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IsGod 시간을 돈으로 사는 시대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치유 ㅇㅈㄹ 손해는 조상님이 매꿔주냐?
@jihwan21530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땅에 염분이 너무 많으면 삼투압때문에 식물이 살아갈수 없는 환경으로 변하고 때문에 다른 동물들도 살아가기 힘들게 됩니다. 앞으로 몇년간은 싹이 트기 힘든 환경으로 변하면서 황폐화가 될것입니다. 로키산맥에도 불이나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꺼지길 바라면서 기다리고, 산불이 꺼지면 일이년 이내로 새싹이 돋아납니다, 하지만 바닷물을 쓰게되면 수년동안 아무것도 자라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바닷물은 진짜 최후의 보류로 쓰게됩니다.
@teuererklavier51120 күн бұрын
실제로 해변가 근처 모래사장에는 식물이 단 하나도 없음.
@JYL-rh4uw20 күн бұрын
보루
@다알리아-c8u20 күн бұрын
@@jihwan21530 과연 그러할까요? 우리나라에서도 제설제로 염수와 염화칼슘을 도로에 뿌리지 않나요? 그래도 도로주변 가로수나 주변농지의 초목이 황폐화 되지 않더군요. 일회성이 아니라 눈이 올 때마다 뿌리지 않습니까?
@apt4321020 күн бұрын
@@다알리아-c8u 아저씨, 그건 도로위에 뿌리는거잖아요 아이고 아스팔트 위에 뿌리는건데 주변땅이 왜 영향을 받음? 소금이 아스팔트 뚫고 들어갑니까? 당장 집에 있는 화분에 소금쳐보세요 식물이 얼마나 버티나. 에휴
@bbujik20 күн бұрын
@@다알리아-c8u 그정도 양이랑 불 끄려고 사용하는 양을 생각해보세요
@Isowa_Katsui21 күн бұрын
저 바닷물이라도 쓰지 않고서는 화재 진압할 소방용수조차 부족한 상황... 가뜩이나 다시 돌풍 불어 브렌트우드 너머까지 번질 수 있는 상황에 그나마 피해를 경감시키는 선택을 한거네요.
@DDR7w21 күн бұрын
소금물은 그 일대 땅 자체를 다 죽이겠다는 건데 불이 너무 커지고 잡을 수도 없게 되버렸나 보네 ㅠ
@redsj836221 күн бұрын
그럼 길가다 소변보면 소변묻은풀들 죽겠네요..소변도 짭짤하니까 ㅋㅋㅋ
@imgoing160621 күн бұрын
@@redsj8362너 사회생활은 가능하냐??
@곽두팔-u3u21 күн бұрын
@@redsj8362뭔 개소리야,,, 염도가 같냐?
@이현웅-q9r21 күн бұрын
@@redsj8362맞아요. 물론 염분보다는 암모니아때문에 죽어나는거지만요.
@라쿤우르21 күн бұрын
@@redsj8362하...
@royalfrigern529720 күн бұрын
자연을 위해선 차라리 불을 그냥 놔두는게 낫고, 소금물인 바닷물까지 사용해서 진화하는건 사람이 사는 지역을 위해 수년간 볼모지를 만드는 거죠. 그냥 놔두면 불난곳에 내년에 새싹이 트겠지만, 빨리 불끄겠다고 소금물 뿌리면 몇년간 아무것도 안자람. 로마-카르타고 전쟁에서 로마가 카르타고를 완전히 멸망시키기 위해 잿더미가 되어 완전히 파괴된 카르타고에다 소금을 뿌렸죠
@한국정력공샤20 күн бұрын
어차피 la주택가인데 식물이 안자라면 뭐 어쩔건데 농사짓는땅도아니고 불을 끄는게 낫지 저런 거대한 스케일의 불을 그냥 두라고하노 ㅋㅋ la 불로 싹 밀어버리고 거기에 화전이라도 짓게...?
@따로가쟈20 күн бұрын
님집도 그런가보쟈ㅋㅋ ㅋㅋ
@Soohwaaan17 күн бұрын
본인 집 앞이 지옥마냥 불타오르고 있고 그냥 두면 100% 불이 타오를건데 소금물이라도 뿌리려는 시도조차 안하실건가요?
2020년에 나온 만화 산불에서 살아남기가 생각나네. 그 만화도 캘리포니아가 배경이고 그 해에도 캘리포니아에 산불이 났는데...
@고민중1221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Winsperward21 күн бұрын
당연히 소금물에 토지가 박살나니까요;;
@jaysbar4u21 күн бұрын
비가 좀 내리는 지역이면 괜찮은데 그 쪽은 강수량이 적은 곳입니다. 많아야 2~300mm 수준
@가나다다나가-m1f21 күн бұрын
@Winsperward 모르는 사람을 위해 기사 쓴 거잖아ㅋㅋ 국어몇등급이냐ㅋㅋ 사회성 드러난다
@츠카츠키_리오20 күн бұрын
어휴^^;;
@simhopp20 күн бұрын
주택지엔 나무, 잔디 다 없에라고 정부에서 요구하는데, 바닷물 뿌린다고 무슨 문제? 저기는 농지가 아님. 주택지 이지.
@우니버스-j6b20 күн бұрын
@@가나다다나가-m1f 보통 남을 헐뜯는 사람들은 자기가 제일 듣기 싫은 말을 남에게 한다더라고요 ㅎㅎ
@JJL-y2k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의 표층살포는 의외로 지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습니다. 타죽냐 삼투압으로 말라죽냐의 문제인데요. 이러나저러나 죽어요. 어짜피 5~10년은 아무것도 못자라구요. 다만 정말 큰 문제는 저렇게 바닷물을 뿌려대면 지하수가 오염됩니다. 지하수가 오염되고 나면 적게는 수십년 많게는 수천년동안 강물에서 소금이 다량 검출됩니다. 강물에서 소금이 검출되면 자연스레 화재가 안난 지역까지 농작물에 영향이 갈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의외로 화재가 난 지역과 부근엔 바닷물 피해가 적어요. 어짜피 타서 없어지니까.
@머엉-c4s17 күн бұрын
로켓발사 좋아하는데, 코코님 리엑션 너무 좋아요!!
@misukhan64021 күн бұрын
소화전물을 물고기살리자고 다 써버렸다는 인재다 인재 할말없으니 또 기후변화탓 소방당국이 무지개 회원들의 소유가 된 뒤부터 저지랄
@simhopp20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좌파 정권이 환경단체들 밀어주고 있는데, 마찬가지 현상임.
@jinnypooh8021 күн бұрын
얼마나 가려나... 2019년 말에 호주도 산불 났을 때 비가 안와서 몇 달 동안 탔는데..11%밖에 복구가 안됐다면 LA도 오래가겠네요. 부디 많은 피해 없으시길..
@라면먹고살안찌고싶다21 күн бұрын
자연적인 원인도 있지만 인재이기도 함, 빙어보호라는 얼토당토 않은 이유로 저수지에 물을 담지도 않았고 소방청 내부엔 pc교육 때문에 정작 중요한 훈련시간은 줄었으며 소방예산은 삭감됐고 뉴욕시가 지원해주겠다 했는데도 뭔 놈의 자존심인지 그것도 거부함
@으앙굳-g4l19 күн бұрын
투표를 잘못한 죄
@1091-i2r19 күн бұрын
바닷물을 뿌리는순간 그 땅은 식물이 살수 없게 황폐화 됩니다.. 그래서 최후의수단으로 쓰는거에요.
@te155821 күн бұрын
모쪼록 더 이상 피해가 없길 바랍니다 ㅠㅠㅜ 천조국 힘내
@bleee119 күн бұрын
저쪽은 앞으로 잔디는 무조건 인공잔디로 해야게/
@uwin-rj4rj19 күн бұрын
바닷물로 불끄면 땅버림니다. 한국처럼 비가 오는 것도 아니라 땅에 염이박혀서 못씀
@jhlim616121 күн бұрын
농토에 농작물에 좋다고 일정량의 해수를 뿌리기도 하는데, 불나서 다 타는 거 보단 해수 투입하는 게 생태계에 더 나을 듯.
@1000-A521 күн бұрын
그니까 저게 농토냐고요
@junsungchoi4054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 쓰는건 순전히 인간을 위해서입니다. 자연에선 산불나는게 당연한거고 타고 남은 재는 다음 생명을 위한 양분이 되는거죠
@minseokjung22221 күн бұрын
@@junsungchoi4054 자연에 당연한 건 없습니다. 그냥 그렇게 되는 거죠. 산불이 났는데 비가 와서 초기에 꺼진다면 그건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건가요?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환경 문제 해결은 인간을 위한 것이다, 라는 인식이 생겨서 좋긴 합니다만 가끔 이렇게 극단으로 가는 분들이 계셔서...
@jonhykim376821 күн бұрын
농토가 아니더라도 나무나 잔디 주변 가로수 다 죽음.
@Hikaru852621 күн бұрын
@@minseokjung222 산불이 필요한 건 맞는데 자연적으로 난 산불이고 요즘 문제되는 산불은 너무 자주나고 너무 크게 나는거…
@FV4005-t6n21 күн бұрын
와우!
@hw805721 күн бұрын
거 바닷물써서 토양죽이고 복구하는비용이 훨~~~씬 저렴할거같은데 ㅋㅋ 피해가 100조면 소금물로 도시 반갈죽해서 선 그어놔도 그정도 피해는 안일어날거같은데
@qkffl200221 күн бұрын
그 짠 염수가 산간에 뿌려지면 후폭풍이 얼마나 될지 ㅎㄷㄷ 애초에 불이 나지 않았었으면 얼마나 좋았을지
@minseokjung22221 күн бұрын
농토에 일정량 해수를 뿌리기도 하기 때문에 큰 문제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우선 그건 기본적으로 바닷물에 기본적으로 내성이 있는 내염식물 한정이고, 심지어 걔네한테 물 줄 때도 바닷물을 그대로 주진 않는다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긴 산불 진화를 위해 전 지역에 아주 대량의 바닷물을 쓰는 게 문제일 수 있겠네요.
@느브갓네살21 күн бұрын
산림을 보전해서 탄소를 많이 흡수 하면 그 산림이 불에 타서 또 엄청 탄소를 배출 하지... 기후 변화 막을수 있을거 같나...
@lalala629820 күн бұрын
염분은 식물에 치명적이라 바닷물을 급한대로 쓰긴하나.. 그 지역의 초목이 다시 자라기 어렵게 만들겠지…
@Judy0905-j3x21 күн бұрын
빨리 진화되어야 할텐데 ..너무 큰 재앙이네요.너무슬프네요
@oldman_kim21 күн бұрын
화재보다 음모론이 더잘타네ㅋㅋ
@미스랜더20 күн бұрын
바닷물 써서 염분기가 배면 그 땅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어요. 죽은 땅이 됩니다.
@Dyn-i1k21 күн бұрын
음모론이 있어요 하와이 화제 2탄 이랍니다 부동산 개발 등등
@soonwonj20 күн бұрын
가장 중요한점은 엘에이 소방국이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캐런 배스 시장은 전년도에 소방예산 천7백만 달라를 삭감해서 소화전에서 소방용수가 제대로 공급되어 있는지 조사도 못했고 소방 차량은 절반이 고장난채 방치되어 있었죠. 주지사 역시도 몇년전 트럼프 대통령이 산불을 예방하라는 행정명령을 어겨서 화를 자초했다는 것입니다.
@Macfly595120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너무 화재에 취약하다....저래도 또 목재로 집 짓겠지....
@문-e1o21 күн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자신들끼리 싸우는중이다 내분중임. 미국 노예제전쟁보다 지금이 더 핫함 한 6개정도 갈라진다고 생각하면 될듯
@shk595620 күн бұрын
모 유대계 재벌이 캘리포니아주 용수의 60% 이상을 지네 농작물 키우는데 다 쓰고 있음
@han535821 күн бұрын
해수를 사용하면 뱅기도 버려야함 부식됨 금방 ㅋ ㅋ ㅋ 그리고 땅은 한동안은 다버리면됨 식물이 오랫동야 못자라지 ㅋ
@cckp46221 күн бұрын
안타깝지만 초강대국 미국이라는 나라의 상황 대처능력과 예방조치가 너무나 후진적이라는데 한번 더 놀란다. 그리고 부촌들이 피해가 큰데 도대체 집들을 어떻게 짓길래 온전한 집들을 찾아볼 수 없는지에 또 한번 놀라게 된다. 여튼 인명피해가 아주 많지 않아 그나마 안도를 하게 된다. 재산상의 피해야 어쩔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극복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였음 발벗고 봉사활동을 할터인데 너무나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우리도 타산지석 삼아서 봄철 산불 만반을 기해야겠네요.제가 사는 남부 지역은 요즘 비가 너무 없고 건조한며 바람은 거센데 남의 일 같지가 않네요.
@hyungjinsung20 күн бұрын
바닷물 쓰면 염분으로 인해 땅이 즉어요
@김동진-o4i20 күн бұрын
찬호형 집도 불탔데
@돌의정령-z9u21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이 활활 타오르는군요.
@Hioragi21 күн бұрын
방장사기맵이라 불리는 미국이지만 자연재해도 사기급으로 많은 나라로군요. 신은 공평하다.
@AD에디21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무습다…ㄷㄷ
@jangyun686817 күн бұрын
우주에너지를 이용하여 바람, 강풍방향부터 잡아야....
@파송송부랄탁-J7621 күн бұрын
산불? 계획적인 방화 ! 2028 Smart LA 를 위한 의도적인 방화, 하와이 방화와 마찬가지로
@zwalzwal21 күн бұрын
하와이 최고 주택가 날렸고 이번에는 엘에이 최고 주택가 보험사는 어찌 알고 보험을 미리 종료했을까? 엘에이 도지사 입이 싱글벌글 투자가들 몰려온다고 과연 자연재해?
@스토리-v4n21 күн бұрын
진짜면 악마가 형제 하자고 하겠네요
@zwalzwal21 күн бұрын
점점더 유투브 검색해보세요 보험회사들이 화재 보험 강제 종료 시켰다고 나옴 어찌알고? 도지사 인터뷰도 나옴
@최호수-k6i21 күн бұрын
이건 바이든 딥스테이트세력의 짓 악마들짓입니다. 계획된~ 주님만이 저들을 물리칠수있습니다. 21세기 모세의 홀을 든 트럼프대통령을 사용하고계신 주님 미국을 세계를 악마의손에서 보호하시고 지키주시어 세계인류공동체를 살리소서!
@ghh608921 күн бұрын
만약 담수화 플랜트가 있었더라면...
@MEOVVWVW21 күн бұрын
없는게 아니라 개비싸서 안하는거죠
@alcohol_soju_drunk121821 күн бұрын
@@MEOVVWVW사우디처럼 CA도 기존에 구비해둔 재생에너지인프라를 써서 담수화 시설 가동하면 비싼건 아니긴합니다
@cattytanty623820 күн бұрын
원래 염분은 전부 바닷속으로 흘러 들어가 해저바닥에 쌓이고 맨틀로 들어가는 순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염분이 다 빠지겠지만 당분간은 저기 식물들이 염분 때문에 고생할 듯.
@jjung2123021 күн бұрын
헐 마지막 까지 갔네요ㅠㅠ 비좀 오지...
@alcohol_soju_drunk121821 күн бұрын
진즉에 희석해서라도 잡았어야했습니다. 적당한 토양염화는 극복가능한 환경입니다
@금연화-t3i21 күн бұрын
작년에도 하와이에 대형 산불이 있었는데 이번산불과의 공통점은 보험회사들이 불이 나기 몇개월전에 미리 포기선언을 했고 시당국은 이를 허가했다고 하고 또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기다렸다는듯이 달려들어 하는 행태도 같으다고 한다 특히 이번산불은 비축해둔물을 싹 없앴고 물이 없으면 바닷물은 기정사실인데 뒤늦게 사용했고 소방기자재도 대부분 우크라로 보냈다고 하는데 뭔가 누군가 무엇을 노린거같은 생각이 들기도하다 그리고 주지사가 너무 좋아하는 얼굴을 봤는데 그얼굴은 일이 생각대로 된다고 좋아하는 얼굴 같았다
@AI-hp5yw20 күн бұрын
음모론 지리네
@dhmoon6637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누가 이득을 보는데?
@jacob1114-hd7wk20 күн бұрын
'오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우리 [하나님]은 한 {주}시니, 너는 네 마음을 다하고 혼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네 [하나님]을 사랑하라. (신명기 6:4-5) '악을 선이라 하고 선을 악이라 하며, 어둠을 빛으로 삼고 빛을 어둠으로 삼으며, 쓴 것을 단 것으로 삼고 단 것을 쓴 것으로 삼는 자들에게 화가 있을지어다! (이사야 5:20) '그들(예수님의 열두 사도)이 나가서 사람들이 회개할 것을 선포하였더라. 그리고 그들이 많은 마귀들을 내쫓으며 병든 많은 자들에게 기름을 발라 그들을 고쳤더라. (마가복음 6:12-13) '네가 나의 인내의 말을 지켰으므로 나도 너를 지켜 시험의 때를 면하게 하리니, 이는 장차 온 세상에 임하여 이 땅에 거하는 모든 자들을 시험할 때라. (요한계시록 3:10) '오 [주] 내 [하나님]이여, 내가 내 마음을 다하여 주를 찬양하고 영원토록 주의 이름에 영광을 돌리리니, 이는 나를 향한 주의 자비가 크시므로, 주께서 내 혼을 가장 낮은 지옥에서 구출하셨기 때문이니이다. (시편 86:12-13) '{야후아}를 두려워하는 것이 지식의 시작이니라. 그러나 어리석은 자들은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잠언 1:7)
@고선화-x6i21 күн бұрын
몋년. 전에. 호주 산불 생각납니다. 무섭네요 하늘에서. 소나기라도. 오면. 좋으련만. 우리나라. 일 처럼. 걱정이. 많이됩니다
@awesome-mz2lj21 күн бұрын
담수화 프랜트 하나 만들어서 건조기에 중간 중간에 물통 좀 채우지.....부자동네가 뭘 아낀다고
@나비-q8u1v21 күн бұрын
염분을 걸러내는 장치는 없나요 ?
@윤혜원-u6s19 күн бұрын
영화촬영용 살수차 도 동원해봐ㅡ요
@Rem000119 күн бұрын
땅 다죽어요 몇십년 지나도 복구 안됩니다.. 아마존마냥 비가 어마어마하게 내려도 몇년 걸릴건데 ㅠㅠ
@홍길똥-m1c21 күн бұрын
수십억, 수백억 집 주변에 각자 1억씩만 내서, 방화수. 호수나. 강물을 끌어다가. 수로라도 만들지. . . 해마다 산불로 정신못차리면서. 시나 주에서 안하면. 스스로 할수도 있는 재력이 있을텐데.. .
@알랭들롱백작21 күн бұрын
내가 배운 바 로는 몽골이 대규모 침략전쟁을 할때 복종이나 항복을 하지 않은 지역은 소금을 뿌려 작물 수확을 못하게 만들었다고 들었음. 소금땅은 한마디로 죽은 땅
@다알리아-c8u21 күн бұрын
당시 소금이 얼마나 비싸고 귀한 물건인지 모르시나봐.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도 소금장수 이야기 많지요.
@알랭들롱백작20 күн бұрын
@@다알리아-c8u 아하 몽골군이 그랬다는건 낭설이군요?
@으앙굳-g4l19 күн бұрын
로마가 카르타고 멸망시키고 땅에 소금을 뿌려 죽음의 땅으로 만들었음.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게.
@알랭들롱백작19 күн бұрын
@@으앙굳-g4l 그렇죠? 로마와 몽골이 경작을 못하게 다 부숴버리고 소금을 쳐셔 경작을 못하게 했다고 들었습니다
@으앙굳-g4l19 күн бұрын
@ 몽골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몽골은 흑사병 사체를 투석기로 성 안으로 날려보내서 세균전을 펼치는 등 온갖 흉악한 짓은 다 했어서.. 소금을 뿌려도 이상한 일은 아니겠네요.
@chulhunkim3004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로 염분이 퍼지면 염분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물들이 살아갈 겁니다. 아예 호수를 바닷물로 채워도 되겠죠
@만개-s8r18 күн бұрын
큰화재나면 나무같은거 다 잘라서 라인만들듯이 이미타는구역은 타게냅두고 라인을만들어서 그구간만 미친듯이바닷물살포해버리면 좀나을라나? 그라인만큼은 식물이못자라더라도 오히려 산불방재라인이되는거니깐
@화이팅-h6d20 күн бұрын
현재까지 근거는 자연발화인데 자연발화를 환경문제라고하면 높은 나무를 다 짤라버려야 하나요?
@user-ut2ww20 күн бұрын
결국 소방용수 부족으로 바닷물까지 뿌리고 있는 상황이던데 어찌됐건 인명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인거같음
@jungmiyoon708721 күн бұрын
73조가 아니라 200조
@안주용통닭21 күн бұрын
테슬라 모듈식 스마트 주택사업 ㄷㄷ아다리가 타이밍 참;;;ㅋㅋㅋ
@김성민-p6v21 күн бұрын
억지좀 부리지 마라 그거 시작한게 언젠데 아니 왜 저 지역 민주당 지지율 높은곳인데 트럼프가 불냈다고 하지?
@안주용통닭21 күн бұрын
@ 아니 ㅋㅋ 정치적인게 아니라 머스크 하늘이 돕는다는 느낌으로 말한거임
@abbaabrrl-h3e21 күн бұрын
@@안주용통닭 ㄹㅇㅋㅋ 주장한거 아무것도없는데 혼자 불타는거 개웃김
@yoy0471521 күн бұрын
성민이 밥 잘먹어라
@김성민-p6v21 күн бұрын
@yoy04715 할매 알아서 잘먹어 걱정마
@yongkim582621 күн бұрын
소금물인 바다로라도 화재를 진압했어야지 식물이 자라는 것보다 화재로 주택소실이 더 큰 피해를 입었을텐데.
@안재일21 күн бұрын
나무들이 다시 자라날까 걱정이네요....이러지도 저러지도..하지만 일단 꺼야지요.
@danaka123.21 күн бұрын
다시 자라나도 불날테니 차라리 숲을 지우는 걸 택한듯
@artist_fanstar_wyc16 күн бұрын
LA는 망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사람이 살수 있는 환경까지 변화되기까지 꽤나 긴 시간이 걸릴것으로 예상된다.
@왕상제하늘님20 күн бұрын
😢불이야 불조심
@양념치킨-t2q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써서 불 끌바에 차라리 그냥 타버리게 냅두는게 정답임. 자동차나 물건은 다른데로 옮겨두고
@김Dhsyd20 күн бұрын
바닷물 바람막이 올라왔다...
@parkjg133621 күн бұрын
그렇게 토지박살나면…LA집값도 엄청 떨어지겠다…
@이항트리21 күн бұрын
저기는 날씨가 사기라 곧 다시 붐비긴 할읏
@bgyoo182921 күн бұрын
재작년인가? 그떄는 캐나다랑 북동부쪽 산불 심하게 나서 연기때문에 뉴욕 가시거리도 안나왔던거 같던데 이번에는 서부쪽에서 저러니...
@JjJj-cj1bh21 күн бұрын
소금물 ? 나증에 땅 정화할때 문제일텐대...사람들이 몰라서 안뿌렸을가? 우선 나무 심기가 불가능해짐...
@hong362021 күн бұрын
이후 비가오면 시간이 필요하지만 불 확산막는데는 어쩔수없지 않나 생각합니다
@English_ko21 күн бұрын
소금물을 산에 뿌리면 상당 기간 식물이 자랄 수 없을텐데
@won275721 күн бұрын
지금 문제는 비도 잘 오지 않는 지역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이유로 바닷물로 화재를 진압하면 나중에 화재 발생된 지역의 토양은 사막화 진행이 가속화 될 겁니다. 미 정부도 이 사실을 알면서 조삼모사식 정책으로 저렇게 대응한다면 문제가 많은 겁니다. 흔한말로 인공강우라도 시도해 봐야죠.
@hyunjungpark632821 күн бұрын
하나가 있긴 함 그게 소련이나 가능 핵은 아니고 그 정도 폭탄을 그 상공에서 터뜨리면 맞불로 꺼지는건 가능 핵이면 더 확실하게 되긴 함 소련이 그걸 하긴 했지
@홧팅-v4y21 күн бұрын
식물에 영향이 없나요?
@한미일동맹강화21 күн бұрын
다 안보니
@이하얀-s3m21 күн бұрын
에휴ᆢ켈리포니아 그좋은환경 기후 ᆢ부러웠는데 ᆢᆢ
@제임스뽄드-g9z21 күн бұрын
오래 전부터 LA 지역에 생활 용수가 부족해도 너무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네요. 과도한 농업용수 사용으로 인해 지하수마저 고갈 되고 지반이 하강한다고 경고했고요. 수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물을 끌어오던 해수담수화시설을 설치하든, 그도 여의치 않으면 수자원부족의 원인인 농업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집행했어야 했다고 생각합니다. 잘만 대비했으면 이렇게 큰 불로 비화되지 않았을 텐데...
@김차중-v8f19 күн бұрын
5대호의 무제한의 맑은 물을 유조차 탱거에 채워 열차에 연결하여 LA로 실어오자 또 가까운 후버댐의 담수도실어올수 있는가?? 아니면 가까운 코로라도 강물을 탱거로 열차로 LA로 실어오는 방법을생각해버세요!! 바닷물은 소금이 3.5%나 들어있어 소방수로 안됩니다 영어 잘하시는 분 이거 X에 좀 올려주세요 89세 노인이 호소합니다
@kgb8h520 күн бұрын
미국 부동산 업체 : 불난데 식물까지 바닷물로없앤다고? 흐뭇
@풍열21 күн бұрын
한가지 의문이 드는게 왜 LA지역은 뻔히 강풍이 불고 날씨가 건조한 지역이라는 것을 알면 왜 소방설비에는 취약 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산불로 인해 주택이 화재가 난 지역은 빈민촌이 아닌 부촌이었다는점이 더욱 그렇게 생각이 된다. 또한 뻔히 그곳이 목조건물이라면 대비를 할만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 였을것 같은데 말이다. 한국의 안전불감증도 문제가 되지만 내가 보기에는 미국역시 안전불감증이 상당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긱해21 күн бұрын
26초전이다!
@그리고-r5w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로 끄면 숲 재생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텐데..미국 정부도 답이 없네. 목조건물 줄이고 토지 구획 나눠서 중간중간에 콘크리트 건물 좀 지어라. 지진 난다고 해도 3층미만이면 괜찮잖아.
@김치-321 күн бұрын
물이 없는데 다 타 죽을 순 없잖여 ㅋㅋㅋ
@균택임21 күн бұрын
바닷물도 희석되면 작물성장에 도움된다.
@AAWW4021 күн бұрын
NPK가 식물핵심 영양요소인데 Na는 식물성장에 방해됨 물을 빨아가니까
@ldjldj021 күн бұрын
맨날 그놈의 환경오염 어쩌고. 물고기 지칸다고 소방용수 다 바다에 버린 환경론자들 . 그래도 또 나불거리내. 저기가 농토냐? 별 어줍잖은놈들 넘쳐난다. 집들이 있는곳인데 뭐소리들인지. 에라이 멍청한 환경어쩌고 놈들아.
@Farnes6i21 күн бұрын
왠만하면은 바닷물 안 쓰는편 좋을텐데 땅이 오염될텐데
@복돌이강아지21 күн бұрын
미국 고급주택은 모두 목조인가 보네요. 흔적도 없이 전소된거 보니
@Kihyun_N21 күн бұрын
맞죠. 미국은 목재의 공급이 풍부하다보니 목조주택이 많죠 또한 목조주택은 허리케인등 자연재해에 충격을 흡수하는 특성이있어 목조주택을 많이 사용합니다.
@김지훈-k7t4w21 күн бұрын
@@Kihyun_N허리케인을 흡수하는 능력없습니다 그냥 허리케인에 집이 부숴져도 새로 목조주택 하나 더 만드는게 석재로 만드는것보다 더 저렴해서 계속 목재로 만드는거에요
@Kihyun_N21 күн бұрын
@김지훈-k7t4w ㅎㅎ목조주택서적에 그리나와있네요
@mitchellel190421 күн бұрын
@@김지훈-k7t4w 석재는 태풍이 오거나 지진이나서 하중이 가해지면 휘는것없이 부러져서 건물 전체가 한순간에 무너지지만, 나무는 휘어서 일정 강도까지 버팁니다. 콘크리트에 철근이 들어가면 그 철근이 비슷한 역할을 하는데, 1~2층짜리 집 짓자고 철근콘크리트를 쓰진 않으니 목조가 미국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긴 해요.
@소미-n9x21 күн бұрын
목조주택인데 지붕이나 내외부 코팅하는데 코팅이 기름..
@티비-k3m20 күн бұрын
키키!
@gongt551420 күн бұрын
하늘에서 소금물이 떨어지는건 자연적으로는 있을수 없는 일이긴 하지
@uwin-rj4rj19 күн бұрын
차라리 불 안끄고놔두는게
@떼껄룩021 күн бұрын
쓰면 염분때문에 건물이든 땅이든 못쓰게 되버리기때문이죠
@BJH501921 күн бұрын
와...다 언제복구하냐...
@빛돌이-k6l21 күн бұрын
생각해봤는데 바닷물을 뿌리면 염분의 영향이 있지 않을까?
@하모니카-l2p21 күн бұрын
불날때마다 전소되는데 어떻게 매년 화제가나죠?
@돌멩이-o6d21 күн бұрын
다시 지으니까요?
@부정임21 күн бұрын
전소된걸 가만히 냅두지 않잖아
@Cinnamon_Cannonn21 күн бұрын
이번엔 기후변화가 악재로 겹쳤다네요
@simhopp20 күн бұрын
엘에이 야산에 잡초 때문임. 나무가 타는게 문제가 아니고, 잡초가 탐. 겨울에 비가 오면, 엄청난 잡초가 자람. 이게 봄이 되면 말라죽고, 여름에 불이나면 미친것처럼 타들어감. 매년 반복임.
@sevensaint-ch19 күн бұрын
불과 10년 전만 해도 기후 위기는 개도국만 거쳐갔는데 최근 몇년 전부터 공평하게 미국과 유럽에도 그 재앙이 오네 과학자들은 이미 겜 던지고 포기했다는데 앞으로가 더 염려된다
@gtr290421 күн бұрын
울나라 처럼 집을 공그리로 지어라
@_jinggreed172620 күн бұрын
폭격으로 그 화제 일대를 없앨순 없나?
@on2659021 күн бұрын
왜냐면 세계정제 포럼이 계획한 일을 해야하거든요. 불 나기 한달 전 보험회사에서 화제보험을 취소했다고 인터뷰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