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렬합성저항은 왜 분수로 계산할까?

  Рет қаралды 54,265

전병칠

전병칠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전병칠원장입니다.
저항이 여러개 병렬로 있을 때는 분수의 형태로 합성저항을
계산하게 되지요?
오늘은 왜 이렇게 계산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산에듀(www.e-dasan.net)

Пікірлер: 39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2 жыл бұрын
혹시나 저처럼 5분 5초에서 이해 안되시는 분 계실까봐 적어두자면 일단 전압인 V는 R1, R2에 동일하게 작용합니다. 저항 R1쪽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I1 저항 R2쪽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I2라고 했을 때 I1, I2의 전류의 세기는 옴의 법칙(I=V/R)에 따라 I1 = V/R1, I2 = V/R2 입니다. 그리고 전체 전류의 세기 공식(키르히호프 제1법칙) 에 따라 I = I1 + I2 죠 그러면 옴의 법칙을 이용해서 좌변 우변에 식을 만들었을 때 I, I1, I2를 바꿔서 넣으면 V/R = V/R1 + V/R2 가 가 되는거고 여기서 똑같은 값의 V를 없애줘서 식을 간단하게 해주기 위해 1/V를 양 변에 곱해주면 1/R = 1/R1 + 1/R2 가 되는 겁니다.
@김우중-c8x
@김우중-c8x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이해가 잘 안됐는데 양변에 1/v로 약분해서 없어지는군요 한참 생각하던 부분인데 거의 99프로 이해됐네요 감사합니다 ㅠ 근데 1/r1+1/r2 위에 v가 되는 건 1/r1+1/r2 자체를 R로 봐서 그런거라 이해해도 될까요?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Жыл бұрын
@@김우중-c8x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욥 ㅠㅠ V/r1+V/r2 형태가 어디서 나온건지를 여쭤보시는건가요?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Жыл бұрын
​@@김우중-c8x 병렬연결에서는 전압을 받은 전자들이 둘 중 하나의 길만 선택하여 저항을 지나는 것이기 때문에 그림 상에서 윗길 아랫길 모두 동일한 전압을 지닌 전자가 지나갑니당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Жыл бұрын
​@@김우중-c8x 직렬연결 같은경우에는 하나의 길을 전자들이 지나기 때문에 앞에있는 저항에서 전압이 소모된 후에 뒷 저항을 만나서 저항마다 전압이 다르구요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Жыл бұрын
​@@김우중-c8x 그렇기에 전압은 R1 R2에 동일하게 작용해서 I=V/R 공식에 따라 I=V/R1 I=V/R2가 되는거에요 전압인 V는 병렬연결에서 같은 전압이 걸리니깐요
@토롱-b8g
@토롱-b8g Жыл бұрын
2년전엔 안보였는데.. 지금은 보이네요;; 신기한 병칠이횽~♡
@나무늘보-m9g
@나무늘보-m9g 2 жыл бұрын
합성저항 어렵게 생각했는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한번에 이해했습니다.
@5822
@5822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오늘도 유익하게 시청합니다~
@teddykim8351
@teddykim8351 4 жыл бұрын
항상 멋진 목소리로 강의 감사합니다.
@ZeroBstar
@ZeroBstar 10 ай бұрын
와 이해가 한번에 됬어요!
@youngone-r9f
@youngone-r9f 11 ай бұрын
에듀윌 지금 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3년 전 거 이 영상이 더 도움이되네요 아이고내 돈 ㅠㅠ강의가 이해가 안 돼서 KZbin 검색했는데 1번 이해가 되네요
@johnbae4775
@johnbae4775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전부터 "병렬 저항계산은 왜 분수로 나타낼까? " 이게 정말 궁금했는데... 결국 원장님이 이렇게 알려주시네요~^^ 특히 개인적으로 저는 이렇게 "공식을 증명해 주는 영상"이 참 좋습니다. 왜냐하면 학교다닐때나 시험벼락치기 할때 그냥 무식하게 암기만 했습니다. 아마 대다수의 학생들이 그럴꺼구요. 그러나 이렇게 하나하나 그 원리를 설명해 주셔서 덕분에 의문점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이런 공식을 증명해 주는 영상 많이 업로드해 주시기 바랍니다~
@룰루-e9h
@룰루-e9h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질문 올리자마자 이렇게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짱이에요~!
@김인호-m5r
@김인호-m5r 2 жыл бұрын
저항 확실히 배워 가네요 감사합니다.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즐거운 전기공부되세요~
@임대현-h4n
@임대현-h4n 4 жыл бұрын
전기기초에 자세한 해설과 자세한 유도식 전개 아주 중요합니다 전기 기능사 강의시 이렇게 자세히 설명을 안해주니 아쉽습니다
@남원욱-o2n
@남원욱-o2n 4 жыл бұрын
너무 쉽게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빠르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원제-g5e
@원제-g5e Жыл бұрын
5분5초에서 갑자기 확 나간 느낌이 드는 건 저 뿐인가요...? 제 생각이 맞다면 V/R=V/R1+V/R2에서 분자에 있는 V가 모두 약분이 되어 1/R=1/R1+1/R2 가 되고 번분수를 통해 저희가 아는 식이 나오는 것 같아요. 수포자라 설명이 이해가 안되어 추측해봤습니다... 원장님이 전달 의도와 다를 수도 있어요ㅠㅠ
@Fly_PHX
@Fly_PHX 3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 때 대충대충 외우기만 했었는데... 잘 이해하고 갑니다
@다솔-k3d
@다솔-k3d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치-n3v
@김치-n3v 8 ай бұрын
계산식으로는 이해가 되는데 멀쩡한 저항값이 병렬로 연결 할수록 줄어드는 근복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저항값은 만들때 이미 정해져 있는거 아닌가요?
@차수곤
@차수곤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남북평화통일-c7r
@남북평화통일-c7r 4 жыл бұрын
어려워요ㅠㅠ 감사합니다
@Bl.i1116
@Bl.i1116 Жыл бұрын
I = V(1/R1 ± 1/R2) 라고 하셨는데 R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I가 분모로 이동할때 괄호앞에 v가 왜 사라지나요?
@youngone-r9f
@youngone-r9f 11 ай бұрын
5:00거기에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김성철김성철-z8c
@김성철김성철-z8c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합성 저항에서 I=V/R 를 대입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명지연-r5b
@명지연-r5b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전기산업기사자격증 전병칠원장님이 따로 강의하시나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산업기사와 기사는 다산에듀에서 최종인 원장님이 맡고 계십니다.
@funnyjeff
@funnyjeff 2 жыл бұрын
V가 왜 V1과 V2로 나눠지지 않는건지를 설명해줘야 완벽한데 아쉽네요. 가장 가려운 곳은 남겨두고 어쩌란말이오입니다.
@싱크탱크창드래곤
@싱크탱크창드래곤 Жыл бұрын
병렬연결에서는 윗길 아랫길 모두 같은 전압이 걸립니다
@pec3604
@pec3604 4 жыл бұрын
@상줭
@상줭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470키로옴이랑330옴이랑 곱할땐 어떻게 곱하나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470000*330으로 계산합니다.
@애기-i2g
@애기-i2g Жыл бұрын
​@@elec7그렇게 값이 클경우엔 계산기 사용밖에 답이 없나요?
@junkman9010
@junkman9010 4 жыл бұрын
이거, 대학교 물리에서 배워서 알게된거... 그 전엔 그냥 저렇게 계산된다고 말해서 어이가 없긴했는데.
전기에서 복소수? 극좌표?
17:05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49 М.
저항 3개의 병렬계산
8:18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30 М.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Beat Ronaldo, Win $1,000,000
22:4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8 МЛН
역률 좀 쉽게 설명해주세요.
12:0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471 М.
공통(common)선이 무슨뜻이죠?
17:4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744 М.
RL 병렬회로 한번에 이해하기
11:41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2 М.
유전율, 비유전율. 간단한 개념정리.
11:41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56 М.
‘임피던스’ 이제 확실히 알겠어요.
13:23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직류는 무엇이고, 교류란 무엇인가?
19:16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저항기 설명서
28:22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409 М.
3상 전력계산에서  P=루트3VI와 P=3VI 식의 차이
10:28
인덕터, 인덕턴스 쉽게 이해하기
11:3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0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