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902,552
KBS “방사능은 국경이 없다” (2011.06.07 방송)
☢️치유되지 않은 상흔...계속되는 방사능 누출 공포
우크라이나 체르노빌에서는 콘크리트 석관으로 봉합한 사고 원전에 균열이 생겨 9억 9천만 유로 (1조 5천억 원)를 들여 야구장 2개가 들어갈 정도의 거대한 돔으로 둘러쌓는 초대형 공사가 진행 중일 정도로 원전사고의 후유증이 아직도 큰 상황.
원전 제어실은 여전히 핵연료봉이 보관돼 있는 원전 1,2,3호기의 수조를 24시간 모니터를 통해 감시하고 있는 등 위험한 상황에 대비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오염이 가장 심한 ‘붉은 숲’지역의 평균 방사능 농도는 10마이크로 시버트로 평균치의 100배를 넘고 있는데, 붉게 변해버린 소나무와 말라 비틀어진 가지들이 폐허로 변한 도시를 상징하고 있다.
☢️’하얀 러시아의 검은 상처’...벨라루스의 방사능 피해
국제사회는 원전사고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에 상당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이웃 벨라루스는 정작 우크라이나보다 체르노빌 방사능의 타격이 더 컸음에도 그 사실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방사능 피해로 지금까지 고통 받고 있다.
아직도 벨라루스는 전 국토의 23퍼센트가 세슘137에 오염돼 있다. 고멜 등 오염지역의 어린이 4만여 명은 매년 한 달 동안 전문치료센터에 입원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
고멜의 오염지역은 대부분 출입이 금지돼 있고 그나마 오염이 심한 곳에는 갈 곳 없는 노인들만이 살고 있다. 이들을 돌봐야 하는 의료기관들은 세슘에 오염된 흙을 모두 파내고 새로운 흙으로 교체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이곳에선 환자들을 전문적으로 돌볼 수 없어 대부분 수도 민스크로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신속한 정보공개와 대응...피해를 최소화한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남서쪽에 위치해, 체르노빌 사고 당시 바람의 영향으로 피해가 없을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체르노빌 방사능이 방향을 바꾸자 서유럽 국가 중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사태파악 이후 신속하게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어린이들의 모래나 흙 놀이는 물론 채소나 과일 섭취도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원전사고 이후의 건초는 젖소가 먹지 못하도록 하는 등 까다롭게 야외활동과 식품 섭취를 제한해 비교적 방사능 낙진의 피해를 최소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정부의 대응과 방사능 피해규모의 상관관계는 입증하긴 어렵지만, 체르노빌 사고 이후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내고 있는 유엔 방사능 과학위원회(UNSCEAR)는 원전사고 이후 어린이 갑상선 암 환자가 최대 100배 이상 증가했으며, 방사능 낙진 피해지역에서 우유 등의 섭취를 제한했다면 충분한 예방 조치가 됐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현재 진행형' 후쿠시마...지금 한국은?
기상청은 바람의 방향 때문에 앞으로도 후쿠시마 방사능이 한반도로 밀려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상학자들은 장마가 있는 시기에 소량이나마 방사능 피해가 있을 수 있다고 전망한다.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확산 여부와는 별개로, 국내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일반인들이 알고 있어야 할 대응 수칙이 없다는 점, 유사시 대피기준이 일본보다도 높다는 점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피폭 #격납고 #핵연료봉 #후쿠시마 #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