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영 박사, 왜 골프를 말하나 (최준영 1부) f.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Рет қаралды 177,945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 #골프
📢문의 : gygesring@naver.com
📢 3분만에 읽는 삼프로TV+언더스탠딩 👉"삼프로TV 하이라이트", 네이버에서 검색하세요. contents.premium.naver.com/ba...
📢 세상과 사람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특별한 강의, [위즈덤 칼리지]
심리, 역사부터 창의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통해
세상과 사람을 향한 심도깊은 지혜를 얻어가세요.
👉 수강신청 하기 : bit.ly/3FvVeDN
★수강 문의 : 010-3898-2324★
※현재 [야미잘X미주미] 카페에 ✨위즈덤 칼리지✨ 수강을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한 게시판이 개설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이 게시판을 통해 4인 수강하실 분들을 자발적으로 매칭하고 계시더라구요! 해당 게시판 링크 공유드리니, 4인 모집을 원하시는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 링크 : bit.ly/3EbcsWv

Пікірлер: 180
@user-jg3iy9ct7z
@user-jg3iy9ct7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처럼 좁고 산이 많은 지역에서는 당연히 환경적으로 득보다 실이 많다고 생각되는데요 골프라는게 원래 유럽같이 넓은 평지나 들판이 많은지역에서나 어울리는 스포츠 아닌가요?
@26-fe41
@26-fe41 Жыл бұрын
11:47 부터 그 이야기하시네요
@user-zv3vu4ey9y
@user-zv3vu4ey9y Жыл бұрын
힘들었던 금욜저녁~최박사님 나긋나긋한보이스가 편안한저녁으로 안내하네요~돈내는것도아닌데늘 재미있고유익한말씀해주셔서 감사하고있습니다~^^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12:30 숲의 열린 공간이 중요한 것은 맞지만 작은 규모(말씀하신 묘지 정도)의 열린 공간이지 골프장 같이 100ha 수준의 열린 공간이 아닙니다(우리나라 환경에서)
@gtx431
@gtx431 Жыл бұрын
듣기전이지만, 최준용박사님+골프 너무 기대됩니다.
@user-iy7zm9bp5o
@user-iy7zm9bp5o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팬입니다.
@usdfisdf
@usdfisdf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
@user-ou6zm2wq6d
@user-ou6zm2wq6d Жыл бұрын
골프장에 대해 20년 동안 가졌던 부정적 시각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네요. 자신의 관점과 철학이 필요하지만 모든 일은 다양한 관점으로 통찰해보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됩니다.
@user-js3of8rq4g
@user-js3of8rq4g Жыл бұрын
역시 최박사님이시네요. 골프안치시는 분이 골프를 너무 잘 설명해 주시네요.
@user-gs4wq1wz6w
@user-gs4wq1wz6w Жыл бұрын
박사님♥
@yingshupiao
@yingshupiao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은 맨날 전공 아닌 얘기해서 꿀잼인데 전공얘기조차 재밌음....♥꺄 너무 좋음. 관광학과 교수님이 조경학전공하신분이 많아서 맨날 조경관련 얘기 들었는데 들어도들어도 지루하지 않고 모두들 눈이 초롱초롱해져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당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25:30 급격한 경제 환경 변화(지금의 금리 상승, 환율 상승처럼)에 우리 경제생활이 어렵듯이, 급격한 환경 변화에 생태계가 파괴되고 많은 종들(특히 멸종위기종)이 적응을 못하고 사라집니다.
@subuticho5014
@subuticho5014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전에 보고 들었던 골프장이 농약 엄청나게 친다는 과거의 선입견이 있었는데, 다른일로 관련 자료 찾아보다가 아니 이렇게나 농경지보다 적게 친다고 하면서 놀랐던 적이 있었는데, 최박사님이 많은 사람들이 보는 곳에서 말씀하시네요. 세상이 정말 빠르게 변하고 발전해 가고 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sf7tp5tv3k
@user-sf7tp5tv3k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이다 ㅎㅎ
@han-km1oj
@han-km1oj Жыл бұрын
강원도 산골에 대형 산불 중간 예측되는 중간 골프장 만들어 중간에 방화선으로 사용하면 어떨까요. 선운사 뒤에는 동백나무 를 심어 절을 산불에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 농경지로 못쓰는 산을 개선해서 시민이 사용하면 좋지요. 한강도 자연으로 놔두지 않고 개발 해놓으니 얼마나 많은 시민이 사용하나요. 모든걸 종합적으로 보는 눈이 본다.
@park9860
@park9860 Жыл бұрын
밤에 골프장 너무 밝아요
@user-nc9jk3jw6k
@user-nc9jk3jw6k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최준영 로드 따라 ~~ 골프른 전혀 모르는 저 !! 신세계입니다 ㅋ
@joeboong
@joeboong Жыл бұрын
도시 안에 있는 골프장이면 모를까 산을 밀고 만든 골프장이 환경에 좋을지 의문입니다.
@shinjinsu
@shinjinsu Жыл бұрын
땅덩어리가 좁은 나라에선 안맞아요
@joeboong
@joeboong Жыл бұрын
@@edunhenry4725 전달하자는 취지? 그게 뭔데?
@user-og2ei7wq8q
@user-og2ei7wq8q Жыл бұрын
환경평가 이해에 대해 철이 들어가는 영상이네요.
@mordecailee6637
@mordecailee6637 Жыл бұрын
농업용수 저가에 받는게 문제 아닌가. 인근 농지는 물부족으로 말라 가는데 공기업이 골프장에 초저가에 물을 팔아먹어...
@lee44742
@lee44742 Жыл бұрын
나무나 환경입장에서 보면 골프장은 나쁘기만 한것이라 생각했는데.. 박사님 이야기 들을 수있어서 새로운 것 알게 되었습니다. 위즈덤칼리지강의도 그렇고, 책이나 현실에서 내가 보고 들은 것만이 진리가 아니고 여러 가지를 봐야한다는 사실을 대하는 박사님의 태도도 배우고갑니다. ^^
@user-bi1zp1uk6i
@user-bi1zp1uk6i Жыл бұрын
박사님의 전문성이 돋보인 컨텐츠였습니다. 기존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보니 정말 생각할 점이 많습니다. 언더스탠딩의 가치가 이렇게 드러나네요.
@asurakang
@asurakang Жыл бұрын
으와;; 저 어릴 때 읽던 책에서는 골프장은 농약을 99종이나 친다면서 막 비판했었는데… 이젠 거의 안 쓰는 경향이라니 충격이에요!! 법을 잘 만들고 제대로 실행한 것의 좋은 예군요
@seungchoi5616
@seungchoi5616 Жыл бұрын
삼프로를 통해 최준영박사님의 박식하신 설명들을 많이 들었었지만 이번에는 자세히 알지 못하는 분야를 그냥 수치들만 가지고 막연히 추측을 하신 부분이 많았네요. 골프장에서 치는 농약을 잔디나 조경수에 끼는 벌레 해충을 잡는 것으로만 생각하고 계신것 같은데... 골프장에서의 농약문제는 가장 큰 것이 제초제입니다. 잔디를 잘 가꾸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나라, 그 어떤 골프장도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제초제없이는 수 많은 사람들이 쪼그려 앉아서 매일 풀을 뽑는 작업을 일년내내 해야하겠지요. 미국과 같은 나라는 평지에 있어서 비과 와도 쓸려내려가는 일이 없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경사지의 골프장은 비가 조금만 와도 아래쪽으로 농약성분이 금장 쓸려내려갑니다. 밑에 쪽에 있는 마을이 안 좋겠지요. 최박사님은 환경부의 검사얘기를 하셨지만, 지금은 지자체에게 맡겨져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재정이 열악한 우리나라의 지자체들은 골프장의 인허가 및 수익으로 벌어들이는 세금이 큰 도움이 되고 있는지라 골프장이 허가취소되거나 일정기간 문을 닫는 것을 전혀 원하지 않습니다. 그런곳이 골프장의 환경검사를 합니다. 어떨지 아시겠지요. 그리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골프장의 경우 산지를 깍아 만들었기때문에 토양상태가 매우 열악합니다. 따라서 잔디가 잘 자라지를 않기때문에 특히 비료를 많이 줄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물론 제초제도 더 뿌리게 되고요. 영국이나 미국같은 곳은 대부분 평지에 위치해 있고 토양상태도 비옥해서 우리보다 적은 양의 비료와 농약만으로도 가능하고, 비가와도 크게 쓸려내려 갈 일이 없기 때문에 최박사님이 외국(일본)에서 보신 자연보존지역으로서의 골프장이 가능한 것입니다. 하지만 드넓은 땅의 미국에서 조차도 골프장 환경파괴 문제는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부분이고 그 이유때문에 골프를 치지않고 있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번 이슈와 관련해서는 최박사님이 너무 수박겉핥기 식으로 공부를 하신 것같아 아쉬운 생각이 많이 듭니다.
@veryover
@veryover Жыл бұрын
3:46 3분만에 빵터졌습니다 ㅎㅎㅎㅎㅎ 반전으로 시작하는 방송. 최준영 박사님 최고입니다.
@user-hn5ij6zy9r
@user-hn5ij6zy9r Жыл бұрын
회원제골프장이 그렇게 세금을 많이 내는지 몰랐네요. 20억 회원권을 가진 사람한테 세금을 물려야지, 골프장에 세금 물리면 비회원그린피만 올리가겠죠.
@lupin9305
@lupin9305 Жыл бұрын
오우 오늘은 아재력이 충만하네요.. 가볍게 준비하고 오신것 같습니다 박사님 ㅎㅎ
@user-cf9ce5ix8b
@user-cf9ce5ix8b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을 아침부터 ....오늘 하루 땡 잡았다 얏호!!!
@guricky280
@guricky280 Жыл бұрын
저의 경우엔 골프 30살 부터 15년 치다가 배드민턴 자전거 접하고 바로 넘어 왔습니다. 테니스배드민턴 지인 없으면 시작이 힘들어요. 동네 배드민턴장 테니스장 가시면 동호회에서 받아 주지도 않더라고요. 골프 일주일 한번 꼭 챙겨 나가던 시절. 만약 배드민턴을 그때 알았으면 ㅎㅎㅎ. 테니스도 하고 싶은데 시작하기 쉽지가 않더라구요. 저는 그렇습니다.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user-eg3mu7fn1q
@user-eg3mu7fn1q Жыл бұрын
배드민턴 테니스 즐기는데도 카르텔이 존재하니 ㅎㅎ 전 더러워서 안합니다.
@saramoon259
@saramoon259 Жыл бұрын
언더스탠에 최준영 박사님이 ㅎㄷㄷ
@sunnyan3661
@sunnyan3661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따라다녀요~~!!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용은 비판할 것들이 너무 많네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육상생태계는 나무가 많아야 생태적으로 건강한 좋은 자연환경입니다. 숲을 없애고 나무가 드문드문 있는 골프장을 많드는 것은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입니다(꼭 골파장 뿐만 아니라 모든 행위가 같습니다). 나무가 별로 없는 도시를 골프장으로 재개발하거나 황무지와 농경지(주로 밭)를 골프장으로 만들면 골프장이 생태적으로 플러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난지도 골프장도 쓰레기매립장을 녹화했기 때문에 생태적으로 좋아졌을 뿐입니다.
@user-wb3ex6co2i
@user-wb3ex6co2i Жыл бұрын
세상엔 자기가 듣고 싶어하는 말에만 열광하는 사람들도 많지요!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26:10 희귀한 재화, 부동산이 값어치가 나가듯, 생태계에서도 희귀한 종이 중요합니다. 전세계 수백만수천만 마리가 있는 종 10종의 관리보다 수백수천마리 있는 1종의 보존+보전이 중요합니다.
@user-vf9pz5ws6h
@user-vf9pz5ws6h Жыл бұрын
일본골프장 가격이 상당히 싸지요. 한 4~5년전에 어떤 분이 원화로 50억 수준에 매입하는걸 본적이 있었습니다. 근데...일본인 아니면 골프장 관리자들이 텃새가 심해서 관리하기 영 까다롭지 않아요. 혹여, 사시려는 분 있다면 심사숙고 하시길..
@marysunshineroh2648
@marysunshineroh2648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그렇게 조심하고 감독해서 이뤄진 현재가 아닐까요? 일단은 뭐든지 망가지기전에 보호하는게 좋잖아요? 새로운 시각도 배웠습니다마는^^
@user-qr4pi6sj6l
@user-qr4pi6sj6l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에서 골프장을 푸른사막 이라고 말합니다. 한국 같은 자연 환경에서는 사람들이 즐길만한 운동이 아닌것은 확실합니다. 땅도 좁고 인구밀도는 세계 선두그룹에다가 많은 물 소비 ....
@MrCityhunter123
@MrCityhunter123 Жыл бұрын
그런 막연한 부정적 시각을 바꿔보자는거죠. 다 듣기는 하셨는지. 논보다 농약도 훨씬 적게 쓰고, 물도 적게 쓰고.
@alwaysloss
@alwaysloss Жыл бұрын
@@MrCityhunter123 논과 골프장을 동일 선상에 놓고 보는게 합리적이진 않다고 봅니다. 골프장은 다른 스포츠시설과 비교해야지요. 그리고 골프장에 대해 알고 있던 고정관념보다 환경파괴가 적다는 거지 그렇다고 지금처럼 온국민이 즐기는 스포츠가 되는게 맞는지는 또 생각해봐야할 문제입니다. 애초에 없는 것이 가장 낫겠지요. 골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위 영상 얘기외는 다르게 우리와 일본 뿐만 아니라 외국도 마찬가지구요. 프랑스의 기후위기 운동가들이 폭염 상황에서 시민들에게는 절수를 요구하면서 평소와 같이 운영하고 있는 골프장에 들어가서 홀에 시멘트를 부어버린 일이 최근에 있었죠.
@iililiiilili8263
@iililiiilili8263 Жыл бұрын
태양광으로 뒤덮힌 산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alwaysloss
@alwaysloss Жыл бұрын
@@iililiiilili8263 멀쩡한 산을 깎고 농지를 없애가며 태양광으로 뒤덮는 것이 옳을 리 있겠습니까. 외국처럼 도로 공장 빌딩 등 도시 안에도 태양광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많습니다. 동영상에 출연하신 최준영님이 번역한 그리드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지금 같은 파괴적인 태양광이 아닌 생산지와 소비자가 가까운 소규모 스마트 그리드로 바꿔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화석연료를 태우는 것을 멈추고 태양광으로 바꾸는 것은 필연적으로 가야할 길이고요.
@user-nu3qe7vx5s
@user-nu3qe7vx5s Жыл бұрын
지금 4대강에 푸른물을 보세요 환경이 얼마나. 좋아졌는지요
@q-onelee2443
@q-onelee2443 Жыл бұрын
골프장 폰도에 개구리와 도룡뇽 올챙이가 살고 가재도 삽니다. 맹독성 농약을 쓰면 구경할 수 없는 아이들리죠. 농촌 골짜기의 가재와 반딧불이가 사라지는 것은 일반 농민들의 규제되지 않은 농약 살포에 원인이 있습니다. 게다가 시골 산골에 200명을 고용할 수 있는 기업체를 찾기는 거의 불가능하죠. 골프장이 농촌의 고용 문제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는 점도 있어요. 물을 많이 쓴다는 비판도 있지만, 산골 농지에 물이 부족한 것은 농수 공급 라인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골프장은 초기 투자를 통해 공급 라인을 갖추고 있어요. 그래서 가뭄으로 논밭이 메마를 때 골프장에서 물을 펑펑 쓰는 풍경을 보면 누구나 분노할 만하지만, 다분히 오해입니다. 골프장을 일부 돈 많은 계층의 놀이라는 부정적 시각으로만 보지 말고, 골프를 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했으면 좋겠어요. 무엇보다 일부 언론의 센세이셔널리즘이 주기적으로 대중의 분노를 자극합니다만...
@user-wb3ex6co2i
@user-wb3ex6co2i Жыл бұрын
정성스런 답글에 좀더 이해하며 영상을 보게 되네요
@op9018
@op9018 Жыл бұрын
본문에서 이런 내용이 나와야 하는데 사회자분들이 시간 차지
@yeongseokkim2193
@yeongseokkim2193 Жыл бұрын
글게요 골프장에 애초 맹독성 농약? 쓸 필요가 없는데... 어디서 줏어 들은사람들인듯...
@weconomist1228
@weconomist1228 Жыл бұрын
좋은 글입니다. 제주도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도정에서 골프장의 지하수 사용량에 할증을 적용해, 지하수 원수대금 부담이 엄청 납니다. 그래서 골프장 자체적으로 폰드를 더 많이 파서 빗물을 활용하고, 잔디 초종도 물을 더 먹는 품종으로 전환하는 곳도 생기고 있죠.
@user-lw3xg4wt2x
@user-lw3xg4wt2x Жыл бұрын
와. 즐겁게 듣겠습니다. (^_^)
@dokpark5547
@dokpark5547 Жыл бұрын
골프장은 곡물 위기 시에 잔디를 갈아엎고 감자 고구마 보리 밀 심으면 큰 도움이 됩니다 골프 치는 단점은 거기에 빠져 바로 옆에 희귀한 명소가 있어도 안가게 돼요, 오클랜드에서..
@op9018
@op9018 Жыл бұрын
네? 외국은 맹독성 농약 안 치면 가능. 한국은?
@user-js3of8rq4g
@user-js3of8rq4g Жыл бұрын
오 미국에서까지
@stark9724
@stark9724 Жыл бұрын
그냥, 산을 공원을 만든다고 깎아대고, 골프장을 조성하네 하면서 인위적으로 만드네 하지 말고, 산 깎지 말고, 비료 뿌려대지 말고, 그냥 산을 그대로 놔두고, 지속적으로 나무 심고 여기저기 관리하고 산을 산처럼 만드는게 자연보호보존 잘 하는거지
@user-ib6pl6iy7z
@user-ib6pl6iy7z Жыл бұрын
농약은요?
@camino2236
@camino2236 Жыл бұрын
15분 즈음에 농약얘기 하시네요
@xerossxify
@xerossxify Жыл бұрын
백브리핑 나올때가 젤 좋아요~
@understanding.
@understandin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지금은 백브리핑 아니고 "언더스탠딩"이긴 합니다. ^^;
@ein3
@ein3 Жыл бұрын
적절한 수준이 어떤지가 중요한것 같아요. 한국의 생태환경과 맞는 수준이 어느정도인지요. 일딴 개발 자체가 환경을 파괴되는 건데 .. 골프라는 것이 점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다보니 좋은 부분 부각 시키는 것 같아요.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12:30 우리나라는 골프장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나무 없는 열린 공간이 이미 너무 많습니다. 도시, 도로, 농경지, 각종 개발공간 등. 나무가 많은 숲이 필요하지 열린 공간이 더 필요하지 않습니다.
@pop-gz6xe
@pop-gz6xe Жыл бұрын
남산 위에 소나무 이야기는 많은 생각은 하게 해요.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22:50 우리나라는 이미 열린 공간이 너무 많습니다.....산 옆에 다 농경지, 도시, 도로에요..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20:00 일본 사례의 우리나라 적용을 비판하시는데 나무가 없던 지역에 만든 영국등의 골프장 사례 등을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snookang
@snookang Жыл бұрын
농약은 잔디를 위한 것이 아니죠.. 두더지 먹이인 지렁이가 살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환경부 조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BK-im5hp
@BK-im5hp Жыл бұрын
역시 최고다 걸어다니는 백과사전 26:45 남산위에소나무와 참나무와 소나무와의관계
@mjclee826
@mjclee826 Жыл бұрын
한국 골프장은 농약을 많이 쓴다고요? 골프장 안의 주택가는 한적하고 청정 지역으로 알고 있어요 그래서 미국에서는 골프장 안의 주택에 사는게 꿈인 사람들이 많아요 대채로 잘사는 분들이 살고 있지요..
@user-bk9vb1db2g
@user-bk9vb1db2g Жыл бұрын
이미 예전부터 문화부에서 골프장 옹호해오셨군. 새가 많이 와서 송충이가 전멸한다고? 암도 생명이라는 것과 같은 논리? 그동안의 다른 나라 소식들도 잘 모르는 내용이라 그럴듯하게 들렸던건가...?
@op9018
@op9018 Жыл бұрын
근데 방송에 나와서 저런 말 하는 게 보통? 너무 솔직하네여. 중립도 아닌 것 같고
@user-nx7pf8no8m
@user-nx7pf8no8m Жыл бұрын
지자체에서 세금때문에 마구잡이로 골프장 짓도록 하는 경향이 있죠.....동네에 도서관이나 지어라...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16 күн бұрын
❤❤❤
@user-tb4ti2je2i
@user-tb4ti2je2i Жыл бұрын
제 개인생각은 골프가 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살아있는 공보다 죽은 공 살리는게 더 어려워서요^^
@user-ep7zi5hr8n
@user-ep7zi5hr8n Жыл бұрын
최준영로드를따라... 박사님지식의끝은어디
@user-pc2gq5qf1u
@user-pc2gq5qf1u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좋아하지만 골프에 대한 견해는 듣지도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제가 군시절 어마어마 하게 행군을 했습니다. 경기도에서 군생활을 했는데 하루에 몇개씩 골프장과 골프장 건설하는 곳을 지나가기도 했습니다. 환경 문제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을 때였지만 그 골프장건설 현장 보고는 충격을 받았습니다. 행군코스가 산을 넘어가야 해서 정상에 올랐는데 그 반대편은 모습은 산이 완전히 깍아졌고 모든게 파괴된 현장 이었습니다. 산 반쪽이 완전히 사라져 있었습니다. 무슨 아파트 건설 현장이나 도로 공사하는 곳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 였습니다. 그걸 본 이후로 어떠한 일이 있어도 나는 골프치지 않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작은 나라에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느라 자연을 파괴하는 부분은 어느 정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산을 부수면서 골프를 치기위해 골프장을 건설하는 것을 솔직히 용납이 안되더군요.
@user-ze8rd9wt7h
@user-ze8rd9wt7h Жыл бұрын
헐 저랑 비슷한 경험과 생각을 하셨네요.
@user-nt7ko9ld7u
@user-nt7ko9ld7u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 영상에서는 최준영박사님 말씀에 공감하지 못합니다. 말쓰하신것처럼 골프장을 지으려면 산을 완전히 깍아 없애버리는데 그건 두루뭉실하게 넘어가고 일단 골프장이 지어진 다음부터만 말씀하시네요.
@juokhan6
@juokhan6 Жыл бұрын
총량으로 계산해도 농약을 적게 치나요? 한개의 골프장은 최소 크기가 있고, 거기에서 단위당 적게 농약을 쳐도 주변에 졸졸 내려가는 물이 스며드는 땅에는 농축될 수가 있잖아요. 난지도 근처에는 사람들이 놀러만 오고 살지는 않겠지만, 어떤 골프장들은 민가 근처에 있지 않나요. 그 옆의 아랫쪽 농원이 자신은 무농약 유기농 농가라고 얘기하며 자기땅의 농약 농축을 모르며 농사지을 가능성이 없을까요?
@lalala7433
@lalala7433 Жыл бұрын
농경지로 쓴다고 농약 안치고, 자연적으로 동식물이 잘자라게 그냥 놔두진 않죠.
@user-ip3bv1yh5n
@user-ip3bv1yh5n Жыл бұрын
농경지는 식량을 생산하는 가치가 있습니다. 골프장은 무슨 가치가 있을까요?
@user-ql7pj6kq6d
@user-ql7pj6kq6d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잘생기셨습니다
@user-rv3sd5uf2m
@user-rv3sd5uf2m Жыл бұрын
국내. 골프장. 순위도 함번. 이야기해 주세요
@user-rv3sd5uf2m
@user-rv3sd5uf2m Жыл бұрын
골 국내 골프장 이야기 좀 해주세요 국내. 골프장 유래 또는 역사 이야기 도 좀. 해주세요
@HumaniJin
@HumaniJin Жыл бұрын
인간의 합리화가 지금의 환경파괴를 만든거. 핵심은 종다양성인데 외곡하지말아야.. 인과관계를 합리적으로 판단해야한다는건 좋지만 편견을 깨자고 또다른 편견을 만들면 개찐도찐이지. 결국은 정치질.
@wms680
@wms680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손경제 나오셨을때 정말 똑똑하시구나 했는데 얼굴을 여기서 뵙네요ㅎ
@user-ie6sh8nz2g
@user-ie6sh8nz2g Жыл бұрын
사실은 적지 않은 산이 잡목으로 우거져 있어요.
@dokichiro
@dokichiro Жыл бұрын
테니스가 골프보다 구력이 훨씬 중요하다고 하더라구요.
@user-dw8yu9po3j
@user-dw8yu9po3j Жыл бұрын
골프 ~ 자신과의 싸움. 테니스 ~ 반대편 사람과의 싸움. 구력 높다 = 다양한 스타일의 사람들과 시합 해봐서 연습구만 봐도 상대의 실력을 안다.
@ioioioio9132
@ioioioio9132 Жыл бұрын
휴대전화 꺼 놓고 맘대로 골프 칠 정도로 소득구조 만들려면 정말 열심히 살아야 할듯 ㅋㅋㅋ
@user-ru7lx3nq5r
@user-ru7lx3nq5r Жыл бұрын
저는 골프장하면 이가 갈리는 사람입니다. 제가 가재잡고 다슬기 잡고 놀던 수영장처럼 깨끗하고 시원한 물이 항상 있던 그곳이 골프장이 생기면서 완전 사라지고 통제구역되고... 어릴 때 추억생각하고 가는데... 20년만에 고향찾아갔는데... 완전실망했습니다. 왜 좁은 이나라에 골프장이 그렇게 많이 필요한지... 그냥 다슬기 따고 고기잡고 수영하고 그르는 그물 바로 먹어도 좋을 정도로 깨끗한 물을 막아 골프장을 만들었는지... 정말 환경파괴범 골프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외국나와보니 끝없는 평지가 계속되는 이런 곳에는 괜찮을 것도 같은데... 왜 산을 깍고 강물을 막고 골프장을 만들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돼네요... 처음으로 박사님 의견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user-nt7ko9ld7u
@user-nt7ko9ld7u Жыл бұрын
저역시 글쓴분 의견에 공감합니다.
@mcriderjoe300
@mcriderjoe300 Жыл бұрын
국민박사...최준영..
@user-kh7ry2ju7j
@user-kh7ry2ju7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땅도 별로 없고 산이 많은데 깎으면 웬만하면 다 환경파괴지.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Жыл бұрын
흔적 풍년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Jasonmraz643
@Jasonmraz643 Жыл бұрын
근데 이제는 골프장이 너무 많아 문제가 점점 생기는거같네요 이번에 가뭄으로 고생한 지역 아직 저수지 여유가 된다 생각하고 농업용수를 골프장에 팔았다가 이제는 물 부족해서 농사 망한 농민들 화성시 살때 도로 옆에 골프장있었는데 예전에 지나가는 차량 골프공 맞은적도 있고 지금 당장이야 골프하는 사람이 많으니까 유지가 되겠지만 점점 골프치는 사람이 줄어들고 망하는 골프장이 생긴다면 과연 그 넓은 땅을 어떻게 유지할지 모르겠네요 유지비에 물은 엄청써야되고
@user-pl8kb4du2d
@user-pl8kb4du2d Жыл бұрын
소득의 증가도 한 이유가 되지 않을까요? 일본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오르지 않아서, 특히 젊은이들은 해외여행도 잘 못한다니 골프도 어렵지 않았을까요?
@josephra229
@josephra229 Жыл бұрын
삼프로 출신 분들은 sbs에 많이 출연 하는듯..
@user-np7sz2tm5z
@user-np7sz2tm5z Жыл бұрын
환경부 잘하셨습니다 앞으로도 열씨미 해주세요
@ninabrant2478
@ninabrant2478 Жыл бұрын
골프유행 끝물입니다. 자산가격 폭등으로 인한 부자흉내, 인스타올리기 좋은 코스프레... 이젠 모두 끝입니다.
@Trisonss
@Trisonss Жыл бұрын
국토70%가 산 이라 평지 공원이 부족한데 산좀깍어서 공원? 을 만든셈이라 괜찬은듯
@claramam
@claramam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이프로님의 의견들이 참 다르기에 좋기도합니다. 그러나 밉상으로 얘기하는게 아니시라, ㅋ 말억양 발음 너무 좋으신데...진정한 겸손이 느껴지지 않을뿐이에요. 그렇지만 프로의 내용이 너무 좋아서 이프로님이 함께임에도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Bskim2047
@Bskim2047 Жыл бұрын
골프장에 가면 방아깨비 사마귀 많습니다 심한 농약을 치면 이런 곤충이 살아갈수 있나요.
@user-cc1jx5ro7x
@user-cc1jx5ro7x Жыл бұрын
테니스는 여성들 하기는 너무 많은 장애가 있다. 정답!!!! 프로들 경기력을 보면 남여간에 실력 차이는 하늘과 땅차이다. 우리나라 여성국가대표선수라도 남중 에이스선수에게는 게임도 안되고 후보정도 라도 쉽지 앟습니다. 테니스는 파워와 스피드에서 남여 격차가 너무 심해서,,,,,
@korg1201
@korg1201 Жыл бұрын
골프장이 얼마나 많은 농약을 사용하는데....
@user-cn1qr4nx3n
@user-cn1qr4nx3n Жыл бұрын
댓글보니... 참 머리가 굳은 분들이 많군요.
@user-ti8vq2bw3y
@user-ti8vq2bw3y Жыл бұрын
농약? 예전에 부가세 자료를 매입해서 그런거 아닌지(탈세 목적으로)
@user-tm8rh5cj8r
@user-tm8rh5cj8r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산지가 70%라고 알고 있습니다. 활용도를 넓혀야 합니다.
@user-ty8bx9rt6v
@user-ty8bx9rt6v Жыл бұрын
골프장은 기본적으로 오랜 세월을 그 자리에 있던 자연 환경을 치워버린것
@user-ne5wl7dt4k
@user-ne5wl7dt4k Жыл бұрын
서울에서는 올림픽공원 테니스장이 젤 좋은 듯?
@semcastle4268
@semcastle4268 Жыл бұрын
1년에 2번 치시거나 안치신다...바쁘게 사시느라 안치고 계시는군요.. 은퇴하시고 많이 치세요^^ 저는 주당 2회 가는데 그리 많이 가도 가는길은 항상 소풍가는 기분입니다..커피 마시며 썬글라스 끼고 음악 들으며 가는길은 행복의 시간이죠~^^
@gogetitha1317
@gogetitha1317 Жыл бұрын
농경지에 12kg 쓴다고 골프장은 문제가없다??? 골프장 자체가 원래 자연스럽게 나무, 풀 들이 자라던 숲,, 그걸 싹 갈아엎고 거기에 강제로 풀을 심고,, 그걸 농경지와 비교하여 별문제가 없다??? 어이가 없구만요....이렇게 좁은 땅덩어리에서
@user-bq9hu4sx9o
@user-bq9hu4sx9o Жыл бұрын
서양인들과 사업상 들판에서 막대질은 백번 이해. 랄날 곱게 삽시다.
@fermat969
@fermat969 Жыл бұрын
동남아 중국 쪽이 비용 경관 대기시간 (남는 비용으로 술도 하고)등등 오히려 국내보다 더 좋은 걸로 알고 있는데.. 태양광, 풍력 발전만 해도 논란이 생기는 좁고 작은 한반도 땅에서 굳이 비싼 비용을 무릅쓰고? 일본만 가더라도 우리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땅이 넓어요… 외국 나가보시면 알겠지만 우리나라 진짜 작아요.. 골프에 적합한 동네가 아닙니다. 피값만 보더라도 비교가 안되죠. 경제적으로 말이 안되는거 아시죠? 접근성? 비행기로 더 빨리 갑니다. 저같은 무능한 사람도 아는 내용을 … 다 알고 있는 박사님께서 이런 말씀 하시는 의도가…??
@iraf27
@iraf27 Жыл бұрын
잠깐 야구 얘기하셨는데 너무 길긴함ㄹㅇ 7시반부터 9시반까지 6회만 하고 끝내야 경기전 밥먹고 오든 경기끝나고 2차가든 할건데
@user-oh4zb3hx9v
@user-oh4zb3hx9v Жыл бұрын
신갈 IC근처 꼴프회원권 잘가지고계세요. 나중에 300~500억 됩니다.
@user-ce5yu1ql4l
@user-ce5yu1ql4l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이 우리나라에 생태통로 도입에 기여하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ㅎㅎㅎ
@marysunshineroh2648
@marysunshineroh2648 Жыл бұрын
동물들이 별로 이용안한다던데요^^
@user-ce5yu1ql4l
@user-ce5yu1ql4l Жыл бұрын
@@marysunshineroh2648 kzbin.info/www/bejne/eZfdpWCmgadnb68
@ysj454
@ysj454 Жыл бұрын
언더스탠딩 확실히 많이 컸네요 ㅎㅎㅎ
@user-ke3rt2ix1k
@user-ke3rt2ix1k Жыл бұрын
내가 골프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산 깍고 자연환경 파괴가 심한 스포츠라는 선입견 때문인데
@serakwon8843
@serakwon8843 Жыл бұрын
전 골프장이나 환경에 별 관심이 없는데.. 은근히 한쪽으로 몰고 가는 논리의 영상이네요. 1. 골프장이 과거 인식처럼 나쁘지 않다면서 드는 논거의 상당수가, 규제나 법으로 그렇지 않게 되었다는 거네요. 나쁜 인식이 그런 규제나 법을 만들었는데 그럼 계속 나쁜 인식을 가져야 견제와 감시가 되지 않을까요? 2. 환경보전의 허구성을 비판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환경보전이라는 개념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그냥 황폐하지않고 동식물이 늘어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거라서 소나무든 참나무든 나무가 무성해지면 좋다고 생각하고, 한강 주변에 과거에없던 새들이 늘었다면 긍정적으로 보죠. 과거의 보전이 목적인 것처럼 논점을 이상하게 잡아서 공격하네요. 지구본연구소 거의 다본 팬으로서 전공이라고 하셔서 어떤 수준높은 이야기가 나올지 기대했는데, 적어도 논리적인 수준은 실망스러운 영상이었습니다
@mob726
@mob726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컨텐츠는 즐겨듣고 있습니다만, 이번편은 환경공학전공자 입장에서 조금 불편한 부분이 있네요. 골프장을 만들어서 사람이 적게 오면 환경에 부담이 덜하다는 논리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이야기이신지 모르겠네요. 애초에 산깎아서 골프장 안지었다면 사람이 전혀 오지 않았을텐데 말입니다. 물론 다른 이유로 골프장이 그렇게 나쁜건 아니라는 논문들이 있습니다만, 제가 봤을 때는 논리가 약합니다. 그리고 골프장에서 쓰이는 잔디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되고 있고 여느 작물처럼 광범위하게 농약 및 화학약품이 쓰입니다. 몇년전에 dollar spot이라는 골프장 잔디가 걸리는 병을 치료하는 화학약품에 대해 논문을 쓴 적이 있습니다.
@seokhyun8114
@seokhyun8114 Жыл бұрын
명확한 주제는 안보이는 방송에 자극적인 섬네일은 좀 안타깝습니다. 언더스탠딩 화이팅!
@wildlifekr
@wildlifekr Жыл бұрын
12:30 나무가 없는 열린 공간은 흔한 종들이 많고 나무가 많은 빽빽한 숲은 드문 멸종위기종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순히 흔한 종을 포함한 생물다양성 숫자와 개체수로만 말하면 안됩니다. 일종의 통계 오류 및 편향으로 잘못된 생각을 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수치가 낮더라도 멸종위기종 등을 대상으로 관리를 해야지요.
@user-pl1eo4qn2g
@user-pl1eo4qn2g Жыл бұрын
골프장 하는 땅들이 멸종 위기종이 많은 땅이었을까? 비교대상을 잘정해야지!
@user-sl9cb6fh7u
@user-sl9cb6fh7u Жыл бұрын
골프장에 농약을 얼마나 치는지아요......
@user-sl9cb6fh7u
@user-sl9cb6fh7u Жыл бұрын
환경엔 악영향이지만 경제엔 도움이된다......
어린이대공원은 원래 골프장이었다 (최준영 2부) f.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23:26
미국에서 한지붕 세가족이 갑자기 늘고 있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8:52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수출로 사는 한국, 솟아날 구멍 있나 (최준영 2부)f.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29:13
물리학자 김상욱이 본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한권의책]
47:05
빅퀘스천 Big Question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AI와 바이오가 만나면 이런 일이 벌어집니다 (한동대학교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57:25
(1부) 잡초는 사실 지능적인 전략가였다 | 북언더스탠딩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28:2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63 М.
(1부) 산업의 역사는 고무, 고무, 그리고 고무였다 (민태기 소장/에스엔에이치연구소)
56:57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