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박사님 덕에 주변에 아는척 하기 좋고 신박사님 덕에 뭔가 스스로 안다는 착각에 빠져서 좋네요 😂
@GOMDARY4 ай бұрын
항상 2번 청취하기 따문에 댓글을 늦게 올리는데요~~~ 들을때 마다 한번씩 느끼는건데 우리 파토님 너무 겸손하세요. 저는 파토님 음로론 듣고 정론이 알고 싶어 과덕이 되었습니다. 이제 과,앉과 함께 10년차구요. 저같은 장사하는 장사치들도 과덕을 만드는 국내 과학의 영향력 탑! 그게 바로 파토님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나 할수없죠!
@sijion4 ай бұрын
조석을 진작 이렇게 배웠으면 좋았을텐데 이제라도 알았으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mukhyul9874 ай бұрын
누가 이과가 인간미가 없다 했습니까. 이토록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데요. 오랜 의문을 댓글로 남겼는데 명확하게 풀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러고나니 질문은 더 늘어나네요. 포항의 포스코 제철소가 태풍때문에 큰 피해를 입은 뒤 제방장벽을 설치했습니다. 예전엔 문명 게임에서나 보는 시설물이었는데 그게 한국에 실제로 설치되는걸 보니 정말 기분이 이상하더군요. 게임속 묘사, 제 상상에서는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올라가니, 그에 맞춰 벽을 쌓는 정도만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말씀해주신것처럼 밀물 썰물, 태풍 등의 기상이변까지 감안하려면 제방 장벽의 높이를 계산해서 설계하는 것도 엄청나게 복잡한 과정일듯합니다. 그리고 이젠 갯벌은 왜 서해안에만 생기고 동해안에는 안생기는가에 대해 또 머리를 쥐어뜯으러 가봐야겠습니다. 황해의 수심이 동해보다 얕아서일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갈수록 배울게 더 늘어갑니다. 방송 잘 봤습니다.
@rabbit_blue4 ай бұрын
밀썰물 해석 역시 사람은 배워야 ㅋ 아는만큼 보인다 햐
@박인선-i5k4 ай бұрын
블랙홀 소제로도 그림으로 그리면 형광물감 너무 잘보임
@hisch93014 ай бұрын
팟캐 듣다 영상 궁금해서 왔어용 ㅋ
@버팀목-f8u4 ай бұрын
DARWIN
@박인선-i5k4 ай бұрын
창조의 기둥 모티브로 백만번? 붓질로 은하들 창작형 그림 스무점 작업됨. 그림
@박인선-i5k4 ай бұрын
빅뱅이 하나일까요도 물어주세요
@박인선-i5k4 ай бұрын
암흑 에너지 물질도 제 그림은 다보임. 한점에 보름이상 소모됨. 제임스 웹 그놈때문에 화풍이 바꿔지고있음
@sylee43814 ай бұрын
조석에 대해 오랫동안 해결못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설명해주신대로라면 달이 남중할때가 밀물, 월출월몰때는 썰물이라야할것 같습니다. 그런데 실제 물때표를 확인해보면 잘 맞지 않아요. 우리나라 서해안은 달의 위치관계로 보자면 밀물썰물시간이 거의 동일해여할것같은데 실제로는 인천의 물때와 목표의 물때는 몇시간씩 차이가 나요. 왜그런걸까요? 하와이 같은 곳도 확인해보았는데, 달이 남중할때가 밀물이 아니라 썰물이더라구요. 이론과 실제가 맞지 않아 혼란스럽습니다. 기회가 되시면 밀물썰물 보충수업 부탁드립니다.
@mochalatte81293 ай бұрын
달과 가장 가까운 곳이 바닷물 높이가 제일 높은게 아닙니다.지구 자전에 영향받아 자전 방향으로 약간 더 돌아간 곳이 가장 밀물입니다.그래서 달이 가장 가까워 보이는 시간과 최대 밀물과의 시간 차이가 발생합니다.인천과 목포의 시간차이도 자전축이 기울어져 인천과 목포가 최대 밀물속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차이가 납니다.이건 배워서 알게된게 아니고 밀물 썰물의 기조력 작용을 쪼끔 알아본뒤 결론내린 저의 뇌피셜입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상외-r4v2 ай бұрын
잘 보고 있어요 그런데요 설명이 더 헤깔리는건 저 뿐인가요.. 어려운데.. 달인력 + 지구원심력 = 힙의 합력 방향으로 물이 쏠린다 이거 아닌가요 ㅡㅡ
@박인선-i5k4 ай бұрын
정명원 교수님 죄송합니다.감히 덤벼들어서. 용서해주세요
@mochalatte81293 ай бұрын
기조력 설명하는 방식이 교과서에 나오는 정도에 머무는거 같아 아쉽습니다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설명은 피하면서 덧붙이는게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