를 만들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여러분들의 좋은 활약이 대한민국을 더 좋은 나라로 만들것이라 생각합니다. 보면서 너무 분노가... 농민들이 죽어나가는데 장관이라는 사람이 자리에 앉아서 한다는 말이 조심스럽다는 이야기 (어떤 행동을 취하기) 를 하는 것을 보니 참담합니다. 자리 지키기에 급급하는 모습..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라고 그 자리에 앉혀놓은 겁니다.
@spy7907
@spy7907 3 жыл бұрын
국가차원에서 농산물 수매하고 관리하라.중간상의 폭리를 막자.
@cometfi2298
@cometfi2298 3 жыл бұрын
농산물 뿐이 아니죠 수산물 축산업도 마찬가지에요 진짜 유통개혁 해야합니다
@sunny_bunny_lol
@sunny_bunny_lol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외국같은 경우 농축수산물 가격이 진짜 싸던데 그 중간 유통구조가 한국이랑은 많이 다른것같더라고요. 진짜 중간도매상들 미친 욕나오네요. 싹 다 갈아엎어야 해요 진짜.
@illeongida-ds3su8bf3n
@illeongida-ds3su8bf3n 3 жыл бұрын
보면서 화가 많이 났습니다. 나라에서 저런 것들 세무조사라도 좀 하세요.
@user-gw9xc9yb5f
@user-gw9xc9yb5f 2 жыл бұрын
조작하고 허위보고하고 단합하는 법인들싹다 엄벌에 처하고 재산도 몰수시켜고 벌금과징금 처벌 강력하게 시켜야한다 칼만안들러지 강도다 건달깡패고...또한 가족형제끼리 매일 경매사로 때돈을 벌고있다가
@user-jl4lw1yx1m
@user-jl4lw1yx1m 11 ай бұрын
이러니 농민들도 소비자도 힘든거죠. 유통기업들 너무 가격읗 후려치네요. 아무리 이익추구라지만 너무 악랄하네요.
@user-co5ft4wm2y
@user-co5ft4wm2y 3 жыл бұрын
일회성 보도로 끝나서는 않될 내용인거 같습니다. 디테일에 강한 악마들은 쉽게 돈 포기 안합니다. 기생충은 박멸될때 까지 조져야 합니다.
@user-cr3lo1zj7p
@user-cr3lo1zj7p 3 жыл бұрын
중간 유통을 투명하게 못잡으며는 우리나라는 자생력이 더 덜어지고 수입에 의존해 살아가야 할것이다.
@user-ro5tv9mw6e
@user-ro5tv9mw6e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에감사,좋아요!!!
@timo1115
@timo1115 2 жыл бұрын
농산물을 소비자는 비싸게 사고, 농부는 적자보고.. 중간에 도둑놈들이 얼마나 많냐 !!! 이런 도둑놈들을 잡아야하는게 국가의 의무다 !!!
@user-en3xx1ue2b
@user-en3xx1ue2b 3 жыл бұрын
김기자님 대단해요 정말 어려운 농민편에서 좋은 취재 방송 응원합니다!
@suminyun9278
@suminyun9278 3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도매법인이 가장 큰 적폐덩어리였군요. 소비자가 비싸게 구입하는 거는중도매인이 입찰받은 가격에 2배 넘게 비싸게 팔아서 그런 거구요.
@user-ud9rj1xl5r
@user-ud9rj1xl5r 3 жыл бұрын
기자님 고생하셨어요 👍
@eim7245
@eim7245 2 жыл бұрын
샤인머스켓 거래가도 미침 3kg 3천~8천원 잘나오면 만오천원 그냥 경매가 뜨는거 보고 공판장에 이번에 아예 안내고 인터넷 판매함
@stark9724
@stark9724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문제는 끝까지 파고 들어서, 이 불합리한 문제가 꼭 해결되면 좋겠습니다. 단발성 일회성 문제제기 차원으로만 끝나지 않고, 꼭 근본문제 해견의 실마리가 잡히거나 해결의 물꼬가 트이길 바랍니다. 일반 국민들은 아마도 모두가 이런 불합리한 문제가 해결되기를 발고 있을 텐데... 우리같은 일반 국민들은 전문적인 구조적 문제를 알 길이 없으니 어떻게 이런 사안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까 싶네요. 꾸준한 관심 이런거 말고... 구체적으로
@hyukyee
@hyukyee 3 жыл бұрын
KBS에서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설마 이렇게 취재만 하고 시간이 덮혀 지는게 아닐까 걱정입니다.. 적극적인 취재로 세세한 부분까지 밝혀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현직 경매사들과 중도매인들과의 인터뷰도 그들의 입장변화에 계기기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윤주석 김효신 기자님 수고많으셨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활약 기대하며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HOT-mo1to
@HOT-mo1to 2 жыл бұрын
아침부터 마음이 아프네 ㅠㅠ 땀흘린 사람이 웃는 사회가 빨리 오기를 바랄뿐입니다
@mireuhong4592
@mireuhong459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중간상인의 문제는 농수산물 축산물의 거대 집하장은 필요하나 핵심은 공사직원들이 할 일을 민간에 너무많이 거의 위탁을 한 것입니다.그것이 비리의 핵심.나라 전체가 같은 나라 사람끼리 구조적으로 해먹는 것이 문제인거죠.중간 상인만 없애도 출산률 1%대로 올라갑니다.가장 큰 이유지만 절대 안고쳐지죠.기득권층의 저절로 들어오는 불로소득의 원천이니~국토 작고 낮은 의식수준의 한계를 보여주는 작은 부분의 예입니다.마음 아픈 이야기죠.
@BSKIM-iy1tu
@BSKIM-iy1tu 3 жыл бұрын
저는 농부입니다. 할말이 참 많았는데 이런 기획프로그램이 유튜브에 올라 와 있네요. 농산물 적정가격 반이상이 유통업으로 흘러 갑니다. 몰론 장사하시는 유통인들 입장도 이해 갑니다. 가격선을 지켜줘야 농업인들이 밥은 먹고 살수 있습니다.그런데 농업인들은 피라미드법칙에 첫번째 줄입니다. 농업에 종사 하시는 분들은 이미 농업미래가 없다는 거 알고 있습니다. 농산물이 아무리 좋아도 판로개척도 힘들며 농사자재비 인건비 유통비 빼고 나면 농업에 종사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생각 하게 합니다. 벼농사 밭농사 한우축사업 농업에 10년이상 해봤고 하나하나씩 접어가고 있었습니다. 매년마다 포기 해야 되나? 하면서 버티고 있습니다. 농산물 유통개혁은 3대 대통령 하셨던 정부들이 말만 했지. 농업개혁 된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농업인들중에서도 직접 온라인판매나 단골위주로 판매 하고 있지만 농사일도 힘든데 판매개척까지 하면서 하다보면 스트레스 받습니다. 농산물 구입하시는분들중에서는 왜 비싸냐고? 물어 보시는분들도 간혹 있지만 도매업 소매업이 있듯이 산지 직거래 농업인분들은 소매업 가격 안받습니다. 도매금이나 중개인들이 사들이는 가격보다 조금 얹혀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돈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러다가 대한민국 농업미래는 끝나거나 농업포기 하는 농업인들이 늘어 나기 시작하면 농산물 가격은 폭등 하는 날도 머지 않았습니다. 이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f8cd7fu7z
@user-jf8cd7fu7z 3 жыл бұрын
이거야말로 매점매석에 사기까지 광범위한 범죄행위입니다 유통구조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jing3774
@jing3774 3 жыл бұрын
이 문제로 국민청원이 진행 중 입니다. 참여 해 주세요 ~~ 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D4ARay
@Review_DuckHoo
@Review_DuckHoo Жыл бұрын
저두 저런것을 알고 예전에 직접 필요한거는 대량으로 산지가서 구매를 하려 했어요. 그런데 정말 기가 막힌거는 ..... 산지 생산자분들이 시장 가격에 팔아서 이득을 취했었져. 인연도 있어서 어쩔수 없이 구매를 했지만 다신 산지에서 또는 현지 가서 구입을 안합니다. 하다못해 구입박스도 개당 1000원씩 팔더군요... 적어도 그 시기에 아마 순간에 욕심만 버리셨더라면. 직접 산지나 현지 가서 구입을 하는 단지내 1000여세대 물량을 소비자에게 편히 적정가로 매매 하실수 있었을거에영. 그때 단지 대표로 김장철이라서 부녀회장 양해를 구해서 미리 배추 무 등등 을 매수량등을 확인후 했지만 결국엔 동네 마트서 파는 것 보다 30프로 비싸게 현지서 구입 했습니다. 여름부터 늦가을까지 그때 느낀점은 이럴거면 누가 현지 물건을 직접 구입 하나 순 도둑들이구나 .... 하면서 욕했던 기억이 나내여 . 왜냐하면 인연이 건너 건너 있느분이라 그분이 나머지 밭에서 수확한 물건 을 시장에 밭으로 얼마에 팔았는지 물어 보았는데 저희가 구입하것 보다 1/5 가격으로 출하 했다 더군여... 경매사나 원산지 생산자 농부나 욕심이 부른 사회 현상입니다.
@MorakanoCarry
@MorakanoCarry Жыл бұрын
아 그거.. 저도 기억납니다. 저또한 현지에서 마트가격에 파니까 안사게됐죠.. 농민이라도 착한분들보다 날강도가 많아요. 지금 수산물도 산지직거래가격이 동네시장보다 비쌉니다. 말로만 직거래고 세일해서 파는척하는데 마트보다 비쌈..
@user-vb6cq1zl3f
@user-vb6cq1zl3f 3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응원합니다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Full] 극한직업 - 농산물 물류 센터 24시
42:53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 М.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