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형 슈퍼마켓, 홈쇼핑, 토종 편의점까지 최초로 만들었다? GS리테일 뭐 하는 곳임?🥄ㅣ돈슐랭 / 14F

  Рет қаралды 179,726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Күн бұрын

GS25에 붙은 ‘25’는 무슨 뜻일까
#GS리테일 #GS25 #비김면

Пікірлер: 207
@tee-d5w
@tee-d5w 6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때 집 앞에 LG25가 있었는데 추억이 방울방울이네요~ 이제는 회사 1층에 GS25가 있어서 매일 간식 사먹으러 갑니다 ㅎㅎ
@종로너구리-r4c
@종로너구리-r4c 6 ай бұрын
특별방송 스포츠경기 해서 정규방송 시간이랑 아다리가 안 맞으면 만화방송 보여줌 가제트 랑 개구장이 펠릭스 핑크팬더
@니맘네맘
@니맘네맘 6 ай бұрын
나어릴때는 집앞에 로손이 있었는데...
@kisstherain5221
@kisstherain5221 5 ай бұрын
저는 기억이 나는게 편의점 90후반 00초 탄산음료 컵사서 믹스시켜먹었던게 생각나요ㅎㅎ 그것 참ㅎㅎ 이젠 믹스섞어먹던맛도 기억이 안나지만요
@yunguso
@yunguso 6 ай бұрын
김밥님 항상 재미난 정보 감사합니다~
@Seaeeeee
@Seaeeeee 6 ай бұрын
편의점이 그렇게 많지만 지나친 경쟁과 필요이상의 신규점포 개업 물가상승 계약년수(최소 n년, 어길시 위약금) 등으로 최저시급도 못받으며 일하는 사장님들도 많음.. 물론 그런 알바들도 많고
@HK7K7
@HK7K7 5 ай бұрын
왜 사장이면 무조건 잘 벌어야하지....? 당연한거 아닌가 리스크 없는 사업이 어딨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eaeeeee
@Seaeeeee 5 ай бұрын
@@HK7K7 저는 사장이 아닙니다~ 무조건 잘벌어야한다고 한적 없어요
@키보드전사-q4k
@키보드전사-q4k 5 ай бұрын
모든 사업의 시작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그민큼 신중하게 생각하고 시작해야하구요.
@honeybucketad
@honeybucketad 5 ай бұрын
​@@HK7K7 뭘 잘벌어 사람 사는게 아닌데
@yoonjohnbap.j.5534
@yoonjohnbap.j.5534 5 ай бұрын
​@@HK7K7가맹점과 알바들 희생으로 편의점 본사만 배불리니 문제라는 거야! 거리 제한도 눈 가리고 아웅, 출점 경쟁으로 가맹점들 죽어나도 본사는 날로 번창! ㅉㅉ
@진진자라지리지리-s5h
@진진자라지리지리-s5h 5 ай бұрын
이렇게 모아두니까 더 재밌네요 🫢🫢
@지유나
@지유나 6 ай бұрын
초창기 편의점물건 가격은 살벌햇지 슈퍼에서 500원하던물건이 1000원~1500원이여서 그 당시엔 누가 비싸게 주고 편의점가서 사냐고 햇지 지금 편의점이 자리잡을수 잇엇던건, 그동안 서비스종류도 많아지고 점차 물건가격이 나름 합리적으로 변화한게 굉장히 컷다고본다
@doongmang2460
@doongmang2460 4 ай бұрын
요즘도 어르신들 중엔 편의점에서 물건 샀다고 하면 입에 거품 무시는 분들 꽤 계시더라구요 ㅎㅎ
@자곰ASMR
@자곰ASMR 6 ай бұрын
8:50 엄마 나 돈슐랭 나왔어😆
@자경단회장
@자경단회장 6 ай бұрын
@atom0347
@atom0347 5 ай бұрын
누군진 모르겠지만 ㅊㅋ~
@user-zi6s8qi1oa
@user-zi6s8qi1oa 6 ай бұрын
tmi 2:40 이 용산 청과물시장이 이사간곳이 현재의 송파구 가락시장이고 떠나간 자리엔 용산전자상가가 들어서게됨
@artish4452
@artish4452 6 ай бұрын
GS가 CU에게 영업이익도 뒤쳐졌고 총매출도 2위로 떨어질판이고, 손대는 족족 신사업부들 실패로 600억 손실 일으키고 있는데 영상은 되게 희망적이네요
@MrJwonl
@MrJwonl 6 ай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ㄱㄱㄱ편의점주 죽어나는거죠
@mtj4314
@mtj4314 6 ай бұрын
ㄹㅇ 편의점주들 극단적으로 몰려서 살자한다는 다큐도 나오는데 영상은 gs창업 홍보 영상급으로 밝음
@abcdefg-w8i
@abcdefg-w8i 6 ай бұрын
씨유보다 지에스가 모든면에서 우월해요..손님이나 점주나 동의하실듯
@MrJwonl
@MrJwonl 6 ай бұрын
@@abcdefg-w8i 얼마나 분위기파악도못하고 문해력딸리면 이런댓글다는거임?ㄱㅋㅋㅋㄱㄱㅋ
@자경단회장
@자경단회장 6 ай бұрын
​​​@@abcdefg-w8i 너 뭐 어디 지역장 출신이냐 내가 gs리테일출신인데 개소리야 자회사 늘린거 지금 싹다 말아쳐먹고 있는데 윗대가리들만 그딴소리하더만
@무릎팍타짱
@무릎팍타짱 6 ай бұрын
내가 가장 많이 소비 하는 곳도 GS25
@김진희-b7w
@김진희-b7w 5 ай бұрын
오 맨날 보던 GS25인데 이렇게 보니까 또 다르게 보이네요!! 재밌어요!!! 엘지25, 로손, 페밀리마트, 미니스톱 기억나요!! 다른 기분으로 혜자김밥 하나 사러갈까~
@jeeys34
@jeeys34 6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잘 애용해여 ㅋㅋㅋㅋ
@Fred-sw9xg
@Fred-sw9xg 6 ай бұрын
결국 GS25 홍보영상이 되었네요.
@TOTO-o1w7f
@TOTO-o1w7f 6 ай бұрын
LG25를 아는 사람이면 찐 라떼임 공중파 방송 시간 끝나면 삐ㅡ라는 소리와 함께 까만 화면이나 화면조정시간 기억해도 찐 라떼 난 오모리 라면 보다 김치 사발면을 더 좋아하는 찐 라떼....사실 오모리 라면이 뭔지도 몰랐음ㅋㅋㅋ
@ИосифХюн
@ИосифХюн 6 ай бұрын
LG25 와.. 정말 오랫만에 듣습니다.
@hy20120
@hy20120 6 ай бұрын
한국 편의점: 구멍가게 사이즈로 많이 만들기 일본편의점: 큰 마트 사이즈로 많이 만들기
@hjcho-n4y
@hjcho-n4y 6 ай бұрын
편의점에 없는게 없는 세상이네요. 요새 슈퍼가는일이 없어졌어요
@보리꼬리-y5s
@보리꼬리-y5s 6 ай бұрын
대단지 아파트 동네 1키로 내에 gs25가 5개네요 새로 생기기도 했지만 많긴 진짜 많아요 무조건 늘리기 보단 요즘엔 택배 커피 다 되는 매장을 위주로 정리 좀 하면 좋겠어요ㅠ 나만의 냉장고랑 반값택배는 쓸 때마다 감탄합니다 지에스 커피도 최고예요 리테일...이직하도 싶다ㅠ
@군필마법소녀-z1i
@군필마법소녀-z1i 6 ай бұрын
편의점 많아서 편하긴 함...편의점에서 택배도 보내고 받고...다함..
@송병주-d2p
@송병주-d2p 6 ай бұрын
Gs25홍보영상 느낌이지만 반값택배랑 혜자도시락은 정말 대단한 서비스와 상품인 듯 해요.
@크라마리치-k6m
@크라마리치-k6m 6 ай бұрын
CU한테 밀리기 시작하니까 GS리테일이라면서 GS25 PB상품만 책상에 가득 올려두고 홍보하기 바쁘네요ㅋㅋ
@큐브-r6y
@큐브-r6y 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씨유점장님^^
@여행가는거좋아
@여행가는거좋아 5 ай бұрын
요즘은 cu가 열일하는거 팩트
@Praise_The_Sun_
@Praise_The_Sun_ 5 ай бұрын
​@@큐브-r6y댓글목록 다 편의점관련인거 보니 님이 점주네요 페미편의점 GS점장님 ㅋㅋㅋㅋ
@0807cool
@0807cool 6 ай бұрын
GS25 커피 괜찮음 😊
@twothreeoneguri
@twothreeoneguri 4 ай бұрын
진짜요?? cu는 좀 실망했는데 gs꺼 먹어봐야겠네욥
@오태식-q9x
@오태식-q9x 5 ай бұрын
공화춘 짜장 짬뽕도 있죠 알바시절에 맛나게 먹었던 기억이..
@신사임니당-w2y
@신사임니당-w2y 6 ай бұрын
알바가 모르는 서비스를 손님이 요구 하는 경우도 많음 ㅋㅋㅋㅋㅋ 아,, 잠시만요.. 하고 찾아 보던게 생각나네 ㅋㅋㅋㅋ
@Noranggochi
@Noranggochi 6 ай бұрын
장미칼이나 도깨방망이 같은거 홈쇼핑에서 사던 시절 아시는분?ㅋㅋㅋ
@Mr.k201
@Mr.k201 6 ай бұрын
에이 할아버지 농담도 잘하신다
@나는원혁
@나는원혁 6 ай бұрын
에이 농담 하실 거면 박명수가 홈쇼핑에서 흑채도 팔았다 하지 그래요?
@lightlow1333
@lightlow1333 5 ай бұрын
@@나는원혁ㄹㅇ??
@정재혁-h9m
@정재혁-h9m 5 ай бұрын
94년도에 엘지25 대공원점에서 일했었져~~ㅎㅎ 회사 직영점 이였는데 많은 추억이 있습니다!^^
@걸어서독도까지
@걸어서독도까지 6 ай бұрын
삼김, 도시락은 지에스지
@pup5355
@pup5355 5 ай бұрын
밥맛없을 때 먹는 오모리 + 햇반..😊
@EDGERODS
@EDGERODS 5 ай бұрын
어릴적 편의점에서 슬러쉬판매했을때가 즐거웠지... 그 슬러쉬도 안사주셨는데ㅜ
@노을빛눈물
@노을빛눈물 6 ай бұрын
치킨에 이어 편의점까지.........
@nerdnodkim
@nerdnodkim 6 ай бұрын
솔직히 오모리랑 혜자 넘사긴 해
@조대경-e1d
@조대경-e1d 5 ай бұрын
기본적으로 햄버거 샌드위치 김밥은 gs꺼가 맛있음
@lol4487
@lol4487 6 ай бұрын
GS25 월급날에 이거 보는 편붕이들 개추 ㅋㅋ
@TheLast20thBoy
@TheLast20thBoy 6 ай бұрын
Lg25.. 진짜 추억 그 자체ㅠㅠ (처음 들어봄)
@YoonSeok-km5yp
@YoonSeok-km5yp 6 ай бұрын
오 럭키슈퍼 ㅎㅎ 토종 브랜드!!
@네오범버맨
@네오범버맨 6 ай бұрын
옛날 편의점에서 슬러시랑 음료 받아서 먹는거 엄청 좋았었는데. 다시 부활 안되나.
@nathanlee4742
@nathanlee4742 5 ай бұрын
BGF리테일도 해주세요
@24HARAM
@24HARAM 6 ай бұрын
꿀울잼😊
@jjjj-xs3sd
@jjjj-xs3sd 6 ай бұрын
맥도날드보다 많은거 개신기하네ㅋㅋㅋ
@오배건-g8z
@오배건-g8z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치킨집도 전세계 맥도날드 매장수보다 많다고 하더라구요... ㅎㅎㅎ
@kaylee5717
@kaylee5717 5 ай бұрын
국딩때 동네 번화가에 LG25가 처음 오픈했고 그때 먹은 슬러시는 내가 먹던 학교앞 슬러시와 다른 부드러움이어서 놀랐죠......
@djing
@djing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치킨집도 전세계 맥도날드매장보다 많습니다
@pigorcdarkness6852
@pigorcdarkness6852 6 ай бұрын
나만의 냉장고 장점이 내가 먹고 싶은 도시락 주문해서 먹을수 있다는게 편했음...
@OdessaStone-z4e
@OdessaStone-z4e 5 ай бұрын
평균의 함정... 연매출 6억 안 나옵니다... 점바점인데 잘 되는 몇몇 곳들이 멱살잡고 평균을 끌어올렸네
@Hioragi
@Hioragi 5 ай бұрын
증정품을 앱에 보관하는 거 참 편리했는데
@송송-s3e
@송송-s3e 6 ай бұрын
편의점의 시대는 끝났다..지금의 가격을보면 더 이상의 미래는없다
@조형탁-s2l
@조형탁-s2l 5 ай бұрын
GS25 홍보팀 연락처 좀 알고 싶습니다.
@danielbear0601
@danielbear0601 5 ай бұрын
국내 최초의 홈쇼핑은 GS가 아닌 CJ입니다. 첫 방송은 뻐꾸기 시계였구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부정확한 정보가 있어 글 남깁니다.
@nerdnodkim
@nerdnodkim 5 ай бұрын
둘다 같은 시기에 시작했다구해여 설립일은 GS가 빠르구
@TheDansasi
@TheDansasi 5 ай бұрын
근데 일사엪 형은 왤케 모르는게 없어?
@뭘보니-t8b
@뭘보니-t8b 5 ай бұрын
한국 편의점 알바는 헬이야
@koreabank
@koreabank 6 ай бұрын
비디오 대여도 했었구나 몰랐네
@irionshelter.
@irionshelter. 5 ай бұрын
;;; gs편의점 점포당 연매출이 6억이 넘는다고?? 월매출이 5천이 넘는다는건뎈ㅋㅋㅋㅋㅋㅋㅋ 말이안됨
@김만휘-h1w
@김만휘-h1w 6 ай бұрын
편의점보다 많은 부동산중개
@yoontee79
@yoontee79 6 ай бұрын
ㅎㅎ GS갑질도 취재해 주세요! 후원 받고 하지 말구요.
@user-cd9ye4sj9o
@user-cd9ye4sj9o 5 ай бұрын
Gold Star GS 25 삼성동에서 퇴직한 이저씨 창업했는데 1년정도안에 근처에 GS25 3개생김 CU나 세븐일레븐은 일정거리떨어진곳에 있는데 그 아저씨 비로폐업하셨죠 옛날 여의도 서울역이런곳에 한양슈퍼마켔있었죠 한화그룹에서하는 울나라 편의점역사라면 훼미리마트 CU변경 울동네는 편의점보다 병원약국이 더많다는
@김용겸-b4r
@김용겸-b4r 6 ай бұрын
GS는 그 손꾸락 한방에 영업이익 매출 전부 맛이 갔더만....
@이한짤
@이한짤 5 ай бұрын
편의점 만능이지
@realongs
@realongs 6 ай бұрын
😊😊😊
@Extra-Train
@Extra-Train 6 ай бұрын
범LG가는 도대체 뭐하는 그룹이냐..
@sun_lions_el3
@sun_lions_el3 6 ай бұрын
하지만 교통카드 충전은 현금만 지불 가능하죠;; 그래서 매번 교통카드 충전할 때 은행가서 충전합니다
@hdd720
@hdd720 6 ай бұрын
근데 왜 주가는 개판임??? 시바 -30퍼야 어떻게 해봐 좀
@Nightbot_119
@Nightbot_119 5 ай бұрын
김바비님은 밥이 맛있나요 빵이 맛있나요
@mmuanbag9618
@mmuanbag9618 6 ай бұрын
맥도날드 수 보다도 많다? 편의점 만? 커피숍: ?? 미용실: ?? 기독교: ??
@ktpark222
@ktpark222 5 ай бұрын
GS 정말 좋음. 가난했던 대학생 시절 슈퍼든 편의점이든 정말 잘 이용했지. GS편돌이도 했었는데 한정 상품이나 행사 쏠쏠히 잘 이용했음.
@redprisoner
@redprisoner 6 ай бұрын
GS25 가끔 사먹긴하는데 아직도 여전히 반성없는 그 르노사태 손가락은 지금이라도 머리박아서 반성해라
@footstep002
@footstep002 6 ай бұрын
gs편의점은 그럭저럭 사업이 유지되는 것 같은데 아무래도 gs 슈퍼마켓은 이젠 이마트와 이마트 에브리데이에 콤보로 치여서 잘 살아남질 못하는 것 같더군요. 가보면 고객 수가 확떨어지는게 바로 눈에 보이더니 결국 문을 닫는 모습도 최근 봤습니다.
@fall9781
@fall9781 6 ай бұрын
손가락 장난이후 다시는 안감
@강정우-z1w
@강정우-z1w 5 ай бұрын
더프레시는 근거리 쇼핌최강자임 가맹점하고싶다
@Tube-xt3yd
@Tube-xt3yd 6 ай бұрын
통신사 1+1 할인 내놔~~~ ㅠㅠㅠㅠㅠ 이제 이마트 24만가야겠군요 ㅠㅠㅠㅠㅠ
@skid631
@skid631 6 ай бұрын
영업을 개판으로 하는거지, 지점을 뭣 같이 늘려서 본사만 돈 버는 구조
@MrJwonl
@MrJwonl 6 ай бұрын
편의점주 곡소리나는소리 장난아닌데ㅋㅋ 돈무새채널은 돈받으면 다하는구나싶네요
@cooing6162
@cooing6162 6 ай бұрын
@oo6223
@oo6223 6 ай бұрын
진짜 김바비님이 해주시는 얘기는 귀에 쏙쏙 잘 들어오네요 항상 이런 저런 재미있는 정보나 이야기 잘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__)
@hyuni1226
@hyuni1226 6 ай бұрын
편의점 수가 많다, 치킨집 수가 많다, 커피숍 수가 많다 등등 뭐가됐든 수가 많은 것은 그 만큼 수요가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지금도 수 많은 자영업자들이 폐업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많은 수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버틸만 하나거나 기대 만큼의 수익이 나온다는 것이겠지요. 5년 전에도, 10년 전에도 카페 수가 너무 많다 과포화 상태다 했지만 지금도 엄청나게 생겨나고 있죠. 다만 10여 년 전에 유행했던 많은 카페체인점이 망하고 사라져 새로운 브랜드로 대체됐다는 점이 차이라면 차이겠네요. 카페베네가 카페프랜차이즈 점유율 1위일 당시 여기저기 너무 많아 바퀴베네라는 오명을 뒤집어 썼는데 지금 점유율 1~3위의 커피체인점 수를 보면 카페베네는 귀여운 수준이었습니다. 편의점이 한 골목에 몇 개씩 있다 나무 많다 해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나쁠 이유가 없죠. 경쟁하는 자영업자 입장에서야 죽을 맛이겠지만요. 경쟁이 심화돼 망하면 망하는대로 새로 생기는 수와 맞물려 절대적인 수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 만큼 수요가 있으니까요. 수요가 없으면 점포의 수는 자연스럽게 사라지지 않을까요.
@kikihaha5879
@kikihaha5879 6 ай бұрын
수요가 있어서 생기는것보단 그거말고 할수있는게 없는 퇴직자가 많이 생기는거죠
@TheDiscoveries50
@TheDiscoveries50 5 ай бұрын
수요의 문제보단 프랜차이즈 개발팀의 사탕발린 장밋빛 미래와 나는 성공하겠지라는 막연한 자영업자의 콜라보. 정작 진입하면 반이상은 망하죠. 소비자랑 본사는 행복하겠지만,, 진입하는 사람과 이미 자리잡고있던 사장님은 죽어나죠
@김바키-v7x
@김바키-v7x 5 ай бұрын
전혀 아님...ㅋㅋㅋㅋ호구가 많은거지 안된다 안된다 해도 그냥 답정너로 하겠다 사이비 종교에 빠진거 마냥 그냥 무작정 차린다는데 말리지도 못하고 gs담당자 말만 굳게 믿고 ㅋㅋㅋㅋㅋ그래...차려라 이러는거지 ㅋㅋㅋㅋ님 다단계 사이비 좌파 세뇌 개딸 한번 설득해보셈 ㅋㅋㅋㅋㅋ안돼~
@hyuni1226
@hyuni1226 5 ай бұрын
@@kikihaha5879 퇴직하신 분들도 생각하겠죠. 뭘 해야 입에 풀칠이라도 할까. 결국 수요가 있는 업종을 선택하기 마련이지 않을까요. 이런 이유 저런 이유 다 가지고 와도 장사라는건 결국 수요가 있는 곳으로 쏠릴 수 밖에요.
@hyuni1226
@hyuni1226 5 ай бұрын
@@TheDiscoveries50 저도 사업 두번 말아먹고, 장사하다가 경기가 안좋아져서 투잡 뛰고 있는 사람으로서.. 나는 잘 되겠지, 나는 안망하겠지 하는 막연한 생각과 이유없는,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인해 망하는 사람이 엄청 많죠.. 백종원님 나오는 방송만 봐도 와.. 망할 수 밖에 없겠는데? 싶은 사장님들 많이 나오죠. 너무 냉정한 말 아닌가 싶을 수 있는데.. 망할 만한 사람은 망해야해요. 저도 사업 두번 망해본 사람이라 할 수 있는 말이기도 하지만요.. 프램차이즈의 사탕발림 진짜 문제있죠. 문제가 있는것은 맞지만. 한두푼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수천 수억 들어가는 사업에 생판 모르는 남 말만 믿고 달콤한 상상만 하다가 멋 모르도 장사 시작하는 사람들도요.. 프렌차이즈의 문제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비 창업자가 진짜 질 따지고 공부해야 맞는거에요. 자식들한테는 돈 헛투로 쓰지마라, 이런건 왜샀냐 잔소리 벡번은 더 하셨을 부모님 세대가 왜 본인 수천 수억원 들어가는 일에는 안따지느냐고요. 이것은 이것대로 문제지요. 제 부모님한테도 늘 하는 말입니다. 너무 냉정하게 말하는게 아닌가 싶을 수 있는데 이런 내용의 글에 달콤한 사탕발림만, 듣기 좋은, 보기 좋은 말과 글은 아무 영양가 없을거에요. 과거 창업관련 업계 영업직으로 8년 일했어서 이런 내용에 좀 예민한 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결론은 예비창업자 분들, 자영업자 분들 걱정하는 마음에 하는 말이니 좋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spy458
@sspy458 5 ай бұрын
그러던 GS가 🤏🤏 으로 셀프 나락을 😊😊😊😊
@종로너구리-r4c
@종로너구리-r4c 6 ай бұрын
기름 정유소 화재낸곳 GS
@seoulkorea.
@seoulkorea. 11 күн бұрын
토종 편의점 cu gs25 이마트24 세븐일레븐만 외산 편의점
@bigsize00
@bigsize00 5 ай бұрын
제가 일했던 곳이네요 gs리테일 👍 마지막 연수 대명리조트가 아직도 생각 나네요 😂
@duddkfahtsewon
@duddkfahtsewon 5 ай бұрын
김밥 님도 공화춘 꼽으실 거 같은데!
@kihiss1323
@kihiss1323 5 ай бұрын
그냥 맥도날드가 생각보다 적은거 아녀?
@투덜이-g3i
@투덜이-g3i 5 ай бұрын
근데 편의점 너무비싸요~ 물티슈100매 히나가 3000원, 소주도 300~500원섹 더받고. 전 담배나 더시락 외에는 편의점 이용 안합니다,
@kakalotto
@kakalotto 5 ай бұрын
당연한거지 ㅋㅋㅋㅋㅋ 편의점이 무슨 할인마트인줄아나
@투덜이-g3i
@투덜이-g3i 5 ай бұрын
@@kakalotto 당신도 편의점 높은가격에 질린적 없엇수? 난 님이 얘기한 그 팩트가 아니거든? 생각좀 하시구려,..
@unnamed9065
@unnamed9065 6 ай бұрын
하지만 대세는 CU
@LemonFrult
@LemonFrult 5 ай бұрын
대형마트오면 시장 망하거 대기업 독점한다던 말도 안되는 헛소리는 슈퍼 망하고 대체된 편의점으로 설명이 가능하죠. 슈퍼보다 더 비싸지만 그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편의성. 때로는 오래된 것들은 망할수있도록 가이드해줄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특히 시장 말이죠
@rainspell3226
@rainspell3226 6 ай бұрын
반값택배는 본사입장에서는 손안대고 코푸는 효자 상품이겠지만 점주들에겐 애물단지 그 자체. 공간도 협소한테 반값택배 보관했다가 랜덤으로 오는 손님들에게 전달해주려면 잔일이 얼마나 많은지 모르는 듯.. 물건 없어지면 물어줘야 하고 .. 아주 지랄같은 상품!
@송이초코-s9g
@송이초코-s9g 6 ай бұрын
한집걸러 편의점 생존하기 힘들죠
@종로너구리-r4c
@종로너구리-r4c 6 ай бұрын
왕국 점주는 지옥이다
@종로너구리-r4c
@종로너구리-r4c 6 ай бұрын
허씨네 아이들 10대 주식부자 순위 싹쓸이 키즈들 지금은20ㄷ대
@흔한성씨서울사람
@흔한성씨서울사람 6 ай бұрын
PB상품이라고 하니까 함박웃음이 생각남 마트에서나 팔 법한 게 편의점에서도 팔길래 뭔가 싶었음
@천서김
@천서김 5 ай бұрын
이 채널에 돈먹였네 ㅋㅋㅋ
@dfgdfgd9sg93
@dfgdfgd9sg93 5 ай бұрын
일본 인구가 1억2천에 편의점 5만1천 개 카페 3만개인데 한국은 5천만 인구 일본 절반도 안되는 영토에 편의점을 5만3천개 카페를 11만개 싸질러놨음 그냥 유사국가임
@몽중유람2000
@몽중유람2000 5 ай бұрын
ssm이 홈플로 따지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그런곳인가?
@정민영-b8d
@정민영-b8d 6 ай бұрын
응 그 손가락^^
@OO-ri8ow
@OO-ri8ow 5 ай бұрын
나 어릴때 우리동네 편의점 딱 하나 있었음 반포대교 밑에
@q07060
@q07060 6 ай бұрын
주택가나 상가도 아니고 그냥 좀 외진곳에 차타고 지나가다보면 있는 편의점들은 매출이 있나? 한시간에 두세명도 안올거 같던데..
@changkuit
@changkuit 6 ай бұрын
LG25 슬러쉬 지렸는데
@monigizer
@monigizer 5 ай бұрын
이번에 GS리테일이 요기요를 인수하면서 GS 마켓이나 GS25를 마트배달지로 쓰더라구요 지역마다 물류센터 하나만 있는 배민보다도 빠르고…
@yong-taepark1297
@yong-taepark1297 6 ай бұрын
맥도날드는자본금이몇십억있어야지 매장내어주고 편의점은뭐 자본금그닥 많이안드니 본사나눠먹기로 매장많은거아닌가요
@atom0347
@atom0347 5 ай бұрын
나만의 냉장고는 초창기부터 사용했고, 아직도 나냉에 저장해서 쓰는 중. CU나 이런곳은 이렇게 좋은걸 왜 도입 안 하나? 하면서 한동안은 아예 이용을 안 했음. 이젠 나냉 없으면 편의점 이용 못 할 정도 (ps. 수퍼의 유례가 럭키수퍼였다니?! 헬빠는 오늘도 햄볶합니당~♡) (ps2. 폰 사업도 접었으니 이젠 헬지도 역사 속 밈이려나?)
@LIFT00
@LIFT00 6 ай бұрын
편의점만 많겠어? 치킨집도 많고 교회도 많음
@이이-g9r
@이이-g9r 5 ай бұрын
편의점이 맥도날드보다 많다는게 딱히 좋은소리로는 안들리는데 ㅋㅋ
@bibimgugsu9236
@bibimgugsu9236 6 ай бұрын
GS 망해라... 진짜.. GS 네트윅스 물류센터 최저임금에 최악의 근무지임...
@썸원랜덤
@썸원랜덤 6 ай бұрын
소주 깨트린 진상을 발견한 점주님처럼 달려왔습니다
@user-lf8zn9tk8l
@user-lf8zn9tk8l 5 ай бұрын
주가는 할인하지마요 제발😢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도대체 바다는 왜 짠 걸까?
12:23
짧게 보다
Рет қаралды 63 М.
통가해저화산폭발
2:18
HANKANG River
Рет қаралды 480
유럽 해외취업 도전기 - [11]
28:27
캡틴따거 Captain Brother
Рет қаралды 261 М.
Korean pear drink #pearcan #갈아만든배 #idh
1:01
고랩스 GoLabs
Рет қаралды 311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