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울수록 점점 더 어두워지는 전조등?! 정답은 인증 LED밖에 없는 건가!

  Рет қаралды 271,719

카발로Caballo

카발로Caballo

Жыл бұрын

추가적인 설명
- 할로겐 혹은 HID의 발열로 인해 반사판이 녹는 문제가 심한 차종도 있지만, 야간주행의 빈도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 때문에 할로겐, HID에 대해 나쁜 인식을 가지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LED도 그만큼 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 부분의 문제를 감수할지 결정해서 선택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완벽한 라이트는 없는 것 같더군요. 비용이든 성능이든 뭔가 하나씩 하자가 있습니다.
- 인증 스티커 부착 및 등록에 관한 것은 설명서만 정독하더라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서 넣지 않았습니다.
- 순정 HID 쓰는 분의 의견에 따르면, "요즘 하도 인증 LED 어쩌고 하길래 별 희한한 게 다 나오네 싶었는데 밝기가 내 차 HID만큼 밝은 거 같은데?" 다만 할로겐이나 HID에 비해서 LED는 밝기가 줄어드는 정도가 심해서 앞으로 조금씩 어두워질 것 같습니다.

Пікірлер: 290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전조등 어셈블리 교환 혹은 탈부착이 불법이라는 건 많이 아시는데, 생각지 못한 '전구 교환'도 불법이라고 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오피셜이고, 이게 말이 되냐고 재차 묻는 것에도 "불법이 맞다"고 하네요. 관련 영상("전구 교환은 불법이다")을 국토교통부에서도 올린 것으로 봐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만 혼자 헛소리를 하는 것이다 하고 받아들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전구 교환을 메뉴얼에 명시 해놓은 현대, 기아자동차(다른 브랜드는 모르겠습니다)는 그러면 뭐냐? 하시는데 제가 문의해본 결과, 이쪽에서도 이게 합법이다, 불법이다 확실하게 답변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구 교환을 할 수 있는 장소(정비소?)를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할 뿐입니다. 마치 횡단보도 건널 때 잠깐이라도 횡단보도 선 밖으로 나가는 건 불법이다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긴 한데, 엄밀히 따지면 그것도 불법이라고 봐야할 겁니다(실제로 잡아내는 것과는 또 별개인데). 다만 3급 이상(현재는 자동차전문정비업이라고 하는 듯합니다)의 정비소에서는 광량테스트기 같은 게 없이도 전구만 교환(혹은 타 정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전조등 탈부착)하는 게 합법이라고 하니, 나는 반드시 합법적으로 해야겠다 하시면 하다못해 정비소 내부에서 직접 교환 하시거나 정비를 의뢰하시는 게 맞을 듯합니다. 물론 저는 정비소 내에서 교환 하였고, 정비기능사 및 산업기사까지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
@the_nd6522
@the_nd6522 Жыл бұрын
차량등록증에 합법 튜닝 제품이라고 명시되어 있어야 자동차 검사할때 원복 안해도된다고하더라구요
@woonsa0
@woonsa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법이 참 거지 같죠 3급 정비소 흔히 말하는 카센터가 작업 가능 범위도 보면 엔진오일 갈고 전조등 교체 해주고 정도의 정비 말고는 불법이죠 그러고 보니 저도 취미로 diy 하다 정비 기능사 검사 기능사 두개 취득 했네요;
@qmflcm11
@qmflcm11 Жыл бұрын
썩은 규제가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군요ㅉㅉ
@pso82
@pso8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차량인데 손쉽게 교환하시는거보니 정말 대단하시네요. 전 hid 벌브나가 전조등이 애꾸눈이 되어서 혼자생각에 등기구 전구다마갈듯 갈면되겠지라는 생각으로 혼자갈아볼까 쿠팡에서 벌브사서 혼자 쌩쑈를하고 손만 다치고 결국 못해서 공업사 찾아가니 hg그랜저차량은 왠만하면 앞범퍼 내리고 교환해야 편하다고 범퍼 내리니 엄청 편하게 교환하고 레벨링하시더라구요.. 전 그런것도 해야하는지 모르고 혼자 교환하려고 했다니.. 괜히 손등만 엄청 까였네요ㅜㅜ 그리고 hid순정이 4300이였나? 그게 led안개등이랑은 또 색깔이 안맞아서 필립스 6000짜리로 사서 꼈더니 오래켜두면 색은 비슷한데 켜질때 푸른빛이 도네요.
@REALDDOONG
@REALDDOONG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영상을 잠시 비공개하셨군요. 진짜 규제 샌드박스어쩌구 하더만 이건 인증벌브도 저러니 진짜 너무하다 싶네요.
@ikeypikey9313
@ikeypikey9313 Жыл бұрын
달라진 내용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늘도 어김없이 잘 보고 갑니당
@user-jk2to2uj6p
@user-jk2to2uj6p Жыл бұрын
한국의 크리스픽스 항상응원 합니다
@asd11071
@asd11071 Жыл бұрын
카발로님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요. 타이어 휠 풀때 드릴 어떤거 사야 되나요? 잘못 삿다가 중복투자 될까봐요.가성비 드릴? 추천 부탁 드립니다;; 저도 슬슬 카발로님 영상 보면서 하체 정비 다이 해보려구요;;;;
@user-mi3km6qt6e
@user-mi3km6qt6e Жыл бұрын
할로겐이 비오는 밤에 더 잘보인다는걸 느끼고 있었는데, 팩트였구나
@Dowan_Gim
@Dowan_Gim Жыл бұрын
정보 고맙습니다.
@vyrhks963
@vyrhks963 Жыл бұрын
자동차 검사원인데 카발로님 말씀대로 K5 산테페 DM 일부 모델들이 반사판에 문제가 있어서 전조등 리콜을 자주하는걸 봤습니다 차주분은 정말 골치아프시겠더라구요.....
@jerrychoi1839
@jerrychoi1839 23 күн бұрын
르노 뉴sm5도 시간 지나면 반사판 녹는거 고질병입니다.
@user-ju7wl6eg6n
@user-ju7wl6eg6n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jjan9
@jjan9 Жыл бұрын
몇 년 쓰다보면 정말 전조등이 어두워 보이더라고요. 새걸로 바꾸니 확실히 야간 시인성이 좋아졌어요.
@user-uh4pe6gl6n
@user-uh4pe6gl6n Жыл бұрын
led 램프의 특성은 일반 할로겐 필라멘트처럼 순간적으로 열화되어 끊어지는게 아니라 천천히 밝기가 약해지며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그래서 led는 방열처리가 수명을 크게 좌우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lovekkm2
@lovekkm2 Жыл бұрын
형 영상보고 인증LED교환했습니다 굿~~~ 너무 잘보여요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ㅎㅎ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한 마음입니다
@user-hl3tp6mb5g
@user-hl3tp6mb5g Жыл бұрын
할로겐이나 LED나 타보면 그게 그거입니다 대신 불빛이 흰색으로 바껴서 좀 더 차 멋있어 보이는 효과 는 있어요
@zo9661
@zo9661 Жыл бұрын
hid 램프가 900도식이나 올라가는줄 처음 알았네요. 반사판 내부온도도 상당히 뜨거울듯. led가 수명도 좋고 저렴한건 5~8만원 정도면 사던데 초소형팬은 고장도 더 잘나는거 같은데 이넘에 쿨링팬이 복불복이라 정말 답이라고 할수도 없네요. 다음엔 요즘 뜨고있는 수입반사판 다이도 한번 해 주세요.
@tac..
@tac.. Жыл бұрын
카발로 힘!!!🦾 재업 🦾 순정 할로겐 전구는 3400K~3800K 입니다. 오스람 필립스 파랑, 실버 코팅 전구들이 3800K~4300K 나옵니다. 국내 인증 LED 전구는 6000~6500K 라 말씀대로 장단점 나오구요. 절반 가격의 필립스 인증 LED 추천합니다.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Ай бұрын
하지만 국내 현행법상 6000K 이상은 불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Shipenta
@Shipenta Жыл бұрын
1. 기존 순정형 할로겐 전구는 3100~3300K 사이, 순정형 HID 색상의 경우 4300K 입니다. 현재 튜닝인증용 LED 전구의 색 대역대는 5700K~6500K 사이에 모든 제품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2. 튜닝인증 LED를 소비자가 직접 교환하는 것은 합법이 맞습니다. 자동차관리법이 개정되면서 번호판등 LED 교체처럼 경미한 튜닝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3. 프로젝션 전조등의 특성상 쓸수록 반사판이 점점 흐려집니다. 누가 더 느리게 흐려지냐의 차이이고 누가 운행시간이 적고 많냐의 차이 입니다. 이걸 보완해 줄수 있는게 LED 전조등 입니다. 2018년 이후 출시된 대부분의 할로겐 전조등 차량은 반사판 내구성이나 광학설계가 매우 좋은 편에 속합니다. 단, 쏘나타 DN8 바이펑션 할로겐 프로젝션 전조등 같은 일부 차량은 예외입니다. 4. 현재 튜닝인증 LED 전조등의 밝기제한이 2000루멘인데 이게 차량의 썬팅이 아주 약하거나 안되어있을때를 가정하고 제한해 둔 밝기이기 떄문에 전면 35% 썬팅 혹은 그 아래 농도를 쓰시는 분들이라면 인증LED 체감을 못하실 확률이 매우 큽니다. 이 경우 전면썬팅 교체를 먼저 권합니다 5. 튜닝인증 LED 전조등이래서 샀는데 금방 망가져요 → 야간운전을 많이 하시거나 오토라이트에 의해 전조등이 켜져있는 시간이 많으면 그렇습니다. 그리고 LED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스펙중에 믿을만한 스펙은 소비자가 직접 측정가능한 W수밖에 없습니다. 5000시간 1500시간 써놓는게 개인마다 편차가 커서 큰 의미가 없습니다. 보통 LED칩이 하나가 먼저 죽거나 팬이 죽거나 합니다. 6. 사실 루멘값이 의미가 없는게 전구마다 LED 배열이 달라 정확하지가 않고 소비자가 측정할 수 없는 방법입니다. 밝기 제한을 둘거였으면 칸델라나 룩스로 제한을 두었어야 했는데 왜 루멘값으로 제한을 뒀는진 모르겠습니다. 이 제한떄문에 대부분의 제품이 자사의 제품은 2000루멘 제한치에 가까운 밝기로 만들었다고 홍보합니다. 7. 저는 전면썬팅이 81% 제품인데, 필립스 얼티논 프로9000 H7과 순정형 할로겐 H7을 번갈아 써봤습니다. 악천후 (비오거나 눈오거나 안개낀날) 에서는 저는 LED전조등이 훨씬 더 밝다보니 더 잘보였던거 같습니다. 다만 할로겐이 노면에는 좀 더 흡수가 잘 되는 편이긴 한데 어차피 가시성엔 큰 차이가 없어 LED가 더 나은거 같습니다. 8. 할로겐의 경우 유효광면적이 매우 협소하지만 핫스팟이 강하게 나오고, 2면형 LED의 경우 좌우광폭이 크게 확장되고, 4면형의 경우 상하광폭이 크게 확장되기 때문에 LED 배열에 따라 취향껏 고르시면 됩니다. 안개등 없는 차량에서 4면형은 매우 좋습니다. 9. 기본적으로 색온도(K)와 밝기 (lm cd) 는 서로 반비례 하는 관계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환경상 보행자가 어두운 옷을 입고다니는 경우가 있고 전면썬팅이 되어있는 차가 99%이기 때문에 백색광이 시인성이 좀 더 뛰어납니다.
@downhell9797
@downhell9797 Жыл бұрын
배광설계가 개떡이면 광원을 2만루멘 짜리를을 박아놔도 어둡더군요 ㅋㅋ 중국산 led다마들이 주로 그럼ㅋㅋ 두루 써보니 배광설계가 좋고 음영이 덜한 바이오라이트4면led제품이 갑인듯
@Shipenta
@Shipenta Жыл бұрын
@@downhell9797 중국산 스펙은 대부분 구라라고 보시면 됩니다. 배광설계도 별 의미는 없습니다. 물론 차량마다 편차는 있으나 중국산은 검증되지 않았으니까요 바이오라이트 4면형 제품의 장점은 할로겐전구의 배광패턴을 거의 그대로 투사해주면서 하단 음영이 없고 상하광폭이 매우 크게 확장되어 안개등이 없는 차량에 최적이나 가장 큰 난제는 2면형 대비 핫스팟 밝기가 안나온 다는 점입니다. 이유는 현재 튜닝인증 LED 규제의 기준이 2000루멘인데 2면형의 2000루멘과 4면형의 2000루멘은 수치상으론 같으나 루멘값의 측정방식을 생각해 볼 때, 당연히 4면형이 불리할수 밖에 없습니다. 즉 2면형의 장점은 장거리 투사, 4면형의 장점은 넓은 지역을 밝게 투사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골라 쓰면 되는 부분이고, 2면형 LED 제품이 좀 더 많은 이유는 전조등의 배광판에서 사실 상하부분은 많이 쓰이지 않고 좌우 부분이 빛을 내는데 많이 쓰입니다. 왜냐면 할로겐전구를 끼워서 전면에서 배광판을 보게되면 배광판 좌 우에 필라멘트가 반사되어 보이게 됩니다. 물론 아래쪽을 살짝 비스듬히 봐도 보이긴 보입니다만 좌우만큼 필라멘트의 크기가 크지 않죠. 프로젝션에서도 동일합니다
@mightyb2070
@mightyb2070 Жыл бұрын
현재 h사의 순정 led 제품들이 구형은 순백색인데 신형이 아이보리빛 누런색으로 나오는 경우가 상당히 있고 그게 정상이다 라는데 맞는 걸까요? 자기네들 말론 뭐 형광물질을 섞어서 하는건데 완벽하게 맞출순 없다고 누런색이 뜰수도 순백색이 뜰수도 청백색이 뜰수도 있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500k 이상 차이 나는거 같은데 색온도 맞추는게 그렇게 어려운 기술인가요?
@Shipenta
@Shipenta Жыл бұрын
@@mightyb2070 아마 LED 칩셋을 균일하게 색상을 뽑아내지 못하는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수급에 문제가 있어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걸 감안하고 쓰던지요 (요즘 LED 칩셋 구하기가 어렵다고는 들었습니다) 500K면 사실 편차가 크죠 눈으로 봐도 보이고 공정에 신경을 안쓸 확률이 커보입니다
@mightyb2070
@mightyb2070 Жыл бұрын
@@Shipenta ' LED 제조 공정시 색을 구현하는 형광체라는 물질을 배합할때 모든 부품이 동일한 색상을 가지게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 합니다. 따라서 배합에 따라 국내 법규상 인정되는 화이트 색상에서 옐로우 또는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 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옐로우와 블루가 웜화이트~ 쿨화이트 혹은 4500k~6500k 등 어쨌든 눈으로 보면 확 티가 나는데 공정상의 실수나 검수 부족이 아닌 그냥 '배합' 의 문제로 모두 정상이다 라고 하고 있는데 이해가 안가서요..
@user-di8pv1pi4k
@user-di8pv1pi4k Жыл бұрын
법규에 전방은 가시광선 투과율 75% 이상이죠. 전방 40%, 50% 제품으로 하신 분들 모두 새로 하셔야 합니다. 야간에 언제든 사고에 직면 할 수 있습니다
@redcarpetJH
@redcarpetJH Жыл бұрын
저도 재업에 깜짝 놀랐네요.
@nr5005
@nr5005 Жыл бұрын
HID 의 높은 온도가 반사판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건 처음 알았네요 여름이면 진짜 뜨겁겠어요 갑자기 LED 튜닝 하고 싶어졌어요
@sumerTV
@sumerTV Жыл бұрын
카발로님~ 조만간 전조등워셔 장착영상….😅
@user-tr1mk7kt7e
@user-tr1mk7kt7e Жыл бұрын
지들이 선팅 진한걸로 하고 밤에 안 보인다고 밝기가 밝은 전조등으로 하는 사람들 차 압수 하고 싶음 진짜 배려심 1도 없는 사람들임
@poonde
@poonde Жыл бұрын
배려안하는 인간들이 이득보고 다른 사람들은 피해만 봄
@daons2105
@daons2105 Жыл бұрын
썬팅 90년대엔 불법 이여서 다 잡았는데 어느순간부터 잡질 않네요..특히 앞유리 진하게 선팅하고 라이트 안보인다고 에휴..
@user-uu9no8ku9u
@user-uu9no8ku9u Жыл бұрын
요즘 순찰차도 진하게 하던데요 뭘 ...그냥 전면 썬팅 되어 있으면 사고 발생시 과실을 40%는 그냥 줘야 해야 그래야 안해요 .... 그냥 무조건 과실 때려야함
@MinTArroWs
@MinTArroWs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인증 LED하면 할로겐보다 밝기 줄어듬 ㅋㅋ 색이 변해서 밝다고 느껴지는거뿐
@user-di8pv1pi4k
@user-di8pv1pi4k Жыл бұрын
전방 법규상 75% 이상이죠
@user-xt1uq4tx2g
@user-xt1uq4tx2g Жыл бұрын
노란색 짱입니다 예전 hid시절에도 노란색했어요
@lill1liliil1ill1lilii3
@lill1liliil1ill1lilii3 9 ай бұрын
할로겐 전구 순정을 써도 수명이 은근 짧던데요.. 그게 짜증나서 인증led 보증 5년 이런걸로 쓰는 사람들도 꽤 있어요
@Sustainable_IN
@Sustainable_IN Жыл бұрын
할로겐이 그렇게나 hid가 그리 뜨거운건지 첨 알았네요. 내용이 좋아 정주행 하게 만드시네요 신세계였는데 좋은 정보에 기대되다가 내구성에서 확 무너지네요. 뜨거워도 할로겐이 다행이 거의 고장날 일이 없다고 하고 유지비가 적은 기존 할로겐 전등을 좋아하지만 램프 교체시에 led 꼭 고려해볼만 하네요
@shimeunseob
@shimeunseob Жыл бұрын
할로겐이 제일 발열이 심하고 그다음이 HID 입니다 ㅎ 그런데 LED는 발열은 있지만 복사열이 없어서 전조등 내부 구조에서 열을 받는 일이 덜한거죠. LED전조등 보면 뒤에 방열판이나 팬 달려있어서 열을 엄청 식혀줍니다. 요즘 나오는 순정타입의 LED램프나 매트릭스LED 램프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이슈가 된게 쌍용토레스 차량의 전조등이 눈에 파뭍혀 시야확보가 안된다는 점이였는데 이 문제는 그랜져IG때에도 있던 문제라 개발단계에서 해결할 수 있었는데 개발인력이나 투자비용이 부족했다고 보입니다.
@Sustainable_IN
@Sustainable_IN Жыл бұрын
@@shimeunseob 정말 좋은 정보 댓글로 올려주셔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네요. 특히 복사열 관련으로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user-kp7hh1ul9d
@user-kp7hh1ul9d 6 ай бұрын
영상잘봣습니다. 현재 55W할로겐 전구 사용중인데 28W LED 전구로 교체해도 괜찮은가요
@user-bb2ew2xw4s
@user-bb2ew2xw4s Жыл бұрын
전구를 바꾸기 전에 전면선팅을 규정에 맞게 바꾸는게 맞죠. 자동차 정기 검사시 전면선팅이라도 단속 해야 합니다. 아마 규정은 전면이 70%라고 알고 있습니다. 전 전면 무선팅인데 전조등 어두워도 진짜 가로등 없는 곳 빼고는 다 잘 보입니다. 전면선팅 찐하게 하고 안 보이니 전조등을 올려서 멀리까지 비추고 다니는 차량이 있는데 룸미러로 눈아파 짜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airbufflo
@airbufflo Жыл бұрын
ㆍ안녕하세요. 카발로님.^^ ㆍ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ㆍ전 전에LED 비승인ㆍ승인 제품 모두 사용하는 과정에서, 국토부ㆍ튜닝인증협회ㆍTS교통안전공사에 까지 물어봤는데, 요 과정에서 대기업 제조된 제품 외엔 안 된다고 했었던....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관련 정보 찾아보다가 가장 신박했던 게 전구 교환도 일반인이 하면 불법이다...였던 것 같습니다
@user-to2du5ed8u
@user-to2du5ed8u 4 ай бұрын
오늘도 눈뽕 오지게 맞았네요
@ikijoa274
@ikijoa274 Жыл бұрын
요즘차 순정led헤드라이트 세트 가격이 한짝당30만원정도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스포티지기준 ㅜ ㅜ
@sumerTV
@sumerTV Жыл бұрын
카발로님~ 구독, 좋아요로 늘 응원합니다.. 눈뽕이 사고를 유발하니.. 인증된 전구로 교체, 순정부품 전조등교체 등등..왠만하면 전조등 수리는 1급공업사 전문가를 통해서 정비를 하심이.. * 운전자는 후미등, 깜박이전구 교체만 가능한가봐요..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ㅎㅎ 감사합니다 전구 교환만 하는 건 일반정비소에서 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sumerTV
@sumerTV Жыл бұрын
@@caballo8583 네. 감사합니다..
@user-yd1bh6kv5s
@user-yd1bh6kv5s Жыл бұрын
색온도가 올라갈수록 빛파장이 길어지는것이 아니라 짧아지는것 아닌가요? 파장이 길어지면 안개, 비 등의 상황에서 투과율이 좋아지는 원리 입니다. 안개등이 대표적으로 색온도가 낮은 색상을 이용하는 이유죠.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Жыл бұрын
전 10만원짜리 인증LED 달았더니 오히려 할로겐보다 더 어둡더라고요. 짜증나서 그냥 200만원 주고 순정LED 박았습니다.
@sunminkim6574
@sunminkim6574 3 ай бұрын
인증 LED 교체하고 싶었는데 수명이 2-3년이라니 귀챠니즘 있는 사람은 못하겠네요. 구형 TG는 그냥 벌브로 만족해야겠습니다. (편의성 최고)
@ccar_k
@ccar_k 5 ай бұрын
hid 램프는 이그나이터, 밸러스터, hid램프로 구성되어있죠. 밸러스터는 20000V의 안정적인 고전압 전원을 공급을 합니다. 이그나이터는 그 전류를 받아 전압을 높혀주는 변압기 역할을 합니다. hid 램프는 제논가스와 할로겐 금속융화물에 플라즈마 방전을 하여 빛을 냅니다. hid램프 단품 주의사항에 "타거나 죽을수도" 있다고 써져 있습니다" 학교에서 배운게 이렇게 쓰이네요 ㅋㅋ
@hwangjae-yongdeltaaerospor3607
@hwangjae-yongdeltaaerospor3607 Жыл бұрын
저도 LED사서 장착해봤는데.....한쪽이...2년도 안되서......고장나더군요....팬소음이 심해지면서 어두워지는 현상....다행히 A/S기간이라 교환하기는 했는데....또 불량품 당첨...재차 요청했는데...이제는 배송중 분실....그래서 걍.....한쪽은 LED 한쪽은 할로겐 짝눈으로 그냥 씁니다.....사용해보면 확실히 밝기는 만족하는데 내구성이 문제더군요.....제가 설치한 제품도 첨에는 2년 A/S였는데 어느순간에 1년으로 은근슬쩍 바뀌었습니다......이유가 있는거겠죠....그냥 여분의 할로겐 챙겨서 다니다가 그때그때 교환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필립스껀 7만원 언저리 하는거 같던데.....
@pil018
@pil018 Жыл бұрын
비오는 날 잘보이나요? 흰색 밝은거 달고 다니다 비오는 날 씨껍하고 오슬람 올웨더? 인가만 씁니다 ㄷㄷ
@-takumi---
@-takumi---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순정이 답인거 같습니다 ㅎ 돈 많으면 튜닝 ㅎ
@prohw99
@prohw99 Жыл бұрын
본건데 다시 올리신거 같은데요?
@A_bientot
@A_bientot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특성상 비가 자주오다보니 led 달았다가도 비오는날 저녁되면 시야가 불편해서 그냥 오스람 할로겐만 씁니다. 제 기준 인증 led보다 일반적인 시야도 할로겐이 밝네요. 비인증 10000루멘짜리도 숫자에 불과할뿐.. 전구에 돈 쏟아부은게 엄청 많은데 순정led 아닌 이상에는 별로 추천안드립니다.
@Rich.Chance
@Rich.Chance Жыл бұрын
라이트커버 손대보면 할로겐이 가장뜨겁고 hid랑 led는 뜨겁다고 전혀 못느끼겠는데 hid가 900도라니ㄷㄷ hid는광량부분이 뜨거워지는게 아니라 속이 뜨거워지는건가요?
@user-yr9pd7sk1k
@user-yr9pd7sk1k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정비소 운영하시는가요?
@user-or4ll3xb9o
@user-or4ll3xb9o Жыл бұрын
할로겐 램프 차량도 타보고 했는데 트럭의 엄청 노란색 등 아니면 악천후에는 그냥 HID던 할로겐이던 할배던 그냥 안보이는거 같습니다;;
@Auto_K
@Auto_K Жыл бұрын
시인성 극대화 버전 전구도 테스트해주세요!!
@kokkili
@kokkili Жыл бұрын
시인성 극대화 색온도는 5300K-5700K임.
@gree900
@gree900 Жыл бұрын
할로겐....수명이 1년~2년 할로겐 20개살돈인데요 ㅎㅎㅎ
@ManiRoad
@ManiRoad Жыл бұрын
콜로라도 차주입니다. 할로겐 램프가 나무 어두워서 LED로 교체하고 싶은데 차량에서 LED램프교체가 인증되지않아서 교체가 불법이라고 합니다. 튜닝 인증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도 불법이라고 하니 답답할 지경입니다.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Жыл бұрын
HID도 퇴물..전력소비적고 밝은 LEd가 답이쥬
@nonsafety
@nonsafety Жыл бұрын
복습복습!
@user-sx4zo1ky6j
@user-sx4zo1ky6j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질문 포터2에 인증 led 넣음 불법인가요?
@ozkpop
@ozkpop Жыл бұрын
비 올 때 신성에 대해 논란이 넷상에 몇년째인데 젖은 노면 비교 테스트도 좋을 듯 하네요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흠...나중에 한번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ㅎㅎ
@MySkyline32
@MySkyline32 Жыл бұрын
순정 할로겐 쓰다가 생체빛 제조사의 슈퍼 울트라 레이싱을 1년 쓰고 가버렸는데 조금 밟아진 느낌이긴하더라구요. 그만큼 수명이 너무 짧은거 같은데...지금은 다시 순정 할로겐으로 쓰고 있는데 우천시에는 안 보이더군요;; LED도 우천시에는 안 보인다는데 둘 다 똑같이 우천시에 안 보일거면 LED가 차라리 낫지 않을까싶기도 하네요. 눈 여겨보는게 필리핀스의 얼티논 프로 9000인데 다른 인증 LED랑 가격은 비슷한데 무상 보증이 5년인게 마음에 들더라구요...
@Shipenta
@Shipenta Жыл бұрын
저도 정말 이것저것 끼워봤지만 빗길은 그놈이 그놈입니다. 굳이 뽑자면 4800-5000K 대역의 고성능 HID가 빗길 시인성은 가장 좋습니다. 바꿔 말하면 루멘값 (절대밝기) 가 높은 전구가 밝다는 얘기가 되죠. 프로9000이 할로겐과 같은 1500루멘이라고는 하지만 2면형에서의 1500루멘은 얘기가 다릅니다. 색상도 5800K이기 때문에 빗길 시인성도 좋고요 한번 써보시는거 강추합니다.
@ds-k7878
@ds-k7878 Жыл бұрын
H7 기준 얼티논 프로 9000 은 187,770원 / 걍 필립스 인증받은거 제일 싼거 58,000원짜리 3번 사는게 나을 지도. 갸들은 A/S 1년 이라고는 하는데, 1년 정도 쓸때까지 고장이 안날 정도의 내구성이 확보가 되어있는 제품이었다면, 1500 시간 수명 이라고 하니 3년은 넉넉히 쓸듯요. 언젠가는 둘중 하나가 먼저 나갈텐데 그럼 멀쩡한건 스페어로 나갔다가. 다음 교체한 세트에서 또 하나 맛탱이 가면, 이전에 놔뒀던 스페어랑. 교체한 제품중 멀쩡한거 세트로 맞춰서 한 1년은 사용 가능할듯요 . 그럼 2세트 비용으로 2.5세트 정도 사용한 효과. ㅎㅎ
@user-ef2ul4rw1w
@user-ef2ul4rw1w Жыл бұрын
전구 온도가 저리 높은지 몰랏네요
@dokdo8892
@dokdo8892 7 ай бұрын
악천후땐 2000K할로겐이 오히려 시인성 좋음.LED의 최고의 장점은 저전력,긴수명과 풍부한광량과 빛의직진성임.BMW Laser전조등은 900M앞까지 비춰지고 앞차와 반대편차량에겐 피해없이 빛을 길고넓게해 야간운전할때 엄청좋음.
@MINJU_LUV
@MINJU_LUV Жыл бұрын
k5 반사판 무상수리 받기전 자동차검사 1500cd인가 나오고 수리 후 1만정도 나왔던거같음 어차피 할로겐 전구에 반사판 녹을게 뻔해서 모비스led전구로 바꿔줌..
@bisope
@bisope 3 ай бұрын
클리어타입도 이제 합법인증을 받았다고 합니다. 브라비오에서 드디어 H4, H19가 나왔네요.^^
@mintlemon9377
@mintlemon9377 8 ай бұрын
전구 보증수명 필수인듯합니다 1년에 1번씩 바꾸네요 이쯤되면 발라스터 부분 문제인가싶기도한데... led도 한쪽 소자 사망; 아침에 출근하는데 좀 어둡더니 퇴근하려보니 경고등 띄우네여
@caballo8583
@caballo8583 8 ай бұрын
저는 워낙 운행이 적은 편이라...아직까지 문제는 없는 듯합니다 LED 자체의 수명도 문제지만 차량의 전기계통 상태도 영향이 있지 않을지...1년에 한번 교환하실 정도면 저런 제품군 중에서 보증기간이 3~5년짜리인 상위라인 제품도 있던데 그런 걸 사셔서 무상교환 받으시는 게 싸게 칠 듯합니다요 ㄷㄷ
@user-vm2jn8ub2n
@user-vm2jn8ub2n Жыл бұрын
잘봣네요.. h4은 그냥 할로겐으로^^
@taehokim6670
@taehokim6670 Жыл бұрын
할로겐쓰다가 DRL하고 색상차이가 너무나서 인증LED로 바꿨는데요. (필X스) 할로겐과 밝기는 거의 비슷했고 드레스업 효과는 확실했습니다만, 쓰다보니 팬소음이 올라오더군요. 다행히(?) 구입 1년을 2주 앞두고 한쪽 빛이 안나와서 무상교환받고서 그냥 할로겐으로 타고있습니다. 주위에 보면 1년이내에 고장났다는 이야기가 꽤 많이들려요. 보증기간 안에 고장나면 다행인데 보증기간 지나서 고장나면 화좀날것같습니다 ㅋㅋㅋ 이번에 차량 기변을 하는데 필X스 보단 영상에 나온 브라비오가 더 밝다는 얘기가 있어서 이번엔 브라비오 써볼까 생각중입니다.
@user-ou8hu6vs1b
@user-ou8hu6vs1b 10 ай бұрын
브라비오 4면제품인데 이것도 2년가까이 되니까 팬소음이 정차시에 고주파소음처럼 올라오네요 ㅜㅜ 머리가 아프고 신경이 쓰여서 그냥 순정 HID로 교체예정입니다. 돈이 좀 들어도 야간운전이나 우천시에는 4면이고 뭐고 안보입니다....,
@taehokim6670
@taehokim6670 10 ай бұрын
@@user-ou8hu6vs1b 아이쿠 그렇군요. 아직까지는 사제 LED램프들이 내구성확보에 문제가 있나보네요. 종합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냥 할로겐으로 쓰는게 가성비가 제일 좋은것같은 생각이 듭니다ㅠㅠ
@user-ou8hu6vs1b
@user-ou8hu6vs1b 10 ай бұрын
@@taehokim6670 맞습니다. 저처럼 오래된 차량은 순정HID구매해서 조사각 조절하는 장치도 구매 한 후 작업하는 정비소 찾아서 공임을 주고 설치해면 됩니다. 레벨조절이 가능하게 순정과 같이 장착을 하면 구조변경신청 안해도 된다고 합니다. 밝기는 뭐 비교불가입니다. 야간이나, 우천시에는 목숨이 중요하니까요..., 현명한 판단 하시길 바랍니다. 늘 그렇지만 저도 지금 고민하면서 조가각조절하는 부품과 공임까지 얼마인지 알아보는 중입니다. 라이트는 2짝 상태좋은거 20에 접촉중입니다. 저 제품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엄청 밝은 것처럼 느껴지는데, 야간이나 우천에는 순정할로겐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위험합니다..., 이래저래 한 50은 들어갈듯 합니다. 더위에 건강유의하시구요. 2중투자 하시지말고 꼼꼼하게 시간두고 알아보세요. 저도 이번에 차수리 하체에 돈 많이 들였는데 고주파소음이 갑자기 나서 자세히 살펴보니 실내로 고주파소음이 타고 들어옵니다. 라이트모터소리가..., 스트레스입니다.
@lys1011
@lys1011 2 ай бұрын
​@@user-ou8hu6vs1b 브라비오에는 4면제품 없습니다. 바이오라이트 아닌가요? 그리고 브라비오는 팬소음 없어용
@sole1115
@sole1115 Жыл бұрын
필립스 led 장착한지 1년이 좀 넘었습니다. 처음엔 괜찮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불빛이 흔들립니다. 발전기 전압도 괜찮고 실내등도 괜찮은걸 보니 내구연한이 길지 못한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일반 순정등보다 밝아 좋긴 하지만 카발로님이 말씀하신것 밤과 비오는 날의 가시성외에 한적한 시골길을 주행해 보시면 직선거리를 밝혀주는 길이가 순정보다 짧습니다. 그래도 3년이상만 버텨준다면 다시 구매할 용의는 있습니다. 필립스 아닌걸로요. ㅋ
@DER_REITER.
@DER_REITER. Жыл бұрын
브라비오 2년 썼는데 아직 잘되네요.
@minnesota-boston9620
@minnesota-boston9620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필립스, 오스람 사용하다가 가격때문에 중저가 사보았는데, 오래가지 못합니다. 1달에 고장나는 경우도 있고 부분적으로 고장나는 경우도 있고 결국 거의 죽어 버리더라구요. 아직은 브랜드 제품이다라고 생각했는데, 브랜드 제품도 좀 그런면이 있나 보네요.
@Team-Manager_Kim
@Team-Manager_Kim Жыл бұрын
브라비오 3년차 아직 잘쓰고 있어요
@marinecity138
@marinecity138 Жыл бұрын
3:14 그랜져hg 기본형 타보신분들을 알겠지만 할로겐 라이트 전구 무지하게 잘나갑니다. 짝눈으로 다니셨던분들 꽤 많을건데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오~ 그런가요? 13년식인데 최초 달고 있던 거 계속 쓰던 건데...운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yogurt2096
@yogurt2096 8 ай бұрын
마지막 커버에 구멍내서 배기 팬을 장착하면 훨씬 내구성이 오래갈듯 합니다
@caballo8583
@caballo8583 8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렇게 할 시에 내부에 먼지가 들어간다는 게...ㄷㄷ 역시 순정이 짱이긴 합니다
@CRPS2010GwangYong
@CRPS2010GwangYong Жыл бұрын
저도 지금 퀵하면서 9005 쓰는데 낮에 계속 다니는데 5개월째 계속 켜고 다녀도 아직 까진 약 1000시간 사용중인데 아직까진 좋더라구요 순정, 170% 150% 써봐도 밝기와 시간은 LED가 아직까진 괜찮습니다
@user-qp5sy1wg8e
@user-qp5sy1wg8e 6 күн бұрын
되도록 앞유리는 썬팅을 안하는게 야간 우천시 시야확보에 좋을듯싶습니다 그래서 저도 앞유리 썬팅을햇다 벗겻는데 지금은 별 문제없이 타고다니고 있습니다
@sumerTV
@sumerTV Жыл бұрын
아.. LED단점이... 딱 한가지 있습니다... LED전조등을 보호하는 커버가 없거나 제조시 고민하지 않으면.. 눈오는날 눈이 전조등에 쌓여서 앞이 안보여서 할로겐전조등보다 더 위험해질수 있다는 점입니다.. 토레스는 겨울에 눈오는날 주행하면 정말위험하다네요..
@user-cf9nk5ck9v
@user-cf9nk5ck9v Жыл бұрын
아하 그래서 온도 가 높힌거규나 똑똑해 역시 제조사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Ай бұрын
​@@user-cf9nk5ck9v아니요...걍 효율이 구려서 열로 낭비 되는건데 이게 또다른 장점으로 쓰이는것 뿐입니다 예시료 차량의 난방을 냉각수 시스탬에서 뽑아 쓰는것 처럼요...
@user-ct1nd8yv6r
@user-ct1nd8yv6r Жыл бұрын
1급 정비소 가서 튜닝인증 LED를 달던 전구를 바꾸던 해야 한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v5sb2pb7d
@user-ev5sb2pb7d Жыл бұрын
전면썬팅안한 모하비타고다닙니다 순정엘이디 차주분들이 가끔동승하면서 하는말 전조등 엄청밝데요 참고로 순정hid입니다 정어두운분들 썬팅제거해보세요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인증 받은 led전구를 하향등을 장착햇는데 상등 도 인증받은 led 장착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둘다 인증받아 등록증 부착햇는데 궁금합니다.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 상하향등을 같이 쓰는 차량(바이펑션이라고 하던데)은 가능한 인증 제품을 쓰시면 되는데, 상향등 전구 따로 있으면 거기에 LED 부착 시 불법이라고 들었습니다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Жыл бұрын
@@caballo8583 네 답변 감사합니다.역시 카발로님의 시원한 답변 정말 👍 최고 십니다.~^^
@jinyso11
@jinyso11 Жыл бұрын
led9012는 인증센터에서는 인증된게없다고하는데 판매하는곳에서는led9012인증된것있다고하는데 누구말이 맞는지몰으겠습니다
@987201zz
@987201zz Жыл бұрын
Led가 온도가낮다는건 토레스처럼 눈이많이오는날 눈이안녹을수도 잇다는뜻이군요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토레스는 눈이 쌓일 수 있는 형태인데, 어지간한 차는 그 정도는 아닐 거라 ㅎㅎ 하지만 그렇게 충분히 생각하실 수 있을 듯합니다 할로겐보단 led가 덜 녹겠죠 흐흐
@riderseo
@riderseo Жыл бұрын
광량미달로 검사 불합격해서 오토큐갔는데 hid는 무상수리 안해줌. 할로겐은 된다는데 이 무슨 거지 같은 경우? 똑같이 반사판 녹아서 야간 운전이 위험한건데? 기아차 진짜 정내미 뚝 떨어져요. 왜 hid는 안해주는지 명확한 설명도 안해줬어요. 그냥 할로겐만 해준대요.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HID니까 다른 재질의 반사판을 쓰겠지만은, 벗겨지는 건 매한가지인데 말이죠
@user-cn5us5ey4p
@user-cn5us5ey4p Жыл бұрын
사실 440도 올라가는 특별한 경우 아니면할로겐은 튼튼한데 비해 58도 올라가는 led는 너무잘터짐 3년이상가는경우 거의못봄
@user-ik5gi4sr3l
@user-ik5gi4sr3l Жыл бұрын
정부인증은 세금 빨아먹을라는 정부의꼼수
@daons2105
@daons2105 Жыл бұрын
바꾸실분들 비올땐 시인성 더 안좋아진다고 하더군요..아시고 교환들 하세요
@jjrooom
@jjrooom Жыл бұрын
LED는 야간 눈, 비 올때 최악이라서 그냥 할로겐 씀.
@zultub
@zultub Жыл бұрын
인증 LED 필립스나 브라비오 하세요.. 장착비포함 12만원입니다.. 2년 보증
@BearGryllsz
@BearGryllsz Жыл бұрын
할로겐 쓰면서 좋은점 딱하나... 뜨끈해서 눈이 다 녹아요 ㅎㅎ 이번에 토레스와 같은 전조등 눈막힘 사태는 절대없죠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그도 그러네요 ㄷㄷ
@CCu_CCu
@CCu_CCu Жыл бұрын
브**** 2년 쓰고 어두워져서 다시 순정으로 바꿧어요... 주간에도 켜시는분 끄고다니세요 .. 생각보다 금방 어두워쟈요
@wallofthehell
@wallofthehell Жыл бұрын
??? 왜 재업; 제 경우 요약드려요 - 인증제품인가도 중요하지만 오래 가는 놈 찾기 쉽잖음 - HID 용 LED는 4.3개월내 고장난다 뽑기 생각하시고 끼우시길. 근데 광량은 좋음
@loud_root7409
@loud_root7409 Жыл бұрын
뜨겁다고 하니 바꿔야될것 같기도.
@user-ee4gu2fh6m
@user-ee4gu2fh6m Жыл бұрын
야간 운전 눈까리 아파 죽겠씀 앞에 다 보이는데 쌍라이트는 왜 키고 다니는지 안보이면 썬팅을 벗기던가 안경을 쓰던가 운전대를 놓던가
@csh3102
@csh3102 Жыл бұрын
13년식 HG 3.0 순정 HID 달려있는 차 몰고 다니는데, 인증 LED로 교체할 수 없나요?
@machienshock
@machienshock 8 ай бұрын
전 걍 오스람 전구 대량으로 사서 1년마다 교체하는식으로 타고 있습니다. 불량품일경우 몇개월후 죽지만 잘 된거 전구 수명 죽을때까지 쓰다가 교환합니다. 대량으로 사놓으면 값도 싸고 LED 1년 쓸 가격으로 10년 쓸수 있습니다. 문제는 요즘 신차들 전부 LED 라이트를 내놓는 차량 경우 죽으면 전부 통으로 갈아야한다더군요 가격은 미쳤습니다 몇십에서 몇백입니다. 아무리 욕나와도 램프등이 그리운날이 올겁니다.
@Vgdgytiigve
@Vgdgytiigve 8 ай бұрын
인증led 전구 달았다 할로겐에 비해서 어두워서 다시 할로겐으로 교체함
@the_nd6522
@the_nd6522 Жыл бұрын
영상 재업...?
@Soso-vj9vm
@Soso-vj9vm Жыл бұрын
제발 led로 쓸꺼면 장착시 led패널이 3시9시 향하도록 설치좀…..
@user-fv3um2pi1g
@user-fv3um2pi1g Жыл бұрын
제일 좋은건...프라이버시고 뭐고 전면썬팅 제거하면 신세계가 펼쳐집니다. 전면 제거하고 측후방만 짙은거 해도 밖에서 안 잘 안보이더군요. 물론, 저도 누런 빛이 싫어서 필립스 led로 바꾸긴 했지요. 무튼, 밤이나 비오는날 운전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은 전면썬팅 농도가 얼마인지...욕심이 과했던건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저도 한때는 전면 5프로까지 했던 사람이네용. ㅎ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3 ай бұрын
중장비 전조등 LED 정품 비품 열 약하고 정품 ㅈㄴ밟아요 시간지나면 목장감이 타요~ LED 투명막도 녹고요
@user-dw8ey7xh8s
@user-dw8ey7xh8s 3 ай бұрын
3000k 노란색 led 제품정보 알려주세요
@kokkili
@kokkili Жыл бұрын
색온도는 5300-5700이 가장 적당함. 이 범위가 희고 밝으면서 사물이 잘 보이고 눈피로도 적은 범위임. 5천 아래는 덜 밝아보이고 6천이 넘으면 눈, 비, 안개, 수풀, 벽면 등 빛반사가 심해져서 오히려 뿌옇게나 흐리게 보이고 눈피로가 심해짐. 그저 색온도 높으면 좋은 줄 아는 무식쟁이들과 업자들의 상술로 상대방 차량도 자신도 눈피로에 시달리고들 있음. 형광등도 마찬가지로 몰라서 무식해서 그저 주광색만 쓰고들 있는 거지 알면 주백색만 쓰게 되어 있음.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Жыл бұрын
k5 1세대 부품 이제 안만드는것 같아요.. 모든 부품 사기가 힘듭니다.. ㅜㅜ 헤드램프 반사판이 맛탱이간것 같아서 교체하려고 사이트 뒤적거려봤는데..없어요 단종 되고 나서 부품 보유기간이 8년.. 2012년식 k5 1세대 는 부품이 이제 안나와요
@user-cu3ow3qe8t
@user-cu3ow3qe8t Жыл бұрын
led 전조등 수명이 그렇게 짧은지, 전구 교체가 불법인지 잘 몰랐습니다..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불법이라고 하지만 저처럼 영상 찍어서 스스로 증거(?)를 올리지 않는 바에는 괜찮을 것 같습니다 ㅎㅎ
@user-cl8zu7tj1b
@user-cl8zu7tj1b Жыл бұрын
요즘 LED 들 많이 하시는데 제발 눈뽕 엄청납니다. 다른차좀 생각하셔서 아래쪽 으로 좀내려주세요 하시는거는 상관없는데 앞차 눈뽕 사고의 원인입니다
@jj2j2002
@jj2j2002 8 ай бұрын
저 led라는게 실제로 밝아지는게 아니라 밝은것처럼 인지능력을 속이는 것이라서.. 좀 위험하죠. 할로겐으로 인지능력을 올린다는게 사실일겁니다.
@Vgdgytiigve
@Vgdgytiigve 8 ай бұрын
인증led 전구 달았다 할로겐에 비해서 어두워서 다시 할로겐으로 교체함
@user-jb3cs1ms9n
@user-jb3cs1ms9n Жыл бұрын
아무도없는곳에서는 밝은게 좋겠지만, 사람들있는데서는 의도치않게 눈뽕놓게되죠.. LED눈뽕맞으면 어질어질합니다.. 적당한 밝기로 규제하는게 맞다고봅니다. 심야LED간판도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Ай бұрын
진짜 지방간선 도로 야간 운전 하는데 주유소 LED 광고 간판때문에 눈아파 미칠 지경입니다...
@dltkd7008
@dltkd7008 7 ай бұрын
지금보니 무슨 아이언맨 아크원자로 같네요
@reppi7491
@reppi7491 Жыл бұрын
신차 사실때'그냥 순정 led 넣으시는게 정답일듯
@mdelicadoman
@mdelicadoman Жыл бұрын
살땐비싸지만 제일좋은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ㅎ
@user-pw5rz1wl7u
@user-pw5rz1wl7u Жыл бұрын
근데 LED다마 비싸서 엄두가 안나네요
@novicemaster
@novicemaster Жыл бұрын
LED 전구를 달 수 있는 차량에 대해서 말씀 드릴께요. 일단 H4 전구를 전조등으로 사용하는 차는 안 됩니다. 그리고, 오로지 하향등에만 달 수 있습니다. 규정에는 컷오프 선이 생기는 등화만 LED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이 컷오프 선이라는 건 하향등에만 생기거든요. 그리고, 승용차에만 가능합니다. 다만, 승용차와 헤드라이트 어셈블리를 공유하는 화물차는 장착 가능합니다. 즉, 봉고에는 달 수 없지만, 코란도 스포츠에는 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타렉스도 밴과 승합 모두 장착 가능합니다. 이런 규정을 잘 확인하셔서 장착하시면 돈들이고 불법을 저지르는 일은 안하시게 됩니다.
@inyun2209
@inyun2209 7 ай бұрын
프로젝션 라이트 만가능 즉 스타렉스밴 안됨
@hunjiking
@hunjiking Жыл бұрын
추천제품 있으면 부탁드립니다(__) k5 1세대인데 전조등이 안개등보다 구립니다 곧 검사인데 불합격 나올 것 같습니다
@_ALWAYS-
@_ALWAYS- Жыл бұрын
혹시 영상에 나온 길 양구가는길인가요??!ㅎㅎ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user-fv8xm1sx1k
@user-fv8xm1sx1k 5 ай бұрын
합법LED는 뭐가 다른지 알고싶네요. 합법이라는 이름을 달면 가격이 너무 올라서 의아함. 10만~20만원에 육박하는데 알리에선 1~2만원대에 파는걸 인증이란 이름을 달고 폭리를 취하는건 아닌지
@user-px9nx4rs6j
@user-px9nx4rs6j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HID에서 인증 LED는 못바꾸는거조??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네 못 바꿉니다 ㅎㅎ
@user-ts2xy4uq1d
@user-ts2xy4uq1d Жыл бұрын
악천후시에는 노란색이 더 잘보이는거 같아요. LED는 ㅠㅠㅠ
@caballo8583
@caballo8583 Жыл бұрын
그렇긴 합니다 ㅎㅎ LED가 점점 어두워진다는데, 설치 직후에는 정말 밝아진 느낌이라 좋더라구요
@Samdo_Air_Force_Tongjesa
@Samdo_Air_Force_Tongjesa Жыл бұрын
옛날차에 노란등이 잘 보이기는 했죠 어디서 본건데 노란색이 더 잘보이는 색이라고 본거 같아요
@shimeunseob
@shimeunseob Жыл бұрын
색온도 차이 & 빛의 파장 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때 화이트밸런스를 무조건 높인다고 사진이 이쁘게 나오지 않듯, 외부의 환경에 따라 색온도 차이로 보이는게 달라집니다. 옛날 전조등 기술이 없었던 때에는 안개등은 노란색으로 만들었던 이유도 그때문이였죠. 노란색의 빛은 넓은 파장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가까운 곳을 비출 수 있지만 푸른 빛에 가까운 흰색 빛을 내는 HID나 LED는 파장이 짧고 길게 뻗어서 일반적인 환경에서 빛이 멀리 뻗어서 잘보이는 것처럼 느끼고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제조사들이 6500K 이상으로 높이지 는 않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4-5천대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 좀 오래전에 배웠던거라 지금은 좀 달라졌을거 같은데, 영상에서 말하는 것처럼 틴팅이나 오래된 전조등(5년 이상)은 백화현상으로 전조등 내부의 크롬이 갈라져서 부스러지는 현상때문에 광량이 부족하기도 하구요. 틴팅이 진하면 비오는 야간운전에 매우 취약합니다 ㅠㅠ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GPXYT]에쿠스 VI 풀 LED 라이트 데이라이트 활성화 및 턴시그널 무빙(010-3084-6840)
1:32
글로우팩토리 용인 야무진튜닝
Рет қаралды 6 М.
할로겐과 LED램프 밝기 비교 /브라비오/H4/LED
6:12
아재러너
Рет қаралды 4,7 М.
H4 Installation/Replacement
0:22
H4H LED Headlight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비엠타는 공돌이의 K5 고질병 수리하기
15:16
비엠타는공돌이
Рет қаралды 35 М.
ТЕРМОСТОЙКИЕ шины ПОГРУЗЧИКОВ 😱 #Shorts
0:25
ФАКТОГРАФ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Como abrir a porta de um carro com ímã 🧲 #diy #tools #carros #shorts
0:23
БРОШЕННЫЕ АВТОМОБИЛИ В ДУБАЙ
0:39
AblyazovLIVE
Рет қаралды 39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