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공개) 생기부에서 버려도 되는 부분 알려드립니다 | 유니브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786,593

유니브클래스

유니브클래스

4 жыл бұрын

생기부 다 신경 안 써도 된다!
민영쌤이 픽한 것만 신경 써라
알겠나 제군들?!🤗
(*장소협찬: 다원교육)
#생기부 #세특 #진로
🥇 강의 수강 방법 🥇
1. 유니브클래스 채널 홈 구독 버튼 옆 '가입' 버튼(bit.ly/2P8SOlz) 클릭
2. 팝업 창 좌측의 멤버십 중 📕대입 러닝메이트 유니브클래스📕 선택 후 가입
3. 카드 정보 입력하고, 가입 완료
* 결제 및 환불은 Google에서 안내하는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며, iOS 체제에서 결제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C 결제 권장)
4. 재생목록 혹은 커뮤니티 탭에서 강의 시청
* 오픈 예정 강의 일정은 별도의 영상과 게시물을 통해 상시 고지됩니다.
유니브클래스에 놀러오세요!
▶ 유니브클래스 bit.ly/Younivclass
!유니브의 다른 채널들
▶ 연고티비 bit.ly/yonkotv
▶ 입시덕후 bit.ly/Ipsiduck
▶ 고등개미 bit.ly/Go_Ant
!유니브 팬카페가 생겼다고?
▶ 팬카페 유니버씨티로 이동하기 bit.ly/cafe_younivclass
ⓒ YOUNIV. Corp ALL RIGHTS RESERVED
모든 영상의 저작권은 ㈜유니브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엄격히 금지합니다

Пікірлер: 1 400
@owo...
@owo... 4 жыл бұрын
진로 적는 거 없애는거는 잘 한 것 같다.. 고작 19년 살은 한국 교육에 찌든 애들이 꿈이 몇명이나 확고하게 가지고 있다고,,,
@user-if1gi2ih5s
@user-if1gi2ih5s 4 жыл бұрын
없어졌어요???저희는 계속 적던데
@user-xd2kz5xy1j
@user-xd2kz5xy1j 4 жыл бұрын
저...희도..
@user-zz2iz1jj8u
@user-zz2iz1jj8u 4 жыл бұрын
권나경 수시 원서에서 빠져요
@user-mr5yv2wl9b
@user-mr5yv2wl9b 4 жыл бұрын
@@user-if1gi2ih5s 적는데 반영을 안 하는거 아닌가요
@user-pz8iy7jh4k
@user-pz8iy7jh4k 4 жыл бұрын
야발
@yeop_kat
@yeop_kat 4 жыл бұрын
내가 이런 영상까지 챙겨보다니 대학 갈 마음은 있는구나..
@ianian2218
@ianian2218 4 жыл бұрын
제주국제대가셈ㅇㅇ
@dnjsdntjs898
@dnjsdntjs898 4 жыл бұрын
저기 3사관학교 가세요
@user-hf3kb3yc4o
@user-hf3kb3yc4o 4 жыл бұрын
있는구나...
@user-yw3xd6rd4w
@user-yw3xd6rd4w 3 жыл бұрын
@@ianian2218 씨발 개너무해ㅜㅜ
@user-li8bd5yf4o
@user-li8bd5yf4o 3 жыл бұрын
마음만 있을 수 있음
@yoonjin.n
@yoonjin.n 4 жыл бұрын
지방 일반고 학종러에겐 그저 빛 민영쌤 ....
@user-um5eo1ho4v
@user-um5eo1ho4v 4 жыл бұрын
지방일반고면 교과가 낫지
@Choixxhwan
@Choixxhwan 4 жыл бұрын
혁이 경기도는 수도권 아닌가 지방 인건가
@lifecanbeblank
@lifecanbeblank 4 жыл бұрын
내신 1.0 아닌 이상 지방 일반고 학종은 다 광탈인가요...? 교과로 돌리고 싶은데 요즘 교과 뽑는 학교들이 많이 없고 점점 줄어서ㅠㅠ
@Kkkk_eeeetty
@Kkkk_eeeetty 4 жыл бұрын
@@Choixxhwan 보통 경기도 몇몇 도시 말고는 지방으로 분류하죠
@user-suminlee
@user-suminlee 4 жыл бұрын
퐁퐁 경기도 어디냐에 따라 다르긴함
@user-zo3ng8gh6o
@user-zo3ng8gh6o 4 жыл бұрын
고1되니까 진짜 미치겠음..ㅜㅜ 중학생으로라도 다시 살고싶음.. 진짜 모든게 다 내신이니까 부담감 너무 커요.. 친구도 사겨야겠고 하...
@user-wn8ny7hb8m
@user-wn8ny7hb8m 4 жыл бұрын
ㅎㅎ 같이 힘내요^^
@atat8203
@atat8203 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압박감때문에ㅜ완치된줄 알았던 우울증 스멀스멀 도질라하네요 ㅎㅎ..
@kyk31
@kyk31 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고1내신은 조금은 조져도 sky갈거 아니면 괜찮은데 고2부턴 내신 조지면 생기부도 조진다..ㅎ
@user-mp5xw9mq1s
@user-mp5xw9mq1s 4 жыл бұрын
엇 정말요..? 전 지금 중1인데도 힘든데 얼마나 힘드실지 .. 상상도 안되네요
@ho1551
@ho1551 4 жыл бұрын
ㅇㅈ 내 기준에서 시험 잘봤다 생각하면 다른 친구들은 더 잘봤다는것에 자신감 하락함
@GoToJyp
@GoToJyp 4 жыл бұрын
그럼 이제 진로희망에 포켓몬마스터 써도되나요
@user-pu2bf8ws4c
@user-pu2bf8ws4c 4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ㅋㅋ 미쳤 ㅋㅋㅋㅋ
@0kang532
@0kang532 4 жыл бұрын
파워레인저 핑크는 한물 갔나요?ㅠㅠ
@user-eb1uq2wy7k
@user-eb1uq2wy7k 4 жыл бұрын
@@0kang532 파워레인저 미친ㅋㅋㅋㅋㅋㅋ 그게 언제적 거예욬ㅋㅋㅋㅋㅋㅋ
@user-mb3pr7bf7d
@user-mb3pr7bf7d 4 жыл бұрын
@@0kang532 전 레든데
@Eila429
@Eila429 4 жыл бұрын
@@0kang532 전 블루
@user-ry9yi4qr3r
@user-ry9yi4qr3r 3 жыл бұрын
5:30 6번 진로희망 사항 대학에 안들어 가는거 알고 진로칸에 '사회의 빛과 소금'이라 적었다가 부모님한테 전화하셨는데 반성문도 썼고
@eungdi1004
@eungdi1004 3 жыл бұрын
반성문까지 쓸 일?
@user-tt6jz1vy3e
@user-tt6jz1vy3e 3 жыл бұрын
아이씨 미친ㅋㅋㅋㅋㅋㅋ
@simultaneously6168
@simultaneously6168 3 жыл бұрын
사회의 빛과소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jpak2642
@mjpak2642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저거 우리학교 교가에 나오는것들인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xeexanxun7588
@xeexanxun7588 3 жыл бұрын
염광....
@user-kf1lf2zf6k
@user-kf1lf2zf6k 4 жыл бұрын
2년 뒤에 나는 후회안하고 지금의 시험 하나로 소수점 차이로 울지 않길 바란다.
@user-yw1oe5ko3u
@user-yw1oe5ko3u 4 жыл бұрын
파이팅
@user-kn2ly8bs1g
@user-kn2ly8bs1g 4 жыл бұрын
울고있어요
@user-kn2ly8bs1g
@user-kn2ly8bs1g 4 жыл бұрын
저요
@Miosej
@Miosej 4 жыл бұрын
파이팅!!저도 노력하겠습니다!!
@jmrq
@jmrq 4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younivclass_official
@younivclass_official 4 жыл бұрын
✨생기부 카테고리✨ 00:23 인적사항 00:48 학적사항 02:06 출결상황 02:43 수상경력 04:09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04:55 진로희망사항 05:36 창의적 체험활동사항 07:18 교과학습 발달상황 08:33 독서활동 상황 09:27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user-ui7yk9kw7w
@user-ui7yk9kw7w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진짜 궁금한게요ㅠㅠ 지금 중2인데요 중1때 학교 무단지각 많이 하고 수업시간도 빠지는 날라리중에 날라리였는데요(일찐은아니고요)근데 중2때부터 열공하려고 수업잘듣고 쉬는날에 하루종일 독서실에서 공부하는데 중1 출결때문에 나중에 가고싶은 고등학교 못갈수도있나요?ㅠㅠ 제가 가고싶은고등학교가 중앙고인데 혹시 못가나요ㅠㅠ?
@user-xq7rk1nu4k
@user-xq7rk1nu4k 4 жыл бұрын
@@user-ui7yk9kw7w 안녕하세요 대신 답변 죄송하구요ㅠㅠ ~ 저의 경험으로는 네 출결 때문에 내신 점수가 낮아 지는 친구들이 있더라구요.. 근데 성적이 너무 낮지만 않으면 일반고는 가실 수 있으실 거에요
@BcDuck
@BcDuck 4 жыл бұрын
@@user-ui7yk9kw7w 현 중앙고 고3입니다 하나도 필요없어요 면접때 말만 할수 있으면 됩니다
@user-bj6ej8nw1t
@user-bj6ej8nw1t 3 жыл бұрын
고정 해주세요
@user-xk4pj7xm1b
@user-xk4pj7xm1b 3 жыл бұрын
만약에 지금 하고싶은게 너무 다양한데 독서활동을 어떻게해야할까요??ㅠㅜㅜㅠㅜ
@user-fk9hv1bp1f
@user-fk9hv1bp1f 4 жыл бұрын
현 중3부터 입시가 정말 많이 바뀌어서 중3편도 올려주실 수 있나용...ㅇㅅㅇ
@user-lm7hr6mf6e
@user-lm7hr6mf6e 4 жыл бұрын
ㅇㅈㅠㅠㅠㅠㅠㅠㅠㅠ
@user-iz5sl2br9u
@user-iz5sl2br9u 4 жыл бұрын
하 너무 돌겠어요..
@user-iu3zm2fd6t
@user-iu3zm2fd6t 4 жыл бұрын
으엉...머리아파...
@hpc917
@hpc917 4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 동감합니다 ㅠ
@user-xx5yh2cm2n
@user-xx5yh2cm2n 4 жыл бұрын
와드박고감 ㅠㅠ
@user-yg1ci3id5i
@user-yg1ci3id5i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ㄴㅎ ㅏ 사랑해요ㅠㅠㅠㅠㅠ 고2 되어서야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어떻게 해야할ㅈ ㅣ몰랐는데 너무 잘 알려주셔서 조하요ㅠㅠ
@user-gp7hk7ei2x
@user-gp7hk7ei2x 2 жыл бұрын
민영쌤의 귀에 쏙쏙 박히는 생활기록부 이야기 감사합니다. 중요도를 따지기 전에 닥치는 대로 열심히라는 말에 격하게 공감하며 남은 고3시간도 열심히 노력 중입니다. 노력하는 모든이들의 꿈이 실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qh1fp4py4t
@user-qh1fp4py4t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ㅠㅠ 물론 핑계라고 할수는 있겠지만... 저는 엄청 내성적이고 낯가려서 대회같은거에 나간적도없구 소리내서하는 일들은 거의다 주춤거려요ㅠㅠ 발표도 하면 손도떨리고 숨막히고구래서 발표도 잘하는편도 아니구 나서지도 못해요.... ㅠㅠㅠㅠ 이런 상황이면 혹시 그 1등급하면받는 교과우수상 그걸 상장에 기재해도 대는건가요...???
@user-fi2kb8sg9c
@user-fi2kb8sg9c 4 жыл бұрын
1등급 해서 받는 교과 우수상은 필요가 없습니다. 민영쌤이 말했듯이 상장은 내신을 망쳤을때 보완 역할을 하는건데, 대학교에서 생기부를 볼때 1등급 맞은 과목은 잘하는줄 알텐데, 굳이 교과 우수상을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user-kc7fy2ou3h
@user-kc7fy2ou3h 4 жыл бұрын
사실 저도 이번에 학교간지 얼마 안된 고1입니다. 고등학교를 동네에 있는 데로 간 것도 아니여서 전교에서 같은 학교에서 간 애들이 7명 정도 밖에 안되고 당연히 같은반에도 친구가 아예 없었습니다. 그래서 수학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어떤 문제에 대해서 발표할 사람 있으면 나와서 해보라고 하셨지만 저 역시 낯을 가려서 잘 나서지못해 가만히 있다가 어떤 친구가 나가길래 저도 용기를 얻고 나갔습니다. 하지만 너무 떨리고 심장이 미친듯이 뛰는 바람에 목소리도 떨려서 제대로 발표 하지도 못했지만 한번 나서니 두번 나서는 건 일도 아니더군요. 앞으로 생활하면서 용기를 내야할 일이 아주 많을거 같아요. 그래서 아무리 낯을 가린다고 해도 그것을 천천히 극복해나가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용
@user-ti5ov8wt6r
@user-ti5ov8wt6r 4 жыл бұрын
교과우수상보단 경시대회상 같은 게 나을겁니다.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교과우수상 너무 좋죠 내신이 꾸준이 좋다면 걱정 없겠지만 그건 소수 몇 명을 제외하고는 많이 힘든 거니까요ㅜㅜ 성적 향상그래프면 대학에서 더 높게 쳐준대요 참고로 전 현 고3입니다 엄청 내성적이고 낯가려도 그걸 극복하셔야 면접을 볼 수 있고 생기부도 채워 나갈 수 있겠죠 모두의 앞에서 발표하는 게 정말 힘들겠지만 하다보면 정말 괜찮아져요 도전해보세요 내가 낯가려서 대회, 발표 이런거에 참여 못했다면 그대로 남는 게 생기부니까요 말씀하시는 거 보니..혹시 같은 고3인가요? 성적 우수하시면 교과로 넣어보세요 생기부 안들어가니 마음 잡고 내신 성적 높은 친구들은 교과가 훨씬 낫죠
@lightupyw
@lightupyw 4 жыл бұрын
교과우수상은 나 이 과목 잘한다를 나타내는건데 굳이 등급이 나오는데 한칸밖에 없는 상장에 교과우수넣긴 아까움
@user-de5lh2rg8b
@user-de5lh2rg8b 4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블라인드 한다고 해도 동아리 이름이나 활동등으로 다 알아요...
@downy33
@downy33 4 жыл бұрын
원래도 원칙적으로는 학교 가리는데 여태까지 학교 번호?뭐라해야되지 그런걸로 다 구분했다는데ㅠㅠㅠㅠ여기저기 카더라가 많아서 헷갈리네요
@user-qp6dq6vs3o
@user-qp6dq6vs3o 4 жыл бұрын
이름있는 학교들은 다 알죠. 이름 가려도 활동량이 자사고랑 지방일반고랑은 차원이 다른데..
@_da21das66
@_da21das66 4 жыл бұрын
동아리나 활동으로 어떻게 그많은 학교들을 구분하냐ㅋㅋㅋㅋㅋ 대입준비하는 사람이 대부분 아는 특정 고등학교의 특정동아리나 활동 아무거나 한개 대라고하면 못대잖아 ㅋㅋㅋㅋㅋㅋ
@user-vx8ec3kt4j
@user-vx8ec3kt4j 4 жыл бұрын
최두리 보통 공부잘하는 고등학교마다 잘봐주는 대학교 있지않아요?? 알음알음 알던데..ㅑ 저희학교에선 3등급도 고대가요ㅋㅋ중대는 떨어져도 고대는 합격하는 경우 있음
@aleph_0281
@aleph_0281 4 жыл бұрын
@@_da21das66 우리야 못대지만 입사관들은 알지...ㅋㅋㅋ 전사고 나왔는데 해당부분 어필하려고 입사관들 나왔을때 학교 특색커리 다 설명하고 무얼무얼 하는 대회다 하는식으로 상도 설명하고 그럽디다
@mathddang
@mathddang 4 жыл бұрын
10:23 오늘도 유니브클래스 수치심 No.1 고생 많으십니다
@mathddang
@mathddang 4 жыл бұрын
@@minyoungsss 아.. 수정할게오
@user-np7gv1pp9v
@user-np7gv1pp9v 4 жыл бұрын
형 스트리밍좀 켜봐 ㅋㅋ
@mathddang
@mathddang 4 жыл бұрын
@@user-np7gv1pp9v 킹치만 요즘 일이 너무 바쁜걸 ㅠ
@rjndsnjsnabajakk9364
@rjndsnjsnabajakk9364 4 жыл бұрын
@@minyoungsss 예뻐요
@user-od6lp4dz4f
@user-od6lp4dz4f 3 жыл бұрын
올해 고 1이 된 학생인데 생기부를 신경은 쓰지만 어떻게 만들어 나가야 할지 고민이 정말 많고 모르는것도 많았어요 그런데 쌤 말씀 듣고나니까 감도 좀 잡히고 무엇보다 최근에 나갔던 영어 경시대회에서 입상했다는 것이 생기부에 도움이 크게 될수도 있다는 점을 딱 알게되어서 너무 행복해요ㅠㅠ 앞으로도 꾸준히 영상 보면서 많이 배우겠습니당
@user-ti3tt6mg7q
@user-ti3tt6mg7q 3 жыл бұрын
TIP.1이과는 토목 환경쪽 가서 전과하는거도 나쁘지 않아욥 2.독서록 적을때는 책읽지 말고 머릿말, 책뒤쪽 설명,등을 보고 짜집기하고 대학 면접 전에 줄거리만 간단하게 알고 가면 됩니다(너무 많이 이렇게 하면 뽀록남)3.꿈이 없는데 이과남자인 분들은 군인 추천 드려욥 모든 학과를 역을수 있거든욥 4.일반고 다니시는 분들은 선생님들 너무 믿지 마요(입시경험 많은 분들 제외)5.자소서는 일주일 전에 끝내는게 좋아욥(갈아 업을수도 있음)6.학종은 개인 적인 생각이지만 등급 0.5까지 커버 가능 해욥(활동이 알차야함) 7. 중위권학생들은 학교이름 말고도 시설이나 학교 상황이 어떤지 봐야해욥(ex.부실학교 선정이나 재정문제 확인 안할시 군대 제대후 학교가 없을수도;)8.성적이 조금이라도 올라가는 방향이여야 해욥(자소서 쓰기 편함)9. 제일 중요한건 공부를 ㅈ빠지게 해욥(활동 ,상장 ,자소서 이런거 성적이 되고 나서 고민 하자^^)
@user-rz6mv4gd8j
@user-rz6mv4gd8j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ㅜ이번에 고등학생 입학한 신입생입니다ㅠㅠ제가 경기 일반고에 진학했는데 여기 영상보고 얻어가는게 많았거등요ㅠ세특같은거도 어떻게 채우는지 몰랐는데 뭘 해보려고 노력도해봤는데 보고서작성 이런거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어요ㅠㅠ 보고서 형식이나 뭔내용이 들어가야하는지 연세대생기부 분석한거 봤는데도 잘 모르겠어요ㅠ그쪽 부분 자세하게 알려쥬시면 정말 좋을거같아요ㅠㅠ 항상 영상 잘 보고있어요!!감사합니다
@user-co6rd9rt1h
@user-co6rd9rt1h 3 жыл бұрын
2:50 참고로 이제 수상경력도 무시합니다
@expluviophile
@expluviophile 2 жыл бұрын
왜케 뭘 자꾸 없애요.ㅠㅜ 그냥 무조건 시험 잘봐야 하는 듯
@qaz7335
@qaz7335 2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여??
@hhhhh-wu7up
@hhhhh-wu7up 2 жыл бұрын
@@expluviophile 가장 공평해지는 방법이긴하죠
@mimi-qt6qb
@mimi-qt6qb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재미나게 말씀하시네요. 인간답게 살면 된다니 매력만점이세요~~^^
@user-og3xu9ex3o
@user-og3xu9ex3o 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매우 한줄기 빛과 같습니다ㅠㅠㅠ 너무너무 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
@user-ct6io9fn4h
@user-ct6io9fn4h 4 жыл бұрын
난 어쩌다 생기부에서 내신을 버린것이지...
@vjessica4763
@vjessica4763 3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ㅠ...
@user-li8iw3yn1w
@user-li8iw3yn1w 4 жыл бұрын
올해 고등학교 들어간 신입생입니다!! 자동봉진 관련한 영상 기대할게요😆
@user-sp7ex8ll6o
@user-sp7ex8ll6o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유용한 정보 잘 얻고 가요!!
@h_y_e_e_u_m_
@h_y_e_e_u_m_ 4 жыл бұрын
늘 좋은 정보 감사해요! 민영쌔앰
@Icandoeverythingwillbefine
@Icandoeverythingwillbefine 4 жыл бұрын
헐 진로희망사항 없어졌구나 요즘 삶에 목표도없고 꿈도없어서 그것때문에 진짜 고민많이했는데 다행이다....ㅜㅜ
@ooo_ooo_212
@ooo_ooo_212 4 жыл бұрын
다행인거 맞습니까 휴먼..
@user-rc1tf2pt9c
@user-rc1tf2pt9c 4 жыл бұрын
수상경력 삐끗한 과목이 좋다는데 문과인데도 수학 수상경시나 이과 계열 삐끗해서 넣어도 되나요? 한개만 골라야 하는만큼 신중해야 된다고 해서...ㅠㅠ
@user-xy9pq4xh8g
@user-xy9pq4xh8g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게 궁금해요ㅠㅠㅠ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문과인데 수학을 잘하면 엄청 플러스 아녜요??호덜덜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진로적합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dykim2809
@dykim2809 4 жыл бұрын
그거보다는 진로적합성이 중요할 거 같아요 예를 들어서 소논문쓰기 대회를 우승했다고 하면 수학 수상경시보다는 더 메리트가 있겠죠?
@gahyun839
@gahyun839 4 жыл бұрын
9:56 별에 둘러싸인 민영쌤 너무 귀여운 것 아닌감요??
@Odin7733
@Odin7733 4 жыл бұрын
현 중3으로써 정말 도움 많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믿고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sunnyback5075
@sunnyback5075 4 жыл бұрын
7:50 수업시간에 발표해본 경험 있으신 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선생님한테 미리 말씀드리고 수업시작하자마자 발표 딱 하고 앉아서 수업 들으면 되는 건가요??
@user-qj2jx6bs5q
@user-qj2jx6bs5q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nj2nj4nb2q
@user-nj2nj4nb2q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zg4oe5su3i
@user-zg4oe5su3i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ub9sz7ow1y
@user-ub9sz7ow1y 4 жыл бұрын
보통 기말고사 끝나고 방학 까지 시간 남았을때 주로 하는데, 수업시간 시작 전에 선생님께 미리 말씀드리고 발표하는겁니당 그럼 선생님께서 수업 하시기 전이나 수업 끝나고 시간 몇 분 남았을때 하라고 하면 그때 하시면되요
@user-rz6mv4gd8j
@user-rz6mv4gd8j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lc3kd3ry6p
@user-lc3kd3ry6p 4 жыл бұрын
나 대학교 1학년... 왜 이걸 보고있는가..
@user-jx3el1ym5v
@user-jx3el1ym5v 3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ㅋㅋㅋㅋㅋ 왜 보고있어욬ㅋㅋㅋㅋㅋㅋㅋ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3 жыл бұрын
재수하자 !!
@user-qm6yt1ct6c
@user-qm6yt1ct6c 3 жыл бұрын
@@sexymoonkorita 악마다 진짜
@bluemint883
@bluemint883 3 жыл бұрын
@@sexymoonkorita 너 임마 초딩이라서 얼마나 충격인 말인지 모르지?
@47invention
@47invention 3 жыл бұрын
@@sexymoonkorita 와 사탄도 절레절레
@user-wp2db8uk8w
@user-wp2db8uk8w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생기부 쓸때 많은 도움이 됬어요.
@juicy_pop
@juicy_pop 2 жыл бұрын
예비고1이예요. 2022년에 고1이 되는 학생들은 수상경력도 해당이 안 되고, 이전 내용과는 많이 다르다고 하던데, 이 부분도 다시 업데이트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전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많아서요.
@xmenokun
@xmenokun 4 жыл бұрын
수상에서 진로 관련한 대회 상이 낫나요 아니면 성적 삐끗하지는 않은 과목 경시대회 상이 낫나요ㅠㅜㅜㅠ + 수학내신2등급에 경시대회 최우수상(학년 1등) 받았구요, 진로는 미술 쪽이라 미술대회 우수상도 받았습니다! 둘 다 받아놓고 고민중입니다,,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둘 다 쓸 수 있는 부문이 달라요 과목 경시대회는 학업역량, 진로 관련 대회 상은 전공적합성 둘 다 좋죠
@user-fn7zj1on1x
@user-fn7zj1on1x 4 жыл бұрын
둘다 애초에 플러스 요인이라 어느게 더 낫다고 보기 어려워요ㅋㅋㅋ 둘다 따시는게 가장 큰 방법?
@user-bm7jp7zn4f
@user-bm7jp7zn4f 4 жыл бұрын
영상 제작자는 아닌데 일반고 내신 6.7 학종으로 지거국 올킬한 사람입니다. 상은 18개 (3년봉사상포함, 개근상×,교육청 최우수상포함) 받았는데 상은 경시대회상 2개 있고(1개 지구과학, 법 경시대회 참고로 공대생입니다) 교과우수상은 지1, 지2, 한국지리 있어요 나머지는 다 글짓기상입니다. 상은 딱히 상관 없는 것 같아요
@user-bm7jp7zn4f
@user-bm7jp7zn4f 4 жыл бұрын
아 체육도 교과우수상 있네여
@Yohan_an
@Yohan_an 3 жыл бұрын
미술이신데 수학을 저리 잘하시네.. 서울대 준비하시나
@user-fe1fh8eq1m
@user-fe1fh8eq1m 4 жыл бұрын
7:41 여기서 수업시간에 궁금하거나 관심있는 부분에 대해 개인적으로 더 공부해서 선생님께 보여드리라는 말씀 같은데 과제를 통해서 해야하는건가요?? 선생님께 어떻게 보여드려야 하나요......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려요ㅜ.....
@dhdee5682
@dhdee5682 4 жыл бұрын
ㅇㄷ
@321_0_
@321_0_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kf8io6dh5w
@user-kf8io6dh5w 4 жыл бұрын
나도
@user-bx5zv2kt7y
@user-bx5zv2kt7y 4 жыл бұрын
.
@user-sy9mx7mc7u
@user-sy9mx7mc7u 4 жыл бұрын
ㅇㄷ
@mingyungcha2601
@mingyungcha2601 4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영상입니다^^!!!!
@user-jr2hk5dj8e
@user-jr2hk5dj8e 4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보는데 엄청 이쁘시다 ㄹㅇ
@sonia3532
@sonia3532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ㅠㅠㅠ 진로를 찾지못해서 동아리를 일학년때 봉사동아리를 들어갔다가 이학년이 되어서 이과를 선택했고 동아리를 과학관련 동아리로 바꾸려고 했다가 면접을 떨어져서 여전히 봉사동아리에요ㅠㅠㅠ 봉사동아리가 진로랑 관련이 없으니깐 대입이 어려워질까요??ㅠㅠ.
@user-vm3kq8lh1y
@user-vm3kq8lh1y 4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ㅜㅜ 저도 이관데 정치관련 동아리들어가서.. 정말 도움안되가지구ㅜㅜ
@user-bm2pz1ot2z
@user-bm2pz1ot2z 3 жыл бұрын
지방 일반고 학종러였는데 이거 진짜예요 ㅋㅋㅋㅋ 세특에서만 면접질문 다 받았었어요 늦었다고 생각하거나 시험 망쳐서 못한다고 생각해도 세특으로 많이 추월할 수 있으니까 교내 대회나 방과후활동 많이 해두세요~ 다들 입시 화이팅입니다!!!
@user-pv2dj2nb3w
@user-pv2dj2nb3w 2 жыл бұрын
세특... 어떤 식으로 채우는 게 맞을까요? 영상 여러 개 찾아보고 있는데 아무리 봐도 감이 안 잡히고 제가 쌤께 가서 세특에 넣어 달라고 하는 게 무례해 보이면 어쩌나 싶어서 함부로 행동을 못 취하겠어요... 그리고 방과후 활동은 방과후 프로그램 신청 말씀하시는 걸까요?
@user-bm2pz1ot2z
@user-bm2pz1ot2z 2 жыл бұрын
@@user-pv2dj2nb3w 고3이라면 세특 내용 뭐 적어줄지 학생들에게 답변 받는편이라 고민하실 필요는 없구 고1~2이실때는 교내외대회나 동아리로 채우실수 있으세요 >수학시간에 어떤어떤 것을 배워서 이러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책을 읽음 더불어 심화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동아리에서 무슨무슨 활동으로 보충하였음 그런 지식을 기반으로 수학경시대회에서 장려상을 탔으며< 이런 식으로 세특에 적히는게 베스트긴한데... 딱히 저렇게까지 안가도 그냥 발표나 대회 동아리 활동(동아리나 대회 담당쌤이 교과목 쌤과 일치하면 좋겠죠?) 개별적으로 해도 나중에 자소서로 끼워맞추기하면 되니까 넘 신경쓰지 마세용 팁이라고 할 건 만약 교과에 >인수분해< 이런 식으로 특정 개념 이름이 나와있으면 그걸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게 학종에서 유리합니다 면접에선 아예 인수분해의 공식 말해보라고 물어보기도 하니까요... 한줄로 줄이자면 과목에서 책 책에서 동아리 동아리에서 개인 학습 개인 학습에서 대회 이런식으로 하나의 주제에 관련해서 뻗어나가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자발적으로요!! 연결고리를 만든다고 생각하심 편해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user-pv2dj2nb3w
@user-pv2dj2nb3w 2 жыл бұрын
@@user-bm2pz1ot2z 헐 시간도 늦었는데 긴 글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캡처해 놓고 두고두고 볼게요 🥺 죄송하지만 한 가지 더 질문해도 될까요...? 제가 동아리는 경영 동아리인데 진로는 정치와 법 교사예요 (한국지리도 어느 정도 괜찮아요!) 너무 연관성이 없어서 지금 골치가 아파요... 과목 내용에서 교사 관련 책으로 연관짓는 것도 막 생각이 안 떠오르네요 😭
@um..4189
@um..4189 3 жыл бұрын
9:56 민영쌤이 가장 중요하네욧!!
@user-nn1gk7wd4v
@user-nn1gk7wd4v 4 жыл бұрын
어떡하죠 이거보고 저 선생님한테 반했어요 왜이러지 아이돌 입덕한다는게 이런기분인가 너무 멋있고 후광이 비치는데
@vin0861
@vin0861 4 жыл бұрын
결국 성적이 제일 중요하다는거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학종은 도박이에요. 6개 입시원서 넣을 때 1~2개까지만 넣으시길 바랍니다.
@user-pf2oe5cy6m
@user-pf2oe5cy6m 3 жыл бұрын
이미 교과는 글렀어요 학종 6개에 정시 노려야줘.. 1학년 1학기 국어만 2고 나머지 45..
@user-pf2oe5cy6m
@user-pf2oe5cy6m 3 жыл бұрын
내신이 모고보다 어려운 학교..ㅜㅜ
@engplz4070
@engplz4070 3 жыл бұрын
나머지 4~5개는 뭐 넣어요 그럼
@vin0861
@vin0861 3 жыл бұрын
@@engplz4070 지방이면 수시 all 서울이면 정시를 더 넣고, 상황 따라 수시 조금
@vin0861
@vin0861 3 жыл бұрын
@ᄒᄇᄒᄋ 맞는데요?
@EoungsiotEoung
@EoungsiotEoung 3 жыл бұрын
1.인적사항 ☆☆☆☆☆ 2.학적사항 ☆☆☆☆☆ 3.출결상황 2분의1개~ ☆☆☆☆☆ 4.수상경력 ★★★★★ 5.자격증 및 인증 취득사항 -★★★★★~대학에 따라 다름 6.진로희망사항 ☆☆☆☆☆~★★★☆☆ 7.창의적 체험활동상황 ★★★★★+2분의1개 8.교과학습 발달상황 ★★★★★★★★★★★★★★★★★★★★★★★★★★★★중요★★★★★★★★★★ 9.독서활동상황 ★★★☆☆ 10.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 착하게만 살면 다 잘됨^^
@user-xw2nx6hr9i
@user-xw2nx6hr9i 3 жыл бұрын
진짜 잘 알려주신다.....🤭 언니 존경해요❤️😭
@hpc917
@hpc917 4 жыл бұрын
나의 구세주,,, 사랑합니다♡
@akaauawn
@akaauawn 4 жыл бұрын
교대 목표로 하는 생기부는 어떻게 짜야할지 영상 찍어주시면 안될까요..?? ㅠㅡㅠ
@user-ee1tg2qu6c
@user-ee1tg2qu6c 4 жыл бұрын
저도 교대 너무 궁굼해요... 초등교사가 꿈이라..
@user-dm5jy3fq4j
@user-dm5jy3fq4j 3 жыл бұрын
블루가스타면부루스타 감사해요!!
@user-wc3rh8tm8w
@user-wc3rh8tm8w 3 жыл бұрын
제가 오프라인 등교때는 한번도 지각한 적 없는데 온라인 등교때는 출석하는게 너무 어려워서 네다섯번정도 지각했는데 ㅠㅠ 이게 무단 지각에 포함 돼서 고등학교나 대학교때 지장이 갈지 궁금해요
@user-yj2me5nj7x
@user-yj2me5nj7x 4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유니브...
@user-ru9uj7dc2f
@user-ru9uj7dc2f 4 жыл бұрын
책 더럽게 안읽은 중3입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요 사랑해요 민영쌤ㅠㅠㅜㅜ
@yuna8434
@yuna8434 4 жыл бұрын
중3편 바뀐 입시제도에 대해서 올려주실 수 있나요 ㅜㅠㅠㅜㅜㅜㅜ
@user-ei5qe6be5n
@user-ei5qe6be5n 4 жыл бұрын
학종러 아니고 교과러인데 썸네일 모자이크가 너무 안 보여서 들어옴 썸네일 모자이크 대체 뭐죠...
@lifeistooshort__
@lifeistooshort__ 4 жыл бұрын
저만 글자수로 보이나용
@user-we3so1io3o
@user-we3so1io3o 4 жыл бұрын
돈까스 인듯
@user-zo7uj2ro7o
@user-zo7uj2ro7o 4 жыл бұрын
@@user-we3so1io3o ㅋㅋㄱㅋㄱㅋㄱㅋㅋㄱㄲㅋㅋ
@user-gj5eu4wh9b
@user-gj5eu4wh9b 4 жыл бұрын
@@user-nz8bc2kl8x 저도 ㅋㅋㅋ
@xxxxxxxx7330
@xxxxxxxx7330 3 жыл бұрын
@@user-we3so1io3o ㅇㅇ맞지맞지
@user-pz3lk7dr5q
@user-pz3lk7dr5q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빛
@user-hx1bn3xl3u
@user-hx1bn3xl3u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오늘도 이쁘네여^_^ ㅎㅎ
@user-nj2nj4nb2q
@user-nj2nj4nb2q 4 жыл бұрын
세특 적는거 발표요?? 전 영상에서는 그냥 보고서처럼 작성해서 쌤한테 개인적으로 드리라고 하던데 수업시간에 발표도 해야하나요?
@user-rz6mv4gd8j
@user-rz6mv4gd8j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mi6hs3kz6s
@user-mi6hs3kz6s 4 жыл бұрын
하면 좋다는 거죠
@user-mi6hs3kz6s
@user-mi6hs3kz6s 4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입사관이라고 칠 때 보고서만 작성한 애가 좋나요 발표준비해서 촤라락 한 애가 좋나요!
@suhyeok_kim
@suhyeok_kim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oh2lq8qu6w
@user-oh2lq8qu6w 4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세특 자체가 수업 활동을 반영해서 선생님들께서 작성하시는 거니까 본인이 직접 작성하는걸 올리는거 보다는 이 학생은 이 분야에 관심이 생겨서 수업시간에 이런 내용에 대해 발표를 했다 이런게 더 좋게 보이기는 하겠죠 또 생기부 작성한거 안받아 주시는 쌤들도 계셔서 그거 믿는거보다 수업시간에 활동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gracia5719
@gracia5719 4 жыл бұрын
05부터 자소서 미반영이면 제 자신을 내신말고는 어필할수있는 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자소서가 없어지면 학종은 어떡해 준비해야하나요?
@Jungsiyeon
@Jungsiyeon 4 жыл бұрын
자소서 없어지면서 대입 면접이 확대될 전망이 있고, 이제 저희부터는 세특(세부능력 특이사항)이나 학종(학생 종합의견)이 중요해진다고 해요. 여기서 나에 대해서 나는 어떤 사람이다 라는걸 어필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와 자소서가 사라져요? 신기하네
@seorina6228
@seorina6228 4 жыл бұрын
자소서 없어져요?? 대입할때만 없어지는건가요..?고입은 다 쓰는걸로 알고있는데..
@user-zo7qm5hl6n
@user-zo7qm5hl6n 3 жыл бұрын
서윤아 대입 말하는 겁니다
@wlgnsdl5838
@wlgnsdl5838 2 жыл бұрын
오ㅓㅏ 좋은 꿀팁 얻어가요 감사합니다.
@user-km8hm6dd7k
@user-km8hm6dd7k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인정결과 처리되고 이거 보는데 눈물만 나오네요 온라인 수업이니 더 챙기기가 힘들어요...몸이 움직이는게 아니니 까먹고 늦게 됨...
@chickenegg_
@chickenegg_ 4 жыл бұрын
강남 8학군에서 학교를 다니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고교 블라인드제는 불리하게 작용할수 있지 않나요?
@cw520086
@cw520086 3 жыл бұрын
걔네는 정시준비해요
@user-bg6jq9sw2i
@user-bg6jq9sw2i 3 жыл бұрын
고1은 기본 학교꺼로 자율 진로 채웠고 세특 적당히 챙겼고 고2는 정말 거의 완벽하다고 싶을정도로 빈 곳이 없습니다 고 3때 2.2까지 올렸는데 학종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user-qu4ly3qd8i
@user-qu4ly3qd8i 3 жыл бұрын
설명잘하신당~~ㅎㅎ
@user-iz1nn6ud9r
@user-iz1nn6ud9r 4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민영쌤 ㅠㅠㅠㅠㅠㅠㅠ❤️
@rladpdnjs9623
@rladpdnjs9623 4 жыл бұрын
3:11 수학..... 삐끗해서....... 3등급...........ㅎ
@AiruHG
@AiruHG 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merkjennie7151
@merkjennie7151 3 жыл бұрын
눈물이 차올라서 고갤 들어...
@bluemint883
@bluemint883 3 жыл бұрын
한문제 틀렸는데 코로나 땜에 개쉽게 내서 3등급..
@LK-100
@LK-100 3 жыл бұрын
수학 3등 차이로 2등급 못갔다 질문받는다
@ssong_jyan
@ssong_jyan 3 жыл бұрын
2-1=3 이라고 계산 실수 해서 3등급으로 강등됐다 질문받는다
@user-zv5ii6ek4v
@user-zv5ii6ek4v 4 жыл бұрын
경영,경제 학과 희망이면 수학,확통이 제일 중요한가요?
@nfhalz2091
@nfhalz2091 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눌러놨으니 나중에 다시와야지 ㅎ
@user-tp9dx9vf1i
@user-tp9dx9vf1i 3 жыл бұрын
쌤 너무 이쁘신거 아닙니까 ㅋㅋㅋㅋ
@user-gi7yh5pp9b
@user-gi7yh5pp9b 4 жыл бұрын
자율동아리 뽕뽑는 방법 있나요? 저희 학교는 30자 쓸 수 있다는데 동아리 이름은 세 글자여서 나머지 글자를 어떻게 기록하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치매 어르신들께 손 씻기 키트 제작해서 드리는 등 치매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활동합니다. 중간에 의사선생님 만나서 면담하는 자리도 종종 있고 치매안심센터라는 공공기관이랑 연합해서 하는 자율동아리에요! 어떻게 쓰면 좋을지 또는 이런 활동은 꼭 해야한다 라는 거 있을까요? 자율동아리 뻘짓 퇴치해 주세요
@user-gi7yh5pp9b
@user-gi7yh5pp9b 4 жыл бұрын
참고로 꿈은 약사입니다!
@user-cp5jq7cj3o
@user-cp5jq7cj3o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fj4zo2mx4k
@user-fj4zo2mx4k 4 жыл бұрын
중3 수시도 올려주시면 안될까요ㅠㅠ 없어지고 바뀐게 너무 많아서 많이 헷갈려요 ..ㅠㅠ
@jyum056
@jyum056 4 жыл бұрын
악 이거 제발..
@user-fo6if6co2g
@user-fo6if6co2g 4 жыл бұрын
맞아여 ㅠㅠ
@mmimtm
@mmimtm 4 жыл бұрын
ㅇㄷ
@Sonnywife
@Sonnywife 4 жыл бұрын
인정이여ㅜㅠㅠ
@user-yc9em9tj4n
@user-yc9em9tj4n 4 жыл бұрын
정말 높은 고등학교 갈거 아니면 걍 중간만 가도 앵간한덴 다가요 수행이나 지필평가나 ㅇㅇ
@jsj5022
@jsj5022 4 жыл бұрын
1.개인적으로 더 공부한거나 관련 책읽은거 보고서로 작성해서 선생님께 내려면 개인적으로 작성해서 그냥 선생님께 보여드리는 건가요?? 어떤 식으로 작성해야 하나요 2.독서기록장 내용은 작성이 안된다는데 어떻게 되는건가요?? 3. 대회들이나 프로그램? 있으면 학교에서 알려주나요?? 아무나 답해주세요ㅠㅠ
@user-zl3ug7bn6x
@user-zl3ug7bn6x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사랑해요
@Sonnywife
@Sonnywife 4 жыл бұрын
3:23 민영쌤 여기서 수상경력 05년생 대입부터 안들어간다는데 그래도 중요하나용?! 대회 준비나 수상한걸로 교과 선생님들에게 어필해서 세특에 기재될수도 있는건가요?
@user-ec1vl6nq8t
@user-ec1vl6nq8t 4 жыл бұрын
안중요함....부러움
@user-be8lz1mv9y
@user-be8lz1mv9y 4 жыл бұрын
안 들어가는데 당연히 필요없죠
@user-qj2jx6bs5q
@user-qj2jx6bs5q 4 жыл бұрын
교내 수상도 하나도 기재안되나요 ?
@user-gp5bo1ls7s
@user-gp5bo1ls7s 4 жыл бұрын
@@JJ-es7cr 대회 준비는 해야함
@user-sq7cp7vm3e
@user-sq7cp7vm3e 4 жыл бұрын
와.... 수시 정시 병행하기 꿀이겠네ㅠㅠㅠㅠ 부럽다
@user-yr1ul4zy5m
@user-yr1ul4zy5m 4 жыл бұрын
그저 갓민영쌤ㅠㅠㅜㅜㅜ궁금한게 있습니다ㅠㅠㅠㅜ고1인데 정말 멘붕입니다... 1 이번에 코로나사태로 1학기 수상이 불가능해졌는데(과학 논술 대회가 있긴 하지만 시험 하루 전이라 너무 부담스러워요,,)학종에서 많이 불리한건가요 ? 2 교과부장을 하면 세특이 잘 채워진다고 해서 하려고 했는데 한 친구가 거의 모든 과목을 독점해버렸어요ㅠㅠㅜ겨우 가정부장을 따내긴했는데 괜찮겠죠...? 3 따로 공부를 해서 발표를 하라고 하셨는데 저희 학교 선생님들은 수업진도 나가기도 바쁘다고 막 그러셨거든요..이런경우에 어떻게 해야 세특을 잘 채울수있을까요ㅠㅠ저는 법관련 직종 희망하고 있어서 사회계열이 잘 써있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되는지 모르겠어요,,발표를 안하고도 세특을 잘 쓰는 방법이 있나요ㅠㅠㅠ
@kimgang-fv2eo
@kimgang-fv2eo 4 жыл бұрын
대신답변 죄송해요 1번질문은 어차피 다른학교들도 마찬가지여서 나중에 2학기 2학년 1.2 학기 3학년 1학기 준비하시면 충분할거같구여 2 교과부장이라고 잘 써주는것도 아닙니다 자기가 잘 써서 담당과목 선생님께 여쭤보고 쓰세요 3 굳이 발표 아니여도 할게 많아요 님이 따로 법학과 지망이라고 하셨으니 통합사회에서 법관련 단원에서 교과서 내용중에서 ~가 궁금해서 ~를 조사하고 ~를 알게 되었고 ~를 더알고싶어서 ~을 찾아보았음 이런식으로 작성해보시고요 법쪽 에세이 작성해서 선생님께 제출해서 세특에 넣고싶다고 이야기 해보세요
@user-yr1ul4zy5m
@user-yr1ul4zy5m 4 жыл бұрын
@@kimgang-fv2eo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었어요 😆
@user-hi3yn5yt9x
@user-hi3yn5yt9x 4 жыл бұрын
내신이 엄청 중요합니다...제발 ㅠㅠ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사태라면 그 나이대 친구들이 다 똑같은 조건이니 상관없어요 교과부장하면 좋지만 무엇보다 쌤이랑 친해지면 확실히 세특 잘 써주셔요 (중국어 과목은 우리학교의 경우 남자애들이 쌤이랑 엄청 친해서 걔네만 열심히 적어주시더군요 상관없으니 패스) 무엇보다 내신 중요합니다 본인 진로와 관련한 보고서 작성해서 쌤께 가져다주세요
@lightupyw
@lightupyw 4 жыл бұрын
등급부터 챙기고 다른거 챙기세요 등급은 낮은데 교내 활동은 많으면 오히려 역효과납니다
@user-mn6ys1lf4b
@user-mn6ys1lf4b 3 жыл бұрын
민영쌤 사랑해여 ...
@chayuwon
@chayuwon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을 달았습니다. 8번 세특 항목에 대해서인데요, 현재 당국에선 현재 교과과정 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과제물/보고서 등을 받아도 기록해선 안되고, 교사가 제시한 과제물이 아니고 학생이 먼저 가져온 보고서는 그 내용에 상관 없이 세특에 입력하지 말라고 지침을 내리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수업시간 학생 반응이나 수행평가 외에는 기록을 자제하라는게 교육당국 지침이죠. 과제물조차도 대리작성의 가능성이 있으니 학교 현장에서 직접 작성하거나 실시간으로 발표한게 아니면 절대 기록하지 말라는거죠. 사실 형평성이나 선행학습금지규정의 취지를 생각해 보자면 맞는 말이긴 합니다만, 이럴 때는 교사가 어떠한 식으로 대처를 해야 할까요? 사실 이게 큰 고민입니다. 저 두 가지로는 1500바이트를 채우기가 정말 어려워요. 더군다나 대도시의 과밀학급에선 말이죠. 조금만 발표가 교과과정 수준을 오버해도 대학교에선 그 생기부 전체를 불신하게 되니 참 모호하더군요. 그렇다고 해서 전원에게 발표를 시키는 것도 과밀학급에선 꿈도 못꿀 일입니다. 진도 나가기도 벅찬데 시간 뺀다는게 참 힘들고, 그렇다고 해서 학기말에 시키려고 하면 학생들이 많이 지쳐있어서 그런지 저항을 이기는 것도 힘들고요. 또 어떤 학생은 한 학기가 끝나기 전에 1500바이트를 다 채울 정도로 굉장히 수업에 열성적인데 어떤 학생들은 절반은커녕 100바이트도 간신히 채울까 말까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교사 입장에선 다같은 제자인 이상 아무리 미워도, 수업을 안들어도 최대한 채워줘야만 합니다. 이럴 때 열심히 하는 학생들의 반발이나 학교로 들어오는 민원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다같이 갈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사실 학교 현장에선 이걸 가지고 굉장히 많은 고민을 합니다. 그런데 답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염치 불고하고 글을 써봅니다.
@user-fm5fc3py6d
@user-fm5fc3py6d 4 жыл бұрын
자율동아리 하는게 나을까요,, 현고1인데 한줄들어가는데 일주일에 몇시간씩 쓰는게 맞을까해서,,(제 진로와 맞는 대부분의 동아리들이 다 일주일에 1~2회씩 만나서 활동한다고 합니다)
@kimgang-fv2eo
@kimgang-fv2eo 4 жыл бұрын
추천드려요 자기꿈이랑 맞는 친구들이랑 활동 잘 할 생각이시면 나쁜거 1도 없어요 강력추천
@user-ho1oq8vy4r
@user-ho1oq8vy4r 4 жыл бұрын
현 고3인데 하시는게 좋습니다 진로 관련된 자율동아리면 더 심층적으로 하는구나 생각하고요 진로 관련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활동들을 했다는 능동성과 적극성을 보니까요 또 자기진로랑 연관지을 수도 있겠죠?
@dd-se8ho
@dd-se8ho 4 жыл бұрын
정규동아리 들어가세요 자율은 의미 없음
@user-qp6dq6vs3o
@user-qp6dq6vs3o 4 жыл бұрын
한줄들어가는데 생기부로선 의미없습니다. 그냥 경험으로는 괜찮을진 몰라도 전체적으로 효율은 별롭니다.
@newspaper0169
@newspaper0169 4 жыл бұрын
자율동아리 이름만 쓰면 칸이 끝나기 때문에 안 들어가시는게 시간대비상 좋습니다. 그러나 자율동아리에서 한 심화활동을 각 교과별로 접목시키면 세특쓰시는데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기왕이면 직접 만들어서 하세요. 시간 제약이 덜 할겁니다.
@code_psh
@code_psh 4 жыл бұрын
세특 챙기려고 노력은 하는데 챙길만한 과제가 시국 때문에 없어지네...
@user-lh9ul1nm3e
@user-lh9ul1nm3e 4 жыл бұрын
일반고 낮은 내신으로 생기부 & 비교과 올인해서 대학간 사람으로 거의 맞는 설명인거같아요! 물론 2번은 말씀하신대로 생기부만 봐도 메이져 고등학교 구분은 다 돼서.. 전 아직 고등학교이름은 본다고 생각들긴 한데 그와는 별개로 요즘 세특/ 비교과의 중요성이 너무 떨어지는거같아서 아쉽습니다... 물론 수능 비율 늘리고 공정성 중요한건 알겠는데 매년 그렇게 노벨상 안나온다고 찡찡거리면서 정책은 공정성이라는 틀 속에서 애들 눈닫고 귀막고 성적으로 딱 자르고 애들이 진짜 성장하고 본인을 증명할 것들은 주관적이라면서 다 블라인드해버리니 우민화 교육으로 들어가는거같아서 안타까워요.
@user-hz3cv4mr8k
@user-hz3cv4mr8k 4 жыл бұрын
생기부 ㅠㅠ 3년 내내 열심히 채웠지만 결론은 원하는 대학 못 간 사람이에요.... 지방에서 일반고 다니면 솔직히 생기부 정말 정말정말종말정ㅁㄹ정멀정맒정말정말 ‘와 진짜 이건 작품이다 예술이다 넌 어떻게 이렇게 썼니?’라는 말을 수십 명에게 들은 사람만 원하는 대학을 학종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전교에서 날고 기는 친구들도 그냥 지방의 일반고를 다닌다면 쉽지 않기 때문에 생기부가 부담되거나, 내신과 활동 중 뭘 더 우선시 해야 하나 고민된다면 일단 내신을 열심히하세요...! 학종은 내신과 능동적 활동의 종합 점수이긴 하지만 솔직히 내신을 더 중요시 생각하는 곳이 많습니다. ㅠㅠ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고 예술 분야도 피지컬이 타고나거나 뛰어난 실력이 있는 거 아니면 공부가 최우선이에요. 베이스가 공부예요. 공부 안 하면 생기부 잘 써도 죽도 밥도 안 됩니다.... 지방의 일반고 학생이라면 그래요.... 고등학생들 요즘 분위기 잡기 힘들 텐데 다들 파이팅 ㅜ...
@user-ht7ff4ct4k
@user-ht7ff4ct4k 4 жыл бұрын
헐 저 어제 5분정도 지각해서 선생님께서 지각처리 된다고 말씀하셨거든요?? 그럼 저 기본에서 마이너스 된거니까 망한거죠??
@user-ez3lq7cs6o
@user-ez3lq7cs6o 3 жыл бұрын
@@minyoungsss 병결로 지각 1번있는거는요?
@user-yh1hc5bp3l
@user-yh1hc5bp3l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제가 물리(3등급 올림), 국어(3등급 올림), 수학(2등급 올림), 기하(3등급 올림)이렇게 내신을 올린거 공부법같은거 행발에 적혀있는데 그런경우는 행발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나요??
@user-rz6mv4gd8j
@user-rz6mv4gd8j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gp5bo1ls7s
@user-gp5bo1ls7s 4 жыл бұрын
만약에 그 올린 성적을 유지를 한다면 당연히 좋게 작용하지만 다시 떨어진다면 좋게 작용하지는 않겠죠
@aleph_0281
@aleph_0281 4 жыл бұрын
당근 행발은 '담임'이 쓰는 추천서임 따로 제출하는 추천서를 담임이 썼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은데, 학생을 1년간 옆에서 본 담임의 말도 중요하게 평사한단거지
@user-yh5mz1im7b
@user-yh5mz1im7b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민영쌤! 다름이 아니라 대회입상 경력에 대해서 궁금한데요.. 제가 진로 쌤께 들은 바로는 생기부에 입상경력을 자신의 전공, 가고 싶은 과에 관련된 상을 타서 나중에 자소서를 쓸 때 내가 이만큼을 여기에 투자했고 결과도 이렇다, 이렇게 진로를 이쪽으로 꿈꿔왔다는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면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그 쪽 분야로 상을 타고 있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ㅠㅠ?
@user-xu9qr8db6z
@user-xu9qr8db6z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은 별표 다섯개입니다!!!!!
@user-uj2kg3xm4u
@user-uj2kg3xm4u 4 жыл бұрын
저희 학교 발표 수업이 없던데..보고서 쓰고 선생님께 세특 말씀드리면 되나요??? 수업시간에 어떻게발표하죠ㅠㅠㅠ
@problems4196
@problems4196 4 жыл бұрын
ㅇㄷ
@user-pm6kf8fv6w
@user-pm6kf8fv6w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이 따로 말씀 없으셔도 선생님 찾아가서 말씀드리면 됩니다!
@honestly8499
@honestly8499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 직접 찾아가서 부탁드려야 돼요
@kimgang-fv2eo
@kimgang-fv2eo 4 жыл бұрын
~~한 내용으로 새특쓰려고 하는데 시험끝나고 남은 시간 이용해서 ~~내용 발표하고싶은데 괜찮을까요 라고 해보세요.
@hj2ing
@hj2ing 4 жыл бұрын
임원 경험 중 선도부는 필요가 없나요??ㅠㅜㅠㅠㅠ 외고에서 영어 등급이 낮은편이면 영어 외 과목이 잘나와도 마이너스일까요 ㅜㅠㅠ
@K_o67217
@K_o67217 4 жыл бұрын
선도부 필요는 잘 모르겠는데....제 동생이 올해 한양대 갔는데 학급임원 한번도 못하고 선도부만 했대용!!
@user-oh4il3yp7b
@user-oh4il3yp7b 4 жыл бұрын
선도부가 꼭 있을 필요는 없는데요 영어 등급 34등급까지는 다른 과목이 커버쳐 주지 않을까요
@user-vx5fz5lh8s
@user-vx5fz5lh8s 4 жыл бұрын
@@K_o67217 오 동생분이 공부 개빡세게 하셨나보네요...부럽 ㄷ
@user-ri1go4uy9u
@user-ri1go4uy9u 3 жыл бұрын
중3 대입 헷갈려 죽겠네요 ㅠㅠㅠ 언제 시간 되시면 2020기준 중3 대입 생기부 작성도 알려주세요 갓민영 ...🤍🤍
@user-bs1go3mv5m
@user-bs1go3mv5m 4 жыл бұрын
아 누구 닮았다 했더니 드라마 퍼퓸에 나오는 여주인공이랑 이비에스 고등 수학 박자영쌤 닮았어요!!! 영상 완전 꿀팁❤️❤️ 사랑해옹 이잉
@user-nu5ft6iq7h
@user-nu5ft6iq7h 3 жыл бұрын
7:54 발표를 그럼 어떤과목 쌤한테 말해서 따로 그 수업 시간에 하는건가요? 갑자기 발표하는건가요?
@user-pi4tu3qe2o
@user-pi4tu3qe2o 4 жыл бұрын
ㅠㅠ 제 잘못이긴 하지만 1학년 때 선생님께서 지각을 빡세게 잡으셔서 1,2분 차이로도 무단지각 주셔서 무단지각이 2개예요 그럼 생기부 열심히 채워도 대학을 못 가나요
@user-xl6cg6vr9d
@user-xl6cg6vr9d 4 жыл бұрын
저두.. 종치자마자 바로 들어갔는데,,,
@user-xw9kx5wr8j
@user-xw9kx5wr8j 4 жыл бұрын
저도 1학년때 지각2개 있어요 ㅠㅠ 저희 학교도 빡세게 잡아서..
@sjy4089
@sjy4089 4 жыл бұрын
무단지각이 좋은건 아니지만 대학을 못 갈 정도로 큰 타격을 주진 않을겁니다 다른 생기부 내용을 열심히 채운다면 충분히 커버 가능할거에요
@user-go1fl7pr8m
@user-go1fl7pr8m 4 жыл бұрын
어이구어이구 걱정하지 말아요 저도 2번 무단지각이 있는데 학생부종합으로 이번년도 국립대학 들어갔습니다!! 게다가 1학년때 한 거니깐 면접에서 물어보면 이때 지각한 것에 경각심을 느끼고 플래너를 작성하면서 시간관리에 힘썼다~ 그래서 2,3학년엔 지각하지 않았다~ 이런 식으로 풀어나가면 돼요! 종합러 파이팅!!
@kkh6926
@kkh6926 3 жыл бұрын
무단 2개면 심각한데 애초에 수시가 학교에서 성실도를 평가하는건데 무단 2개찍히면 바로 나가리임
@chicken_is_god
@chicken_is_god 3 жыл бұрын
와 이영상 좀 일찍 볼 걸 그랬네요,,, 자격증 엄청 열심히 땄는데 1개 밖에 안들어가서 서러웠는데 ㅠㅜ
@alephnull3267
@alephnull3267 3 жыл бұрын
현 수학과 학생이구요. 저 같은 경우에는 고등학생 시절에 워낙 수학을 사랑해서 독서활동에 정수론, 집합론, Liner Algebra, 스튜어트 미분적분학, 기초통계학, 미분방정식, 이렇게 전공서적을 적어놨었네요. 수학관련학과나 공대 가실 분들은 선형대수학이나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독학해서 독서에 기록해놔도 좋으실 듯 합니당~(참고로 일반고 출신입니다)
@user-px5ut2fs7h
@user-px5ut2fs7h 4 жыл бұрын
이제 고2인데 고1 2학기 상장 없고 지금 코로나때매 학교행사가 없어서 상장을 못 받는데 이거 망했나요
@user-gp5bo1ls7s
@user-gp5bo1ls7s 4 жыл бұрын
내신으로 커버하면 되긴 함
@user-hi3yn5yt9x
@user-hi3yn5yt9x 4 жыл бұрын
다 똑같은 상황이라 내신 공부하세요 ~
@user-bi8bn2bv1f
@user-bi8bn2bv1f 4 жыл бұрын
님 학교 말고 다른학교도 마찬가지라 망할일이 없어요..저 다니는 학교도 2주에 1번씩은 학교행사가 있나 지금은 아에없어요
@user-tz7mx8qu1x
@user-tz7mx8qu1x 3 жыл бұрын
3:11 3~4등급이 삐끗이구나..
@user-jh4kb3kr5z
@user-jh4kb3kr5z 3 жыл бұрын
히로세 스즈 닮으셨어오ㅜㅜㅜ이쁘시다
@jjjin_you249
@jjjin_you249 3 жыл бұрын
저 원래 댓 잘 안쓰는데..ㅠㅠ 너무 불안해서 씁니당,,! 전 아직 고등학굘 들가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용.. 혹시 대학 갈때, 중학교 생기부도 보시나연..? 지각은 사실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는다 하셨는데..! 중학교 생기부도 보신다면 제가 조회시간에 1분 안으로 늦은적이 꽤 있는데 어떻게 되는건가욥,,,? 참고로 아직 자유학년제인 1학년 입니다! 공부는.. 나름대로 저만의 공부 스타일을 찾는 방식과 자유학년제인 장점을 이용하여, 진로를 정해 2학년을 올라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꼭 민영쌤이 아니더라두 아무나 도움 부탁드려요..ㅠㅠ
@user-hw5qg5rn1s
@user-hw5qg5rn1s 4 жыл бұрын
민영쌤 저 05년생 현 중3인데요 ㅜㅠ 독서활동은 대입 반영이 안된다고 말씀 하셨잖아요 독서활동이외에도 여러가지가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던데 저부터는 그냥 교과처럼 내신만 잘 챙기면 되나요...? 봉사도 안 들어간다던데 봉사는 그럼 아예 안 하는건가용..?
@user-gp5bo1ls7s
@user-gp5bo1ls7s 4 жыл бұрын
봉사는 기본적으로 주어진 시간은 해야할걸요
@user-ho1oq8vy4r
@user-ho1oq8vy4r 4 жыл бұрын
성적 관련해서 자신이 있으시면 교과로 승부 보셔도됩니다 하지만 정시로 갈게아니고 교과가 삐끗한다면 학종도 고려해볼만 하겠죠? 따라서 교과와 비교과 활동 초반에 다 관리하시는거 추천드립다.
@user-lt2zz3tr3x
@user-lt2zz3tr3x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는 2024 대입을 치를 학생입니다. 2024 대입부터 수상실적이 안 들어간다던데 그럼 수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dhdee5682
@dhdee5682 4 жыл бұрын
하면 당연히 좋죠 준비 과정을 쓸 수있잖아요
@user-gi7yh5pp9b
@user-gi7yh5pp9b 4 жыл бұрын
수상을 못하셔도 되는 거지 안 하셔도 되는 게 아니에요! 결과보다 과정을 본다는 측면에서 실적을 제외한 것 같은데 자소서나 세특 활동 등에 적을 수 있으니까 관심 있으신 분야라면 참가하길 바라요
@user-qj2jx6bs5q
@user-qj2jx6bs5q 4 жыл бұрын
@@user-gi7yh5pp9b 24대입부터는 자소서 없어집니다ㅠㅠㅠㅠㅠㅠ
@user-hi3yn5yt9x
@user-hi3yn5yt9x 4 жыл бұрын
@@user-qj2jx6bs5q 와 대박;;
@hpc917
@hpc917 4 жыл бұрын
@@user-qj2jx6bs5q 세;상;에; 혼란스러워라......ㅠㅠㅠㅠㅜ
@user-xc5sm3tn4k
@user-xc5sm3tn4k 3 жыл бұрын
02년생 수시 접수경험자로써 나보다 조금어린분들에게 조언하나하자면 다필요없고 공부만하면 교과써도되니까 대층하는 과목없이 개파면 되요. 개중요한게 하나있는데 실험과 학,기술 과학 이런거 나중에 수시쓸때 그냥 과학으로 통합되서 들어가니까 이과면 신경써서 해야되요 .중학교 기술가정 그런느낌이아니에요. 암튼 코로나 로 고생하는 우리들 !! 화이팅
@user-yj1130
@user-yj1130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요번에 의지활활 고1 학생입니다ㅠㅠ!! 너무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 남겨요!! 민영님 영상 전부터 계속 봐왔었는데 영상마다 계속 내신이 부족한 과목을 대회를 나가서 보완을 해라 하셨는데 제가 요번에 수학 과학 국어 다 1등급인데 영어가 4등급이에요...;;;하하 근데 그럼 제가 꿈이 과학쪽인데 이정도 점수면.. 동아리나 독서도 과학보다는 영어로 하는게 좋을까요? 그럼 과학관련하는게 너무 없을것 같아서 약간 고민되요ㅠㅠ 뭐가 좋을까요? 그리고 봉사가 어떤 영상에서 거의 안들어간다고 하셨는데 그럼 봉사를 채우고 있는건 손해인걸까요? 그리고 그냥 수업시간에 더 알고싶은 내용 아무거나 보고서 같은거 써서 내도 되는건가요?? 심층적으로 알거 싶은 내용이요!! 그럼 이걸 또 내면 쌤이 알아서 써주시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생기부에 직접 작성을 해야하는걸까요?
@user-bw1js8xt5u
@user-bw1js8xt5u 4 жыл бұрын
무단지각 한 번 있는데 영향을 많이 줄까여?
@user-vy3mk1yf9j
@user-vy3mk1yf9j 3 жыл бұрын
ㅇㄷ
@e_be_beb_bebe
@e_be_beb_bebe 3 жыл бұрын
대입은 상대평가라 영향이 크지 않을까요
@user-ek6zc1ld7u
@user-ek6zc1ld7u 4 жыл бұрын
저는 05년 생인데 봉사나 독서활동 같은 없어지는 게 너무 많아서 헷갈려요ㅠㅠ 제발 🙏 05년생을 위한 고등학교 생기부 작성 필독영상 좀 만들어주세요ㅠㅠㅠ
@user-bb6ov1rm7s
@user-bb6ov1rm7s 3 жыл бұрын
05인데 진로가 없어서 막막했는데 다행이네요😏
@eunhasuflower
@eunhasuflower 4 жыл бұрын
현재 특성화고 1학년인데... 작년엔 친구랑 얘기하며 자격증 많이 따놓고 성적 중요하겠다 하며 걱정했는데... 감사합니다ㅠ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68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Dynamic #gadgets for math genius! #maths
00:29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수시 6광탈 생기부, 왜 떨어졌을까? | 연고티비
15:51
연고티비
Рет қаралды 578 М.
수능/정시 필수용어 알려드립니다 | 유니브클래스
11:22
유니브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359 М.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6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