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은 왜 쉬는가

  Рет қаралды 1,961,979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5:15 왜 쉬는가?
5:15 ~ 산업구조 전환에 성공하지 못한 대한민국의 눈물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5 000
@user-ko6ij9bf8b
@user-ko6ij9bf8b 4 ай бұрын
힘들고 더러운 일을 하면 돈을 더줘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공부못한 벌을받는다라고 인식함
@wgyybrdsb
@wgyybrdsb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user-ko6ij9bf8b
@user-ko6ij9bf8b 4 ай бұрын
@@wgyybrdsb 그렇잖아요 전부다 서울대가고 의사할수는 없는데
@Abiyoggu
@Abiyoggu 4 ай бұрын
할 사람이 없으면 임금이 올라야는뎅 싼 외노자 적극적으로 데려와서 싸게 부려먹다 한국 기술자들 은퇴하면 외노자들이 단가 올림.
@cchocopie
@cchocopie 4 ай бұрын
미안한 얘기지만 그런 2차 3차 직업군들은 외국도 단가가 낮긴하조
@lk-pr5yw
@lk-pr5yw 4 ай бұрын
핑계구실이야 끼워맞춰서 시끄럽게 떠벌리면 그만
@user-fs1wv8zw4s
@user-fs1wv8zw4s 4 ай бұрын
이번 편의 한줄 요약 "산업구조는 저개발국, 중진국인데 인력구조는 선진국인 형태라 사회가 효율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태다." 슈카형의 통찰력 굳!
@enchou9801
@enchou9801 4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 기사보면 한국이랑 완전 똑같은 현상에 더 심하더라
@izumiaco5079
@izumiaco5079 4 ай бұрын
"개ㅈ도 없는데 눈만 쳐높아짐" 이라고 하면 됨?
@user-tq1qd1dd1b
@user-tq1qd1dd1b 4 ай бұрын
​@@accountnew-lo8fu 정답~
@rlawjdan22
@rlawjdan22 4 ай бұрын
@@izumiaco5079 다 대학 보내고 너 공장가서 평생 살아 하면 현타오지 ㅅㅂㅋㅋㅋ
@Staatssi
@Staatssi 4 ай бұрын
@@izumiaco5079 개나 소나 대학교를 쳐 가니깐 당연히 공장에 사람을 못 구하지 ㅋㅋㅋ
@ksh3561
@ksh3561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차별을 심하게 하는 나라임. 흔히 말하는 펜대 굴리는 직업만 최고로 대우해주는 나라고. 그 외의 직업은 은근 무시하고 하대함. 부모님들도 이걸 아니까 애들을 다 대학교 교육까지 시키고 좋은 직장 들어가길 바람. 이렇게 되니 모두가 원하는 직장은 다 똑같고, 그러니 경쟁이 존나 치열해짐. 그렇다보니 말도 안되게 높은 스펙을 요구함. 그러니 청년들이 대학교을 졸업하고도 취업준비로 20대를 다 보냄. 30대 초반에 겨우 취업해도 모아둔 돈이 없어서 연애와 결혼을 못함. 집값은 넘 비싸서 은수저 아니면 결혼은 꿈도 못꿈. 눈을 낮춰서 들어가면 쉬는날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복지라곤 전혀 없고 근로자를 거의 노예부리듯 일시키고 월급은 적음.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몸에 병이와 병원 다녀야함.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자 들어가는 직업이 아닌 직업의 사람들의 근로 여건과 복지를 크게 개선해야함. 사짜 들어가는 직업이 아니여도 누구나 다 비슷한 수준으로 행복하게 살수 있어야함. 기술직하대, 농어업, 상업하대. 이런 나라는 결국 망할수 밖에 없음. 이미 망했음.
@gogogo587
@gogogo587 4 ай бұрын
내가 다니는 흔한 ㅈ소 말하네 😢
@user-db2ox5ri7o
@user-db2ox5ri7o 3 ай бұрын
그건 아님. 팬대 굴리는 직업만 선호하는건 부모세대 이야기고 젊은 층들은 육체노동해도 돈 많이 주면 오케이임. 문제는 육체노동이든 사무직이든 노동 강도에 비해 수입이 쥐꼬리만하단한거지
@hyj9432
@hyj9432 2 ай бұрын
헛소리를 길게쓴다고 사실이 되는게 아니야
@ksh3561
@ksh3561 2 ай бұрын
@@hyj9432 니깟게 사실이 아니라 한다고 사실이 아닌게 아니야^^
@ksh3561
@ksh3561 2 ай бұрын
@@user-db2ox5ri7o 엥 반대로 이야기 하시는것 같은데…? 육체노동도 마다하지 않으시는게 부모 세대아님??? 우리 세대야 다 대학교 나오고 석박사들 많으니 펜대굴리는 직업 선호고…
@Never-give-up-21
@Never-give-up-21 4 ай бұрын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격차 미국 : 100 : 88 일본 : 100 : 88 한국 : 100 : 50 한국 중소기업이 미국 일본보다 못한 80정도만 줬어도 청년들이 대기업갈려고 취업재수하고 중소기업을 외면하지 않았을꺼야 취업재수하는 청년들이 눈이 높은게 아니야 돌아가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나마 살길이라 생각하는 선택을 하고있는거다
@ppppp9657
@ppppp9657 3 ай бұрын
imf전까진 7~80%정도 됐다는데 imf 이후로 부터 달라졌다라고 하더라구요
@whdhiwjrhhd8355
@whdhiwjrhhd8355 2 ай бұрын
일본 88맞음? 일본 좆소 돈 개적은데
@MS-eb8ps
@MS-eb8ps 2 ай бұрын
이윤이 남아야 월급을 더 주지. 자꾸 징징거리지 말고 현실을 보세요.
@ykalivew5065
@ykalivew5065 2 ай бұрын
​@@MS-eb8ps안징징거리고 한국뜹니다 수고요ㅋㅋㅋ 그런마인드면 한국 청년 다 뜨고 손해보는건 니들세대입니다~
@juri11710
@juri11710 2 ай бұрын
@@MS-eb8ps그래서 출산율 박살나지 않았음, 외노자 들여오는것 말고는 중소기업은 방법 없음. 개선하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기에, 그런데 외노자 투입하면서 살려줄 가치가 있는가? 의구심을 가져야함. 외국인 투입다 국민들 세금으로 하는것이니까. 그런데 그런 기업들은 구조조정 되서 망해야 하는게 맞는건데 계속 지원해주는건 국가적 낭비
@user-it5zl7tn9h
@user-it5zl7tn9h 4 ай бұрын
공기업, 대기업, 공무원, 전문직, 행원, 교사, 중견기업 등 진입장벽이 높고 고용안정성이 높은 상위 20%의 직업이 아니면 루저로 보는 사회적 인식이 청년들을 동굴로 보내고 많은 것들을 포기하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지..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구조가 바뀌면 바뀌는데 그럼 다 같이 공멸하니까요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4 ай бұрын
중견기업 빼라 어딜껴 ㅋㅋ
@izumiaco5079
@izumiaco5079 4 ай бұрын
중견기업 빼야함. 급여가 대기업 같지 않은데 명퇴도 더 빨리 당하잖음.
@user-qx7og9fx5w
@user-qx7og9fx5w 4 ай бұрын
중견까지 넣으면 상위40퍼됩니다
@izumiaco5079
@izumiaco5079 4 ай бұрын
그리고 교사 빼야지. 공무원 박봉에 교권 추락해서 뭣도 없는 판인데
@eclipseoo46
@eclipseoo46 4 ай бұрын
5분 지각은 한번만 해도 쓰레기 취급 하면서 엄격해도 30분 일찍 공짜 노동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사회
@user-eb2uk8zq2w
@user-eb2uk8zq2w 4 ай бұрын
내가 처음 회사갔을때 1분인가 늦었는데 갈구던 새끼 일도 못하고 팀장이랑 싸우고 탈주함 ㅋㅋㅋㅋㅋ 지가 뭐 대단한거처럼 말하길래 오 대단한갑다 했는데 나가고 나서 하던 일 인수인계 내가 다 받아서 해보니까 쳐죽이고 싶었음
@user-im6sd7th1j
@user-im6sd7th1j 4 ай бұрын
​@@user-eb2uk8zq2w원래 빈수레가 요란한법이죠.
@dreamfreeker
@dreamfreeker 4 ай бұрын
"요즘 젊은 것들 배가 처 불러서 일도 안한다"며 비하하는 노인들은 투표 때 마다 악착같이 달려가 찍어대고.. 중장년층에게 노예 취급 당하는 젊은애들은 '이넘이나 저넘이나~' 쿨병 걸려서 투표 조차 안하고.. 될 대로 되라.
@8938nuguzii
@8938nuguzii 4 ай бұрын
늦었다라는게 어떤 의미인지 모르는 개념없는 망나니를 발견햇네 ㅋㅋㅋㅋㅋ
@user-wx4hz4iv8h
@user-wx4hz4iv8h 4 ай бұрын
이러니 회사 생활이 안되지... 5분 지각이랑 30분 일찍 출근이랑 퉁치자고?!
@llollapalooza
@llollapalooza 4 ай бұрын
사실 초반에 하향취업 언급할때, 단순히 월급여 400만 노리고 300 이나 200은 안간다고만 분석했는데.. 사실 직장생활해보면 연봉보다도 좋지 않은 회사를 갈수록 ㅈ같은 ㅅㅋ들이 회사에 너무 많아서가 더 큰 이유임.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는 이유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벌려고가 아니라, 좋은 직장에서 좋은 사람들과 협업하며 일하는 이유도 있음.
@hder9
@hder9 4 ай бұрын
이게 크지. 사람.
@jinnn09876
@jinnn09876 4 ай бұрын
그건 뭐 인성문제라.. 대기업이라고 착한 사람만 있는거도 아니거
@battlestar_galactica
@battlestar_galactica 4 ай бұрын
@@jinnn09876 좀좀 멍청한 소리 그만하라고. 니논리대로라면 우리나라도 길거리범죄가 일어나니까 남미국가나 우리나라나 위험하긴 똑같겠네??? 그리고 댓글은 분명히 좋은 직장이라고 했지 꼭 대기업에 한정 지은 것도 아님. 인성좋고 능력 좋은 사람 잘 걸러서 뽑는 회사를 말하는 거지.... 하... 어딜가든 입은 열지 마라. 제발;;; 주변 사람 답답해 미친다.
@maintenance634
@maintenance634 4 ай бұрын
들어가기 쉬운 회사일수록 학창시절 공부안하고 양아치짓했던 애들 비율이 높아짐.. 양아치들은 커서도 양아치라..
@user-pn9ez5ie1x
@user-pn9ez5ie1x 4 ай бұрын
진짜 사람중여함 너무 좆같아 지금...
@user-yp9wd3ry9p
@user-yp9wd3ry9p 4 ай бұрын
호주처럼 고된 일 일수록 더 좋은 대우를 해주는 것도 아니고 독일과 일본처럼 강소기업이 많은 것도 아니다 보니 직장인에겐 대기업과 공기업, 학생들은 전문직이 유일한 돌파구가 된 것이죠. 씁쓸한 현실입니다.
@ssyz7862
@ssyz7862 4 ай бұрын
imf 이후 상한가 치던 공무원마저 나가리 되는 거 보면...
@bulbob100
@bulbob100 2 ай бұрын
호주15년차 연봉1위 뇌외과의사 2위 심장외과의사 3위 배관공 4위 용접공 청소같은거 해도 사장이 지나가다가 청소해줘서 고맙다고 하고가는곳이 호주임. 블루칼라도 돈잘받으니까 고등학교12학년중 10학년만하고 나가버려도 돈잘버니까 거기 평균 결혼연령이 24임. 애들 평균 3씩 낳는곳이 호주임 집값 비싸졌다 뭐네 해도 버는돈에 비해 물가 싼편임=웃긴거 포인트 성형외과 의사가 1위가 아니라 가장필수과인 뇌 심장 외과의사 우리나라는 종합벼원에서 쓰다가 버리는 과 우리나라는 완전히 잘못됬음
@user-nz3hb3jv6o
@user-nz3hb3jv6o 2 ай бұрын
누구나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일이고 뭐 전문성이 있어야 노력을 인정 받고 어쩌구 저쩌구.. 복잡한 얘기는 다 빼고 힘든 일 하는데 돈 적게 주는 곳에서 일하고 싶냐, 같은 돈 받고 좀 더 적게 일하고 싶냐, 적게 일하고 돈 많이 받고싶냐 하면 누군들 마지막걸 고르려고 하겠죠. 근데 그런 걸 보고 의지가 없다느니.. 또 어떤건 천한 직업, 어떤건 멋진 직업 이런식으로 너무 나누고 차별하고 환경도 사람들 인식대로 만들어지고.. 참.. 사람들이 다들 너무 복잡하게 어떻게든 고생길로 가고싶어하는 것 같네요..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호주처럼 고된일에 더 좋은 대우를 해줄라면 그만큼 그 회사가 수익성이 좋아야죠.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Ай бұрын
​@@hder9수익성이 좋아도 기업들이 다같이 짜고 단가를 안올려주잖음 노가다 인부 일당이 30년동안 5만원도 안올랐다던데
@qqq012
@qqq012 4 ай бұрын
완벽하지 않으면 꼽주는 문화, 그게 다 조져 놓았다. 무슨 일을 선택하든 저마다의 삶을 살고 있구나 존중해 줘야 하는데 그거 벌어서 되냐, 그 학교 나왔으니까 그렇지, 지방 사니까 그렇지, 나이 많아서 그렇지 등등 의욕이 꺾이게 만드는 분위기임. 저출생 문제도 마찬가지임. 부모 재산, 학벌, 아파트 네임, 동네, 외모, 등 별걸로 다 갈라치기 하고 꼽주고 괴롭히니까, 그거 겪은 세대들이 내가 애를 낳아서 상처 안 주고 키울 자신이 없어서 나 혼자 그냥 살다 가자 마인드가 된 것. 한국은 망했다.
@Hedi.G
@Hedi.G 4 ай бұрын
그냥 이 한반도의 오랜 전통임...
@Handler24
@Handler24 4 ай бұрын
핑계는 ㅋㅋㅋㅋ 😂😂😂
@printwin4027
@printwin4027 4 ай бұрын
​@@Handler24 이렇게 꼽주는 틀딱들 때문에 참 서로 피곤한 듯 ㅋㅋㅋ
@ahg126
@ahg126 4 ай бұрын
이건 너도나도 책임 없는 사람이 없다고 보고.. 듣는 사람도 알빠노 해야됨. 상처받지 마셈ㅋㅋ
@Im_walnut
@Im_walnut 4 ай бұрын
@@Handler24댓글정확하네 이렇게 바로 꼽주는아재나오는거보면😂😂😂
@englishmutton
@englishmutton 4 ай бұрын
2010년대에는 잘 팔리던 "네 꿈을 쫒아라. 한번 도전해봐라"같은 멘토 장사가 더 이상 안 되는 이유.
@user-mx9lg1vb8s
@user-mx9lg1vb8s 4 ай бұрын
이래서 김제도을 보기 힘들군요.ㅋ
@Zealot2049
@Zealot2049 4 ай бұрын
ㄴㄴ 장사 여전히 잘됨. '원하는 목표 1000번쓰고 꿈을 이뤘습니다' '하루 10분 심상화로 간절히 상상해서 10억을 벌었습니다' '취업이 잘되는 주파수' 따위의 한철 간 시크릿류의 유사과학이 다시 유행하고 있음. 태반의 성공팔이 강의팔이들이 이걸로 돈 벌고 있음.
@user-qw4dp6lm6b
@user-qw4dp6lm6b 4 ай бұрын
@@Zealot2049유사과학이 판치면 거품 끝이던데...😂
@verystrongseju
@verystrongseju 4 ай бұрын
@@Zealot2049요즘은 자기계발, 성공팔이 등이 유행하고 있죠
@foranie
@foranie 4 ай бұрын
​@@user-mx9lg1vb8s 오히려 김제동이 반대하던게 도전해라 뭐해라 깅요하지 말라는 쪽 아니었음?
@user-gx5pr4dw7n
@user-gx5pr4dw7n 4 ай бұрын
그냥 사람 갈아넣던문화에서 탈출을 못한거임 ㅋㅋ 이제 갈아넣을 사람조자차 없어지니까 곡소리 나는거고 다업보임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4 ай бұрын
외노자들도 저임금 중노동 안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집단으로 이직한다.
@crown8361
@crown8361 6 күн бұрын
선진국이 된 이유가 착취였는데 뭘 더 바람?
@some7so
@some7so 4 ай бұрын
눈 낮춰서 가지마세요..자신을 위해서요 뼈저리게 후회합니다. 물이 깊어야하는데 발만담그고 깊이가 없으니 물경력 됩니다. 어느곳이나 체계가 없지만 중소,소기업은 제로입니다. 체..체자도 없는 최악이죠 월급 210만원에 모든걸 다 하길 바라죠 그리고 환경이 열악할수록 경영자의 마인드가 최저일 확률이 높고 너무 노예근성에 찌든 직원들과 함께 할 가능성이 있죠.. 돈도최악인데 사람도 최악이고 젤 최악은 우리나라에서 디자인이라는 직업은 하는게 아닙니다. 시디과 다니시는분은 지금이라도 탈주하세요
@user-zu2zb2vk3x
@user-zu2zb2vk3x 2 ай бұрын
계속 똑같은 말 하고있어. 눈 낮춰 가지마라 -> 막상 갈 때도 없고 경쟁률 빡세서 허들 높음 눈 낮춰 가라 -> 병신이구나 ???????????? 제발 인생 진리인것마냥 떠들지말고 니가 적어도 삼성 이건희, 현대 정주영처럼 성공한인생 아니면 입닥치고 남 인생 훈수질하고말고 니 자식이나 잘 건사해라
@user-zb2ru2dq6n
@user-zb2ru2dq6n 2 ай бұрын
나이들면 이런 일도 점점 하기 힘들어지기 시작합니다... 어느날 돈을 벌어야 해서, 알바를 하러 갔는데, 나이가 많아서 편의점 알바도 거의 힘들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 받음... 이해는 하겠는데,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는 거 같습ㄴ디ㅏ.
@bomi-bbomi
@bomi-bbomi 22 күн бұрын
엇...시디과인데 왜인지 알수 있을까요 대충은 알거같은데 적나라하게 듣고싶슴다
@doful_WHY
@doful_WHY 16 күн бұрын
​@@bomi-bbomi 음.. 장점이없음 모든게단점같은데 뭐물론 이분야에서 많이받는사람이 없냐 하면 그건 아니지만 그게 내가될 가능성은.. ㅎㅎ ;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user-zb2ru2dq6n 외모를 개선해보세요.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어필
@redbullrobert
@redbullrobert 4 ай бұрын
솔까 한국에서도 직장 생활 문화가 좀 더 냉정하고 성숙 했으면 좋겠다. 외모/나이/학벌 차별, 열정페이, 변질된 공동채 의식, 회식 문화, 괴상한 물경력 커피타기, 쓸데 없는 스펙 쌓기, 꼰대 야근 문화 없애는 대신 업무 관련 일만 잘하면신경 끄고, 쉽게 해고 가능 한 대신 , 그만큼 본인 능력대로 연봉 더 벋고 승진 하면서 이직 하면 그냔 놔주고. 이미 세상은 냉정 한 만큼, 근로자/회사 관계를 더 수평적엔 비투비 관계로 만들었으면 그래도 덜 껄끄럽지 않을까 싶음. 그러면 노스펙 청년들은 경력을 쌓기위해 이상한 스펙 쌓는거 보다 차라리 본인 처음 능력따라 커리어를 좋소기업에서 일하면서도, 마켓 페이를 받으면서 실무 능력만 포커스 하면, 나중에 그 경력으로써 대기업이나 유니콘 기업으로 이직 하면서 테크 트리 탈수 있고 더 이득이 나지 않을까 싶음…기압들은 적어도 일시적으로나마 인력난 해경도 해결도 할겸
@user-fu3us2oi2e
@user-fu3us2oi2e Ай бұрын
ㄹㅇ 회사에 일 못하고 유튭 보는데 안짤리는 무쓸모 인원이 너무 많음 반대로 일을 잘하는 사람은 미리 끝내놓고 다른 일을 찾아서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이러한 두 유형이 비슷하게 월급 받는 게 불합리 그 자체임 쉽게 짜를 수 있고 능력대로 연봉이 팍팍 오르는 문화가 조성이 되면 진짜 도태되어야 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도태될 텐데... 이게 참 바뀌기 힘든듯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user-fu3us2oi2e일잘한다 : 오 말잘듣네? 게다가 순하다? 칭찬좀 해주고 희망고문 해주면서 이거좀 부탁해 저것좀 부탁해. 세월이 흘러 순한 일잘러는 뭔가 단단히 속고있다는걸 깨닫게된다
@user-vm4pf6yp5t
@user-vm4pf6yp5t 4 ай бұрын
한국은 직업으로 사람을 차별하는 게 너무 심해서 노동의 가치가 폄훼되는 것 같습니다. 다들 무슨 일이든 열심히 일하고 잘 벌어갈 수 있는 사회가 되길.
@Sangnal
@Sangnal 4 ай бұрын
그런 인간들이 적지 않아서리.. 그냥 그런 머저리같은 인간관계는 끊고 자기만족하면서 행복하게 잘 사는게 최고인 듯
@ahg126
@ahg126 4 ай бұрын
자기들도 월급쟁이면서 겨우 몇백 더 받는 다고 사람 자체가 우월한 줄 아는 분들이 너무 많음
@MK-jo2sw
@MK-jo2sw 4 ай бұрын
​@@ahg126이거 인정ㅋㅋ 그래봤자 사는거 비슷해요 월급쟁이는
@user-hh1nq4ih5u
@user-hh1nq4ih5u 4 ай бұрын
그래도 최저받는 월급쟁이보다는 낫긴하니 시작덤이 다른데 ㅋㅋㅋ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4 ай бұрын
맞는말 궃은 일도 하는 사람이 있어야 사회가 유지된다 본인들이 하기 싫은거야 자유지만 그런 일에 종사하는 분들한테 ㅈ소충 200충부터 시작해서 별의 별 조롱을 쏟아대니 사람들이 더 위축이 되죠 직업의 사회적인 평판을 떠나서 하루하루 하기 싫은 일을 버텨내는 분들이 인터넷에서 혐오 배설하는 개백수 종자들보다 더 가치 있는 사람들임
@Kiryu_Kikyou
@Kiryu_Kikyou 4 ай бұрын
임금격차 문제가 제일 큰 듯. 미국과 일본의 대기업 임금은 5인 미만 기업과 비교했을 때 각각 미국 1.3배, 일본 1.6배 수준이지만, 한국은 3배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함.
@vengencecivil
@vengencecivil 4 ай бұрын
정확한 답입니다 임금격차가 진짜이유
@yl9139
@yl9139 4 ай бұрын
단순 임금이 아니라 복지 문제도 있죠. 대기업은 자식 대학 등록금도 나오고 사원 주택, 식사 공짜, 사내 카페, 유류지 지원 등 부가적으로 나오는게 있는데 중소기업은 설날에 참치 얻어오는게 끝이니까요.
@user-gn4fu5yl4h
@user-gn4fu5yl4h 3 ай бұрын
​@@yl9139 중소기업이 설날에 참치주나요? 참치라도 주면 다행 비누세트나 생필품 줍니다.
@sejinJ
@sejinJ 3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듯 예전 코미디 프로 꽁트 보니까 목욕탕 직원, 중국집 직원으로 일해도 결혼도 하고 살더만 요즘은 그런 일은 알바로 잠깐 하고 직장으로 구하면 정상으로 안보잖어 임금격차가 적다면 그런 직종이 밑바닥 인생이라고 손자락질 하는 사람도 별로 없을듯 이번에 삼성반도체공장 단지 짓는거 보면 전국 젊은이들 다 몰려가서 일함 밑바닥이고 뭐고 임금만 제대로 받으면 다 하지 체면이란건 젊은 사람이 아니라 나이 든 사람들이나 신경쓰는거임
@one-gorae
@one-gorae 2 ай бұрын
대기업 중소기업 사이에 중견기업이 부족한것도 큰듯요
@ttlgmp
@ttlgmp 4 ай бұрын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좋은 기업들이 나오고 그기업들이 성장해서 고용도 같이 이끌어나갈수 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asd-ee6uc
@asd-ee6uc 4 ай бұрын
좋은기업 널렸습니다.
@user-ub8gp6xn7j
@user-ub8gp6xn7j 4 ай бұрын
​@@asd-ee6uc공감합니다. 다들 대기업만 가려고하지..
@elll8791
@elll8791 4 ай бұрын
​@@user-ub8gp6xn7j대기업이 좋은기업이지 ㅋㅋㅋㅋ 중소기업이 좋은기업이겠니?
@user-mb6zl4oz5x
@user-mb6zl4oz5x 4 ай бұрын
​@@elll8791 쌉인정 대기업이 좋은기업이지 국가에서 대기업을 더 몰아줘야함 그래야 고용을 더 많이 하지
@jeonggillee1646
@jeonggillee1646 4 ай бұрын
대표만 좋은 기업 아니구요?@@asd-ee6uc
@user-bf6se1wx2g
@user-bf6se1wx2g 4 ай бұрын
걍 젊고 기운있을때 열심히 살고 해볼만큼 해보다가 중년노년에 답없으면 걍 안락사하고 싶음. 태어나는것도 내맘대로 안되는데 가는거라도 원할때 가고싶음
@wxy881
@wxy881 2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user-sn8sk5kf5l
@user-sn8sk5kf5l 2 ай бұрын
늦기전에 안락사 도입 해야돼~
@user-hq9ne2vd8p
@user-hq9ne2vd8p 2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user-uh8bx4te6p
@user-uh8bx4te6p 2 ай бұрын
할만한 일을 찾았을때, 죽기 살기로 딱 3년만 쉬지 않고 해봐요. 그 다음엔 몸과 머리에 익숙해 지고, 당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분명히 좋아질거임.
@DailyEnhancer
@DailyEnhancer Ай бұрын
스위스에서 안락사 신청하면 좀 까다롭기는 하나 갔다왔다 또는 기다리는 동안 여행경비까지 해서 2억정도 있으면 충분할겁니다. 꽤 큰 비용이므로 대체법은 안락사가 아닌 총기ㅈㅅ입니다. 총기를 구하기 쉬운 나라 일부 동남아국가, 혹은 미국 , 남아공 같은데서 총기로 해결하면 빠르고 쉬워요. 갈때는 빠르고 편하게 가야지 존엄있게 가는것이 좀더 좋겠죠. 한국은 자살률이 그렇게도 높은데 강에뛰여들고 목 매다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아쉽지만 열심히 살면 달라지는것이 없습니다. 배터리로서의 사명을 더하는것뿐이죠.
@user-ql2xy4yp5o
@user-ql2xy4yp5o 4 ай бұрын
트위치 사태만 봐도 새로운게 나오면 기존에 있던 것들이 규제와 척화비들고 미친듯이 후드려팸...창업한다해도 잘되면 큰곳에서 가져가고 난리 그 누구도 하기가 두려워함.. 특히 무너지는 순간 다시 일어서기도 힘듬...
@wgyybrdsb
@wgyybrdsb 4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좀 잘된다? 바로 대기업이 돈으로 찍어눌러서 다 죽여버림ㅋㅋ
@kkkkk5504
@kkkkk5504 4 ай бұрын
트위치가 무능해서 쳐망한걸 왜 사회탓하고 있음? 누가 써드파티 금지하지 말랬나? 누가 그리드 쓰지 말라고 했나? 그 나라 사회에 적응못하는 기업이면 망하는게 당연한거임. 부당하게 아니라
@jololight8979
@jololight8979 2 ай бұрын
트위치가 한국에서 괜히 철수한게 아님ㅋㅋㅋㅋ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wgyybrdsb그건 조선 놈들 국룰이지ㅋ
@psy0516
@psy0516 4 ай бұрын
고학력자들이 많아져서 밀리고 밀려 저학력자 쓰던 일에 점점 들어오고 있고 대부분이 대기업을 원하지만 대기업 인원은 전체 노동인구의 얼마 되지않는 현실...
@user-ht5ot8nj5h
@user-ht5ot8nj5h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한계가 있어서 나도 모르게 자식을 유학 보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었구나.... 우리나라에선 답이 없게 느껴짐
@loving_vincent
@loving_vincent 4 ай бұрын
인턴으로 쓰고 버려지고 취준만 2년째.. 최종면접에서 떨어질 때마다 다 포기해버리고 죽어버리고 싶은 마음도 드는데 이제 그만하려고요. 밑바닥 인생이라는 것 받아들이고 어디든 들어가야겠습니다. 죽어도 그렇게 하기 싫었는데 어쩔 수 없네요.. 다들 힘 내셨으면 좋겠습니다.
@IIiiIlllIiiiIiIiilll
@IIiiIlllIiiiIiIiilll 4 ай бұрын
공감하고…응원합니다..
@apple9305
@apple9305 4 ай бұрын
30대인데 노가다하고있어요 저도 늦게 취준하다가 잘안돼서 죽고싶었는데 노가다 2년정도하니까 일은 힘들어도 풀칠은하고사네요 오히려 맘은편해요 물론 여전히 미래에 대한 걱정은 많지만요 낙담하지말고 뭐든 해보시면 그래도 길이 보이지않을까싶습니다
@broadykim2312
@broadykim2312 4 ай бұрын
노가다 기술 아이디어 손재주 체력 골고루 필요한 자율적 업종입니다
@ppaqq12
@ppaqq12 4 ай бұрын
저도 고졸로 좆소에서 데이고 대기업공장이라도 가려고 전문대나왔더니 계속 2차에서 미끄러지고 전세사기 당하니까 그냥 꿈도 희망도없이 밑바닥인생살다 엄니 가실때까지만 살자란 생각으로 살고있습니다
@pain-gx7ob
@pain-gx7ob 4 ай бұрын
당신이 밑바닥이아니라 이미 다 자리잡혀 있는대 억지로 뽑으려니 답이없는거임 ㅋ
@Mackerel_Student
@Mackerel_Student 4 ай бұрын
힘든 일을 기피하는게 아니라 '힘든데 돈도 적게 주는 일' 을 기피하는걸 왜 모를까
@off7970
@off7970 4 ай бұрын
인지부조화 때문. 그냥 시대가 변했다는 걸 수용하지 못하니까 그것부터가 과거와 현재의 괴리로 인한 부조화의 시작
@woojee8533
@woojee8533 2 ай бұрын
하지만 누구나 할수 있죠, 하루배우면~ ㅠㅠ
@pedric09
@pedric09 2 ай бұрын
​@@woojee8533 뭘 하루면 다배워? 예를 들어 조선업쪽에서 용접공 일 하루 배우면 다 할 수 있는 일이냐? 건설쪽에서도 타일시공이나 배관설치 일 하루 배우면 할 수 있는 일일거같애?
@xkrrl12
@xkrrl12 2 ай бұрын
​@@pedric09그런 일에 대해서 생각 조차 안 하니 생각없이 댓글 다는듯
@AnTobias333
@AnTobias333 2 ай бұрын
@@woojee8533 기술자 되면 페이 존나쌔게 받는데 하루만에 할수있으면 가서 해봐 방구석 백수야 ㅋㅋㅋ
@dino8201
@dino8201 3 ай бұрын
인사이트 있는 내용 재미있게 설명해줘서 고맙습니다!^^
@user-py3jl9qv2r
@user-py3jl9qv2r 4 ай бұрын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대한민국의 산업구조 재편 쉽지 않은 길이겠지만 꼭 성공적으로 전환되기를 바랍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user-ou6uh9hy5z
@user-ou6uh9hy5z 4 ай бұрын
200받고 뭐빠지게 일하라는 사람들 특징 지 딸 저런 사람한데 시집간다하면 거품 뭄 ㅋㅋㅋㅋ 그러고 청년한데 180 200받고 뭐빠지게 일하는게 맞다 함
@zorba-
@zorba- 4 ай бұрын
공자님 말씀이네 ㅋㅋㅋ 부모가 그렇고 그렇게 키웠으니 ㅋㅋㅋㅋ
@AssyOdozzasae
@AssyOdozzasae 4 ай бұрын
내가 니한테 줄 수 있는 인건비는 200밖에 안된다 하지만 내딸은 니놈한테 못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여튼 딜러놈들은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이중적인 10. 새들
@user-ct3is4dz9x
@user-ct3is4dz9x 4 ай бұрын
임금격차가 문제긴하지. 월 400주는 회사포기하면 350쯤 되는 회사로 가는게 아니라 200초반으로 가니깐.
@user-kn5su2ov2m
@user-kn5su2ov2m 4 ай бұрын
대기업은 보너스를 연봉의 100% 이런식으로 준다면서요? 우리 ㅈ소는 휴가비 떡값 이런것도 없는데....
@CrayonPop2
@CrayonPop2 4 ай бұрын
​​@@user-kn5su2ov2m대신 계약금액이 낮고, 업무량이 살인적으로 많음 과로사 이야기가 항상 대기업위주로 들리는 이유가 있음ㅋ 계약연봉 3~4천 근데 보너스, 각종 추가수당 합치면 3~4천을 더받으니깐 추가수당 받으려고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다가 과로사 하는거지
@user-fd4xw1hi8n
@user-fd4xw1hi8n 4 ай бұрын
​@@user-kn5su2ov2m연봉의 100%...?
@user-bq2gl9lw7m
@user-bq2gl9lw7m 4 ай бұрын
​@@user-fd4xw1hi8n놀랍지만 사실임
@periodic4556
@periodic4556 2 ай бұрын
월급의 50%겠죠 무슨 연봉의 100% ;; 삼성전자 DS사업부 OPI최대로 터져서 나오는 연봉50%도 사실 연봉전체의 50%가아닌 연봉기본급의 50%인데. 그리고 세금이 엄청납니다
@jinjin6043
@jinjin6043 4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이었어요. 잘 몰라서 질문할 수도 없었던 궁금증을 해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p6yn2sq8i
@user-zp6yn2sq8i 4 ай бұрын
이번 회차는 구구절절 공감 200%의 마음으로 봤습니다. 제발 우리나라에 좋은 기업이 늘어나고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게 도와줄수있는 기반과 사회적 합의가 있기를 바래봅니다.
@user-iw2yt5bf3c
@user-iw2yt5bf3c 4 ай бұрын
문제는 200주는 곳이 400주는 곳보다 훨씬 더 일을 많이 해야됨. 심지어는 훨씬 빨리 짤림. 그래서 안가는 게 아니라 못감.
@pdk579
@pdk579 4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진짜.. 저임금인데 일은 ㅈ빠지게 많으니까 다들 도망가지
@user-cl4sx2kq9t
@user-cl4sx2kq9t 4 ай бұрын
ㅇㄱㄹㅇㅋㅋㅋㅋ
@user-ji7dm8qw8o
@user-ji7dm8qw8o 4 ай бұрын
전혀...사회 초년생이냐?
@rath3s31
@rath3s31 4 ай бұрын
400주는 곳은 가봤니? 일얼마나 하는지 알까? 니가?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rath3s31저 사람 말에서 압권인건 빨리 잘린다는 그 말임 ㅇㅇ
@mallossalon
@mallossalon 4 ай бұрын
누구나 얘기하는 젊은이들의 힘든일 기피현상이 아니라 대한민국 산업구조의 변동로 표현하는 거시적 관점이 좋아요. ”요즘 젊은이들 힘든일 하기 싫어한다.“라고 하지 않는 것 만으로도 대단.
@user-so7lp8ge7j
@user-so7lp8ge7j 4 ай бұрын
​@@adagre-kf9xw❤🩰♀️
@Dani-ng8bk
@Dani-ng8bk 4 ай бұрын
젊은이들 힘든일 피한다 욕하지만 자기 자식은 대학보내고 영어유치원 보내고 공장 다니는건 못 보겠당께~
@user-bu7yi6dd8k
@user-bu7yi6dd8k 4 ай бұрын
⁠@@Dani-ng8bk당연한건데? 영유 보내는 사람들 대부분 돈 많음ㅋㅋㅋ
@user-im1rb5gm7p
@user-im1rb5gm7p 4 ай бұрын
그런말 많이 하던데요?
@chltmden1234
@chltmden1234 4 ай бұрын
힘든일 하기 싫어서가 아닌데. 그 이유로 포장되버림......
@lou-dl5ml
@lou-dl5ml 4 ай бұрын
평소에 댓글은 잘 달지 않는데 최근 봤던 영상 중에 가장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상이에요.
@ememe1239
@ememe1239 4 ай бұрын
경기가 안좋으니깐 임금은 적고 사람 뽑는것도 줄이니깐 윗세대들은 3명이서 일할껄 지금세대는 한 명이 몰아서 일 함 근데 또 경기가 안좋으니 회사는 휘청거리니 사장도 예민하고 상사들도 짤릴까봐 존나 예민함 즉 지금세대 애들은 존나게 경쟁해서 겨우 쥐꼬리 회사들어가도 일은 더 많이하고 상사들은 더 갈구는 구조임
@severop1418
@severop1418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지금 신입들한테 예전엔 대리급 2~3명이 했던 일들을 부여하는 구조예요. 심지어 포괄적임금제 적용해서 주말에 출근해서 일감 완료해도 성과급도 안 줘요.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이짓거리를 꾸역꾸역 참는 대졸자 청년들이 어딨겠나요
@user-dk8cy5ms2j
@user-dk8cy5ms2j 4 ай бұрын
나때는 안그랬어 이생각 하는 사람들은 본인들이 과거 본인이 알바로 벌수있던 임금이랑 첫 취업하고 받은 임금의 차이가 많이 났는가 생각 해보십쇼. 현재 알바로 벌수있는 임금이 중소기업 초봉이랑 비슷해져 버렸는데 이게 의미하는게 뭐냐면 알바로만 먹고 살수있게된게 아니라 중소기업에서 일하는게 알바하는것과 동급이 된겁니다. 4년동안 대학에서 돈내서 공부하고 취업준비하면서 알바만한 중소기업에 취직할바에는 그냥쉬겠다. 그럴바에는 알바하면서 계속 구직활동하겠다. 당연하다고 봅니다.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ㅇㅇ 자유임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피해 안 주고 하는 자기 선택인데 손가락질 하는게 비정상
@Sigma-Male017
@Sigma-Male017 4 ай бұрын
애당초 대학가라고 어느 누구도 강요한적 없음
@intellj3
@intellj3 4 ай бұрын
@@Sigma-Male017 강요하는데?
@hihahihohe
@hihahihohe 4 ай бұрын
​@@Sigma-Male017강요 안당하셨나봐요 강요당했는데..
@cybi8056
@cybi8056 4 ай бұрын
분노에 가득찬 사람들이 더욱 많아질 거같아요..솔직히 우려스럽습니다. 쉬었음 다음은 답없음...
@ahg126
@ahg126 4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들이 서로 손을 잡아야 하는데 그게 제일 어렵죠
@user-gc4tv5df7o
@user-gc4tv5df7o 4 ай бұрын
댓글만 봐도.. 청년들 요즘 어렵다는 댓글에는 귀신같이 꼽주는 댓글이 바로 나타남. 왜 그렇게 화가 나있을까
@AssyOdozzasae
@AssyOdozzasae 4 ай бұрын
@@user-gc4tv5df7o 어렵다는 댓글에 꼽주는거? 즈그들 인건비 후려쳐서 해먹어야 하는데 그 희생양이 되어줄 노예가 어딜감히 일 안하려고 하고 대드냐고 이런거지
@Zealot2049
@Zealot2049 4 ай бұрын
제2의 최원종, 최윤종, 돌려차기남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사회분위기 무직, 프리터들이 묻지마 칼부림 저지르는 일본 귀신같이 따라가는 중
@garlicdeeping_sauce4130
@garlicdeeping_sauce4130 4 ай бұрын
​@@user-gc4tv5df7o사다리 걷어차기 ㅋㅋㅋ 어딜 올라오려고하느냐
@anniessong7408
@anniessong7408 4 ай бұрын
사업을 하는 사람으로서도, 젊은 사람으로서도 공감도 되고 많은 생각이 들게끔 하는 내용이네요. 댓글에 많은 얘기들이 오가고 있지만 결국 일자리 개선도, 산업구조의 발전도 서로에게 미루는 형국인것 같습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지 못한 기성세대의 잘못도 있지만 높은수준의 인력구조를 보며 앞선 세대도 현재와 미래 세대들을 고려하고 아꼈던 것 만큼은 분명하다 생각됩니다. 고난이 없었던 세대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대두되는 오늘날, 앞으로를 주도해갈 지난 여느 세대보다 높은 수준의 젊은 세대들이 각자도생보단 힘을 합쳐 극복하여 이 시기가 한국의 또하나의 자랑스런 역사가 되었음 좋겠습니다. 현시대를 살아가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
@minimallife738
@minimallife738 2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이 많이 가네요.
@true_bb
@true_bb 4 ай бұрын
문제는, 우리나라는 나이까지 고려하다보니 저렇게 놓치다보면, 나중에 사회 재취업도 힘듬.. 정말 예전 일본 사토리가 되어가는것. 중국도 우리나라랑 똑같고. 모든 청년들이 결국 우리나라 경제를 이바지할 사람들이기에 어떻게든 다시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일하게 바꿔야하는데. 보이는건 저임금 고노동 & 계속되는 야근 근무환경 (포괄임금) 이런것만 보이니..현기 공고 몰린것봐. 돈만 제대로 주면 생산직도 잘감. 현재 우리나라 제조업은 너무 돈이 짜고 환경이 극악임
@true_bb
@true_bb 4 ай бұрын
일본- 한국 - 중국 사회 트렌드가 정말 똑같이 이 순서대로 진행된다면, 이후 우리나라에도 알바만 하며 인생 포기한 청년들이 엄청나게 많아질 것이라 예상. 중국도 그렇고..
@jacksonmichale464
@jacksonmichale464 4 ай бұрын
문제를 모르는게 아니라 해결을 안해
@user-me1mi9fh4o
@user-me1mi9fh4o 4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hsh-tn5pc
@hsh-tn5pc 4 ай бұрын
고졸이고 30대초반에 중소기업다니고있습니다 공부못해서 대학은 애초에 포기했었구요 투자한 시간이나 돈이 없기때문에 기대치도 많이낮아서 적당한 회사 이곳저곳 다니다가 현재회사에서 4년차입니다 워라밸은 좋지않아요 그래도 중소기업치곤 연봉이 높아서 만족하고다닙니다 집에서도 가깝구요
@beansprouts_trader
@beansprouts_trader 4 ай бұрын
행복하세요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4 ай бұрын
생산직인가요? 아니면 다른 기능이 있으신가요?
@hsh-tn5pc
@hsh-tn5pc 4 ай бұрын
@@user-di4hh7ne7i 금형회사에서 정밀가공하고있구요 생산직도 예전에 했었는데 거기도 규모좀 있는 중소기업이었는데도 미래가 안보여서 그만뒀어요 월급도 최저임금에 상여금은 있었는데 없어지고 비수기도 잦아서
@hsh-tn5pc
@hsh-tn5pc 2 ай бұрын
@@seokjugong9790 원징은 5천 좀 넘게 나왔구요 제가 일찍 결혼해서 지금 이회사 근처에 자리잡고 살고있어서 이직이나 지역이동은 좀 지양하고있어요 회사생활에서도 업무나 인간관계도 나쁘지않고 10분거리라 만족중입니다 아마 어느회사로 이직을 하던 지금보다 멀텐데 편도1시간30분거리까지 출퇴근해보면서 느낀게 회사 가까운것만큼 좋은게 없더라구요 파격적인 조건아닌이상은 이회사에 계속 다닐것같아요
@user-ut4xf1ff7n
@user-ut4xf1ff7n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정밀가공하시는 분들이 인건비 문제로 여러 명의 일을 한 명이 위험하게 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하시더라구요.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karmin49
@karmin49 4 ай бұрын
다른거 다 필요없고 미국의 창업시스템이 너무 부럽다 우리나라 교수들과 대학생들도 제발 그런 걸 배워보길 바란다... 페이스북 같은게 또 나올 줄 어떻게 알겠나?
@vitda8964
@vitda8964 Ай бұрын
그게 미국이니까 가능한거지.. 싸이월드가 미국거였다고 생각해봐요. 전세계가 사용했지. 저커버그도 싸이월드 영향받았다는 얘기가 있던데.
@seun8761
@seun8761 4 ай бұрын
원래 인력갈아넣어서 발전하고 먹고 살던나라인데, 이제는 인식이 바뀌어서 높은강도의 노동은 안하려고 하니까 더이상 생산성을 내기는 어렵고 여기서 전화위복의 새로운 길을 열지않으면 대한민국은 .. 더힘들어질거같네요
@user-sv9on8vp5w
@user-sv9on8vp5w 4 ай бұрын
그게 구조개혁인데 안함 왜? ㅋㅋ 난 안다 그리고 사회가 나 외에에 구조개혁 ok 마인드라 ㅈㅈ 지도 개혁의 대상인데 씹
@irinaddler4395
@irinaddler4395 4 ай бұрын
솔직히 대다수는 많은 월급 바라지도 않음 월급 좀 적어도 안밀리고 따박따박 나오고 사람을 사람대접 해주는 일자리면 만족함
@zmzmzm645
@zmzmzm645 4 ай бұрын
일이 존나힘들면?
@malgny
@malgny 4 ай бұрын
문화적 핸디캡을 안고..
@itdolphin
@itdolphin 4 ай бұрын
@@zmzmzm645 그러면 걍 배달 쿠팡 하는게 ㅈ소가서 200버는거보다 나을걸요?
@zmzmzm645
@zmzmzm645 4 ай бұрын
@@itdolphin누가 ㅈㅅ에서 200벌고있다고했나요? 제 댓글에 핀트에서 벗어나지않게 대댓글좀 써주세요.. 쿠팡은 님이나하시고.
@user-go9ef3tb5n
@user-go9ef3tb5n 4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양질의 하위권(고졸, 중소 등)이 없는게 우리나라 모든 문제의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저스팩 양질의 일자리 없음 : 고스팩 경쟁 > 사회진출 시기 늦춰짐 > 저출산, 임금격차 > 사회 갈등 , 근로소득으로 아파트 구매 불가 > 포기 후 오마카세, 인스타 유행 같은 과소비 증가, 단순 노력으로 사회적 계급 이동 불가 > 비트코인, 영끌 아파트 구매 등 투자를 빙자한 투기 증가 등등
@user-zo3vq8pn6o
@user-zo3vq8pn6o 4 ай бұрын
하위권들은 외노자 쓰면 되니까. 대한민국 정치인 자본가들은 하류층들 죽기바람
@daylightism
@daylightism 4 ай бұрын
저임금도 한 몫하겠지만, 인스타그램이나 부업이니 파이프라인이니 스마트스토어니 이런걸로 키워드 잡아서 월천만원 못버는 인생을 아무것도 아닌 인생이라고 프레임 씌우니 일반 직장에서 일하는 것도 마치 실패한 인생 같아 보이는 문화도 크다고 봄..
@Stellatale
@Stellatale 4 ай бұрын
사기죄에대한 법이 강화되어야 하고 폭력범에대한 법이 강화되어야합니다. 취업도 취업이지만 아이들 보호할 방법이 정말 턱없이 부족해요.
@2-jin994
@2-jin994 4 ай бұрын
이젠 세상 탓 하는것도 지쳤어요. 누가 문제인지 더이상 이야기하고싶지도 않고 그냥 인생이 너무 의미없는 것 같고 아무것도 하고싶지 않네요
@ahg126
@ahg126 4 ай бұрын
님 무슨 말 하는지 핵공감하는데 그럴 수록 뭐라도 하는 게 모든 측면에서 이득임. 이 댓글이라도 보고 힘내보삼.
@user-ir6zw6ex9z
@user-ir6zw6ex9z 4 ай бұрын
화이팅이에요. 뭐든 합시다. 산책도 해보고요.
@Denjyangzzige
@Denjyangzzige 4 ай бұрын
전세계 일자리는 많아요. 영어 해서 탈출하세요.
@user-jc4cu8fu1z
@user-jc4cu8fu1z 4 ай бұрын
어차피 우주는 정해져 있고 결국엔 별의파편 우주 먼지로 돌아갑니다 걍 대충 살면 됩니다 ㅈㄴ 빡세게 해도 성공 못할 놈들은 못하고 ㅈㄴ 대충해도 운좋으면 성공함 세상 모든것은 운임 태어 날때 부터 부모 부터 외모부터 건강과 똑똑한 두뇌와 무엇을 선택하거나 사업을 시작 하거나 세상 모든건 운임 아등바등 살지말고 그냥 흘러가는데로 사셈
@bluec0w992
@bluec0w992 4 ай бұрын
이게 번아웃이지.. 힘내셈
@hrr5761
@hrr5761 4 ай бұрын
대학생때 휴학하고 제조업쪽 일 해봤는데 지금20,30대들이 갈 수있는환경이 아님 주6일제 저임금 노강도노동 임금 올려줄수있다쳐도 그 임금으로 해외 노동자 가져다 쓰면 2,3명 쓸수있어서 이 쪽을 선택 애초에 그쪽 일하는사람들도 젊은사람이 이런일 하러 왜왔냐부터 시작하니 악순환 반복 사장은 몇천씩 가져가면서 골프치러다니는데 그 밑으로는 다 저임금
@user-hu7hs9rm5e
@user-hu7hs9rm5e 4 ай бұрын
그쳐... 평균 연봉 1억 받는 대기업 일개미와 연봉 22억 받는 대기업 사장과 무보수지만 배당금만으로 2000억을 버는 대기업 회장님도 있지요....
@user-uc4et6jw7n
@user-uc4et6jw7n 2 ай бұрын
정확하네요. 문제는 대한민국에 이런일자리들이 80프로... 결혼 미래설계 이런건 생각도 안들어요.
@judiciousspectator9815
@judiciousspectator9815 4 ай бұрын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12년간 실전적 실용적 교육을 시키지 않은 것이 이 모양 이 꼴을 만든 거임. 지금 중산층 이하 대한민국 초등학생들은 학교 교육을 거부하고 순수 실용 언어 교육, 기술 교육, 금융 교육을 자신이 알아서 배우고 추구하여야 미래가 있음.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4 ай бұрын
중학교 부터 기술교육을 해야한다
@bnjn6310
@bnjn6310 20 күн бұрын
나랑 생각 똑같음 돈버는 법을 교육해야 함
@user-ut7wq5dw4h
@user-ut7wq5dw4h 4 ай бұрын
난 저출산, 실업문제가 대한민국이 수용할 수 있는 자원과 일자리의 수보다 인구가 너무나도 많아서 생긴 결과라고 생각했는데 영상과 같은 방식으로도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음.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인구폭증이 아닌 산업 구조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구나..
@kimsuhanmu1
@kimsuhanmu1 4 ай бұрын
인구가 뭘 많아 ㅋㅋ
@user-rw7od4wo6i
@user-rw7od4wo6i 4 ай бұрын
@@kimsuhanmu1 좆만한땅에 5천만이면 많지
@user-ut7wq5dw4h
@user-ut7wq5dw4h 4 ай бұрын
@@kimsuhanmu1 '대한민국이 수용할 수 있는 자원과 일자리의 수' 보다 인구가 많다는 뜻인데
@user-zo3vq8pn6o
@user-zo3vq8pn6o 4 ай бұрын
​@@user-ut7wq5dw4h정확
@yl9139
@yl9139 4 ай бұрын
한국 출산률은 2.0을 못 넘긴지 몇 십 년이 넘었습니다. 이것도 수용 못하는 건 경제가 성장을 못하고 양극화만 벌어져서죠.
@user-nn1lt3jy5q
@user-nn1lt3jy5q 4 ай бұрын
공감이 많이 갑니다. 프론트 배워서 이직하고 나니까 느끼는건데, 직업에 따라 바라보는 눈초리가 심하게 다릅니다. 근로자 개개인이 느끼는 압박과 경멸의 눈빛이 가장 큰 벽이 아닌가 싶네요. 서비스업에 종사하면 무조건 스트레스받고, 회사는 내편안들어주는게 당연한 사회기도 하구요
@user_Naeng-sue
@user_Naeng-sue 4 ай бұрын
9시간 근무에 단 한 시간만 휴식이라는 점이 너무 뼈아프더군요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4 ай бұрын
원래 배우던 기술 포기하고 백엔드로 취준중입니다.. 저도 선생님처럼 취업했음 좋겠네요 ㅠㅠ
@Uncanny942
@Uncanny942 4 ай бұрын
국채 뭐 이런걸로 배움? ㅋㅋㅋ 수준들 참 ㅋㅋ 이러니 한국 소프트웨어 수준이 쓰레기지 ㅋㅋ ㅇㅈ?
@owleyez
@owleyez 4 ай бұрын
@@Uncanny942 님은 IT 종사자가 아닌듯. 걍 타고나는 사람이 노력했을때 빛을 봄. 국채니 대학 전공이니는 별로 상관없음.
@user-jg5kq2ir8z
@user-jg5kq2ir8z 4 ай бұрын
진짜 회사새끼들 즈그들이 애사심 셀프로 갉아먹을 짓만 골라서 하면서 "회사를 생각하라"고 말하는 꼴 진짜 역겨움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z4ul1gk4l
@user-wz4ul1gk4l 4 ай бұрын
앞으로 더더욱 힘들어 질겁니다. 나아질거란 생각하지 마시고 최대한 지금을 즐기면서 미래를 대비하십시요. 사실 결혼, 대출, 소비만 안하거나 줄여도 굳이 좋은 일자리 들어갈 필요는 없으니 현실을 인정하고 최대한 검소하게 사는 삶이 가장 최선이 아닌가 싶습니다.
@sejinJ
@sejinJ 3 ай бұрын
줄건 줘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3 ай бұрын
현실은 아무도 검소하게 안 삼 ㅋㅋ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3 ай бұрын
미래가 불안하니 지금 다 써버리자는 마인드~! 미래는 아 몰랑!
@user-iueun00
@user-iueun00 12 сағат бұрын
중소기업 다니면서 열심히 엔비디아 모으고 그다음 qqq모으고하니까... 5년만 있으면 파이어족 가능할거같아요 다들 열심히 미래를 대비합시당!!❤
@user-rk5ix8dv4c
@user-rk5ix8dv4c 4 ай бұрын
기득권이 자기 사업 위협되면 못들어오게 막는게 크지 일단 아이폰도 통신사들 때문에 처음에 못들어왔지 우버 같은거도 못들어오고 망사용료 때문에 it사업같은거는 확실한 수익모델없이 유저만 많으면 손해나기 쉽상이고 그리고 상장회사들 같은 경우 사업을 튼튼하게 해서 회사를 탄탄하게 만들생각은 안하고 물적분할이니 인적분할이니 해서 자기 배불릴 생각이나하고 있고 이런 사회구조들 법으로 바꾸고 인식개선을 해야함 진짜 한번 싹갈아 엎어야함
@user-oy7ww9uv7i
@user-oy7ww9uv7i 4 ай бұрын
직업이 뭐든 자기가 벌어서 쓰는 사람을 누구나 존중합니다.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님만 존중한다는게 문제
@user-bs4it8ox3u
@user-bs4it8ox3u 4 ай бұрын
중소 제조업(중소기업)이 대기업만큼 고임금 부담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겠지만, 제가 잠깐 몸담았던 기업은 충분히 올려줄 수 있음에도 사장은 진짜 몇쳔만원씩 가져가고 아들딸 영국유학 보내서 생활비 천만원씩 주면서, 직원들은 어떻게든 덜줄려고하는 회사였네요 ㅋㅋㅋ 다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실태와 인식 때문에 청년들이 점점 중소기업을 기피하는거 아닐까요
@NuttyV2
@NuttyV2 4 ай бұрын
챙겨줄거 다 챙겨주고 양심적으로 하는 회사는 금방 망하더라. 양아치 마인드로 사업해야 오래가는거 같음. 뭔가 아이러니하달까요
@izumiaco5079
@izumiaco5079 4 ай бұрын
@@NuttyV2 그러고 니 장사 잘 못했네 소리밖에 못들음. ㅈㄴ 아이러니
@user-hj3bg8ov8v
@user-hj3bg8ov8v 4 ай бұрын
​@@NuttyV2그건 사장이 무능력하니 그렇죠 능력있는 사람이 사장해서 회사 성장시킬 생각해야하는데 대부분은 인맥장사해서 거래처 따오죠 일본처럼 중소기업이 특별한 기술력도 없고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4 ай бұрын
@@user-hj3bg8ov8v 그러니 외국인노동자들조차 지방 저임금 3D 중소기업들 취업을 기피하는 것이지요.
@user-eu7zn3sr6c
@user-eu7zn3sr6c 4 ай бұрын
순이익 = 매출 - 비용. 비용절감을 잘 하는게 사업 잘하는거고 제일 큰 비용이 인건비. 최대한 적게주되 불만이 덜 생기는 구조를 만들어야 함. 주3 주4로 일시키면 돈 적게 가져가도 불만이 덜하더라고
@Futureqwer
@Futureqwer 4 ай бұрын
외국계 대기업들이 수월하게 들어오고 나가게 해야됨. 대기업끼리 경쟁을 붙여야, 우리나라 대기업 독과점을 없앨수 있을듯.
@Rcd208
@Rcd208 4 ай бұрын
트위치(아마존):아..
@Jenna-tv9um
@Jenna-tv9um 4 ай бұрын
전세계에 다있는 우버 한국에없는거보고 개신기했음 ㅋㅋㅋ
@user-bf6wt5kl9u
@user-bf6wt5kl9u 4 ай бұрын
청년들한테 게으르고 등따시고 배불러서 일 안한다는 이런 프레임 좀 그만 씌우세요. 물론 게으른 사람들도 있긴한데.. 문제는 단순해요. 노동대비 보수가 너무 형편없는게 우리나라 실정임. 건설현장이나 중소기업 생산직 이런데가서 며칠만 일해봐도 느낍니다. 저 돈받고 저 일 하느니 쉬거나 편한 일하고 적게 버는게 훨씬 효율이 좋음. 건설현장에 왜 80프로가 외국인인지 모르겠죠?? 한국청년들이 게을러서?? 한국인이 10만원벌어서 한국에서 쓰는 돈이랑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10만원 벌어서 본국에서 쓰는 돈이랑 어떤 금액이 가치가 높을까요?? 모든 사람이 판사, 검사, 의사, CEO가 될 수 없어요. 청년들도 그건 다 알아요. 제발 정신들 좀 차리세요. 꼰대형들~!! 국방의 의무는 한국청년들이 하고있고 각종세금 국민연금은 한국청년들이 냅니다. 누구에게 혜택이 주어져야 할까요?
@Lifeiswhat1102
@Lifeiswhat1102 4 ай бұрын
대기업이 되기위해 도전하는 수많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회사들이있지만 에초에 대기업이 아니면 처다보지도 않는것도 큰문제라 생각되네요..
@quanli8312
@quanli8312 4 ай бұрын
대표적으로 이 기형적 구조를 만든게 현차죠... 하청한테는 압박해서 가격낮추고 그러면 중소기업들은 성장하지 못하고 그런데 국가에서는 잘나가는 산업이니까 오냐오냐하죠 현차가 흔들리면 산업전반이 흔들리니까 경쟁자 없으니까 현대는 신경도 안쓰구요
@starlightt20
@starlightt20 4 ай бұрын
근데 현기망하면 수십만명 그냥 실업자되는거임. 낙수효과없다지만 대기업 망하면 관련 밸류체인 수만~수십만 실업자되고 주변상권 자영업자 다 망하는거임. 낙수효과 분명 있음. 한국은 대기업이 부가가치 창출하고 그밑에 대부분 중소들은 대기업에 기생해서 사는 구조임.
@bk1055
@bk1055 4 ай бұрын
@@starlightt20 원 댓글이 현기 망하라는 댓글인가요? 자신들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저질러온 부조리한 관습들은 반드시 정리해야한다는 것이죠. 현기만 일자리 창출합니까? 현기가 그 자리에서 내려오면 다른 기업이 그 자리에 들어가겠죠. 어떤 회사든 부당한 방법으로 지금의 자리를 유지한다면 반드시 대체되어야합니다.
@user-ec6mc7rd4z
@user-ec6mc7rd4z 4 ай бұрын
@@starlightt20현기망하면 다른기업들 들어옵니다 외국계 유명한 자동차회사들 현기가 공장판다하면 좋다고 다살텐데요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Ай бұрын
무슨 소리야 이건 ㅋㅋ 흉기 1차 하청 이윤 ㅈㄴ 뽑아먹는걸 모르네. 진짜들은 2~3차들이지
@peace12233
@peace12233 4 ай бұрын
눈높이가 높아서 쉬는게 아니라 진짜 생각보다 사회초년생 분들이라면 다들 아실겁니다. 눈치보고 상급자에게 입맛 맞춰주고 직장내 편가르고 갈구고 부당해도 참아야하고 평가질에 막내막내 거리면서 무시하기 일수죠 . 저도 3년을 버티며 다니지만 참 임원들에 상사들에 치이고 부당해도 예스 하는 부하직원을 원하는 문화가 힘든겁니다.
@CBRN-115
@CBRN-115 4 ай бұрын
인간적으로 대우하는게 그리도 힘들까. 일하면서 최소한 인간의 존엄심은 지켜주기라도 하면, 누가 불평할까?
@rath3s31
@rath3s31 4 ай бұрын
그 일이 없어지는것도 아니고 그일을 계속해온 사람들이 더 불행한거냐 그일 싫다고 쉬는 사람이 더 불행한거냐 그 좋은 회사 창업 어린친구들이 만들어주면 좋겠다 그런 회사 만들어줄려면 누군가 자길 갈아넣어야겠지
@user-wr5hx3gp3d
@user-wr5hx3gp3d 4 ай бұрын
씁..
@hwangdory-tb7wg
@hwangdory-tb7wg 4 ай бұрын
가장 문제는 내가 만들어 낸 성과를 상급자가 가져가고 승진은 지가함 이래서 내가 중소기업에서 이직했었음
@user-wm5lo8us1b
@user-wm5lo8us1b 4 ай бұрын
3년 다녀놓고 무슨 평생 직장생활 다한것처럼 써놨네
@sophie_none_
@sophie_none_ 4 ай бұрын
많이 배우고 갑니다. 다각적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시야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user-uw4gi3xu9x
@user-uw4gi3xu9x 4 ай бұрын
진짜 존나 유익하다
@Colors_MINJONG92
@Colors_MINJONG92 4 ай бұрын
창업비용 많이 나가고, 라이선스 오래걸리고, 기업의 철수 힘들고.... 오 사업하는 사람들 응원합니다...
@wheew1
@wheew1 4 ай бұрын
인사이트에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슈카횽
@user-bt5il9zq8p
@user-bt5il9zq8p 4 ай бұрын
유익 그자체
@1n762
@1n762 4 ай бұрын
격차가 큰것도 문제인데 특히 한국은 너무 기술직하고 중소를 너무 무시했어...
@17-yk9kx
@17-yk9kx 4 ай бұрын
기술직 아무도 무시 안 함. 기술직이 아닌 걸 기술직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병신들이 많을 뿐이지.
@advill7231
@advill7231 4 ай бұрын
대기업 몰빵 문어발식 확장을 용인해주면서도 한편으론 산업전반의 구조개선이나 인식개선은 전혀 안 하거나 하는 시늉만 하곤 성장만 해온게 문제임 구조 전체를 뜯어고쳐야 되는데 기득권층이 그걸 포기할 일도 없고 오히려 포기하는게 더 힘든 후폭풍이 올 정도로 늦어버렸음 중소기업도 대기업에서 바로 하청받아 일 해서 노동강도가 힘든대신 임금이라도 많이 줬으면 이러진 않았을거임 다 싸게싸게 한답시고 기형적인 구조로 일하고 그걸로 효율을 내는척 했는데 그게 더는 안 먹히는거지
@user-by9mj6dt7n
@user-by9mj6dt7n 4 ай бұрын
그래놓고 모자란 인력 외노자 수입해서 채운다.
@chasekang-qy9ie
@chasekang-qy9ie 4 ай бұрын
ㄹㅇ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4 ай бұрын
@@user-by9mj6dt7n 외노자들도 자국민들끼리 네트워크를 만들어 급여 정보를 공유하면서 임금 낮은 회사에서 높은 회사로 이직한다.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4 ай бұрын
TV 홈쇼핑을 중소기업에 모두 할당했는데 ㆍㆍ 대기업에 모두 팔아먹고 현금챙겨서 다들 도망감 -- 그러곤 뒤에서 대기업 횡포 어쩌구 하면서 쉴드 치는중 ㆍ
@user-wr5hx3gp3d
@user-wr5hx3gp3d 4 ай бұрын
씁쓸.
@dheicnej
@dheicnej 4 ай бұрын
저도 쉬고 싶네요ㅠㅠㅠㅠ
@seholee1255
@seholee1255 4 ай бұрын
임금격차 2배 이상입니다. 대기업군은 거의가 성과를 냈을때 성과급이 나오는데 100인 이하는 아무리 이익이 많이나더라도 오너가 돈 절대 안풀어요 성과급까지 감안하면 거의 2.5배수준입니다
@insightpark
@insightpark 5 күн бұрын
그냥 우리나라 80%는 인생패배자ㅋㅋ
@bansyoungman
@bansyoungman 4 ай бұрын
수도권 대학 갈 성적안되서 진학포기하고 기술배웠어요 손바닥만한 가게차리고 남 눈치안보고 일하니 좋네요 청년분들 부디 힘든시기 이겨내고 돈 왕창 버세요
@he_gom
@he_gom 4 ай бұрын
좋은 선택하셨네요! 멋지고 부럽습니다
@user-kb1go9rc7z
@user-kb1go9rc7z 4 ай бұрын
대학가고 사짜직업 달고 사는 것이 물론 왕도겠지만 사회가 굴러가려면 비단 화이트 콜라 워커들뿐만 아니라 블루콜라 워커들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hp6lq2nu3i
@user-hp6lq2nu3i 4 ай бұрын
@@user-kb1go9rc7z어떤 기술 배우셧음?
@user-ie9jz8ht6c
@user-ie9jz8ht6c 4 ай бұрын
@@user-kb1go9rc7z그리고 블루 워커는 대기업 아니면 인생 패배자로 낙인 찍히죠 ㅋㅋㅋㅋㅋ 그게 대한민국이에요
@user-ly8rz5my7k
@user-ly8rz5my7k 4 ай бұрын
못배운 청년.
@himekoinabaDevilfish
@himekoinabaDevilfish 4 ай бұрын
이런 이야기 들을때마다 세상 살기가 정말 팍팍하고 힘들구나..체감합니다 ㅠ
@koreansinging
@koreansinging 4 ай бұрын
😊😊
@koreansinging
@koreansinging 4 ай бұрын
😊😊
@jjgg8640
@jjgg8640 4 ай бұрын
실상은 인류가 생긴이래 가장 좋은 세상. 무려 일을 그만 둔대잖아 ㅋㅋ
@inseoulpaid9069
@inseoulpaid9069 4 ай бұрын
​@@jjgg8640핵심 인류 역사 이래 가장 살기 좋은시대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4 ай бұрын
​@@jjgg8640밖에 나가서 인류가 생긴 이래 가장 좋은 세상이라 말해보셈 젊은이들한테 모다구리 털릴걸
@KzKO.
@KzKO. 4 ай бұрын
한번 취업할때마다 마음이 너무 아파요 무시하는말해도 죄공하다고.. 싫은 소리 안하고 항상 굽신굽신.. 해야되요
@capaZa-qq9cx
@capaZa-qq9cx Күн бұрын
너무 현실얘기라… 할말이 없네.. 모두들 화이팅 입니다 !
@user-qf3cg9sh8k
@user-qf3cg9sh8k 4 ай бұрын
월급 적어도 되니까 사람 취급 해주는 직장에 다니고 싶다. 급여 뿐 아니라 복지까지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있는 것도 문제 급여도 적은데 희생을 강요하며 소모품 취급까지 하는데 누가 가겠냐 오전에 일을 모두 끝낸 사람보다 야근하는 사람을 더 선호하는데 생산성이 오를 수가 없지
@bssn3966
@bssn3966 4 ай бұрын
이게 돈이 제대로 안돌아서 생기는 문제임 청산 당해야할 좀비 기업들 부채로 간신히 호흡기 달아주고 땡겨 빌려준 돈은 R&D가 아닌 다른 곳으로 흐르고 이러다보니 회사는 당연히 발전은 못하고 이익 남길려고 결국 인건비 줄여야 하고 그러다보니 직원들한테 복지는 없고 일만 오지게 시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좋소 기업이 탄생하게 되는거지 ㅋㅋ 그러니까 청년들이 좋소 가려고 하나고 ㅋㅋ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4 ай бұрын
??: 기업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user-dt7nw8tj4v
@user-dt7nw8tj4v 4 ай бұрын
ㄹㅇ 옆나라 좀비기업이랑 똑같음
@CBRN-115
@CBRN-115 4 ай бұрын
그거 완전 태영건설....
@beansprouts_trader
@beansprouts_trader 4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옳은 말씀
@alstjr3316
@alstjr3316 4 ай бұрын
쥐어짜놓고 중소기업오너들은 : 요즘 청년들은 끈기가 왜 없냐?
@hjn1503
@hjn1503 4 ай бұрын
하향 취업하는 순간 다시 올라가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임. 첫 취업 만큼 인생이 결정되는게 없음. 그만큼 중소기업에서 상위 기업으로의 이직은 쉽지 않음.
@user-ye3ol9ty7c
@user-ye3ol9ty7c 4 ай бұрын
인생에 패자부활전은 없다라...
@user-bloom
@user-bloom 2 ай бұрын
이직할 사람은 하더라
@user-ms2hs7yz4t
@user-ms2hs7yz4t Ай бұрын
@@user-bloom 저지능
@user-hc7wq4qt4y
@user-hc7wq4qt4y 4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큰틀에서 바라볼수 있게 해주셔서. 어디로 가야할지 대안을 제서하는 것은 뭐든 칭송받아야 합니다
@damianlee6418
@damianlee6418 4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된다 ㅠ 경제 10위 국가인데 대비 좋은 일자리가 너무 부족하다...중소 중견기업은 임금격차 너무 심하고...
@moomin9602
@moomin9602 4 ай бұрын
13위인데 ...
@moomin9602
@moomin9602 4 ай бұрын
위에 멕시코 러시아 캐나다 브라질 있음
@izumiaco5079
@izumiaco5079 4 ай бұрын
최근 중국 꼬라지가 지금 한국의 10배쯤 된다네요
@user-ic6dq4ih5p
@user-ic6dq4ih5p 4 ай бұрын
그래도 좋은나라인게 굶어서 죽는사람 없잖음 다른나라들은 굶어죽던데
@normal77079
@normal77079 4 ай бұрын
좋은 일자리라는게 굉장히 주관적임. 기술을 배울 목적으로 일하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중견기업의 모습과 대졸자로서 기회비용 투자대비 중견기업은 아니지 않나 생각하는건데 내가 만족하면 좋은 일자리고 그게 아니면 대기업이라해도 악질기업임.
@Hi-un6gb
@Hi-un6gb 4 ай бұрын
겜에서 뉴비가 오지 않는다면 고인물들이 무슨짓을 하고있는지 들여다봐야 한다
@user-rq6bi8lr7l
@user-rq6bi8lr7l 4 ай бұрын
운영자들의 문제일수도있죠. 기득권과 서로 짝짜꿍하면서 로비받고 형님동생할텐데 지들만 재밌는 게임
@AssyOdozzasae
@AssyOdozzasae 4 ай бұрын
@@user-rq6bi8lr7l 문제일수도있죠 가 아니라 문제 맞습니다 운영자들이 운영을 개 좋같이 하면서 고인물 상위랭커 친목질유저들과 카르텔 형성해서 다음 패치노트 정보 업뎃전에 노나갖고 고획득량(재화,경험치) 사냥터 통제하며 뉴비보이면 고의스틸 하거나 막피로 죽여가며 사냥방해는 조질라게 하나 계정제제도 안당하고 이런 게임이 어딨냐구요? 대한민국입니다.
@ink3908
@ink3908 4 ай бұрын
ㅎㅎ비유좋네요😂
@user-ct6gr9cg6c
@user-ct6gr9cg6c 4 ай бұрын
그냥 한국은 메이플스토리임 ㅋㅋ
@womaner1004
@womaner1004 4 ай бұрын
@@user-ct6gr9cg6c 오 진짜네? 옛날에는 고스펙이랑 저스펙자 차이가 안 심했음. 공10노목이냐 공5노목이냐... 사실 시세차이는 엄청났지만 공격력+5 차이였음. 이 차이가 작은 차이는 아니지만..지금은? 돈있는 사람이 천만원대 현질로 공30%장갑이냐, 무자본러가 돈없어서 공9% 장갑이냐... 차이가 너무 커졌음 당연히 보스 보상 받는 차이도 커졌음. 그리고 운영진들은 유저가 이득 보는 꼴을 못 보거나 확률조작을 함. 유저를 개돼지 취급 화률로 사기를 쳐서 과징금 뚜드러 맞음. 소통하는 척 하지만 뒤로 나쁜짓 할건 다함 논란에 대해서는 어물쩡 넘어가려고 말장난도 함 옛날에는 파티사냥과 보스잡을시 파티로 입장해서 5명정도가 협업했음 그런데 지금은 사냥도, 협업해야하는 보스도 홀로 1명이 다 함. 1인가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과 완벽매치 ㄷㄷ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4 ай бұрын
이번 주제도 잘 봤어요! 하루빨리 건강한 기업들이 나오면서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주면 좋겠네요. 청년들도 일할 기회를 주면 누구보다 열심히 일할 거니까요^^
@user-cu4ht4cy1j
@user-cu4ht4cy1j 4 ай бұрын
atomy 사업 알아보세요. 저는 경제. 시간의 프리가 되었습니다
@konkolove8786
@konkolove8786 4 ай бұрын
터닝포인트가 오긴 올거임 그때까지 버티냐가 문제지 빈부격차, 부의 쏠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불변 단지 그 부당함을 객관적이고 주도적으로 인식할수 있는 세대가 넓어졌을뿐
@baetzby
@baetzby 4 ай бұрын
1. 노동의 저평가와 그에 맞지 않은 처우 2. 공부만이 전부인 것 같은 직업 인식과 처우 3. 다양성의 부재와 편협성 4. 타인의 시선에 유독 민감한 한국인 특성 5. 위 모든 악습과 편견들에 의한 비교 이런 나라 만들어온 무식한 윗 놈들 탓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탓은 아니에요. 물론 30년 후에도 이러면 우리 탓입니다.
@user-cb2vu4wd2g
@user-cb2vu4wd2g 4 ай бұрын
바꿔보자고~
@beansprouts_trader
@beansprouts_trader 4 ай бұрын
깔끔하시네요
@bluec0w992
@bluec0w992 4 ай бұрын
맞는말
@hl2dus1
@hl2dus1 3 ай бұрын
한국은 규제가 너무 많음. 지식산업센터 공실이 많은데도, 업종 제한을 해버림.
@whdhiwjrhhd8355
@whdhiwjrhhd8355 2 ай бұрын
아무나 할수있는 노동은 오히려 하는거에 비해 돈 많이범 기술자들돈이 올라야지
@Oh_World
@Oh_World 4 ай бұрын
작은 사업이라도 누구나 해보는 문화가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뭔가 혁신적인 도입을 하면 바로 도로 건너 대기업이 카카시하는 나라에서는 희망이 없음.
@drtyun2270
@drtyun2270 4 ай бұрын
대기업이 문제 클만하면 밟아 버리니 그렇다고 견제 항 수단이 있는것도 아니고
@user-jc4cu8fu1z
@user-jc4cu8fu1z 4 ай бұрын
사륜안!.
@limitedtime-dt9tz
@limitedtime-dt9tz 4 ай бұрын
Answer .
@user-tz2tg7pb1u
@user-tz2tg7pb1u 4 ай бұрын
저의 아들이 내용이 좋다고 해서 보고 있는데 정말 공감이 되는 내용입니다. 이 주제를 가지고 후속도 부탁 드립니다.
@Joker-mi6hc
@Joker-mi6hc 4 ай бұрын
진짜 체감하고 있던 현실이네요
@user-iu9bs2fj3z
@user-iu9bs2fj3z 4 ай бұрын
신세한탄하기 보다 아침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고 알바던 공부던 몰입하는게 개인에게 좋은 겁니다. 자신의 감정부터 다스려야 뭐라도 할 수 있어요.
@user-vm1bh8fp2k
@user-vm1bh8fp2k 4 ай бұрын
운동하고 알바던 공부던 하라는 소리로는 노동탄압 적색국가를 바꿀 수 없답니다.
@woonie851
@woonie851 4 ай бұрын
​@@user-vm1bh8fp2k옳소
@bdjdjsjjaadw
@bdjdjsjjaadw 4 ай бұрын
신세한탄 해서 뭐 혁명이라도 일으킬겁니까 자기 능력이라도 키워야지​@@user-vm1bh8fp2k
@user-vm1bh8fp2k
@user-vm1bh8fp2k 4 ай бұрын
@@bdjdjsjjaadw 그 당시 아무도 러시아에서 혁명이 일어날줄 몰랐습니다.. 유라시아 전체에서 가장 낙후되고 왕의 입김도 강했던 곳이었으니까요..
@beansprouts_trader
@beansprouts_trader 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감정부터 다스려야 뭐든 됩니다.
@PremiumCA
@PremiumCA 4 ай бұрын
결국 좋은 기업이 많이 생겨야 하네요. 대한민국 화이팅!
@NineHeaven
@NineHeaven 4 ай бұрын
중소의 가장큰 문제는 승진은 어차피 못하는것이고 내가 이회사에 10년을 다니든 30년을 다니든 신입과 똑같은 최저시급을 받는다는것이다. 이제들어온 신입이랑 20년다닌 사람이랑 월급이 1원도 차이가 안남. 이러니 누가 중소가고 오래 다니고 싶겠어?
@user-rg8vq2tz4c
@user-rg8vq2tz4c 4 ай бұрын
20~30대 부모들은 열심히 돈버는 기계가 되었고 서포트 해줘야될 자식이 2~3명이라 본인이 힘들어도 조금더 나은 직업을 갖길바라는 마음으로 30넘은 자식한테도 투자해주니 당장 돈 벌어야된다는 부담감이 줄어들어서 그렇죠
@lion090528
@lion090528 4 ай бұрын
it쪽 직군 맞는 중소기업 빨리 들어가서 경력 쌓고 싶은데 문제는 it쪽은 요즘 중소기업들도 경쟁률이 미쳤음 무슨 60:1, 100:1, 200:1 이럼... 이제 막 졸업해서 취업할 곳 알아보는 중인데 이게 맞나...
@Ohleeh
@Ohleeh 4 ай бұрын
일부러 쉬는 청년은 많지 않겠죠 버티기에는 건강이 나빠지는 근무환경이다보니 쉬게 되겠죠 정신약하다는 옛날소리는 이제 맞지 않은것같습니다 청년들 보면 진짜 일 열심히 하는데 희망을 잃은 눈빛에 안타까울뿐입니다
@user-ib9gw5lh8w
@user-ib9gw5lh8w 4 ай бұрын
맞아요 그냥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는듯해요
@user-ur1dx4rq9l
@user-ur1dx4rq9l 4 ай бұрын
청년들 파이팅
@user-ge8wu2hs4c
@user-ge8wu2hs4c Ай бұрын
힘내세요...저도 그냥 어느정도 내려놓고 살기로 했습니다
@user-pi1ku8if9y
@user-pi1ku8if9y 4 ай бұрын
중소기업이 기술력향상 새로운 특허 개발할때마다 대기업들이 갈취해 버리고 밟아 버렸죠...
@user-mb5on8jo4c
@user-mb5on8jo4c 4 ай бұрын
이것도 맞죠.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양아치들이라 밖에 나가서 정정당당히 지네들이 만들어 낸것들로 싸우지 않고, 안에서 열심히 공든 탑 만들어가는 수많은 중소기업, 스타텁 아이템 카피해서 망하게 만들어버리는.. 저도, 2000년대초, 이런 양아치들한테 여러번 당하고 질려서, 이민 갔음. ㅠㅠ 그런 대기업들로부터 서민들을 보호하기는 커녕 떡꼬물 쪼금이라도 받아먹으려고 입벌리고 헥헥거리는 정치인들, 공무원들, 사짜들.. 변한게 없네요
@nicehan777
@nicehan777 4 ай бұрын
일은 위험하고 힘든데 임금과 대우는 형편없으니 안하려고 하지
@kshan-oz4ft
@kshan-oz4ft 4 ай бұрын
왜 형편이 없을까
@user-ve7ld5et7x
@user-ve7ld5et7x 4 ай бұрын
​@@kshan-oz4ft백종원 영상보면 알듯이 정신머리박힌 사장이 없음
@cuckoo6854
@cuckoo6854 4 ай бұрын
@@kshan-oz4ft하청의 하청 구조 임금 후려쳐서 위에 있는 기업이 가져감
@user-pd5lh9en5e
@user-pd5lh9en5e 4 ай бұрын
그럼 지금 부모세대는 임금 대우 형편없는 일자리가 좋아서 계속 일하는거냐? 그 일 안하면서 먹고자는 비용은 저임금 일하는 부모님 등쳐먹으며 살거 ㅋㅋ
@user-ve7ld5et7x
@user-ve7ld5et7x 4 ай бұрын
@@user-pd5lh9en5e 나라가 지금 이꼴된게 그 부모세대 때문인데 본인들이 감당해야지 나라꼴 이렇게 된게 지금 청년들 탓이야?
@user-su3wc8fe4x
@user-su3wc8fe4x 4 ай бұрын
인구구조상 20대 중반이면 결혼적령기로 가야하는데 아직 젊다며 30대 초반까지 애기 취급하는 대한민국 영유아기 가스라이팅이 찐 문제임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4 ай бұрын
ㄹㅇ
@changyung852
@changyung852 4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과도한 경쟁으로 스펙(능력)은 이미 과도기인데 일자리는 아직 그 정도 인력을 소화시킬 정도로 발달되지 않았고 그냥 고졸이든 대졸이든 학사든 박사든 아무나 해도 똑같은 일 밖에 없다는 거임 근데 이미 학사 석사 박사 한 양반들이 중소기업을 가려고 그렇게 참고 참으면서 공부했겠냐고 그냥 중소 갈꺼면 고졸로 가서 자격증이나 따면서 경력이나 올리지 이미 인력의 수준은 과거 평균이 50이라면 지금은 평균 80점인데 일자리는 10년전이든 30년전이든 똑같이 50점 수준이라는거지
@son7797
@son7797 3 күн бұрын
이것이 정답
@cellistj3675
@cellistj3675 4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한국의 85-00년생들은 잃어버린 세대가 될듯.. 그 다음 세대야 뭐 경제 쪼그라드는 속도 보다 인구 줄어드는 속도가 훨씬 빨라서 나라는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취직은 수월하게 잘 할듯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Ай бұрын
될듯 ㄴㄴ 이미 되어버렸음. 소수의 대기업 직원 및 코인부자 빼면 되려 70대보다도 빈곤율이 높음 KDI 데이터 검색 ㄱㄱ
@user-oq5lq4wy3q
@user-oq5lq4wy3q 4 ай бұрын
2003년때 생각 났다 대구가톨릭대 영어장학생으로 호주에 방학기간동안 어학연수 갔었음 그때 멜번 도착해서 ACU로 인솔해주시던 여성분이 버스로 가는길에 부촌이 나오니까 여러분 저런 좋은집 주인들 직업이 무엇인지 아세요 라고 묻길래 우리는 사짜직업만 줄줄 나열했는데 웃으며 저런좋은집 사는 사람들은 배관공이 많다고 호주는 책상에 앉아 일하는 사람들보다 몸쓰는 기술자들이 돈을 잘번다고 하시더군요 그냥 그때 생각이 나네요
@samueltom4523
@samueltom4523 4 ай бұрын
어쩌라고 지잡대야
@KsmekdmxSkame
@KsmekdmxSkame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배님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4 ай бұрын
그때 이민가지 영주권따기 지금보다 쉬웠을텐데
@dnjstjr1162
@dnjstjr1162 4 ай бұрын
@@user-di4hh7ne7i ㄹㅇ 그때 영주권 바로 땄으면 워홀오는 한국 20대초중반애랑 결혼하고 존나 편하게살텐데
@user-oq5lq4wy3q
@user-oq5lq4wy3q 4 ай бұрын
ㅎㅎ 지금도 살만하구요 저는 한국이 좋습니다 다만 힘들일에는 그만큼 대가가 주어지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nu_lung2
@nu_lung2 2 ай бұрын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문제는 크게 두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장시간 저임금이고 두번째는 인간다움을 누리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저임금-장시간 근무를 하다보면 무언가를 준비해서 다른 곳으로 옮겨갈 짬이 생기질 않습니다..그러다보니 빠져나오지 못하고 갇혀있는 상황이 될 수 밖에 없지요..12시간 14시간씩 일하고 2시간씩 출퇴근하다보면 다른 것을 준비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잘 시간도 모자라요.. 그리고 두번째로는 일하면서 인간적인 모멸감을 감내하면서 일하는 것이 참 크다고 생각합니다. 돈 못받는거, 길게 일하는거보다 저는 인간적인 모멸감을 참으면서 일하는 게 더 힘들더군요.. 저임금 노동자들도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그렇게 행동을 안할텐데 너는 나보다 못하니 내가 욕하고 막대해도 괜찮아. 라는 인식이 있으니 너무 힘듭니다..
@user-ly5oo7nn1i
@user-ly5oo7nn1i 4 ай бұрын
이분영상 처음 보는데 이분 마우스로 밑줄 왤케 잘 그으시는건가요? 밑줄긋기 고수시네
@user-mr6pq3wq4k
@user-mr6pq3wq4k 4 ай бұрын
슈카횽 기다렸습니다 ~ 😊
외로움은 흡연보다 훨씬 해롭습니다.
23: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그냥 쉬었다" 65만 명, 사라진 20대
26:0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이래도 되나..? 4분기 출산율 0.65명
37:2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바닥으로 내려가는 공무원 만족도
19:4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21세기에도 여전한 '무작정 서울 상경'
28:4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태영건설 채권자들은 왜 격분하는가
28:5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한국인들이 가장 가치있게 여기는 것은?
25: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커지는 자영업자들의 고통
20:0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세계 최대급 파산 '리만 브라더스 사태' 쉽게 이해하기
44:37
홍콩ELS 6조원 대규모 손실 경보
27:3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32 М.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27:13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Зу-зу Күлпәш.Күйеу төс (12 бөлім)
38:58
ASTANATV Movie
Рет қаралды 535 М.
МАРШРУТ ПЕРЕСТРОЕН 🙄🤣
0:53
Елена_LaVidaLoc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