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97
무비스님이 가려뽑은 불교명구 365 ㉻(12월 24일)
팔만 사천 법문이란
팔만 사천 가지의 번뇌를 다스리는 것이다.
다만 교화하고 맞이해서 이끌어 들이는 문이다.
본래는 일체의 법이 없었다.
八萬四千法門 對八萬四千煩惱
팔만사천법문 대팔만사천번뇌
祗是敎化接引門 本無一切法
지시교화접인문 본무일체법
전심법요, 황벽 희운
불교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말이 여러 가지 있다. 경(經)· 율(律)· 론(論) 삼장(三藏)이라고도 하고 삼승십이분교(三乘十二分敎)라고도 하고, 대장경(大藏經)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그리고 팔만사천 법문이라고도 한다. 황벽 선사는 『전심법요』에서 팔만 사천 법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불교의 모든 가르침을 묶어서 한마디로 팔만사천법문이라고 하며 이는 곧 사람들의 팔만 사천 가지나 되는 번뇌를 상대하여 다스리기 위한 것이다. 해인사에 소장하고 있는 고려대장경을 팔만대장경이라고 일컫는 것도 곧 이러한 뜻이다.
불교의 가르침은 다른 어떤 종교의 성전(聖傳)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양이 많으며, 교리의 내용도 대단히 복잡하다. 경전을 읽다 보면 과연 이와 같은 내용들이 인간의 번뇌를 다스리는 데 꼭 필요한 가르침인가. 도리어 인간의 마음을 더욱 번거롭고 복잡하게 만드는 일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때가 많다.
사람 하나를 두고 삼승(三乘)이니, 사과(四果)니, 십신(十信)이니, 십주(十住)니, 십회향(十廻向)이니, 십지(十地)니, 등각(等覺)이니, 묘각(妙覺)이니, 십칠지와 십팔불공법과 삼십칠조도법과 오위 칠십오법과 백법과 삼세육추(三細六麤)의 구상차제(九相次第)와 육근(六根), 육진(六塵), 육식(六識), 십이인연(十二因緣), 사성제(四聖諦), 팔정도(八正道) 등등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법을 만들어 나열하고 있다.
이 모든 법문은 실은 인간의 번뇌를 다스리기 위한 것이다. 번뇌란 사람들이 겪는 온갖 문제와 병고와 망상과 잡념들을 말한다. 만약 문제가 없고 병고가 없고 번뇌가 없으면 이 팔만 사천 가르침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 많은 가르침의 문[法門]이란 다만 사람들을 교화하고 맞이하여 이끌어 들이는 문(門)일 뿐이다.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인간이 겪는 문제와 번뇌도 많이 늘어났다.
그에 따라 부처님 당시에는 없던 무수한 방편들이 만들어졌다. 내 나라 내 민족만을 위하는 호국불교(護國佛敎)가 그렇고, 오늘날의 불공(佛供)이니 기도니 천도(遷度)니 하는 일들이 그렇고, 온몸을 혹사하면서 오체투지로 절을 하고 법당이 떠나가라 성호를 외치는 일이 그렇다.
이 외에도 별별 방편들이 널려 있다. 황벽 선사는 "본래는 일체의 법이 없었다. 다만 번뇌만 떠나면 그것이 곧 법이다. 번뇌를 떠날 줄 아는 사람이 부처다. 일체 번뇌를 떠나면 그 어떤 법도 찾을 길이 없다."라고 부연하고 있다. 선불교(禪佛敎)에 와서는 이렇게 간단명료하게 가르치고 있다. 그것도 번거롭다고 하여 손가락을 하나 세워서 보인다든지 꽃을 한 송이 들어 보인다든지 고함을 한 번 친다든지 몽둥이로 한 대 후려 갈긴다든지 주장자를 들어 보인다든지 하는 일로 대신하고 있다. 복잡하고 잡다한 교리에 얼마나 질렸으면 그와 같은 방법이 등장했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지난날『불교사전』을 다 외우려고 시도하고 대명법수(大明法數)를 모두 암기하려고 만용을 부리던 기억이 새삼스럽다.
성불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