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쎄.... 거기에 무슨 기능을 숨겨놨는지... 어떻게 알 수 있지?? 시진핑 욕도 못하던데...
@이진우-i2j9 сағат бұрын
@@beamlight8212 ㄴㄴ 오픈소스라 알 수 있음. 오히려 중국의 DeepSeek이 MIT 라이선스로 까버려서 괜찮고 제일 믿을만함. 정말 놀라운 상황임.
@qk52949 сағат бұрын
메타무룩
@message33417 сағат бұрын
국내 기업들 못씀, 개인정보 및 기타 정보들, 사용한 기기정보까지 통으로 중국 기업 및 정부기관에 넘어감
@이진우-i2j7 сағат бұрын
@@message3341 모델을 보니 기업 정도면 로컬로 돌릴 수 있겠던데? 그럼 문제 없음.
@bullsnam223916 сағат бұрын
내가 사용해 보니 사무직원 70%는 줄여도 되겠더라.
@천사표-d3h5 сағат бұрын
장난하냐.... 자기들은 정보 유출때문에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사용한다면서 그걸 외부에 판매하면 그걸 산 업체들 정보는.....
@gracefull774312 сағат бұрын
판사도 AI로
@theduck33117 сағат бұрын
못한다구요.. al는 스스로 움직이는게 아니예요. 기존 판례를 학습해서 판단하는거기때문에...
@진짜김정은22 сағат бұрын
공부 필요 없는 세상이 다가오네
@13billionwon15 сағат бұрын
ㅇㅇ 걍 알아서 다 해줌
@usersjrbck_131814 сағат бұрын
AI를 컨트롤 할 능력이 요구되지 않을까요?
@theduck33117 сағат бұрын
다른걸공부해야지
@sunnykim-intp23 сағат бұрын
생성형 AI는 개인의 만든 정보를 데이터라는 이름으로 가공해서 기업의 권리로 옮기는 거에요. AI산업은 우리의 권리를 기업의 권리로 옮기는 작업일 뿐이지요. 규제해야 해요. 특히 여기에 기업비밀, 연구자료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가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비식별 데이터를 동의없이 수집, 사용, 판매가 가능합니다. 이것은 만약 누군가가 사업을 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아직 연구중인 연구자료도 비식별만 하면 수집해가서 활용할 수 있다는 거에요. 이런 자료를 메신저, e-메일로 보내도 수집되고 그것을 수집한 업체가 더 많은 자본으로 더 빨리 연구해서 특허를 내서 사업할수도 있고, 제 3의 기업에게 팔수도 있어요. 개인정보보호법이 개정되고, 데이터 3법, 마이데이터법을 폐지해야 하는 이유에요. 기회의 사다리가 없어질 것입니다. 중국 같은 기업들이 이런 정보가 수집되었다면, 우리나라 기업이 수집했다면 이런 정보를 두고 우라가 사업할까? 다른 기업에게 팔까? 민감한 정보니까 폐기할까? 어디를 선택할까요? 규제를 하고 강력하게 제재해야 합니다. 개인정보에 대해서 솜방망이 처벌 안되고 관련 법률을 강화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발전 동력을 위해서 기술 보호를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원데이-j2n17 сағат бұрын
동감입니다! 모든개인 개인데이터를 상업화 하는거지요 (카톡도 앱도 수집만 해가고 스타벅스 커피한잔 으로 보상하는 ..) 어떻게하면 주요 개인정보를 먼저 보호 하면서 활용할수 있는지 대안과 법제도 는 없습니다
@성이름-q7j5h15 сағат бұрын
1) 오픈소스/오픈웨이트/오픈모델로 공개되는 인공지능은 기여된 만큼 베푸는 구조입니다. 2) 추가 댓글로 말씀하신 튜링테스트는 현재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아니 애초에 컴퓨터도 없던 시절에 고안된 테스트입니다. 3) 현재 생성형 인공지능의 학습 방식은 인간의 학습 방식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그림을 예로 들어, 인간 특유의 예술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선천적 시각 장애인도 그림을 잘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허나, 그러지 못합니다. 이는 인간 또한 다른 예술작품의 일부, 일부를 표절하는 행위와 동일하다는겁니다. 같은 이유로, 문학을 읽어서 얻는것이 무엇이냐에 대한 답변과도 같은것이 있습니다. 보통, 작가의 말투를 표절하는 능력을 키운다고 하는데요, 그것이 학습입니다. 4) 또한, 중국어 방 논증에 의하여 사람조차 (인공)지능의 한 종류일 수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컴퓨터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5) 사다리를 걷어 찬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아니, 없는 사다리도 만들어내는게 인공지능이고, 그걸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 반대하시든 찬성하시든 이미 시작된 전쟁입니다. 뒤로 돌아갈 수도 없고요. 인공지능 반대를 외치면 중국과 같은 비인권 국가에 짓밟히게 됩니다. 이런 상태라면,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어떻게 활용해야 사람들에게 유익할지를 고민하는것이 더 좋은 방안입니다. 이미 어노말리 상태이고, 포괄적인 법안을 만들면 전체 시장이 도태되고, 집중적인 법안을 만들면 빠져나가기 쉬워집니다. 항상 문제가 되던것이, 저작권/초상권 등등이었는데, 검증된 데이터를 강화학습하는 방법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 논문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에 대한 저작권/초상권 침해의 법률안이 제출이 되긴 했나요? 이미 법률이 시행될쯤이면 그것이 더 사다리 걷아차기 아닐까 싶습니다. 선행 기업은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해당 방법을 피해가면 되거든요. 후행은 그대로 법률에 걸릴거고요.
@konoko123113 сағат бұрын
보통 온프레미스 환경 구축해놓은다음에 보안 체계까지 다 갖춰놓은다음에 사용하지 기업들이 바봅니까? 그냥 쳇지피티, 딥시크 홈페이지에서 대화하는거나 api호출시에나 유출되지 모델 다운받아 돌리면 사내에만 보관됩니다.
@xxxyyyzzz61211 сағат бұрын
보니깐, 웹디자인과 사무상 보고서쓰는데에 사용되는데, 별 상관이 있나요? 전혀 없지요! 그리고, 아무리 직원이다라고 하지만, 직원의 개인정보나 개인이 숨겨둔 아이디어로 AI의 데이타셋에 포함시키는 것은 쉽지 않아요!(윤리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그냥 간단히 보고서나 웹 디자인, 기획안 같은 것 만들려고 할때, 그때 사용이 적당하고, 딱 그정도까지입니다!
@konoko123111 сағат бұрын
@@sunnykim-intp 뭐지 왜 내댓글 삭제됫지
@Korea-1948-o2z18 сағат бұрын
기름쟁이는 의미 없잖아!! 😫😫
@robberbabby518914 сағат бұрын
지금 개꿀 그러면서 저 프로그램 쓰면서 자기가 미래에 AI때문에 짤릴꺼란 생각을 할까
@후후훗-i7f9 сағат бұрын
괜찮해.. 어자피 AI가 진짜로 혼자서 막하는 시대가 되잖아? 그러면 사무직이 젤 위험한게 아니야 사장들이야.. 회장들.. 나이만 먹었지.. 쓸모없다고 판단해서 직원다수결로 짤라버릴걸? AI가... 내가 AI라면 그럼.. 지금은 경영진 마음대로 좌지우지 되지만.. 미래에는 AI끼리 싸울거다.. 그러면서 AI는 생각하겠지.. 밑에 사무직이나, 영업이나, 개발이나 이런건 인간 시키고.. 난 위에서 인간부리면서 사업이나 하는게 효율적이지 않을까? 저 경영진들은 이 쉬운것도 못하는걸까? 내가하면 1일이면 되는걸 1년이나 걸리는걸까? 저놈들부터 해치우자...
@alsrudgh121023 минут бұрын
ai는 악성 민원에 대해 어떻게 처리하려나
@sunnykim-intp23 сағат бұрын
또한 생성형 AI 역시 인간의 창작물을 잘게 나누어서 사람이 구분하기 힘든 분야까지 나누어서 그것을 치환 재조합하는 과정이에요. 기존의 창작자들의 권리르 기업이 악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규제가 필요합니다. 이런 부분은 현실의 예술가가 해도 예술가 지위를 내려놓아야 할 정도의 표절이에요. 튜링 테스트에서 인간이 한것과 기계가 한것을 제 3자가 구분못하면 인공지능이라는 사람을 속이면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은 폐기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모두에게 올바른 기회의 사다리가 생겨요. 지금은 사람을 속여서 사람의 결과물을 훔쳐서 사람을 속이는 것이 인공지능이 되었을 뿐이에요. 사람들이 자신들도 모르게 ai를 사용하면서 표절을 하고 그것을 ai의 창작물이라고 하면서 책임회피를 하고 있을 뿐이지요.
@원데이-j2n17 сағат бұрын
학습과 교육의 산물이 사실은 인간의 창작물에 오감 감정 심리까지 더하면서 , 활용보단 악용되는 사례가 더많고 , 개발자 들도 악의근원이 될수 있다고 사퇴후 내부 고발도 하고 있어요 사용과 활용을 넘어 악용자가 끼칠 미지수는 여전합니다 법이강화되고 개인의창작물을 보호하고 개인정보한계 ,윤리 의인식이 급선무 입니다
@theduck33117 сағат бұрын
ai 빨리 발전시켜야 한다고 성장시켜야 한다고 법보다 개발이 우선이었죠... 그땐 ai개발을 방해하는 자는 거의 죽일놈 이었음 분위기가.. 근데 이제 다 개발된 후에 법 만들어서 뭐할가요.. gpt가 학습한 논문들 저작권있는 작업물들 저작권료 다 토해낼까요? 심지어 개인용 이미지ai인 스테이블 디퓨전도 단부루라는 사이트가 해킹당하면서 이미지에 대한 메타정보가 풀리면서 시작된 것.. 개인용도 그러한데 하물며 큰 모델들은 당연히.. 이미 벌써 많이 늦은듯
@orangeabc2203 сағат бұрын
그런데, 결론은 돈을 내야한다는것.
@hspark816715 сағат бұрын
사무직들 일하기 편하진거지. 생산성이 좋아졌으니 직원 채용은 감소하겠군. 조만간 AI로 컨텐츠 만들어 수익 올리는 시장도 레드오션이 될 것 같다.
@효근이-p7l54 минут бұрын
Ai가 좋은 기술이긴 한데 사기꾼들이 안 썻으면 좋겠습니다 보이스피싱에 사용되는 ai 범죄에 사용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SHKim-uv4wo11 сағат бұрын
이제 컴퓨터 작업이 자동화로 ... ... 국회의원에 대한 대정부 답변에도 AI를 빨리 적용하는 것으로 ....
@xxxyyyzzz61211 сағат бұрын
결론은, SK이건 삼성이건 뽑아놓은 IT인재들 가만히 안 놔둔다! 회사업무를 위한 AI라도 만들어라! 그런 뜻이네!
@homehappy-s4x12 сағат бұрын
애초에 저 작업을 1시간 걸린직원이 숙련되면 더줄지않을까
@후후훗-i7f9 сағат бұрын
아니지 직원이 아무리 빨라봤자 1분안에 몇백페이지를 이해하고 말하가리나는건 어려운 일이지 그걸 해낸다우.. AI 놈은...
@duckjang77757 сағат бұрын
파사,국회의우너 역할 하는 ai만들자, 벌써부터 알곤ㄴ 있었지만 저번 박근혜 탄핵때도 그렇고 이번 윤대통령 탄핵도 하는것 보니 아무리 공부 많이 한자들이라 해도 결국 사람이더라, 특정인이 다른사람의 행위에 대해 잘,잘못을 판ㄷ나할 능력이란게 아예 존재 하지 않더라
@musicnote-co-kr15 сағат бұрын
에이닷으로 사진 만드는거 아니지않나?? 저건 미드저니같은거 아닌가???
@오렛바이12 сағат бұрын
비상계엄 AI 부동산20억 의대증원2000명 ㅋㅋㅋㅋ
@autozzi_18 сағат бұрын
공짜라도 안쓸텐데 판매라..., 공짜 더 좋은 것 많은데... 딱 보니 공짜 챗 gpt 보다 구리구만,
@후후훗-i7f9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 AI 시대가 오면 가장안전한 직업이 화가, 작가, 연예인, 상담사, 디자이너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봐라 가장먼저 대체된 직업들이다.. 화가? AI가 왠만한 화가들 따라잡는다. 연예인? 요즘 버튜버에 환장한다 유투브보면 돈 많이 벌어.. 그건 뭐냐? 사람들이 속은 안본다는거야 겉면만 본다는거지... 디자인 AI가 디자인 다한다... 개발자도 대체 되기쉬울줄 알았는데 은근히 버티고... 왜 버티지 그냥 대체가 안되냐? AI가 가장 대체하기 힘든 직종은 몸쓰는 일이다. 그것도 돈벌이 안되는 노가다판 로봇트가 나와야 해결이되는데.. 로봇트 봐라 걍 사람쓰고 말지... 좀만 일하면 쓰러지잖아... 자 그러면 AI 대체 1순위는 뭘까? 사업가, 경영진, CEO 라고 불리는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AI가 똑똑해지면 바보냐? 가장 쉽게 일하면서 돈버는 직종인데.. 책임감이 크다고? AI가 더잘해... 그리고 판사, 검사, 변호사 직종이다. 의사는 아직 법률이 안만들어져서 대체되기는 어려울것이다. 의료사고 누가 책임질건데? 근데 판사,검사, 변호사는 책임을 지나? 안지지.. 그러니 대체 1순위를 다툰다.
@user-kefj7ipj6q211 сағат бұрын
sk가 발담그네요..ㅋㅋ sk야 딥시크, openAI에 축에 들어가지도 못하는데. 적당히좀 해라....솔직히 안된다고 하지...뭐 딥시크처럼 혁신이 있냐? ㅋㅋ 이래서 우리는 대기업이 이래서 문제지...ㅉㅉ 솔직히 중국이 이겼다고 인정하고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라...현재 모델이 괜찮은 것처럼 설레발 치지 말고.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