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요트리 시스템 적용하려고 500평 갱신 중인데 정말 피가되고 살이 되는 중요한 정보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tv979511 ай бұрын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올해 구욧해볼려고 합니다 300주
@yesanapple11 ай бұрын
13:50 최초 45도로 심은 후 2미터 정도 크면 45도 더 휘라는 말씀이신거죠?
@rurallife13511 ай бұрын
예 그렇습니다
@fantasticfarm0076 ай бұрын
다 축이 한때 유행하다 끝 날. 것이라 생각했는데요. 어떤 마이스터분이 아니다 앞으론 다 이렇게 간다.이게 좋다 하더군요~, 근데 전 아직도 의문 입니다. 세상을 살 면서 시대를 잠시 풍미 할뿐 끝까지 가 는 것을 어떤 것도 보지 못 햇죠. 그저 돌고 돌 뿐 입니다. 세장방추형은 사실 제일 효율적이고 관리도 수월한 수형 아니 나무의 본모습 이죠, 보통은 세장방추도 완전정복하지 못하고 다축 다축하죠? (제예기?)시대의 유행보다는 자기가 좋아하는 수형을 하면 그게 최고이죠. 그리고 전지를 갈고 닦아 수형의 끝에 가보면 그게 어떤 수형 이든 결국 다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다축을 완성해 가는 방법도 10가지이상 방법론이 나올 듯 합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과원방문이 가능할까요? 여기는 문경이구요 저는 올해 재식하려고 준비중입니다
@rurallife13511 ай бұрын
거창 김병철님 유명하시니 쉽게 찾아가실 수 있습니다
@박경석-e2u11 ай бұрын
@@rurallife135 감사합니다
@do-gf1di7 ай бұрын
다축형은, 아시바 거리를 얼마를 둬야 하나요??~~~
@참이슬-k5t9 ай бұрын
정부 우세성 기부 우세성 당연한걸....
@yearn13310 ай бұрын
이것도 한때 유행이지 왜 저렇게 어렵게 농사를 짓노
@baljangsin35179 ай бұрын
그럼 과거에 머물다못해... 뒤로 가자고? 30년전 수형으로?
@부는대로흐르는대로9 ай бұрын
@@baljangsin3517시행착오와 대처방법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얘기죠... 밀식장애는 반듯이 옵니다... 수세잡는게 관건이고, 6~7년후부터는 '나무가 더이상 자라지 않았으면 좋겠다' 하겠죠... 10~15년후에는요? 라는 질문에 갱신...이라는 답변이 결과입니다... 빨리 수확하므로 갱신해도 돈이 더된다...과연 그럴까요~? 새로운 시도가 발전이 아니고, 과거의 방법이 후퇴는 아니죠... ....라는 댓글같아요...
@와피-p6k7 ай бұрын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되지 않습니다. 역사에 도전과 응전이 있듯이 도전과 수정이 있을 뿐입니다. 미뤄서 짐작하고... 예측해서 안 된다고 결정만 했다면 지금도 곡갱이 질이나 하고 있었겠지요.