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2 성복동이 아니라 신봉동이고 성'복'동도 성'북'동으로 쓰여져있습니다. 촬영한 동네가 비슷비슷해서 저도 모르게 착각한 것 같습니다. 오타가 있어서 영상을 새로 수정해서 올렸습니다. 혹시 오타나 오류가 있으면 계속 제보해주세요~
@1-roadno.1273 жыл бұрын
13:55경에 나온 사진이 기흥 중에 어느동(과거 리)인지 알수 있나요?
@bottle_tube3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위치는 잘 모르지만 저기가 현재 동백동과 중동이라고 합니다.
@OULLIM_SP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둘 다 광교산 골짜기 따라 건설된 곳 이다 보니 외지인이 보기에는 햇갈릴 만도 하져... 다만 약간 차이가 있다면 성복동이 신봉동보다 LG빌리지를 주축으로 몇년 일찍 개발되어 도로가 다소 좁아 (중심도로인 기존 2차선을 개간하여 왕복 4차선으로 만듦) 좀 더 오밀조밀한 느낌이 들고, 신봉동은 그에 비하면 시원시원 하다 못해 공허한 느낌마져 들게 한답니다:)
@도날드럼3 жыл бұрын
@@bottle_tube 사진 출처 부탁드려도 될까요? 궁금하네요 ㅎㅎ 저도 살던 동네라 찾아보고 싶네요
@orr_rkj3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때 소풍 간다고 하면 에버랜드 or 민속촌 둘중에 하나였습니다 ㅋㅋ
@colorfulneonsign3 жыл бұрын
용인이 고향인 사람으로서 에버랜드나 민속촌을 매일 가진 않았다는 거... 그보다 진짜 조사 열심히 하셨네요. 보면서 공감가는 부분이 많았어요
@hyeonsu-hl2ff3 жыл бұрын
난 어렸을 때 연간회원증 끊고 ㅈㄴ 많이 갔었음ㅋㅋㅋ
@heyrua89723 жыл бұрын
@@hyeonsu-hl2ff 저도요 매일 갔어요 ㅋ 너무 좋았죠
@amadeus3922 жыл бұрын
산 넘으면 한국민속촌 닿는 곳에 사는 1人입니다. 솔직히 잠실 사시는 분들 롯데월드 맨날 가시나요? 같은 논리입니다. 그냥 우리 지역에 한국민속촌 있다 이거지 맨날 가지 않습니다. 국공립이 아니어서 입장료가 주말마다 가기에는 부담되고 하고요. 그래도 에버랜드는 어렸을 때 연간회원증 끊고 주말마다 간 기억이 있죠 ㅎㅎ
@안꿍돌유튜브9 күн бұрын
저도 용인이 고향입니다. 저의 출생년도인 2007년에는 용인에 78만명 정도 인구가 거주했습니다. 지금 2025년 기준으로는 108만명입니다.
@이불밖은위험하다냐앙3 жыл бұрын
분당-수지에서 살아온 1인으로써 영상을 통해 용인에 대해 좀더 깊이있게 배울수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anacornnan7893 жыл бұрын
내가 직접 정보 검색할려고 하면 시간이 16분보다 몇배는 들텐데 이렇게 간결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알짜 정보로만 모아놓은 채널에 왜 구독자수가 이런지 추천수가 이런지 모르겠네요. 힘내세요. 언젠가는... 지금도 그렇지만... 지리,지역정보,지역소개 부문에서 검색만 하면 병튜브님 영상이 일등으로 올라올겁니다. 화이팅!!!!
@andre_73023 жыл бұрын
영상엔 나오지 않았지만 용인의 또다른 특징중 하나가 대단지 아파트나 타운하우스 거주자가 많아 대중교통 이용보다는 자가용 보유 비중이 상당히 높습니다. 아파트 한 세대당 두대는 기본이고 4대까지 끌고다니는 모습도 봤어요 그만큼 차량이용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용인의 상업시설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넓은 주차장이나 드라이브 쓰루같은 시설이 많습니다...주차가 조금이라도 불편하면 사람들이 잘 안가려고 해요...
@시헬무르2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
@권용민-w4q Жыл бұрын
ㅇㅈ
@더네이처11 ай бұрын
좋더라. 대중교통이 그닥 불폄하지도 않음. 서울보다 힘들어서 그렇지
@silver234210 ай бұрын
수지구 지역은 신분당선 개통되서 강남도 금방 감. 교통 괜찮아졌음.
@강백호-f6w3 жыл бұрын
너무 훌륭한 설명이었습니다 완벽해요
@똑사부3 жыл бұрын
와 용인 토박이로서 이 동영상에 얼마나 많은 공이들어갔는지 느껴집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잘봤습니다!
@땅땅무슨땅2 жыл бұрын
우와~용인 영상 감사합니다
@khannim3 жыл бұрын
난개발허가한 용인시장과 공무원들 혼내야한다. 지금도 산위에 막 집짓고있다. 그린벨트로 묶인걸 어떻게 누가 풀어줬을까? 매우궁금하다.
@SeungYeonLee-le6wp3 жыл бұрын
ㄷㄷㄷㄷ자료 조사력 무엇인가여 너무 잘보고갑니다 ㅎㅎㅎㅎ
@gagliner3 жыл бұрын
에버랜드, 민속촌은 안가고 친구만나러 서울만 가게되네요 암튼 세종포천고속도로, sk 하이닉스 들어오면서 처인구쪽이 개발이 많이 될텐데 잘 계획해서 정비된 도시로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윤날쌘돌이 Жыл бұрын
용인에 24살에 와서 35년 째 살고 있는 남자입니다. 여러 유튜브를 봤지만 '병튜브' 만큼 다방면에 걸쳐 매우 사실적이고 현실적이며 최신 자료를 이용하여 따끈따끈하게 만든 유튜브는 없는 것 같습니다. 다른 지역 소개 유튜브도 마찬가지지만 매우 짜임새 있는 영상입니다!~
@deullee11683 жыл бұрын
지역의 역사 부분에서 독립운동가를 소개해주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요~ 그냥 아이디어요!^^ 항상 내가 사는 지역의 역사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궁금했는데 이렇게 편히 알 수 있어 좋네요. 재밌었어요!
@wingyoung87613 жыл бұрын
설명 짱!!!! 조사하시느라 고생 많으셨겠습니다. 엄지척!
@한선희-l5w3 жыл бұрын
용인 특례시의 중심지인 처인구 인프라가 시급합니다. 부디 처인구만큼은 난개발의 오명을 쓰지않고 수준 높게 개발되길 바라며, 지역이 급성장 하는 만큼 시민들의 의식수준 또한 급성장하길 기대해 봅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체리쥬글레-q3r Жыл бұрын
행정타운 대실패로 이미 끝난거 아님?
@ski4912 Жыл бұрын
@@ilililillllllii남사면에 고속도로 짓고 그나마 계속 발전중 김량장동 시내가 좀 오래되서 개발 좀 했으면 함 다른 도시들처럼 지하 상가 있으면 정말 좋겠음
@오버워치재밌어 Жыл бұрын
@@ski4912김량은 슬슬 처지고 역북쪽으로 가는 듯
@ski4912 Жыл бұрын
@@오버워치재밌어 긍께요... 나름 시장도 있고 터미널 근처인데 이리 밀려서야... 터미널도 새로 짓는데 김량장동도 커지길 바래요
@sanghakkim98657 ай бұрын
처인구에는 기숙학원도 많죠.
@ilililiililiil30063 жыл бұрын
수지, 구 구성쪽이 분당, 판교처럼 도시계획 제대로 세워서 작정하고 만들었으면 정말 좋은 동네가 되었을텐데 (물론 지금도 좋지만) 좋은 위치를 난개발로 날려먹은게 너무 아까움.
@조영주-t2q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비교적 수지2지구(동천동)는 계획도시라 아파트값이 비싸요 수지1지구(풍덕천)도 현대그린프라쪽은 나름계획도시
@user-xz9qs2mt2m3 жыл бұрын
@@조영주-t2q 성복동 롯데캐슬이랑 이편한이 탑이죠
@최선근-u9h3 жыл бұрын
동백에사는데 호수공원 크지는 않지만 그냥 운동하기좋고 쉴수있는 공간이 많아서 만족하고 있네요~ 먹거리도 많고 좋아요~
@---hi7eq3 жыл бұрын
호수공원 상가가 연곳이 거의 없던데요
@한이서-v9u3 жыл бұрын
저도 동백 사는데 진짜 별거없음 근처에 세브란스 병원 띡 있는거 빼고는 그다지.. 놀 곳도 없음ㅠㅠ
@흰토끼-k4d2 жыл бұрын
동백은 교통이ㅠ
@sindorim_2 жыл бұрын
@@---hi7eq 다 망함 ㅠㅠ
@---hi7eq2 жыл бұрын
@@sindorim_ ㄹㅇ 거기지나다니다보면 멀리서 좀비알려올거같이생김 멸망한 세상같이 아무것도 없어서
@꼬마부리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정보들은 어디서 구하시는지 편집력도 좋으시고 정말 대단하시네요
@김동민-k3 жыл бұрын
7:38 ㅋㅋㅋ 완전 공감하네요 보통 처인구쪽에 사는 사람들중 김량장동이나 마평동 사는 사람들이 용인에 산다 라고 많이 함 ㅇㅇ..
@예제가여3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렇게 좋은 컨텐츠에 양질의 영상을 제공해주시는데 구독자가 2만명밖에 안되다니요! 빨리 위로 올라가십시오!
@binuyua3 жыл бұрын
용인살다가 옆동네 광주 왔는데, 떠나고나서야 용인이 얼마나 교통이 잘돼있었고 도로가 잘돼있던곳인지를 뼈저리게 느끼는중입니다.
@정한불쑥tv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광주는 교통 지옥입니다
@밍-x3v3 жыл бұрын
ㅋㅋㅋ제가 경기광주살다 용인왔는데 광주다시가라하면 못가겠음
@남신상3 жыл бұрын
광주도 같이 뜨는지역이라..다만광주는 대중교통 인프라는 진짜 개폭
@새초롬새초롬3 жыл бұрын
광주는 정이 안감..
@getagalaxy3 жыл бұрын
상무지구는 좋은곳입니다
@projecteumak3 жыл бұрын
수지에서 19년째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8:55 부연 설명 하자면 여러 행정동 중에 풍덕천동을 말할 수 있습니다. 난개발의 대명사라는 말이 있듯이 풍덕천동이 얼마나 난개발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 중 풍덕천2동은 1동에 비해 주거지역이 더욱 난개발의 양상을 볼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그런데 그런 풍덕천2동에도 내새울만한 거리가 있는데, 국내 최초로 쓰레기자동집하 시설이 생겼습니다. 이 시스템이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어 설명드리자면, 각 아파트 내부에 종량제 봉투에 담은 쓰레기를 모아두고 차가 수거해가는 것이 아닌 종량제 봉투에 담은 쓰레기를 한 통에 넣으면 그 쓰레기들은 땅 속을 타고 집하시설로 넘어가 태웁니다. 그래서 풍덕천2동 같은 경우에는 쓰레기차를 보지 않습니다.
@Polar_bear1974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특히 강남권과 가깝고 사람 살기 좋아서 신도시 정책 하나 없이도 100만을 찍은 용인시입니다. 인구가 수지, 기흥에 몰려있는건 서울의 베드타운이기 때문이죠. 신분당선이 생기고, 판교에 테크노 기업들이 대거 들어오면서 점점 더 유입인구가 늘어가네요. 그래서 여기 신축(성복 롯데, 이편한 등)은 수도권 최상위권 가격을 형성하고 있죠.
@코닉-s2x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처인구는 개발을 안해주지
@안꿍돌유튜브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지금은 처인구도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또 용인은 시흥과 다르게 분리하지 않은 덕분에 100만 대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sucessNEXT Жыл бұрын
이런 정보는 도대체 어디에서 구했는지 대단하네요. 편집기술도 대단하구요. 대단하다는 말 밖에는...
@둔둔이빵줘라3 жыл бұрын
02:16 이거 ㄹㅇ 반발 잘했음
@허욱-k7b3 жыл бұрын
나으 고향 춘천, 이 아름다운 네임드 킹갓제너럴 도시를 아직까지 소개하지 않았다니.... 병튜브님은 춘천을 얼른 소개 해주시길....
@에이치엔피3 жыл бұрын
기흥구에서 대략 20년 정도 살았는데 중요한건 어렸을때나 민속촌 에버랜드 자주 갔지만 대부분은 아이들이나 데이트 하러 가는거 아니면 가는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잘 안가는편으로 알고있습니다.
@heonyhunynight3 жыл бұрын
죽전동 사는데 이 영상 볼 때 가본 동네 찾는 재미가 쏠쏠함ㅋㅋㅋㅋㅋㅋㅋㅋ
@정우재-u5x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ㅋㅋ
@-vv8gn3 жыл бұрын
저도 보정동 주민입니다! 방가워요 ㅋㅋ
@Hyeon_1_03193 жыл бұрын
8:18 처인구에 살아서 민속촌은 잘 안 갔고, 에버랜드는 초등학교 다닐때 연간회원증 끊고 자주 다녔습니다. 저녁에 산책하러 가족들이랑 에버랜드 가기도 했고요
@sanghakkim98657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이언트판다를 볼 수 있는 곳이 에버랜드죠. 에버랜드 거쳐 간 자이언트판다 7마리 중 밍밍(明明)은 사망, 리리(莉莉)와 푸바오(福宝)는 중국으로 반환되었고 에버랜드에서 볼 수 있는 판다는 러바오(乐宝), 아이바오(爱宝), 루이바오(睿宝), 후이바오(辉宝) 4마리뿐이죠.
@maricelamontalvan.7466 Жыл бұрын
곧 용인에서 살게 될것 같은데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sanghakkim9865 Жыл бұрын
푸바오, 루이바오, 후이바오: 용인? 거긴 내 고향인데?
@user-ddboy063 жыл бұрын
용인 죽전에서 5년 보정동에서 현재까지 7년째 살고있습니다 차만있으면 분당 수원 광주 15분내로 갈수있어서 좋습니다 다만 출퇴근시간대에 대지고 옆 꽃메교차로, 죽전삼거리, 풍덕천사거리 , 마북터널지나 동백죽전대로, 구성이마트 삼거리 헬파티입니다 제가 주로다니는 도로기준입니다 아 맞다 그리고 길훈아파트 삼거리도요
@한화이겨스3 жыл бұрын
용인기흥에 살고 있는데 산 넘어 가면 에버랜드 있어서 그냥 가고 싶으면 가는데 어쨌든 많이 간 것 같네요... 그리고 산이 많아서 확실히 날씨 맑으면 동탄부터 잘하면 제2 롯데월드도 조금 보여요....그리고 죽전가서 놀긴 해요 그리고 죽전 이마트가 젤 매출 높다고 하더라고요....
@흰멍누멍3 жыл бұрын
수지구청역 바로옆 아파트 살아요. 21년전에 이사왔는데 잘 찝어주셨네요. 수지살면서 처인구쪽 가본적 손에 꼽음. 집근처 상가아니면 죽전 보정동가서 놀고 신봉 상현 성복으론 자주 안가요. 1년에 한번 두번 가면 많이가는 곳이 처인쪽.. 수지는 분당옆이라 어릴때는 서현자주갔고, 신분당선 뚫린이후론 강남까진 25분내로 빨라져서 살만합니다..
@용인아무무3 жыл бұрын
레미안 사시나요
@최찬영-j3s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용인에 살면서도 용인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는데 정보 많이 얻어갑니다
제 외갓집이 수지구에 있어가지고 정말 익숙한 행정구역인데 난개발로 문제가 있는곳인줄은 몰랐네요. 다음은 의정부시도 한번 부탁드립니다!!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경전철쌍둥이~
@mathsciencems60973 жыл бұрын
@@recommendexperiment 엌ㅋㅋㅋㅋㅋ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9개 경전철 중 최초 2인자들
@mathsciencems60973 жыл бұрын
@@recommendexperiment 그쵸 에버라인, 의정부경전철...
@BS090_ROYAL_Midi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중교통이 불편합니다. 신분당선은 비싸고 6900번은 배차간격이.......
@yuntorisisatsu3 жыл бұрын
분당이 건설되고나서 분당과 바로 이어지는 풍덕천부근 부터 아파트가 늘어나기 시작해서 어디부터가 분당이고 어디부터가 용인인지 모를 정도로 붙어버렸지
@yuntorisisatsu3 жыл бұрын
@@POIU222 주소보니까 오리역 지나 죽전동이네 거기 논밭일때 그일대를 풍덕천이라고 했어 그래서 내가 세세한 지명을 몰라 서울사람이라 거기 벽산아파트에 친구집에 놀러갔다 분당인줄 알았는데 거기가 옛날 풍덕천있는데 였더라구 정확히 몰라서 미안
@deca-x5h3 жыл бұрын
@@POIU222 현대가 아니라 신세계임
@user-rw9du8kn8z3 жыл бұрын
@@POIU222 너는 왜 쥐뿔도 모르면서 아는척을 하냐
@듀듀임3 жыл бұрын
@@POIU222 난잡한 서민동네ㅋㅋㅋ 어디 청담동 한남동에 사시나봐요!
@sarah-ys6ry3 жыл бұрын
난 일단 용인 들어감 긴장부터 함.운전실력때문이 아니라 도로가 너무 난개발 대표도시답게 정신 없음.
@user-op9cq1kz1c Жыл бұрын
용인 15년 거주한 28살 입니다 알찬 정보 너무 유익하게 잘봤습니다 ^^
@utub_8863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때는 날고 긴다하는 애들이 거의 다 에버랜드 정기권을 끊어놓고 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수지쪽은 잘 모르겠으나 기흥은 에버라인타고 가도 되고 자동차로도 10 몇분정도 밖에 안 걸리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았죠. 그리고 용인 시청은 그때를 생각하면 모르겠으나 지금은 공실이 거의 없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론 용인시가 대부분의 청사와 공기업들을 다 밀어넣어서이기도 했지만 특례시로 성장하면서 규모도 매우 커지긴 했죠. 전 gtx만 기다리고 있을 뿐이랍니다~ 에버라인은 아무 소용이 없어요!
@mankiplayer3 жыл бұрын
수지에서 에버랜드는 자가용으로 30분 이상 걸려서 서울에서 오는 거랑 별반 차이도 없는거 같아요 😂
@utub_8863 жыл бұрын
@@mankiplayer 그러겠네요 풍덕천사거리 뚫고 오려면... ㄷㄷ
@OULLIM_SP3 жыл бұрын
수지구는 같은 용인인데 접근성이 한창 떨어져서 서울 가는 것보다도 더 힘들어요 ㄸㄹㄹ... 그래서 차 없으면 에버랜드는 커녕 용인시청 쪽 구시가지 가는것도 엄두가 잘 안난답니다ㅜㅜ
@dropshippingto3 жыл бұрын
동백신봉노선 경강선연장같이 세개구를 묶어줄수있는 교통이 필요해요 지금은 너무 따로놈
@BR-fq8kq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일 때는 에버라인이 없었어서 버스 종점이 에버랜드인 노선이 많아서 연간회원권 끊고 다니는 친구들도 많았고, 굳이 회원권 없어도 학교에서 시험 끝나고 단체로 방문해서 자의가 아니어도 용인에서 학창시절 보내면 자주 방문하게 되더라고요
@중동곰탱이 Жыл бұрын
30년 용인토박이로서 잘설명해주신부분이 많아 따봉드립니다ㅎㅎ 저희는 어렸을때 에버랜드 많이다녔는데 성인되고나서는 그냥저냥 다른사람들처럼 다닙니다 옛날엔 지역주민 연간회원 할인같은게 있었는데 없어지고 나서는 사람들이 잘 안다니는거 같아요 p.s. 그당시엔 호화시청이라고했지만 시청단지에 세무서 우체국 경찰서 교육지원청 문예회관등 묶어서 존재해 지금은 이런얘기가 없는편입니다
@sanghakkim9865 Жыл бұрын
국내에서 사육 중이거나 사육했던 자이언트판다들은 모두 용인 에버랜드에만 있었죠. 밍밍, 리리, 러바오, 아이바오, 푸바오, 루이바오(쨔바오), 후이바오(먀바오).
@슈빠맨-s2s3 жыл бұрын
진짜 난개발 심한듯 저도 2년전에 이사왔는데 이사온 집이 산을 깎아서 만든곳임... 원래는 산이었는데 지금도 옆 산 깎아서 아파트 짓는중ㅠㅠ
@야수다3 жыл бұрын
ㄴㅍㄹ 아파트 ㅈㅇ 아파트?
@xj_7793 жыл бұрын
더샵?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구 처인현,양지현,죽산현(현재 남부지역)의 남4읍, 2동읍, 고3면, 원3면, 양지면(개칭 전의 내4면), 백암면(개칭 전의 외4면), 추가로 일죽면, 죽산면(개칭 전의 이죽면), 삼죽면 등 숫자 지명은 모두 일제강점기에서 지은 이름이라는 공통점이..
@warnnie3 жыл бұрын
고삼면은 이제 안성땅이죠.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이제..도 맞는 말씀이지만 이제 몇십년 됐다는 걸 익히 알고 있됴 온라인 문서들이 유저들이 직접 편집하는 ("위키" 들어가는)사이트들이 시기부조화•누락된게 많지만 그정도는 ..암튼 일죽~삼죽면도 계속 여전히 안성 땅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까 앞서 기본현황에서 기흥구는 길게 잘설명해주셨는데 (구성읍이 억지로 통합되어 구 이름에서 배제된) 처인구는 너무 짧아서 아쉽습니다. 처인구의 나무위키/위키백과에도 설명돼있듯 이동읍•남사읍 일대만 처인이었고 에버라인(용인경전철)이 다니는 동네는 모두 용구였는데 도로명주소를 시행할 때 처인구를 피해서 나머지 구들을 종단하는 도로이름을 용구대로(성남대로의 연장선)로 지어버리니 오해를 더 키웠습니다.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물론 사실 이 이야기는 행정구역 역사 부분에서 어느정도 나옵니다 ㅌㅌ)
@recommendexperiment3 жыл бұрын
지명 문제에 좀 더 얹자면 라선(현 특별시, 북녘)처럼 전통적으로 두개의 시가지였던 곳을 이름마저 합쳐 대표 지명으로 쓰는 곳은 용인 말고도 조선시대 이후로 참 많은데, 역 이름을 지을 때 지석역, 어정역, 초당역, 고진역, 보평역처럼 실제 마을 이름과 전통 지명(관습\법정동 고려)을 고려한 것은 감사한 일이지만, 동 단위 아닌 지자체 단위 (용인역, 양평역)처럼 구 처인현 지역과 구 지평군 지역을 배제한 곳에 사실상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역을 설치한 것이 사실상 자연스러워서 용인의 대표역이 될 지 몰랐던 시기에 수려선 용인역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역으로 이름이 정해졌다가, 용구현의 중심지였을 (용)구성역(옛 읍내면 마북리) 양근군의 중심지였을 양평역(옛 읍내면, 현 양평읍 양근리) 여전히 합쳐진 지역에서도 용인읍은 처인과 가깝고 지리적 중심이어서 일제때부터 시승격당시까지 백여 년간 중심지였다가 구성읍이 수원과 성남의 사이에 있고 전통중심이라는 명목으로, 양평읍이 지평과 가깝고 지리적 중심이자 전통중심이란 명목으로 현재까지 중심지 역할을 맡게 되었다.
@binoo03242 ай бұрын
살만한 곳을 검색하다가 영상시청했는데 유익한 채널이네요. 구독 했어요!
@hjlee4373 жыл бұрын
다른 곳은 모르겠고 수지는 여러모로 살기 좋아요.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신분당선이 정말 편하고, 동네가 뭔가 좀 여유로운 느낌이 있네요. 1기 신도시 평촌/일산에도 살았었는데 수지에 정착했네요. 이름도 예쁘고.
@주말좋아용 Жыл бұрын
평촌 일산 물론 살기좋지만 강남 접근성은 수지가 압도적이죠bb 저도 수지구에 집사고자 하는 목표가 있습니다~
@리즘프-p9d11 ай бұрын
수지 죽전사는데 살기 넘 좋아요 서울살다 이사왔는데 모든게 다있고 신분당선 분당선 고속도로 등등 다 넘 편하게 잘되어 있어 서울가기도 편하고 ❤❤
@hansol_lyu3 жыл бұрын
어설프게 분당생활권이라는 말도 안되는 타이틀 달고있는 광주보다 살기 좋은 동네임은 확실함
@tv-6507 Жыл бұрын
용인소식 감사합니다 🎉😮😊
@akkim54463 жыл бұрын
와. 이분 뉘신지~~~ 용인을 완벽하게 소개해 주시네~ 전 처인구 토박이~ 수지 기흥의 급발전이 조금은 배아프지만 처인구 토박이들은 느긋한 맘으로. 처인구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답니다. 이제. 처인구 차례인 걸 너무나도 잘 알기에... 처인구는 도시 도 농촌도 아닌 애매한 위치 .. 하지만, 김량장동 주변으로 스타벅스가 네곳이나 있는 희안한 동네 ..시골치고 스타벅스가 가까운 거리에 대형으로 포진. 낮시간에도. 바글바글. 의외로 소득 수준이 높은곳이 처인구입니다. 한 3. 5년내에 엄청 발전할듯요. 지켜보자구요~~^^
@와드박3 жыл бұрын
포곡도서관 쪽은 시골이던데 워낙 커서 다 발전하는건 ㅂㄱㄴ
@JKL10143 жыл бұрын
처인구는 공장 물류센터만 짓던데 최악
@ymso_Useoj208s5 ай бұрын
이사가려고 지역 어떤지 찾고 있었는데 지역 분위기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nextdoorlee3 жыл бұрын
에버랜드 자주 가냐는 말 정말 많이 들었는데 여기서 또 듣다니
@user-ml8no4lh7g3 жыл бұрын
분명 같은 용인 사는데 기흥.수지 사는 내 주변 애들이 나 보러 처인구올때 "처인구 가려고" 라고 하지 않고 "용인 가려고" 라고 하는 애들이 대부분..
@이렇9먼3 жыл бұрын
난 그런거 못들어 봤는데
@윤찡-y3l3 жыл бұрын
수지사람은 용인산다고 안해요.ㅋㅋ 기흥사람까지 그러는건 좀 오버구요
@mayne8193 жыл бұрын
ㅇㅇ 난 못 들어봄
@갱진쓰게임3 жыл бұрын
그건좀오바..
@백승엽-x4p3 жыл бұрын
광교산(용인)전투도있습니다 때는 병자호란으로 1637년1월28일 김준용이지휘하는 조선군과 양고리가지휘하는 청나라군과의 전투로써 1637년1월31일까지 격전하면서 청나라군지휘관인 양고리가전사하고 조선군이 승리한전투입니다 이는 병자호란모든전투중 조선의최대승리였습니다 하지만 청나라군이 남한산성을 완전히포위해버렸기때문에 그이후 진격을못하게됩니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용인전투중에 승리한전투는 3번(1232년처인성전투,1637년광교산전투,1951년금양장리전투) 패배한전투는1번(1592년 용인전투)입니다.
@김유진-d7s2x2 жыл бұрын
어렸을적 용인 (용인군 마평읍 석담) 살다 지금은 충남 홍성에 살고 있는데 많이 성장했네요 이제는 질적 성장 기대해 봅니다.^^
@Mr.antmole3 жыл бұрын
예전 영상과 지금 영상이 많이 다르네요ㅋㅋ 유튜버로서 닮고 싶습니다 저는 기흥에서 대리기사를 하고있는 유튜버입니다! 잘봤습니다
@배동식-t5n3 жыл бұрын
시원시원하게 알려주셔서 잘 듣고 갑니다 구독과 좋아요 😀 꾹꾹 누르고 가겠습니다
@스제임-s8p3 жыл бұрын
백군기 시장 들어온후 도로,교통 등이 많이 좋아졌지요 ᆢ 난개발과의 전쟁을 해 기존 토착세력들의 비리를 파헤치고 그들과 결탁한 공무원들을 수사의뢰하는등 난개발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지요
@getagalaxy3 жыл бұрын
백군기 재선가나요?
@윤찡-y3l3 жыл бұрын
이 분도 비리많아서 물러나라고 시위하던데요??
@gi-r8z1c Жыл бұрын
애버라인 타 보셨나요 한번 타 보세요 타 보니 라인에 대학이 4개나 있더라구요 오히려 전철을 만들어 처인구 넓은 땅을 수지 기흥등 인구 분산을 하면 아주 좋을듯해요 이게 2년전 유투브라 그렇군요
@MIHO_OHIM3 жыл бұрын
편집 진짜 잘하신다 ㄷㄷ
@고고영석-u5w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최동형-f3k3 жыл бұрын
용인 기흥구에서 사는 사람으로써 자랑스럽네요ㅎㅎ
@서라벌-x1d3 жыл бұрын
정말 기다렸습니다 선생
@dkfndk50773 жыл бұрын
2년후에 처인구로 이사가는데... 버스에서 처음 내리고.. 멍때림요...(풀과 물만 있음) 용인은 수지 기흥밖에 못봐서 다 그정도 되는줄 알았거든요 ㅋ 감사히 잘 봤습니다.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았어요.
용인시 출신 인물 1.제국의아이돌 출신 배우 박형식 2.골든차일드 최보민 3.배우 이다희 4.winner 송민호(출생지는 성남시) 5.비투비 육성재 6.인피니트 이성열 7.래퍼 타쿠와 8.비투비 서은광 9.배우 김도훈 10.가수 박현호 11.기계체조 선수 여서정 12.배우 김향기 13.퍼플키스 수안 14.배우 김소현(1999) 15.댄서 민서(저스트 절크) 16.조선의 실학자로 유명한 조광조 17.코미디언 이재훈 18.유튜버 김한나(에버랜드) 19.배드빌런 빈 20.뮤지컬 배우 김진욱 21.유튜버 최제우(뷰티풀너드) 22.가수 규빈 23.코미디언 출신 트로트 가수 김나희 24.비보이 워터원 25.스트레이키즈 창빈 26.유튜버 아린 27.세븐틴 도겸(출생지는 서울특별시) 28.라쿠나 장경민 29.triples 지연 30.triples 유빈 31.틱톡커 겸 유튜버 타니 32.버스터즈 출신 배우 정지수 33.버스터즈 민지 34.버스터즈 지은 35.버스터즈 전 멤버 차민정 36.축구선수 출신 해설가 박주호(성장은 하남시)
@꼬마부리3 жыл бұрын
08:20 시간날때 가요 학생때는 돈있음 가고 겨울에 싸우나 이용하듯 케리비안베이 가긴 하네요 (집위치가 에버랜드까지 에버라인으로 15분거리)
@Stepanos12263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 ㅋㅋㅋ 겨울에 뜨끈한 물에 지지러 캐비 감 ㅋㅋㅋㅋㅋㅋ
@ablowhouse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정도 걸리는데 송담대역 이나 김량장역 주변 사시나봐요 ㅋㅋ
@이태경-q8u Жыл бұрын
부럽습니다........ ㅎㅎ 경남권지방러가.....ㅠㅠㅠㅠㅠㅠ
@manimdaek2 жыл бұрын
처인구도 앞으로 경강선이 들어서면 아주 더 좋아져요 ~!!! 세종간고속도로 개통을 앞두고 있어요 ~ 에버랜드 회원증 끊어서 1년내내 갔어요 ㅎ ㅎ
@user-songhaezzang11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제 주위에 삼성직원이나 삼성계열사, 하다못해 관계사(라 부르고 사실은 하청)에 다니시는 분들은 에버랜드 연회원권 할인혜택이 좋아서, 아이 있거나 부부나 연인이 좋아하면 연회원권 끊어서 다니시는분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기흥구에는 아이 있는 집들은 민속촌 연간회원권 끊어서 아이데리고 주말에 자주 가시더군요. 가성비 좋고 아이들 안전하게 뛰어놀게 하기 좋다고 합니다. (그만큼 용인에 생각보다 아이들과 함께할 공원이나 시설이 부족하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잘 정돈된 큰 강변이나 공원이 딱히 없는지라)
@따루와쭈니3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방전된피카츄3 жыл бұрын
용인에서 오래 살았는데 반갑네요. 평택도 해주세요!!
@한이서-v9u3 жыл бұрын
용인에 구 하나 더 생길 수도 있대요 내년 고등학교 진학 때문에 막 알아보고있는 중인데 구성구인지 뭔지가 하나 더 생길 수도 있다네여
@윤찡-y3l3 жыл бұрын
플랫폼시티땜에 구성하고 동백묶어서 구성구로 한다는 말이 있긴해요.
@황태산-i3b3 жыл бұрын
용인 기흥이 고향인데(82년생), 기흥이 나 어릴적만해도 산이 엄청 많았는데...그 산을 다 깍아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 그리고 상권 만들었어요....지금 생각하면 참 아까운 산이었던거 같고, 인간의 기술이 산을 없앨수 있는게 신기하면서 자연을 파괴하는 거 같아 너무 무섭기도하네요.
@ktx35343 жыл бұрын
강원도하고 경북만안건들면댐
@vghhjjjj3 жыл бұрын
@@ktx3534 거긴 건드려도 살 곳이 아니라서. .
@BS090_ROYAL_Midi3 жыл бұрын
동천동 그쪽은 죽어납니다. 이스트포레는 아예 걍 산임
@황태산-i3b3 жыл бұрын
@@ktx3534 제발 개발이니 뭐니 하면서 정말 자연을 안건들였으면 하네여ㅡ.ㅡ 어릴때나 젋을때는 "개발&발전" 이런게 좋은거 같았는데...이 나이드니 고향의 흔적이 사라진게 너무 서글프네요 ㅠㅠ
@황태산-i3b3 жыл бұрын
@@vghhjjjj 용인도 제가 어릴적만해도 누가 건드려도 살만한 곳이라고 생각도 못했던 곳이에요...ㅠㅠ
@아아-n3q9l3 жыл бұрын
와 용인시민인데 조사 잘했네ㅋㅋㅋㅋ 에버랜드 민속촉안감
@cksdb-n1b3 жыл бұрын
에버랜드 갈빠엔 롯데월드가지 아 ㅋㅋㅋ
@아아-n3q9l3 жыл бұрын
@@cksdb-n1b ㄹㅇㅋㅋㅋ
@채널형독갈빙리타위원3 жыл бұрын
@@cksdb-n1b 음 수원시민이긴 한데 어쨋든 공감 자연농원을 왜 쳐가냐고 아 ㅋㅋ
@소나기-w3m3 жыл бұрын
@@채널형독갈빙리타위원 수원사람들은 에버랜드 많이가는데
@채널형독갈빙리타위원3 жыл бұрын
@@소나기-w3m 난 안가는데 어쩌라고요
@DaNE-KIM3 жыл бұрын
용인 동백에서 벌써 만15년 가까이 살고 있는데 나름 괜찮음 ㅋㅋ
@user-vj9up6mq1n3 жыл бұрын
동백이 예전부터 꺠끗하고 좋았음
@DaNE-KIM3 жыл бұрын
@@user-vj9up6mq1n ㄹㅇ처음 입주했을때 할게 없어서 심심했는데 지금은 그냥 조용하고 깨끗하니 좋음ㅋㅋ
@망곰택연3 жыл бұрын
영덕1동도 조용하고 좋아요 ㅎㅎ 흥덕역 확정하고나서는 집값이 떡상했지만..ㅋㅋ
@한이서-v9u3 жыл бұрын
모야 동백 사시는 분이 많네 저도 동백이요 근데 동백 ㄹㅇ 놀 곳 없음 개노잼
@sunyeonjin96023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Bsdgsdgsdgsdgdd3r534r33 жыл бұрын
난개발 하면서 성복역 근처..신봉동까지 큰평수들 분양가대비 작살낫었지. 몇몇 대규모 아파트가 후문쪽에 다른 상권으로 빠지는게아닌..그냥 산으로 막혀있음 아파트내에 그래서 버스가 들어오는곳이 많아 집값이 역바로 근처 하고 조금만 떨어진곳하고 가격차이가 꽤남 막말로 동호수만 잘못골라도 깊은데 박혀서 집밖에 나오기 싫다는 사람들도있으니까 성복역 롯데캐슬이 지금 대장아파트인데 여기는 정말 최고이긴한듯 난 용인사는건 아니고 출장을 너무 많이다녀서 느낀점 제일 좋은건 문신가오 양아치가 다른동네에 비해 거의없음 분당만가도 요즘꽤많은데 유흥시설없어서양아치들없고 노인분들 많아서 조용하게 살기에는 성복역근처가 제일좋아 수지구청 죽전역 막상가보면 교통때문에 뭐가 발전할 느낌이 안들어 경기도내 출장은 다다녀봤지만 이렇게 5년내에 발전한 동네는 처음봐 광교같은신도시말고
@fryslee97653 жыл бұрын
야, 오랫만에 한국에와 자가격리를 용인에서 하는데, 좋은정보가 있어 잘보구있읍니다. 언잰간 한번 만나 도시계획 도움이좀 돼주세요.😉
@박예림-y7k3 жыл бұрын
백군기 시장이 난개발을 막고 공원 교통 도로 확장에 큰일하고 있지요 시장 잘뽑았어요
@Stepanos12263 жыл бұрын
죽전 구성에 신경쓰고...처인구는 역대급 난개발중
@갬성충3 жыл бұрын
0:40 유튜브에서 보니까 새롭네 매주보는데
@user-songhaezzang113 жыл бұрын
최근 20년정도에 급성장한 도시로, 여기서 일하는 공무원들은 80~90년대 농촌시절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도시와 인구가 급속 늘어나면서 업무능력이 못따라갑니다.... 일하는거 보면 진짜 한숨 나올정도.... 용인도시공사는 진짜 레전드임.... 나도 성남 분당 살다 용인으로 내려왔는데, 진짜 무언가 만드는거나 행사 개최하는걸 보면 수준차이가 넘 느껴짐 (딱 분당에서 죽전 넘어오는 탄천 산책로 퀄리티만 봐도.... 신갈천-기흥호수 길은 진짜 만들다 만 느낌이고....) 물론 재정차이가 나긴 하지만 그래도 이건 너무 심함..... 안타깝다 진짜 ㅋ
@홍팀장-o6t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분당과 넘 차이가 심하죠 수지살지만 버스만봐도 느낍니다 보정동에 있을때는 분당버스탈 수 있어서 불편함을 못느꼈는데 수지 한복판으로 가니 완전 달라졌죠 초기에 10배차이 현재는 그래도 버스가 많아지고 길도 닦여서 큰차이는 안나지만 탈버스 한대라는점 ㅠ
@용인토박이-c5f2 жыл бұрын
@@홍팀장-o6t 반박불가 ...
@이수순-u1t3 жыл бұрын
처인구는 조금 촌동네군요. 저희 지인도 처인구 살고 있는데 사진을 보면 전원동네 처럼 보였고 보기 좋았어요. 다들 어떻게 돈을 벌고 무슨 돈이 그리 많아서 비싼 땅에 집살까? 하는 궁금증은 제인생의 화두입니다.ㅎ
@Twomypuppies3 жыл бұрын
20년도 더 되었지만, 애들 초등학교 다닐때 에버랜드 연간 회원권 끊어서 주말마다 다녔죠. 겨울에는 눈썰매 타러...이제 사위까지 맞이 했는데, 하이닉스 다니다 보니 용인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부모님께서 아직 정정하시지만 자리 준비하신 곳도 모현읍이라 이래저래 항상 관심 있는 지역입니다.
@sanghakkim9865 Жыл бұрын
용인 에버랜드는 지금까지 국내를 거쳐 간 자이언트판다들이 살고 있거나 살았던 곳이기도 하죠. 1994~1998년 밍밍과 리리, 2016년부터 현재까지 아이바오와 러바오, 그리고 에버랜드에서 태어난 푸바오, 루이바오(쨔바오), 후이바오(먀바오)까지.
@xodnd4976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 9년정도 용인에서 살았었는데 에버랜드+캐리비안베이 일년에 서너번씩은 갔던것같아요 5월 현장체험학습, 7월 캐리비안베이, 10월 할로윈축제, 크리스마스 지나고 비성수기때 ㅋㅋㅋㅋㅋ
용인 사람입니다. 8:17 에버랜드는 연말에 지역주민은 무료입장 가능해서 학생 때 많이갔고 그 이후에 애인이 있으면 종종 갔었고 그 외에는 그닥 안가게 되네요 개인적으로 용인에 사신다면 타지 이동이 많으시면 기흥이 가장 살기 좋은것 같습니다. 이동을 자주 안하신다면 처인도 살기 괜찮구요 근데 조사를 진짜 잘하셨네요 !
@고앵이-r1i Жыл бұрын
용인 수지 수지구청 근처 거주중입니다 살기 좋음 :3 참고로 에버랜드는 자주가는편 많으면 1년에 4~5번 어릴땐 물리도록 갔었음
@armada12903 жыл бұрын
동백사는데, 민속촌은 용인 사람도 잘 안가는곳이고 (그냥 학교에서 가라고 해서(학교 졸업하면 아예 안감) 가는 의무 핫플 느낌) 에버랜드는 가라고 안해도 잘가는 곳이에요. 그리고 경전철은 여전히 공기 수송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이용하기 쉽다는 동백 남쪽으로 이사가게 되도, 북쪽 살때 처럼 810번이나 66-4번만 타게 되서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