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올때마다 늘 재밌게 보는 구독자입니다. 구조설계는 건축구조기술사라는 국가공인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해주고있다는 점도 함께 언급해주시면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해소에 도움될거라 생각합니다.
@BlackSkyUploadTube Жыл бұрын
궁금한 점이 모든 건물은 건축사의 승인이 필요한데요. 구조기술사의 승인은 필수인가요? 아니면 일부 승인만 필수인가요? 개인적으로 몇 층 이상만 승인이 이뤄지는 듯 한데요... 일부 승인이거나 선택이라면 건축사와 구조기술사의 승인을 모두 받아야 할듯 합니다
@tomjeong1672 Жыл бұрын
@@BlackSkyUploadTube 대한민국 모든 건축물은 건축사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중 일부 건축물에 대해서만 구조기술사 승인을 요하는게 현재입니다. 내진, 내풍 등 각종 재난상황을 고려한 구조설계에 대해 여기 해당되지 않는 건축물들은 법망 밖에 있다고 보시면됩니다. 건축법은 해방 후 1962년 제정 이후 건축기술이 현대에 강철, 콘크리트의 발전과 함께 진보해왔지만 법적으로 설계는 건축사만에게 인정하고, 실질적으로 구조설계를 하는 건축구조기술사에게는 법적 설계 권한이 없습니다. 설계를 해서 건축사에게 주면 그걸 건축사의 도면으로 제출하는 형태로 이해하면 됩니다. 직접 설계 권한이 없는 상황은, 의사로 치면 시대가 발전하면서 병원에는 전문과들이 많아졌습니다. (내과, 정형외과, 안과, 성형외과 등) 정형외과 전문의가 의료행위는 하지만 법적 권한은 내과의사에게만 있는 이상한 상황입니다. 이에 건축구조기술사회는 법개정을 요구하고있으나, 건축사들의 반발에 막혀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제91조의3(관계전문기술자와의 협력)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설계자는 제32조제1항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대한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한다. 1. 6층 이상인 건축물 2. 특수구조 건축물 3. 다중이용 건축물 4. 준다중이용 건축물 5. 3층 이상의 필로티형식 건축물
@BlackSkyUploadTube Жыл бұрын
@@tomjeong1672 아직 모든 건물에는 안되는 게 안타깝네요
@WOODDIK Жыл бұрын
@@BlackSkyUploadTube 건축허가낼때 구조기술사 직인찍힌 구조안전확인서, 구조도면, 구조계산서 같이 제출해야합니다
@joonyoon55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에서 교수님이 필로티 구조에 대한 이야기는 좀 오해 사기 좋게 이야기하셨네요 필로티가 무조건 지진에 취약한 건물은 아니죠. 대부분의 라멘조 건축은 사실상 비내력벽으로 기둥 사이를 막아놓은 필로티 구조나 마찬가지죠. 내진설계대로 제대로 시공했으면 그런 현상이 안나타났을거에요 포항 지진 때 좌굴현상이 나타난 필로티 구조 빌라들은 그냥 부실시공을 한겁니다. 오히려 그 싱황에 튀르키에처럼 무너지지 않고 꺾이고 말았다는건 그나마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취성파괴가 아닌 탄성파괴가 나타나서 붕괴 전 변형을 알 수 있어 탈출 시간을 벌 수 있다는걸 보여준 사례기도 하죠. 내진설계는 광장히 다영한 방법이 있습니다. 교수님 말씀한 기초 아래 롤러 같은 방식은 내진이 아니라 제진이라고 해야 하고 브레이싱 외에 기둥의 단면을 늘리고 철근의 강성을 높이고 철근의 이음길이를 늘리고 갈고리를 90도가 아닌 45도로 더 꺾어준다든가 하는 기본적인 방식을 먼저 하고 브레이싱 보강도 하는 것이죠.
@footstep002 Жыл бұрын
학교 건물들은 특히 신경써서 지어야겠죠. 애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문제도 있겠지만 일단 무슨이유로든 대형재난이 터지면 학교건물들이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난소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만큼 사람들이 몰려드는 곳이라 학교 건물들을 내구성을 신경써서 지어놓지 않으면 몰려있는 사람들이 위험해지면서 2차, 3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hidokim9288 Жыл бұрын
포항 시민인데 어릴적 살던 빌라가 벽돌로 마감된 집이었어요. 힘들때면 어린 시절 추억을 회상하려고 종종 찾아갔었는데, 지진 충격으로 무너져서 결국 빌라 단지가 사라지게 되었죠. 오늘 교수님 영상보니 왜 주변 빌라들은 멀쩡한데 제가 살던 빌라만 무너졌는지 알 것 같네요. 어린시절 추억이 사라진 것 같아 빈터를 볼때마다 공허했는데, 이제는 지진의 심각성을 알고 미리 대비해야겠단 생각이 들 것 같네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price7997 Жыл бұрын
이분은 내진설계 전문가가 아닙니다.
@씁쌉이 Жыл бұрын
내진이나 구조쪽에는 조금도 모르죠 저분은
@Solomon_the_wis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국어 비문학에서 건축 관련 지문 나올 때 조금 더 수월하게 풀어용.... 셜록현준 채널 관계자분들 모두 항상 이해하기 쉬운 고퀄리티의 영상들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ice7997 Жыл бұрын
이사람은 전문가가 아닙니다.
@lisazz3036 Жыл бұрын
지난 충청도 지진때에 인천에서 진동을 느꼈던 사람입니다. 지진이 더이상 남의 이야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최대한 지반의 견고함과 시공기술의 발전이 필요한 것 같아요.
@llillilliiliil Жыл бұрын
결국엔 돈 문제..
@tomjeong1672 Жыл бұрын
짓는것보다는 설계입니다. 핸드폰도 잘 조립하는것보다 성능이 중요하듯이요. 구조설계 기술이 핵심입니다.
@16_0 Жыл бұрын
포항 지진때 수능 연기된 사람으로서 내진설계 진짜 중요한데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호호잇-o6n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옷이 넘 잘어올려욤.. 그 누구보다 잘 소화해내시는듯 ㅎㅎㅎ
@giovedi498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이번 썸네일은 뭔가 히어로 같은 느낌입니다.
@j453fdfg Жыл бұрын
모션그래픽 진짜 깔끔하다. 미국 vox 미디어급 디자인을 우리나라에서 보다니
@정오-t8x Жыл бұрын
일본 동경에 고층건물지을때 기초바닥만 콘크리트를 쓰고 일절 철근콘크리트로 짓지않고 특수제작한 I빔, H빔으로만 짓더라구요. 그리고 건물바닥에 온갖 유압장치로 떡칠해서 면진시스템이 어마어마하던데... 진도7짜리 지진오면 면진시스템덕에 진도3정도의 진동만 느낄수있다고하네요. 그래서 우스갯소리로 동경에서 40층이상 고층건물을 세울 돈이면 롯데월드타워2동은 지을수있다는 얘기가 있을정도죠. 그럼에도 일본대형부동산기업들 자본력이 어마어마해서 동경가보시면 초고층건물 많이있다는걸 느끼실겁니다. 도쿄미드타운을 지은 다케나카공무점이 창업한 해가 1612년. 카지마건설이 1840년. 대성건설이 1870년등등 업력과 기술에서 우러나오는 짬밥은 절대 무시못하죠 참고로 일본의 건설회사들은 이미 1980년대에 반도체, 전자 등과 같은 정밀산업에 필요한 공장의 면진시스템도 이미 개발해서 지진이 일본만큼 자주오는 대만의 TSMC, UMC 공장 역시 일본건설회사들이 지엇다고하네요.
@정오-t8x Жыл бұрын
@김가치 JMA입니다.
@ksjssj383 Жыл бұрын
캬 갓본잘알
@user-jv6so5mh9k Жыл бұрын
갓본..
@ehdgus35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지진이 많다는건데 이걸부러워해야하나 말아야되나..ㅋㅋ
@rkdwnstj1702 Жыл бұрын
@@ehdgus352 한국에서 저런 기술 있으면 좋을텐데 ㅎ
@tuseul Жыл бұрын
토목공학과 학생으로서 약간 토목이 섞인 주제 진짜 좋습니다 ㅎㅎ
@상록수-e5t Жыл бұрын
저희 돌아가신 할머니랑 너무 닮으셔서 교수님을 볼때마다 너무 좋습니다
@K_personalcolor Жыл бұрын
이번 강의도 정말 유익했어요! 시간나실때 홍콩의 구룡성채에 대해 다뤄주시면 정말 흥미로운 강의가 될 것 같아요😊
@135-dh2id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유익한 정보입니다. 아주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쉽네요.. 감사합니다.
@DS1UKL Жыл бұрын
- 목구조도의 주택도 강진엔 무너짐. 목구조를 쓰는 이유는 전통방식에서 쉽게 구하는게 [나무]니까.. - 목조주택 장점이 지진에 조금 더 견딜 수 있다할 뿐이지 견디는 중에는 대피해야함. - 미국식 목구조에서는 1층 반지하 겸 주차장이 재난시 대피소역할을 함.(물론 아닌 집도 있음) - 서울/수도권에 철근/콘크리트를 지은건 정치적/군사적 목적이 큰데 포탄맞으면 견딜만한 재질이 철근 콘크리트이기 때문. - 서울 4대문 주변을 비롯하여 한강이북은 화강암반 지대라 안정적임. - 대치, 잠원, 반포, 사평, 잠실, 광진, 서울숲, 이촌, 일산 일대는 백사장, 늪, 뻘 이런 곳이라서 지반이 안정적이지 않음. - 1980년대엔 86아세안올림픽과 88올림픽 개최한답시고 날림으로 지어진 건축물이 많음. - 지진발생빈도는 충청북도 이남이 많음. 소백산맥 중심으로 삼남지방이 지진이 잦았음. - 1518년 6월 서울에 대지진이 있었다고 함. 진도 8 정도 하루에 3~4번 건물이 흔들렸고 무너지기도 하고 성벽 무너지기 함. 주로 위 아래가 흔들리는 지진임. - 문제는 당시 한옥 목구조가 큰 기와지붕을 떠받치는 구조이다보니 기와가 무거워서 무너지는 경우 흔함. - 우리가 철근콘크리트가 지진에 얼마나 견딜지는 모르겠지만 철거하는데도 돈이들고 다시 짓는데도 돈이 들 것임. 우리나라 가끔 뉴스보면 아파트 터파기 공사하다가 옆에 있는 빌라건물이 기우는 경우도 있음. 뭐 환장하는거지..
@요호-p8c Жыл бұрын
허허허 웃고갑니다 ㅋㅋㅋ
@41designstudio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덕분에 공부하고 갑니다~!
@pureun73 Жыл бұрын
지진파는 속도가 빨라서 먼저오는 파가 프라이머리 웨이브 그래서 p파, 속도가 프라이머리보다 늦어서 2번째로 와서 세컨더리 웨이브 s파 라고 불러요
@teddybear-g4k Жыл бұрын
1:20 P파와 S파는 둘다 지구 내부로 들어갔다 나오는 body wave입니다. 실제 건물에 주는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특히 P파는 거의 영향이 없습니다. 건물이 지진에 의해 쓰러지는 것은 P와 S의 뒤이어 오게 되는 표면파(surface wave)에 의한 것입니다. P파와 S파를 이용해서 지구 내부의 구조를 밝혔기 때문에 지구과학시간에는 이들만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인류에게 큰 피해를 주는 것은 surface waves입니다.
@2xcat_cs Жыл бұрын
표면파는 다시 수평방향 진동인 러브파와 연직방향 진동인 레일리파로 구분하죠.
@yoo-rilee1419 Жыл бұрын
벽돌로 쌓아올린 벽을 조심해야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얼티밋워리어-j7b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법에 맞게 제대로 시공하는게 중요한거네요. 공법도 있고 법도 있고 문제는 제대로 시공을 안한다는게 문제...
@goodluck3269 Жыл бұрын
몰랐던걸 알게 해주는 교수님 💪 오늘도 아핫 😮 공부 하며 갑니다 😘잘생기고 멋지고 최고이심 교수님 ❤❤❤❤🫶🫶🫶🫶
@최준선-n5e Жыл бұрын
P - wave = Primary wave, S - wave = Secondary wave P파 S파 중 어떤게 먼저 오는가 라는 문제를 틀리는 경우를 많이 봤는데요. 뜻을 아시다피시 지진을 관측해보니 첫번째 두번째 로 각각 파동이 오는것을 관측해서 명명한 이름입니다. 지구과학 틀리지 맙시다 ㅠ
@tosiri6243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목구조 건물 자체는 지진에 강하지만 기와를 올린 지붕이 너무 무거운 탓에 고베대지진 당시 많은 인명피해를 냈습니다. 해양성기후를 가지는 일본은 바람이 많이 불기 때문에 강풍에 견디도록 지붕을 무겁게 하려는 의도였는데, 지진이 잘 나지 않는 고베에서 대지진이 나는 바람에 많은 집이 무너졌어요.
@albioncrescent9339 Жыл бұрын
엄청 유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whentheygolow_wegohigh7306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df23-jg7jw10 ай бұрын
학교 내진설계는 넘 중요하죠 저번에 방송보니까 정안구조기술사사무소? 이런거 나오던데 내진설계하고 건물 검토하고 그러더라구요 이런 기업들이 더 많아졌음 좋겠어요ㅜㅜ 특히 학교는 너무 중요하잖아요
@enslow Жыл бұрын
건물 아키텍트는 언제나 존경합니다. :)
@sammykim896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법규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내진설계는 건축구조기술사가 전문가인데 현행 건축법은 건축물 설계를 건축사만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건축설계 시공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건축관계자에도 건축구조기술사는 빠져있는거구요. 이때문에 건축구조기술사는 설계 시공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없다가 붕괴등 사고가 났을때만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게 되는겁니다. 건축구조기술사를 건축관계자에 포함시켜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법이 바뀌어야 될거 같네요. 구조안전에 대해서는 건축구조기술사들의 권한과 책임을 더 부여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갔으면 좋겠습니다.
@요호-p8c Жыл бұрын
현업 구조 엔지니어입니다. 돈좀 더 주고 대우도 좀 더 잘해주면 좋겠네요.
@hiddenseoul5832 Жыл бұрын
아니 건축이야기가 이렇게 재미있을 일인가
@cwjung6451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많이 아쉽습니다. 포항지진때 문제가 된 필로티구조라는 용어는 건축설계에서 쓰는 의미와 건축구조에서 쓰는 의미가 조금 다릅니다. 세세하게 설명하면 길구요. 건축구조에서 필로티구조는 보통 전이구조를 말합니다. 포항지진때에도 문제가 된것은 이 전이구조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포항 지진으로 인해 내진설계에 대한 기준이 바뀌거나 한건 사실 없습니다. 다만, 포항 지진 이후 건축감리의 관계전문기술자 협력이라는 부분이 추가되어서 현장에서 구조설계자의 의도와 설계내용이 정확히 시공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법 조항이 신설되었지요. 내진설계 관련해서 영상이 올라왔길래 많이 기대하고 봤는데 조금은 아쉽습니다.
@리사치킨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저 포항 지진 때 제일 타격이 컸던 대학교가 제가 나온 대학교입니다... 사람 안 죽은 게 진짜 천운이에요. 4층 짜리 건물에서 벽돌벽이 우수수 쏟아진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밑에 사람 있었으면 백퍼센트 죽었습니다.
@jinmoonkim6965 Жыл бұрын
며칠전에 그 댓글달았는데 바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려요
@sjb258898 Жыл бұрын
주거공간과 극도의 교통 최적화를 통해서 도시의 경관과 편히 살 자리를 만들어도 결국 원하는 일자리가 수도권에 있어서 수도권에 사는 것 아닐까요.. 인간의 자아실현 수단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데 사람이 옮길리가… 먹고살거리와 양질의 자아실현 수단이 같이 동반되지 않는 한 수도권 과밀화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저만해도 아 우리 지역에서 회사를 다니고 한번 잘 살아봐야겠다 -> 수도권 말고는 양질의 회사라고 할 것이 크게 없네.. 그냥 수도권 가야겠다.. 로 변해가고 있으니까요.
@rarafell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이제 내진설계는 무조건 해야하도록 법을 바꿔야한다고 생각함.. 곧 백두산 폭발할거라는 얘기가 많던데 그게 지진이랑 같이 동반되는거면 진짜 난리날듯
@seanyoon7448 Жыл бұрын
맞는 설명도 있고 틀린 설명도 있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할려면 또 어렵고..
@whowascoughing Жыл бұрын
최근에 튀르키예 강진 영상 봤어요 도시 하나 빼고 전부 무너졌다는 ㄷㄷ 점검, 건축 할때 꼼꼼히 해서 도시 전체가 무너지지않고 생활하고 있더라고요 한국, 일본은 물론 다른 나라들도 보고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mieux460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봤습니당.
@user-fp3er1nz5d Жыл бұрын
학교에 설치된 엑스박스 형태의 무언가가 어떤 원리인지 궁금했는데 이 영상으로 알아가네요!
@김건-p4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심봉이 Жыл бұрын
얼마 전 시험 보러 어느 중학교에 갈 일이 있었는데 그 중학교 벽면에 저런 내진보강용 구조물이 있더라구요! 보면서 무슨 목적의 구조물일지 궁금했는데 내진보강용이었네요
@kjdh111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최근에 하향식 공법 건물에 관한 뉴스를 봤습니다 어떤 원리인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agamana Жыл бұрын
이 분 영상은 7분이 70초같네.... 빠져들어
@최승호-o4f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잘 시청하겠습니다. 교수님
@주호풍펄쩍맨 Жыл бұрын
내진설계 조회 서비스라는걸 처음 알구 검색해봤는데 다행히 제가 사는 자취방은 내진설계 대상이군요,,,,😢
@Knights_Hospitaller Жыл бұрын
오 회사건물을 증축 하는데 내진설계 관련해서 나오는 보강기둥이나 테이프 전부 다 하는 거 직접 봤는데 내부에 그냥 대놓고 기둥을 넣길래 이게 뭔가 싶었는데 그런 원리였군요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면진설계 제진설계이야기도 해주셨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안정빈-i5j Жыл бұрын
내화구조 방화구조 이런것도 참 궁금하네요!
@jun6164 Жыл бұрын
요즘 GTX가 아파트 단지들 지하로 지나간다고 뉴스에 자주 나오는데 GTX가 고층 아파트 단지 밑으로가도 진동이나 붕괴위험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fluteteatime Жыл бұрын
병원, 의원등 의료기관의 공간디자인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김준-u8c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 구조 전문이 아니실텐데... 지진에 대해서 말씀하시는거..맞나요...?
@앵무새-v1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궁굼했는데 감사합니다.
@good_day2023 Жыл бұрын
p파 s파 다르다는걸 경주 살면서 몸으로 느꼈습니다. p파가 먼저 오고 우르르르르 하면서 소리가 멀리서 부터 달려오는것처럼 들리고 s파가 건물을 흔들더라구요
@Exynos3 Жыл бұрын
저가입찰 때문에 내진설계부터 소급 적용 안되는 경우도 좀 많고 당연히 이에 맞게 구조보강이나 관련 시공 안하는 경우도 많지 않나요? 그리고 내진설계시 딱 진도 6.0 까지만 버티게 만들고... 실제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진도 5.4의 지진이 일어났을때 적정수준의 건축비와 준공기간을 바쳐서 만든 빌라는 주거층의 1층이 분리형 필로티 구조체였어도 멀쩡한 경우도 있었어요 물론 그외는 다 저가로 설계, 건설 시공해서... 그리고 우리나라는 지질학이나 건축, 토목학부출신이면 저보다 더 잘 아시겠지만 한반도에서 지진가능성이 높은곳이 경상도 동해안 지역이라 그외는 큰 걱정이 없지 않나 싶네요 여기만 환태평양 활성단층 지진대에 속해있으니깐요
@rkdwnstj1702 Жыл бұрын
아 드디어!
@윤원진-r8u Жыл бұрын
그런데...이거 열심히 설명하셔도 지금 지어진 건물들이 일본 처럼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들이 많이 있지 않아서 주변 건물 무너지면 내진설계된 건물도 같이 무너 질수 있어서 지금 있는 내진설계 건물들마저 위험 할 수 있어서 걍 큰 지진무서워서 못살겠다 하는 사람들은 산속에 혼자 살아야함
@안요한-j3d Жыл бұрын
시간과 여유가 있을때 손봐야하는데 꼭 사람 죽고 고치죠, 또 그럴거 같습니다
@hihi0724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필로티 형식에 사시는데, 아주 걱정이 많아지네요...
@rockymarciano940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약간 핀트에 어긋나는 질문일 수 있지만 혹시 지하주차장의 깊이와 지진에 대한 대항력이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깊게 파고들수록 아무래도 건물이 받는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이 있습니다. 이 영역은 건축이 아닌 토목의 영역이라고 말씀하셨던게 기억나긴 하지만 조심스럽게 질문드립니다
@hanstr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건축구조인입니다. 지하가 깊어질수록 상부구조물의 전도(넘어지려고함)에 대한 안'정'성은 좋아집니다. 골조가 파괴되느냐와 관련된 안'전'성은 지하깊이와 연관이 있기는 하지만 영향이 크진 않습니다. 건물지하의 깊이보다는 깊이에 따른 지반의 특성이 더 중요합니다.
@awesomy Жыл бұрын
땅에 얼마나 깊이 박혀있는지는 그다지 중요 하지 않습니다. 응력 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의 질량이 그 지점의 응력을 결정하므로, 아무리 깊게 박혀 있다고 하더라도 지점 근처(최대 힘 발생 지점)의 응력 결정에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당장-t8w Жыл бұрын
전쟁 나는 요즘 벙커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휴전국가인데도 벙커 전문회사가 우리나라만 없는거 같아여ㅜ
@당장-t8w Жыл бұрын
@@salmonchobab 너나봐라 ㅋㅋㅋ
@성이름-b3f3c Жыл бұрын
@@salmonchobab ㅗ
@user-diserp Жыл бұрын
에 나온 기숙사에 대해 분석해 주셨으면 합니다.
@킴킴-w5f Жыл бұрын
튀르키에 지진을 언론을 접하면서 교수님의 건축학적인 접근이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철인28호-n5i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건축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감사드립니다. 혹시 해상용 컨테이너로 지은 컨테이너건축물은 지진에 내구성 ? 안전성은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농막이나 공사장에 있는 현장사무실용 컨테이너 건물과 해상수송용 컨테이너는 내구성이나 강도가 다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ewjim2 Жыл бұрын
사실 내진설계라는게 교수님같은 건축가(architect)보단 건축구조전문가(structure engineer)분들이 더 잘 아시는 분야다 보니, 이런 컨텐츠는 건축 구조 특집으로다가 전문가분들 초청해서 말씀을 들어보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KCHO-r7g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입니다만! 아마 건축가가 아는 구조 지식보다 더 많은 지식을 우리가 알 필요가 없기도하고... 애초에 건축가들도 충분한 구조 지식이 있으셔서 . 설명하시는데 무리하게 건축구조전문가를 불러서 설명하는 것 자체가 이런 영상에서는 오히려 과하기에 자체적으로 설명하신게 아닌가 생각되네요!
@yadontthink Жыл бұрын
@@KCHO-r7g 지식을 더알고 덜알고의 필요를 니가 정하노 존나 건방지네 ㅋㅋㅋ
@user-ip1ny5dy7q Жыл бұрын
니가뭔데 초청하라마라여 ㅋㅋ
@KCHO-r7g Жыл бұрын
@@yadontthink 애초에 강형욱님이 개진단하면서 수의사 불러놓고 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뜻이지 뭘 그리 받아드리니 ㅋ
@소령-g8s Жыл бұрын
예전 영상에서부터 제가 댓글로 내진설계에 대해 알려주십사.. 문의를 드렸었는데.. 이제야 내진 관련 영상을 올려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hyj7862 Жыл бұрын
그 건물 구조설계? 한다고 하시는 분한테 포항 무너진 필로티 건물의 경우는 1. 1층 기둥구조와 2층 벽식 구조가 분리되어 있어 진동수 차이 발생에 의한 응력 2. 계단 중심부가 한쪽으로 쏠려있는 비대칭 구조라 계단을 중심으로한 회전운동이 발생 두가지 영향력이 커서 만약 건물 전체가 연결된 동일구조이고 대칭적 구조였다면 무너지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는 말을 들었는데 이런 부분이 실제로 영향이 큰가요?
@요호-p8c Жыл бұрын
사실 여기 셜록현준 교수님 같은 분들은 그런거에 대해서 답을 해주실 수 없습니다. 구조에 대해서 깊이 알지 못하거든요. 욕하는게 아니라 직무상 접할 일이 없습니다. 구조설계는 구조기술사가 하니까요. 질문에 대한 대답은 그렇다. 입니다.
@kevinlee2909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보고왔는데 현재도 짓고 있어서 그런지 한 건축물인데 건축 양식이 여러가지인거 같아서 시간되시면 설명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vmono Жыл бұрын
대만에 있는 101빌딩은 안에 커다란 추가 있던데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
@피터리-x5z Жыл бұрын
지진이오는 반대방향으로 추가움직여 건물의 균형을 잡는 시스템입니다
@awesomy Жыл бұрын
더 정확히 말하자면 관성에 의해 추는 제자리에 있으려 하고, 지진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체(건물)을 덜 움직이게 하는 것. 건물에 따라서는 그 추가 능동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도 있음.
@izi2913 Жыл бұрын
지진관련 컨텐츠하는김에 포항공대한번 가시죠 지진때 피해0이라고 기사떳는데 궁금하네요
@갈아탐 Жыл бұрын
포항 지진 있고나서 건축물 지을때도 내진철근 적용하는곳이 많아지더라고요. 확실히 내진용철근을 사용하여 건축하면 뭔가 다른 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요호-p8c Жыл бұрын
굳이 비유를 하자면 내진철근을 사용하면 건물이 좀더 갈대처럼 돼서 안전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신에 지진이 지나간 후 외관상으로 보이는 손상정도는 더 심해 보일 수 있습니다.
작년에 울산에서 교회 건축할일이 있었는데 울산이 내진설계 때문에 구청에서 까다롭게 했었고, 그 덕분에 콘크리트 정말 살벌하게 부었습니다. 공사비의 1/3 이 나가더라구요...
@kmss8520 Жыл бұрын
짱구집 도면은 언제 올라오나요?
@noname-sv5od Жыл бұрын
내진을 왜 건축사에게 물어보지?? 구조기술사에게 물어봐야 할거인데
@fierwalt Жыл бұрын
미적인 관점을 넘어 건축가에게는 또 하나의 난관이겠군요.
@김민섭-j7p5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꼭 "남영동 대공분실"도 한 번 다뤄주세요! 한국사 시간에 우리나라 민주화의 과정에 대해 배우며 알게 되었는데 그 안에는 고문을 위한 건축(?)이 있더라고요. 한국사 시간이어서 자세하게 배우지 못 한 것이 너무 아쉬웠어요ㅠㅠ. 교수님이 꼭 한 번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뚜왑-x7x Жыл бұрын
워낙 유명해서 영상 널렸음
@진성김-h3z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국토부에서 2025년부터는 CAD도면이 아닌 BIM 설계 도면을 받겠다고 했던거 같은데 한국에서 BIM 설계가 아직까지는 보편화 되지 않은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런이유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지하역사들은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을까요? 또한 유사시 핵방공호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을까요?
@jhpark3630 Жыл бұрын
포항지진이 많이 언급이 되었네요. 사실 포항지진은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로 판명이 난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열 실험을 포항에서 하다가 그렇게 큰 지진이 우리나라에 발생을 하게 된 거죠. 교수님 포인트랑 조금은 상관 없지만 많이들 걱정하시는 것 같아서 원인에 대해 언급을 했습니다. 교수님 유투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amgeoji Жыл бұрын
갑자기 든 생각인데 평양이 전쟁때 다 파괴되서 대동강변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담은 건축물을 일자로 쫙 도시설계했다고하거든요!!! 저도 독일 다큐에서 봤는데 건축학적으로 꽤 의미가 있다는데 한번 리뷰해주시면 안될까요????
@bluesea833 Жыл бұрын
소양땜도 안되있다고 하는데 지진나면 우린 다 물귀신되는 건가!
@GinanTonic Жыл бұрын
터키 건물에 대한 설명은 아쉽게도 없네요 혹시나 상대 국가에 대한 비난이 될수 있어서 그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