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т қаралды 3,624,705

tvN DRAMA

tvN DRAMA

Күн бұрын

#블랙독 #Blackdog #Diggle
최상위권 학생들의 신박한 문제 이의 제기 '사람 이름이 바나나일 수도 있잖아요?'
기간제 교사가 된 사회 초년생 고하늘(서현진 분)이 우리 삶의 축소판인
‘학교’에서 꿈을 지키며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
12월 16일 (월) 밤 9시 30분 첫 방송 / 매주 [월, 화] 밤 9시 30분 tvN 방송
Let's giggle, :Diggle!

Пікірлер: 6 700
@ghy8560
@ghy8560 4 жыл бұрын
최상위권이면 문제 의도를 파악해야지ㅋㅋㅋ 이게 픽션인게 진짜 최상위권은 "이거 이의제기할 사이즈 나오네?ㅋㅋ" 생각만 하고 출제자 의도대로 아주 퍼펙트하게 맞춰서 써버림. 이게 최상위권이지
@삼위일체-v9o
@삼위일체-v9o 4 жыл бұрын
ㅇㅈ 저거 일부러 애매하게 쓴걸수도 여지가 있어버리면 꼬리를 물기 쉬우니까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 4 жыл бұрын
드라마라 현실고증 안돼있음 상위권은 괜히 상위권이 아닌디 개떡같이 문제내도 찰떡같이 문제푸는게 상위권인데 저렇게 어거지로 풀면 현실에선 중위권임
@jurlip
@jurlip 4 жыл бұрын
Yai Dnmc ㅇㅈ 내가 일반 인문계고라서 그런가 진짜 이해가 안감... 우리학교 최상위권중에 저런식으로 답 애매하게 적어서 위험 감수하는 애들 없음
@chan09437
@chan09437 4 жыл бұрын
@잇샤 ㄹㅇ 기게 맞는 듯 저런 학생들은 출제자 의도 파악하는게 버릇처럼 되어있는 것 같던데 수업시간에 저런 말 흘려서 하면 쟁쟁한 경쟁자가 많아서 '아, 이런 유형으로 성적 가르겠다는 거구나' 라고 생각 햇을 듯
@wake7140
@wake7140 4 жыл бұрын
영상 다 안 봤나보네?
@lovelymelody9245
@lovelymelody9245 5 жыл бұрын
작중에 상위권 애들이 억지부려서 시험문제에 트집잡는게 아니라 9:43 필기한거 보면 '피자', '치킨' 이 사람이름 일 수도 있다고 배운게 나옴. 그래서 나중에 선생님이 잘못했다고 인정하는거고. 물론 현실 상황에선 씨알도 안 먹히는 소리겠지만
@서녕-y2y
@서녕-y2y 5 жыл бұрын
lovely melody ㅇㅈ 수업시간에 저렇게 가르쳤으면 당연히 저 문제 저렇게 해석할 수 잇는거지... 왜 댓글들 다 난린지
@기니디리-k5e
@기니디리-k5e 4 жыл бұрын
@@김태현-z1h 이게 맞지 ㅇㅇ
@뭐지이건-o1o
@뭐지이건-o1o 4 жыл бұрын
문제가 뭐임 중의적인건 알겠는데 문제를 알아야 복수정답이 정당한건지 아닌지 판단 가능할것 같은데 ㅋㅋㅋ
@yubiinsight
@yubiinsight 4 жыл бұрын
@@뭐지이건-o1o 문장이 어떠한 중의성을 기지고 있는지 서술하는거요
@minseung346
@minseung346 4 жыл бұрын
@@김태현-z1h 근데 저기 문장에 소영이는 피자와 치킨 두 상자를 주문했다라고 쓰여있는데 시험문제 보기랑 구조가 완전 똑같음. 최상위권 학생들은 예시 하나조차 놓치지 않고 꼼꼼히 공부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런 부분에서 더 헷갈릴 수 있음.
@괜찮아괜찮아-t4j
@괜찮아괜찮아-t4j 5 жыл бұрын
저게 문제가 되는건 바나나가 사람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심화반 특강으로 했고 예시도 들었다는게 문제예요. 시험은 공통수업내용에 한정되어있어야하는데 특강한 내용을 시험에 냈다는 점, 그 사실을 같은 교과쌤들고 공유하지 않았다는 점이 문제인거죠. 우리학교도 보충교재에 나온걸 내서 보충교재를 따로 보지 않은 애들은 난리났었어요. 정답이 하나여서 그나마 넘어가긴했지만 정말 진땀뺐던..ㅜㅜ
@김준우-z9b3j
@김준우-z9b3j 5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선생님
@신선-m5p
@신선-m5p 5 жыл бұрын
근데 애초에 심화반 특강에서 배웠다고 첨부터 그렇게 항의를 했으면 크게 안될 문제를 저딴식으로 부풀리는게 드라마 과장이 너무 심하다는 느낌이네요
@김현서-t2i
@김현서-t2i 5 жыл бұрын
극중에 지혜원선생님이 저 문제 관련된 어휘의 중의성 그거 심화반애들만 따로가르친쌤 곤란할까봐 그얘기하ㅣ말라했잖아요....그것만말했어도
@루루-i8o6c
@루루-i8o6c 5 жыл бұрын
@@신선-m5p ㅇㅈ..ㅋㅋ 실제였으면 애초에 심화반 특강인걸 언급했을게 분명하고 마지막에 갑자기 화기애애해지는 저 연출은 존나오글
@가온누리-k6q
@가온누리-k6q 5 жыл бұрын
사범계열 학과에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저 드라마 내용에서 학생들이 특강에서 배웠으니 다른 답도 정답이라 하는 건 기각해도 됩니다. 특강에서 배운 내용을 응용한 선지가 정답의 소지가 있어도 정규 교과 시간에 배우지 않은 내용이라면 오답 처리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더불어, 드라마 내용을 보면 이의 제기 들어온 문제에 제시된 정답이 있는 상황이기에 해당 문항을 대체할 시험을 다시 보지 않아도 됩니다. *시험 문제에 '가장' 이라는 표현이 자주 나왔던 게 생각나실 겁니다. 일부 학생들이 정규 교과 과정에서 벗어난 내용을 기반으로 이의 제기를 했을 때 문제에 '가장', '매우' 등의 표현이 들어가 있다면 교과 시간에 교사가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기에 학생들의 이의 제기는 기각한다는 주장에 엄청난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
@beob8270
@beob8270 4 жыл бұрын
실제 최상위권 애들은 출제자의 의도를 찰떡같이 알아듣고 풀지 저렇게 지들 멋대로 해석해서 안품. 절대 저런 위험 감수 안합니다. 특히 지들만 하는 수업에서 배운 내용으로 공통적으로 치루는 시험에 적용시킨다? 멍청한거지.
@ONE_O.L
@ONE_O.L 4 жыл бұрын
근데 뭐 드러마니까..
@너와함께한후
@너와함께한후 4 жыл бұрын
찰떡같이 알아서 푸는 최상위권이 있을 수 있고, 이의제기 충분하기 때문에 저렇게 풀 수도 있지
@한진우-e2e
@한진우-e2e 4 жыл бұрын
이게 팩트임, 진짜 최상위는 매뉴얼대로 함
@eve__u
@eve__u 4 жыл бұрын
수업에서 다뤘으니 아 이게 그 함정 부분이구나 했을수있을것같은데요
@자감크리스피
@자감크리스피 4 жыл бұрын
@@eve__u 애초에 최상위권 애들은 자기들만 들은 수업에서 한 내용이 시험에 나왔을거라고 생각을 안 하지....
@decadence-uj7js
@decadence-uj7js 5 жыл бұрын
이건 선생님들 잘못도 아니고 학생들 잘못도 아니고 입 다물고 있었던 수현 잘못이잖아;; 첫 번째 회의할 때 자기가 방과후 수업했어서 이렇게 된 것 같다고 말했으면 누가 뭐라 그러냐
@xxuwnn
@xxuwnn 5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거 같에요 근데 지가 뭘 잘못했는지 모르는듯
@flux1242
@flux1242 5 жыл бұрын
드라마 안 봐서 누가 누군질 모르겠는데 수현이 어느 쌤인가요?
@불사가리
@불사가리 5 жыл бұрын
@@flux1242 안경 쓴 목소리 ㅆㅅㅌㅊ 남자 선생님이요
@신미경-q7z
@신미경-q7z 5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특별반이 존재하고 따로 특강 받는다는거 자체가 현실반영 ㅅㅌㅊ임 하지만 저렇게 고개숙여 사과하는 선생님은 거의 없음 왜냐면 자기가 잘못했다는거 죽어도 인정 안하는 쌤들이 태반임 ㅋㅋ
@쩜쭈
@쩜쭈 5 жыл бұрын
인정만 하고 끝나는 일이면 백번 천번이고 할듯 그 선생들도..뭐 그게 잘한 일이란 소린아니고
@나뭐돼-d2t
@나뭐돼-d2t 5 жыл бұрын
진짜아니 인정이요
@dgk1226
@dgk1226 5 жыл бұрын
인정 한번하고나면 왜 현실에선 인정 안하는지 알게됨 저건 드라마고 현실은 다름 꼬리표 내내따라다니고 인정하는순간 새로운 라운드 시작임
@tjqwjddl110
@tjqwjddl110 5 жыл бұрын
ㅇㅈ
@martinaston9233
@martinaston9233 5 жыл бұрын
인정하면 거기서 끝이 아니기 때문임.
@All_white
@All_white 5 жыл бұрын
국어쌤들이 제일 심장 쫄깃할듯..맨날 시험날 뛰어다니시는거 보면 안타까움
@이은서-z9r
@이은서-z9r 5 жыл бұрын
@All_white
@All_white 5 жыл бұрын
@@이은서-z9r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terrychong
@terrychong 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말이 참 언어유희로 많이 쓰이는 대에 대한 폐혜
@enfp_high_presi
@enfp_high_presi 5 жыл бұрын
@하누리 우리말 국어라는게 참 창제원리부터가 복잡해서 활용의 경우의 수도 수조 수천억가지, 어쩌면 그 이상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지들이 못낸게 아니라 원래 출제하기도, 문제 난이도도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seungbinjeon7789
@seungbinjeon7789 5 жыл бұрын
@@남아일언중천금-x2g 좀좆같이 말하긴했지만 팩트임
@우이우이
@우이우이 4 жыл бұрын
진짜 베댓말이 딱 맞는듯ㅋㅋㅋ 최상위권들은 문제 보고 '아 이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는데?'생각만 하고 출제자가 원하는 답 딱 써서 냄ㅋㅋㅋㅋㅋ
@아아이-i5w
@아아이-i5w 3 жыл бұрын
최상위권이면 이렇게 생각할수도있네 함정인가 아 선생님이 이런거에 관해서 피자가 사람일수있다라 말했으니 이게 답일수있구나 애매한 문제네 이건 문제오류다 틀려도 따져서 맞을 확률이 높은건 아무래도 바나나를 사람으로 인식한게 맞다면 그걸 아예 몰라서 틀리는것보다 쌤 의도하지않은 방향의 답이라도 바나나를 사람으로 인식하고 문제를 푼다면 틀렸다 해도 이건 문제오류가 될수있네 라고 생각하지
@sleep_tight1012
@sleep_tight1012 3 жыл бұрын
@@아아이-i5w 헐...인정...
@별로화낼일아니죠
@별로화낼일아니죠 2 жыл бұрын
@@아아이-i5w 내가 최상위권이고 저 함정을 눈치챘다면 이렇게 행동했을듯
@폭팔-w3w
@폭팔-w3w 2 жыл бұрын
@@아아이-i5w 근데 그건 바나나를 과일로 인식하고 풀었는데 사실 사람이었어도 똑같이 주장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cover_hair
@cover_hair 2 жыл бұрын
@@아아이-i5w 예? 뭐라구요?
@ssy97897
@ssy97897 5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게 이카로스 학생들이 항의해서 저렇게 모인거지 중하위권얘들이 항의했면 개무시당하고 욕쳐먹었겟지 쿠쿠루쿠쿠
@greenddackji
@greenddackji 5 жыл бұрын
ㅇㅈ
@조예원-n3q
@조예원-n3q 5 жыл бұрын
@beat달 상위권 학생들만 모아놓은거에요~
@그가구가가
@그가구가가 5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밀어주는 전교 1등이면 조용히 정답처리하고 넘어감 어중띠는 상위권들이 이의제기하면 받아주지도 않음 오히려 중위권 아래는 이의제기도 안하고 ㅋㅋ
@뀨뀨-w1y
@뀨뀨-w1y 5 жыл бұрын
ㅠㅠㅇㅈ
@녕냥-d5w
@녕냥-d5w 5 жыл бұрын
ㅋㅋ ㅇㅈ 저번에 이의제기 하러 갔다가 개쳐혼남 선생새끼들 지들 문제에 자존심만 쎄가지고 절대 안바꾸려고함
@aneyyppah
@aneyyppah 5 жыл бұрын
뭐야 진짜 개너무해,, 이카로스 쌤이 (애들한테 저 수업햇던) 얘기를 해줬어야지 회의할 때는 입 꾹 닫고 있다가,, 서현진이 사과할 게 아니잖아;
@뇽안-c8c
@뇽안-c8c 5 жыл бұрын
박재영 영상에 나왔듯이 이카루스 방과후에서 언어의 중의성 설명하신 하수현?쌤 말하시는거겠죠
@호라이즌-l9w
@호라이즌-l9w 5 жыл бұрын
이카루스(x) 이카로스(o)
@aneyyppah
@aneyyppah 5 жыл бұрын
호라이즌 아 감사합니당
@민-v4s1w
@민-v4s1w 5 жыл бұрын
@@호라이즌-l9w 이카루스는ㅌㄹㅋㅅㅋㄹㅋㅅ 그거 아님? 밀랍으로 만든 날개 달고 태양까지 가서 밀랍 녹아가지고 추락사한..ㅋㄹㅋㅅㅋㅎ
@빵-n9q
@빵-n9q 5 жыл бұрын
@@민-v4s1w 이카로스도 걔예요 ㅋㅋㅋㅋㅋ 그냥 표기차이인거같아오
@뜬뜬-y2y
@뜬뜬-y2y 5 жыл бұрын
입시 치르니까 저 학생들 마음 충분히 이해된다... 학생들도 분명 억지다 싶었겠지만 심화반 수업에서 선생님이 그렇게 가르쳐주셨으니 저런 답을 생각해낼 수밖에..
@Dogwithoutkang
@Dogwithoutkang 4 жыл бұрын
근데 준내 웃긴 건 저거 상위권이 아니라 하위권 애들이 바나나가 사람이름 드립 쳤으면 쌤들이 ㅈㄴ ㅈㄹ했을(그러니까 니가 공부를 못한다는 소리) 거라는 게 ㅈㄴ 웃픈 학교 현실임
@주요옹
@주요옹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저상황이 현실이 아닌데?
@ckj6899
@ckj6899 4 жыл бұрын
ㅅㅂ 난 기린키랑 종이두께 제시하고 문제는 종이와 기린이있다 몇번 접어야 높이가 같아질까? 내가 기린접어도 되냐고하니까 개처 맞았다
@NuNuNuNuB
@NuNuNuNuB 4 жыл бұрын
@@ckj6899 ㅋㅋㅋㅋㅋ
@ckj6899
@ckj6899 4 жыл бұрын
@@NuNuNuNuB ㄹㅇ 미국형인재의 창의력을막았다
@7반이주헌_1504
@7반이주헌_1504 4 жыл бұрын
@@ckj6899 기린을 접든 종이를 접든 횟수가 같은건 함정
@Hae_Ma
@Hae_Ma 5 жыл бұрын
난 저 말이 제일 싫어 "신입이라서 모르는거 같은데" 야ㅋㅋㅋㅋㅋㅋ듣고나서 의견내 왜 듣지도 않고 모른데? 어이없어 진짜ㅋㄱㅋㅋㅋ개곤대
@Ownthe
@Ownthe 5 жыл бұрын
해마 그럴때는 되갚아줘야지. “저~쌤이 틀딱이라서 모든 것을 순리대로 흘려 보내려고 하시는 것 같은데, 전 신입이라서 꼼꼼함을 좋아합니다”
@유성-n1d
@유성-n1d 5 жыл бұрын
@@Ownthe 아 미친 상상했더니 개 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김지인-s8m
@김지인-s8m 4 жыл бұрын
@@Ownthe 앜ㅋㅋㅋㅋㅋㅋㅋㅋ
@자별-w9v
@자별-w9v 4 жыл бұрын
@@Ownthe 라고 팩트폭행하는 상상함! 하지만 어림도 없지가 현실
@jiyunkim9418
@jiyunkim9418 4 жыл бұрын
곤대 [명사] ‘자루’의 방언
@Aimaina39
@Aimaina39 5 жыл бұрын
어른이 아이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숙이는게 잘못을 했다면 당연한 거지만 막상 해보면 결코 쉽지않은데 참 멋있다
@user-zh1np4tk2c
@user-zh1np4tk2c 5 жыл бұрын
사과를 한다는 행위가 멋있고 아니고의 문제가 아닌 같은 사람으로서의 대우를 받는 것인데 단지 나이가 많거나 직급이 높다하여서 멋지다라는 말이 나오는 현실도 안타깝네요
@잉울-h9y
@잉울-h9y 5 жыл бұрын
@@user-zh1np4tk2c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용기가 대단하다는 것 아닐까요?
@user-zh1np4tk2c
@user-zh1np4tk2c 5 жыл бұрын
@@잉울-h9y 그런데 그 용기의 가치가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연장자라 하여 가치가 중첩되는 것을 지적한 것입니다
@잉울-h9y
@잉울-h9y 5 жыл бұрын
@@user-zh1np4tk2c 연장자라해도 사과하는게 당연하다 하였으나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는것이 힘든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연장자라 하여 가치가 중첩되는 것이 아닌 사람으로써 행동에 옮긴 용기에 박수를 치는 것이지요
@user-zh1np4tk2c
@user-zh1np4tk2c 5 жыл бұрын
@@잉울-h9y 말씀하신대로 사과하는것이 힘든 현실이 안타깝다는 것이고 글 쓰신 분은 사람으로서 사과한다는 것이 대단하다는 것이 아닌 연장자가 사과하는 것이 대단하다고 하시는 겁니다 사과하는 행위만을 놓고 대단하다고 하신거라면 굳이 앞에 어른과 아이들의 상황이라는 것을 언급하셨을까요?
@문주영-m6t
@문주영-m6t 5 жыл бұрын
사람이름이 바나나면 제일나쁜사람은 이름지어준 사람이다.
@불만두인데요네
@불만두인데요네 4 жыл бұрын
거 어데 바씹네까???
@HH-sz1jj
@HH-sz1jj 4 жыл бұрын
??? : 꺌룰랭~
@yonsei678
@yonsei678 4 жыл бұрын
네네 일단 님말이 다 맞는 말이에요 아니 미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
@온천가드맨
@온천가드맨 4 жыл бұрын
바나나를 개이름으로 치면 충분히 가능성 있음
@신후이
@신후이 4 жыл бұрын
네네 일단 님말이 다 맞는 말이에요 델x트 바씨입니다(???)
@womrev
@womrev 3 жыл бұрын
서현진 연기 개잘한다 진짜 어디 존재하는 사람같이 연기함... 진짜 선생님같음
@k_sy8324
@k_sy8324 5 жыл бұрын
시험 문제가 오류든 오류가 아니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학생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는 선생님 몇 없다 오류난거 알면서도 성적표 빨리 작성해서 막은 것도 있고 재시험 공지 하나만 주는 데도 있는 것과 모순되는 모습을 보여줄려고 한 거 같은데 .. 거기게 초점을 맞춰서 봤으면
@gms227
@gms227 5 жыл бұрын
진짜 상위권 부모님들이 말하면 들어주는 등 보이지않는 차별이 존재하는 것 같아요
@All_white
@All_white 5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 이야기하면 사과도안해줌 걍 재시
@camelliadandelion
@camelliadandelion 5 жыл бұрын
저건 채점의 문제가 아니라 저 문제만 재시험 봐야 됨...배운 학생 있고 안 배운 학생 있는 내용으로 시험 문제 낸 거가 첨부터 잘못됐음
@camelliadandelion
@camelliadandelion 5 жыл бұрын
@self inv fn 교육청 지침으로 원래 정해져 있어요 배운 내용으로만 시험 내는 거...
@HarryPotter-up7df
@HarryPotter-up7df 5 жыл бұрын
?정규 수업도 아닌 방과후에서 한 거면 당연히 안 되죠
@은수-l1t
@은수-l1t 5 жыл бұрын
@@waveto 잉 안돼요 국어선생님이 여러명이라서 모든반이 다 배운내용만 낼 수 있어요
@waveto
@waveto 5 жыл бұрын
은수 아,, 정해진 교육과정 이외 내용을 가르치면 안된다는 뜻으로 해석했네요ㅎㅎ.. 제가 잘못알았네요
@치칯치즈즈
@치칯치즈즈 5 жыл бұрын
드라마 보시면 왜 저런 문제가 나온건지 이해되실거에요
@IlIlIlIllllllII11l1l
@IlIlIlIllllllII11l1l 5 жыл бұрын
실수하는 쌤은 존나 많지만 사과하는 저런쌤 있을까말까함... 있다해도 자의적으로 하는게 아니라 애들이 어이없어서 논리적으로 따지고 들면 구석에 몰렸을때서야 그래 미안하다 사과했으니 됐지? 이러며 애들 유난떤다고 소문내고 다니기나 하지... 좋은 선생은 정말 잘 없는듯
@subin9211
@subin9211 5 жыл бұрын
이게 ㄹㅇ
@버블버블버블팝-z1i
@버블버블버블팝-z1i 4 жыл бұрын
바나나가 아니라 자두였다면 선생님들 반응이 달랐을까,,,
@kyr5805
@kyr5805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홍준성-z3p
@홍준성-z3p 4 жыл бұрын
ㅁㅊㅋㅋㅋㅋ
@이지헌-z7n
@이지헌-z7n 4 жыл бұрын
자두면 킹정이지
@ONE_O.L
@ONE_O.L 4 жыл бұрын
자두였으면 캐릭터로 인정해야지 ㄱㅋㄱㅋㄱㅋ
@클라우드블루
@클라우드블루 3 жыл бұрын
이거 개웃긴데 좋아요가 많이 안 달리는게 어린애들은 누군지 몰라서 그런거 같다 ㅋㅋㅋㅋ
@Ddong_yee
@Ddong_yee 4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수험생 애들 살벌하게 경쟁하고 한문제 가지고도 죽냐사냐 하게 대한민국에서 만들어 놓고선 살벌하다 그러면서 진저리난다는듯이 쳐다보는거 진심 짜증남
@Namjun-x5q
@Namjun-x5q 4 жыл бұрын
ㄹㅇ그니까 ㅋㅋㅋ ㅆㅂ
@이름-q5e
@이름-q5e 4 жыл бұрын
그게 쌤들이 만든환경은 아니자너;;
@Pwnab13m4rin3
@Pwnab13m4rin3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틀딱 특임
@user-vr6cl9lk1l
@user-vr6cl9lk1l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렇게라도 안하면 대한민국 사람들 지금정도 생활수준 유지 못하는 것이 현실
@성이름-k9v8m
@성이름-k9v8m 4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1점차이로 몇십명이 갈리는 판국에ㅋㅋ 내 친구 95점의 안정적 2등급이래서 아 93점인 나도 2등급이겠다 했는데 ㅋㅋㅋㅋ 3등급 중간이더라 ㅋㅋㅋ 그 2점에 3,40명이 있더라 ㅋㅋㅋㅋㅋㅋㅋ 시바
@Yomanghangeot
@Yomanghangeot 5 жыл бұрын
일반적으로는 저런 문제 자체가 상식선에서는 해결되겠지만 9:43 보시면 하수연 선생님 수업시간에 피자, 치킨이라는 이름이 진짜로 있으면 엄밀히는 중의적일 수 있다는 얘기를 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던겁니다. 수업시간에 다룬 내용대로 시험 답안을 냈는데 오답처리 된 상황인거죠.
@totochoi2446
@totochoi2446 4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더 명확하게 틀린거죠. 치킨피자라는 이름이 있으면 중의적일수 있다 한거지 치킨피자가 사람이니 중의적이라고 한건 아니잖아요. 그럼 학생입장에서 일반적으로 치킨피자라는 사람은 없다로 전제하고 있어야죠. 선생님이 치킨피자 사람이랬어 그럼 바나나도 사람이야라고 이해하는 학생이 문제죠. 적어도 바나나가 사람일수있는가는 상식적으로 판단할수는 있어야죠. 우리나라에 바씨라는 성을 가진사람이 있거나 바나나라는 이름의 사람이 있다고 우기기식으로 생각하고 우기는게 정상이 아니라고 봄. 오히려 치킨피자라는 사람이 있다면이라는 전제에는 그런사람이 일반적으로 없다는 의도가 더 크다고 봄
@Yomanghangeot
@Yomanghangeot 4 жыл бұрын
@@totochoi2446 드라마를 보고오세요. 이해 잘 못 하고 계신 것 같아요.
@noru120
@noru120 4 жыл бұрын
@@totochoi2446 문법이라는 규칙 안에선 옳은 해석이지만 상식선으로볼때는 말도안되는 해석이죠. 이럴땐 당연히 문법을 기준으로 채점해야합니다. 상식이라는건 사람, 사회마다 다를수있기때문에 객관적이지못합니다. 따라서 저 해석이 틀렸다는 주장을 뒷바침할수없습니다. 그리고 만약 바나나를 그냥 사람이름이아닌 연예인의 예명, 혹은 인터넷에서사용하는 아이디 로 해석했다면 상식적으로도 맞는 해석으로볼수있죠. 그렇기때문에 바나나는 고유명사일수있습니다
@Abc-mh3pp
@Abc-mh3pp 4 жыл бұрын
걍 융통성 말아먹은거지 뭘
@가은-v8d
@가은-v8d 4 жыл бұрын
그 예시를 수업이 아니라 방과후 시간에 들어줬다면 그걸 복수정답 처리해줄 이유는 조금도 없는거지
@user-km3sn7eq1y
@user-km3sn7eq1y 4 жыл бұрын
어휘적 중의성 맞다치면 '바나나와 수박'이라는 이름의 메뉴 두개일 수도 있고 '수박 두개'라는 이름의 메뉴일 수도 있고 '성순이가 바나나와 수박'이라는 이름의 메뉴일 수도 있고 '성순이가 바나나와 수박 두 개'일 수도 있고 '성순이가 바나나'라는 이름의 메뉴일 수도 있으니까 틀린 거 맞네?
@코랄블루-i2c
@코랄블루-i2c 4 жыл бұрын
이거다;ㄹㅇ
@이태규-m5z
@이태규-m5z 4 жыл бұрын
너 천재냐
@오진우-x7c
@오진우-x7c 4 жыл бұрын
ㅅㅂ그니깐..
@우웅-x5n
@우웅-x5n 4 жыл бұрын
박수민 뭐가 지랄이야
@쿨시원보쿠와
@쿨시원보쿠와 4 жыл бұрын
이거네ㅋㅋㅋㅋㅋ존나 천재네
@lovingyoukeepsmealive
@lovingyoukeepsmealive 3 жыл бұрын
8:15 난 보았다. 서현진이 법조인 연기하면 얼마나 개쩔지를...
@iceice2290
@iceice2290 3 жыл бұрын
와씨 언니 사랑해
@user-le5dc7zu8u
@user-le5dc7zu8u 3 жыл бұрын
이번에 로스쿨 교수역할 맡으셨데요..ㅠㅠ
@지나가-f4r
@지나가-f4r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의' 발음 정확한것봐
@Hanbyul-t1l
@Hanbyul-t1l 4 жыл бұрын
근데 최상위권 애들이 저걸 풀면서 어.. 바나나가 사람 이름이니깐... 이러면서 풀었다는게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망둥-y9r
@망둥-y9r 4 жыл бұрын
영상 끝까지 왜안보는거임???? 선생이 그렇게 가르쳤고, 필기까지 그렇게 했기에 최상위권 학생은 이걸 함정으로 보고 풀었는데 틀렸으니 이의를 제기하는거지
@user-it3fs4fh9q
@user-it3fs4fh9q 4 жыл бұрын
선생이 그렇게 가르침... 최상위권 방과후에서...
@Aspyn.
@Aspyn. 4 жыл бұрын
@@망둥-y9r 너무 진지빨진 말죠.. 드립인데ㅜ
@문-e1o
@문-e1o 4 жыл бұрын
이모! 사람한명 주문할게요! 아 아니다 사람두명주문이요!
@환인-j8h
@환인-j8h 4 жыл бұрын
@@Aspyn. 병시ㄴ 이야ㅋ
@zackzzack
@zackzzack 5 жыл бұрын
아니 하수현은 왜 첨부터 자기가 이카로스 방과후학습에서 그렇게 가르쳤다고 말안하구 빠져있다가 하늘이가 사과하게만들어 저 상황을 다 보고있었으면서
@lcomet4526
@lcomet4526 5 жыл бұрын
ㄹㅇ어이없음
@zackzzack
@zackzzack 5 жыл бұрын
@@lcomet4526 ㄹㅇ 비겁한캐릭터네용
@rique2800
@rique2800 5 жыл бұрын
ㅇㅈ 저런 이의 제기 나온거 백타 피자치킨 예시 때문임 하수현이 피자치킨이 사람이름일수도 있다고 하니까 애들이 시험문제에 나와을 때 출제의도를 잘못 파악할 수 밖에..
@김현서-t2i
@김현서-t2i 5 жыл бұрын
진짜 저쌤 너무빡침...진짜
@Fallsign
@Fallsign 5 жыл бұрын
내 이름.... 나인줄
@존좋-y5b
@존좋-y5b 5 жыл бұрын
실제로는 교사들 저런 회의조차 안함 상식적으로 바나나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멍청이가 어딨냐고 면박주고 끝남 +) 아니.. 좋아요 무슨 일이쥬🙊 저는 공립 학교를 다녀서 선생님들 파워가 좀 쎘어요 ㅠㅠ 수능도 공무원 시험도 시험문제에 이의제기가 나오는데, 하물며 그냥 고등학교 내신 시험에서 이의제기가 안나올 수는 없죠.. 이 드라마에서처럼 조건을 달지 않으면 복수정답이 나오는 시험문제도 있을거구요..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는 상위권인 이카로스 동아리 학생들이 유독 저 문제를 많이 틀려서 관심이 쏠린거예요 ㅠㅠ 만약 평범한 학생이 이의제기를 했으면 그냥 묻혔겠죠.. 사립학교라 학생들이 명문대에 가는 것이 공립 학교에 비해 더 중요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이 드라마에서 학교가 소위 "영업"이라고 표현하면서 선생님들이 학부모들을 꼬시는 내용도 나오구요. 상위권인 학생들 내신을 지켜주기 위해 예체능 수행평가 만점을 주는 것이 관례인 학교도 많아요. 제가 학교 다닐 때도 그랬구요.
@justmytype874
@justmytype874 5 жыл бұрын
룰루랄라 옛날엔 그랬을지 몰라도 요즘엔 회의해요.. 저런거 그냥 지나가면 국민신문고나 교육청에 민원들어가서 바로 감사 나오는데....서술형 답도 학생들이 이의제기 하면 다 고려해서 정답으로 인정도 해줘요
@user-rg5gs5kw9z
@user-rg5gs5kw9z 5 жыл бұрын
요즘에도 그럽니다 알고 말하세요 저렇게 하면 생기부 안좋게 써준다고 협박합니다
@존좋-y5b
@존좋-y5b 5 жыл бұрын
JustMyType 저희 학교는 그랬어요 ㅋㅋㅋ 그렇게 옛날도 아니구요.. 문제 제기하면 선생들 네들이 뭘 아냐며 바락바락 소리나 지르고 그랬죠 ㅠㅠ 문제에 이상 있으면 귀찮은건 선생들이니까요..
@길치들
@길치들 5 жыл бұрын
JustMyType 교사에요?
@주영-e6v
@주영-e6v 5 жыл бұрын
저긴 강남사학이니까 애들이 고소도 하고 그러죠ㅋㅋ 그냥 안넘어감
@조성호314
@조성호314 4 жыл бұрын
???:사실 한글이 아닌 한글과 비슷하게 생긴 외계 문자일 수도 있잖아
@망둥-y9r
@망둥-y9r 4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이런식으로 확대해석하면 밑도끝도없는데 저런애들이 어떻게 최상위권
@NuNuNuNuB
@NuNuNuNuB 4 жыл бұрын
@@망둥-y9r 영상 보긴 했나 선생이 쉅때 피자랑 치킨도 사람이될 수 있다 했다자나 ㅋㅋ
@최태훈-u3u
@최태훈-u3u 4 жыл бұрын
@@NuNuNuNuB 그니까 그게 정규수업이었냐구 최상위권 얘들이 정규수업에서 가르쳐준 의도대로 풀지, 방과후에서 알려준 거 그것도 사람 이름이 바나나 라는 해석으로 푼다고?
@TV-og3oc
@TV-og3oc 4 жыл бұрын
@@최태훈-u3u 문제가 그저 '중의성의 이유를 밝히고, 그것에 기초하여 중의성을 해결하여라'면 문제가 됩니다.
@개쩌는강희원
@개쩌는강희원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문제가 중의성 문제였는데 문법적인 거는 다 체크하고 가는게 맞지
@jjjijjjijjj
@jjjijjjijjj 4 жыл бұрын
팩트) 최상위권 학생들이면 진짜 애매한 경우 시험 도중에 물어봄
@im6me
@im6me 4 жыл бұрын
쭈댐 와 이거다
@이재오-l1y
@이재오-l1y 4 жыл бұрын
@seoul city 레알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미씨
@고미씨 4 жыл бұрын
@seoul city ㄴㄴ 저렇게 해석함에 따라 답이 다르게 문제를 낸 경우 순전히 본인들 잘못이기 때문에 가르쳐줌 선생들이 그렇게 말했다는 건 질문이 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일 거임
@user-jx6xp8ch8e
@user-jx6xp8ch8e 4 жыл бұрын
@@고미씨 ㅇ ㅇ 오류뜨면 시험시간동안반 다 돌면서 애들한테 공지해줌
@arcane1adventure
@arcane1adventure 4 жыл бұрын
그래이색이야 정확하다
@0123-i9p
@0123-i9p 4 жыл бұрын
그냥 애들이 따진게 아니라 선생님 보충 수업 시간에 비슷한 예로 사람 이름이 ‘치킨’이나 ‘피자’일 수도 있다라고 언급을 했기 때문에 그 수업을 들은 애들은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거임
@공자-f9g
@공자-f9g 4 жыл бұрын
사람이름이라고는 안적혀있음 이름이라고만했지
@0123-i9p
@0123-i9p 4 жыл бұрын
강빡 ‘이름’이라는 게 일반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지만 ‘사람을 부르는 명칭’ 그 자체의 의미를 갖고 있음. 당연히 수업 내용이나 필기 내용이나 모든 상황을 고려하면 ‘피자’가 음식의 ‘이름’으로 쓰인 게 아니라 사람 그 자체의 이름으로 쓰인 걸 알 수 있음.
@0123-i9p
@0123-i9p 4 жыл бұрын
호랑나비Kim 지금 몇 살이세요?
@0123-i9p
@0123-i9p 4 жыл бұрын
히융히융 국어 시험이에요~ 숫자는 과일을 산 개수를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보여주는 거고요
@hookhook9617
@hookhook9617 4 жыл бұрын
@@로맨_티스트 그럼 수박도 과일이라는 주석을 달아야되는게 맞음. 사람이나 동물 이름이 수박일 수도 있음. 사람이라면 성순이와 바나나는 인신매매를 하는 범죄집단이고 동물이름이라면 그냥 동물을 입양하러간 것이지 과일을 산게 아님. 바나나가 사람 이름이라는 상식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주석을 달아주는 것이지 상식적인 과일일 경우에 주석을 달아주는게 아님. 그렇게 따지면 글의 길이에 따라 문제 하나에 주석만 한 페이지를 차지할 수 있음.
@승-r8y
@승-r8y 5 жыл бұрын
2:04 쌤들끼리 시험문제에 쌤들 이름 쓰는거ㅋㅋㅋ 현실반영 ㅅㅌㅊ
@tess6651
@tess6651 5 жыл бұрын
전 겨울왕국 인물들로 냈어요 ㅋㅋㅋ 시험보다가 잠시라도 즐거우라고. 끝나고 다들 좋아하던데요 ㅋㅋㅋㅋ 그런데 시험문제에 이름 쓰는 것도 조심하긴 해야해요. 그걸 문제 푸는 단서로 생각하는 아이들이 있거든요.
@아미친-x3y
@아미친-x3y 5 жыл бұрын
저희는 반애들 이름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o8re6xk6m
@user-lo8re6xk6m 5 жыл бұрын
저희 학교엔..제 이름이ㅣ..우연이겠지만 기분이 좋ㅇ.. 헣헣ㅎㅎ
@eternity4885
@eternity4885 5 жыл бұрын
울 학교 선생님중에 이름을 가은, 나은, 다은, 라은이라고 하신 분 계심.. -선생님 이름 짓기 귀찮으셨군요-
@으악-c6c
@으악-c6c 5 жыл бұрын
근데 나만그런가 모르겠는데 막상 시험문제에 지인 친구 선생님 연예인 등 이름 나오면 문제에 집중 안될때가 많아서 난 별로던데. 끝나고 이거 친구랑 얘기해야지 하면서 문제 집중 안된적도 있고ㅋㅋㅋㅋㅋㅋㅋㅋ
@성원이-t7n
@성원이-t7n 4 жыл бұрын
진짜 존나 멋있다 현실에서 저런 쌤이 있기 쉽지 않은데.... 물론 내 학창시절 선생님들은 좋은 선생님들이 대부분이셨지만 저렇게 큰 일에 대해 사과하기 쉽지 않은건데..
@mqndlps8146
@mqndlps8146 5 жыл бұрын
이런 느낌이면 수박이 두개가아니라 물건이름이 "수박 두 개" 라는것을 샀다고 할 수도있고 "바나나와 수박 두 개" 라는 특이한 이름의 물건을 샀을 수도 있고 "바나나와 수박"이라는 이름의 물건을 두개 샀을 수도 있고
@의현-s7w
@의현-s7w 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러네 ㅋㅋㅋㅋ 장난감이름이 "바나나와 수박두개" 이럴수도 있는거잖아 ㅋㅋㅌㅌㅋㅋㅋㅋㅋ개똑똑허누
@Johnassu
@Johnassu 5 жыл бұрын
그니까 ㅋㅋㅋ 양떼처럼 헛소리에 동조하는 꼴 보면 웃기지
@그래-w5d
@그래-w5d 5 жыл бұрын
@@Johnassu 그래서 두개가아니라 두 개라고하죠
@asdffdsa-bn9kc
@asdffdsa-bn9kc 5 жыл бұрын
ㅇㅈ서현진이 얘기했잖아 문법이라는게 학문적으로 들어가면 끝도 없는거라고 바나나가 사람이름으로 들어가면 따질게 한두가지가 아닌데;
@사이다맛_사탕
@사이다맛_사탕 5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이건 뭐 지구 대기 성분 쓰세요 하면 산소 질소 써야지 유황 이딴거 써놓고 존재 할 수 있잖아요 이러는거랑 뭐가 다른지
@thisisme9858
@thisisme9858 4 жыл бұрын
근데 학종쓴다는 애가 선생님한테 저렇게 따지고 기분나쁜 티 내는게 애초에 불가능함
@seunghyeon2949
@seunghyeon2949 4 жыл бұрын
위로 ㄹㅇ ㅇㅈ ㅋㅋㅋㅋㅋㅋ 학종쓰려면 선생한테 빌빌거려야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꾼희
@꾼희 4 жыл бұрын
정시파이터였던 거임
@seunghyeon2949
@seunghyeon2949 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일부러라도 쌤한테 시비 거니까 ㅇㅈ
@마장떡
@마장떡 4 жыл бұрын
@@꾼희 정시파이터였으면 내신 가지고 안물고 늘어지지 ㅋㅋㅋ
@s2ehun
@s2ehun 4 жыл бұрын
ㄴㄴ쫌 빡센사립고는 학생>>교사에요.. 극성학부모 압박 감당ㅇ못함 교사 권한도 뺏어오는게 지금 학종
@baha231
@baha231 5 жыл бұрын
지가 가르쳐놓고 시험문제에서 미리 오류 발견 못한 남자쌤이 문제의 화근인데 끝까지 비겁함.
@이지원-v2j
@이지원-v2j 5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욕망의항아리-j7w
@욕망의항아리-j7w 5 жыл бұрын
근데 우리학교에선 저런건 애초에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지지도 않던데 ㅋㅋㅋㅋㅋㅋ
@dri13829
@dri13829 5 жыл бұрын
근데 저 문제의 어디에 오류가 있는거지? 오히려 학생들이 입시를 무기로 교사들을 협박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를 않는데?
@baha231
@baha231 5 жыл бұрын
@@dri13829 학교 시험 문제에서 공통으로 가르친 내용만 내도록 출제 검토 과정에서 여러차례 수정봐요. 특히 문제에 중심 내용으로 나온 것들은 교과서 수준에서 공통되게 가르쳤는지 미리 사전협의 해요. 셤 문제 보기 예시가 방과후에서 예시로 든거랑 같았으면 미리 얘기하고 보기를 바꿨어야해요.
@ppfr4244
@ppfr4244 5 жыл бұрын
@@욕망의항아리-j7w 이카루스 애들은 첨에 이의 제기 듣은 선생이 방과후에 몰래 가르친 대로 문제 풀었는데 틀려서 그 선생한테 찾아간거 그래서 그쌤이 지가 컷 못하고 회의 연거임
@정윤지-y2p
@정윤지-y2p 3 жыл бұрын
한편으로는 애들 성적을 위해서 저렇게 번거로움을 마다하지 않는 쌤들 모습이 뭉클하네요
@sinsin249
@sinsin249 2 жыл бұрын
애들 성적이 결국은 자기들의 이익이 되니깐 그러겠죠?
@정윤지-y2p
@정윤지-y2p 2 жыл бұрын
@@sinsin249 아름다운 이야기를 꼭 굳이 그렇게 비꽈서 보시는 시각이 너무 신기하네요~
@sinsin249
@sinsin249 2 жыл бұрын
@@정윤지-y2p 전 또 다른 관점에서 제 생각을 얘기한건데 굳이 비꼬았다고 단정하는 님이 더 신기하셔요
@사린-n5f
@사린-n5f 5 жыл бұрын
근데 중의성 고르라는 문제였고 이카루스에서 중의성 중에 어휘적 중의성을 가르쳤으면 예문까지 비슷했으면 억지가 아니네.. 애초에 특강한 교사가 시험문제 출제할 때 특강한 내용을 공유했어야지
@성이름-d3d
@성이름-d3d 5 жыл бұрын
문제검토할때 놓쳣나봄
@전혜진-y8y
@전혜진-y8y 5 жыл бұрын
처음엔 문맥상 당연히 바나나는 과일이지 저게 어떻게 사람이냐 억지다 라고생각했지만 그건 어휘적 중의성을 모르거나 안배운 사람들이나 그렇게 생각하는거고 이 영상엔 안나왔지만 수능문제 검토하는 사람한테 문제 들고가서 물어봤는데 교사가 문제를 잘못낸거라고 답을 과일로 한정지을 거였다면 '바나나가 고유명사가 아니다'라는 전제조건을 달아줬어야했다고 나옴 쟤네는 고3이고 심화반 애들이라 수능 기출을 풀면서 공부하는 애들인데 수능에도 어휘적 중의성이 나왔었고 방과후선생님이 '피자나 치킨이 사람일 수도있는거야' 라는 예를 들었다면 충분히 저렇게 답을 쓸 수도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저 학교 자체가 학교에서 배운 것만 시험에 나오는게 아니라 선행학습을 안 한 학생은 풀 수 없는 문제를 출제해서 학교시스템이 문제라는 지적도 전에 나왔었음 드라마 전체를 보면 이해가 될텐데 영상만 보면 억지라는 생각이 들 수 있어서 넘 속상..
@철덩이-f3w
@철덩이-f3w 5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좀 달라요 어휘적 중의성 좋죠. 근데 저 똑똑한 학생들이 문제를 풀때 바나나라는 단어를 어휘적중의성으로 해석하여 바나나를 사람으로 받아들였다. 이게 상식적으로 말이 안된다는게 문제죠, 바나나를 당연히 과일로 보냐 안보냐가 문제가 아니라, 저걸 당연히 사람으로 받아들이고 문제를 푼것에서 미스고 멍청하다는것 이라 생각해요 상식적으로 “바나나” 라고 하면 과일이 먼저 떠오르고 사람을 떠올리기 쉽지않은데, 저걸 사람으로 생각하고 문제를 풀기전에 “과일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지않은점, (사실 상식적으로 말이안되죠) 또, 시험도중 과일인지 사람인지 이의를 제기 하지 않은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정상적인 사고’ 를 하는 사람이라면, 문제에서 바나나를 언급했을때 “출제자가 과일 바나나를 언급한거구나” 라고 생각할텐데요. 솔직히 이의제기 하는 학생들도 다들 문제를 풀때 과일 바나나 라는것을 알았단걸, 저희모두 알잖아요? 쟤들이 진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저 문제를 풀었느냐? 를 봤을때 그게 상식적으로 아니다 라는것이죠 억지에 불과한 이의입니다
@전혜진-y8y
@전혜진-y8y 5 жыл бұрын
@수리카상 저런문제를 푸는데 '당연히' 사람이라고 생각했을까요? 더군다나 방과후수업때 선생님이 직접 피자 치킨이 사람이름일 수도 있는거야 라는 수업내용을 들었다면 시험을 보다가 저문제를 만났을 때 사람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상식이라는건 사람들이 보통알고있는 지식인건데 방과후수업을 들으면서 알게된걸 상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휘파남-v9n
@휘파남-v9n 5 жыл бұрын
수리카상 학문적 사실에 대한 근거는 상식으로부터 도출돼서는 안 됩니다. 학문에서 정상적인 사고는 상식적인 사고가 아니라 엄밀하고 논리적인 사고입니다. 바나나가 사람인 가능세계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나나를 사람으로 보지 않는 것은 오류를 범한 것이지 학생들이 억지를 부린 것이 아닙니다.
@철덩이-f3w
@철덩이-f3w 5 жыл бұрын
1 2 그럼 성순이가 바나나와 대추와 수박을 세개샀다. 라고 하면 어쩔건가요? 12•3분 님이라면 아무말 없이 문제를 풀수 있나요? 어디까지가 사람이고, 뭐가 과일인지 그 기준을 전혀 알수없잖아요? 제가 하고싶은말은, 어휘적중의성으로 바나나를 “당연히” 사람으로 해석한점(굉장히 멍청한거죠. 어휘적중의성을 배웠다해도) 솔직히 바나나를 들었을때 님말대로 사람,과일 둘다 떠오를수 있는건데 시험중간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점도 오류죠
@철덩이-f3w
@철덩이-f3w 5 жыл бұрын
이또한지나라가리 제 중점은 학생들이 출제자의 의도를 1차원적으로만 파악했다는거죠, 물론 원초적으로 문제를 저렇게 낸게 잘못이지만 어휘적중의성으로 접근하여 바나나를 당연히 사람이름으로 보고 문제를 푼것도 오류라는 것이죠 저게 바나나가 아니라 진짜 사람이름 같이 헷갈리는 명사라면 모르겠지만 시험 도중에 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나( 과일로도 분명히 생각을 했을텐데) 입니다 결론적으로, 당연히 과일 바나나라고도 생각했을 학생들이 문제 틀려놓고 발악하는것이란거죠
@딴딴-w9y
@딴딴-w9y 5 жыл бұрын
만약 공부못하는 애가 이의제기 했으면 그냥 무마됬을것 같누,,, 보충수업이 없어도 충분히 고려해야하는 문제인데... 뭔가 공부잘하는 애들이 의의제기해서 이만큼 된것 같은 느낌,,,
@elainelee2317
@elainelee2317 3 жыл бұрын
와... 저걸 인정하고 끝까지 파고드는 선생님도, 마음 열고 받아주는 학생들도 넘 멋지네요ㅠㅠ
@ghkdud135
@ghkdud135 2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 멋지다고요 ㅋ?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지들이 원하는 결과 나오니 좋아서 그러는건데 ㅋㅋㅋㅋㅋ
@Hyunwoo_7
@Hyunwoo_7 2 жыл бұрын
내가볼땐 다들 장애인들같은데
@caero-d2p7g
@caero-d2p7g Жыл бұрын
​@@ghkdud135원하는 결과가 나왔어도 그 선생님한테 쌓인게 있을텐데 사과받고 웃어주는게 멋진거지 성격 ㅈㄴ 꼬였네
@liliace9990
@liliace9990 4 жыл бұрын
시험도중에 누가 바나나랑 수박은 과일이냐고 물어봐서 쌤이 반돌아다니면서 '바나나랑 수박은 과일입니다' 하고 돌아다니면 그쌤은 얼마나 쪽팔렸을까
@with_philosophy
@with_philosophy 4 жыл бұрын
수박은 채소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0.pae-g1v
@D.0.pae-g1v 4 жыл бұрын
@@with_philosophy 아 진짜요....?와 나 헛살았나봐.....
@with_philosophy
@with_philosophy 4 жыл бұрын
@백하빈 오
@장애가있습니까
@장애가있습니까 4 жыл бұрын
바나나랑 수박이 엄연히 채소임...둘다 나무에서 안자라잖슴
@장애가있습니까
@장애가있습니까 4 жыл бұрын
@백하빈 바나나는 나무에서 안자라는걸로 아는데..
@rooyaru
@rooyaru 4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안한데 내 태국 친구 이름 바나나임.. 태국은 본명이 워낙 어려워서 민니, 뱀뱀, 텐, 리사 처럼 불리는 이름을 만드는데 그게 바나나임..ㅇㅅㅇ
@user-ow7or7qb3m
@user-ow7or7qb3m 4 жыл бұрын
아 ㅁㅊㅋㅋㅋㅋㅋ진짜 있네
@오씨-e1b
@오씨-e1b 4 жыл бұрын
큼..ㅋㅋㅋㅋㅋㅋ
@도담-r6r
@도담-r6r 4 жыл бұрын
저도 들어본적 있어요 필명인진 모르겠는데 일본 작가 분 이름이 요시모토 바나나 더라구요
@김지선-w7g
@김지선-w7g 4 жыл бұрын
@@도담-r6r 혹시 여행에세이 쓰신분?
@도담-r6r
@도담-r6r 4 жыл бұрын
@@김지선-w7g 여행 에세이?? 는 잘 모르겠는데 그녀에 대하여 라는 작품을 쓰신것 밖에 기억이 안나네요
@user-nicknick
@user-nicknick 5 жыл бұрын
저게 문제가 뭐냐면, 애들이 단지 지네 답 오답인데 정답으로 만들고 싶어서 따지는게 아니라 선생님이 진짜 그런 맥락으로 말을 했었으니까 학생 입장에서는 어이없고 개빡치는거지. 학원쌤도 아니고 학교쌤이 그 말을 했는데. 저 내용 후였나 전이었나는 모르겠는데 다른 선생님이 설명할 때 피자치킨같은 예시도 들었다고 함. 쌤이 만약에 어휘의 중의성에 대해 다른 예시를 들었으면 모를까 바나나랑 비슷한 맥락으로 피자나 치킨이나 그런걸 예시로 든 거임. 아무리 방과후라 해도 학교 선생님의 얘기니까 그거에 대해서는 학교 쌤이 잘못 말한게 맞음. 이카로스가 최상위권 집단이니까 저게 선생님 회의까지 진지하게 하고 전체적으로 문제가 된거지 일반학생이었다면 저게 말이되냐하면서 바로 까였을걸? 내가 학생이었어도 항의해봤겠다. 처음에는 이카로스 애들이 지네 답 만들고 싶어서 난리치네 했는데 들어보면 쌤이 잘못 말한 게 맞음. 수능이었다면 아니라고? 그래 수능이었다면 오답이었겠지만 어디까지나 저건 선생님 말이 곧 답인 내신임. 근데 그 선생님의 설명에 있었던 건데 오답으로 처리해버리니까 자기 생각에도 이상하니까 따진거지. 심지어 수능 기출에서도 비슷하게 다뤘다고 했는데.
@derteilunddasganze
@derteilunddasganze 5 жыл бұрын
ㄹㅇ 현실
@내이름은-t4b
@내이름은-t4b 5 жыл бұрын
이카로스..
@user-nicknick
@user-nicknick 5 жыл бұрын
@@내이름은-t4b 수정했습니당
@조강희-p9n
@조강희-p9n 5 жыл бұрын
일반 학생이 말했다면 무시 당했겠지....?
@하일-n2l
@하일-n2l 5 жыл бұрын
제 관점에서는 저 문제 복수정답을 다 받기에는 애매한 것 같아요. 중의성이 있는 문장을 해소하라는 게 문제인 것 같은데, 저 친구들의 답안 중 몇개를 보면 1. "성순이는 친구인 바나나와 수박을 2개 샀다" - 성순이는 친구라고 생각하는 바나나와 친구라고 생각하는 수박을 2개 샀다 or 친구인 바나나와 슈퍼마켓에서 수박을 2개 샀다로 해석될 수 있는데, 심지어 전자의 경우 사람이 사물을 친구로 여길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여전히 친구인 바나나 1개 / 수박 1개 or 1/2개 or 2/2개 로 해석될 수 있는 중의성이 남아있게됩니다. 따라서 해당 답안은 바나나를 사람이름으로 보게되어도 여전히 중의성이 해소되지 않죠. 2. "성순이가 바나나란 친구와 수박을 2개 샀다" - 이또한 중의성이 해소되지 않은 문장입니다. 바나나가 사람이름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허용한다면, '친구'라는 명칭도 사물이름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허용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여전히 '바나나란 친구'와 '수박'을 1/1 or 1/2 or 2/2개 산건지, 바나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과 수박을 2개 산건지의 중의성이 여전히 존재하게 됩니다. 다른 답안들 또안 중의성이 해소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정답으로 처리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중의성을 해소하도록 해석하라는 문제였다는 점을 강조한다면, 학생들의 답안을 모두 오답처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바나나'가 사람이름이 될 수 있다는 논리를 그대로 이용해서 말이죠. 따라서 저들의 논리를 가지고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굳이 답안을 작성해보자면, "성순이는 바나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과 함께 수박 2개를 샀다" 정도가 되겠네요. 막말로 "'사람'을 산다"라는 의미로도 해석될 여지가 없게말이죠.
@zzzzzzangzzag
@zzzzzzangzzag 3 жыл бұрын
11:25 졵나 문제 맞다고 하니까 태도변화 ㄴㅇㄱ
@yj1937
@yj1937 5 жыл бұрын
바나나라는 별명을 가진 친구가있다면 말이될수도 있겠네요ㅋㅋ 무엇보다 내신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대로 푸는게 맞으니(특히 국어같은과목) 특강에서 그런식으로 언급했다는점에서 특별반 애들의 주장이 틀린건아닌듯..
@hayeonsin7891
@hayeonsin7891 4 жыл бұрын
설마 최상위권 애들이 괜히 선생 엿먹이려고 그게 인정될지 아닐지도 모르는데 저런 답 적을리가.. 수업시간에 저런 게 답이 된다고 가르친 적이 있으니까, 그걸 근거로 저 답을 적은 거죠..
@뭘봐-k9k9i
@뭘봐-k9k9i 4 жыл бұрын
@@jandijo-ky1hx ㄴㄴㄴㄴ 방과후였음
@Tjwls-1
@Tjwls-1 5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따지면 끝도 없지않냐 ㅋㅋㅋ 이 드라마를 안봐서 잘 모르겠는데 상위권 이카루스 학생들이 틀렸다고 이의제기 받아준 상황아님? 솔직히 바나나를 기본적으로 누가 사람이라고 생각해 만약에 주어인 성순이가 이름이 성순이가 아니라 딸기였으면 몰라도.. 물론 바나나라는 별명이나 바나나라는 이름이 실제로 있기야하겠지만 그렇게따지면 수박두개라는 이름이 있을거라고는 왜 이의제기가 안들어오는데? 그리고 수능 기출에 나왔다고 학교시험까지 그 틀에 맞춰야한다는 법도 없고ㅇㅇ 그렇다고 쌤들이 잘못이 아예 없는건 아님 괄호 치고 여기서 바나나와 수박은 고유명사가 아닌 과일을 뜻함 이라고 세부설명을 써놨을수도 있는데 그걸 안해서 이런 제기를 나오게 한것도 잘못이지만 만약 중위권학생들이 저런문제 이의제기하고 그랬으면 맞은 상위권학생들은 그냥 넘어가자고 했을걸 쌤들도 넘어갔을거고
@예형-c5d
@예형-c5d 5 жыл бұрын
시비 거는 건 진짜루 아니구요!! 오해하지 말아주세요오...ㅠㅠ 그냥 단지 설명으로 봐주시길 바랄게요!! 수박 두 개는 이의제기가 들어올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바나나를 이름으로 본다고 하면 성순이와 바나나가 함께 무언가를 산 것으로 해석되고 그렇게 되면 무엇을 샀는지가 나와야하기 때문입니당. 그리고 수박 두 개'를'이 붙어있기에 수박 두 개는 목적어로 봐야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박 또한 이름으로 본다면 '수박'이라는 이름의 사람을 사는 것인데.. 학교 시험 문제에서 사람을 사는 행위에 대해 얘기가 나오지는 않겠죠오..?
@user-wf1oo9cg1b
@user-wf1oo9cg1b 5 жыл бұрын
성순이가 바나나와 수박 두개를 샀다 인데 어휘적 중의성을 배운 이카루스 학생들입장에선 바나나가 고유명사라는 설명이 없다면 바나나를 사람 이름으로 볼 수 있는 상황이고 애초에 문장을 보면 수박은 사람이 될 수 없어요
@최정우-e7v
@최정우-e7v 5 жыл бұрын
@@예형-c5d 바나나가 사람이라고 치는것도 이의제기를 하는데 수박이라는 사람을 산다고 이의제기는 왜못함? 노예제도 있을때를 서술한 문장이라고 하면 어칼꺼 ㅋㅋ
@cumulus9858
@cumulus9858 5 жыл бұрын
님이 상위권 학생이라 받아줬다고 생각하고 본듯 ㅇㅇ 중의적어휘였나 쨋든 수업시간에 이카루스애들은 배운내용인데 그걸 틀렸다고 하니 억울한게 맞지 애들 탓이 아니라 선생님들끼리 어떤내용을 가르쳤는지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시험문제를 내서 오류가 난거니까 오히려 선생님들의 실수라고 보는게 맞지
@파도나라-o9e
@파도나라-o9e 5 жыл бұрын
바씨가 있었샴? 이러다가 1+1=3이다 4다 5다도 나오겠내. 수학 답 미치겠다. ㅋㅋㅋㅋ
@zezefactory5854
@zezefactory5854 4 жыл бұрын
학생들에게 머리숙여 사과하는 선생. 그런 선생을 보고 자란 학생들. 100시간 공부보다 인생에 도움이 된다고 봄. 잘못을 했다고 인정할 수 있는 용기. 남을 용서하는 학생들을 보며 이미 정답을 이상을 배웠다고 봄.
@자피안풀
@자피안풀 5 жыл бұрын
학생들에게 사과하고 고개 숙일줄 아는 선생님 진짜 저런게 참스승이다.
@민선-b5l
@민선-b5l 5 жыл бұрын
8:28 서현진 이의있습니까? 발음 너무 좋다 ㅠㅜ
@Yjjj-mo6fo
@Yjjj-mo6fo 5 жыл бұрын
ㄹㅇ국어쌤인줄
@cheongje
@cheongje 5 жыл бұрын
원래 이이로 발음하는 게 맞지않나
@전소영-f5o
@전소영-f5o 5 жыл бұрын
실제로는 저런 특별반을 만드는 거 자체도 불법....... 저희 지역 학교에서도 아직도 특별반 만들어서 하기도 하던데 쉬쉬하는거죠..
@빙닭-y3s
@빙닭-y3s 5 жыл бұрын
과학 중점반이 있죠 근데 그걸 과학 중점 학교라고 정부기관에서 지원금 주면서 그 반 학생들 한테만 좀 더 체험을 많이 하게해서 생기부 졸라 빵빵하게 써주던데
@머시룸비
@머시룸비 5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특별반 없는 학교가 더 드물지 않나,,?
@박성하-e3e9t
@박성하-e3e9t 5 жыл бұрын
Ki moii 그거는 시험성적으로 선생님들이 뽑는 게 아니고 고등학교 입학 전(중3 말에 원서 쓸 때)에 본인들이 과중반 신청하는 거라서 이카로스같은 특별반으로 보기엔 좀 그렇지 않나요..?
@user-el4qs2ly1d
@user-el4qs2ly1d 5 жыл бұрын
@@박성하-e3e9t ㄴㄴㄴ 시험성적으로 뽑는게 대부분임
@머시룸비
@머시룸비 5 жыл бұрын
@@박성하-e3e9t 아뇨아뇨 성적으로 학교에서 뽑는 특별반 말한 거 맞습니다
@npc1455
@npc1455 4 жыл бұрын
8:33 뻐큐 날리고 있음
@아이너여
@아이너여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03.2_1
@03.2_1 4 жыл бұрын
연병최우신
@DongMu_Amigo
@DongMu_Amigo 3 жыл бұрын
뭐하시는 분이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숨순그림 찾기가 익업이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허승-t3d
@허승-t3d 3 жыл бұрын
@@DongMu_Amigo 그림이 숨쉬나요?
@NUNIWA
@NUNIWA 3 жыл бұрын
손꾸락아니고 펜이네
@강상욱-t8n
@강상욱-t8n 5 жыл бұрын
이카루스? ㅋ 더 높이 날으려다가 날개가 망가져 추락해 죽은 가상인물인데, 심화반 이름에 그걸 쓰는건 엿먹이는거 아닌가
@쩜쭈
@쩜쭈 5 жыл бұрын
그 햇빛에 촛농 녹아서 떨어져 죽은 아이
@pureumshin305
@pureumshin305 5 жыл бұрын
죽음이 실패한 인생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그 과정속에서 더 높은 이상과 꿈을 가진 도전이라면 좋은 인생이지 않을까요
@noang5106
@noang5106 5 жыл бұрын
@@pureumshin305 네 그런 의견도 있지만 또 다른 주장으로써는 이카루스의 아버지가 너무 높이 날면 날개가 녹을 거야. 라고 경고를 하셨겠지만 반대로 너무 낮게 날아도 날개에 물이 젖어 빠져 죽을 거야. 라고 경고를 하셨을 거라고도 했을 겁니다. 그래서 이카루스를 최근에는 너무 눈에 띄게 살아서도 안 되고 너무 눈에 안 띄게 살아서도 안 된다고 해석을 한다더라고요 어디서 들었는지는 기억 안 나는데 학교 쌤들이 그랫서영
@강상욱-t8n
@강상욱-t8n 5 жыл бұрын
@@pureumshin305 다시 생각해보니까 상위그룹 너네 공부잘한다고 깝치고 자만하다 떨어져 뒤지는 수가 있다라는 의미로 이카루스라 부르는거같음
@Zzzzzzzz6633
@Zzzzzzzz6633 5 жыл бұрын
드라마 안봐서 모르지만 하늘(SKY)만 바라보고 난다는 뜻이 아닐까요
@erlinghaaland7294
@erlinghaaland7294 4 жыл бұрын
아니 대체 왜 상위권 그룹 이름이 '이카루스'인 거지?ㅋㅋㅋㅋㅋㅋ 추락하라 이건가;;
@Yoons-p7m
@Yoons-p7m 4 жыл бұрын
아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rlinghaaland7294
@erlinghaaland7294 4 жыл бұрын
@@JaesoomatCookie 아 진짜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드라마를 안 봐서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뮤브
@뮤브 4 жыл бұрын
@@erlinghaaland7294 좀 된 댓글이다만, 말씀하신 대로 이카로스는 15화에서 해체됩니다... 의도적으로 붙인 이름같아요
@Dragon-Riders
@Dragon-Riders 4 жыл бұрын
@@JaesoomatCookie 이게 맞다면 중의적 표현이었네요. ㄷㄷㄷ 15화에 해체되면서 추락한다는 뜻과 SKY로 가라는 말을 뒤섞어 만든 단어.
@세은-e2d
@세은-e2d 4 жыл бұрын
ㅁㅊㅋㅋㅋㅋㅋㅋㅋㅋ
@김하연-o2z
@김하연-o2z 5 жыл бұрын
충분히 학생들 이해 가는데.. 4점 하나가 1,2 등급 나누는데 이의제기할 부분 있으면 어떻게든 제기할 것 같음 뭐 쌤들한테 예의없이 무논리로 말한 것도 아닌데..
@0Blue._.life0
@0Blue._.life0 4 жыл бұрын
@zifya 그걸 싸가지 없다고 생각하는게 더 이상한거 아닌가요?그건 어른들이 학생을 깔보는 생각에서 나온 생각이잖아요
@바르고고운말
@바르고고운말 4 жыл бұрын
근데 문제는 선생님들의 논리도 반박할게 없음 원칙이라
@김하연-o2z
@김하연-o2z 4 жыл бұрын
@@바르고고운말 맞아요 그냥 서로 잘잘못 따지는 거 없이 각자 위치에서 할 일을 한 것뿐이에요
@김하연-o2z
@김하연-o2z 4 жыл бұрын
그냥 예전에 시험 서술형 점수 확인할 때 1점 감점될까봐 쌤 앞에서 문제 처음부터 다시 풀고 감점된 요인을 서술한 이유 손 벌벌 떨면서 설명한 기억때문에 학생들한테 공감이 가서ㅠㅠㅠ
@arcane1adventure
@arcane1adventure 4 жыл бұрын
ㅇㅈ 제목만 보면 어거지다 생각하겠지만 저 내용보면 그렇게 생각할만한 여지같은게 있음...그리고 진짜 4점이면 등급에선..ㄷ ㄷ
@space-j0en
@space-j0en 3 жыл бұрын
‘바나나와 수박 2개’라는 상품을 샀다는 해석도 나오겠넼ㅋㅋㅋㅋ
@bellflash2307
@bellflash2307 3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ㅋㅋㅋ
@포카리스웨트-v6w
@포카리스웨트-v6w 3 жыл бұрын
바나나와 수박이라는 상품 2개도 ㅋㅋ
@Sheeeeepmelon2
@Sheeeeepmelon2 3 жыл бұрын
@@포카리스웨트-v6w 그런데 그안에 오징어가 있었던거야! 허걱쓰
@호롱이-v3r
@호롱이-v3r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한국말이 어려워
@PSYsAudiance
@PSYsAudiance 3 жыл бұрын
@@호롱이-v3r 그건 영어도 그래
@피스타치오아이스크림
@피스타치오아이스크림 4 жыл бұрын
이거는 선생님 문제지 왜 이카루스 수업때만 바나나는 사람이름일수도 있다는 소리를 함?? 전체 수업때 저런 예시를 말한것도 아니고 따로 이카루스 학생들만 가르쳐준거고 선생님도 저런 예시를 알려줬으므로 조건을 달았어야 함
@bavillio
@bavillio 4 жыл бұрын
와나나는 사람일까?
@y2394sswo
@y2394sswo 4 жыл бұрын
영상에는 안나와있는데 하수현? 선생님이 자기가 수업했던걸 잊어버린게 아닐까요
@햄주머니-y3b
@햄주머니-y3b 5 жыл бұрын
중의성을 고르라는 문제가 아니라 해석을 두가지 쓰라는 문제 같은데...나같아도 어휘적 중의성으로 비슷한 예시들 보면서 배웠으면 그런 답 쓸 수 있을거 같다 특히 공부 잘 하는 학생들이면 배운거니까 복습도 열심히 했을텐데...그거 당연히 맞게 해 줘야 하는거 아닌가 ㅠㅠ 난 이거 너무 억지같아 보이지는 않는대...
@지연-p1n1r
@지연-p1n1r 5 жыл бұрын
저도 좀 공감 합니다 바나나가 어떻게 사람이름 이냐 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은데 별명이라고 생각한다면 사람을 뜻 하는 거라고 짐작할수 있을거 같다고 생각해요
@계정-p5l
@계정-p5l 5 жыл бұрын
흠 근데 심화반 특강이라 일반학생들은 배우지 못한 내용이잖아요. 마치 학원에서 배운내용 끌고온거라고 느낄수도 있을것같아요. 저는
@햄주머니-y3b
@햄주머니-y3b 5 жыл бұрын
계정 저기서 어떤 학생이 말했듯이 수능 기출이니까...교사들도 당연히 알고 있는 이론일텐데...심지어 심화반이라 해도 학교 선생님이 가르친건데 그 선생님이 문제를 같이 안 만들었을리도 없고 저걸 완전 배제할 수 있는 문제를 만들었야 했는데 교사들이 문제를 잘못 낸건 맞으니까 맞게 해줘야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김소현-p3v
@김소현-p3v 5 жыл бұрын
근데 학생 전체가 배운 걸 인정해줘야지 특정 학생들이 배운 걸 인정해주는 건 좀 에바.. 그냥 예를 들어보자면 전교 중위권 애들 성적 좀 올리겠다고 방과후를 만들었는데, 저거랑 똑같은 일이 일어난다고 선생님들이 저렇게 신경쓸까요? 상위권 애들이니까 저렇게 신경을 써주는 거죠..
@햄주머니-y3b
@햄주머니-y3b 5 жыл бұрын
김소현 다른 학생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겠네요 ㅠㅠ 근데 제 생각은 위에 말했듯이 교사가 어휘적 중의성 내용을 몰랐을리 없고 문제를 애매하게 낸거에 대해서 맞았다고 해주는게 맞다고 생각해요...그냥 제 의견일 뿐 제 말이 맞는 건 아닙니다...하핳
@Jynl-p2w
@Jynl-p2w 4 жыл бұрын
저게 이카로스(상위권) 애들 수업시간에 쌤이 어휘적 중의성 예시로 피자나 치킨이 사람 이름일수도 있다 이런식으로 설명햇음 그래서 쟤네만 저런 식으로 풀고 틀린거임... 결국엔 정답 처리됏음
@오잉11
@오잉11 3 жыл бұрын
아 결국에는 정답처리 됬어요???
@나다-b3m
@나다-b3m 3 жыл бұрын
오 이건 중요한 포인트네
@YoungJu_Cho
@YoungJu_Cho 3 жыл бұрын
@@오잉11 학교에서 진행하는 보충수업에서 어휘적 중의성에 대해서 설명했어요. 수업시간에 가르친 내용으로만 정답을 제한한다 라는 명제가 깨진것임
@정신차렷-j8f
@정신차렷-j8f 3 жыл бұрын
정상적인거면 저건 오답처기 되는게 맞지ㅋㅋㅋㅋㅋ 아무리 보충수업에서 어휘적 중의성에대해 다뤘다고 해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 문제는 어휘적 중의성에대한 문제도 아닐뿐더러 그걸 인지하고 문제를 풀었다면 문제풀던 당시에 바나나가 사람인지 과일인지 물어본 학생이 1명이라도 있었는데 선생님이 무시했는데 저런일이 터진거라면 이해가 된다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시한것도 아니고 뭣도아닌데ㅋㅋㅋㅋㅋㅋㅋ 실제상황과 실명을 가지고 문제를 낸것도 아니라ㅋㅋ 저건 ㄹㅇ 억지고 씹소리ㅋㅋㅋㅋㅋㅋ 선생이 학생한테 놀아나고 무능함을 알린거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휘적중의성에대한 문제도 아닌데 어휘적중의성을 배웠다고 다른문제에 그걸 적용하다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절대 최상위권에서 저걸로 딴지 절대 안걸고 애매하게 공부하는애들이 꼭 저런걸로 딴지걸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s8lm1my3z
@user-es8lm1my3z 4 жыл бұрын
근데 저게 뭔 똑똑한 애들임 ㅋㅋㅋㅋ 출제자 의도 뻔히 보이는 걸 틀리는데 ㅠㅠ
@이유진angelkawaii2
@이유진angelkawaii2 4 жыл бұрын
방과후 수업에서 저런 예시로 바나나가 사람일수있다는 내용을 언어의 중의성이라고 배웠음...
@NuNuNuNuB
@NuNuNuNuB 4 жыл бұрын
출제자 의도를 모르겠지 선생이 피자랑 치킨도 사람이름으로 취급될수 있다 했으니 바나나도사람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
@최태훈-u3u
@최태훈-u3u 4 жыл бұрын
@@이유진angelkawaii2 정규수업에선 안나왔던거잖아? 차라리 학원에서 이렇게 가르쳐줬어요 라고 하지
@너와함께한후
@너와함께한후 4 жыл бұрын
이의제기할만한 사안이니 애매하게 적어도 상관없지
@너와함께한후
@너와함께한후 4 жыл бұрын
틀렸다고 하면? 선생님 꼽주기 가능 맞다고 하면? 그냥 이득
@persimmonofficial
@persimmonofficial 4 жыл бұрын
보면 나와있지만 최상위권 애들이 아무이유없이 이의제기 할 수 있을거 같다 해서 바나나를 고유명사로 인식해서 쓴게아니라 이 드라마에 최상위권애들을 모아놓은 동아리에서 바나나같은 예시를 들었기 때문에 반박한거임.. 막 어거지 부린게 아니라,,
@솔-x5q
@솔-x5q 4 жыл бұрын
이히리리앝 이의ㅜ
@viollang
@viollang 4 жыл бұрын
그니까 걍 교과서 위주로 공부하면 되지 ㅋㅋㅋㅋ 왜 지들끼리 이지랄 저지랄 해서...ㅉ
@윤윤-e8x5v
@윤윤-e8x5v 4 жыл бұрын
@@viollang 교과서 위주로 공부하면 망하죠?
@qkrrlwjdxlk7045
@qkrrlwjdxlk7045 4 жыл бұрын
그냥 망하는게 아니라 폭망하져?
@user-rm1tt4er9i
@user-rm1tt4er9i 4 жыл бұрын
그말이 아니라 애초에 상위권애들 모아놓고 하는수업에서 다른애들하고 수업들을땐 나오지도 않고 수능에 나오는 언어적 중의성을 적용하면 어떡함ㅋㅋㅋ
@Gureumi75
@Gureumi75 4 жыл бұрын
2:56 이 선생이 제자들한테 보충 시간에 저렇게 해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으니깐 저런 발상이 나오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윤진-f2u
@진윤진-f2u 5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문제가 허점이 있다고 한들 기본적으로 문제풀때는 출제자 의도에 맞춰서 풀어야지 고등학교 선생님이 내는 문제가 바나나를 고유명사로 취급하는 걸 내겠냐고 무슨 대학교 논리학이나 아이큐테스트도 아니고 국어내신 그것도 문법파트에서
@cumulus9858
@cumulus9858 5 жыл бұрын
중의적어휘 배우면서 함정을 팠을꺼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 성적신경쓰는 애들이 쌤 골탕먹이자고 자기 점수걸고 일부로 답을 저렇게 쓰고 문제제기했겠니...
@user-eubu556eio
@user-eubu556eio 5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문법파트에서 문제에 허점이 있는게 "상식적으로" 말이 됩니까?
@진윤진-f2u
@진윤진-f2u 5 жыл бұрын
무슨 말씀을 하는 건지 이해가 달안가서요. 다시 말하자면 국어라는 학문의 특성상 다른 과목보다 더 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국어 문제를 "풀 때"의 핵심은 "가장"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죠) 그나마 암기의 비중이 높은 문법조차 파고들면 끝이 없어요 대학교수든 무슨 전문가든 아직까지 특정 부분이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 많아요.(인간이 만든 언어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법칙을 세우고 그에 알맞게 떨어질 수가 없는 겁니다.) 아무튼 고등학교 선생님이 출제하는 내신은 고등학생이 배우는 범위안에서 지식을 평가하고자 합니다. 상식이라는 말이 참 추상적이죠. 바나나가 사람 이름일 수도 있죠. 하지만 선생님이 학생이 시험을 보면서 바나나가 사람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내길 바라고 출제를 하지 않았을 거라고 합니다. 학생이 그렇게 생각한들 출제자의 의도에 맞게 푸는 것도 능력이에요. 사실 이런 문제는 한국교육시스템부터 짚어봐야 할 수도 있지만 너무 오바인것 같아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이상 21살 의견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eubu556eio
@user-eubu556eio 5 жыл бұрын
@@진윤진-f2u 그대 생각은 국어문제는 사실 "다음 중 출제자의 의도에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를 전제로 하고있고, 학생들은 "선생님이 바나나를 사람으로 보고 풀라는 문제를 내시지는 않았을거야"라는 생각을 기본으로 문제를 풀어야한다 이 말씀이네요? 여보세요, 해당 문제는 중의적표현 파트의 서술형 문제입니다. 학생들은 치킨피자라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수업시간에 배웠고 문장의 중의적표현을 찾고 두 가지 해석을 쓰라는 문제를 받았으니 바나나가 사람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야 당연히 나는 것이고 그 해석 자제가 틀리지 않다면 답으로 써내도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다르다고해서 틀렸다니요;; 출제자의 의도에 맞지않는 정답이 존재한다면 그 정답이 의도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라 그 문제가 의도에서 벗어난 거잖아요. 국어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학문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본인이 한 해석만을 강요하는 모습이 참 08학번 모 선배같네요
@진윤진-f2u
@진윤진-f2u 5 жыл бұрын
치킨피자라는 사람이 있을 수있다는걸 수업시간에 가르쳤다고 한것과 두 가지해석을 써야하는 것은 몰랐네요. 드라마 정주행을 안해서요. 수업시간에 그런 내용을 가르쳤다면 학생 입장에서는 충분히 쓸 수있는 답변이죠. 그리고 제가 쓴게 고지식하고 꽉 막힌 08학번 모선배 같다구요. 네 맞아요 저도 이런 부분이 정말 짜증나도록 역겹습니다. 하지만 이런 마음가짐으로 문제를 출제한 사람이 어떠한 답을 원하는지를 암기해야 좋은 성적을 받을 수있습니다. 사실 이게 기출을 푸는 의미이구요. 작년까지 제가 겪은 입시는 그랬어요.대학생활은 안그러길 바라지만 들어본 바로는 비슷할것 같더군요 암튼 혹시나 이 글을 보고있는 학생이신분들은 명심하세요. 내신은 선생님이 알려준 방식을 외워야 합니다. 그래야 이의제기를 할 명분이 생겨요. 난 니 수업을 열심히 들었다를 어필해야 가능해요. 내신은 학원수업보다 학교 수업이 먼저에요
@crieneoroc
@crieneoroc 3 жыл бұрын
어릴땐 선생님이 모르는게 있다는게 충격이었으나 대학을 다니면서 선생님이란 지식으로만 따지면 단지 나보다 4년 더 전공 공부한 사람이라는걸 알게되니까 이해가 되더라.
@e_ni7597
@e_ni7597 5 жыл бұрын
별 문제 아닌거같은데 점수 배점도 높으니까 이카루스 애들은 선생님들이 자기들 내신 점수 높여 주려고 만든 함정 문제인줄 안 거지...
@송재엽-p8g
@송재엽-p8g 5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저렇게 말장난을 함정이라고 생각하는 애들이면 공부 못하는 애들 아님?
@sjh6680
@sjh6680 5 жыл бұрын
근데 실제로 변별력 높이려고 저렇게 말도 안되는 문제가 실제로 나오기 시작하니깐 학생들이 그거에대한 선행 경험이 생기고 저런 이의제기가 생기는 거임
@Run-t8o
@Run-t8o 5 жыл бұрын
별게 다튀어나오는데 뭐...
@user-hi4yy3oc6j
@user-hi4yy3oc6j 5 жыл бұрын
근데 명확한 상식적 답이 3개나 있는데 굳이 모험을 할 필요가 있었나.. 싶음
@jazzycozzy
@jazzycozzy 5 жыл бұрын
@@sjh6680 진짜 사설틱하다고 생각한 문제 실전에 나와봐야 정신이 번쩍 들지
@좌감-u4t
@좌감-u4t 5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 만만한 기간제나 신입교사골라서 오답시비거는거 : 현실에서 만연 오답시비나올경우 회의 : 하는곳도 있고 안하는곳도 있겠지뭐 바나나와 수박이 함께 나왔는데 바나나는 과일이 아닌 어떤 고유생명체이고 수박은 과일이라 생각한다 : 현실에선 없음
@ujinlee296
@ujinlee296 5 жыл бұрын
드라마에서 정확하게 짚고넘어가면 해당사례가있는 고등학교로 시선이 재조명되게 됩니다. 이것은 해당고등학교와 또 다른 유사한사레를 가져와 사회적 이슈화를 시키기에 충분하구요. 경험담이지만 고1 물리 시험에서 최상위권 친구가 다른 이유로 틀리게 된 문제를 해당문제를 틀린 학생들과 말을 맞춘뒤 물리교사에게 찾아가 문제의 지문이 이중적으로 해석될수있다는점에서 의의를 제기했구요, 시험종료일부터 2일동안 쉬는시간 , 야간자율학습시간에 찾아가며 점수를 조금이라도 올리려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갈 것은 바나나 와 같은 일반명사를 고유명사처리해서 이의를 제기한다는 지능수준을 넘고가려는것이 아니라 어법의 특성중 문장의 의미를 확실하게 콤마로 찍어서 해석을 유도하지 않았을때 다중적으로 해석이 될여지가 있다는 한계점을 학생들이 짚고넘어가 틀린 문제의 오답처리를 복수정답으로 번복하려는 우리나라의 고교문제를 대표적으로 반영한 것이지요. 다시 말해서 현실에서 바나나라는것을 짚고 넘어진다는것에 프레임을 씌울것이 아니라 틀린문제를 어떻게 해서든 정답처리로 만들어 성적하향을 무마하려는 한국학생들의 실태에 프레임을 씌우란 말입니다. 댓글의 첫문단은 동의하나 밑의 문단의 의견은 동의하지않네요.
@좌감-u4t
@좌감-u4t 5 жыл бұрын
U Jin lee 개인마다 생각이 다르고 보는 눈도 다르니 동의를 하든 동의를 못하든 그런갑다 하는데 길게도 쓰셨네ㅋㅋㅋㅋ
@ujinlee296
@ujinlee296 5 жыл бұрын
@@좌감-u4t 의견차이가 나고, 필자의 의도가 아닌 독자의 주관대로 전혀다른 방향으로 해석하려하는게 최근 네티즌들의 동향이지요. 쓸데없는 의견 오해로 생기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싹을 잘라놓는 다는 의도로 충분하게 글로 표현하였고 반복을 통해 강조했을 뿐 입니다. 다른 채널의 영상에서는 어떨지 모르지만 이채널에서는 여타 채널과 다르게 사회 이슈 문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채널이기 때문에 댓글로 의견이 나뉘는것은 당연합니다. 그 과정에서 의견을 담기 위한 글은 충분해질수록 명확해지며 오해의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야기하지요.
@인간857
@인간857 4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물어뜯을 부분있으면 어떻게든 뜯지 않나? 저 한문제에 등급이 갈리고 대학이 갈리는 상황에서 가만히 있는게 이상한거지. 저런게 너무 싫고 안타깝지만 내자식, 내학생이 그런 상황에 처한다면 닥치고 찔러라고 봐라 라고 말할듯. 안되면 어쩔수 없는거고 다시치면 그 문제가 잘못된거니까.
@jhh4195
@jhh4195 4 жыл бұрын
지동설이 나오기전 시대에서 지구가 중심이고 태양이 그 주위를 도는 현상이 당연하다고 믿는거 : 현실에서 만연 지구가 중심인지 아닌지 증명하는 일 : 하는 사람도 있고 안하는 사람도 있겠지뭐 태양이 지구를 도는게 아니고 지구가 태양을 돈다고 생각한다 : 현실에선 없음
@나-x5n9e
@나-x5n9e 4 жыл бұрын
2:47 여기서 누가 ???: 선생님, 제 본명은 최바나나인데요? 하면 시트콤일듯 ㅋㅋㅋㅋ
@user-ku3fu7yz6g
@user-ku3fu7yz6g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GGae-op-2
@GGae-op-2 4 жыл бұрын
외국인 학생일수도 있지 ㅋㅋㅋㅋㅋ
@user-ku3fu7yz6g
@user-ku3fu7yz6g 4 жыл бұрын
@@GGae-op-2 Choi Banana??
@김민경-w7g
@김민경-w7g 4 жыл бұрын
최자두의 숨겨진 동생
@은비-e7o
@은비-e7o 4 жыл бұрын
ㅋㅎㅋㅎㅋㅎㅋㅋㅋㅋㄹ
@앤디현준호
@앤디현준호 3 жыл бұрын
서현진이 연기한 선생님의 일에 임하는 태도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워야 할 진짜 덕목인 것 같다..
@Lunatday
@Lunatday 4 жыл бұрын
요즘엔 이의제기 피하려고 가장 정답에 가까운 것은? 이런 식으로 물어보기도 함 ㅋㅌㅋㅋㅌㅋㅌ
@냠냠-u7x6x
@냠냠-u7x6x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아ㅅㅂ 나도 고1 때 존나 따져서 30분넘게 쳐따지다가 마지막에 교사가 가장 적절한 것은?이라고 적어놓았다고 지랄하면서 가장이라고 물었는데 중의적으로 해석되면 가장 적절한 게 아닌 거다 이래ㅛ음ㅋㅌㅋㄹㅋㅎㅋ
@김한비-m2d
@김한비-m2d 4 жыл бұрын
그거 진짜 개같음... 그래서 내가 수학을 좋아할 수 밖에 없음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가진 아이들 같은 경우엔 인간이 보편적으로 원하는 답을 찾기 힘든데 예를들어 휴대폰이 부서졌을때 해줄 적절한 말은? 정답: 와 부럽다 폰 부서졌으면 바꿀거 아니야 그래서 부럽다고 했지 돈 내가 내는것도 아니고 부모 부담인데 근데 틀렸다더라 지금이야 감정 인과관계 대부분 외워서 저런건 부정적인 상황- 위로하는 말 로 추론 되는데 어렸을땐 진짜 힘들었음
@신수호-i2r
@신수호-i2r 4 жыл бұрын
@@김한비-m2d 진짜 사이콘데요 님은?
@나붕이-s7g
@나붕이-s7g 4 жыл бұрын
@@신수호-i2r 너무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중3때 국어문지 풀때 누나가 물병이 깨뜨렸을 때 해야할 상황으로 적절한거에서 현실적으로 받아서 누나가 물병을 깨뜨린것을 보고 웃는다 랑 누나가 물병을 깨뜨린것에 대한것을 위로한다로 갈렸는데 ㅋㅋㅋㅋㅋ
@이정엽-h5v
@이정엽-h5v 4 жыл бұрын
@@김한비-m2d 그건 진짜 니가 개븅신같이 썼네
@ba201
@ba201 4 жыл бұрын
특정 학생들 대상으로 한 보충수업을 시험범위로 인정해서 복수정답 해주는 각본 정말 대단하네요 ㅋㅋㅋ
@silver33412
@silver33412 4 жыл бұрын
어이가 없는거지 특별반이라는 이유로 특별반에 혜택을 준 비 상식적이고 형평성을 무시한 처리였음
@bruce_lee638
@bruce_lee638 4 жыл бұрын
그냥 과도한 pc충이 부른 결과지 뭐ㅋㅋ
@necklinemangdoong
@necklinemangdoong 4 жыл бұрын
그냥 복수정답처리해줘
@개구리-u2i
@개구리-u2i 4 жыл бұрын
@@personn80336 현실은 맞는말이어도 쌤이 모르는 내용이면 인정 안해주죠... 문제의 출제의도 한마디면 선생의 무지함이 모두 가려지는 마술이 일어납니다
@치푸-i8h
@치푸-i8h 3 жыл бұрын
@@bruce_lee638 어그로면 씹노잼 어그로고 진지한거면 븅신인거고
@ilkme
@ilkme 5 жыл бұрын
원래 내신은 담당과목 쌤이 진리인법임 누가 뭐래도 선생님이 그냥 수업한대로 나오게 되어있음 그게 납득하기어렵든간에 최상위권은 원래 그렇게 받아들이는걸 잘하고 바나나가 억지인건 알지만 그렇게 배워서 그렇게 쓴거임 이건 솔직히 교육시스템탓이라고 해야됨
@전재희-g3g
@전재희-g3g 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내신은 평기기준으로 부적합 한거죠 수능을 제대로 다시 반영해야 합니다
@바칼집사장님
@바칼집사장님 4 жыл бұрын
8:32에 자연스럽게 뻡큐날리는거 나만보임ㅋㅋㅋ?
@김성원-u9d
@김성원-u9d 4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jiwonlee8332
@jiwonlee8332 5 жыл бұрын
어휘적 중의성을 가지고 낸 문제면 충분히 낼 수 있는 이의제기인데. 특히 고3이면 0.5점에도 등급이 갈리니까 따지는게 당연할 수 밖에. +댓글 엄청 달리는데 일일이 응답할 생각 없으니까 본인 생각은 제 댓글에 달지 말고 따로 쓰십시오
@1132-i8c
@1132-i8c 5 жыл бұрын
@self inv fn 과몰입자제좀 ㅋㅋ
@jiwonlee8332
@jiwonlee8332 5 жыл бұрын
@@Pwnab13m4rin3 고등학생 미만이거나, 시험기간에 열심히 해본 적이 없거나, 혹은 옛날 옛적 교육과정을 밟으신 분인 듯. 학교 내신 시험에서 물어보는건 상식이 아니라 배운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하는겁니다. 독해 문제가 아닌 문법 문제에서 그런 식으로 생각하는건 썩 좋지 않죠.
@Pwnab13m4rin3
@Pwnab13m4rin3 5 жыл бұрын
@@jiwonlee8332 그쪽이야말로 지금 내신문제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는 분인거 같네요. 최근 문법문제들은 거의 지문, 문제 해석해서 풀어야하는 문제가 대다수입니다. 문법 개념, 예문만 암기식으로 외워서 못푸는 문제들이에요 학생이 무식하게 외워서 틀린걸 학교탓하진 말아야죠
@jiwonlee8332
@jiwonlee8332 5 жыл бұрын
@@Pwnab13m4rin3 지금 극중에서 이의제기를 한 학생들이 무식하게 외워서 틀렸나요? 선생님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고, 중간에 이의제기를 기각하려 했던 이유도 교과서로 봤을때 해당 내용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실제 시험이었다면 선생님께 시험 중 질문하면 끝날 문제였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되는 이야기였기 때문에 이런 댓글을 쓴겁니다. 다른 댓글들에도 써져 있듯이 일본에 바나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기도 하고요.
@ralee5952
@ralee5952 5 жыл бұрын
ㄹㅇ 주제가 어휘적 중의성이면 그럴만했다
@user-rm1tt4er9i
@user-rm1tt4er9i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상위권애들 수업에서만 얘기하준 언어적 중의성을 학교 시험에 적용하면 그게 더 이상한거아니냐ㅋㅋㅋ 형평성이 없어지잖아
@어쩌면지금
@어쩌면지금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𐌅 𐨛 𐌅 𐨛 𐌅𐨛 𐌅 정시로 대학간 입장에서 보기 개웃김
@달-b1b
@달-b1b 4 жыл бұрын
최상위권이면 그런것도 고려해서 풀어야지
@shinshia
@shinshia 4 жыл бұрын
@@달-b1b 최상위권만 얘기해준걸 모든 학생이 보는 시험에서 내면 형평성이 떨어진다는건데 넌 뭔소리냐
@sorkflsk7
@sorkflsk7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수업 기준으로 한다했고.. 수업에 안가르친줄 알았지만 최상위권들만 듣는 수업에서는 가르쳐서 맞다고 해주면 최상위권 학생에게만 답을 하나 더 준 셈인데 형평성에 어긋나지. 수업 기준으로 한다했으니 전체적으로 다 들은 수업 기준이여야지.
@안녕-f5w1t
@안녕-f5w1t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게 현 고등학교 현실임...작년까지 학생이었고 평균 2 초반이었는데 우리 학교에도 1.2등급 애들만 하는 방과후에서 시험의 힌트를 주셨었음... 게다가 애초에 선생님마다 지향하는 수업의 방향성도 조금씩은 달라서 쌤마다 말씀이 다른 경우도 있는데, 영상처럼 방과후수업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한 경우 무조건 전체 정답이나 복수 정답 인정하는게 맞는거임
@beenz7254
@beenz7254 5 жыл бұрын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선생님도 대단한데 저 상황에서 선생님 위로해주고 저렇게 해주는 이카루스 애들도 착하다
@이게머에여
@이게머에여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들과는 다르게 학생들이 괜찮다고 다독여주는게 넘 좋다...
@AB-xm4pf
@AB-xm4pf 5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고3이고 심화반이면서 시험에 모험을 거는게 이상한거지 왜 무난한 답 놔두고 상식에 어긋나는 답을 적어서 문제를 만드는건지
@메로나-y3y
@메로나-y3y 4 жыл бұрын
선생이 그렇게 가르쳤으니까요ㅋㅋ특히 내신시험에서는 선생이강조한대로따라가야하는데 그렇게 배웠으니 함정이라고 생각하는거죠ㅋㅋ내신시험은 특히나 그렇고ㅋㅋ바나나가이상하지 실제로도 나나라는이름있잖음ㅋㅋ 그니까 더헷갈릴만함 이런논란이나오는이유는 내신시험이 특히나 더 논란요지가많고 선생들입맛따라 한끝차이로 헷갈리게 내는문제가 너무 많음ㅋㅋ 고3생활 빡시게한문제한문제 소중하게 풀면 저런거 당연히 의심하게됨ㅋㅋ나노단위로 분석해서 문제풀어야 안낚이거든ㅋㅋㅋ 당연히 선생님이 낚시용문제냈다고 생각햇을거같음 정말 공감됨 나는ㅋㅋ
@AB-xm4pf
@AB-xm4pf 4 жыл бұрын
챙겨먹기비타민 ㅋ
@아아-x7s5t
@아아-x7s5t 4 жыл бұрын
A B 영상을 끝까지 안보니까 이러지 ㅋ
@아기다람쥐또미-s1s
@아기다람쥐또미-s1s 4 жыл бұрын
챙겨먹기비타민 나나라는 예시는 잘못된거같아요 바나나는 사람이람으로 쓰일수있지만 과일이름이고, 나나는 사람이름으로 쓰일수있지만 바나나같이 특정한 것을 나타내는 뜻이없잔아용
@조유진-d9t
@조유진-d9t 4 жыл бұрын
소미 기억에는 드라마 상에서 어떤 선생이 그렇게 가르쳤던 것 같아요..!
@hitto11l
@hitto11l 4 жыл бұрын
7:33 7:33 7:33 학교에서 시험을 출제했는데, 학교의 진도 기준에 맞춰서 채점하는게 당연한거지... ㅠㅠ;; 실상 저런 반박은 의미 없지... 국가 수능 문제인것도 아니고, 어떤 애들은 수특 들었고 어떤 애들은 안 들었을거 아님... 근데 이걸 수특 들은 애들 기준으로 채점을 하면 안 들은 애들은 뭔 피해누
@Yololifejay
@Yololifejay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근데 진짜 최상위권이라 생각하면, 한문제한문제 엄청 고심해서 풀텐데, 저런 해석이 가능하면 4개인지 5개인지 진짜 고민될것같아요,
@clyj9234
@clyj9234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내신 시험에서 수능이랑 답이 달라지게 시험문제를 내는게 잘못.. 수능에 맞추는게 당연한데 저렇게 수능 기준으론 맞고 내신 기준으론 틀리는 문제가 있는 상황 자체가 문제임
@fmptii2725
@fmptii2725 4 жыл бұрын
근데 학교 문제를 수능 문제에서 정답이라고 한 것과 다르게 내면 문제의 소지가 있어서 그렇게 안 낸다고 하시더라고요. 평소에 선생님께서 말하실 때 "이거는 이러이러하게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수능에서 이렇게 나왔기 때문에 ~"라고 말하시기도 해요!
@과일의왕두리안
@과일의왕두리안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가르치지않은걸 적용하는게 이상한거임 ㅇㅇ 초등학생때 약분안배웠는데 약분해서 답 쓰면 틀린것처럼
@김도훈-n8g
@김도훈-n8g 4 жыл бұрын
@@clyj9234 애초에 교과서랑 ebs랑 설명자체를 반대를 하는 파트들도 많은데요 머ㅋㅋㅋ
@KMSsin1028
@KMSsin1028 5 жыл бұрын
억지라고 생각하는건 어른들만의 상식으로 접근해서 그런거고 막상 학생의 입장으로 문제 풀어봐라 나같아도 고민할거같음 답이 정해져있는 상황에서 생각하는 것과 이답도 저답도 다 맞는거 같을때에 게다가 심화수업에서 배운 내용이라면 더더욱. 저런 이의제기가 들어오고 지적해줘야 선생들도 학생 말랑하게 안보고 시험제출에도 좀더 신경쓰지 수능어쩌고 하는데 수능문제도 간혹 태클걸려오는거 많음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코걸이듯 낸사람 맘대로 답 끼워맞추면 안될것도 없는거임...
@가루-v4l
@가루-v4l 5 жыл бұрын
아 그거기억나네요 전에 어떤나라에서 커피나무만 키우는데 나무를 어쩌고있었는데 저는 커피나무를 장작으로쓴다? 이런씩인의미가담긴번호로골랐거든요?근데오답처리났길래 헛웃음지었죠ㅋㅋㅋ
@서진-g6f
@서진-g6f 4 жыл бұрын
근데 서현진 왜이리 이쁘냐? .. 너무 내스타일
@leechanghyun
@leechanghyun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렇게 마지막처럼 사례가 있으면 인정해줘야하는데 말도 안되는 반례를 제시하면서 우기는 쌤들은 진짜..... 심지어 아예 맞는 문제였는데 수능기출에도 비슷한 문제있었는데 ㅠㅠㅠㅠ
@말랑콩떡인절미-g2n
@말랑콩떡인절미-g2n 4 жыл бұрын
결국 하수연인가 하는 쌤이 잘못한거 아님? 국어과 선생님들이랑 상의 안된 말을 하는 바람에 이 난리가 난거잖아ㅋㅋㅋㅋ 보통 쌤들 수업할때 범위 정하고 회의 하고 상의 하지 않나? 시험에 저 문제를 낼거였으면 방과후때 더더욱 조심 했어야지ㅋㅋ
@박관홍-m7p
@박관홍-m7p 4 жыл бұрын
수능에 나오는 내용 추가적으로 가르친게 다인데..
@이우형-d7m
@이우형-d7m 5 жыл бұрын
상위권 학생이 문제 의도도 제대로 못보고 저것도 틀렸으면 그냥 쪽팔려서 조용히 있을텐데 ㅋㅋ
@luckjang-q2c
@luckjang-q2c 4 жыл бұрын
이게 ㄹㅇ 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문제의 맥락과 의도가 있는건데 뭔 바나나가 사람 이름이냐는 궤변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ladmstj7220
@rladmstj7220 4 жыл бұрын
빡센학교에서 상위권 내신경쟁은 치열하니까요ㅋㅋㅋㅋ심지어 4점짜리인데 그걸 누가 포기하겠어요 자존심이고 뭐고 눈에 불을 키고 달려들죠.. 본인들도 말 안되는거 알면서 저렇게 우겨야하는 현실이 안타깝긴하네요ㅠ
@인간857
@인간857 4 жыл бұрын
문제의도는 시험치는 순간에는 수십가지까지 머리속에서 생각하게됨. "출제자의 의도"는 정답이 공개되고 나서야 정해지는거지 풀때는 정말 모든 가능성을 다 생각해야함. 만약 저 "바나나가 고유명사일수 있다" 라고 답안지 풀이에 내놓으면? 수업시간에 배운건데 왜 못맞췄니 라고 쌤이 말하면? 그러면 무슨 할말이 있냐 쌤이 수업시간에 수업했고 이게 정답이라는데. 이 드라마 상황이 너무 극단적이고 말도안되는 문제를 내서 이렇지만 솔직히 저건 선생측 실수가 맞음. 수업에서 그런 예시를 했고 꼬투리 잡힐 내용도 있었으니 물어뜯지 . 근데 솔직히 바나나는 말도안되긴하다...
@Saber493
@Saber493 4 жыл бұрын
영상안보고 댓글 처다니?
@구자헌-z9u
@구자헌-z9u 4 жыл бұрын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피자나 치킨이 사람 이름 일 수도 있다 라고 강의를 했고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시험에서 적용시켰는데 오답처리 됐으니까 이의제기 한거죠. 오히려 꼼꼼하게 공부한 최상위권 학생들만 틀리게 된거임..
@레나테나
@레나테나 4 жыл бұрын
수능에서 한번 바나나가 사람이라고 해봐라..
@이차남-n6x
@이차남-n6x 3 жыл бұрын
그럼 인정될걸 수능은 저딴 질낮은 문제안냄
@파다닥-u6f
@파다닥-u6f 5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 저 문제를 제기할때 처음부터 하수현쌤이 방과후 수업때 비슷하게 예시를 들어주고 설명해주면서 수업해줬다고 말하면서 문제를 제기했었으면 좀더 수월했거고 다른 선생님들도 우숩게 받아들이진 않았을건데;
@_TY001
@_TY001 4 жыл бұрын
현실속 우리학교 쌤 : 복수정답 인정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학생들 : 왜요? 도대체 왜요! 쌤 : 인정하지 않기로 했어요 이상입니다 학생들 : 왜냐니까요!!! 쌤 : ... (나감) 학생들 : ** *** ** +반은 농담이에요ㅎㅎ
@윈터-y9k
@윈터-y9k 4 жыл бұрын
도데->도대체
@밍유-r2d
@밍유-r2d 4 жыл бұрын
현실 속 학교라면 저런 문제를 제기한 사람이 없지 않을까요..있다 하더라도 다른 아이들이 비난했을걸요
@psang2367
@psang2367 4 жыл бұрын
@@밍유-r2d 맞네 ㅆㅂ
@lony6800
@lony6800 4 жыл бұрын
@@밍유-r2d 영상에서, 학교에서 중의적 해석에 대해 수업했다고 하네요. 치킨 피자가 사람 이름이 될 수 있다고요.
@user-hr5zu1ul4f
@user-hr5zu1ul4f 4 жыл бұрын
rhla 피자나라 치킨공주도 아니고ㅋㅋㅋㅋㅋㅋㅋ
@도도-x2r
@도도-x2r 4 жыл бұрын
바나나 사건이 실제 있었던 일이라는 게 신기함ㅋㅋㅋ 엥 400개가 넘었네...
@이정빈-s1d
@이정빈-s1d 4 жыл бұрын
저게 실제사건임????
@도도-x2r
@도도-x2r 4 жыл бұрын
@@이정빈-s1d ㅋㅋㅋㅋ실제 사건 모티브라는 걸로 알고있음ㅋㅋ
@JIN-v5d
@JIN-v5d 3 жыл бұрын
9:43 어휘적 중의성을 피하는 방법이 나와 있다. 따라서 문맥에 중요한 정보를 더 줘야 되기 때문에 ‘성순이가 바나나와 수박 2개를 샀다’에서 ‘~와’ 는국어사전에서의 뜻은 둘 이상의 사물이나 사람을 이어주는 접속부사이고, 이때 사용된 ‘~와’는 생략 할수 있고 생략된 자리에 ‘ , ' 즉 쉼표를 찍는다고 쓰여있다. 그렇다면 윗 문장의 ‘~와’ 국어사전에 명시된 접속 부사이므로 생략가능하고 쉼표를 붙여주면 ‘성순이는 바나나, 수박 2개를 샀다’가 되므로 문맥상 바나나는 사람이름이 될수없다. 만약 바나나가 이름이라면 어희적 중의성을피하기 위해 정보를 더 줘야된다. 예를 들자면 ‘~같이’ ‘~함께’등이 같이 쓰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어휘적 중의성이라고 가정했을때 ‘성순이는 바나나와 같이/함께 사과 두개를 샀다’라고 쓰여야 된다고 생각된다. 이상 고2 이과의 발언이였습니다. '
@공대나들이
@공대나들이 3 жыл бұрын
어희적?
@리나-c6q
@리나-c6q 5 жыл бұрын
이의제기한 학생들이 이해는 되지만 너무 웃기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바나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라니
@chae7954
@chae7954 5 жыл бұрын
인터넷에 김레몬씨도 있어요ㅋㅋㅋ
@샌드위치-c2o
@샌드위치-c2o 5 жыл бұрын
아니 근데 그걸 가르친게 선생임ㅋㅋ
@from_therine
@from_therine 5 жыл бұрын
@@2아이언-t8e 그분 실명은 따로있잖아요 ㅍㅍ
@Iamchoihyeok
@Iamchoihyeok 5 жыл бұрын
굳이 바나나가 한국사람일 필요는없죠. 외국인 친구의 이름이 바나나 라면 충분히 납득이 됩니다.
@user-cw7lc7mv1f
@user-cw7lc7mv1f 5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요시모토 바나나라는 사람이 있음ㅋㅋㅋㅋㅋ
@줘-g2x
@줘-g2x 5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제일 잘못한건 이 클립에 피자치킨 장면을 넣지않은 tvn이다..
@종종-t9m
@종종-t9m 4 жыл бұрын
사람이름이 어떻게 바나나야 치킨,피자야 ㅋㅋ루ㅋㅋ 했다가 대한민국 김비빔씨 생각나서 입을 다물었다.
@황보건-b6s
@황보건-b6s 4 жыл бұрын
유비빔씨요?
@종종-t9m
@종종-t9m 4 жыл бұрын
@@황보건-b6s 아 그분이 유씨셨군요 ㅋㅋㅋㅋ 김씨신줄 알았는데 예전에 티비에서 보고 너무 웃겼었어요.
@황현준-p4r
@황현준-p4r 4 жыл бұрын
장독대랑 바비있던데
@king_SFP
@king_SFP 4 жыл бұрын
비빌분의 비빌박자 유비빔ㄷㄷ...
@JJ-ml2ri
@JJ-ml2ri 4 жыл бұрын
제일 유명한 최자두도 있잖아요ㅋㅋㅋ
@user-p6l8h
@user-p6l8h 3 жыл бұрын
0:24 발 너무 뽀짝해 귀여웡.....🤍
@unvarying6119
@unvarying6119 5 жыл бұрын
수능 기출에서 나온거라고 떽떽거리는데, 수능에서는 충분한 설명이 있고난 다음 시험문제가 진행된다. 그러나 보면 내용은 이카루스반 선생님이 직접 사과하고 시말서 써야 정상아닌가? 최상위권 아이들이 전부 저렇게 쓴거면 학교 수업시간에 뭔가 문제가 있었다고 보는게 맞지 싶은데. 거기다 최상위권 학생들의 부모라면 저 내용에 대해서 이의제의 신청을 학생이 아닌 부모님들이 들고 일어났을것 이다. 저기 배경이 서울인것 같아 보이는데 저거 왠만히 혼자 공부 잘하는애 아니면, 최상위권 부모가 들고 난리 치는건 일도아니고 특히나 사립은 입김이 장난아니지. 선생이 이사장 아들아니라면 징계는 아니더라도 시말서까지는 써야지.
@ILIOPIE
@ILIOPIE 5 жыл бұрын
그럴 수도 있잖아요-식의 이의제기를 전부 받아들이면 문학 작품의 해석 관련된 문제들은 죄다 이의제기 대상이 되겠죠. 심지어 자품의 실제 작가가 자기 작품에 대한 수능 문제를 틀리는 경우도 있었으니. 물론 이의제기가 생기지 않을만큼 명확한 문제 출제가 가장 이상적이나 이와 같은 경우 문단상의 맥락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상식에 입각해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시험 문제는 수수께끼나 넌센스퀴즈과는 다르게 하나의 문제는 출제 의도와 목적이 분명한 것이고 이를 벗어나 혼란을 주는 식으로 학생을 기만하거나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이 대전제입니다. 해서 다른 드라마의 나오는 문제 맥락상 바나나는 사과와 더불어 과일의 한 종류로서 해석하는 것이 명백하죠. 실제로 드라마가 드라마일 수 밖에 없는 것이, 최상위권 학생들은 이런 식의 이의제기를 하는 일이 거의 없죠. 최상위권 학생들이라면 오히려 더욱 명백한 학문적 오류와 전제를 베이스로 이의제기할 겁니다. 이 에피소드가 이렇게 화제가 되어서 갑론을박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드라마내에서 최상위권 학생들이 이와 같은 이의제기를 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문제의 오류 해석과 학생의 성적과는 아무 연관이 없지만 사람들이 '최상위권씩이나 되는 학생들이 단체로 이의제기 했다는 거 보니 뭔가 잘못된 게 있긴 있나보다'하고 처음부터 한 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가지고 이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그럴 듯해 보이는 억지에 '진짜 그럴 수도 있겠네' 하고 넘어가는 것이지요. 그러나 상위권 학생들이건 하위권 학생들이 그랬건 특정 성적대의 학생들이 단체로 동일한 답을 적어냈다'고 하는 명제를 문제의 오류 해석 과정에 산입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고요.
@Jo-my4yl
@Jo-my4yl 5 жыл бұрын
이의제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슬아-b3r
@슬아-b3r 4 жыл бұрын
바나나가 사람이 아니라 애완동물 이름일 수 도 있지않나?
@exxn_sxxr
@exxn_sxxr 4 жыл бұрын
뭐야 이거 신박한 논리군 ㅋㅌㅌㅌㅌㅌ 자기 강아지 이름이 바나난데요 이럼 아무말 못할 듯요 ㅋㅌㅋㅋㅌ (답글이 없어서 남겨봅니닼ㅌㅋ)
@ilthehagil_cute
@ilthehagil_cute 4 жыл бұрын
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우진-r3s
@현우진-r3s 4 жыл бұрын
와 개천잰데 ㅋㅋㅋㅋ
@user-dc6en6kw4l
@user-dc6en6kw4l 4 жыл бұрын
와..대박.. 👍👍
@holymoly6221
@holymoly6221 4 жыл бұрын
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넼ㅋㅋㅋㅋㅋ
@왕밤빵-d9n
@왕밤빵-d9n 4 жыл бұрын
저거. 그래서 문제에 조건 제시라는게 있는거임. (단, 바나나는 인물이 아님) 이런식으로 +대댓글 달지마.
@brucechoi2911
@brucechoi2911 4 жыл бұрын
수학 문제를 풀수 없을 정도에 언어능력 이라면 오답처리 하는게 맞음 바나나2+수박1= 총2개 '님은 식구가 몇개임?' 어색하시죠? 저 학생들과 교사들은 덧샘뺄샘 이 문제가 아님 나랏말싸미 듕궉에 달아 세종대왕님이 모두가 글을 읽으라고 만든 한글이 그케 어렵나?
@왕밤빵-d9n
@왕밤빵-d9n 4 жыл бұрын
@@brucechoi2911 어휘적중의성이라는 개념을 알려줬고 예까지 들었는데 문제 사례와 비슷맘 그렇기 때문에 조건이라는게 붙어야 맞다고 생각함
@왕밤빵-d9n
@왕밤빵-d9n 4 жыл бұрын
@@brucechoi2911 어휘적 중의성이란 개념을 알려준 상황에서 필기까지 되어있었고 그렇다고 다른 답을 틀렸다고 할수 없기때문에 복수정답 처리를 한게 선택이 탁월했다 생각함
@왕밤빵-d9n
@왕밤빵-d9n 4 жыл бұрын
@이충연 바나나가 이름이라는 고유명사일수있다는 거 잖.. 영상 끝까지 안봄?
@장선생-i4s
@장선생-i4s 4 жыл бұрын
@@왕밤빵-d9n 중의성 중의성 중의성 중의성 중의성
@AyyanS11123
@AyyanS11123 3 жыл бұрын
진짜 블랙독은 서현진 레전드 작품임. 서현진 작품 대부분인 코로나 정통 로맨스 대부분인데 이런 작품 나오는 보면서 와..... 역시 서현진 소리가 나옴.
@하람-d5k
@하람-d5k 4 жыл бұрын
사실 시험 문제에서 제일 억울한건 남자인지 여자인지 잘 구분이 안가는 영어 이름임 ‘클레오’ 가 남잔줄 알고 He has been 어쩌구 저쩌구 썼다가 틀림 ㅅㅂ
@김기현-q9h8r
@김기현-q9h8r 4 жыл бұрын
멀 그런걸로 틀리게해요ㅋㅋㅋ 에바지 그건
@a_yul984
@a_yul984 4 жыл бұрын
와 공감 나도 조이를 남자로 썼다가 틀린적있음 ㅋㅋㅋㅋㅋ
@투님
@투님 4 жыл бұрын
이거는 거의 한국어면 수빈같은 에매한 이름가지고 여잔지 남자인지 구분하라는거 아닌가..
@ehu6483
@ehu6483 4 жыл бұрын
클레오파트라 모르누 ㅋㅋㅋㅋㅋ(드립)
@하람-d5k
@하람-d5k 4 жыл бұрын
우헿헿라면땅 그 세상에서 제일가는 포테이토칩?
@삥뽕-p4s
@삥뽕-p4s 4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말이 안됨 ㅋㅋㅋㅋ 그래서 공부를 너무 잘하면 이런 것도.. 하나하나 아는 게 많아서 이건 이럴 수도 있잖아 이건 이거 아니였나? 왜 이게 이거지 이런 경우가 수두룩 함 ㅋㅋㅋ 반에서 서술형 채점할 때에도 왜요? 쌤 왜 수지가 꼭 여자여야 하는데요? 이런 거 질문하는 애들 대부분 공부 잘 하거나 그렇다는 거.. 공부 아예 놓거나 중하위권 애들은 넘어가는 경우도 많음 그래서 난 넘어감
@즈퓨-d9t
@즈퓨-d9t 4 жыл бұрын
수지 남자로 지칭했다고 틀리게 했으면 진짜 문제 있는 건데?
@jhh4195
@jhh4195 4 жыл бұрын
내 남자인 친구중에 김태희 있었는데 존재 자체가 틀린 이름이겠네ㅋㅋㅋ
@허스키-q7p
@허스키-q7p 4 жыл бұрын
수능영어가 그렇긴함.. 듣기평가에 어느목소리가 여자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그냥 듣고 목소리 높으면 여자인가보다 하는거지
@박준영-w6u3l
@박준영-w6u3l 4 жыл бұрын
허스키 그래서 영어 ㅈㄴ 싫음 학생들이 기계도 아니고 목소리만 가지고 성별을 판단하라고하고 ㅋ
@홍지선-s3y
@홍지선-s3y 5 жыл бұрын
영어였으면 대문자로 판명났을텐데 한글이라 글 포인트를 크게 쓰는 것도 아니고ㅋㅋ
@나무보단숲
@나무보단숲 5 жыл бұрын
차피 영어는 단수면 a붙여야돼서 못내지 ㅋㅋㅋ
@jazzycozzy
@jazzycozzy 5 жыл бұрын
@@나무보단숲 님 영문과?
@나무보단숲
@나무보단숲 5 жыл бұрын
@@jazzycozzy 3등급
@jazzycozzy
@jazzycozzy 5 жыл бұрын
@@나무보단숲 아랍어는 3등급 맞음
@나무보단숲
@나무보단숲 5 жыл бұрын
@@jazzycozzy 바나나 고유명사로 안치면 a붙어야지?
@msk6966
@msk6966 4 жыл бұрын
11:23 학생부종합 쓰는애들 ㄹㄲㅋㅋㅋㅋㅋㅋ
@고려대자유전공학-p4q
@고려대자유전공학-p4q 3 жыл бұрын
학종인데 이거 킹정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성실-v5q
@성실-v5q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오늘도 억울한 서장훈|아는 형님|JTBC 250208 방송
20:48
“Don’t stop the chances.”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人是不能做到吗?#火影忍者 #家人  #佐助
00:20
火影忍者一家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小丑教训坏蛋 #小丑 #天使 #shorts
00:49
好人小丑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Don’t stop the chances.”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