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등 켜진 4050, 노인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는 중년 고독사ㅣ1인 가구 증가,가족 해체로 중장년층·청년층까지 낮아지는 고독사 연령층ㅣ고독사의 전형적인 모습ㅣ다큐시선ㅣ

  Рет қаралды 406,118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7년 10월 13일에 방송된 <다큐 시선 - 사망번호 5525번, 어떤이의 죽음>의 일부입니다.
혼자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고, 수일이 지난 후 발견되는 죽음을 흔히 ‘고독사’라 부른다.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부산에서만 30여 건의 고독사가 발생했다. 부산시는 고독사를 막기 위해 다양한 대책들을 내놓았지만 10월 초 또다시 2건의 사건이 보도되었다. 이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노년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청년층까지 고독사 연령층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고독사를 막을 대책은 있는지, 고독사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어떤지 EBS1 다큐시선에서 조명해본다.
지난 9월, 경기도 한 마을에서 47세 남성이 사망한 지 10여 일 만에 발견되었다. 이혼 후, 경제활동 없이 홀로 살아왔다는 고인은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집 주변 복지관에 종종 모습을 보였다고 했지만 부패된 주검이 된 채 발견되었다. 그보다 보름 앞선 9월 1일에는 20대 청년이 사망한 지 2달 만에 미라가 되어 발견되었다. 고독사 현장에는 군화와 예비군 모자, 배달음식을 시켜 먹은 흔적 등 여느 20대 청년의 평범한 삶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한창 나이인 20대에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그의 사연을 들여다 본다.
“고독사 여부에 대한 판단보다는 왜 고립이 되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정확한 원인을 진단해보고 정확한 해법을 진단해야 합니다”
- 부산 사회복지연대 박민성 사무처장
남의 일이 아닌 내 일이 될 수 있는 고독사지만 우리나라에는 고독사에 대한 정확한 정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더러 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다. 1인 가구 증가와 가족 해체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고독사를 통해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들여다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 시선 - 사망번호 5525번, 어떤이의 죽음
✔ 방송 일자 : 2017.10.13
#골라듄다큐 #다큐시선 #고독사 #중년고독사 #청년고독사 #1인가구 #죽음 #중장년층 #청년층 #4050 #중년

Пікірлер: 1 500
@user-sn3gf1pc1l
@user-sn3gf1pc1l 2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예산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도둑놈과 사기꾼이 너무 많아.
@kong.kong.
@kong.kong. 26 күн бұрын
그 도둑놈들 지지하고 뽑아주는게 대한민국 국민들 ㅎㅎ
@nb-ck6wd
@nb-ck6wd 24 күн бұрын
2017 년 방송입니다
@user-gs3wm1bl1u
@user-gs3wm1bl1u 21 күн бұрын
그놈이 그놈이니 투표를 안할수도 없구
@hyoens5554
@hyoens5554 20 күн бұрын
Kbs
@juchunkura
@juchunkura 19 күн бұрын
윗대가리가 다 악인들뿐이니 밑에있는 사람들도 다 보고 배우는거임 악인이 너무 많음 결과만 잘되면 장땡이고 도덕성 버려진지 오래지...
@user-wy6hm5wu2k
@user-wy6hm5wu2k 25 күн бұрын
존엄사 도입이 시급합니다. 고독하지 않게, 아프지 않게, 외롭지 않게 죽을 수 있게 해주십시오. 미련 없는 생을 꾸역꾸역 살아내는건 고통입니다.
@ATHG
@ATHG 2 күн бұрын
참 슬픈일이지만 동의합니다.
@shillaleopard
@shillaleopard 25 күн бұрын
병원에서 가족에게 둘러쌓여 죽으면 행복사이고 단칸방에서 혼자 죽으면 고독사이고 불행한 것일까...나의 바램은 고통스런 연명치료 없이 어느날 잠 자듯이 떠나는 것...
@user-np2dq4mc7z
@user-np2dq4mc7z 13 күн бұрын
우리 모두의 바램입니다.
@health0988
@health0988 11 күн бұрын
​​@@user-np2dq4mc7z 좋은일많이했어요 ?그얼마나 행복사 70 돼면누구나바램 입니다
@asasessxs
@asasessxs 10 күн бұрын
그래도 가족이 있어야한다
@user-lr8pt5rl6n
@user-lr8pt5rl6n 10 күн бұрын
정답..
@user-zm3in2gk9q
@user-zm3in2gk9q 8 күн бұрын
천번공감만번공감
@Bmw-lh1vt
@Bmw-lh1vt 28 күн бұрын
고독사는 하나도 안무섭다... 오래 사는게 더 무섭다ㅠ
@user-op6rm8el7i
@user-op6rm8el7i 24 күн бұрын
오래사는게 무섭다 + 돈없이
@user-rv2vv4ff6q
@user-rv2vv4ff6q 23 күн бұрын
@@user-op6rm8el7i+병들고
@user-yx7qm7dy1v
@user-yx7qm7dy1v 23 күн бұрын
동감입니다
@SY-kf6sh
@SY-kf6sh 20 күн бұрын
아프면서 오래사는게 제일 무섭다. 사람도 안락사 있어야한다
@user-hw8kj2go1l
@user-hw8kj2go1l 18 күн бұрын
한국 에는 돈 많은 노인네 들 의사들이 안 죽임 그리고 육시대 이상은 연금 받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요 사십대 오십대 국민연금 계속 내고 그 혜택 육십대 이상이 받아감 그리고 국민연금 고갈
@user-nx8uw7kp8c
@user-nx8uw7kp8c 28 күн бұрын
감히 40년 정도 밖에 살지 않은 제가 한 말씀드릴께요. 저도 15년 회사 생활에 번아웃을 겪고 남자 관계라든지 힘든 일도 많았어요. 그래서 삶의 의지가 없어졌고 직접적인 극단적 선택을 해본 적없지만, 심적으로는 죽은거나 마찬가지였어요. 근데 이래저래 살다보니 세상 사는 거 나만 힘든것도 아니고 더 힘든 사람들도 많고 다 똑같더라구요. 내 맘을 편하게 긍정적으로 가지는 수밖에 없더라구요 근데 저는 제 마음이 의지로는 되지 않아 의학의 도움을 받고 있어요. 앞으로 더 나라경제는 어렵고 물가는 오르고 살아내기가 갈수록 팍팍할꺼에요. 대신 이럴 때 일 수록 힘을 내셔야 합니다!!!! 그래도 도와주는 분들이 있으니 다행이지요. 어르신분들은 가까운 동네 놀이터나 공원 가셔서 꽃도 보시고 싱싱한 나무도 보시고,또 동네분들 만나서 담소를 나누세요~ 집에 있으면 그 누구라도 외롭고 우울감이 느껴집니다. 계절의 바뀜을 눈으로 보시고 마음으로 느끼면서 꽃도 나무도 싱싱한 것을 보면 기분이 절로 좋아지실 거에요.그리고 애기도 나와서 놀구,강아지도 나와서 산책하는 걸 보면 귀엽고 그냥 웃음이 지어질꺼고 얼마나 기분 좋으실까요~ 늘 좋은 것만 보시고 좋은 생각만 하셔요~ 지금까지 열씸히 살아오신 분들의 인생을 존경하며 응원합니다!!
@thanksforGod
@thanksforGod 26 күн бұрын
씩씩하고 긍정적이신 댓글에 위안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oo7lv5nq2c
@user-oo7lv5nq2c 22 күн бұрын
등산
@user-tw9zz7zc6m
@user-tw9zz7zc6m 22 күн бұрын
저랑 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신거같아 위로를 느낍니다.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user-fo8tx7vr9g
@user-fo8tx7vr9g 18 күн бұрын
공감요 산책이 좋은 것 같애요
@user-qv3wm3rr1y
@user-qv3wm3rr1y 17 күн бұрын
저는 주말에 누워서 숨만쉬고 싶어요~ 우울증인가;;;
@fjqm92
@fjqm92 27 күн бұрын
도시가스검침 스티커를 붙이는 사람들은 2번 붙여놓은게 그대로 있을 때는 3번째 붙이는 날에는 의무적으로 경찰에 연락하도록 법을 만들어야 한다.
@jongwoochoi8010
@jongwoochoi8010 8 күн бұрын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검침원분들께 월급 많이 줍시다.
@user-ky4wd2bb6y
@user-ky4wd2bb6y 25 күн бұрын
늘 마음 한켠에 고독사 생각하며 사는50대인데 고독사하신 먼저가신분들 그곳에선 항상 행복하시길 기도드립니다.
@user-fl2ft9og4u
@user-fl2ft9og4u 28 күн бұрын
나라 구석구석이 썩어들어가고 있는데...윗대가리들은 맨날 싸우고 지들끼리만 호의호식 하고 국민들은 각자도생 해야하니 세상이 .나라가 왜 이런지....씁쓸합니다😢
@user-ti3ik3rh8y
@user-ti3ik3rh8y 28 күн бұрын
맞다
@user-ti3ik3rh8y
@user-ti3ik3rh8y 28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지들끼리 싸우다보면 이제 지곁에 사람도 없을껀데 말이죠
@user-bm2km2rv7m
@user-bm2km2rv7m 28 күн бұрын
대통령을 잘못뽑은거지 지들끼리 싸우다니요. 대통령이 저렇게 막나가는데 냅둡니까. 누구 좋으라고. 정치는 싸우는겁니다. 안싸우면 그야말로 기득권들이 살기좋은 세상인겁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28 күн бұрын
그런 놈들을 국민 손으로 뽑았죠. 즉 정치 수준이 국민 수준 입니다. 패거리 이기주의 , 이권에만 눈이 뒤집혀 있는 국민성. 그 어디에도 관용 , 포용 , 존중 , 배려 , 관계 없고 옹졸 , 편협 , 지독 , 경직된 국민성. 자업자득
@454
@454 26 күн бұрын
원래 정치라는게 서로 싸우고 해야 경쟁구조로 발전이 되는겁니다.안싸우면 그게 독재정치죠.그리고 민주주의에서 당연 일을 해야 먹고 살죠.나라에서 돈을 퍼주는 포퓰리즘 원하세여? 인생 원래 사는게 대부분 다 힘들어도 참고 열심히 사는겁니다.
@toyota2618
@toyota2618 29 күн бұрын
외로운 삶을 보내시고 가신분들, 그곳에서는 외롭지마시고 행복하셔요 ~ 사시느라 노고 많으셨네요 그리고, 특수청소하시는 분들과 관계공무원 분들 , 정말 감사드립니다 화장 끝까지 배웅해주시는것도 참 고맙습니다 여러분들, 복많이 받으세요
@user-nh3nn9vr8h
@user-nh3nn9vr8h 26 күн бұрын
40~50대가 제일 힘들나이~~ 돈에대한 압박이 제일 심함.
@user-tn4vt3zm6f
@user-tn4vt3zm6f 9 күн бұрын
내가그래😂50대 일잘다니다가 나이 때문 일경험 많아도 안써준다
@jolangmal-mw4pf
@jolangmal-mw4pf 29 күн бұрын
1인가구 늘면 늘었지 줄진않을텐데 갈수록 더할듯. 옛날같이 이웃끼리 친척끼리 왕래가 잦은것도아니라
@user-gumaguma
@user-gumaguma 24 күн бұрын
그렇죠. 앓다가 죽으면 하다못해 동사무소에라도 얼마후 죽을것 같으니 죽고나면 시체 처리라도 해달라고 말해놓을수 있겠지만 들연사는 자주 연락하고 왕래하는 사람이 없으면 시체 발견이 너무 늦어지는게 문제지 혼자 살다가 혼자 죽는거야 큰 문제라고 할것도 아니죠.
@user-rv2vv4ff6q
@user-rv2vv4ff6q 23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1인가구 모아서 마을공동체 만들어야하나봄
@user-mi5ms1ck1m
@user-mi5ms1ck1m 20 күн бұрын
​@@user-rv2vv4ff6q좋은 발상이네요 친지 가족들도 당연 혼자 사신걸 알테니 찿아가 볼 마음도 생기겠네요
@user-xh7fh7sd7l
@user-xh7fh7sd7l 20 күн бұрын
친척은 남보다 더 먼 인간입니다 이웃은 잘못걸리면 일상이 지옥이되죠 생활소음 간섭 각종 분쟁들..
@user-fk6lf1se7f
@user-fk6lf1se7f 6 күн бұрын
​ㅡ.😂@@user-gumaguma
@user-vo2ix3zh7v
@user-vo2ix3zh7v 24 күн бұрын
자고일어나면 눈을안떳으면하는생각을 매일듭니다... 실업과 우울증이원인
@user-yd9ot8ec3r
@user-yd9ot8ec3r 13 күн бұрын
◀🐱
@k.m.p4697
@k.m.p4697 12 күн бұрын
힘내세요~~^^♡^^그런생각하지마세요
@user-jc1pr5mw3q
@user-jc1pr5mw3q 12 күн бұрын
ㅠㅠ 전 살고 싶어 산다기보다 살아야 하니까 삽니다. 애들도 있고. 남편도 챙겨줘야 하고. 저도 선녀처럼 어디론가 떠나고 싶을때도 있죠. 하지만 어쩌겠어요.강 사히 살다보면 좋은날도 오겠지요
@user-vo2ix3zh7v
@user-vo2ix3zh7v 12 күн бұрын
@@k.m.p4697 감사해요...
@user-vo2ix3zh7v
@user-vo2ix3zh7v 12 күн бұрын
@@user-jc1pr5mw3q 지금당장 용기도못내고 잇네요...
@user-zg1nm7sd1i
@user-zg1nm7sd1i 28 күн бұрын
진짜4050너무힘들다.취업도힘들다.나라가 아무런 도움도 안주며 세금만 낸다.정말 고독사 남일아니다.나도 40대중반인데..
@Tootootootool
@Tootootootool 22 күн бұрын
ㅋㅋ 초고도성장기 수혜 누리고도 도움 안 준다고 징징거리는 거 봐라ㅋㅋㅋ
@insightpark
@insightpark 22 күн бұрын
그건 50 60 임 등 신아
@insightpark
@insightpark 22 күн бұрын
​@@Tootootootool 그건 50 60 이지 등 신아
@user-jl3vr1ki1h
@user-jl3vr1ki1h 22 күн бұрын
40대50대 초반 imf에 비정규직에 내몰렸다 20대30대들 니들은 힘든일 아에 안하잖아
@insightpark
@insightpark 22 күн бұрын
@@user-jl3vr1ki1h 50 60 이 나처럼 살지 마라고 교육해놓고 이제와서 딴소리고ㅋㅋ
@Huh-_-z
@Huh-_-z 29 күн бұрын
씁쓸하고 쓸쓸하고 안쓰럽고..슬프네요 고인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user-vl6fk3jo8n
@user-vl6fk3jo8n 29 күн бұрын
이제 40살인데 사는것도 힘드네요😅
@user-og1tf8xc1m
@user-og1tf8xc1m 29 күн бұрын
화이팅!!!!!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29 күн бұрын
누구던.부자두 있는거 지키느라 힘들어요.
@user-ts7po2is8w
@user-ts7po2is8w 29 күн бұрын
힘내요 40대까진 그래도 젊은편이니 희망이 있어요 ㅠ
@user-wc2hi6pn3q
@user-wc2hi6pn3q 28 күн бұрын
​@@user-jl2vs9ou8e너는 안갈 줄 아냐?
@user-it3zk1sv4b
@user-it3zk1sv4b 28 күн бұрын
본인이 너무 힘드신가보네요.나쁜말은 하고싴지 않네요.힘내시길.​@@user-jl2vs9ou8e
@user-pq6mr6dm9f
@user-pq6mr6dm9f 28 күн бұрын
4050 인생의 성패가 갈리는 시기.넉넉하지 않더라도 그럭저럭 다니는 직장 ,처자식 있으면 그냥 평범하고 성공한 삶이다.완전 노인들은 나라의 보살핌이라도 받지..
@user-ce2cg2lp2y
@user-ce2cg2lp2y 29 күн бұрын
남의 일이 아니네요..
@leehyangje
@leehyangje 28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근로자 4명 고용해도 = 매달 급여+4대보험+주차,연차,여름휴가,설떡값,추석떡값+1년단위퇴직금적립 = 매달 1천만원(1천2백만원?)의 현금흐름이 있어야 한다. 24년02월,05월 중소기업은 그 최저임금만 받고 “중처법(중대재해처벌법)”이 있어도 사람(공돌이) 목숨값 산재값 VS 작업속도,효율? = 매일 10여명이 전국에서 죽어나간다. 점점 당하는게 진짜로 익숙해진 간난한사람(거지,서민)은 피와 고통을 적은-돈과 긴-시간으로 교환하며 하루하루를 살아남는 것 + 그래서 서로 상처를 주고받으며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서로 속이고 속고 배신하고 배신당하고.. 그러다 허망하게 죽는다..
@ihatemygmail1800
@ihatemygmail1800 24 күн бұрын
남의 일입니다 본인은 저렇게 살지 마세요. 결단의 중요성이죠 : )
@user-fr5ny2lr9q
@user-fr5ny2lr9q 9 күн бұрын
이제 시작일뿐.. 나중엔 저정도의 관심과 사후 처리도 없겠죠
@soulmelodie
@soulmelodie 28 күн бұрын
청년은 청년이라고 여러가지 복지 혜택이 있고, 노인은 노인이라고 혜택이 있는데 중년은 항상 소외됩니다. 비혼이면 더욱 사회에서 제외 되어지죠.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user-qf8kb8pj6y
@user-qf8kb8pj6y 26 күн бұрын
비혼은 어떤 혜택도 받아서는 안되지요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비혼은 파키스탄 외노자 보다 못하다
@user-gj1wu6pt8d
@user-gj1wu6pt8d 26 күн бұрын
​@@user-qf8kb8pj6y비혼이 죄입니까?
@user-vn1mf9kw8e
@user-vn1mf9kw8e 26 күн бұрын
​@@user-qf8kb8pj6y웃긴 놈이네
@myd5753
@myd5753 26 күн бұрын
​@@user-qf8kb8pj6y 미친놈이네ㅋㅋ
@Dio-0515
@Dio-0515 24 күн бұрын
인간관계에 지치거나 혐오감을 느끼고 스스로 무인도에 갇혀 지내는 사람들이 많아진게 중요 이유죠 돈은 핑계일뿐
@gogogo587
@gogogo587 12 күн бұрын
ㅈ소기업 몇년 일하면 인간관계 현타 자동으로 옴 ㅎㅎ
@user-ki9hq9mk6p
@user-ki9hq9mk6p 4 күн бұрын
​@@gogogo587 진짜 인정ᆢ
@user-od5rg5cr9g
@user-od5rg5cr9g 4 сағат бұрын
​@@gogogo587이유를 들어볼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Jin-bg9eb
@Jin-bg9eb 28 күн бұрын
2017년 방송 이었네요.. 지금도 고독사 라는게 생각보다 많이 발견되는것 같은데 힘들게 사시다가 안타깝게 돌아가신분들 명복을 빕니다 ㅜㅜ
@sunlee2213
@sunlee2213 28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숫자가 훨씬 많아졌을 것 같아요 맘이 너무 안좋네요 ㅜㅜㅜㅜㅜㅜㅜㅜ
@user-lv6sr8lt3n
@user-lv6sr8lt3n 27 күн бұрын
...허 24년인 지금 봐도 위화감이 없었는데 댓글보고 알았네요 세상에..
@user-lf7oj5rx4x
@user-lf7oj5rx4x 29 күн бұрын
안락사를 허용하라
@user-ei4ec2zm3y
@user-ei4ec2zm3y 29 күн бұрын
존엄사겠지
@user-ls4cc5pp4p
@user-ls4cc5pp4p 29 күн бұрын
뭐라부르는게 뭐가중하노~~ 뜻만통하믄되지~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사람이 개냐? 안락사가 뭐임? 사람은 존엄사 개는 안락사 돼지는 살처분..이렇게 부름
@user-bv8mm3mu2x
@user-bv8mm3mu2x 26 күн бұрын
동물도 아니고 안락사가 뭐냐
@user-pi1gc2us6j
@user-pi1gc2us6j 26 күн бұрын
요즘개보다 못한 삶을 사는사람 많습니다 안락사든 존엄사든 편히죽게만 해주세요
@MadeByYujin
@MadeByYujin 29 күн бұрын
가슴이 아픕니다. 남의 일이 아닙니다.ㅠㅠ
@user-om2gw4kx8f
@user-om2gw4kx8f 29 күн бұрын
부산은 앞으로 살기 더힘들어지는데 왜 계속 아파트를 짓는건지? 미친거아님?? 누가 들어가서 살꺼라고??
@user-ui2fg7xy7l
@user-ui2fg7xy7l 28 күн бұрын
짓든 말든 간섭말고 그냥 놔 둡시다. 내돈 주는 것도 아닌데...
@user-qn1qc4ro9j
@user-qn1qc4ro9j 28 күн бұрын
경관망치니깐​@@user-ui2fg7xy7l
@user-ti3ik3rh8y
@user-ti3ik3rh8y 28 күн бұрын
부산뿐아니라 다 독같지
@user-xv9qy8ti6w
@user-xv9qy8ti6w 28 күн бұрын
짓던말던 니돈으로 짓는거도 아닌데 왜 짜증이냐~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28 күн бұрын
많이 지으면 자기 집값 떨어지니까 그러는듯. ㅋㅋㅋ
@user-mw4ej7nr5l
@user-mw4ej7nr5l 26 күн бұрын
남 일 같지가 않네요. 43이고 번아웃과 우울증으로 퇴사하고 쉬기 시작한지 한달이에요. 30후반 이혼이 아니라 파혼 이후 삶의 목적이 없다보니 더 끌어다 쓸 에너지도 안남은 느낌임. 열중 할걸 찾으면 잊혀지고 살아 갈 길이 보이겠지 하면서 갈아 넣었던게 더 독이된듯함... 가족들도 친구들도 심각하게 받아 들이질 않아요 ㅎㅎ 그래도 죽기야 하겠어?? 라는 생각인거 같음. 나는 이미 다 놓은 상태지만, 주변에 저같은 사람이 있다면 자주 좀 같이 있어주세요. 가끔이라도 만나서 위로하는거 보다 별거 안해도 되니까 자주 들여다봐주는게 훨씬 좋습니다
@lifeissooofun
@lifeissooofun 24 күн бұрын
개띠 세요? 저 개띠인데 힘내세요... 외로우시면 가끔 메세지 하세요. 요즘 세상이 너무 각박해서 결혼해도 가족이 있어도 외로워요. 번아웃도 빠르구요..ㅠ 힘내세요
@user-rv2vv4ff6q
@user-rv2vv4ff6q 23 күн бұрын
운동을 시작해보세요.. 힘내세요
@PD-et4ok
@PD-et4ok 20 күн бұрын
저도 파혼하고 너무 힘듭니다
@user-zp5ui8ew4k
@user-zp5ui8ew4k 18 күн бұрын
힘내세요 2024년 5월 잘 지내고 계신가요
@user-pi7um9fe6o
@user-pi7um9fe6o 15 күн бұрын
결혼 할 뻔한 분과 헤어진후 힘든 생활을 몇년 보냈네요 제 경험으론 바쁘게 생활해보는게 많은 도움이 되더라구요 친구도 없고 일만하며 지내고 있는 저도 살고 있네요 응원합니다 힘내십시요
@user-ji9qd5oy2w
@user-ji9qd5oy2w 25 күн бұрын
소방관구급대원도 진짜 극한직업이다! 외상후스트레스 무지 심할껴 ㅜㅜ 쓸떼없는데 돈질들 하지말고 이 써글것들아 소방관들 월급 올려줘!😊
@user-wp4rz3og9d
@user-wp4rz3og9d 28 күн бұрын
인생은 혼자 왔다 혼자 가는 겁니다. 내가 죽었다고 내가 알겠습니까? 살아가면서 건강하게 살다가는 것이 가장 행복한 삶이 아닐까요?
@user-pe3ii7nh7j
@user-pe3ii7nh7j 26 күн бұрын
존엄사 조력사 안락사 다 허용하자. 어차피 나라에 도둑놈들 천지고 길운이 다 한것 같다.
@user-zf5bt9rs5t
@user-zf5bt9rs5t 21 күн бұрын
교회 나가세요. 사람들과 어울리면 긍정적인 마인드 생깁니다. 인간은 왜 사는지에 대한 해답이 풀려야 소망,기쁨이 생깁니다..
@user-qk5ev7ix5p
@user-qk5ev7ix5p 15 күн бұрын
요즘 교회가 교회인가요.? 돈에 집착하는 정나미 떨어지는곳이 우리나라 종교단체 인건 맞습니다 어쩔수없이 나가는거지 하나님 믿고 찾는 종교는 없어진지 오랜세월임 어쩌다 우리나라 종교가 이렇게까지 무너졌는지 되새겨 봐야하지 않을까
@user-lu6gz5vu6c
@user-lu6gz5vu6c 12 күн бұрын
오래 살아봤자 노예생활만 길어지죠 대부분 사람들 똑같습니다 재테크 성공해도 재테크 잘한 죄로 세금폭탄 때린다는 기사보고 별로 돈벌고 싶지도 않겠다 싶어요 청년들이 실업상태로 있는게 이해됩니다
@user-hu6kf1xz5s
@user-hu6kf1xz5s 25 күн бұрын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ㅠ.ㅠ 하늘 나라에서는 좋은분들과 함께 평안하고 행복하시길...
@user-op5op5op5
@user-op5op5op5 25 күн бұрын
존엄사, 안락사좀 허용해줘라. 1인가구의 최고의 복지는 존엄사, 안락사를 허용해주는것이다. 종교계, 의료계가 뭐라고 개인의 존엄을 개무시하고 반대하는지... 이기적인것들...
@god9649
@god9649 12 күн бұрын
이런 말하기 싫지만, 의료계에서 아픈 사람을 질질 끌면서 연명시켜야 돈을 벌수있는 책략으로 그리한 것이죠
@god9649
@god9649 12 күн бұрын
인간이 가장 견디기 힘든것은 배고픔도, 가난도, 일도 아닙니다. 외로움이 가장 힘듭니다 .. 외로움은 모든 것에 영향을 주어서, 일도 식사도, 관계도 모두 의기소침하게 만들며, 삶에 기운을 빠지게 하기 때문에,,, 이분들에게는 관심과 따스한 손길과 도움이 꼭 필요합니다. 외로움에 빠지면, 그건 스스로 빠져나오기 힘든 상황이라는 신호입니다. 이런 분들이 적어 질수록 건강한 사회가 되면, 행복한 국가라 나아가는 지름길입니다..
@hahahahaha7824
@hahahahaha7824 12 күн бұрын
영국에서 외로움 부서를 만든 이유도 그러함. 경쟁력 저하로 직결되기 때문.
@skyblue6299
@skyblue6299 25 күн бұрын
그곳에선 평안하고 행복하시길 사느라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user-vx1ew9nw2k
@user-vx1ew9nw2k 26 күн бұрын
50넘으면 최소한 자기가 낸 국민연금이라도 조기반환 일부 선수령 이라도 할수있게 해줘야지 극단적으로 힘든 가장들이 너무많다
@user-vk9op7px2n
@user-vk9op7px2n 15 күн бұрын
그러면 다들 먼저 받아쓸려니 운영이 안되겠죠? 연금도 늦게 줄려고 나이도 1살 내렸잖어요
@ssemipark3253
@ssemipark3253 22 күн бұрын
혼자서도 슬프고 도움을 받아도 슬프시다는 할아버님의 푸념이 제심장을 후벼 파네요 ㅠㅠ
@dsc5727
@dsc5727 2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진짜 어쩌냐.. 젊은이들은 미래가 없다고 하고 결혼도 안하고 애도 낳지 않고 중장년 및 노년에서는 실직 또는 사업 실패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뒤 가족 해체 그리고 고독사. 대한민국 사람들은 도대체 무얼 위해 일하고 무얼 위해 사는지..이 와중에 정치는 국가 문제 해결할 능력도 없고 미래를 위한 비전 제시도 못하고.. 내리막에서 가속 패달을 밟고 있는 이 나라의 반등 모멘텀은 어디에서 나올수 있을까..
@zjaaosi
@zjaaosi 22 күн бұрын
아직도 모르시겠나요... 인건비가 절반 수준인 동남아시아권 노동자들 사용 하는것입니다. 그래서 한국 내수는 관심 없습니다. 왜? 어차피 그 기득권들은 아무런 영향이 없거든요. 내수 폭망해도 해외에서 돈 벌고 있거든요. 모두 당면한 그리고 당연한 원인을 무의식적으로 외면 하는 중 입니다......
@dokdoiskorea856
@dokdoiskorea856 8 күн бұрын
2찍과 건설사의 유착~
@herren-house
@herren-house 28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자택사인지 재택사인지로 이름바꾸드라. 어자피 혼자사는사람들 많은데...혼자산다는건 혼자 저세상 갈수도있는거다. 자연스런과정이다. 죽을때 누가알고 옆에 있겠냐...고독사란 이름부터 바꾸자.
@dreamdream2730
@dreamdream2730 21 күн бұрын
자택사 집에서 죽음선택 , 가족이 배웅. 고독사 말그대로 고독하게 죽음 일본도 고독사라고 합니다
@user-wk2lb4uh3j
@user-wk2lb4uh3j 14 күн бұрын
고독사라는 표현이 딱 맞는듯 합니다 경각심도 가지고
@user-ti3zq2uf7p
@user-ti3zq2uf7p 12 күн бұрын
그냥 니가 일본에 가서 자택사해라
@user-jx3ye1gz6g
@user-jx3ye1gz6g 10 күн бұрын
단어만 바꾼다고 의미가 변하나? 생각좀 하자
@radish9017
@radish9017 28 күн бұрын
젊음은 아름답다. 이 말이 어느 순간 가슴에 와 닿았다.
@NewYork_NJ
@NewYork_NJ 28 күн бұрын
이혼, 혼자 사는게 마치 무슨 멋있는 것 처럼.. 방송에서 자주 나오는데.. 가는길 옆에 있는 건, 친구도 애인도 자식도 아미고 배우자 뿐이다.
@user-qf8kb8pj6y
@user-qf8kb8pj6y 26 күн бұрын
자식을 제대로 잘기르면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젊고 돈 있을 땐 멋지죠. 자유연애 하면서 즐기는 삶..그러다 나이들면 추접해집니다
@cks3855
@cks3855 26 күн бұрын
이혼 대부분이 싱격차이라고 말을 하지만 모두 돈 문제이다 그냥 가난하게 살아도 제발 무리하게 사업하지 말고 가족과의 대화 많이하고 행복만을 생각하며 살자.
@Eddguhbbctukkvc
@Eddguhbbctukkvc 26 күн бұрын
마누라 먼저 죽으면 그게 그거다 ㅋ
@user-nh3ko6kb3h
@user-nh3ko6kb3h 25 күн бұрын
있겠지하고 죽는거지 죽으면 끝임
@nexfitkorea7678
@nexfitkorea7678 28 күн бұрын
방송 후 7년이 지났는데 과연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고령화는 더 진행되고 1인가구는 더 늘어났건만...
@opho3907
@opho3907 29 күн бұрын
가족과도 연락조차 주고받는게 없을 정도로 가족해체가 되어있는 현상이 제일 큰 문제인거 같으네요.. 가족이 없는거라면 모를까 있는 가족이 자기가족 죽은줄도 모른다니, 어쩌다 저렇게들 됐노.. 라고 다 적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나도 타지에서 가족이랑 연 끊고 살고있고, 있는 친구 관계도 다 끊어져가는 중이고… 어?
@user-wc2hi6pn3q
@user-wc2hi6pn3q 28 күн бұрын
다 자기탓이다 자기가 고독해서가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들이 등을 돌려서 고독하게 된것을 누굴 탓하겠노 ~~
@opho3907
@opho3907 28 күн бұрын
@@user-wc2hi6pn3q고인 능욕 쩌네요 ㄷㄷ 싸패임?
@sung-su7-3D-G
@sung-su7-3D-G 17 күн бұрын
​@@user-wc2hi6pn3q꼭 그런건 아닙니다 연락이 단절되는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후 타의에 의해 단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주나쁜...
@user-zj8ic5ue1y
@user-zj8ic5ue1y 29 күн бұрын
삶이란 모두 부질없는것을 욕심내고 타인에게 악하게 하고...
@user-zh6or7oy1o
@user-zh6or7oy1o 28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46. 결혼도 못 하고.. 가족과도 연이 끊어졌네요..
@user-bo7dt4zg1k
@user-bo7dt4zg1k 28 күн бұрын
혼자일수록 술 담배 끊으시고 저축 든든히 모아두세요 적어도 10억은 모으겠다는 맘으로 쓰잘때기 없는 모임 ( 대부분 술 모임 ) 다 끊으시고 혼자서 놀 거리를 많이 만드세요 사는게 심심 하지 않으면 외로움은 저절로 사라집니다 심심하나 외로운거예요
@user-rb5pe9yn3y
@user-rb5pe9yn3y 26 күн бұрын
41살 8억모았는데. 일하기 싫어서 10억 못 모을것 같아요 그럼 고독사 허나요?
@gogogo587
@gogogo587 12 күн бұрын
@@user-rb5pe9yn3y 허언증 환자는 고독사 확률 높음
@mrlee70189
@mrlee70189 29 күн бұрын
제일 큰 원인이 경제적 불안정성에 따른 가정 해체, 건강악화, 자존감 도태 그리고 고립으로 인한 고독입니다. 아무쪼록 정부가 이런 상황을 시스템적으로 잘 관리되게 최대한 노력해야 하고, 개인으로도 일찍부터 노후준비(연금 등)와 계속적인 경제활동을 통해 사회적 연결고리를 계속 유지해야 할 것 같아요~. 홀로 있어도 경제적 자립만 어느정도 된다면 절대 건강이나 환경적인게 쉽게 무너지지 않아요 !. 더불어 자식에 부모의 모든 것을 올인하는 것은 참 리스크가 커요~!.
@user-qj7lw4yn7t
@user-qj7lw4yn7t 28 күн бұрын
정부가뭘할수있겠어요 그리고그나이대면 죽어도 별로아쉬울거없는연령대 그리고그게인생이지요
@user-yx3kb8vj9n
@user-yx3kb8vj9n 28 күн бұрын
윤석렬정부는 그런데 관심없어요
@curiossoul2961
@curiossoul2961 28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현재 노인세대들은 한국이 전쟁후 가난하고, 사회복지가 전무했던 시대, 그리고 자식들이 부모의 노후를 책임지는 시대, 위로 부모 부양하고, 아래로 자식 건사하고, 본인한데 쏟기보단 모든 리스크를 자식농사라는 이름아래 도와주고....불쌍하신 세대입니다.본인 조차도 많이 배우지 못했기때문에 , 경제에 전무하고, 리스크 매니지에 취약하고, 복지관련이 제대로 나라에 제정되어있지 않습니다. 앞으로 더욱더 모던 사회의 가속화로 1인 가족은 늘어날 것이며, 사람 수명은 늘어나기 때문에, 특히 현재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정부의 복지지원과 연금 체걔에 대한 대대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한 나라의 복지가 개선되고, 법이 제정되고 , 연금체계가 잡히려면, 많은 시간과 세법의 보완이 필요한일이고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닙니다. 지금 30-40대 하루라도 빨리 이런 사안에 곤심을 갖고 , 적극적으로 정부 참여를 하여야 본인들이 60-70대가 되는 노인이 되었을때 , 그나마 편안한 복지가 잇는 시대가 될것입니다. 많은 젊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사안을 들여다봤음 좋겠네요.
@gogogo587
@gogogo587 12 күн бұрын
자존감 박살나는건 개한민국이 전세계 최고
@user-ky9gq9qg6h
@user-ky9gq9qg6h 3 күн бұрын
술은 확실히 문제네요..심각합니다..
@soyullove6772
@soyullove6772 14 күн бұрын
어떻게 가면갈수록 나라가 안좋아지냐..
@nameauthor9626
@nameauthor9626 11 күн бұрын
혼자사는중장년여러분 세상혼자라는것에 훈련.노력해야합니다. 혼자편안하게즐길수있는방법은있습니다.힘내세요
@user-sp4gf9jl9s
@user-sp4gf9jl9s 28 күн бұрын
죽으면 끝, 죽은 자는 고독사 모른다. 산 놈들이 쓸데 없는 걱정한다. 즐겁게 살 걱정이나 해라.
@Bombardeo_
@Bombardeo_ 29 күн бұрын
40 50대되면 일 잘리면 새로 취업도 어렵고 일용직하다가 그냥 죽을거같아서 무섭다
@user-om2gw4kx8f
@user-om2gw4kx8f 29 күн бұрын
삶이 비참할뿐입니다.. 살아있으니 살아가는.. 내자신이 추하게 느껴질뿐
@user-di2cy3fs4r
@user-di2cy3fs4r 29 күн бұрын
그 때쯤 되면 사실 재취직은 어렵다 봐야하고. 조선소나 노가다 아님 개인사업 밖에 없는데 노가다 쪽은 경력이 없으니 생활이 안 되고 애들까지 있으니 결국 너도 나도 개인사업을 하니 개인사업자 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미친듯이 높고 그러다 망하고 노인 빈곤율 최고 찍고 그게 대한민국 현실
@700dye6
@700dye6 28 күн бұрын
밖에 나가봐 일자리 천지다
@user-qj9sh9nb1e
@user-qj9sh9nb1e 28 күн бұрын
공장도 있어요 신입 경력안따져요 바로 출근가능해요
@user-bu3fh7jn4i
@user-bu3fh7jn4i 28 күн бұрын
​@@user-qj9sh9nb1e공장도 나이제한 있는데 뭔소리고
@user-ls7ml6mb1o
@user-ls7ml6mb1o 7 күн бұрын
혼자사니 아플때 답없더라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28 күн бұрын
10대 입시경쟁 20대 취업경쟁 30대 신입 안받아줌, 소득 양극화 제일 심화될 시기 40대 직장에서 자리 걱정해야될 시기 50대 퇴직 혹은 퇴직 준비, 자영업으로 많이 빠지는시기 60대 안써줌 70대 빈곤, 병마, 고독 80대 죽을날만 기다림 그냥 쳐망해야되는 나라다 ㅇㅇ
@leemr4051
@leemr4051 26 күн бұрын
코로나때 하던사업 망하니 낙오자 취급받네요~ ㅋ 가까운 일본자주 가는데 일자리만고 경쟁도~ 나이문화도~ 남시선도 없네요!~
@user-no6kk3vv9m
@user-no6kk3vv9m 25 күн бұрын
진짜 못사는 나라는 50넘은 사람도 거의없어요
@TV-gb7bo
@TV-gb7bo 18 күн бұрын
불만 많으면 북으로가라
@user-cf9wg3lt9u
@user-cf9wg3lt9u 26 күн бұрын
1인가구들 지금 이거보면서 나처럼 한숨 푹푹 쉬겠지...
@enjoyqueen7620
@enjoyqueen7620 28 күн бұрын
40살은 베이비입니다 😅😅 전 50살 혼자도 잘살고 있어요 꾸준히 운동하고 일하고 맛집도 가고 즐겁게 살아보아요
@juri11710
@juri11710 28 күн бұрын
안정적인 일자리만 있다면..
@user-cr2vz4hd4q
@user-cr2vz4hd4q 26 күн бұрын
​@@juri11710 안정적인 일자를 찾을수록 불안할텐데....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juri11710공뭔이나 전문직 대기업 생산직 이런 곳 빼고 안정된 직장 없음. 어짜피 돌고 도는 세상
@czh9528
@czh9528 26 күн бұрын
현재는 아직 중년이니 별로 느끼지 못하겠지만 나이 더 들면 점점 몸도 늙어져 고독사 가능성도 넢아짐.
@user-fq1ku9ex4h
@user-fq1ku9ex4h 25 күн бұрын
인간유전자가 40부터 퇴화하는 시기인데 무슨 베이비 타령인가요..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29 күн бұрын
비교하고 자랑질들을 하도 많이해대니 처지는사람들은 대인기피를 하게됩니다. 알고보면 다 똑같은 곳을 향해서 가는것을.
@user-dh2bh7sh1k
@user-dh2bh7sh1k 26 күн бұрын
부산은진짜 노인과바다😢
@user-lx9bs4cg4z
@user-lx9bs4cg4z 26 күн бұрын
요즘은 강아지 장례사업이 활황이라더군요, 정말 개만도 못한 삶이 현실이 됐습니다
@user-sx3st1gp1x
@user-sx3st1gp1x 23 күн бұрын
개가 부러운 인생을 살지 않으면되죠^^ 신세한탄 남탓하는것은 병입니다^^
@user-lx9bs4cg4z
@user-lx9bs4cg4z 23 күн бұрын
@@user-sx3st1gp1x 신세한탄하는 사람 나무라는것도 병이죠 ㅋㅋ
@wjmwdead
@wjmwdead 20 күн бұрын
개민도 못함 인간들도 많져
@user-vk9op7px2n
@user-vk9op7px2n 15 күн бұрын
그걸 누굴탓하겠나요 다들 본인 탓이죠
@user-qh8ge2tz5p
@user-qh8ge2tz5p 26 күн бұрын
고향이나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인력 사무소 나가면서 원룸이나 여관에서 홀로 지내는 남자들 엄청 많습니다. 공장을 나가거나 배를 타는 사람들 중에도 많구요. 결혼은 꿈도 못꾸고 그냥 하루를 견디며 사는 기막힌 인생들 참 많습니다.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다지만, 그것과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 참 많습니다. 가족이 있어도 없는 것처럼 연락도 안하고 사는 사람들...
@sung-su7-3D-G
@sung-su7-3D-G 17 күн бұрын
ㆍ높은 빌딩의 그림자처럼 그늘지고 어두운곳도 크죠
@hellodanbi
@hellodanbi 28 күн бұрын
요즘 1인 가구가 많습니다. 점점 더 늘어날 것이고 대책이 필요합니다. 노인분들도 늘어나고 많아지실 테지만 청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혼자 사는 사람에 고독사, 독고사는 이제 남 이야기가 아닙니다. 저는 고독사 보다 현실이 더 두렵습니다. 저는 너무 긴 병치레를 하고 있습니다. 낫지는 않고 병이 하나하나 늘고 있습니다. 뇌동맥류 수술 후 몸이 망가진 것 같습니다. 병원도 옮겨보려고 합니다. 제발 건강을 찾고싶습니다. 저는 뇌동맥류 수술 이후 갑상선 저하증이 왔고 다른 혈관 문제도 생기고 간과 신장 기능 저하증도 생겼습니다. 대사 질환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잘 챙기고 있어도 몸이 무너집니다. 몇달만에 살이 21kg 가 쪘습니다. 갑상선 저하증, 간과 신장기능 저하, 우울증과 공황장애로 치료 중입니다. 식단 관리도 하고 운동도 하는데 살이 안 빠집니다. 부은 건지 살이 찐 건지 잘 모르겠어요. 52kg~73kg으로 21kg 살이 쪘어요 야채 과일식과 단백질 위주에 식사를 시작했습니다. 사계절 정수만 먹습니다.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후 12시까지 음식을 먹지 않습니다. 18~19시간 공복을 유지합니다. 소식으로 두 끼 먹습니다. 간식은 하루견과 입니다. 유산균과 효소도 시작했습니다. 운동을 하면 무릎에 물이 차거나 염증이 생깁니다. 제 하체가 상체를 힘들어 하는것 같습니다. 저는 간병 후 몸과 마음이 무너졌습니다. 진심으로 이겨내고 싶습니다. 평범한것도 부러운 사람이 있습니다. 사람이 버겁고 힘든 사람도 있습니다. 건강하게 나를 챙기며 미래를 준비하는 게 너무 힘들고 어려운 일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긴 글 싫으시면 넘겨주세요❌️ 저는 우울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수면장애 무기력증을 1년째 대학병원에서 치료 중이었는데 증세가 변하면서 조울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치고 아프고 삶을 놓고 싶습니다. 약을 먹어도 잠에 들기가 힘들고 잠에 들어도 악몽에 잠이 깨버립니다. 저에게 상처를 입힐까 아니면 다른 선택을 할까 저도 제가 무섭습니다. 우울증 진단 이후 너무너무 우울합니다.. 아버지께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받았고 폭력가정에서 생존한 생존자입니다. 아버지는 가족에게는 폭군이었고 밖에선 호인셨습니다. 집에선 엄마와 저에게 🔪을 휘두르지만 밖에선 선비셨습니다. 저에겐 너무 무서운사람 이었지만 밖에선 착한사람 이었습니다. 목을조르고 머리를 벽이나 땅에 찧고 머리를 발로 밟으며 폭행했습니다. 저는 부모님과 나이차이가 많이 납니다. 폭력가정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생존한 생존자이고 아버지는 물리적 언어적 폭력을 휘두르셨고 어머니와 저는 생존했습니다. 아버지는 끝까지 당당하셨습니다. 너무 사소한 일에 무지막지한 폭력이 이어졌습니다. 하루하루 불안했고 무서웠습니다. 이제 어머니가 제 뒤로 숨으실 수밖에 없었던 상황도 이제는 이해합니다. 어린 나이에도 어머니를 보호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나 봅니다. 아버지가 워낙 무서우셨으니까요. 차라리 제가 세상에서 없어져 버렸으면 하고 빌었습니다. 자살시도도 여러번 하고 자해도 많이 했었습니다. 미래가 무서웠고 내일이 무서워서 였습니다. 자해는 버릇이 됩니다. 충동을 자해로 풀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부모님에 소모품으로 자랐고 지금은 홀로 남겨져 저를 챙기고 있습니다. 세상 중심이 부모님셨고 이제 저는 제 세상을 살아야 하는데 너무 힘들고 버겁습니다. 원망도 안 하고 싶지만 용서도 안 하고 싶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늘 열심히 하고 잘 하려고 노력하면서 살아왔습니다. 간호사로 시작했지만 집 안 사정상 부모님 케어 때문에 이렇다할 커리어를 쌓지 못하고 간호조무사로 일하다가 부모님 간병하며 요양보호사까지 섭렵했습니다. 부모님께서 17년 전 어머니 알츠하이머와 아버지 신경성치매에 걸리셔서 두분 모두 요양등급 3등급이셨습니다. 두 분을 혼자 모시기엔 저를, 제 삶을 잃는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식에 도리를 했고 물론 제 선택이었습니다. 나중엔 직장도 그만두고 부모님을 혼자서 식사챙기고 씻기고 재활까지 두 분 모두 동시에 대,소변을 받아가며 독박간병하고 이젠 홀로 남아 1인가구로 살고있는 무남독녀입니다. 두분을 혼자 24시간 대,소변 받아가며 간병했으니 독박간병이 맞습니다. 그리곤 제가 무너져내렸습니다. 두통과 건망증으로 검사를 했다가 뇌동맥류를 3개나 발견하고 6.4mm만 응급으로 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계속 다른 혈관문제가 생기며 몸이 도미노처럼 무너졌습니다. 아직도 제 머리속엔 뇌동맥류 2개가 남아있고 갑상선저하증도 갑자기 생기더니 《52kg 에서 73kg》21kg 이 늘었습니다. 몸이 버겁고 아픕니다. 삶이 전쟁터 였고 지옥었던 제가 이제는 살고싶습니다. 죽고싶지만 살고싶습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부모님을 챙기면서 저도 같이 챙겼을겁니다. 제 힘듦을 속으로만 삼키고 털어내지 못햇습니다. 그래서 아팟습니다. 교수님이 제 모든 병에 원인은 스트레스라고 했습니다. 몸은 도미노처럼 빨리 무너지지만 다시 세우려면 오랜시간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그러니 미리미리 본인 건강을 챙기세요. "나"부터 챙기세요. 이기적인 게 아닙니다. 제가 건강해야 저와 가족을 돌볼수 있습니다. 이런 저라도 제 삶이 도움이 될까해서 책도 읽고 다른 분 영상도 많이 보고 사회복지사 공부도 시작했고 인문학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같이 성장하며 치유되고 싶습니다. 저도 아직은 계속 무너지지만 손 잡아주신 분들에 소중함과 고마움을 압니다💖 유튜브를 시작했습니다. 나눔과 소통에 소중함을 압니다. 유튜브❤️‍🩹를 시작하고 되려 위로와 힘을 얻고있습니다💝 이런 저 라도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방은 하지마세요❌️❌️❌️❌️ 제 삶이 제 인생이 하소연이 아닌 누군가에겐 진심으로 위로나 힘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vthemorningsunshinestv9217
@tvthemorningsunshinestv9217 28 күн бұрын
맨발걷기 를 하세요 ! 주님 영접하시고 교회 다녀보세요
@ysh2187
@ysh2187 28 күн бұрын
정치인들은 나몰라라 하지 지들입속만 배불리고 ㅠ 각자도생하다가는거죠
@heartbit.
@heartbit. 26 күн бұрын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행복하십시다 우리
@jonathankim1496
@jonathankim1496 25 күн бұрын
강인한 정신력이 모든 병을 낫게 해줄거 같아요 지금 마음만 같이 하루하루 살아봐요 같이😊😊😊
@gom5907
@gom5907 21 күн бұрын
님은 다시일어설수있습니다,힘내세요 응원합니다.
@MonMon-ss2tg
@MonMon-ss2tg 28 күн бұрын
더 심해지면 심해지지 적어지진 않을거에요 남일 같았는데 이제는 저의 일이 될것 같은 두려움이 있네요
@user-tn6vh7iu9n
@user-tn6vh7iu9n 24 күн бұрын
안락사 합법화가 유일한 해답입니다
@MonMon-ss2tg
@MonMon-ss2tg 24 күн бұрын
@@user-tn6vh7iu9n 안락사는 많이 고민해봐야할 문제입니다 '내가 죽을 권리'가 '니가 죽을 의무' 가 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늙고 병들고 일도 못해 부양해줄 가족도 없어 사회에 폐만 끼치는데 알아서 안락사 해야 하는거 아니야?' 하는 의견이 안나오란 법 없습니다
@user-nh2ge1fw1z
@user-nh2ge1fw1z 26 күн бұрын
너무 걱정마세요. 앞으로 15년 후면 당연한 일이 될테니까요. 돈 없으면 애도 못낳는데 죽는거는 막을 수가 없죠.
@user-km3ee2jk7y
@user-km3ee2jk7y 26 күн бұрын
모든분들 부디 좋은곳으로 가시길 소망합니다 고인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user-ui4cg3in7c
@user-ui4cg3in7c 28 күн бұрын
젊은나이에 생을마감하는 현실이 안타까워요.나도 나이도 많고 몸도많이 아프고 하니까 이젠 어떤 방법으로 끝을 내야하나 그생각만 하면서 하루하루 를 힘겹게 견디고있네요.
@user-ep9zf2yf5b
@user-ep9zf2yf5b 11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 100명으로 줄이고 무보수 명예직으로 하고 국민들 월150만원 지급하라
@user-op5wy7vh3h
@user-op5wy7vh3h 7 күн бұрын
바보아님?
@dnjddnjddl
@dnjddnjddl 6 күн бұрын
그러면 물가 좆나 오르고 집값 좆나 오름! 하..
@user-rg2gk1rp9p
@user-rg2gk1rp9p 28 күн бұрын
사람은 모두 소중한것입니다 힘내고 잘 살아봅시다
@veronica-9900
@veronica-9900 25 күн бұрын
4050... 독립해야하는 나이고 결혼안했거나 자녀없이 이혼하면 1인가구되는거고 가족들과 사이 안좋거나 부모님 돌아가시고 외동이면 또 자연스럽게 1인가구...ㅠㅠ 거기다 요즘엔 외동도 많고 비혼도 갈수록 늘어나니 1인가구가 더 늘어날텐데... 죽음 앞에서 혼자 얼마나 외로웠을까... 너무 안타깝다..
@user-ng3mn9iz4h
@user-ng3mn9iz4h 27 күн бұрын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이젠 부디 편안히 쉬십시오
@swswdesign
@swswdesign 25 күн бұрын
진짜 시간 번개같이 간다.. 20대30대는 시간따위 생각도 안했는데. 40대쯤 되면 스스로 나이에 놀라고 바로 50대 온다. 나를 위해 놀고 여유부릴시간은 자각을 못하는 20,30대 뿐이다. 세상은 시간을 아무리 소중하게 써도 공평하다.. 빠른시간을 공유할수있는 사람은 내 아내와 내 부모뿐이다. . 부모와 좋은시간 보내고 아내와 잘지내는게 이 인생의 행복이야. 집중해야해 병든자식아니면 알아서 큰다..18세이상 자식에게 시간쏟는시간이 가장 낭비다.
@user-ux9im8bc1g
@user-ux9im8bc1g 26 күн бұрын
자영업 7년차 50대입니다 1인 가구가 될 예정입니다. 장사 안된지 2년이 되가면서..삶의 의욕도 욕심도 없어요 어쩌면 다른사람들께 피해주기싫어서 1인가구를 선택합니다
@k.m.p4697
@k.m.p4697 12 күн бұрын
50대면 아직 청년입니다 힘내세요 모두 잘될겁니다. 부자되세요
@user-bw3kj8dt2q
@user-bw3kj8dt2q 25 күн бұрын
인생은 시간과의 싸움이지. 그시간이 외롭든.즐겁든... 시간과 타협하시길
@sigmann66
@sigmann66 28 күн бұрын
이 세상에서 한번도 행복을 모르고 고통속에 헤매다가 쓸쓸이가는 사람 너무 많음.
@gogogo587
@gogogo587 12 күн бұрын
그런꼴 안볼려고 안낳는거잖아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25 күн бұрын
_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user-rc3nx6gc7y
@user-rc3nx6gc7y 26 күн бұрын
4050 이 살아보니 제일 힘듬 돈도 많이 필요 하고 생각도 많아지고 뒤돌아보면 돈은 번것 같은데 통장 잔고가 0 이고 나름 열심히 살았는데 허무함 몸은 점점 늙어가는걸 느끼고 이렇게 살아야
@user-sg1yv4nn9e
@user-sg1yv4nn9e 19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행복하셨으면좋겠어요 힘든세상 힘내서 열심히 살아봐요 넘 마음이 아프네요
@user-fx7li9nn2m
@user-fx7li9nn2m 27 күн бұрын
2017년 영상이구나 나아진건 하나없고 지금은 2030대 고독사까지 엄청 늘고있음..
@clover_5
@clover_5 27 күн бұрын
2017영상이라는건 어케 아세요?
@user-fx7li9nn2m
@user-fx7li9nn2m 27 күн бұрын
@@clover_5 더보기에 2017 영상이라고 적혀있음
@clover_5
@clover_5 27 күн бұрын
@@user-fx7li9nn2m 아 ~ 그렇군요. 흠 진짜 나아진거 없고 더 심해 지네요 날이 갈수록.
@dokdo6903
@dokdo6903 21 күн бұрын
요양원실태를보니 고독사가 행복해ㅡ
@user-np2dq4mc7z
@user-np2dq4mc7z 13 күн бұрын
동감입니다
@user-jx3ye1gz6g
@user-jx3ye1gz6g 10 күн бұрын
요양원은 가족이 집어 넣은것 고독사는 가족없이 혼자 있다 죽는것 여기서 행복이란 단어가 왜 나와?
@eunho5151
@eunho5151 8 күн бұрын
아~~나도 자꾸 우울해지는디 큰일이네😅😅
@gremazalab9315
@gremazalab9315 28 күн бұрын
고독사, 안락사 뭐든 허용하고 정책시행해라. 방관하는 정부가 문제다.
@miaeward9802
@miaeward9802 2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한국 어찌 이리도 참담하게 되었을까....가슴아픈 현실..
@grasp38
@grasp38 26 күн бұрын
지나치게 심한 경쟁, 비교, 눈치보기. 이상한 오지랖에 지나친 허례허식 문화 + 천민 자본주의가 믹스된 당연한 결과. 한국사회와 사람들은 건강하지 못합니다. 점점 더 나빠지겠죠
@user-im6wm2fm1k
@user-im6wm2fm1k 29 күн бұрын
나도 가끔 생각 한다 요즘들어 몸이 내 몸 같지 않다 이러다 푹 쓰러지면.. 누가 알까..하고 사람은 누구나 태어남과 동시에 죽음을 위해 달려 간다 그 죽기 전에 살아 보는게 삶일 뿐
@user-ty1qp8sw7x
@user-ty1qp8sw7x 25 күн бұрын
나라에 돈이 없는것이 아닙니다 .나라에 도둑놈들이 너무 많은것 입니다!!!
@ms-ng6os
@ms-ng6os 24 күн бұрын
하루하루 연명하는 느낌이고 지금 이대로라면 나도 자살 아니면 고독사다 ㅋㅋㅋㅋ 전혀 남일같지가 않네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23 күн бұрын
그런 사람이 대부분이죠 힘냅시다!!!
@user-kx5jj7if4l
@user-kx5jj7if4l 28 күн бұрын
탄생은 천차만별이라지만 갈때는 그나마 조금은 편히갈수 있는 사회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ohkim2339
@ohkim2339 26 күн бұрын
고독사 현장에서 청소하고 살균소독까지 하면서 마스크도 쓰지 않고 일 하는데 냄새,먼지, 화학물질 분말 등이 몸으로 흡수될까 우려되는데 마스크 쓰고 활동하세요. 누적되면 안 좋아요.
@zzzzang70709
@zzzzang70709 25 күн бұрын
인생은 원래고독하다
@Cutepandang
@Cutepandang 24 күн бұрын
좋았던 기억만 가져 가시길 바라며 진심으로 명복을 빕니다.
@user-jm6ff6et8f
@user-jm6ff6et8f 7 күн бұрын
국가가 만든 상황이다 안타까워 할 필요가 전혀없음 지방소멸되고 수도권까지 직접 영향을 끼칠때까지 모르쇠로 일관할텐데 그저 하고싶은것들 하다 가시길 바람
@user-jw6lp5wo6i
@user-jw6lp5wo6i 24 күн бұрын
80잔나빕니다. 태어나서 여태껏남에게 피해 안주고 아쉬운소리 안하고 살려고 제법 노력을 많이 하고 살아왔네요.교육의 의무 납세의 의무 국방의 의무 다 지키고 살아왔고 살고 있습니다.청년층은 이것저것 지원이 많고 시니어 세대도 지원을 많이 하더군요.우리 더러 대한민국의 허리라고 히더군요. 도대체 해주는게 뭐가있나 요즘 생각을 많이 합니다. 처자식 없었음 저도 살아있었을까 생각합니다
@user-cy6lv4mh9w
@user-cy6lv4mh9w 29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존엄을 지킬 수 있게 도와주세요.
@user-ww3zm6gt5s
@user-ww3zm6gt5s 26 күн бұрын
가정이 무너지면 앞으로 이런일이 더 빈번할텐데 큰일이네요
@user-oq5ld8jh7q
@user-oq5ld8jh7q 24 күн бұрын
나도 40대 중후반 혼자 사는데 얼마전에 현타 씨게 와서 즉겠더라... 하
@user-ft1gv6rv5p
@user-ft1gv6rv5p 22 күн бұрын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승 떠돌지 마시고 좋은곳 가셔서 평안하세요.
@user-jg7op3xx9e
@user-jg7op3xx9e 14 күн бұрын
보이지 않는 뒤안길에서 수고가 많어심에 존경과 위로를 드림니다..
@user-oz2dl8ux3v
@user-oz2dl8ux3v 28 күн бұрын
고독사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젠 받아들이면 좋겠어요
@howardlee84
@howardlee84 26 күн бұрын
능력 있으면 혼자 사는 게 좋습니다. 세상에는 능력 없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에 인연을 지으면 주변 사람 뒷치닥거리 하다가 인생 끝남
@user-bu8jk5eh5w
@user-bu8jk5eh5w 24 күн бұрын
저도 잘 살수 있겠죠..? 너무 무섭네요 친구도없구 멍청하고 일은 하고있지만 가끔 고독사 할지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남자네요... 에휴 다들 힘냅시당
@yohankim3155
@yohankim3155 11 күн бұрын
40대가 가장 힘든 시기인것 같아요~ 그래도 살아보아요
@user-xg5hn4yo8d
@user-xg5hn4yo8d 25 күн бұрын
고독 사 뿐만 아니라 30~50대 가정 붕괴가 진행 중이라 더 걱정~~~ 가족 붕괴는 앞으로 더 다양한 사건 사고로 이어짐
@sung-su7-3D-G
@sung-su7-3D-G 17 күн бұрын
무엇인가 개입된 가족의 붕괴 ㅠ
@klm0507
@klm0507 28 күн бұрын
마지막생 혼자서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신 분들의 명복을빕니다
@khkh3859
@khkh3859 7 күн бұрын
슬프네.... 나도 혼자이고, 부모님 생각도 나고... 후.....
@user-ym2kv4tj5y
@user-ym2kv4tj5y 25 күн бұрын
이러니 돈이 최고인 시대인거지.늙어도 돈이 있어야 자식이 찾아오지.
@fieldjason9784
@fieldjason9784 28 күн бұрын
내 미래가 저리 될거 같아....
@user-kc1zx4ki9l
@user-kc1zx4ki9l 29 күн бұрын
복지 예산 삭감 이 우선 정책 등등 삭감... 어려운 사람 들 안타까운 현실...
@bjoon5210
@bjoon5210 28 күн бұрын
그 예산 결국엔 기업이 내는 세금 부자들이 압도적으로 내는 세금이죠 ㅋ 근데 기업을 역적취급하고 부자들 조져라를 외치니 ㅋ 한심 그자체죠
@user-ny2wm7ws8m
@user-ny2wm7ws8m 28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 100명으로 줄이고 국회의원 특권 싹 없애면 예산 넉넉할텐데.. 대체 국회의원 비서가 왜 9명이 필요하고 일년에 두번 해외여행을 시켜줘야하는거야??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bjoon5210이 양반 참 특이한 종이네. 아니 세금 내는 건 기본 의무인데 뭐 대단한 일인양. 이러니 뭐에 기여한 사람 범죄는 묻어두자 이런 주장도 나오지
@lifeissooofun
@lifeissooofun 24 күн бұрын
​@@user-ny2wm7ws8m 해외 많이 다닌 국회의원들이 생긴게 김대중 때부터에요. 심지어 북한 침략으로 군인들이 다쳤서 죽었을때 축구보러 일본간 김대중이죠.
@jaehoonchoi8627
@jaehoonchoi8627 24 күн бұрын
인구 감소하면 같이 감소해야 하는대 ㅋㅋㅋ 안감소하고 ㅋ 지들 밥 그릇 챙기기 바쁘지~ 어느 연애인이 어느 청소년에게 장래희망 물어봤는대 국회의원 이라고대답 하고 ㅋ 왜 냐고 물어보니 놀고 먹으니까 라고 대답함..
@user-nq5hw5tp9c
@user-nq5hw5tp9c 4 күн бұрын
16년전 부모님중 한분이 아프셔서 병수발 다 하고 도저히 못할거 같아 지금은 요양병원에 있어요 근데 예전 어른들이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정말정말 가슴에.. 와닿는다.. 훌쩍..훌쩍 뚝뚝..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