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N한글날특집] 한글 탄생의 비밀코드

  Рет қаралды 3,944

Korea Buddhist Television Network Official channel

Korea Buddhist Television Network Official channel

Жыл бұрын

#한글창제 #세종대왕 #훈민정음
‘한글 탄생의 비밀코드’는 훈민정음 창제 후 금속활자와 불교문화와의 관계를 다뤘습니다. 2021년 인사동에서 현존 최고(最古)로 추정되는 한글 금속활자가 발견돼 세간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불교가 전파된 4~5세기경부터 수많은 불경이 각서·필사됐고, 통일신라 대에 이미 목판 인쇄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목판 인쇄 뿐 아니라 금속활자를 이용한 인쇄문화를 정착시켜 조선으로 이어졌는데, 성리학을 중시했던 조선 시대에 금속활자는 불교와 어떻게 인연을 이어갔는지 알아봅니다.
또한, 지난해 출토된 한글 금속활자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제대로 기록되지 못한 훈민정음 창제의 숨은 이야기와 위대한 새 문자를 만드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한 신미대사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한국 인쇄문화 발달사에 중요한 부분인 한글 금속활자로 인쇄된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능엄경언해〉 등 다양한 불교 인쇄물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조명합니다. 더불어 영상 세대를 위한 불교계 출판·인쇄술이 나아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짚어봅니다.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Пікірлер: 6
@user-lw6lr4vy3x
@user-lw6lr4vy3x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 훈민정음 👑 우리나라 한글의 세계화에 초석이 되었음에 감사합니다 🙏
@user-iw1xw7bm6w
@user-iw1xw7bm6w 7 ай бұрын
🙏🙏🙏
@user-kp2hf2un7b
@user-kp2hf2un7b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이 창제된 것에 있어서 세종대왕 혼자서 독창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언어적 천재이신 신미스님의 도움으로 산스크리스트어를 바탕을 두고 만들어졌다는 것이지요. 외국 학자들이 더 분명히 알고 계시고 있지요. 우리나라 국어학자분들도 연구를 통해 사실로 발표하고 있으므로 이제는 잘못된 가르침을 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학교에서도 진실을 제대로 가르쳐야 합니다.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7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표음문자는 그 근본원리는 산스크리트에서 기원합니다. 그것은 몽골의 파스파문자이건 그리스의 알파벳이건 모두 산스크리트 보다 후대에 나온 것이고 산스크리트를 잘 알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새로운 모양기호로 파생된 것입니다. 그런데 산스크리트는 복잡한 표기법과 자음2개씩 결합할때마다 모양이 바뀌는 등 배우기 어려워, 티벳 승려들이 산스크릿을 마스터하는데 10년 정도가 소요된다고 합니다. 세종은 기본자형을 28자로 압축하고, 빨래줄에 걸린 빨래처럼 생긴 산스크리트가 종성의 소리나 모음을 빨래줄에 점을 찍꺼나 삐침을 덧붙여 표기함으로서 매우 지저분해지는 반면. 훈민정음은 초/중/종 모아쓰기로 깔끔합니다. 훈민정음은 배우기 어려운 산스크리트를 지능 낮은 자도 1주일이면 배울수 있게 청출어람한 반면. 산스크리트는 지금도 PC입력이 번거로운지 인도쪽 영상을 보면 자막은 다 영국계 학자들이 만들어준 영문표기 방식을 쓰고 있지요. 음성학/음운론적 지식은 3천년전 산스크리트에서 인도서적-중국서적(운서)를 통해 조선에 전해졌겠지만서도. 또한 모음을 표기하는 방식은 천지인 방식을 사용하여 산스크리트의 10개 모음보다 훨씬 발전한 것입니다. hunmin1.wordpress닷컴에 데바나가리를 정음으로 표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user-ei7bm1gd6d
@user-ei7bm1gd6d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왕손언어입니다. 생명 우주를 담은 언어입니다.
@marinekim3011
@marinekim3011 Жыл бұрын
불교 방송은 훈민정음에 기여를 한 것이 아니라 훈민정음을 빠르게 보급하는 데 일조한 것을 부각하는 게 제대로 된 태도라고 봐요. 조선왕조 실록과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인해 훈민정음의 탄생 신화가 모두 알려졌는데, 아니라고 해봐야 소시오패스라는 말만 들어요...
📌 [유튜브 최초공개] 천년을 세우다 - 조계사 저녁예불
23:29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Рет қаралды 17 М.
Тяжелые будни жены
00:4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탑골TV][교양]아침을 여는 다도
12:55
탑골TV:서울노인복지센터
Рет қаралды 15 М.
질 들뢰즈 : 차이와 반복의 철학자(기초 이해편)
23:00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8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