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을 믿지 않는 과학자들도 놀란 충격받은 사건들 ㄷㄷ ㅣ과학을 보다 EP.3

  Рет қаралды 2,178,318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200
@보다BODA
@보다BODA Жыл бұрын
보다 멤버십분들을 위해 과학을 보다 다음 에피소드 일주일 먼저 보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보다 멤버십 가입하기 ☞ kzbin.info/door/oCvTlU0KpNYwnMIgs7MPrAjoin BODA X 우주먼지 콜라보 우주로 간 고양이 티셔츠 사러가기👇 smartstore.naver.com/aweplay 1편 우리는 정말 시뮬레이션 세상에서 살고 있을까? 보러가기 ☞ kzbin.info/www/bejne/poGahotsrN6Cbpo 2편. 만약 전세계 모든 핵을 달에 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보러가기 ☞ kzbin.info/www/bejne/hHOxeZieh9KHq68
@aurocokr4952
@aurocokr4952 Жыл бұрын
😊 8:33
@김완식-i1e
@김완식-i1e Жыл бұрын
😅😅😅😅
@산파람
@산파람 Жыл бұрын
헌법에 경제발전이라는 글자까지 만들었는데 왜? 한국은 이완용 이후 123년 찍고 200여년을 일본에 뒤떨어지기를 고대하는 양 좋은 차 타고 티를 팍팍 내면서 활 침?
@LeeWan-zzang
@LeeWan-zzang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이 말씀하실때 두 굉장한 연륜의 교수님들이 엄청 기특하게 웃으면서 경청해주시는거 보니까 내 마음이 편해지네요 ㅋㅋㅋ
@t.hwani_6021
@t.hwani_6021 Жыл бұрын
학자로서 서로 리스펙 해주는 느낌이라 좋네요😊
@annabelle7123
@annabelle712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얘기 할 때 두 교수님들 아빠 미소 흐뭇하게 짓는게 보기 좋았어요 ㅋㅋ
@skh1043
@skh1043 Жыл бұрын
젊은 과학자께서 말씀하실때 그 모습을 바라보는 두 선배 교수님들의 진지한 태도를 보면서 감탄했습니다. 존중 경청 이런 감정들이 느껴지는 모습입니다.
@bonbonjovi
@bonbonjovi Жыл бұрын
그런거도 다 설정인데 그거에 감동받고 그런 지능이면 평생 막노동이나 하셔야되요
@민-u3w
@민-u3w Жыл бұрын
@@bonbonjovi 설정이라 한들 감동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 하물며 영화나 책으로부터 얻는 감동 또한 정해진 설정 안에서 발견되는 것인데 이러한 매체에서 느끼는 감정을 제외한다면 어떤 상황에서 감동을 받고 어느 지능이 되어야 막노동을 안하고 살 수 있는거죠?
@lhommefatal7177
@lhommefatal7177 Жыл бұрын
@@bonbonjovi 글쓴이의 수준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댓글이네, 제대로 된 대학교만 다녀 봤다면 일단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른 학자들끼리는 상당히 존경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하는 걸 자주 볼 수 있었을 텐데. 그런게 다 설정일 뿐인 딱 그 수준의 사람들밖에 주변에 없으니 세상이 다 그런 줄로 착각하고 있네 ㅋ
@Ansangim
@Ansangim Жыл бұрын
@@bonbonjovi ㅂㅅ
@hcs2293
@hcs2293 Жыл бұрын
@@bonbonjovi 이렇게 모든것을 의심하면, 얼마나 삶이 피곤하고 외로울까
@김영일-b1w
@김영일-b1w Жыл бұрын
연구실에만 계시지 않고 이렇게 대중들을 위해서 귀중한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각 분야 전문가들의 말씀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jaysonlim6777
@jaysonlim6777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퀄리티를 원했습니다. 과학자들의 토크는 이래야지요. 너무 재미있고 즐거운시간이였습니다. 세분의 전달력은 너무 좋아서 보는내내 지루할틈이 없엇습니다 깨알같은 정영진씨의 아재개그도 그렇고... 계속 쭉 이시리즈 고정으로 나오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seaunderthemoonlight
@seaunderthemoonlight Жыл бұрын
21:28 앞에서 삐약삐약 야무지게 설명하는 후배를 사랑스럽게 바라보는 교수님과 어느 하나를 들으면 이어지는 생각이 꼬리를물어서 자신만의 세계에 접속하시는 교수님ㅋㅋㅋ
@n77power
@n77power Жыл бұрын
이 코너는 반드시 정규편성되어야 합니다
@찬-h3l
@찬-h3l Жыл бұрын
진짜 제발..
@ming1000
@ming1000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아요
@GSIPTFRV
@GSIPTFRV Жыл бұрын
Mc는 빠지고 패널분들끼리 이끌어가는것도 좋아보이던뎅
@Gink-q9f
@Gink-q9f Жыл бұрын
​​​@@GSIPTFRV 일반인 비전공자 눈으로 바라보는 mc 역할이 꼭 필요함.. 쓴약에 단초같은 역할이지 또 저정도의 과학적기본지식을 가진 mc도 구하기 찾아보기 진짜 힘든분이다
@ohbrother76
@ohbrother76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함^^
@y_fullness
@y_fullness Жыл бұрын
현재 영상에서 전해주고 싶은 메세지와는 다른 느낌을 받았습니다. 한발자국 먼저 시작한 선배님들께서 우주먼지님의 발언을 들었을때 보여주었던 표정과 제스처 등 너무 감동이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도 자연과학이 틀리진 않았구나라는 생각이었으며, 스승이 바라보는 제자, 과거를 경험해보신 선배님이 바라보는 현재의 청년은 틀리지 않았음을 영상에서 전해주는 정보의 질보다 사람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너무 좋았습니다.
@WorldPeaceKing
@WorldPeaceKing Жыл бұрын
저만 그렇게 보인게 아니었군요 저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표정과 제스쳐에서 은은한 감동과 뿌듯함이 느껴졌습니다
@flame_flower
@flame_flower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표정 너무 쁘띠함😊
@nyanyam877
@nyanyam877 Жыл бұрын
예전 뉴스에서 보던게 생각나네요..자연과학 계열쪽 학생들이 다 그만둔다고.. 국가에서도 지원도 많지않고 인정받는것도 아니고 미래가 없다? 이런 얘기로요.. 그래도 전보단 나아졌다니 다행이네요
@이재용회장-x9q
@이재용회장-x9q Жыл бұрын
진짜 유투브에 널린 말도안되는 주작 장난질 퀄리티떨어지는거보다가 이런 진취적이고 교육적이고 재미있는..너무좋습니다
@보다BODA
@보다BODA Жыл бұрын
BODA 보다 채널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며칠 전, BODA 채널이 해킹을 당하여 채널 내 모든 영상이 안 보이고 채널 프로필도 이상한 사진으로 바뀌어 있어서 당황하신 분들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도 많이 당황스러웠지만, 유튜브 측에 빠른 대응으로 다행히도 채널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최근에 진행중이었던 콘텐츠는 계속해서 이어갈 예정이며, 보다 재미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다양하게 기획중에 있으니 기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다시 한 번 걱정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따뜻한 주말 잘 보내시고 매일 매일 새롭고 유익한 컨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 BODA 보다 제작진 일동 -
@j-mincompany3457
@j-mincompany3457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의 토크는 시간가는줄 모르게 재미있네요 ㅎㅎㅎ 특히 서교수님 목소리 톤 성우같으시네요 목소리 너무좋습니다 세분의 과학자님들 모두 리스펙 합니다.
@zanggu614
@zanggu614 Жыл бұрын
진행자분도 진행을 매끄럽게 재밌게 해주시고 세 과학자분들도 논리있게 잘설명해주시니까 너무 재밌네요 이 시리즈ㅎㅎ 더 만들어주세요!
@방자연인
@방자연인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프로에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보고있습니다. 방구석에서 훌륭한 교수님 박사님들의 강의를 듣는다는게 참 좋은세상인거 같습니다
@NOAH_BLACK1
@NOAH_BLACK1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너무 재밌다. 내용도 재미있지만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김범준 교수님의 리액션. 바로 옆자리 서교수님 이야기하실 때보다 앞자리 우주먼지님이 이야기하실 때 유난히 아이컨택 및 리액션도 많고 웃음도 많아지심. 아마 분야적으로 바로 옆 서교수님은 원자를 다루시니 물리학적으로 아는 내용이 겹치는 것이 많은 반면, 천문학은 그에 비해서는 생소한 지식이 많아서 학자로서 더 흥미 있게 들으시는 것 같기도하고(그럼에도 이미 아시는 지식이 많으심. 전형적인 호기심 많은 천재), 두번째로 우주먼지님이 출연자 중 제일 어림에도 한 학문에 조예가 깊고 또 그것에 대한 전달력이 좋아서 무슨 마치 전도유망한 똘망똘망한 학부생보는 것처럼 리액션하시는데 서교수님 때랑 온도차가 심해서 재밌음. 서교수님 이야기들을 때는 두분이 싸운것 같이 들으심.
@Loveliver__
@Loveliver__ Жыл бұрын
물리학과 교수님들은 거의다 저렇습니다 ㅋㅋㅋ 싸우신건 아니구요 (말씀하신게 맞을수도 있음) 저도 논문을 쓰면서 교수님과 얘기를 하면 아닌건 아니라고 칼같이 얘기하는게 교수님들 특징이에요. 그래서 제 생각이 맞다면 설득을 하려고 더 공부해야하고 그렇죠 ㅋㅋㅋ 물리학이 워낙 오래되기도 했어서 이런부분은 다른과에비해서 보수적이라할정도로 확실히 자릅니다. 말씀하신거 처럼 본인분야라서 그런게 있겠네요 ㅋㅋㅋㅋ
@flame_flower
@flame_flower Жыл бұрын
같은 박사로서 인정과 대우를 하는것이죠. 앞에 있는 사람이 후에 아인슈타인처럼 위대한 발견을 할지도 모르구요
@강루비-s1s
@강루비-s1s Жыл бұрын
김교수님과 서교수님의 미묘한 신경전 아닌 신경전ㅋㅋ
@치갈-j8d
@치갈-j8d Жыл бұрын
그냥 젊은이를 귀여워하는게 아닐까요
@이성민-w4o4u
@이성민-w4o4u Жыл бұрын
kocw에서 김범준 교수님 일반물리학 강의 보면 지금이랑 똑같으십니다 물리하시면서 항상 웃으시면서 이야기하세요.
@angryrupy
@angryrupy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계속 보는데 진행자분 정말 일반인이 생각할법한걸 계속 물어봐서 너무 좋네요 ㅋㅋㅋㅋㅋ
@개배추
@개배추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편안하게 들리는 목소리도 간략하고 재미있는 설명도 따뜻한 경청과 공감도 너무 최고이십니다 저는 과학에 관심이 1도 없다가 이 코너 보고 매번 찾아봅니다 가르침 감사합니다👍🏼
@miyeong1957
@miyeong1957 Жыл бұрын
자극적이지않고 차분하게 고급 지식들을 알기쉽게 전달해주시니 보는내내 정신이 번쩍듭니다. 책한권을 뚝딱 읽은 듯이 뿌듯하네요...계속해서 유익한 담화 기대하겠습니다^^
@ing_XYZ
@ing_XYZ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을 안내를 받아 보다를 며칠 전에 만났는데 진행 해주시는 분 패널분들 티키타카 잘 어우러지고 우아함이 느껴져서 빠져들고 있습니다:) 유익하고 머리는 어렵지만 명상하듯이 마음이 편안한데 왜 편안한지는 모르겠고 ㅋㅋㅋ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아라-v5b
@조아라-v5b 1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스트레스로 인하여 수면을 잘 못하고 있답니다. 불면증도 심하고요. 주변 지인들 한테 물어보니 멜라티움 라는 영양제를 섭취하는데 충반한 숙면에도 좋았어요
@frejiop
@frejiop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연배도 그렇고 다른 두 분은 어찌보면 하늘같은 교수님들인데도 자기 분야에서 대등하게 대화하는 모습, 다른 두분이 그걸 존중하시는 모습이 넘 좋아요. 인문 토론이었다면 이만큼 분위기 대등하고 무해한 느낌이 나왔을지 반문하게 됩니다.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과학적 사고의 태동이라더니 그게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로 나타나는 것 아닌지 여러 생각이 드네요.
@우짜라고우
@우짜라고우 Жыл бұрын
인문토론에 대한 편견을 가진 자체가 타 분야를 존중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김동규-r7d
@김동규-r7d Жыл бұрын
대등은 아니고 어차피 다 한의사검사 아래
@gd4130
@gd4130 Жыл бұрын
​@@김동규-r7d ㅋㅋㅋㅋㅋㅋ
@김동규-r7d
@김동규-r7d Жыл бұрын
@오이시 판사 의사 > 빅펌 치과의사 > 검사 한의사 > 평균변호사> 아나운서 변리사 회계사 약사 수의사 > 중하위~막내변호사 기자 감평사 법무사 노무사 세무사 출처 법갤
@gurunbon6685
@gurunbon6685 Жыл бұрын
@@김동규-r7d ㅋㅋ 세상멸망할때 1순위챙겨서 데려가는게 과학자입니다. 돈과 명예를 중시하는건 문명사회일때죠 중요도로따지면 한의사검사는 과학자에비하면 좆도아닌직업이에요
@heeoni7990
@heeoni7990 Жыл бұрын
물리학과 졸업한 사람으로써 정말 마지막에 해주신 말씀 너무나 공감하고 좋습니다. 과학과 기술이 분리 되서 우리나라에서 과학만을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좋겠습니다!
@이지스v
@이지스v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멤버의 토론은 진심 너무 유익하고 재밋음 제발 계속 만들어주세요-!!
@김동규-r7d
@김동규-r7d Жыл бұрын
한의사검사 >> 약사변호사
@ye1in
@ye1in Жыл бұрын
진짜 학교다닐땐 과학얘기싫어했는데 왤케재밌지 세분이서 얘기만 하게 가둬놓고싶어요
@hyoljin
@hyoljin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진짜, 어렵더라고 이렇게 재미있게 접근해서 설명해줬다면..
@Kyary_Pamyu_Pamyu
@Kyary_Pamyu_Pamyu Жыл бұрын
그 때는 내가 성적을 위해서.. 점수를 위해서 억지로 보는것이지만.. 지금은 이 영상을 보고 과학에 대한 지식이 약간 생겨도 어떠한 보상을 받지 않음에도 우리의 호기심 때문에 보는거기때문에 재미있게 보이는 것 아닐까요?
@kkjjkk-dj8uv
@kkjjkk-dj8uv Жыл бұрын
교수님들 너무 재밌어요!ㅎㅎ 앞으로도 계속 출연해서 흥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망나뇽-c6s
@망나뇽-c6s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자기 전문 분야에서 조곤조곤 말 잘하는거보고 두 교수님이 흐믓하게 바라보시는게 예뻐(?)보이네요ㅎㅎ
@JustJerry-p8q
@JustJerry-p8q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이 진짜 유익하다고 느낀게 다 이해할순 없어도 과학에 흥미를 가지게끔 만들어주네요. 덕분에 조금이라도 공부하고 싶어졌습니다.
@user-qv260k5k8w
@user-qv260k5k8w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1~3편 몰아봤습니다! 세분의 얘기뿐만 아니라 중간에 일반인의 시각에서 묻는 MC의 노련함과 깔끔한 정리까지. 정규편성 꼭 해주시길 부탁드려요^^
@Jun-gt3fp
@Jun-gt3fp 9 ай бұрын
다들 전문가에 지식이 풍부할텐데 서로의 이야기를 순수하게 들으며 관심가져주는게 너무 멋있어요.
@frejiop
@frejiop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제임스웹 얘기 자기 자식마냥 이쁘고 대견해 어쩔줄 모르는 아빠같아요.ㅎ 연륜이라기엔 아직 젊으신데 말씀을 너무 조리있고 유쾌하게 잘하시네요. 다른 두분 교수님들에 밀리지 않고 잘 조화되는 편안한 분위기 넘 좋습니다^^
@user-sv4lq7sw8g
@user-sv4lq7sw8g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마지막 말 진짜 공감합니다 과학은 단지 기술로써만 평가되는게 아니라 지적인 호기심과 물음에서의 가치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user-sv4lq7sw8g
@user-sv4lq7sw8g Жыл бұрын
@루 루 꼭 어떤 직접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아도 국가가 지원해주는게 중요하다는 말이죠
@김준수-z1i
@김준수-z1i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는 10년 넘게 장수하는 시리즈로 연재됐으면 좋겠어요 ㅠㅠㅠ 늙어서도 보고파요 ㅠㅠㅠ
@김현준-m5g
@김현준-m5g Жыл бұрын
어려운 과학이야기도 이렇게 재미있을 수 있네요. 사회자 분도 분위기를 좋게 할려고 농담도 던지시지만 기본 지식이 상당한듯 합니다. 다소 어려운 이야기도 질문을 통해 이해하기 쉽게 풀어 주시네요. 꼭 정규편성이 되었으면 합니다.
@유순호-u6p
@유순호-u6p Жыл бұрын
세분의 얘기가 너무 너무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또한 사회자 분께서도 편안하고 매끄럽게 진행을 잘하신다고 생각합니다
@온풍지대
@온풍지대 Жыл бұрын
서균렬 교수님은 감성적이고 인문학적으로 접근해서 풀이하는데 김범준 교수님이 완전 말도 안된다는 표정으로 두번이나 컷해 버리는게 재밌네요. 같은 과학자라도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태도는 상당히 다른것 같습니다.
@strongbaby_Daddy
@strongbaby_Daddy Жыл бұрын
조금 거북했지만 재미는 있네요 ㅎ
@simsimsim7209
@simsimsim7209 Жыл бұрын
음... 찾아보니까 두분 학부는 서울대로 같지만 석박이 서교수님은 MIT고 거기에 서울대 교수.. 한분은 석박 서울대 성균관대 교수.. 두 분 성격이 다른면도 있지만 약간의 열등감도 있지않을까.. 물론 그들만의 리그지만여
@람쥐뀨
@람쥐뀨 Жыл бұрын
서교수님이 어떤식으로 스토리텔링 할지 지켜 봐야하는데 니 말엔 오류가 있다라고 단정짓는 식으로 대하는게 한번이 아니라 이번편 말고도 더 있어서 보기 좋지 않았어요..
@annabelle7123
@annabelle7123 Жыл бұрын
@@simsimsim7209 그냥 학문과 사람 성향의 차이 같아요. 물리학과 핵융합은 너무 다른… 순수과학과 응용과학 같아서요. 오히려 순수과학 쪽에서 응용과학 무시하는 것도 있더라구요 경제학, 경영학 관계처럼 ㅎㅎ
@샤이니즈-백
@샤이니즈-백 Жыл бұрын
@@simsimsim7209 그렇게 어느새 서균렬 교수님은 대국민 선동꾼이 되어있었다 ..
@동치미-c5l
@동치미-c5l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들의 이야기가 일반인들한테도 이렇게 재미있게 다가오니 집중이 안될 수가 없네요❤ 정규코너 원츄👍
@초식동물-w8x
@초식동물-w8x Жыл бұрын
진행자의 역할이 굉장히 큰것 같네요. 적당히 지적이고 말주변도 좋고 유머감각도 좋으신듯.
@Warkytocky
@Warkytocky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진짜 재밌는듯. 지적호기심은 누구나 있고 유튜브란 매체를 통해 간편하게 수준높은 대화를 들을수있어 귀가 즐겁습니다.
@YaHoYaTV
@YaHoYaTV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는 과학 영상이에요!
@qlalfla
@qlalfla Жыл бұрын
과학과 기술의 분리.. 심지어 헌법 조항까지.. 헌법을 본적이 없는 것도 아닌데..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관점이네요.. 전공자는 아니지만 가슴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tigerysh79
@tigerysh79 Жыл бұрын
정말 고마운 영상입니다. 예전에 후배 연구실에서 김범준 교수님 뵌 적이 있는데...진심으로 존경합니다. 다들 건강하시면 좋겠습니다. ㅎ 고맙습니다.
@romiyoon3142
@romiyoon3142 Жыл бұрын
이 세 과학자 분들 덕분에 과학지식이 아닌 인생을 배우고 또한 돌아볼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다음 개헌 때는 과학기술의 정의가 바로 잡히길 바라며^^
@kyoungseo_good1004
@kyoungseo_good1004 3 ай бұрын
귀신을 믿지 않는 사람이지만 요즘 귀신을 보는 꿈을 꾸게 되고 귀신을 보게 되는 증상이 있더라고요. 저는 영상과는 사뭇 다르게 심신이 약해지고 스트레스로 인하여 그런 증상들이 나오는거 같아요. 혹시나 해서 찾다가 지인이 소개 해주신 멜라티움 이라는 영양제도 효과 좋은 것 같아요
@doublej5891
@doublej5891 Ай бұрын
저도 비슷한 경우가 있었는데 수면을 들때 호흡법이나 수면최면틀어놓고 잠들기도 해봤는데 꿈꾸지않고 푹 잘자더라구요 기분에 따라선 빗소리 바람소리 장작태우는 소리나 비행기 기내소리 등 백색소음이 도움이 많이됐어요
@클립폴리
@클립폴리 Жыл бұрын
이 컨텐츠 너무 좋다.. 계속해주세요
@MiniMJP
@MiniMJP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너무 재밌어요~ '시간은 흐르지않는다'나 '자유의지'관련한 주제랑 영화 (테넷이나 데브스나 뭐 이런거...)같은거 엮어서 이야기하는 영상도 한편으로 제작되면 재미날거같애요~
@Ragearima
@Ragearima Жыл бұрын
이분들 계속 모셔서 토론할 주제가 계속 있을테니 정규방송화 되었으면.. 제작비 지원해드리겠습니다.
@NoneLuckKim
@NoneLuckKim Жыл бұрын
김번준 교수님 리액션이 너무 좋으시다 ㅋㅋㅋㅋ 특히 우주먼지님이 말하실 때 잘 모르는 정보가 들어와서 그런가 엄청 아이 같으심
@yhg0246
@yhg0246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의학분야로도 하면 재밌을듯 진짜 잘보고있습니다!!
@solitude11sl59
@solitude11sl59 Жыл бұрын
먼지님 볼때마다 느끼는게 정보를 전달하는능력이 소름돋을정도네요 ㄷㄷ 많이 안다고 제3자에게 알려주는게 절대쉬운게 아닌데 대단합니다 혹시 비결이 있을까요?
@다이아킬러
@다이아킬러 Жыл бұрын
유식해야 합니다 많이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컴퓨터로 예를 들면.... 누군가는 컴퓨터를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기계라고 말할 수 있지만 누군가는 컴퓨터는 cpu, 모니터, 키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 디스크 등 다양하게 있는데 키보드는 글자를 쓸 수있고 모니터는 화면을 볼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는 저장할 수 있고 cpu는 모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인터넷 등등등을 이렇게 쉽게 설명하죠 cpu = 뇌, 모니터 = 눈, 키보드 = 연필 사람과 같다라고 비유하면 이해하기가 쉽죠 핵심을 잡고 짧고 간결하게 압축해서 일반인 수준으로 설명하면 끝...(짧고 간결하게 임팩트 있게 설명하기가 힘듦...) 전문 용어 또한 입력은 우리가 먹으면 입력 출력은 똥으로 나오면 출력 이런 식으로 설명해 주면 전달력이 좋죠 즉, 어려운 전문 용어와 지식을 정확하게 알고 쉽게 설명해야 합니다. 뭐 가끔씩 유식한 사람이 유식한 척 전문용어 사용하면서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본인은 많이 알고 있지만 전달력은 부족하죠 전문가들과 소통은 문제없지만 일반인과 소통은 불가능합니다 핵심을 설명 못하고 전체적으로 두리뭉실하게 설명함... 유식하다고 해서 모두 다 쉽게 설명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유명한 강사들이 인기 있는 것이 초딩수준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능력이죠 많이 배운 사람도 암기해서 어설프게 아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감으로 아는 정도라고 할까... (당구를 칠 때 고수는 흰 공의 1/4 또는 상황 따라 2/4 왼쪽을 때려 그러면 우라가 된다...라고 말하지만 하수는 야 그냥 왼쪽 때려라고 설명하죠... 정교함의 한 끗 차이) 그래서 어려운 걸 쉽게 가르칠 수 있는 것이 능력이죠
@donghyunlee7557
@donghyunlee7557 Жыл бұрын
@@다이아킬러 여러분들 이렇게 말 안하면 됩니다.
@lonewolf0131
@lonewolf0131 Жыл бұрын
@@donghyunlee7557 음...왜 안되는건지 알려주셔야죠.
@DIABLO-xy3jq
@DIABLO-xy3jq Жыл бұрын
​@@lonewolf0131 왜냐면 그사람들을 앝잡아보고 궁예질한거에 불과한것 실제 교수님들은 쉽게설명하려다 왜곡이 생길거면 그냥 설명안하는게 맞다고 생각하심. 왜곡이 잇을지라도 비유섞는사람이라고 옳은게 아니고, 각자의 가치관차이인데 그저 자기시선에서 남을재단하는 흔한 온라인악플러일뿌
@zeeholee
@zeeholee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전달할까 계속 고민하고 실제로 많이 해봐서 생기는 노하우 같은거 아닐까 싶어요.
@yeongl8215
@yeongl8215 Жыл бұрын
정프로님 질문 진짜 잘 하시네요 진성 문과인데 질문 덕에 이해가 더 잘 돼요
@이웃집처키
@이웃집처키 Жыл бұрын
지대넓얕끝나고 허무했는데 그곳에서 느끼던 재미가 여기있었다. 이채널 너무조아
@그림던
@그림던 Жыл бұрын
진짜 정프로님 교수님들의 품위있는 진행 너무 좋네요
@junolee3424
@junolee3424 Жыл бұрын
서균렬교수님은 후반부에 텐션 떨어져서 멍때리는게 포인트
@jjamani1013
@jjamani1013 Жыл бұрын
명예교수님은 뭔가 이과계의 문과생같으심ㅋㅋㅋㅋㅋㅋㅋ
@홍석주-f1o
@홍석주-f1o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저런분들애기를 이렇게 편하게 들어볼수있다는거 자체에 감사드립니다.
@K-Booger
@K-Booger Жыл бұрын
어쩌다 한편 보고, 세편보고 정주행 중인데요.이 프로그램은 정말 제가 여지껏 보던 프로그램중 제일 유익하고 깨달음을 줍니다.물론, 어렵습니다.그래도 덕분에 정말 많이 배웁니다.너무너무 좋습니다.
@뜨거운파인애플-y7v
@뜨거운파인애플-y7v Жыл бұрын
전문가분들의 이야기는 정보가 깊이있고 태도가 젠틀한게 느껴집니다 이런 양질의 컨텐츠 감사해요 전문가분들 자주 불러주세용~
@momo_rina
@momo_rina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어요
@LDS0113
@LDS0113 Жыл бұрын
논리와 팩트, 존중으로 가득한 이 상황이 너무 편안해요. 존경받을 수 밖에 없는 분들... 이런분들이 세상을 바꿔줬으면 하는게 욕심이겠죠 ㅠㅠ
@jungjinwook6367
@jungjinwook6367 4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1개월 이상 잠자리에서 늘 듣고 자는 이 좋은 컨덴츠를 이제야 구독을...
@피지왕개기름
@피지왕개기름 Жыл бұрын
사회자분이 너무 진행을 매끄럽게 잘하네.
@김원학-y4x
@김원학-y4x Жыл бұрын
21:29 교수님 표정이 너무 보기 좋네요..
@seujing
@seujing Жыл бұрын
과학 정말 안 좋아하고 어려워하던 사람인데 이 영상은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너무 흥미로워요 엉엉ㅜㅜ 계속 해주시면 좋갰습니다!!
@고동필-v3s
@고동필-v3s Жыл бұрын
이런 콘텐츠 너무좋아요... 지적 호기심을 재미있게 충족 시켜주네요.. 앞으로도 계속 해주세요~~^^
@jjjjjyyyy
@jjjjjyyyy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우주먼지님 얘기하는 과학 기술을 편하게 정리 잘 해주시네요
@molinalucero2502
@molinalucero2502 Жыл бұрын
진행을 매끄럽게 잘하니까 더 보기좋은거 같아요
@멍쿵이멍
@멍쿵이멍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너무 좋아하는 문돌인데요. 진짜 너무 너무 재밌게 봤어요!! 이런 자리 많이 있었으면 좋겠네요ㅎㅎㅎㅎㅎ
@사기노미야
@사기노미야 Жыл бұрын
다들 최고의 지성과 똑똑함을 가지고 계시긴한데 사람지식과 과학의 한계도 명확히 느껴지는 대화이네요 아무튼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하고 지상파 프로그램보다 훨씬 고퀄입니다😊
@정승희-c7c
@정승희-c7c Жыл бұрын
제발 이 분들 모시고 영상 더 많이 찍어주세요..!!!! 너무 재미있어요!!!!!!
@박한솔-r3d
@박한솔-r3d Жыл бұрын
와 고등학생때 친구들이랑 했던 이야기들을 교수님들께서 하시니까 새롭고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dychi81
@dychi81 Жыл бұрын
전공을 무시할순 없네요 ㅎㅎ 서균렬 교수님 틀리는 것도 보구요 ^^;; USB에 들어있는 메모리를 보통 낸드 플래시 라고 하는 메모리 이고요. 낸드 플레시 안의 0과 1은 "차지 트랩" 이라는 방식을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전자를 많이 붙잡아 놓은 곳과 붙잡아 놓지 않은 곳의 서로 다른 전기적 상태로 0과 1을 저장할 수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것이 전자를 잡아놓은 것을 1로 할건지 전자를 잡지 않은 걸 1로 할건지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자를 잡아둔 것을 1로 하기로 했다는 전제하에 아무 데이터가 없는 것보다 데이터가 꽉 차있는 상태일 떄가 무겁습니다. 물론 그 무게 차이는 거의 10e-20 g 이하의 단위 인지라 세상에서 가장 좋은 저울을 가져와도 잴 수 없기는 합니다.
@Ddtytytt
@Ddtytytt Жыл бұрын
형님 근데 usb 꼽았다 뺐을때 마모의 무게가 더 클거같아요 ㅋㅋㅋ 그래서 오히려 더 가벼워 질듯
@dychi81
@dychi81 Жыл бұрын
@@Ddtytytt 정답입니다! ㅎㅎㅎ
@gd4130
@gd4130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요
@hjp7250
@hjp7250 Жыл бұрын
멋진 과학자 세분의 과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재미진 입담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시청하다 갑니다~🤩 🫶 👍
@승현승준
@승현승준 Жыл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고 몰입 했네요 4분의 조합이 환상입니다
@peach-tree-e
@peach-tree-e Жыл бұрын
이런 과학시간 너무 좋다. 롱런하시길 바랍니다^^
@vincentgh9292
@vincentgh9292 Жыл бұрын
아흐..... 느므 재미있다. 속도감, 논리까지... 혼탁하지 않아서 청량감까지 느껴지는... 편집을 잘한것도 있겠지만, 교수님들이 참 말씀을 맛나게 잘 하십니다.
@happyhan608
@happyhan608 Жыл бұрын
따뜻한 커피가 마음도 따뜻하게 한다! 오늘 배움.😊👍🏻🎉
@Im_fany
@Im_fany Жыл бұрын
진짜...지적으로 세련된 모임(?) 입니다. 어디 가면 이런 대화와 생각의 시간을 갖을 수 있을까요...너무 흥미로운 대화였습니다.
@yfvj3579
@yfvj3579 Жыл бұрын
최애 코너가 된 것 같아요 😂 너무 재밌어요~ 손때 묻은 USB
@IllIIlIlllIlIIlIllIIlIIlllIlIl
@IllIIlIlllIlIIlIllIIlIIlllIlIl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다른분들 설명하시면 추가설명 하시려다가 참으시는게 귀여우심 ㅋㅋㅋ
@daldalkoko
@daldalkoko Жыл бұрын
맨 프롬 어스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그 영화를 보면 대부분이 그냥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는 영화죠. 그럼에도 이야기 하나만으로 지금까지 초 명작으로 남아있습니다. 며칠동안 서균렬 교수님, 김범준 교수님, 우주먼지님, 정프로님 이렇게 네 분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그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짜릿함과 즐거움이 느껴집니다. 과학이 이렇게나 즐거운 학문이었군요. 물론 공식을 외우고 뭔가를 계산하라고 한다면 여전히 제겐 끔찍한 과정이겠지만 그런 힘들고 어려운 학문을 이렇게나 재미있게 풀어주시는 석학들을 보면서 참 좋은 세상에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감사할 따름!
@chuljoong-ql3dv
@chuljoong-ql3dv Жыл бұрын
기대안하고 봤는데 세상 고품격 토크쇼 였어!
@jjinant149
@jjinant149 Жыл бұрын
우주의먼지도 막힘없이 잘 말한다. 대단하네
@user-3993pn
@user-3993pn Жыл бұрын
유투브의 순기능이 이 프로에 바로 설명 되네요 먹방에 언박싱에 싸움에 그런부류도 필요하지만 진정한 기능을 이런 이야기 들이 아닐까 합니다.
@NyaNyaPunchz
@NyaNyaPunchz Жыл бұрын
과학에 대한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계속했으면 좋겠습니다!
@oriuri
@oriuri Жыл бұрын
서로 각기 다른 분야의 과학자님들이 의견을 주고받으면서 서로를 존중해주는 모습, 혹은 투닥거리는 모습이 눈쌀이 찌푸려지는게 아닌 뭔가 멋있어보여서 놀라웠습니다 이런 프로그램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쭈욱 이어나가졌으면 좋겠습니다
@tubeyou1490
@tubeyou1490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정말 좋은 말씀 해주셨네요. 우리나라도 이제 먹고 사는 걱정을 매일 해야 할 정도는 한참 지났고, 다른 선진국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그 강박감을 내려놔야 더 진전을 할 수 있는 그런 시기가 된거 아닌가 싶습니다.
@라카-h7f
@라카-h7f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장기대되는 조합입니다ㅎㅎ시간이 순삭
@minkim6879
@minkim6879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말 정말 조은 영상입니다 소크라테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이작 뉴턴 이 만나면 어떨까 상상했었는데요 저런 느낌 아닐까 싶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꾸벅 : )
@kss4376
@kss4376 Жыл бұрын
오!!소오름 물이우주에서온 얼음으로 왔으면 그얼음속에 생물이나 미생물중에 인간에 시작일 가능성도 있다는건가요?? 😮😮😮😮😮.와😮😮😮😮😮😮??😮😮😮 너무 잼있어요!!그얼음자체가 동면 ufo 일수도!!??!!어떤 영화가 생각나네요!!다시 찾아봐야지ㅎㅎㅎ
@pinoch_5
@pinoch_5 Жыл бұрын
정영진님은 인문학 사회경제 과학 문학까지 정말 많은 지식을 섭렵하시겠어요^^
@김첨지-f3u
@김첨지-f3u Жыл бұрын
세분 대화 듣다보니 시간가는줄도 모르겠습니다. 너무 재밌네요😊
@긋긋긋-s6y
@긋긋긋-s6y Жыл бұрын
최근 유튜브중에 최애영상임.. 이런 전문적인 과학얘기는 문과인 나는 이해못할수도 있는데 너무 재밌게 잘해주심
@Tyler_Soopia
@Tyler_Soopia 17 күн бұрын
많은 정보를 전해주는것도 좋지만 초반 이 영상처럼 편집이 많이 없는게 훨씬 보기 편한듯
@노루궁뎅이-r8y
@노루궁뎅이-r8y Жыл бұрын
이정도 고퀄리티면 방송국에서 정규편성해볼만하지않나?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밌는데
@khisuh
@khisuh 20 күн бұрын
BODA 홧팅~ 흥해라~ 영원하라~ 선글라스님의 진행에 감탄 ^^
@614pinetree
@614pinetree Жыл бұрын
국민들에게 알기쉽게 과학으로의 접근! 이방송을 계기로 청년층에게 동기부여를 해주어서 앞으로 한국에서 많은 과학자가 쏟아져 나올듯하네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자연과학과 기술과학은 이제는 분리해도 좋을듯요 이제 대한민국은 먹고살만한 나라가 되었으니까요! 화이팅 코리아 🇰🇷❤️👍
@nafla7049
@nafla7049 Жыл бұрын
이 세분 너무 좋습니다 시간 가는줄 모르고 매 시리즈 다 보네요 너무 재밌어요 👍👍👍
@GT-xl1tt
@GT-xl1tt Жыл бұрын
와. 내가 과학자 분들이 하는 대화를 끝까지 스킵없이 재미있게 보다니……❤
@봉차이
@봉차이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topjimmy9687
@topjimmy9687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 나오는 방송은 팩트를 왜곡날조 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학자들은 팩트에 기반한 진실을 이야기하니 좋음.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설 연휴엔 고대 문명 미스터리 몰아보기ㅣ10분 토론 / 14F
2:42:07
끊임없이 고기가 생겨나는 신기한 정육점, 그 비밀은?
45:09
김복준의 사건의뢰
Рет қаралды 263 М.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